KR102003957B1 -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 - Google Patents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957B1
KR102003957B1 KR1020180013515A KR20180013515A KR102003957B1 KR 102003957 B1 KR102003957 B1 KR 102003957B1 KR 1020180013515 A KR1020180013515 A KR 1020180013515A KR 20180013515 A KR20180013515 A KR 20180013515A KR 102003957 B1 KR102003957 B1 KR 102003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rod
life
holding
dr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환
Original Assignee
이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환 filed Critical 이진환
Priority to KR1020180013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1Air-sea rescue devices, i.e. equipment carried by, and capable of being dropped from, an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6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침몰이나 해일, 이안류 기타의 사유로 사람이 물에 빠진 경우에 신속하게 구명환이나 기타의 구명장비를 사고 현장으로 운송하여 투하해 조난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드론방식의 구명장비 투하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모트컨트롤러와 통신에 의해 수동비행 또는 자동항법에 의한 자동비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회전날개와 이를 회전시키는 로터를 구비하는 드론과; 드론결합봉을 통해 드론 하부에 세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는 복수의 구명환 중 하나의 구명환을 투하하면 다른 구명환을 홀딩시킬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이 일어나는 복수의 작동봉을 가지며 본체에 설치되는 홀딩 및 투하부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홀딩 및 투하부의 작동봉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본체에 설치되어 홀딩 및 투하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선박의 침몰이나 해일, 이안류 기타의 사유로 사람이 물에 빠진 경우에 신속하게 구명환이나 기타의 구명장비를 사고 현장으로 운송하여 투하함으로써 조난자를 구조하는 것은 물론 구명환을 고정하거나 또는 구명환을 투하시키기 위한 구성이 종래의 구성보다 간단하게 구성되므로 드론의 무게가 가벼워 비행하는 체공시간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Marine rescue equipment for drone}
본 발명은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을 빠른 시간 내에 사고지점에 도달하게 하여 익수사고자에게 구명환을 낙하시켜 전달함으로써 사고자를 신속히 구조하고, 사고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욕장에는 안전요원이 배치되어 익수사고 발생시 긴급출동함으로써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감시구역이 넓은 경우 배치할 수 있는 안전요원의 인원수가 제한되고 배치된 안전요원들이 구역 전체를 담당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CCTV를 설치하여 중앙통제실에서 모니터링요원이 촬영된 영상을 보면서 익수자를 식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앙통제실에서 익수자가 식별된 경우 이를 근방에 위치한 안전요원에게 전달하고 해당 안전요원이 수영하거나 선박으로 익수자에게 도달하기까지 시간이 지체되어 물에 빠진 익수자를 안전하게 구조하기 위한 골든타임을 놓쳐 구조에 실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와 부이를 장착한 드론을 이용하여 감시구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모니터링하여 익수자가 식별되면 장착된 부이를 익수자에게 투척함으로써 골든타임 내에 구조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드론을 이용한 구조시스템의 경우, 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와 구조활동을 위한 부이가 하나의 드론에 장착되기 때문에 고중량화되어 비행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배터리 교체가 빈번해지면서 감시공백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류에 휩쓸려 익수자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우 촬영영역에서 놓치게 되어 주변을 탐색하는데 불필요한 시간이 지체될 수 있었으며, 익수자가 물속으로 잠수하여 해수면에서 식별되지 않는 경우 드론을 이용한 더 이상의 구조활동이 제한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5401호(2015.07.08. 공고)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는 회전날개와 이를 회전시키는 로터를 구비하는 무인비행체와, 이 무인비행체에 구비되며 무선조정에 의해 해제가능한 구명장비 홀딩수단과, 상기 홀딩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홀딩수단으로부터의 분리시에 낙하되도록 된 구명환을 포함하며,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구명환을 그립 또는 지지하는 제1상태와, 상기 구명환의 그립을 해제하거나 구명환 지지위치로부터 후퇴하는 제2상태 사이에서 상호 절환되고, 상기 홀딩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과, 이 수평프레임 상에서 둘레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지지아암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지지아암의 기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모터의 정역회전을 상기 지지아암의 신축운동으로 절환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수단은 제1상태에서 지지아암이 신장되어 구명환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맞물리거나 