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361B1 -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361B1
KR102002361B1 KR1020180170670A KR20180170670A KR102002361B1 KR 102002361 B1 KR102002361 B1 KR 102002361B1 KR 1020180170670 A KR1020180170670 A KR 1020180170670A KR 20180170670 A KR20180170670 A KR 20180170670A KR 102002361 B1 KR102002361 B1 KR 102002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rface
resin
glass
polyvinyl acetal
res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398A (ko
Inventor
김혜진
연제원
정성진
김홍식
김규훈
이학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0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3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실시예는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상기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합판 유리, 및 상기 합판 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층은 유리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의 Rz 조도가 25 내지 90 ㎛이고, 상기 접촉면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가 40℃에서 1.05 내지 1.80이거나, 45℃에서 1.20 내지 2.10이고, 35℃에서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압축 탄성 변형 지수가 40 내지 310 ㎛/N이다.

Description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RESIN FILM FOR LAMINATED GLASS, LAMINATED GLASS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GLASS}
실시예는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상기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합판 유리, 및 상기 합판 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쌍의 유리 패널과 이들 패널 사이에 삽입된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합판 유리는 파손 시에도 그 파편이 비산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이 뛰어나, 자동차와 같은 차량 및 빌딩의 창유리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합판 유리는 파편의 비산 방지 성능뿐만 아니라 차음 성능 또한 요구된다. 상기 차음 성능은 주파수 의존 투과 손실로 나타내는데, 구체적으로, JIS A 4708은 500 ㎐ 이상의 임의의 주파수 값에서의 투과 손실에 따라 각각을 차음 등급으로 상세화한다.
종래 합판 유리는 비산방지 효과는 양호하지만, 2,000 ㎐ 부근 주파수 영역에서 일치 효과(coincident effect)에 의해 차음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일치 효과는 음파가 유리판에 입사할 때, 유리판의 강성과 관성에 의해 유리 표면에 횡파가 전파하여, 횡파와 입사 음파 사이의 공명이 소리의 투과를 야기하여 발생하는 효과이다.
한편, 등 라우드네스 곡선(equivalent loudness curve)에 따르면, 인간의 귀는 다른 범위의 주파수에 비해 1,000 내지 6,000 ㎐ 범위의 주파수에서 현저히 높은 감도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일치 효과에 의한 차음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차음성 향상에 있어서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합판 유리의 차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일치 효과로부터 일어나는 투과 손실의 최소 부분에서의 차음 성능 저하를 막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투과 손실의 최소 부분에서의 차음 성능 저하를 막기 위해, 합판 유리 질량의 증가, 다층 합판 유리 구성, 합판 유리 면적의 분할 및 합판 유리 지지 구조의 향상 등과 같은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렇지만, 이들 방법은 효과가 충분하지 않으며, 제조비용의 증가로 인해 상업적 가치는 낮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차음 성능에 관한 기준은 최근에 점점 더 엄격해지고 있으며, 특히 건축용 창유리의 경우, 실온 부근에서 높은 차음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합판 유리는 저온 영역에서부터 고온 영역까지의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주위 온도가 변하더라도, 양호한 차음 성능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의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 만든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된 합판 유리는 차음 성능을 나타내는 최대 온도가 실온 이상이며, 실온 주위에서의 차음 성능은 빈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호한 차음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가 있지만, 수지 필름이 너무 부드러워져, 합판 유리를 제작하기 위해 유리 패널과 조합될 때, 패널 전단, 발포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구체적으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2-229742호는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하인 고분자 막, 예를 들면 비닐클로라이드-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과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막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막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분자 막은 JIS A 4706에 따른 차음 성능 등급에서 Ts-35 이상의 차음 성능을 나타낼 수 없고, 차음 성능을 나타내는 온도 범위가 제한되어 넓은 온도 범위에서 양호한 차음 성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소51-106190호는 유리 전이 온도가 상이한 2종 이상의 수지를 적층하여 제작됨으로써, 넓은 온도 범위에서 제진성을 가지는 구성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체가 차음 성능, 투명성과 같은 합판 유리에서 요구되는 성질을 갖는지 명백하지 않으며, 안전 유리로서 필요한 높은 충격 에너지 흡수성, 유리 파손시의 비산 방지 등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2-22974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소51-106190호
실시예의 목적은 합판 유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합판 유리를 효과적으로 얼라인할 수 있도록, 작업성이 향상된 수지 필름, 합판 유리 및 합판 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층은 유리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의 Rz 조도가 25 내지 90 ㎛이고, 상기 접촉면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가 20℃에서 0.85 내지 1.60이고, 35℃에서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기의 수학식 1의 압축 탄성 변형 지수가 40 내지 310 ㎛/N이다.
