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754A -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 - Google Patents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754A
KR20070032754A KR1020070015160A KR20070015160A KR20070032754A KR 20070032754 A KR20070032754 A KR 20070032754A KR 1020070015160 A KR1020070015160 A KR 1020070015160A KR 20070015160 A KR20070015160 A KR 20070015160A KR 20070032754 A KR20070032754 A KR 20070032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ish
water gate
wate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7315B1 (ko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1020070015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315B1/ko
Publication of KR20070032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 또는 수문과 문틀의 사이에 어도를 형성하되, 각 어도에는 물고기가 지느러미를 의지한 채 상류로 소상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물을 설치하여 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하는 것을 도와주도록 함으로써 자연 생태계를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로의 폭방향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구조체가 각각 축조되고, 각 지지구조체의 사이에 중공의 사각판 형상인 수문이 경사지게 배치되며, 수문의 하부는 중심축에 의해 지지구조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것에 있어서, 수문에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저수측에서 배수측으로 개방되도록 된 다단의 어도를 형성하고, 각 어도에는 개폐판 회동부재에 의해 작동되도록 어도개폐판을 설치하여 각 어도를 개폐하도록 구성하며; 수문의 하부와 저수측을 통하여 어도를 형성하고, 저수측의 어도 입구에는 개폐판 회동부재에 의해 작동되도록 어도개폐판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어도를 개폐하도록 구성하며; 각 어도개폐판에는 어류가 지지매체로 하여 배수측에서 저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돕기 위해 유연한 재료를 로프 형태로 구성한 다수의 지지부재를 고정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수문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어도만을 개방하여 물고기가 자신의 지느러미를 지지부재에 의지한 채 힘을 내어 상류로 치고 올라갈 수 있으므로 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면 자연스럽게 생태계가 복원 또는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어도, 수문, 물고기, 소상, 지지부재, 생태계

Description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Automatic water gate having fishes passag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에 있어서 수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에 있어서 수문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에 있어서 어도개폐판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에 있어서 어도개폐판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의 폐쇄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의 개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다단 배출 시스템의 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정화되면서 어도가 자연 형성되는 자동보 수문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배수구멍의 개폐 동작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자동보 수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문 1a : 밀폐공간부 1b : 지지브라켓
2,23 : 중심축 2a : 축수 3 : 축지지대
4,24 : 작동실린더 4a : 핀 5 : 링크
8,18 : 어도 9,19 : 개폐판 회동부재 10,20 : 어도개폐판
11,21,29,552 : 지지부재 25 : 배수구멍 26 : 망상부재
27 : 개폐수단 27a : 개폐판 27b : 연결로드
27c : 개폐실린더 28,551 : 수압감소판 30 : 구명손잡이
100 : 지지구조체 S : 받침대
본 발명은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문 또는 수문과 문틀의 사이에 어도를 형성하되, 각 어도에는 물고기가 지느러미를 의지한 채 상류로 소상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물을 설치하여 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하는 것을 도와주도록 함으로써 자연 생태계를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수로에는 홍수조절기능과 농업용수의 확보 또는 수로 상류측의 미관 등을 고려하여 수로 상류측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중보가 설치되며 그 구성의 주요 부재로 수문이 설치된다.
종래에 제공된 수문으로는 많은 종류의 것들이 있고, 그 작동방법들 또한 수 많은 것들이 있는바, 대부분의 수문의 경우 수로의 폭방향 양측에 적정 간격을 두고 축조된 콘크리트와 같은 지지구조체 사이에 수문을 배치함과 함께 이 수문의 상부 또는 하부 축을 통해 지지구조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시켜 모터나 실린더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수문을 회동시켜 유입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데, 수문의 상부측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수문이 상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것을 부상식 수문이라 하고, 수문의 하부측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수문이 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것을 전도식이라 한다.
이러한 수문 중 부상식 수문의 경우 수문이 개방되기 시작하면 바닥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어 이러한 공간이 물고기의 통로 즉, 어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부상식 수문이 개방되면 저수공간에 채워져 있던 물이 빠른 속도로 배출되므로 대부분의 물고기가 이러한 빠른 유속을 뚫고 상류로 소상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전도식 수문의 경우 바닥부와 수문의 틈새가 거의 없어 완전 개방상태가 되어 물고기가 수문의 상부를 통해 이동하지 않는 한 어도를 형성하지 못하여 자연 생태계를 파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문에 다단의 어도를 형성하고, 이 어도에 개폐문을 형성하여 수문이 닫힌 상태에서 개폐문을 개방함으로써 물이 배출될 때 이러한 물과 어도를 통해 물고기가 상류로 소상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생태계를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을 제공하고 자 하는 것이다.
