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585B1 - 이동식 그물망을 이용한 수생생물의 이동경로 변경에 의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그물망을 이용한 수생생물의 이동경로 변경에 의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585B1
KR102002585B1 KR1020170134627A KR20170134627A KR102002585B1 KR 102002585 B1 KR102002585 B1 KR 102002585B1 KR 1020170134627 A KR1020170134627 A KR 1020170134627A KR 20170134627 A KR20170134627 A KR 20170134627A KR 102002585 B1 KR102002585 B1 KR 102002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aquatic
aquatic organisms
protection poin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2941A (ko
Inventor
유영준
정연주
박민수
송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34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5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06Arresting, diverting or chasing away fish in water-courses or water intake ducts, seas or lakes, e.g. fish barrages, deterrent devices ; Devices for cleaning fish 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생생물의 유입이나 접근을 막아서 보호해야하는 보호지점(200)의 전방에 그물(1)을 설치하되, 그물(1)이 횡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그물의 전방에 수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물에 접촉한 수생생물이 그물의 움직임을 따라서 보호지점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이동하게 만들므로써, 수생생물이 보호지점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수생생물이 그물 망눈에 끼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그물의 폐색(閉塞) 및 그로 인한 그물의 손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이동식 그물망을 이용한 수생생물의 이동경로 변경에 의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그물망을 이용한 수생생물의 이동경로 변경에 의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Apparatus for Deterring Fish from Approaching}
본 발명은 취수구, 해수욕장, 양식장 등과 같은 보호지점에 수생(水生)생물이 접근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생생물의 유입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발전소나 공장 등으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취수구, 해수욕장, 양식장 등과 같이 수생생물(특히, 해파리)이 유입되어서는 안 되는 장소 즉, 수생생물의 유입이나 접근으로부터의 보호가 필요한 지점(이하, "보호지점"이라고 약칭함)에 설치되며, 그물이 횡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그물의 전방에 횡방향으로의 수류(水流)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물에 접촉한 수생생물이 그물의 움직임을 따라서 보호지점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이동하게 만들므로써, 수생생물이 보호지점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기존 고정식 그물 설치방법의 단점인 수생생물이 그물 망눈에 끼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그물의 폐색(閉塞) 및 그로 인한 그물의 손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이동식 그물망을 이용한 수생생물의 이동경로 변경에 의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공장 등의 시설물에서는 필요한 용수를 바다 또는 하천에서 취수하게 되는데, 용수를 취수하는 과정에서 취수구(取水口)가 수생생물에 의해 막혀서 정상적인 취수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수생생물이 취수된 용수와 함께 시설물로 유입되어 시설물 내에서의 용수 흐름을 저해하고 시설물 자체에 손상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의 발생이 종종 보고되고 있다. 특히,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수생생물로서 대표적인 것은 해파리인데, 해파리는 취수구뿐만 아니라, 해수욕장, 근해 어장, 양식장 등에도 유입되어 입욕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양식장 물고기를 폐사시키고, 어장을 황폐화시키는 등의 많은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수생생물, 특히 해파리가 보호지점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보호지점에서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는 보호지점의 전방에 그물을 설치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2814호에는 원자력 발전소의 취수구 전방에 해양생물 유입방지용 그물망을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그물을 설치할 경우, 그물 망눈에 수생생물이 끼이면서 그물 망눈이 막히게 되는 폐색(閉塞)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물 망눈이 폐색되면 그물을 통과하여 보호지점으로 흐르게 되는 물의 흐름에도 지장이 생기게 되는 형상 즉, "수류형성 방해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수류형성 방해현상으로 인하여 취수구에서는 취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고, 양식장의 경우에는 신선한 물이 양식장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그물이 폐색된 상태에서 그물을 향해 인위적인 또는 자연적인 수류가 발생하였을 때, 그물에 걸려 있는 수생생물의 무게로 인하여 그물이 찢어지는 등의 그물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그물에 걸린 수생생물이 부패하게 되면 심한 악취와 수질 오염이 유발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2814호(2000. 