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938B1 -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 - Google Patents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938B1
KR101577938B1 KR1020150085481A KR20150085481A KR101577938B1 KR 101577938 B1 KR101577938 B1 KR 101577938B1 KR 1020150085481 A KR1020150085481 A KR 1020150085481A KR 20150085481 A KR20150085481 A KR 20150085481A KR 101577938 B1 KR101577938 B1 KR 101577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ver
friendly
cylinder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161A (ko
Inventor
한민섭
Original Assignee
한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섭 filed Critical 한민섭
Publication of KR20150087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5Y2600/322Rotary motion around a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02River rest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하천을 준설하고 제방과 하천 바닥을 정리한 후 기촌콘크리트(100)를 타설한 후 하천의 일측과 타측에 지수벽을 구성하는 과정과;
하천의 일측과 타측에 하우징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제1 실린더 지지대(1060)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실린더 지지대(1060)와 실린더로드(1057)와 결합된 실린더(1058)를 실린더 흰지(1059)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두 쌍의 링크지지축(1072)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링크지지축(1072)의 사이에 링크축(1054)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링크축(1054)의 하단부에 두 쌍의 제1 실린더링크(1071)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실린더링크(1071)의 하단부에 실린더 로드 흰지(1056)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 로드 흰지(1056)와 상기 실린더 로드(1057)를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링크축(1054)의 타측에 수문작동 링크(1055)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수문작동 링크(1055)의 끝단부에 로프흰지(1053)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로프흰지(1053)에 로프(1052)를 결합하는 과정과
다기능 가동보 수문(1050)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다기능 가동보 수문(1050)의 후면부와 상기 로프(1052)를 흰지(1051)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제2 실린더 지지대(1070)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실린더 지지대(1070)의 상단부와 제2 실린더 로드(1066)가 결합되어진 제2 실린더(1068)를 제2 실린더 흰지(1069)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두 쌍의 제2 링크지지축(1076)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링크 지지축(1076)의 사이에 제2 링크축(1063)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링크 지지축(1076)의 하단부에 두 쌍의 제2 실린더링크(1065)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실린더링크(1065)의 사이에 실린더로드 흰지(1066)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로드 흰지(1066)와 상기 제2 실린더 로드(1066)를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링크축(1063)의 타측에 어도 조절링크(1062)를 구성하는 과정과 ;
상기 어도 조절링크(1062)의 끝단부에 흰지(1061)를 구성한 후 상기 흰지(1061)와 상기 다기능 가동보수문(1050)의 하단부를 흰지 결합하여 구성되는 상기 다기능 가동보 수문(1050)을 이용하여 어도를 자연적으로 구성시켜주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와 퇴적오니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 시키는 것을 특징 하는 어도를 형성시켜 하천생태계를 자연적으로 살려내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
본 발명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문을 기립하여 저장수를 가두어둔 상태에서 수문의 하단부를 개방하여 어도를 구성시킴과 동시에 수문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하층수를 우선적으로 배출해줌으로써 배출되는 물과 함께 바닥층에 적층되어 있는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이 같이 배출되도록 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하천 또는 저수지와 같은 저수공간으로는 여러 경로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과정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 중에는 오염물질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저수된 물을 정화하기 위해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었던 바, 종래 사용되어 오던 수질정화방법들은 자갈 접촉 산화법, 역간 접촉식 산화법, 하수처리장 수질정화법, 염소 투입 정화법 등이 있으나 한결같이 많은 비용이 들고 비용에 비해 그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를 통해 수중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오염물질을 부유시키고, 이를 걷어냄으로써 수질정화를 구현하도록 한 장치도 등장한 바 있으나, 이는 수질 개선을 위해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그 수질정화영역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수질개선에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창안되어 공지된 특허 공개번호 제 2001-0000343호의 "다단 저수장치를 이용한 자연적인 수질개선방법"의 경우 한개의 수문으로 구성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폭기에 의한 자연적인 자정효과가 매우 낮은 결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결점으로 인해 수문의 내부에 가두어져 있는 물과 오염물질들이 결합하면서 발생시키는 물질 뭉침 작용과 물질 결합 작용에 의해 오염이 가중되면서 녹조 현상을 유발시킴으로 인하여 저장된 물을 더욱 더 악화시키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 제 770035 호와 특허 제 812634 호와 등록실용신안 제 364372 호와 등록실용신안 제 340318~9 호와 등록실용신안 제 3401004 호와 공개특허 제 2003-063287 호의 경우 수문을 구동시켜주는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이물질들이 쉽게 걸림은 물론이려니와 홍수시 상류에서 떠내려오는 이물질들의 수문의 측면에 구성되는 가이드홈과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구동부에 걸림과 동시에 수문의 구동장치에 걸리는 이물질들이 수로를 차단하면서 수위를 상승시켜주는 작용으로 인해 막대한 홍수피해가 유발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발명된 특허 제 546006 호의 수문방식과 같이 수문의 하부에 작동실린더와 링크를 구성한 상태에서 실린더와 연결 구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문을 기립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문을 구성할 수가 있으나, 이 방식의 수문은 수문의 상단부에 이물질들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30 여년 동안 하천 공사를 시행함과 동시에 하천수를 연구하여 왔으며, 그 과정에서 밝혀낸 물의 정화 작용에 대한 사실들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자연은 아무리 망가져도 자연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것이란 인식과 물은 절대적으로 거짓말을 못할 것이라는 진실의 가치를 인식하고 본격적으로 하천에 대하여 연구하기로 결정한 때가 1990년도 초이다.
