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791Y1 - 닻자망용 종대 - Google Patents

닻자망용 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791Y1
KR200489791Y1 KR2020190001097U KR20190001097U KR200489791Y1 KR 200489791 Y1 KR200489791 Y1 KR 200489791Y1 KR 2020190001097 U KR2020190001097 U KR 2020190001097U KR 20190001097 U KR20190001097 U KR 20190001097U KR 200489791 Y1 KR200489791 Y1 KR 200489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ain body
wire fastening
coupling member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석
Original Assignee
(주)신양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양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신양이엔지
Priority to KR2020190001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체형으로 고강도 압축성형되고 스틸도금되어 형성되어 T자 형상으로 금형제작되되, 와이어 안착부가 연통 형성되며 양측 종단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는 와이어 체결부가 형성된 와이어 결합부재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은 캡으로 마감처리되고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에 인접하여 단차영역이 형성된 파이프 결합부재로 각각 구성되는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 및 FRP로 인발성형되는 고강도 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상단와이어 체결본체와 상기 하단와이어 체결본체 사이에 결합 형성되되,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의 해당 단차영역까지 삽입되어 측면으로부터 리벳팅과 관통핀에 의해 결합되고, 내측공간은 상기 캡에 의해 밀폐되어 수밀상태를 유지하는 종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와 상기 종대본체의 결합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단차영역에 실런트가 도포되어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와 상기 종대본체가 상호 밀폐되어서, 종대본체 내부로의 염수침투를 차단하여 부식발생을 억제하여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구조강도를 높이면서도 경량화하여서 닻자망의 수거시 부상을 쉽게 하도록 하고 작업효율을 높이고 고하중으로 인한 설치시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닻자망용 종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닻자망용 종대{Column for Fishing Net}
본 고안은 닻자망용 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대본체 내부로의 염수침투를 차단하고 내부침투시에도 부식발생을 억제하여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구조강도를 높이면서도 경량화하여서 닻자망의 수거시 부상을 쉽게 하도록 하고 작업효율을 높이고 고하중으로 인한 설치시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닻자망용 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의 해저면에서 꽃게의 어패류는 닻자망어선의 닻자망을 통해 조업을 하게 되는데, 조류에 의해 닻자망이 소실되거나 파손되어 경제적 부담을 주고 소실된 어구는 해상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한편, 닻자망의 강도를 보완하고자,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529호의 힘줄 자망 또는 PL-GNET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뜸을 포함하는 뜸줄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발돌을 포함하는 발줄과, 뜸줄 및 발줄 사이에 결합되는 속그물로 이루어지되, 속그물의 전면 및 후면에 속그물에 수직하는 힘줄이 일정간격 이격되어서, 속그물의 장력을 보강하고자 한다.
하지만, 힘줄과 중간매듭에 의해서는, 조류변동이 심한 해역에서는 조류에 의한 그물살과 속그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등록특허공보 제10-15599232호의 자망구조는, 부구가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관통 결합되는 뜸줄,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는 발줄, 뜸줄과 발줄 사이에 일정한 그물코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그물, 및 그물의 양측에 뜸줄과 발줄을 연결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그물의 장력을 보강하기 위한 힘줄을 포함하여, 힘줄의 중간부와 직결매듭으로 고정되게 결속되어서, 그물은 수중에 전개시 발줄 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일정한 그물코를 형성하고자 한다.
하지만, 여전히, 직결매듭에 의해서는, 조류변동이 심한 해역에서는 조류에 의한 그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없다.