[수학식 1]
압축 탄성 변형 지수 = d/F
이때, F는 끝이 평평하고 직경이 4㎜인 팁(tip)으로 상기 접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으로서, 0.05 내지 0.6 N이며, 상기 d는 상기 팁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압축 변형된 깊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합판 유리는 제1 스킨층, 중간 수지층 및 제2 스킨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이 각각 유리에 직접 접촉하는 제1 접촉면 또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이 각각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 각각의 Rz 조도가 25 내지 90 ㎛이고, 상기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 각각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가 20℃에서 0.85 내지 1.60이고, 35℃에서 상기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 각각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기의 수학식 1의 압축 탄성 변형 지수가 40 내지 310 ㎛/N이다.
[수학식 1]
압축 탄성 변형 지수 = d/F
이때, F는 끝이 평평하고 직경이 4㎜인 팁(tip)으로 상기 접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으로서, 0.05 내지 0.6 N이며, 상기 d는 상기 팁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압축 변형된 깊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합판 유리는 제1 유리 패널; 상기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및 제2 유리 패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합판 유리의 제조방법은 (1) 제1 유리 패널 상에 상기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2) 상기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상에 제2 유리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2 유리 패널을 상기 제1 유리 패널을 기준으로 얼라인(align)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수지 필름은 유리와 접촉하는 접촉면에서 소정의 조도를 가지고, 35℃에서 적절한 압축 탄성 변형 지수를 가진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수지 필름의 접촉면은 소정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를 갖는다.
상기 수지 필름의 접촉면에 유리 패널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수지 필름의 적절한 조도와 적절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로 인하여, 적당히 미끄러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예에 따른 합판 유리의 제조 공정 중, 예비 접합 과정에서 제1 유리 패널 및 제2 유리 패널이 용이하게 얼라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필름이 적당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제1 유리 패널 및 상기 제2 유리 패널이 얼라인 된 후, 이송 과정에서 상기 제1 유리 패널 및 상기 제2 유리 패널이 틀어지지 않는다. 이에, 실시예에 따른 수지 필름 및 합판 유리의 제조방법은 향상된 작업성을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압축 탄성 변형 지수를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 내지 7은 실시예에 따른 합판 유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판 유리로 이루어진 윈드 쉴드가 장착된 자동차에 대한 사시도이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패널, 필름, 층, 또는 유리 등이 각 패널, 필름, 층, 또는 유리 등의 "상(on)"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10)은 수지층(100)을 포함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수지 필름은 상기 수지층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유리에 직접 접촉하여 접합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수지층의 상하면에 유리가 각각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1 수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상기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특정의 아세틸기량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내지 4이고, 아세틸기량이 4 몰% 이하이고, 아세탈화도가 40 몰% 이상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틸기량이 0.1 내지 3 몰%, 또는 0.1 내지 2 몰%이고, 아세탈화도가 40 내지 85 몰%, 또는 46 내지 64 몰%일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틸기량은,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아세탈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과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뺀 값을,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 분율을 백분율(몰%)로 나타낸 값이다. 아세탈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 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기량이 4 몰% 초과할 경우, 제조된 수지 필름의 차음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주쇄의 에틸렌기에 아세탈기, 아세틸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용해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10 내지 20℃로 유지한 후, 알데히드와 촉매를 가하고 아세탈화 반응을 진행시켜 반응액을 수득한 후, 반응액을 40 내지 60℃로 유지한 후에 중화, 수세, 건조 등의 공정을 거쳐 분말 상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제조원료인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500 내지 5,000, 또는 1,000 내지 2,5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가 500 미만이면, 제조된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저하될 수 있고, 5,000을 초과하면, 제조된 합판 유리의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적용 분야가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중합도 1,000 내지 1,300의 폴리비닐알코올 5 내지 15 중량%, 중합도 1,500 내지 1,900의 폴리비닐알코올 70 내지 85 중량%, 및 중합도 2,000 내지 2,500의 폴리비닐알코올 8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혼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내지 4인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가 3 내지 4인 프로피온 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및 이소부틸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 각 층간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는 n-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27,000 내지 350,000, 200,000 내지 330,000, 또는 250,000 내지 330,000일 수 있다.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7,000 미만일 경우, 제조된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저하될 수 있고, 350,000을 초과할 경우, 제조된 합판 유리의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사용 분야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의 블록화도가 0.15 내지 0.40, 또는 0.20 내지 0.35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기의 블록화도가 0.15 미만일 경우, 제조된 합판 유리의 차음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0.40을 초과할 경우, 수지의 아세탈화도가 저하되어 제조된 합판 유리의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의 블록화도가 0.15 내지 0.4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화하여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높은 랜덤성을 갖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할 경우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수지 필름을 제조할 경우 유동성이 좋고 소리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열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수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OH 함량은 5 내지 60 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OH 함량은 15 내지 60 몰%, 5 내지 50 몰%, 36 내지 54 몰%일 수 있다.