그러던 중에 물은 물분자가 결합하여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물 분자들도 질량과 비중에 따라 중력의 지배를 받을 수밖에 없다는 알게 되었다.
때마침 조선일보와 환경부가 시행한 샛강 살리기 운동 캠페인 시리즈 기사를 접하면서 오염의 심각함을 더욱더 자세히 터득하게 되었다.
오염된 물을 살려내야겠다는 목적을 갖고 물의 작용에 대하여 심도 있게 관찰한 내용들에 대한 참고 문헌들을 찾고자 해도 물의 작용에 대하여 딱 부러지게 분석하고 정의한 책들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오염된 물이 어떠한 작용에 의해 살아나며 그 작용들이 어떻다는 것을 사실적으로 설명한 책들이 없었으며, 있다 해도 물에 대하여 논한 책들은 모두가 한 결 같이 두루뭉술한 서술적 내용들로 꾸며져 있었다.
본 발명자가 물에 대한 연구 과정 중에서 터득한 것 중에서 물은 분리가 가능한 유체이기 때문에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살려 낼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게 되었다.
연구과정 중에 우연히 중력의 작용을 역으로 이용하면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 시킬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지구에서 하루 동안에 발생되는 수천억톤의 오염물질들이 자연에 의해 자연적으로 살아나는 작용들이 “물질 보존본능의 작용과 법칙”그리고 “물질마찰작용”과 “물질 새치기작용”과 “물질폭발작용”과 “물질밀림작용“들이며, 이러한 자연적인 작용들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소수력 발전소 겸용 하단부 배출식 다단계 저수시스템을 전국의 모든 하천에 설치하여 주기만하면 우리나라가 필요로 하는 모든 에너지를 생산하여 줌과 동시에 아무리 최악으로 오염된 하천수라 하여도 떠먹을 수 있는 깨끗한 물로 만들 낼 수가 있는 사실적 논리를 알게 되었다.
물을 이용하여 세수하거나 목욕하면 어떠한 작용에 의해 몸에 서식하는 세균들이 살균되는가에 대한 논문과 미약한 빗방울이 돌을 파낸다는 기본적인 상식을 알고 있으면서도 그 작용의 기본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리적 논문 하나 없는 현실과, 중력의 작용은 알면서도 폭포를 낙하하는 물의 색깔과 바닷물이 파도 칠 때에 물의 색깔이 왜 하얀색으로 변하는 지에 대한 연구 논문들이 존재하지 않는 과학계의 현실성을 직시하고 더욱더 물에 대하여 연구하게 된 것이다.
아래에서 서술할 내용은 본 발명자가 발견한 물의 정화작용에 대해 논문 형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1) 물의 정의
지구에서 하루에 증발되는 물의 총량은 약 1조톤 정도가 된다고 한다.
본 연구자는 물은 “물질분자”이며 이“물질분자“들이 모여서 ”물“이 된다고 정의 한다.
즉 “물”의 정의는 “물 분자의 기초 물질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들과 자연물질”들이며, 이 물질들이 자연분해되어지는 여러 가지 과정과 분해 된 물질이 여러 경로를 통하여 물로 유입되어 초극미립자의 형태로 완전하게 분해 되는 과정을 통하여 “물”의 기초물질이 되며, 이러한 분해과정을 통하여 탄생되는 “ 물 분자” 들이 모여서 “물”이 된다고 정의 한다.
즉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와 생명체들, 즉 이러한 “물질”이 분해 되어 초극미립자로 변형되며, 초극미립자로 변형된 이들 “물질”이 “중력의 작용”으로 인해 대기 중으로 상승됨과 동시에 다른 물질들과 만나면서 이루어지는 물질 결합작용과 물질 뭉침 작용을 통하여 비중이 무거워짐과 동시에 비 또는 눈이나 우박의 성분으로 변하여 지표면으로 떨어지면서 “물”로 변하는 것이다.