이에, 힘줄 또는 직결매듭을 대체하여, 조류변동이 심한 해역에서도 닻자망 조업이 가능하도록, 반영구적이며 경량화하고 염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닻자망 조업용 종대에 대한 기술 개선이 요구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529호 (힘줄 자망 또는 PL-GNET, 2005.11.21) 등록특허공보 제10-15599232호 (자망구조, 2016.03.03)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류변동이 심한 해역에서도 닻자망 조업이 가능하도록, 반영구적이며 경량화하고 염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닻자망용 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일체형으로 고강도 압축성형되고 스틸도금되어 형성되어 T자 형상으로 금형제작되되, 저면에는 닻자망의 와이어가 안착되는 반구형상의 와이어 안착부가 연통 형성되며 양측 종단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는 호형상으로 형성된 와이어 체결부가 형성된 와이어 결합부재와,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은 캡으로 마감처리되고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에 인접하여 단차영역이 형성된 파이프 결합부재로 각각 구성되는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 및 FRP로 인발성형되는 고강도 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상단와이어 체결본체와 상기 하단와이어 체결본체 사이에 결합 형성되되,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의 해당 파이프 결합부재가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의 해당 단차영역까지 삽입되어 측면으로부터 리벳팅에 의해 결합되며, 관통핀에 의해 상기 체결본체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내측공간은 상기 캡에 의해 밀폐되어 수밀상태를 유지하는 종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와 상기 종대본체의 결합시, 결합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단차영역에 실런트가 도포되어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와 상기 종대본체가 상호 밀폐되고, 상기 상단와이어 체결본체는 부표와 연결되는, 닻자망용 종대를 제공하여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대본체는 에폭시수지 코팅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안착부에 안착되는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체결부에 결합하는 와이어체결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체결부의 상면에는 상기 와이어체결구의 유동을 고정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체결구는 로프 또는 유클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와 상기 종대본체의 결합시, 상기 단차영역에는 실링링이 개재되어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와 상기 종대본체가 상호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결합부재의 마감캡으로부터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여 상기 종대본체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와 상기 종대본체가 나사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닻자망의 와이어를 따라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와 결합된 종대본체가 일렬로 배치되고, 최외곽 상단와이어 체결본체에는 주부표가 연결되며, 중간 상단와이어 체결본체에는 보조부표가 연결되고, 상기 닻자망의 와이어의 종단에는 해저고정용 닻이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종대본체 내부로의 염수침투를 차단하여 중량을 줄이면서 부식발생을 억제하고 FRP로 구성하여 내부침투시에도 부식발생을 억제하여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류에 의한 피로도 누적에 따른 절단을 예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악, 구조강도를 높이면서도 경량화하여서 해수면상으로의 부상을 쉽게 하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이고, 고하중으로 인한 설치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선상에서의 수거작업시 작업자의 부상위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닻자망용 종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닻자망용 종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닻자망용 종대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닻자망용 종대의 와이어 체결본체의 변형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닻자망용 종대에 의한 닻자망 와이어와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닻자망용 종대의 적용예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닻자망용 종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닻자망용 종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도 1의 닻자망용 종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의 닻자망용 종대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1의 닻자망용 종대의 와이어 체결본체의 변형예를 예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1의 닻자망용 종대에 의한 닻자망 와이어와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의 닻자망용 종대의 적용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닻자망용 종대는, 전체적으로, 스틸 도금되고, 와이어 결합부재(110)와 파이프 결합부재(120)로 구성되어 T자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100A,100B), 및 FRP로 구성되고,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100A,100B)와 리벳팅에 의해 결합되는 종대본체(200)로 구성되어, 종대본체(200) 내부로의 염수침투를 차단하고 부식발생을 억제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구조강도를 높이면서도 경량화하여 작업효율을 높이고 설치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우선,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100A,100B)는 T자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고강도 압축성형되어 금형제작되고 스틸도금되어 형성되되, 와이어 결합부재(110)와, 파이프 결합부재(120)로 각각 구성된다.
예컨대, 와이어 결합부재(110)의 저면에는 닻자망의 와이어(W)가 안착되는 반구형상의 와이어 안착부(111)가 연통 형성되며, 양측 종단에는 스토퍼(112)가 호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는 호형상으로 형성된 와이어 체결부(1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와이어(W)는 와이어 안착부(111)에 안착되고, 와이어 체결부(113)에 결합되는 와이어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체결구는 로프(rope) 또는 유클립(U-clip)(1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체결부(113)의 상면에는 와이어체결구가 인입되어 와이어체결구의 유동을 고정하는 고정홈(115)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파이프 결합부재(120)는 와이어 결합부재(110)의 중앙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2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은 캡(121)으로 마감처리되고 와이어 결합부재(110)에 인접하여 단차영역(122)이 형성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100A,100B)는 스틸도금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서, 염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서 조류에 의한 피로도 누적에 따른 절단을 억제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종대본체(200)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섬유강화 플라스틱)로 인발성형되어 형성되는 