구명환의 내주면에 가압밀착되거나 구명환의 저면부로 연장되고 구명환을 탑재함으로써 구명환을 지지하고, 제2상태에서 지지아암이 수축되어 구명환이 홀딩수단에서 분리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기술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십자형 링크부재에 연결된 지지아암을 이동시켜 구명환의 오목부에 맞물리거나 또는 오목부에서 이탈되어 구명환이 조난자를 투하시켜 익사사고를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구명환을 고정하거나 또는 구명환을 투하시키기 위한 모터, 십자형 링크부재, 링크부재에 연결되는 지지아암 및 모터, 링크부재, 지지아암이 설치되는 수평프레임 등이 구명환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기 때문에 무게가 많이 나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배터리의 소모량이 많아 드론이 비행하는 거리가 짧은 것은 물론 체공 시간이 길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로우터를 돌려 추력 및 양력이 크게 발생하는 드론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드론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드론의 크기가 커지면 사용자가 드론을 관리하기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5401호(2015.07.08.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의 침몰이나 해일, 이안류 기타의 사유로 사람이 물에 빠진 경우에 신속하게 구명환이나 기타의 구명장비를 사고 현장으로 운송하여 투하함으로서 조난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리모트컨트롤러와 통신에 의해 수동비행 또는 자동항법에 의한 자동비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회전날개와 이를 회전시키는 로터를 구비하는 드론과; 드론결합봉을 통해 드론 하부에 세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는 복수의 구명환 중 하나의 구명환을 투하하면 다른 구명환을 홀딩시킬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이 일어나는 복수의 작동봉을 가지며 본체에 설치되는 홀딩 및 투하부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홀딩 및 투하부의 작동봉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본체에 설치되어 홀딩 및 투하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본체는, 두개의 수직패널을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중앙 부분에 고정패널을 설치하여 H자 형상이 120°의 간격을 두고 세방향으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체결편과;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편에 고정하는 다수의 커버와; 베어링이 설치되는 베어링결합돌기를 가지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홀딩 및 투하부는, 고정공을 가지며 복수의 수직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편과; 가이드공을 가지며 고정편과 고정편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관과; 구명환을 투하하거나 또는 홀딩할 수 있도록 제1체결편을 갖는 제1작동봉과 제2체결편을 갖는 제2작동봉으로 이루어져 가이드관과 가이드관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작동봉과; 작동봉이 초기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고정편과 체결편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동부는, 상부판의 상부에 인입공을 가지며 설치되는 브래킷과; 구동력을 홀딩 및 투하부에 전달하여 구명환을 투하하거나 또는 홀딩할 수 있도록 브래킷 상부에 감속기를 가지며 설치되는 모터와; 내측이 다단으로 이루어져 감속기의 감속기축과 회전봉에 결합되는 결합관과; 상부베어링과 하부베어링 사이에 설치되어 결합관에 일측이 결합되고 일측에 나사선을 가지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봉과; 제1작동봉과 제2작동봉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어 구명환을 투하하거나 홀딩시킬 수 있도록 회전봉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선 결합되는 승하강볼과; 승하강볼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장공을 가지며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승하강볼은 작동봉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끝단에서 중앙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경사면과, 복수의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져 회전봉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작동봉과 제2작동봉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구명환을 홀딩하거나 또는 투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승하강볼은, 회전봉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1작동봉과 제2작동봉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박의 침몰이나 해일, 이안류 기타의 사유로 사람이 물에 빠진 경우에 신속하게 구명환이나 기타의 구명장비를 사고 현장으로 운송하여 투하하므로서 조난자를 구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명환을 고정하거나 또는 구명환을 투하시키기 위한 구성이 종래의 구성보다 간단하게 구성되므로서 무게가 가벼워져 비행하는 체공시간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론의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로우터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의 추력 및 양력이 커지므로 드론의 크기가 크게 구성된 선행기술의 드론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사용자가 드론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의 본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의 홀딩 및 