이 논리가 틀리다면 모든 생명체들은 영원한 생명체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며 죽지도 말고 영원히 변하지 말아야 하며 호수 또는 강 또는 바닷물이 오염되거나 증발이 되지 말아야 하며 눈도 비도 우박도 오지 말아야 한다.
물은 물질 분자로 이루어진 유체이기 때문에 중력의 지배를 받는 것이다.
그러므로 중력의 작용과 자연의 힘을 이용하면 오염물질과 물 분자를 아주 손쉽게 분리해 내어 오염물질을 자연 정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물이 중력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면 물에 오염물질이 들어 갈수도 없고 오염된 하천수가 존재하지 말아야하는 모순된 논리가 존재하는 것이다.
물에 대하여 연구 하여 온 모든 분들의 기본적인 생각들은 오염된 물을 살려 내기 위해서는 하수처리장과 같은 기계 장치를 필히 거쳐야만 오염된 물을 살려 낼 수 있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다.
모든 물질과 물체는 중력의 지배를 받는다는 것을 이해를 하면서도 물 분자가 중력의 지배를 받지 않거나 받지못할 것이라는 막연한 논리를 확실하게 정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물 분자들도 비중과 질량을 가진 물질이기 때문에 절대적인 중력의 지배를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나면 오염된 하천수가 왜 자연적으로 살아나는 가에 대한 작용을 논리적으로 이해 할 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물 분자는 H2O 즉 수소2개와 산소1개가 결합하여 있는 물질이라는 막연한 논리를 가지고 있다.
이 논리대로라면 산소가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살려 내기 때문에 오염된 하천수가 존재하지 않아야하며, 물속의 용존 산소함유량이 33% 이상이라는 논리가 존재하여야 하나 현실은 절대로 그렇지 않다.
이러한 잘못된 규정과 생각을 가지고 있는 편견으로 인해 물을 막으면 썩기 때문에 물을 막으면 절대로 안 된다는 고정 관념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세습의 학습과정을 잘못 배운 학자들과 환경단체들이 물을 막으면 썩는다는 정의적 사명감을 가지고 논리적 진리가 결여된 환경의 세계를 왜곡하면서 지배하고 있는 것이다.
즉 잘못된 환경 지식을 가지고 있는 환경 단체들이 물에 대한 정의적 사명감을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물에 대한 과학적인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또한 물과 관련이 있는 학자와 환경단체들과 공직자분들은 초극미립자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물 분자의 질량과 비중이 각각의 물 분자 개체마다 다르며, 그리고 이에 따라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이 각각의 물 분자 개체마다 절대적으로 다르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아주었으면 한다.
일례로 대다수의 사람들이 물의 상층부에 떠있는 물들이 깨끗한 물로 알고 있는데 이는 절대적으로 잘못된 상식인 것이다
코카콜라 병을 흔들어 주면 거품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은 콜라 성분과 콜라를 이루는 또 다른 성분을 가진 물질분자가 접촉하는 순간 물질폭발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거품이 발생하는 것이다.
물이 담겨저 있는 물병을 세차게 흔들어 주면 물병 속에서 거품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불완전 분해된 물질분자와 또는 물 분자가 접촉하는 순간 물질폭발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물 병 속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이다.
혹자 들은 공기가 물병 속으로 파고 들어가서 물 병속에서 공기방울이 발생되는 것이라는 주상을 하는데 이러한 주장은 중력의 작용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행위이다.
그 이유는 기포를 구성하고 있는 공기 방울은 물 분자 보다도 비중이 가볍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물 병속으로 파고 들어가지 못한다는 증명적 진리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물질폭발 작용을 증명시키는 또다른 논리를 제시한다.
히말라야 산 꼭대기 또는 남극이나 북극에 존재하는 만년설위에 미리 영하 60도 정도로 냉동시켜서 얼려 놓은 모래를 뿌려 놓게 되면 아무리 추워도 모래가 눈을 녹이면서 눈 속을 파고 들어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냉장고 속에 영하 60도 이상의 고열로 얼린 얼음을 넣고 그 위에 미리 영하 60도 정도로 냉동 시켜놓은 모래를 뿌려 놓으면 모래가 얼음을 녹이면서 서서히 얼음 속을 파고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모래성분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분자와 물 분자를 구성하고 있는 얼음 사이 에서 물질폴박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모래가 얼음을 녹이면서 얼음 속을 파고 들어가는 것이다.