03. 15.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물을 이루어져서 보호지점에 설치되어 물은 통과시킬 수 있는 상태에서 해파리 등의 수생생물이 접근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수생생물이 그물 망눈에 끼어서 폐색이 일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그물 망눈의 폐색으로 인한 수류형성 방해현상, 그물손상 현상, 수생생물의 부패로 인한 수질오염 현상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생생물의 유입이나 접근을 막아서 보호해야하는 보호지점(200)의 전방에서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회전가능한 형태로 수중에 직립 설치되는 한 쌍의 그물용 회전축(2); 및 한 쌍의 그물용 회전축(2)에 양단이 결합된 상태로 보호지점(200)의 전방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그물(1)을 포함하는데; 그물용 회전축(2)의 회전에 의해, 그물(1)이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생생물이 그물(1)에 닿거나 또는 그물(1)에 접근하게 되면, 그물(1)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수생생물도 그물(1)과 함께 횡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보호지점으로부터 벗어나게 됨으로써, 수생생물이 그물을 통과하여 보호지점(2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회전받침(21)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축(3)을 해저 지반에 고정된 상태로 연직하게 설치되고, 그물용 회전축(2)의 연직방향 양단이 각각 회전받침(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그물용 회전축(2)은 회전가능한 형태로 직립 설치되며; 2개의 그물용 회전축(2) 사이의 간격에는, 그물(1)이 밀착 지지된 상태로 움직이게 되어 그물(1)이 보호지점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처지거나 변형되지 않고 연직하게 세워진 채로 횡방향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그물 지지말뚝(5)이 연직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그물용 회전축(2)에 이웃하여 브러쉬(41)가 설치되어 있어서; 그물용 회전축(2)이 회전하여 그물(1)이 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생생물이 그물용 회전축(2)으로 접근하게 되면, 브러쉬(41)가 그물(1)의 그물면을 쓸어내어서, 그물(1)에 끼어있거나 엉켜있는 이물질 또는 그물(1)에 근접해 있는 수생생물이 털어내지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브러쉬 축(4)이 그물용 회전축(2)에 이웃하여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브러쉬(41)는 브러쉬 축(4)의 외면에 돌출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회전받침(21)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축(3)을 해저 지반에 고정된 상태로 연직하게 설치되고, 그물용 회전축(2)의 연직방향 양단이 각각 회전받침(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그물용 회전축(2)은 회전가능한 형태로 직립 설치되며; 브러쉬 축(4)의 연직방향 양단도 각각 회전받침(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브러쉬 축(4)이 회전하여 브러쉬(41)가 그물(1)의 그물면을 쓸어내어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에서, 그물(1)이 무한궤도의 형태가 되도록, 그물(1)의 횡방향 양단이 각각 그물용 회전축(2)에 감겨있어서, 2개의 그물면이 마주하여 포개져 있게 되며; 2개의 그물용 회전축(2)이 지속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그물(1)에서 포개져 있는 2개의 그물면이 각각 서로 반대쪽 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2개의 그물용 회전축(2)의 회전 방향을 반복적으로 전환함으로써 그물(1)이 횡방향 양측으로 번갈아가면서 이동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그물용 회전축(2)의 각각에 그물(1)의 횡방향 양단이 고정되어 권취됨으로써, 일측 그물용 회전축(2)이 그물(1)을 감으면 타측 그물용 회전축(2)에서는 그물(1)이 풀리면서 그물(1)이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과정이 양측 그물용 회전축(2)에서 번갈아가면서 반복하여 진행됨으로써 그물(1)이 횡방향 양측으로 반복적으로 번갈아가면서 이동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서는 그물용 회전축(2)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감금용 그물(6)이 더 설치되어, 그물(1)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한 수생생물이 그물용 회전축(2)에 주변에 모인 상태에서 주변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감금용 그물(6)에 의해 가두어져 있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생생물이 보호지점의 전방에 쳐져 있는 그물에 닿거나 그물에 매우 근접하게 되면 그물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보호지점으로부터 벗어나게 됨으로써, 수생생물이 그물을 통과하여 보호지점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수생생물로 인하여 그물 망눈이 폐색되는 것을 예방하여 수류형성 방해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취수구의 경우에는 원활한 취수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식장에서는 신선한 물의 