고강도 파이프이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대본체(2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와이어 체결본체(100A)와 하단와이어 체결본체(100B) 사이에 결합 형성되되,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100A,100B)의 해당 파이프 결합부재(120)가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100A,100B)의 해당 단차영역(122)까지 삽입되어 측면으로부터 리벳팅(riveting)에 의해 결합되고, 내측공간은 캡(121)에 의해 밀폐되어 방수상태 또는 수밀상태를 유지하여서, 종대본체(200)를 경량화하여서, 작업중 고하중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관통핀(미도시)에 의해, 체결본체(100A,100B)와 종대본체(200)를 관통 체결하여서, 체결본체(100A,100B)와 종대본체(200)의 결합강도를 보다 높일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100A,100B)와 종대본체(200)의 결합시, 결합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파이프 결합부재(120)의 단차영역(122)에 실런트(sealant)(123)가 도포되어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100A,100B)와 종대본체(200)가 상호 밀폐되어서, 종대본체(200) 내부로의 염수침투를 차단하여 닻자망의 수거시 해수면상으로의 부상을 쉽게 하도록 하고, 선상에서의 수거작업시 작업자의 부상위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종대본체(200)는 에폭시수지 코팅처리 되어서,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100A,100B)와 종대본체(200)의 결합면을 수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100A,100B)와 종대본체(200)의 결합시, 단차영역(122)에는 실링링(124)이 개재되어서,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100A,100B)와 종대본체(200)가 상호 밀폐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결합부재(120)의 마감캡(121)으로부터 나사산(125)이 형성되고, 나사산(125)에 대응하여 종대본체(200) 내측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서,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100A,100B)와 종대본체(200)가 나사체결되어 상호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와이어 체결본체(100A)는 부표(300)와 연결되어 종대본체(200)가 수중에서 직립하도록 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닻자망의 와이어(W)를 따라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100A,100B)와 결합된 종대본체(200)가 일렬로 다수 배치되고, 종대본체(200) 사이에는 와이어(W)에 결합된 그물코가 형성된 자망이 형성된다.
또한, 최외곽 상단와이어 체결본체(100A)에는 주부표(310)가 연결되며, 중간 상단와이어 체결본체(100A)에는 보조부표(320)가 연결되고, 해저면에 닿는 닻자망의 와이어(W)의 종단에는 해저고정용 닻(400)이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물성시험을 통해 측정된 기존의 철제 종대본체와, 본 고안에 의한 FRP로 인발성형되는 종대본체의 강도를 상호 비교하면 다음의 표1과 같다.
철제 종대본체의 외경은 76.3mm이며, 내경은 69.3mm이며, 두께는 3.5mm이고, FRP 종대본체의 외경은 80.0mm이며, 내경은 68.0mm이며, 두께는 6.0mm이고, 코팅후 외경은 81.0mm이다.
철제 종대본체 FRP 종대본체
인장강도 50,800psi 33,000psi
인장강도 비교 1.54 : 1
관성 2차모멘트 53.1 96.06
관성 2차모멘트 비교 1 : 1.809
중량 6.54kg/m 2.65kg/m
중량 비교 1 : 0.41
여기서, 관성 2차모멘트는 수식 3.14 * (D4 - d4)/64에 의해 산출되되, D는 외경이고 d는 내경이다.
이에, 본 고안의 FRP 종대본체는 기존의 철제 종대본체에 비해 17.5%의 구조강도 향상을 보이면서 41%의 중량을 가져 경량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닻자망용 종대의 구성에 의하면, 종대본체 내부로의 염수침투를 차단하여 중량을 줄이면서 부식발생을 억제하고 FRP로 구성하여 내부침투시에도 부식발생을 억제하여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며, 조류에 의한 피로도 누적에 따른 절단을 예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고, 구조강도를 높이면서도 경량화하여서 해수면상으로의 부상을 쉽게 하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이고, 고하중으로 인한 설치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선상에서의 수거작업시 작업자의 부상위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장치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A,100B :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 110 : 와이어 결합부재
111 : 와이어 안착부 112 : 스토퍼
113 : 와이어 체결부 114 : 유클립
115 : 고정홈 120 : 파이프 결합부재
121 : 캡 122 : 단차영역
123 : 실런트 124 : 실링링
125 : 나사산 200 : 종대본체
300 : 부표 310 : 주부표
320 : 보조부표 400 : 닻
W : 와이어

Claims (8)

  1. 일체형으로 고강도 압축성형되고 스틸도금되어 형성되어 T자 형상으로 금형제작되되, 저면에는 닻자망의 와이어가 안착되는 반구형상의 와이어 안착부가 연통 형성되며 양측 종단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는 호형상으로 형성된 와이어 체결부가 형성된 와이어 결합부재와,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은 캡으로 마감처리되고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에 인접하여 단차영역이 형성된 파이프 결합부재로 각각 구성되는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 및
    FRP로 인발성형되는 고강도 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상단와이어 체결본체와 상기 하단와이어 체결본체 사이에 결합 형성되되,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의 해당 파이프 결합부재가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의 해당 단차영역까지 삽입되어 측면으로부터 리벳팅에 의해 결합되며, 관통핀에 의해 상기 체결본체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내측공간은 상기 캡에 의해 밀폐되어 수밀상태를 유지하는 종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와 상기 종대본체의 결합시, 결합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단차영역에 실런트가 도포되어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와 상기 종대본체가 상호 밀폐되고, 상기 상단와이어 체결본체는 부표와 연결되는, 닻자망용 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대본체는 에폭시수지 코팅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닻자망용 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착부에 안착되는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체결부에 결합하는 와이어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닻자망용 종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체결부의 상면에는 상기 와이어체결구의 유동을 고정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닻자망용 종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체결구는 로프 또는 유클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닻자망용 종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와 상기 종대본체의 결합시, 상기 단차영역에는 실링링이 개재되어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와 상기 종대본체가 상호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닻자망용 종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결합부재의 마감캡으로부터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여 상기 종대본체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단 및 하단와이어 체결본체와 상기 종대본체가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닻자망용 종대.