그로므로 초 순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히말라야 정상의 눈들이 빨리 녹지 않고 만년설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히말라야 근방에서 발생시키는 오염물질분자들이 히말라야 정상으로 날아가서 정상의 만년설에 가라 앉게 되면서 오염물질분자들과 태양사이에서 물질폭발작용이 서시히 발생하면서 눈을 녹이기 때문에 방하 수가 생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물의 정화작용을 이용하여 어떠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없이도 오염된 물을 깨끗한 물로 자연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수문을 기립한 상태에서 수문의 하부 공간에 구성되는 배출통로를 통해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우선적으로 배출해주도록 함으로써 배출되는 물과 함께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이 같이 배출되도록 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문은 수압과 자중에 의해 상시 하방향으로 압력을 받도록 비스듬히 위치되도록 하고, 수문의 양측 상부에는 지지구조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작동링크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작동링크의 타단부와 지지구조체의 사이에는 회전가능하게 작동실린더를 연결하여 작동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작동링크를 회전시켜 수문을 기립 또는 전도시키도록 하며, 수로의 바닥부 양측에는 가이드턱을 구비하여 수문을 기립상태에서 조금 더 들어올려 수문의 하단부와 수로의 바닥부 사이에 배출통로를 형성해줌으로써 수문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하천수 속에 함유되어 있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이 수문의 하부측으로 구성되는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를 통하여 퇴적오니들과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 배출되도록 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문의 양측 상부와 양측 지지구조체의 사이에는 작동링크를 매개로 작동실린더가 각각 연결되어 있어 각 작동실린더의 신장과 수축 동작에 따라 작동링크가 회전되어 수문을 기립 또는 전도시켜줌으로써 수로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것이며, 수문이 폐쇄된 상태에서 수문을 조금 더 상승시켜주게 되면 수문이 가이드턱에 의해 들리면서 수문의 하단부와 수로의 바닥부 사이에 배출통로가 형성될 수 있어 수문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저수공간의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배출통로를 통해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문 하단부와 수로의 바닥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배출함과 동시에 저수공간에 퇴적되어 있는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을 같이 배출할 수 있어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는 것이며, 저수공간의 수압, 유입수량 등에 따라 구동장치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배출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면 대형 하천의 경우에도 적은 비용을 들여서 손쉽게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킬 수 있으며, 자연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자연정화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완전무결한 깨끗한 하천수를 만들어 낼 수 있고, 염소와 불소와 같은 화학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깨끗한 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대형 댐에 적용되는 경우 댐 내부에서의 퇴적오니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작용들로 인하여 발생되는 녹조현상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육지의 하천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들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서 발생시키는 적조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아무리 많은 물을 가두어 두어도 저장된 물이 썩지 않기 때문에 대용량의 물을 가두어 둘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가두어 둠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하천 인근의 산과 들에는 수분의 함유량이 높은 상태의 토질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으로 인하여 산에서 자라나는 나무들의 성장을 촉진하여 주는 동시에 산불을 사전에 예방하여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가뭄에 따른 토지의 사막화를 막아주는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사막을 옥토로 바꾸어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수문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하층수 배출통로와 수문의 하단부를 이용하여 저수공간의 하층부에 위치한 비중이 무거운 하층수를 배출하여 줌으로 인하여 하천수를 지속적으로 정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저수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물고기가 수문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배출통로를 통해 상류로 이동할 수 있어 생태계를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양 만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되는 수문을 이용하여 물을 가두어 두게 되면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를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유입되어오는 유입수 만큼만을 상시 배출하여 줄 수가 있기 때문에 물의 오염이 가중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이 수문을 이용하여 가두어둔 저수공간에서 발휘하는 여러 가지 작용들에 의해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깨끗한 물로 정화되게 되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문을 하천의 전단면 전폭에 걸쳐서 설치한후 또다시 하천의 경사도에 따른 저수레벨에 따라 다단계로 하천 전구간에 설치하여 주게 되면 아무리 오염된 하천수라 하여도 모든 오염된 물질들을 자연적으로 정화시켜주는 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에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 주는 최고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어도개폐 조절구를 밀폐 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의 후면부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에 구성되는 수문의 전면판을 분리 시킨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에 구성되는 수문의 전면판과 어도 파이프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에 구성되는 수문의 전면판과 어도 파이프와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를 분리 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에 구성되는 수문의 전면판과 어도 파이프와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와 어도 조절실린더를 분리 시킨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에 구성되는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와 어도 조절실린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10 은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에 구성되는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와 어도 조절실린더의 결합 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기초콘크리트의 단면 사시도