지속적이고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그물에 걸려 있는 수생생물의 무게로 인하여 그물이 찢어지는 등의 그물 손상 유발을 예방할 수 있고 그물에 걸린 수생생물의 부패로 인한 악취 발생 및 수질 오염 발생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생생물로서 해파리가 보호지점으로 접근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해파리의 찢어짐이나 파쇄가 최소화된 대체적으로 온전한 상태를 유지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해파리의 파쇄된 촉수의 유입으로 인하여 해수욕장 등에서의 입욕자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는 그물을 이용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와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이 저렴하며, 따라서 임시적으로 설치하여 일정기간 사용 후 철거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기에도 적합하고, 그물의 횡방향 길이 및 설치형태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넓은 면적의 보호지점에 대해서도 매우 우수한 수생생물 접근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종방향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그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그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물 망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형태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브러쉬에 의해 그물에 걸린 수생생물이 털어내지는 것을 보여주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감금용 그물을 더 구비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원 C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가 수중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방향의 정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다양한 형태의 보호지점에 본 발명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를 보호지점 방향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먼 바다에서 보호지점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기재하고, 이와 직교하는 방향 즉, 후술하는 것처럼 본 발명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의 그물(1)이 보호지점을 가로막도록 설치되는 방향을 "횡방향"이라고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는, 보호지점의 전방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보호지점을 가로 막도록 설치되는 그물(1)을 포함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그물(net)(1)은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그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그물(1)에 형성된 그물 망눈이 횡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4에는 그물 망눈이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 즉, 그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4에서 점선은 그물 망눈이 횡방향으로 움직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실선은 그물 망눈이 화살표를 따라 횡방향으로 움직인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그물 망눈이 연속적으로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를 것을 본 명세서에서는 "그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한다" 또는 "그물이 횡방향으로 움직인다"라고 표현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보호지점 전방에는 한 쌍의 그물용 회전축(2)이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직하게 세워져서 설치된다. 그물용 회전축(2)의 하단은 해저면에 박혀서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그물용 회전축(2)에는 각각 그물(1)의 횡방향 양단이 감겨 있다. 이 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그물(1)이 무한궤도의 형태가 되도록, 그물(1)의 횡방향 양단이 각각 그물용 회전축(2)에 감겨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구비된 그물(1)은 2개의 그물면이 마주하여 포개져 있게 되는 구성을 가지게 되고, 포개져 있는 2개의 그물면의 횡방향 양단은 그물용 회전축(2)을 각각 감으면서 연속됨으로써 폐합되어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그물(1) 및 그물용 회전축(2)의 구성에서는 2개의 그물용 회전축(2)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무한궤도 형태의 그물(1)에서 포개져 있는 2개의 그물면이 각각 서로 반대쪽 횡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물면 각각에 형성된 그물 망눈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횡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그물(1)이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2개의 그물면을 가지고 있게 되고, 2개의 그물용 회전축(2)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2개의 그물면은 각각 서로 반대쪽의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2개의 그물용 회전축(2)을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킴으로써 그물(1)이 횡방향의 