  8. 삭제
KR2020190001097U 2019-03-18 2019-03-18 닻자망용 종대 KR200489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97U KR200489791Y1 (ko) 2019-03-18 2019-03-18 닻자망용 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97U KR200489791Y1 (ko) 2019-03-18 2019-03-18 닻자망용 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791Y1 true KR200489791Y1 (ko) 2019-08-09

Family

ID=6758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097U KR200489791Y1 (ko) 2019-03-18 2019-03-18 닻자망용 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91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436U (ja) * 2002-03-07 2002-09-13 有限会社寺本商店 網枠固定具
KR200401529Y1 (ko) 2005-09-02 2005-11-21 이승열 힘줄 자망 또는 p.l-g.net
KR100789844B1 (ko) * 2007-10-23 2007-12-28 (주)원건축사사무소 수직망 겸용 건축현장용 추락방지망
KR101599232B1 (ko) 2015-05-21 2016-03-03 (주)용진산업 자망 구조
KR20190042941A (ko) * 2017-10-17 2019-04-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그물망을 이용한 수생생물의 이동경로 변경에 의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436U (ja) * 2002-03-07 2002-09-13 有限会社寺本商店 網枠固定具
KR200401529Y1 (ko) 2005-09-02 2005-11-21 이승열 힘줄 자망 또는 p.l-g.net
KR100789844B1 (ko) * 2007-10-23 2007-12-28 (주)원건축사사무소 수직망 겸용 건축현장용 추락방지망
KR101599232B1 (ko) 2015-05-21 2016-03-03 (주)용진산업 자망 구조
KR20190042941A (ko) * 2017-10-17 2019-04-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그물망을 이용한 수생생물의 이동경로 변경에 의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9962A (en) Center-Spar fish pen
EP2787806B1 (en) Floating element and method of forming a buoyancy system
CN205213858U (zh) 活节式刚柔结合自系泊张力腿式抗风浪网箱
KR200489791Y1 (ko) 닻자망용 종대
CN104756904A (zh) 一种模块化拼装的铜合金拉伸网网箱及其装配方法
CN106305560A (zh) 一种具有消能作用的网箱锚链系统
US3126860A (en) shepperton
CN217337025U (zh) 一种海水鱼养殖网箱
Gates et al. South Pacific Commission Fish Aggregating Device (FAD) Manual-Volume II: Rigging deep-water FAD moorings
US20150259041A1 (en) Small boat sea anchor
CN205213845U (zh) 自系泊刚柔结合型的张力腿式网箱
US4925709A (en) Net of plastic rings connected by connector means
KR101634357B1 (ko) 어구 유실 저감형 부이
KR101707936B1 (ko)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EP3625118B1 (en) Buoy comprising light weight armature for weight transfer
JPS6215303Y2 (ko)
CN204968927U (zh) 自系泊浮管加固混合型的张力腿结构hdpe网箱
CN204968951U (zh) 混合式网囊的张力腿式hdpe
NO20150859A1 (en) Mooring system
JP2812643B2 (ja) 浮漁礁
KR102602797B1 (ko)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JP2843817B2 (ja) 仕切り網装置
KR102511154B1 (ko) 어업용 장력유지식 부표시스템
RU224884U1 (ru) Садок рыбоводный
KR102155298B1 (ko) 테트라포드 제조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테트라포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