다음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청구항 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어도개폐 조절구를 밀폐 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의 후면부 사시도 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에 구성되는 수문의 전면판을 분리 시킨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에 구성되는 수문의 전면판과 어도 파이프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에 구성되는 수문의 전면판과 어도 파이프와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를 분리 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에 구성되는 수문의 전면판과 어도 파이프와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와 어도 조절실린더를 분리 시킨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이며, 도9는 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에 구성되는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와 어도 조절실린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이고,
도10 은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에 구성되는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와 어도 조절실린더의 결합 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기초콘크리트의 단면 사시도 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하천을 가로 막아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1001) 상단에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1000)의 구조;
삭제
상기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1000)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1000)을 작동시켜주는 작동장치(910)와 결합되는 벽체 하우징(100)의 구조;
상기 작동장치(910)는 힌지 축(830)과 결합하여 구성되는 구조;
상기 작동장치(910)의 일측과 타측에 구성되는 상기 힌지축(830)의 후면부에는 내부 수문판(820)이 구성되는 구조;
상기 내부 수문판(820)의 하단부에는 가로 보강축(831)이 구성되는 구조;
상기 내부 수문판(820)의 사이사이에는 저층수 배출프레임(883)이 구성되는 구조;
상기 저층수 배출프레임(883)의 사이에는 제2 세로보강축(832)을 구성하되 상단부는 상기 내부 수문판(820)과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힌지축(830)과 원형 결합되는 구조;
상기 가로 보강축(831)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508)의 구조;
상기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508)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어도개폐 조절구(507)의 구조;
상기 어도개폐 조절구(507)는 어도 파이프(503)에 구성되는 물고기 이동용 출입구(505)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함과 함께;
상기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508)의 일측과 타측에 원형기어(501)와 결합되는 레크기어 가이드(509)의 구조; 상기 원형 기어(501)와 결합되는 레크기어(506)의 구조; 상기 레크기어(506)와 결합되는 어도 조절실린더(500)의 구조;
상기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508)의 일측과 타측에 원형기어(501)와 결합되는 레크기어 가이드(509)의 구조;
삭제
삭제
상기 어도 조절실린더(500)의 후면 끝단부는 상기 내부 수문판(820)과 힌지 결합되는 구조; 상기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508)의 외부에 어도 파이프(503)를 끼움식으로 덧대어 구성시킨후 상기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508)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과 상단면 부분과 후면부분을 상기 힌지 축(830)과 상기 가로보강축(831)과 상기 저층수 배출프레임(883)과 상기 제2 세로보강축(832)과 내부 수문판(820)을 연속 결합하여 구성시키는 어도 파이프(503)의 구조;
삭제
상기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508)의 외부에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상기 어도 파이프(503)에 다수개의 물고기 이동용 출입구(505)를 구성시키는 구조;
상기 어도 파이프(503)에 여러개 구성되는 상기 물고기 이동용 출입구(505)는 상기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508)에 구성되는 각각의 상기 어도개폐 조절구(507)에 의해 동시에 개폐 조절되어서 하천에 서식하는 물고기들과 저서류를 비롯하여 양서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작용함과 함께;
상기 어도 파이프(503)의 상단부와 상기 가로보강축(831)과 저층수 배출프레임(883)과 상기 제2 세로보강축(832)의 상단부에 수문의 전면판(800)을 덧대어서 저층수 배출통로(900)를 구성시키는 구조;
상기 수문의 전면판(800)에 각각 구성되는 다수개의 상기 저층수 배출프레임(883)의 상단부에 수문의 후면판 결합용 힌지(920)를 각각 구성시키는 구조;
상기 후면판 결합용 힌지(920)에 수문의 후면판(801)을 각각 결합시키는 구조;
상기 어도 조절 실린더(500)는 수시로 변하는 하천 수위에 따라 하천수가 많을 때 에는 상기 어도개폐 조절구(507)를 회전 시켜서 물고기 이동용 어도 출입구(505)를 개방 시켜 놓은 후 하천의 하류에 서식하는 물고기들이 하천의 상류로 이동하도록 작용시킴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과 퇴적오니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면서 가뭄철과 같은 갈수기에는 상기 어도 조절실린더(500)를 이용하여 상기 어도개폐 조절구(507)를 회전 시켜서 물고기 이동용 어도 출입구(505)를 밀폐시키도록 작용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1000)을 특징으로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를 제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은 하천수를 저장하면서 홍수시에는 개방하여 저장된 하천수를 방류하도록 작용하고 홍수가 끝다면 수문을 기립하여 하천수를 저장한 상태에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하천수의 수질이 악화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어도 조절 실린더(500)는 수시로 변하는 하천 수위에 따라 하천수가 많을 때 에는 상기 어도개폐 조절구(507)를 회전 시켜서 물고기 이동용 어도 출입구(505)를 개방 시켜 놓은 후 하천의 하류에 서식하는 물고기들이 하천의 상류로 이동하도록 작용시킴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과 퇴적오니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면서 가뭄철과 같은 갈수기에는 상기 어도 조절실린더(500)를 이용하여 상기 어도개폐 조절구(507)를 회전 시켜서 물고기 이동용 어도 출입구(505)를 밀폐시키도록 작용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1000)을 특징으로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를 제시한다
삭제
하천의 저층 부분에 포진하고 있는 비중이 무거운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주게 되면 여러가지 작용들에 의해 오염된 하천수가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하천수 속에 서식하는 물고기들과 생물들의 생태적 환경을 도와 줌으로 인해 자연생태계가 자연적으로 살아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천에 설치되는 수문들을 자동으로 작동하는 종합 컨트롤 시스템과 원격제어장치들과 결합하여 구성되는데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 또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자세히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가 수문의 전면판(8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유입구(893)을 통하여 유입된 후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100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통로(900)를 통하여 수문의 후면판(801)으로 배출되는 작용을 통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주는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수문의 전면판(800)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물고기 이동용 어도 출입구(505)를 통하여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연속적으로 배출하여주는 2중 배출작용을 이용하여 퇴적오니들과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하천의 하류방향으로 우선적으로 배출하여주는 2중 배출작용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을 정화시켜 주도록 작용한다.