다른 견지로는, 어도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유속을 줄여주면서 물고기의 지느러미를 의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물고기가 하천을 거슬러 올라 상류로 이동할 때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견지로는, 물고기의 소상에 조력하면서 수질을 개선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동보 수문에 어도를 형성하여 물고기가 상류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각 실시예 별로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에 있어서 수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에 있어서 수문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에 있어서 어도개폐판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에 있어서 어도개폐판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적용되는 자동보 수문은 전도식 수문으로서, 종래와 같이 수로의 폭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축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지구조체(100)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수문(1)은 중공의 사각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수문(1)의 하부에는 중심축(2)이 힌지 관통하여 수문(1)내에 고정된 다수의 축수(2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중심축(2)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바닥에 고정된 다수의 축지지대(3)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축지지대(3)는 지지구조체(100)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하도록 중심축(2)과 고정되며 수문(1)의 길이에 따라 소정간격으로 더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문(1)은 중심축(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문(1)의 폭방향 양단부 가까이에는 각각 상하로 긴 밀폐공간부(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밀폐공간부(1a)에 작동실린더(4)가 힌지에 의해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작동실린더(4)의 상단은 밀폐공간부(1a) 상측에 고정된 지지브라켓(1b)에 핀(4a)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작동실린더(4)의 하단은 일단부가 중심축(2)에 고정연결된 링크(5)의 타단부에 핀(4a)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동실린더(4)를 신축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1)은 중심축(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로를 개폐할 수 있고, 작동실린더(4)는 수문(1)의 밀폐공간부(1a)에 수용되어 있어 이물질에 의한 작동실린더(4)의 고장 우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문(1)의 양 밀폐공간부(1a) 사이에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저수측에서 배수측으로 개방되도록 된 다단의 어도(8)가 형성된다.
이러한 각 어도(8)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 회동부재(9)에 의해 작동되는 어도개폐판(10)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어도개폐판(10)에는 어류가 지지매체로 하여 배수측에서 저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돕기 위해 천 또는 폴리에치렌사 등의 유연한 재료를 로프와 같은 형태로 구성한 다수의 지지부재(11)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지지부재(11)의 길이는 어도(8)의 크기 또는 수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개폐판 회동부재(9)는 도면상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압모터와 같은 동력수단으로 구성된 것임은 자명하며,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개폐판 회동부재(9)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컨트롤패널을 구비하여 수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수압, 유속 등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어도개폐판(10)의 개폐동작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S는 받침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수문(1)에 다단계로 조절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는 다단계 어도(8)를 형성함으로써 수문(1)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어도개폐판(10) 만을 별도로 개폐할 수 있어 하천의 상류로 어류의 이동이 가능해지게 되며, 따라서 자연생태계를 보존 또는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물고기가 이러한 다단의 어도(8)를 빠져나갈 때 지지부재(11)에 자신의 지느러미를 의지한 채 힘을 내어 상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물고기의 어도 통과가 더욱 용이해지는 것이다.
[제 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의 폐쇄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의 개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자동보 수문 역시 전도식 수문으로서, 수문(1)의 하부와 저수측을 통하여 어도(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어도(18)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저수측의 어도(18) 입구에는 어도개폐판(20)이 유압모터와 같은 동력수단으로 구성되는 개폐판 회동부재(19)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어도개폐판(20)에는 어류가 지지매체로 하여 배수측에서 저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돕기 위한 천 또는 폴리에치렌사와 같은 유연한 재질을 사용하여 로프 형상으로 구성한 지지부재(21)가 다수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태에서 수문(1)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개폐판 회동부재(19)를 구동하여 어도개폐판(20)을 회전시켜 어도(18)를 개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수문(1)을 폐쇄한 상태에서도 물고기가 어도(18)를 통해 상류로 이동할 수 있어 자연생태계를 보존 또는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물고기가 지지부재(21)에 자신의 지느러미를 의지하면서 치고 올라갈 수 있어 물고기의 소상을 도와줄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수문(1)을 전도시켜 개방하게 되면 저수되어 있던 물이 수문(1) 상부로 방류되므로 물고기가 이러한 넓은 공간을 통해 상류로 이동할 수 있어 별도의 어도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방류되는 물이 어도(18)로 유입될 경우 수압이 어도(18)에 가해짐은 물론 물과 함께 떠내려오는 이물질이 어도(18)를 막을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개폐판 회동부재(19)를 통해 어도개폐판(20)을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어도(18)를 폐쇄하게 된다.