이외에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 2종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혼합한 혼합물, 또는 전 아세탈기량에 대하여 30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알데히드 이외의 알데히드를 병용하여 아세탈화를 진행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가소제
상기 가소제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일염기산 에스테르, 다염기산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유기 인산계, 유기 아인산계 등의 인산계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염기산 에스테르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 화합물이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론산, 2-에틸부티르산, 헵탄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펠라르곤산(n-노닐산), 데실산 등의 유기산과 반응하여 얻어진 글리콜계 에스테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염기산 에스테르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소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로네이트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다염기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상 또는 분자상 알코올이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인산 등의 유기산과 반응하여 얻어진 에스테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염기산 에스테르는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및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인산계 가소제는, 예를 들어,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필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50 중량부, 20 내지 40 중량부, 또는 25 내지 40 중량부일 수 있다.
첨가제
상기 제1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열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 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 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아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토키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도데실옥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술퍼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에틸-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 예를 들어, 라우릴 황산나트륨, 알킬벤젠술폰산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예를 들어, 힌더드 아민계 또는 금속 착염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힌더드 아민계로는, 예를 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세바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시판품으로는, Sanol LS-770, Sanol LS-765, Sanol LS-2626, Chimassob 944LD, Thinuvin-622 LD, Mark LA-57, Mark LA-77, Mark LA-62, Mark LA-67, Mark LA-63, Mark LA-68, Mark-82, Mark LA-87, Goodrite UV-3404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착염계로는, 예를 들어, 니켈[2,2]-티오비스(4-t-옥틸)페놀레이트]-n-부틸아민, 니켈디부틸디티오 카아바메이트, 니켈비스[0-에틸-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페이트, 코발트디시클로헥실디티오포스페이트, [1-페닐-3-메틸-4-데카노닐-피라졸레이트] 니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어, 페놀계, 유황계, 인계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화방지제는 2,6-디-t-부틸-p-크레졸(BHT), 부틸화히드록시니아졸(BHA),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논),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4,4'-브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및 비스(3,3'-비스-(4'-히드록시-3'-t-부틸페놀)부틸릭아시드)글리콜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수지층
상기 수지층은 유리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층의 상,하면에 유리가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지층의 상,하면이 각각 제1 접촉면(101) 및 제2 접촉면(102)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 중 하나 또는 모두가 후술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촉면 상에 유리가 배치되고, 상기 유리의 자체 무게에 의해서 상기 유리와 수지층이 예비 접합될 때, 상기 유리는 상기 접촉면 상에서 적절하게 미끄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에는 요철, 조도 또는 멜트 프렉쳐 등과 같은 돌기 패턴(1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리가 상기 접촉면에서 적절하게 미끄러지기 위해서, 상기 접촉면의 Rz 조도가 25 내지 90 ㎛이고, 상기 접촉면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가 20℃에서 0.85 내지 1.60이고, 35℃에서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기의 수학식 1의 압축 탄성 변형 지수가 40 내지 310 ㎛/N일 수 있다.