삭제
한편 물고기 이동용 어도 출입구(505)를 통하여 유입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은 수문의 후면판(801)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이물질 역류 방지판(990)과 이동용 로울러(991)의 사이를 통하여 하천의 하류로 배출된다.
이물질 역류 방지판(990)과 이동용 로울러(991)의 상세 구조는 생략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략한 단면만 도시한다
다음은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1000)을 이용하여 하천수를 저장할 때에 수문의 내부에 보다더 많은 양의 하천수를 가두기 위한 기초콘크리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삭제
하천에 상류 측 기초 콘크리트(1001)를 역경사지게 구성하고 하류 측 기초콘크리트(1002)를 하천의 하류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하는 과정과;
하류 측 기초콘크리트(1001)의 상단부에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1000)을 설치한 후 홍수시에 하천의 상류에서 떠내려오는 모래 자갈들이 하천수가 흐르는 수류의 힘에 의해 상류 측 기초 콘크리트(1001)의 상부에 적층되지 못하고 하천의 하류 방향으로 쓸려 내려가도록 작용하는 역 방향 기초콘크리(1001)와 결합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1000)을 이용하여 하천의 내부에 보다 많은 양의 하천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역방향 기초콘크리트(1001)와 결합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1000)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제시한다.
기초콘크리틀 역 경사지게 구성하는 이유는 하천수가 홍수 시에 하천의 상류로 부터 유입 될 때에 강한 수압을 유지하면서 흘러 내려 오기 때문에 상류로 부터 유입되는 하천수가 수문과 부딪히게 되면 와류현상이 발생하면서 기초콘크리트의 하단부를 세굴시키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기초콘크리트를 파괴시키는 문제점들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세굴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수문이 설치되는 상류부분을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하여 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는 어도가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하천수를 저장하게 되면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 시켜줌으로 인해 하수처리장을 대규모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많은 예산을 절약하여주는 효과가 있다.
1001: 기초콘크리트 1000: 다기능 가동보 수문

Claims (2)

  1. 하천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수문과 수문을 작동시켜주도록 작용하는 작동장치와 결합되는 벽체 하우징의 구조; 상기 작동장치는 힌지 축으로 결합하여 구성되는 구조; 상기 작동장치의 일측과 타측에 구성되는 상기 힌지축의 후면부에는 내부 수문판이 구성되는 구조;
    상기 내부 수문판의 하단부에는 가로 보강축이 구성되는 구조;
    상기 내부 수문판의 사이사이에는 저층수 배출프레임이 구성되는 구조;
    상기 저층수 배출프레임의 중간 중간 상단부에 수문의 후면판 결합용 힌지을 구성시킨후 수문의 후면판을 결합시키는 구조;수문의 전면판 하단부에 구성되는 저층수 유입구가 구성되는 구조; 기 저층수 배출프레임의 사이에는 제2 세로보강축이 상기 힌지축과 원형 결합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에 있어서
    하천을 가로 막아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의 상단에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의 구조;
    상기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작동시켜주는 작동장치와 결합되는 벽체 하우징의 구조;
    상기 작동장치는 힌지 축과 결합하여 구성되는 구조;
    상기 작동장치의 일측과 타측에 구성되는 상기 힌지축의 후면부에는 내부 수문판이 구성되는 구조;
    상기 내부 수문판의 하단부에는 가로 보강축이 구성되는 구조;
    상기 내부 수문판의 사이사이에는 저층수 배출프레임이 구성되는 구조;
    상기 저층수 배출프레임의 사이에는 제2 세로보강축을 구성하되 상단부는 상기 내부 수문판과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힌지축과 원형 결합되는 구조;
    상기 가로 보강축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의 구조;
    상기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어도개폐 조절구의 구조; 상기 어도개폐 조절구는 어도 파이프에 구성되는 물고기 이동용 출입구를 개폐시켜서 저장된 하천수를 방류하거나 하천수를 저수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하천에 서식하는 물고기들과 저서류와 양서류의 이동을 도와주는 작용을 함과 함께;
    상기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의 일측과 타측에 원형기어와 결합되는 레크기어 가이드의 구조; 상기 원형 기어와 결합되는 레크기어의 구조; 상기 레크기어와 결합되는 어도 조절실린더의 구조;
    상기 어도 조절실린더의 후면 끝단부는 상기 내부 수문판과 힌지 결합되는 구조 ;
    상기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의 외부에 어도 파이프를 끼움식으로 덧대어 구성시킨후 상기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과 상단면 부분과 후면부분을 상기 힌지 축과 상기 가로보강축과 상기 저층수 배출프레임과 상기 제2 세로보강축과 내부 수문판을 연속 결합하여 구성시키는 어도 파이프의 구조 ;
    상기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의 외부에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상기 어도 파이프에 다수개의 물고기 이동용 출입구를 구성시키는 구조 ;
    상기 어도 파이프에 여러개 구성되는 상기 물고기 이동용 출입구는 상기 회전식 어도 개폐 파이프에 구성되는 각각의 상기 어도개폐 조절구와 회전가능한 힌지식으로 결합 구성되어 상기 어도 조절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조절되는
    상기 어도 개폐 조절구의 개폐동작에 따라 하천수를 저장하거나 방류하는 작용을 하면서 동시에 하천에 서식하는 물고기들과 저서류를 비롯하여 양서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작용함과 함께;
    상기 어도 파이프의 상단부와 상기 가로보강축과 저층수 배출프레임과 상기 제2 세로보강축의 상단부에 수문의 전면판을 덧대어서 저층수 배출통로를 구성시키는 구조;