투하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의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에 의해 구명환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결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에서 구명환을 투하하기 위해 작동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부분 절결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에서 구명환이 투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의 본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의 홀딩 및 투하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의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에 의해 구명환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결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에서 구명환을 투하하기 위해 작동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부분 절결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에서 구명환이 투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는 리모트컨트롤러와 통신에 의해 수동비행 또는 자동항법에 의한 자동비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회전날개와 이를 회전시키는 로터를 구비하는 드론(10)과, 드론결합봉(110)을 통해 드론(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세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구명환(20) 중 하나의 구명환(20)을 투하하면 다른 구명환(20)을 홀딩시킬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되는 복수의 작동봉(230)을 가지며 본체(100)에 설치되는 홀딩 및 투하부(200)와, 모터(32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홀딩 및 투하부(200)의 작동봉(23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되도록 본체(100)에 설치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두개의 수직패널(121)을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중앙 부분에 고정패널(122)을 설치하여 H자 형상이 120°의 간격을 두고 세방향으로 프레임(12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20)에 다수의 커버(1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편(130)이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커버(140)는 체결편(130)의 일측에 밀착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12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판(150) 및 하부판(160)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판(150)과 하부판(160)에는 베어링(151-2, 161-2)이 설치되는 상부베어링결합돌기(151) 및 하부베어링결합돌기(161)가 구성된다.
상기 상부베어링결합돌기(151) 및 하부베어링결합돌기(161)에는 베어링이 결합되는 상부베어링홈(151-1)과 하부베어링홈(16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베어링홈(151-1)은 상부판(150)에 형성된 중공홀(152)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회전봉(350)의 상부가 중공홀(152)로 돌출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패널(121)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와 같이 형성되고, 고정패널은 '∩'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150)과 하부판(160)은 세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부메랑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어 H자 형상으로 결합된 프레임(120)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베어링결합돌기(151)와 하부베어링결합돌기(161)에는 베어링(151-2, 161-2)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151-2, 161-2)에 의해 작동부(300)의 회전봉(350)은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 및 투하부(200)는 고정편(210)과, 가이드관(220)과, 작동봉(230)과 스프링(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편(210)은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120)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편(210)에는 고정공(211)이 형성되어 가이드관(2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관(220)은 작동봉(230)이 이동 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각각의 고정편(21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220)에는 작동봉(2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공(221)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봉(230)은 제1작동봉(231)과 제2작동봉(23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작동봉(231)과 제2작동봉(233)은 작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어 구명환(20)을 투하하거나 또는 홀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작동봉(231)은 작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구명환(20)을 투하하거나 또는 홀딩할 수 있도록 고정편(210)에 설치되는 가이드관(2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작동봉(231)에는 제1체결공(232-1)을 갖는 제1체결편(232)이 설치된다.