[수학식 1]
압축 탄성 변형 지수 = d/F
이때, F는 끝이 평평하고 직경이 4㎜인 팁(tip)으로 상기 접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으로서, 0.05 내지 0.6 N이며, 상기 d는 상기 팁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압축 변형된 깊이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필름은 상기 F가 0.05 내지 0.6 N일 때, 상기 압축 탄성 변형 지수가 40 내지 300 ㎛/N, 또는 40 내지 290 ㎛/N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필름은 상기 F가 0.05 내지 0.2 N일 때, 상기 압축 탄성 변형 지수가 80 내지 310 ㎛/N이고, 상기 F가 0.2 내지 0.4 N일 때, 상기 압축 탄성 변형 지수가 60 내지 140 ㎛/N일 수 있다.
상기 압축 탄성 변형 지수는 상기 접촉면에 특정 조도, 요철 또는 멜트 프렉쳐 등이 형성된 상태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특정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수지층의 변형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상기 압축 탄성 변형 지수는 상기 접촉면의 조도, 요철 형상, 패턴 형상, 멜트 프렉쳐 형상 등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 탄성 변형 지수는 상기 수지층의 조성 및 두께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 탄성 변형 지수는 상기 접촉면의 형상과 상기 수지층의 조성 및 두께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면의 Rz 조도는 25 내지 90 ㎛, 또는 50 내지 70 ㎛이고, 상기 접촉면의 요철 형상은 물결 형상이고, 상기 수지층은 100 중량부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20 내지 40 중량부의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틸기 함량이 0.1 내지 3 몰%이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히드록실기 함량이 36 내지 54 몰%이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00 내지 330,000이고, 상기 수지층의 두께가 580 내지 940 ㎛일 때, 압축 탄성 변형 지수가 상기 범위 내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은 중량평균분자량을 기준으로 분자량이 -30% 보다 더 작은 폴리비닐아세탈의 함량이 3 내지 10 중량%이고, 분자량이 +30% 보다 더 큰 폴리비닐아세탈의 함량이 7 내지 20 중량%일 때, 상기 범위 내의 압축 탄성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가 20℃에서 0.85 내지 1.60, 또는 0.9 내지 1.5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촉면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가 40℃에서 1.05 내지 1.80, 또는 1.20 내지 1.7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가 45℃에서 1.20 내지 2.10, 또는 1.30 내지 2.10일 수 있다.
상기 최대 정지 마찰 계수는 상기 수지층의 조성, 상기 접촉면의 조도, 요철 형상, 패턴 형상 및 멜트 프렉쳐 형상 및 상기 압축 탄성 변형 지수 등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지층의 조성에 따른 물질 자체의 마찰 특성, 상기 접촉면의 표면 형상 및 상기 압축 탄성 변형 지수 등이 종합되어, 상기 최대 정지 마찰 계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면의 Rz 조도는 25 내지 90 ㎛ 또는 50 내지 70 ㎛이고, 상기 접촉면의 요철 형상은 물결 형상이고, 상기 수지층은 100 중량부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20 내지 40 중량부의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틸기 함량은 0.1 내지 3 몰%이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히드록실기 함량은 36 내지 54 몰%이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50,000 내지 330,000이고, 상기 수지층의 두께가 580 내지 940 ㎛이고, 상기 압축 탄성 변형 지수는, F가 0.05 내지 0.6 N일 때, 40 내지 290 ㎛/m일 때, 상기 범위 내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은 중량평균분자량을 기준으로 분자량이 -30% 보다 더 작은 폴리비닐아세탈의 함량이 3 내지 10 중량%이고, 분자량이 +30% 보다 더 큰 폴리비닐아세탈의 함량이 7 내지 20 중량%일 때, 상기 범위 내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수지 필름은 한쌍의 유리의 합지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리는 상기 수지 필름과 예비 접합된 후, 열처리 장치에 이송되고 가열에 의해서 본 접합될 수 있다. 이때, 예비 접합 과정에서는 상기 유리가 상기 수지 필름 상에서 적절하게 미끄러져야 하고, 이송 과정에서는 미끄러지지 않아야 한다. 즉, 상기 수지 필름은 적절한 슬립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수지 필름이 적절한 슬립성을 가지기 위해서, 상기 수지층은 상기와 같은 적절한 압축 탄성 계수를 가져야 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와 같은 적절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를 가져야 한다. 특히, 상기 이송 과정 및 상기 예비 접합 공정은 20 내지 45℃의 온도에서 진행되므로, 상기의 온도에서 적절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를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접촉면의 표면 조도 Rz가 상기와 같을 때, 상기 예비 접합 공정 및 본 접합 공정에서, 상기 수지 필름 및 상기 유리 패널 사이의 공기가 효과적으로 빠져 나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지 필름은 상기와 같은 표면 조도, 최대 정지 마찰 계수 및 압축 탄성 지수를 가질 때, 적절한 슬립성 및 디에어링 효과를 가져, 향상된 작업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은 제1 스킨층, 중간 수지층 및 제2 스킨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이 각각 유리에 직접 접촉하는 제1 접촉면 또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이 각각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 각각의 Rz 조도가 25 내지 90 ㎛, 상기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 각각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가 20℃에서 0.85 내지 1.60이고, 35℃에서 상기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 각각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기의 수학식 1의 압축 탄성 변형 지수가 40 내지 310 ㎛/N이다.