    상기 수문의 전면판에 각각 구성되는 다수개의 상기 저층수 배출프레임의 구조;
    상기 저층수 배출프레임의 상단부에 수문의 후면판 결합용 힌지를 각각 구성시키는 구조;
    각각의 상기 후면판 결합용 힌지에 수문의 후면판을 결합시키는 구조;
    상기 어도 조절 실린더는 수시로 변하는 하천 수위에 따라 하천수가 많을 때 에는 상기 어도개폐 조절구를 회전 시켜서 물고기 이동용 어도 출입구를 개방 시켜 놓은 후 하천의 하류에 서식하는 물고기들이 하천의 상류로 이동하도록 작용시킴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과 퇴적오니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면서 가뭄철과 같은 갈수기에는 상기 어도 조절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어도개폐 조절구를 회전 시켜서 물고기 이동용 어도 출입구를 밀폐시키도록 작용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특징으로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
  2. 1항에 있어서
    하천에 상류 측 기초 콘크리트를 역경사지게 구성하고 하류 측 기초콘크리트를 하천의 하류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하는 과정과 ;
    하류 측 기초콘크리트의 상단부에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설치한 후 홍수시에 하천의 상류에서 떠내려오는 모래 자갈들이 하천수가 흐르는 수류의 힘에 의해 상류 측 기초콘크리트의 상부에 적층되지 못하고 하천의 하류 방향으로 쓸려 내려가도록 작용하는 역방향 기초콘크리트와 결합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하천의 내부에 보다 많은 양의 하천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역 방향 기초콘크리트와 결합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

KR1020150085481A 2014-06-16 2015-06-16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 KR101577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511A KR20140083959A (ko) 2014-06-16 2014-06-16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는 어도가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20140072511 2014-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161A KR20150087161A (ko) 2015-07-29
KR101577938B1 true KR101577938B1 (ko) 2015-12-17

Family

ID=517342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511A KR20140083959A (ko) 2014-06-16 2014-06-16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는 어도가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20150085481A KR101577938B1 (ko) 2014-06-16 2015-06-16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511A KR20140083959A (ko) 2014-06-16 2014-06-16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는 어도가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400839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148A (ko) 2019-02-12 2020-08-20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친환경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기생산수단 및 하천수 정화수단
KR20210157716A (ko) 2020-06-22 2021-12-29 한상관 대량의 하천수를 저장하여 인공양어장을 조성함과 동시에 미세먼지 발생량을 줄여주도록 유도시켜서 대기중의 오염된 공기를 개선시킴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 분자를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저수시스템을 이용하여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면서 저수지, 호수,댐, 석호,하천,강의 수질을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091B1 (ko) 2013-11-28 2014-04-04 김경현 상하류 단차를 최소화한 개량형 전도식 가동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091B1 (ko) 2013-11-28 2014-04-04 김경현 상하류 단차를 최소화한 개량형 전도식 가동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148A (ko) 2019-02-12 2020-08-20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친환경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기생산수단 및 하천수 정화수단
KR20210157716A (ko) 2020-06-22 2021-12-29 한상관 대량의 하천수를 저장하여 인공양어장을 조성함과 동시에 미세먼지 발생량을 줄여주도록 유도시켜서 대기중의 오염된 공기를 개선시킴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 분자를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저수시스템을 이용하여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면서 저수지, 호수,댐, 석호,하천,강의 수질을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959A (ko) 2014-07-04
KR20150087161A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804B1 (ko)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에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구축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KR102219449B1 (ko) 친환경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어족자원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녹조 발생을 방지시켜 주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친환경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대형 빗물 저류조 역활을 수행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여 줌과 동시에 하천, 강, 호수, 댐, 저수지에 저수되어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