한쪽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할 수도 있지만, 2개의 그물용 회전축(2)의 회전 방향을 수시로 전환함으로써 그물(1)이 횡방향 양측으로 번갈아가면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즉, 그물(1)이 횡방향 일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한 후에는 그물용 회전축(2)의 회전방향을 반대쪽으로 전환하여, 그물(1)이 횡방향 타측으로 이동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그물(1)의 횡방향 이동방향 전환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그물용 회전축(2)이 회전가능한 형태로 수중에 직립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 쌍의 지지축(3)을 해저 지반에 고정된 상태로 연직하게 설치하고, 각각의 그물용 회전축(2)을 지지축(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31은 지지축(3)의 연직상태를 지지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계류케이블(31)이고, 부재번호 21은 그물용 회전축(2)의 연직방향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지지축(3)에 구비되는 회전받침(21)이며, 부재번호 22는 그물용 회전축(2)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회전모터(22)이다. 이와 같이 지지축(3)을 이용하여 그물용 회전축(2)을 설치하게 되면, 그물용 회전축(2)이 애초의 설치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회전작동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게 되고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보호지점의 횡방향 폭에 따라서는 그물(1)의 횡방향 연장길이가 길어질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그물용 회전축(2) 사이의 간격에 그물 지지말뚝(5)을 연직하게 설치하여 그물(1)이 그물 지지말뚝(5)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그물(1)이 보호지점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처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직하게 세워진 채로 횡방향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물 지지말뚝(5)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그물 지지말뚝(5)의 표면에, 그물(1)의 횡방향 선이 위치할 수 있는 오목홈을 형성하거나 보조걸림부재를 설치해두면, 그물(1)의 횡방향 선이 오목홈 또는 보조걸림부재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물(1)이 횡방향 이동하게 되므로, 그물(1)이 연직하향으로 처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에서는 그물(1)에 의해 수생생물 특히, 해파리가 보호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차단될 뿐만 아니라, 그물(1)의 횡방향 이동에 의해 수생생물의 진행방향이 변환되는 작동이 일어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수생생물"이라는 용어는 해파리 등의 살아있는 생물뿐만 아니라, 쓰레기 등과 같은 무생물을 포함하여 보호지점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모든 대상물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도 5에는 그물(1)의 횡방향 이동이 진행될 때 그물(1)에 접근한 수생생물의 진행방향 변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물 망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상태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형태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점선은 수생생물(200)이 그물(1)에 접근하여 닿은 상태를 나타내며, 실선은 수생생물이 그물(1)의 횡방향 이동에 맞추어서 함께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해파리 등의 수생생물(200)이 자발적으로 또는 파랑 등의 물 흐름에 의해 보호지점을 향하여 접근하여 그물(1)에 닿게 되는데, 만일 그물(1)이 전혀 움직이지 않아서 그물 망눈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면, 수생생물은 그물(1)에 닿은 위치를 고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보호지점을 향하여 물 흐름이 가압에 의해 수생생물이 그물 망눈을 통과하거나 또는 그물 망눈에 끼이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에서는 그물(1)이 횡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수생생물(200)이 그물(1)에 닿았을 때, 그물(1)의 움직임을 따라 수생생물도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수생생물은 그물(1)에 닿은 위치를 고수하지 못하고 그 위치가 변동되며, 더 나아가 그물(1)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호지점을 향하여 종방향의 물 흐름이 생겨서 그에 따른 압력이 수생생물에 작용하더라도, 수생생물은 그물 망눈을 통과하거나 그물 망눈에 끼이지 못하고, 부유하여 유동하면서 그물(1)의 이동방향에 맞추어서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그물(1)이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물(1) 자체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그물면의 전방에서는 횡방향으로의 물 흐름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횡방향으로의 물 흐름 즉, 그물 전방의 횡방향 수류(水流)로 인하여 그물(1)에 접근하되 아직 그물(1)에 닿지 않은 수생생물 역시 그 진행방향이 바뀌게 되어 그물(1)과 마찬가지로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수생생물의 횡방향 이동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면서 수생생물은 보호지점으로 벗어난 위치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에서는 