상기 제2작동봉(233)은 작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구명환(20)을 투하하거나 또는 홀딩할 수 있도록 고정편(210)에 설치되는 가이드관(2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작동봉(233)에는 제2체결공(234-1)을 갖는 제2체결편(234)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240)은 작동봉(230)이 초기상태, 즉 작동봉(230)에 의해 구명환이 홀딩되지 않고 투하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편(210) 및 제1체결편(232)과 고정편(210) 및 제2체결편(234)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작동부(300)는 본체(100)의 상부판(150)의 상부에 인입공(311)이 형성된 브래킷(310)이 설치되며, 홀딩 및 투하부(200)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구명환(20)을 투하하거나 또는 홀딩할 수 있도록 감속기(330)가 설치된 모터(320)가 브래킷(310) 상부에 설치되고, 감속기(33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회전봉(35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내측이 다단으로 이루어져 감속기(330)의 감속기축과 회전봉(350)에 결합되는 결합관(340)이 설치되며, 일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모터(320)의 구동력에 의해 제자리 회전하는 회전봉(350)이 베어링(151-2, 161-2) 사이에 위치되어 상단이 결합관(340)에 결합되고, 상기 제1작동봉(231)과 제2작동봉(233)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어 구명환(20)을 투하하거나 홀딩시킬 수 있도록 회전봉(35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승하강볼(360)이 나선 결합되며, 승하강볼(360)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장공(171)을 가지며 본체(100) 내측에 가이드패널(17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볼(360)에는 일측방향으로 가이드돌기(363)가 형성되어 가이드패널(170)에 형성된 장공(171)에 결합해 회전봉(350)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승하강볼(360)은 회전봉(35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1작동봉(231)과 제2작동봉(233)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볼(360)은 작동봉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끝단에서 중앙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경사면(361)과, 복수의 경사면(361)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면(362)으로 이루어져 회전봉(35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작동봉(231)과 제2작동봉(233)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구명환(20)을 홀딩하거나 또는 투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로 조난자를 구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선박의 침몰이나 해일, 이안류 기타의 사유로 물에 빠진 조난자를 구하기 위하여 수동방식 또는 자동방식에 의해 구명환(20)이 설치된 드론(10)을 비행시켜 조난자가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드론(10)이 조난자가 있는 위치에서 리모트컨트롤러를 통해 드론(10)으로 신호를 인가하면, 드론(10)에서는 모터(32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해 구동시켜 감속기(330)를 통해 회전이 감소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봉(350)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봉(350)은 회전하면서 나사 결합된 승하강볼(360)을 드론(1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회전하는 회전봉(350)에 의해 승하강볼(360)은 같이 연동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승하강볼(36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63)와 가이드패널(170)에 의해 회전을 중지된 상태에서 회전봉(350)이 회전하면, 회전봉(350)과 승하강볼(360)에 형성된 나사에 의해 승하강볼(360)은 상승한다.
상기 승하강볼(360)이 상승하면, 승하강볼(360)에 형성된 경사면(361)을 따라 제2작동봉(233)이 이동한다. 상기 제2작동봉(233)은 승하강볼(36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면서 평탄면(362)이 형성된 위치로 이동되며, 이때 고정편(210)과 제2체결편(234)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240)은 이완된다.
그리고 제1작동봉(231)도 승하강볼(360)에 의해 이동한다. 상기 제1작동봉(231)은 평탄면(362)에서 경사면(361)이 형성된 쪽으로 이동되고, 이때 고정편(210)과 제1체결편(232)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240)은 수축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승하강볼(360)의 이동에 의해 제1작동봉(231)과 제2작동봉(233)의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작동봉(231)에 홀딩된 구명환(20)은 홀딩 상태가 해제되어 조난자가 위치한 곳으로 투하된다.