[제 3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다단 배출 시스템의 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정화되면서 어도가 자연 형성되는 자동보 수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배수구멍의 개폐 동작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자동보 수문은, 수로의 폭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구조체(100)가 축조되고, 지지구조체(100) 사이에 중공의 사각판 형상인 수문(1)이 경사지게 배치되며, 수문(1)의 상부에는 지지구조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중심축(23)이 설치되고, 중심축(23)은 작동실린더(24)에 의해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동실린더(24)를 작동시키면 수문(1)의 하단부가 중심축(23)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부상식으로 개폐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문(1)의 상하부에는 저수측에서 배수측으로 통하도록 다단의 배수구멍(25)이 형성되고, 이 배수구멍(25)은 철망 또는 모기장과 같은 망상부재(26)에 의해 커버되어 있으며, 배수구멍(25)은 개폐수단(27)에 의해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배수구멍(25)은 그 형성높이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하게 되는데, 이 는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하천수의 상층부분은 수문(1)을 통해 형성되는 저수공간에 정체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입수의 하단부분 층이 물속에 함유된 물질별로 수평의 상태로 유지하면서 비중이 무거운 하층수만을 배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개폐수단(27)은 동일 수평상의 배수구멍(25)을 각각 커버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다수의 개폐판(27a)과, 동일 수평상의 각 개폐판(27a)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로드(27b)와, 연결로드(27b)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시키기 위한 개폐실린더(27c)로 구성되어 개폐실린더(27c)를 신축하면 개폐판(27a)이 회전되면서 선택적으로 배수구멍(25)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수문(1)을 폐쇄한 상태에서도 저수측의 물을 배출할 수 있어 저수층 하부에 물이 정체되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수중에 침전된 오염물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여 수질개선작용을 발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수문(1)이 개방되어 있을 때 어류가 하류에서 수문(1)의 표면을 타고 상류로 이동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수문(1)의 저수측 표면에 수직 형성되어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수압을 저감시킬 수 있는 다수의 수압감소판(28)이 설치되며, 이 수압감소판(28) 후면, 즉 수문(1)의 표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압감소판(28) 뒷면에는 천 또는 폴리에치렌 사와 같은 것으로 얼기설기 구성되는 로프와 같은 유연한 재질의 지지부재(29)가 걸 고리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 수문(1)의 저수측 면의 폭방향으로는 인명 구조용의 구명손잡이(30)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물이 배출되더라도 수압감소판(28)의 후위측에서는 수압이 적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하기 적당해지며, 또 물고기들이 상류로 이동할 때 자신의 지느러미를 지지부재(29)에 의지한 채 치고 올라갈 수 있어 물고기의 소상이 더욱 유리해지는 것이다.