그물(1)의 지속적인 횡방향 이동에 의해 그물(1)에 닿거나 그물(1)에 매우 근접한 수생생물은, 그물(1)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보호지점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수생생물이 그물을 통과하여 보호지점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수생생물이 그물 망눈에 끼어서 그물 망눈이 폐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수생생물은 그물 망눈에 끼이지 않고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물을 이용한 간단한 구성을 가지도록 장치를 설치하면서도, 그물 망눈의 폐색으로 인한 보호지점으로의 수류 형성 방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취수구의 경우에는 원활한 취수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식장에서는 신선한 물의 지속적이고 원활한 공급 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그물 망눈의 폐색을 방지함으로써, 그물에 걸려 있는 수생생물의 무게로 인하여 그물이 찢어지는 등의 그물 손상 유발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물에 걸린 수생생물의 부패로 인한 악취 발생 및 수질 오염 발생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수생생물로서 해파리의 경우에는, 그물(1)의 그물 망눈을 무리하게 통과하게 되거나 또는 통과하는 과정에서 그물 망눈에 걸려서 쉽게 찢어지거나 파쇄될 수 있는데, 이렇게 찢겨지거나 파쇄된 해파리의 촉수는 부유하여 해수욕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입욕자들에게 큰 해를 입힐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해파리가 접근해오더라도 위와 같이 그물(1)의 횡방향 이동 작동에 따라 효율적으로 차단하면서도, 대체적으로 온전한 상태를 유지하게 만들어서 보호지점을 벗어난 위치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해파리의 찢어짐이나 파쇄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해파리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해파리의 파쇄된 촉수의 유입으로 인한 피해로부터 입욕자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에서 그물(1)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증가시키게 되면, 그물 망눈의 크기 보다 더 작은 수생생물이 그물(1)을 통과하는 것을 매우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즉, 그물 망눈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더라도 그물(1)의 횡방향 이동 속도의 조절을 통해서, 보호지점으로 유입되는 수생생물의 종류와 크기에 맞추어서 효율적으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를 운영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작은 크기의 해파리 등의 수생생물이 유입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그물(1)을 이용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와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이 저렴하다. 따라서 임시적으로 설치하여 일정기간 사용 후 철거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기에도 매우 적합하다. 또한 그물(1)의 횡방향 길이 및 설치형태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넓은 면적의 보호지점에 대해서도 매우 우수한 수생생물 접근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위와 같이 수생생물이 그물(1)의 이동과 함께 움직이는 과정에서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그물 망눈에 엉켜있거나 걸려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수생생물이 그물면에 매우 근접하여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대비하여 그물 망눈의 이물질, 수생생물 등을 털어내어 쉽게 제거하기 위한 구성(브러쉬)이 본 발명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는 그물(1)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브러쉬를 더 구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에 대한 도 7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브러쉬(41)에 의해 그물(1)의 그물면에 존재하는 수생생물(200)이 털어내지는 것을 보여주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에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그물용 회전축(2)에 이웃하여 브러쉬(41)가 구비되어 있는데, 특히,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브러쉬 축(4)의 표면에 브러쉬(41)가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도 9 참조), 이러한 브러쉬 축(4)이 그물용 회전축(2)에 이웃하여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그물용 회전축(2)에 그물(1)이 감겨지면서 브러쉬(41)가 그물(1)의 그물면을 쓸어주게 되고, 그에 따라 그물(1)에 끼어있거나 엉켜있는 이물질 또는 그물(1)에 근접해 있는 수생생물을 브러쉬(41)가 털어내어 그물(1)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브러쉬 축(4)과 브러쉬(41)를 구비함으로써, 그물(1)의 그물 망눈을 지속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그물 망눈이 이물질의 걸림으로 인하여 폐색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특히, 수생생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그물(1)과 함께 그물용 회전축(2)으로 이동하였을 때, 브러쉬(41)는 수생생물을 그물(1)로부터 멀어지게 만들게 되어 수생생물의 근접 자체를 막아주는 효과도 발휘된다.