상기 홀딩 및 투하부(200)에 의해 홀딩된 구명환(20)이 투하되면, 투하되는 구명환(20)의 상부에 위치한 다른 구명환(20)은 제2작동봉(233)에 의해 홀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2작동봉(233)에 홀딩된 구명환(20)을 최하단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회전봉(350)을 역회전시켜 승하강볼(360)이 최초에 위치한 곳으로 이동시키면 제1작동봉(231)은 구명환(20)이 위치되는 곳으로 이동하고, 제2작동봉(233)은 홀딩된 구명환(2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봉(35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연속적하여 다수개의 구명환(20)을 투하하기 위해서는 회전봉(350)의 제일 하단에 위치한 승하강볼(360)을 제2작동봉(233)이 위치한 곳의 상부쪽으로 위치되게 하여 다수의 구명환(20)이 동시에 투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난자의 수에 따라 구명환(20)을 하나씩 또는 다수를 한꺼번에 투하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5401호(2015.07.08. 공고)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의 구성보다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드론(10)의 크기가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드론(10)의 체공시간이 늘어나 다수의 조난자에게 구명환(20)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투하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과 같은 크기의 드론(10)을 사용하는 경우 구명환(20)의 개수를 더 많이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조난자를 구할 수 있는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구명환을 투하할 시에 각각의 구명환을 투하하기 위한 모터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의 소모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320)를 이용하여 다수의 구명환(20)을 한꺼번에 투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배터리 전원이 덜 소모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드론 20: 구명환
100: 본체 110: 드론결합봉
111: 결합편 120: 프레임
121: 수직패널 122: 고정패널
130: 체결편 140: 커버
150: 상부판 151: 상부베어링결합돌기
151-1: 상부베어링홈 151-2: 베어링
152: 중공홀 160: 하부판
161: 하부베어링결합돌기 161-1: 하부베어링홈
161-2: 베어링 170: 가이드패널
171: 장공 200: 홀딩 및 투하부
210: 고정편 211: 고정공
220: 가이드관 221: 가이드공
230: 작동봉 231: 제1작동봉
232: 제1체결편 232-1: 제1체결공
233: 제2작동봉 234: 제2체결편
234-1: 제2체결공 240: 스프링
300: 작동부 310: 브래킷
311: 인입공 320: 모터
330: 감속기 340: 결합관
350: 회전봉 360: 승하강볼
361: 경사면 362: 평탄면
363: 가이드돌기

Claims (6)

  1. 리모트컨트롤러와 통신에 의해 수동비행 또는 자동항법에 의한 자동비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회전날개와 이를 회전시키는 로터를 구비하는 드론(10)과;
    드론결합봉(110)을 통해 드론(10) 하부에 연결되어 세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구명환(20) 중 하나의 구명환(20)을 투하하면 다른 구명환(20)을 홀딩시킬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이 일어나는 복수의 작동봉(230)을 가지며 본체(100)에 설치되는 홀딩 및 투하부(200)와;
    모터(32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홀딩 및 투하부(200)의 작동봉(23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본체(100)에 설치되는 작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홀딩 및 투하부(200)는, 고정공(211)을 가지며 복수의 수직프레임(120)에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편(210)과; 가이드공(221)을 가지며 각각의 고정편(210)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관(220)과; 구명환(20)을 투하하거나 또는 홀딩할 수 있도록 제1체결편(232)을 갖는 제1작동봉(231)과 제2체결편(234)을 갖는 제2작동봉(233)으로 이루어져 가이드관(220)과 가이드관(22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작동봉(230)과; 작동봉(230)이 초기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고정편(210)과 체결편(130)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프링(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두개의 수직패널(121)을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중앙 부분에 고정패널(122)을 설치하여 H자 형상이 120°의 간격을 두고 세방향으로 구성되는 프레임(120)과;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복수의 체결편(130)과;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편(130)에 고정하는 다수의 커버(140)와;
    베어링(151-2, 161-2)이 설치되는 상부베어링결합돌기(151)와 하부베어링결합돌기(161)를 가지며 프레임(1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판(150) 및 하부판(1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00)는,
    상부판(150)의 상부에 인입공(311)을 가지며 설치되는 브래킷(310)과;
    구동력을 홀딩 및 투하부에 전달하여 구명환(20)을 투하하거나 또는 홀딩할 수 있도록 브래킷(310)의 상부에 감속기(330)를 가지며 설치되는 모터(320)와;
    내측이 다단으로 이루어져 감속기(330)의 감속기축과 회전봉(350)에 결합되는 결합관(340)과;
    베어링(151-2, 161-2) 사이에 설치되어 결합관(340)에 일측이 결합되고 일측에 나사선을 가지며 모터(32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봉(350)과;