또한, 사람이 물에 빠졌을 때 인명구조가 이루어질 때까지 구명손잡이(30)를 잡고 버티게 되면 귀중한 인명을 구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수압감소판(28)의 모양과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29)에 적용되는 재료 역시 유연성을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든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 예시한 것 이외의 다른 형상 또는 재료를 통해 수압감소판(28) 또는 지지부재(29)를 구성하였다하더라도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구성을 고무댐의 하단부에 구성하여 어도가 형성되면서 오염된 수질도 개선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당해 업자라면 당연히 가능한 것이므로 고무댐의 하단부에 이와 같은 구조를 구성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4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자동보 수문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는 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수문(1)을 기준으로 저수측과 배출측 바닥에 수압감소판(551)을 고정하고, 수압감소판(551)에는 지지부재(552)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수압감소판(551)은 지그재그로 구성하여 수압을 적정하게 줄여주면서 물고기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며, 지지부재(552)는 수문(1)을 기준으로 배출측에서 저수측으로 물고기가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을 돕기 위한 것으로서 천이나 폴리에치렌사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구성한 로프에 유연한 재질의 부러쉬가 매달린 형태로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수문(1)을 기준으로 배출측 및 저수측 바닥에 다수의 수압유도판(551)과 지지부재(552)를 구성하게 되면 수문(1)을 개방하여 물이 배출될 때 수압감소판(551)의 뒤쪽은 수압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물고기가 이동하기 유리해지고, 또 상류로 이동하는 어류들이 강한 수압에도 불구하고 물고기 지느러미를 부러쉬형태로 구성되는 지지부재(552)에 의지하여 치고 올라갈 수 있어 물고기가 용이하게 소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면상에는 지지부재(552)의 형상을 로프에 굴뚝 청소용 브러쉬를 구성하거나 자 형태로 브러쉬가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그 모양과 형태를 한정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열거한 구성들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그 기술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 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
당해업자라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변경은 아주 쉬운 일이다. 그러므로 약간의 설계 변경을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완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그 구성과 기능을 약간 변형하여 구성한 것 또한 본 발명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적용되는 수문을 엔지니어링 프라스틱 또는 주물부재와 다이케스팅 부재등과 같은 첨단 신소재 부재를 이용하여 변형 구성한다고 해도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는 것이므로 신규 개발되거나 진보된 재질을 이용하여 수문을 구성하였다 해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에 적용되는 개폐판 회동부재와 실린더를 다른 부재로 대체하여 구성한다 해도 본 발명의 기능을 발휘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그 구성부재를 달리 구성한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변형 구성한 기술들은 그 모양과 형상이 동일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해도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능을 발휘 할 수가 있는 것임으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토목공사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문 또는 그 하부에 별도의 어도를 형성하여 하류에서 상류로의 어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자연생태계의 보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문의 상단과 결합되는 수압감소판과 지지부재의 역할에 의해 수문이 개방되어 있을 때 수문의 상단을 통하여 상류로 이동하는 물고기들이 용이하게 소상할 수가 있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수문이 개방되었을 때에 상류로 이동하려는 물고기들이 수문의 하단부와 에프런의 상류부분과 하류부 에프런에 구성되는 수압감소판과 지지부재에 지느러미들을 의지하여 용이하게 하천의 상류로 이동할 수가 있는 작용에 의해 하천 생태계를 복원하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수문의 상,하에 다수의 배수구멍을 형성하여 주문을 닫은 상태에서도 저수측의 수중에 침전된 오염물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여 수질개선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6)

  1. 수로의 폭방향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구조체(100)가 각각 축조되고, 상기 각 지지구조체(100)의 사이에 중공의 사각판 형상인 수문(1)이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수문(1)의 하부는 중심축(2)에 의해 지지구조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자동보 수문에 있어서,
    상기 수문(1)에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저수측에서 배수측으로 개방되도록 된 다단의 어도(8)를 형성하고, 상기 각 어도(8)에는 개폐판 회동부재(9)에 의해 작동되도록 어도개폐판(10)을 설치하여 상기 각 어도(8)를 개폐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수문(1)의 하부와 저수측을 통하여 어도(18)를 형성하고, 저수측의 어도(18) 입구에는 개폐판 회동부재(19)에 의해 작동되도록 어도개폐판(20)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어도(18)를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어도개폐판(10)(20)에는 어류가 지지매체로 하여 배수측에서 저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돕기 위해 유연한 재료를 로프 형태로 구성한 다수의 지지부재(11)(21)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
  3. 수로의 폭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구조체(100)가 축조되고, 상기 지지구조체(100) 사이에 중공의 사각판 형상인 수문(1)이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수문(1)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구조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중심축(23)이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23)은 작동실린더(24)에 의해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작동실린더(24)를 작동시키면 상기 수문(1)의 하단부가 상기 중심축(23)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부상식으로 개폐 동작되도록 구성된 자동보 수문에 있어서,