본 발명에서 브러쉬 축(4)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지지축(3)에 구비된 회전받침(21)에 브러쉬 회전축(4)의 연직방향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브러쉬 회전축(4)이 수중에 직립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브러쉬 회전축(4)의 상단에는 브러쉬 회전축(4)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회전모터(42)가 구비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에서 기타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브러쉬 축(4)은 반드시 회전가능한 구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 또한 브러쉬(41)는 그물용 회전축(2)의 인근에 위치하면 충분하므로, 위와 같은 브러쉬 축(4)을 이용한 방식이 아닌 또다른 방식 즉, 그물용 회전축(2)에 별도의 프레임을 설치하고 해당 프레임에 브러쉬(41)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그물(1)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한 수생생물 및 브러쉬(41)에 의해 그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결국 그물용 회전축(2)과 브러쉬 축(4) 주변에 모여 있게 된다. 이렇게 모여 있는 수생생물들이 주변으로 확산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그물용 회전축(2)과 브러쉬 축(4)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감금용 그물(6)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0에는 감금용 그물(6)을 더 구비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에 도시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10 및 도 11에서는 계류케이블(31)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그물용 회전축(2)과 브러쉬 축(4)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감금용 그물(6)이 더 설치된 경우, 그물(1)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한 수생생물(200) 및 브러쉬(41)에 의해 그물에서 분리된 수생생물의 파편이나 이물질이 그물용 회전축(2)과 브러쉬 축(4) 주변에 모인 상태에서 감금용 그물(6)에 의해 가두어져 있게 되어,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감금용 그물(6)에 모여 있는 수생생물이나 그 파편, 또는 이물질은 관리자가 접근하여 떠내어 제거하거나 또는 감금용 그물(6)로 수생생물 등을 감싼 상태로 감금용 그물(6) 자체를 수거하여 청소한 후 재설치할 수 있다. 감금용 그물(6)을 그물용 회전축(2)과 브러쉬 축(4)의 주변에 설치하는 방법은, 종전의 정치망(定置網)을 설치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금용 그물(6)의 상단에 부표를 매달고, 감금용 그물(6)의 하단에 무게추를 매달아서 설치하고 계류선을 이용하여 그 위치를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감금용 그물 설치용 말뚝을 감금용 그물(6)에 접한 상태로 연직하게 고정 설치함으로써 감금용 그물(6)을 고정 설치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브러쉬 축(4)이 구비되지 않은 상기한 제1실시예에도 감금용 그물(6)이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에서 그물용 회전축(2)을 이용하여 그물(1)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있어서, 그물(1)을 무한궤도 형태로 그물용 회전축(2)에 결합하는 대신에, 그물(1)의 횡방향 양단을 양측 그물용 회전축(2) 각각에 고정 결합하고 그물용 회전축(2)에 그물(1)을 권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2에는 그물의 일측 권취 방식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 및 도 14에는 각각 도 12의 원 C 및 원 D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도 12에 도시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에 대한 도 12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도 감금용 그물(6)이 구비될 수 있지만 편의상 도 12 내지 도 15에서는 감금용 그물(6)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그물용 회전축(2)의 각각에 그물(1)의 횡방향 양단을 고정시켜 권취함으로써, 일측 그물용 회전축(2)이 그물(1)을 감으면 타측 그물용 회전축(2)에서는 그물(1)이 풀리면서 그물(1)이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양측 그물용 회전축(2)에서 번갈아가면서 반복함으로써, 그물(1)의 횡방향 이동이 반복하여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그물면이 1개 존재하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그물 권취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도 16에 도시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가 수중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방향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그물(1)의 상단에 차단판(12)을 설치하게 되면, 수면에 부유되는 쓰레기, 적조 등의 이동을 차단판(12)이 억제하게 되어, 이러한 수면 부유물이 보호지점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차단판(12)을 대신하여 또는 차단판(12)과 함께 부유체를 구비함으로써 그물(1)이 안정적으로 수중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를 보호지점의 주위에 설치함에 있어서, 위에서 참조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그물용 회전축(2), 그물(1) 및 그물 지지말뚝(5)가 반드시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보호지점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8에는 