KR102187983B1 (ko) 녹조를 발생시키지 못하도록 작용하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이용하여 친환경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인공양어장 기능을 발휘시켜서 어족자원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대형 빗물 저류조 역활을 수행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여 주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하천, 강에 흐르는 하천수와 호수, 댐, 저수지에 저수되어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작용하는 녹조 발생 방지용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공법
KR20130034656A (ko) 하천수를 저장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권양기 수문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력 생산기 겸용 이물질제거용 권양기 수문
KR100912792B1 (ko)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공법 및 여기에 적용되는 무정전 수문 작동 시스템.
KR100920268B1 (ko)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 분자를 우선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1577938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
KR102409518B1 (ko) 대량의 하천수를 저장하여 인공양어장을 조성함과 동시에 미세먼지 발생량을 줄여주도록 유도시켜서 대기중의 오염된 공기를 개선시킴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 분자를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저수시스템을 이용하여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면서 저수지, 호수,댐, 석호,하천,강의 수질을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공법
KR20090079272A (ko)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수문의 구성방법
KR20060118389A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20080097368A (ko)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수문의 구성방법
KR20130067480A (ko)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는 주는 저층수 배출통로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배출함과 동시에 물질분자별로 자동 분리되는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2유입구와 4개의 배출구로 오염된 하천수를 분리 배출시키는 공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친환경 수질정화 시스템
KR20090040413A (ko) 저수지 또는 수중보 또는 고무보의 저수공간에 저수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키는 공법
KR100919318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는 수문 시스템
KR101811192B1 (ko) 어도를 형성시켜 주면서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 되는 물질새치기 작용과 물질밀림작용과 물질분리작용을 강제적으로 발생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하천수 정화기능을 발휘하는 친환경 공법.
KR20140062438A (ko) 어도를 형성시켜 하천생태계를 자연적으로 살려내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10006845A (ko) 어도를 형성시켜 주면서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분리작용을 유도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20090060968A (ko) 대용량의 물을 저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방법 및 여기에 적용되는 수문을 제조하는 방법
KR20140062451A (ko) 자동 어도가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1050966B1 (ko) 어도를 형성함과 동시에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분리작용을 유도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1028992B1 (ko) 저장수의 하층부에 포진하고 있는 깨끗한 물을 우선적으로 배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수질이 되도록 정화시켜주는 방법
KR20130092642A (ko) 하천의 전단면 전체를 가로막도록 장스판으로 구성되는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켜 주면서 어도를 형성시켜 줌과 동시에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 되는 물질새치기 작용과 물질밀림작용과 물질분리작용을 강제적으로 발생시켜서 오염된 하천수 정화기능을 발휘시키는 친환경 공법.
KR20110071054A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 시스템
KR102548010B1 (ko) 산불진화용 하천수 저장고 기능과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인공양어장 기능을 발휘시켜서 어족자원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대형 빗물 저류조 역활을 수행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여 주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하천, 강에 흐르는 하천수와 호수, 댐, 저수지에 저수되어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작용하는 녹조 발생 방지용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102562679B1 (ko) 녹조를 발생시키지 못하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전기시스템과 양수 발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어도를 이용하여 수산자원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대형 빗물 저류조 역할을 수행하여 홍수피해를 예방하여 주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하천, 강에 흐르는 하천수와 호수, 댐, 저수지에 저수되어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작용하는 어도 겸용 녹조 발생 방지용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