    상기 수문(1)의 상하부에는 저수측에서 배수측으로 통하도록 다단의 배수구멍(25)을 형성하고, 상기 각 배수구멍(25)은 망상부재(26)에 의해 커버하며, 상기 각 배수구멍(25)은 개폐수단(27)에 의해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문(1)의 저수측 표면에는 수직 형성되어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수압을 저감시킬 수 있는 다수의 수압감소판(28)을 설치하며, 상기 수압감소판(28) 후면에는 유연한 재료를 로프 형상으로 구성한 지지부재(29)를 걸고리에 고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27)은 동일 수평상의 배수구멍(25)을 각각 커버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다수의 개폐판(27a)과, 상기 각 개폐판(27a)을 연결하는 연결로드(27b)와, 상기 연결로드(27b)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시키기 위한 개폐실린더(27c)로 구성되어 상기 개폐실린더(27c)를 신축하면 상기 각 개폐판(27a)이 회전되면서 상기 각 배수구멍(25)을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를 갖는 자동 보 수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1)의 저수측 면의 폭방향으로는 인명 구조용의 다수의 구명손잡이(3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1)을 기준으로 저수측과 배출측 바닥에 수압감소판(551)을 고정하고, 상기 수압감소판(551)에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한 로프에 유연한 재질의 부러쉬가 매달린 형상의 지지부재(552)를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
KR1020070015160A 2007-02-14 2007-02-14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 KR100757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160A KR100757315B1 (ko) 2007-02-14 2007-02-14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160A KR100757315B1 (ko) 2007-02-14 2007-02-14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782A Division KR20030063272A (ko) 2002-11-21 2003-06-25 부유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754A true KR20070032754A (ko) 2007-03-22
KR100757315B1 KR100757315B1 (ko) 2007-09-13

Family

ID=4162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160A KR100757315B1 (ko) 2007-02-14 2007-02-14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3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28B1 (ko) * 2011-04-22 2011-09-28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환경친화형 수중보 어도 구조
KR101506848B1 (ko) * 2014-12-24 2015-03-27 천창우 어도가 형성된 수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343A (ko) 2008-10-18 2008-11-07 한상관 저장수의 하층부에 포진하고 있는 깨끗한 물을 우선적으로 배출하는 방법 을 이용하여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수질이 되도록 정화시켜주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322Y1 (ko) 1999-11-27 2000-05-01 공응권 보조 수문을 갖는 자동개폐 수문
JP2001262552A (ja) * 2000-03-21 2001-09-26 Kurimoto Ltd サイホン付き起伏ゲート
KR20010110379A (ko) * 2001-03-16 2001-12-13 한상관 고정축이 벽체에 고정되어 작동하는 전도식 자동보 수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28B1 (ko) * 2011-04-22 2011-09-28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환경친화형 수중보 어도 구조
KR101506848B1 (ko) * 2014-12-24 2015-03-27 천창우 어도가 형성된 수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7315B1 (ko) 200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302B1 (ko) 자동 어도 겸용 퇴적오니 배출통로를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권양기 수문
KR20030041900A (ko) 다단 배출 시스템의 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자연정화되면서 어도가 자연 형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구성방법
KR100541631B1 (ko) 유속 안내판과 어도 덮게의 저항 작용에 의해 물고기의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의 구성방법
KR100757315B1 (ko)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
KR20110063421A (ko)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수질 정화 시스템
KR20060122333A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20110095430A (ko) 하층수 배출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면서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첨단 친환경 공법
KR101261700B1 (ko) 회전식 가동보
KR101025819B1 (ko) 회전수문에 설치되는 어도
KR100627032B1 (ko) 부유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 역할에 의해 수문본체를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자동보 수문본체
KR20130129879A (ko) 생태계 복원용 어도를 자연적으로 형성시켜주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070090136A (ko)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수문
KR200392599Y1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100619459B1 (ko)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하천용 수문
KR101577938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
KR100399744B1 (ko) 자동수문
KR20050042091A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KR200320510Y1 (ko) 싸이폰 통로의 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유입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자동보 수문
KR20030041915A (ko) 부유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JP2004316383A (ja) 魚道を備えた水門堰の扉体。
CN210482228U (zh) 一种新型水闸
KR200392570Y1 (ko) 어도용 수문
KR20030063272A (ko) 부유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KR200427634Y1 (ko) 수질개선의 기능을 갖는 가동보
KR100658823B1 (ko) 안전스크린이 구비된 양축이 상하 작동되는 겸용 자동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