보호지점이 시설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취수구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 본 발명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를 설치한 일예를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9에는 보호지점이 중앙에 위치하고 본 발명의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가 보호지점의 주위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설치한 일예를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서는 편의상 그물용 회전축(2), 그물(1) 및 그물 지지말뚝(5)만을 도시하였으며,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시설물(예를 들어 발전플랜트)로부터 취수구가 돌출되어 있는 형태의 보호지점(300)에 대해서는, 그물(1)이 취수구를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그물용 회전축(2)을 설치하고, 필요한 위치에 그물 지지말뚝(5)을 배치하는 형태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를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보호지점(300)이 중앙에 위치한 경우에는 그물(1)이 보호지점(300)을 원형, 타원형 또는 기타 다각형의 형태로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그물용 회전축(2)을 설치하고, 그물용 회전축(2) 사이에 적절히 그물 지지말뚝(5)을 배치하는 형태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100)를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보호지점(300)에 대해 그물용 회전축(2), 그물(1) 및 그물 지지말뚝(5)을 직선 형태로 배치하지 않고 보호지점(200)에 맞추어서 변형시켜 배치함으로써, 수생생물의 퇴치 및 접근(유입)방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1: 그물
2: 그물용 회전축
3: 지지축
4: 브러쉬 축
5: 그물 지지말뚝
6: 감금용 그물

Claims (8)

  1. 수생생물의 유입이나 접근을 막아서 보호해야하는 보호지점의 전방에서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회전가능한 형태로 수중에 직립 설치되는 한 쌍의 그물용 회전축; 및
    한 쌍의 그물용 회전축에 양단이 결합된 상태로 보호지점의 전방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그물을 포함하며;
    회전받침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축을 해저 지반에 고정된 상태로 연직하게 설치되고, 그물용 회전축의 연직방향 양단이 각각 회전받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그물용 회전축은 회전가능한 형태로 직립 설치되어 있으며;
    그물용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그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2개의 그물용 회전축 사이의 간격에는, 그물이 밀착 지지된 상태로 움직이게 되어 그물이 보호지점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처지거나 변형되지 않고 연직하게 세워진 채로 횡방향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그물 지지말뚝이 연직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물 지지말뚝의 표면에는, 그물의 횡방향 선이 위치할 수 있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물의 횡방향 선이 그물 지지말뚝의 오목홈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물이 연직하향으로 처지지 않은 채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그물용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그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생생물이 그물에 닿거나 또는 그물에 접근하게 되면, 수생생물도 그물과 함께 횡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보호지점으로부터 벗어나게 됨으로써, 수생생물이 그물을 통과하여 보호지점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브러쉬 축이 그물용 회전축에 이웃하여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브러쉬는 브러쉬 축의 외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어서, 그물용 회전축이 회전하여 그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생생물이 그물용 회전축으로 접근하게 되면, 브러쉬가 그물의 그물면을 쓸어내어서, 그물에 끼어있거나 엉켜있는 이물질 또는 그물에 근접해 있는 수생생물을 털어내며;
    그물의 상단에는 차단판이 구비되어 수면에 부유되는 쓰레기 및 적조의 이동이 차단판에 의해 억제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브러쉬 축의 연직방향 양단도 각각 회전받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브러쉬 축이 회전하여 브러쉬가 그물의 그물면을 쓸어내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그물이 무한궤도의 형태가 되도록, 그물의 횡방향 양단이 각각 그물용 회전축에 감겨져서 2개의 그물면이 마주하여 포개져 있게 되며;