[수학식 1]
압축 탄성 변형 지수 = d/F
이때, F는 끝이 평평하고 직경이 4㎜인 팁(tip)으로 상기 접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으로서, 0.05 내지 0.6 N이며, 상기 d는 상기 팁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압축 변형된 깊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은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필름(10)은 제1 스킨층(110), 중간 수지층(200) 및 제2 스킨층(1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은 각각 제3 수지 조성물 및 제4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제4 수지 조성물은 상기 제1 수지 조성물과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은 각각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1 수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수지층은 소음을 댐핑(damping)하여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는 차음층 역할을 한다. 상기 중간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2 수지 조성물일 수 있다.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상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특정의 아세틸기량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4 내지 6이고, 아세틸기량이 8 내지 30 몰%이고, 아세탈화도가 40 몰% 이상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틸기량이 10 내지 24 몰%이고, 아세탈화도가 40 내지 80 몰%, 또는 55 내지 80 몰%일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기량이 8 몰% 미만일 경우, 제조된 수지 필름의 차음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아세틸기량이 30 몰%를 초과할 경우, 알데히드와의 반응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가 40 몰% 미만이면,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저하되고, 제조된 수지 필름의 차음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요구되는 만큼의 양으로 가소제를 첨가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좁은 아세탈화도 분포를 갖는 것, 구체적으로 아세탈화도의 분포의 90% 이상이 아세탈화도의 평균치의 -2 내지 +2 몰%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좁은 아세탈화도 분포를 갖는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함에 따라 넓은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차음 성능을 나타내는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수지 필름은 JIS 차음 등급 Ts-40 등급을 만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좁은 아세탈화도 분포를 갖는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알데히드와 촉매를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에 첨가할 때 온도를 저온, 바람직하게는 15℃ 이하로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제조시 촉매의 사용량을 통상보다 60 중량%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경우에 따라서는 촉매를 소량씩 천천히, 예를 들면 30분 내지 3시간에 걸쳐 첨가하거나, 극성이 다른 용매를 여러 종류 사용하여 아세탈화도 분포가 좁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특정 범위의 아세탈화도마다 분리 추출하는 방법 등으로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 분포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주쇄의 에틸렌기에 아세탈기, 아세틸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용해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10 내지 20℃로 유지한 후, 알데히드와 촉매를 가하고 아세탈화 반응을 진행시켜 반응액을 수득한 후, 반응액을 40 내지 60℃로 유지한 후에 중화, 수세, 건조 등의 공정을 거쳐 분말 상으로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비닐알코올의 아세탈화 반응을 진행시킬 때, 알데히드는 얻어지는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보다 10 내지 200 몰% 과잉되는 양으로 사용하거나, 촉매를 통상보다 많이 첨가함으로써 분자간 가교 결합을 갖는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데히드는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A)의 아세탈화도보다 15 내지 50 몰% 과잉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의 과잉량이 10 몰% 미만일 경우, 분자간의 가교 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아 제조된 수지 필름이 넓은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차음 성능을 나타내기 어렵고, 상기 알데히드의 과잉량이 200 몰%를 초과할 경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제조과정에서 겔화가 생기거나 폴리비닐알코올과 알데히드와의 반응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외에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다관능 알데히드를 소량 첨가하여 분자간 가교 반응을 진행시켜 얻을 수도 있다. 상기 다관능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글루탈 알데히드, 4,4'-(에틸렌디옥시) 디벤즈 알데히드, 2-히드록시헥산디아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관능 알데히드의 첨가량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의 수산기의 1 몰%에 대하여 0.001 내지 1.0 몰%, 또는 0.01 내지 0.5 몰%일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제조원료인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500 내지 5,000, 또는 1,000 내지 2,5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가 500 미만이면, 제조된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중합도가 5,000을 초과하면, 제조된 수지 필름의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사용 분야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4 내지 6인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가 4 내지 6인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바렐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및 2-에틸부틸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또는 n-헥실알데히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층간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는 n-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알데히드의 탄소수가 4 미만일 경우, 제조된 수지 필름의 차음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탄소수가 6을 초과할 경우, 수지의 아세탈화의 반응성 및 제조된 수지 필름의 실온 부근에서 차음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의 표준편차가 2.5 내지 8, 또는 3 내지 6일 수 있다. 