    제1작동봉(231)과 제2작동봉(233)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어 구명환(20)을 투하하거나 홀딩시킬 수 있도록 회전봉(35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선 결합되는 승하강볼(360)과;
    승하강볼(360)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장공(171)을 가지며 본체(100)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패널(1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볼(360)은
    작동봉(23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끝단에서 중앙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경사면(361)과, 복수의 경사면(361)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져 회전봉(35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작동봉(231)과 제2작동봉(233)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구명환(20)을 홀딩하거나 또는 투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볼(360)은,
    회전봉(35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1작동봉(231)과 제2작동봉(233)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
KR1020180013515A 2018-02-02 2018-02-02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 KR102003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515A KR102003957B1 (ko) 2018-02-02 2018-02-02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515A KR102003957B1 (ko) 2018-02-02 2018-02-02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957B1 true KR102003957B1 (ko) 2019-07-25

Family

ID=6746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515A KR102003957B1 (ko) 2018-02-02 2018-02-02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9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23565A1 (de) * 2019-09-03 2021-03-04 Nickel Holding Gmbh Rettungsdrohne, Verfahren und System zur Rettung ertrinkender Personen
KR20220142307A (ko) 2021-04-14 2022-10-21 정종찬 구조용 지게 드론
KR20230102020A (ko) * 2021-12-29 2023-07-07 최춘화 다기능 소방드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01B1 (ko) 2015-04-01 2015-07-08 오인선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
CN204979242U (zh) * 2015-07-02 2016-01-20 润泰救援装备科技河北有限公司 投放救生圈的无人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01B1 (ko) 2015-04-01 2015-07-08 오인선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
CN204979242U (zh) * 2015-07-02 2016-01-20 润泰救援装备科技河北有限公司 投放救生圈的无人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23565A1 (de) * 2019-09-03 2021-03-04 Nickel Holding Gmbh Rettungsdrohne, Verfahren und System zur Rettung ertrinkender Personen
DE102019123565B4 (de) * 2019-09-03 2021-05-20 Nickel Holding Gmbh Rettungsdrohne, Verfahren und System zur Rettung ertrinkender Personen
KR20220142307A (ko) 2021-04-14 2022-10-21 정종찬 구조용 지게 드론
KR20230102020A (ko) * 2021-12-29 2023-07-07 최춘화 다기능 소방드론
KR102597610B1 (ko) * 2021-12-29 2023-11-02 최춘화 다기능 소방드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957B1 (ko) 드론용 해상 인명구조장치
KR101535401B1 (ko)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
KR200474119Y1 (ko) 익수자 구조용 무인비행기
KR101522516B1 (ko) 무인비행기를 이용한 인명구조장치
PT107141A (pt) Veículo aquático autopropulsionado
KR102081618B1 (ko) 수상 인명 구조장치
KR102080263B1 (ko) 해상구조드론
KR20160048737A (ko) 간편운전기능을 가지는 인명구조, 환경감시용 드론
CN108860509B (zh) 一种水上救援机器人
KR20150069571A (ko) 드론을 이용한 익수자 구조 방법
CN112598880B (zh) 海上平台人员落水智能化预警、监测及应急救援系统
CN114132459A (zh) 可控的潜水自航u型动力救生圈及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210134148A (ko) 드론 격납 시스템
CN111806656A (zh) 一种海上通信救生设备的应用方法
CN207029499U (zh) 一种可遥控水上救援装置的食物给予结构
KR101350017B1 (ko) 수중 관람 및 체험용 유인 잠수정
CN201721610U (zh) 远程操控水上救援艇
CN219115734U (zh) 一种用于河面救援的无人机
CN115610690A (zh) 一种无人机机场、飞行救生系统、方法以及用途
CN112758328B (zh) 一种具有救援功能的无人机
CN113271438A (zh) 一种海水浴场安全监管系统
CN210011899U (zh) 具有太阳能供电系统的无人机空间站以及巡线无人机系统
KR102572063B1 (ko)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CN113401316A (zh) 一种侦查定位救生一体无人机及其救援方法
CN112678168A (zh) 一种用于海上救援的无人驾驶飞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