    2개의 그물용 회전축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그물에서 포개져 있는 2개의 그물면이 각각 서로 반대쪽 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2개의 그물용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반복적으로 전환함으로써 그물이 횡방향 양측으로 번갈아가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그물용 회전축의 각각에 그물의 횡방향 양단이 고정되어 권취됨으로써, 일측 그물용 회전축이 그물을 감으면 타측 그물용 회전축에서는 그물이 풀리면서 그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과정이 양측 그물용 회전축에서 번갈아가면서 반복하여 진행됨으로써 그물이 횡방향 양측으로 반복적으로 번갈아가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그물용 회전축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감금용 그물이 더 설치되어, 그물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한 수생생물이 그물용 회전축에 주변에 모인 상태에서 감금용 그물에 의해 가두어져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KR1020170134627A 2017-10-17 2017-10-17 이동식 그물망을 이용한 수생생물의 이동경로 변경에 의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KR102002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627A KR102002585B1 (ko) 2017-10-17 2017-10-17 이동식 그물망을 이용한 수생생물의 이동경로 변경에 의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627A KR102002585B1 (ko) 2017-10-17 2017-10-17 이동식 그물망을 이용한 수생생물의 이동경로 변경에 의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941A KR20190042941A (ko) 2019-04-25
KR102002585B1 true KR102002585B1 (ko) 2019-07-22

Family

ID=6628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627A KR102002585B1 (ko) 2017-10-17 2017-10-17 이동식 그물망을 이용한 수생생물의 이동경로 변경에 의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91Y1 (ko) * 2019-03-18 2019-08-09 (주)신양이엔지 닻자망용 종대
CN111155496A (zh) * 2020-01-16 2020-05-15 四川省泰达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河道拦污防汛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0629A (ja) * 1998-09-08 2000-03-21 Hitachi Kiden Kogyo Ltd 汚水に含まれる繊維状夾雑物の除去方法
JP2002066221A (ja) * 2000-09-01 2002-03-05 Maezawa Ind Inc 塵芥除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除塵機
JP2002363958A (ja) * 2001-06-05 2002-12-18 Hitachi Engineering & Services Co Ltd 取水スクリー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814Y1 (ko) 1999-05-03 2000-03-15 배중수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그물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0629A (ja) * 1998-09-08 2000-03-21 Hitachi Kiden Kogyo Ltd 汚水に含まれる繊維状夾雑物の除去方法
JP2002066221A (ja) * 2000-09-01 2002-03-05 Maezawa Ind Inc 塵芥除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除塵機
JP2002363958A (ja) * 2001-06-05 2002-12-18 Hitachi Engineering & Services Co Ltd 取水スクリー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941A (ko)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rinier et al. Downstream migration: problems and facilities
JP6329969B2 (ja) 浮遊廃棄物または水面直下の他の廃棄物を引き揚げるために適するコンベア
US5720573A (en) Adjustable porous groynes and method for shoreline reclamation
EP3847313B1 (en) System for the cleaning of rivers and streams
KR102002585B1 (ko) 이동식 그물망을 이용한 수생생물의 이동경로 변경에 의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US4954013A (en) Means and method for stabilizing shorelines
CA2383672A1 (en) Bridge pillar debris deflection apparatus
US20150247300A1 (en) Environmentally-friendly safe weir comprising both water way and fishway
US20110305517A1 (en) Vertical barrier fencing for containing contaminated materials, and use thereof
JP2011527633A (ja) ウォータースクリーンベルトモジュール
JP4481251B2 (ja) クラゲ捕捉防止方法及びクラゲ捕捉防止魚網
KR101110188B1 (ko) 파력감쇄용 블록
KR101061838B1 (ko) 해양생물 제어장치
KR20170005777A (ko) 2중으로 구성되는 권양기와 2중 권양기의 후면부에 구성되는 발전용 권양기의 내부에 다중으로 구성 발전수차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전력생산 친환경 공법
JP3728725B2 (ja) 河床の構造及び河床の保護方法
RU163973U1 (ru) Рыбо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55453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증대시킨 스크린
KR100616387B1 (ko) 하천 양안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어류와 수생식물의보호블럭
KR20070032754A (ko)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
JP2002363958A (ja) 取水スクリーン装置
RU2622886C2 (ru) Способы защиты от обрастания и защиты рыб и рыбо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омплекс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KR101014950B1 (ko) 수면 부유물을 포집하기 위한 용기 구조체
JP7103072B2 (ja) 除塵装置
KR102595194B1 (ko)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
Schwevers et al. Fish-Protection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