상기 표준편차가 2.5 미만일 경우, 제조된 수지 필름이 넓은 온도범위에서 양호한 차음 성능을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고, 상기 표준편차가 8을 초과할 경우, 제조된 수지 필름의 차음 성능의 최대치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표준편차는 하나의 아세틸기에 몇 개의 에틸렌기가 결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13C-NMR 분석법을 통해 그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의 표준편차가 2.5 내지 8인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 비닐의 비누화를 몇 단계로 나누어서 행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하는 방법; 비누화도가 다른 복수의 폴리비닐알코올의 혼합물을 아세탈하는 방법; 또는 아세틸기량이 다른 복수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혼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분자량 분포비(Mw/Mn)가 1.01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 분포비(Mw/Mn)가 1.01 내지 1.50인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함에 따라 실온 부근에서의 일치 효과가 현저히 완화되고, JIS A 4706에 의한 차음 등급에서 Ts-35 등급을 초과하는 우수한 차음 성능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분자량 분포비(Mw/Mn)가 1.01 미만일 경우에는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합성이 어려울 수 있고, 1.50을 초과하면 투과 손실의 최소 부분에서의 차음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좁은 범위의 분포 분포비(Mw/Mn)를 갖는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분취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공지의 폴리비닐아세탈로부터 분취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0 내지 600,000, 또는 300,000 내지 500,000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미만일 경우, 제조된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저하될 수 있고, 600,000을 초과할 경우, 제조된 합판 유리의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사용 분야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의 블록화도가 0.55 내지 0.90, 또는 0.65 내지 0.80일 수 있다. 상기 블록화도가 0.55 미만일 경우, 제조된 수지 필름의 차음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블록화도가 0.90을 초과할 경우, 수지의 아세탈화도가 저하되어 제조된 합판 유리의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의 블록화도가 0.55 내지 0.9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화하여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높은 랜덤성을 갖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할 경우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수지 필름을 제조할 경우 유동성이 좋고 소리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열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수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에탄올과 톨루엔의 혼합 용매(중량비 1:1)에 10 중량%로 용해시켰을 때의 점도가 200 내지 1000 cP(BM형 점도계로 측정)인 가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 내지 800 cP 인 가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가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할 경우 소리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데 유효한 온도 영역이 확대되어 실온 부근에서도 차음 성능이 우수한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OH 함량은 5 내지 30 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OH 함량은 6 내지 20 몰%일 수 있다.
이외에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 2종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혼합한 혼합물, 또는 전 아세탈기량에 대하여 30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알데히드 이외의 알데히드를 병용하여 아세탈화를 진행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가소제
상기 가소제는 상기 제1 수지 조성물에서 설명한 가소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수지 조성물의 가소제와 상기 제2 수지 조성물의 가소제는 서로 동일한 물질이거나, 서로 다른 물질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40 중량부일 수 있다.
첨가제
상기 제2 수지 조성물은 물성 향상을 위해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열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 상기 자외선 안정제, 상기 산화방지제 및 상기 열안정제는 상기 제1 수지 조성물에서 설명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열안정제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지 조성물의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실시예의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10)은 상기 중간 수지층(200) 상에 적층된 제1 스킨층(110)과 중간 수지층 하에 적층된 제2 스킨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킨층의 상면은 유리와 직접 접촉하는 제1 접촉면(101)이다. 또한, 상기 제2 스킨층의 하면은 다른 유리와 직접 접촉하는 제2 접촉면(102)이다.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은 앞서 설명한 도 1의 접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접촉면 및/또는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표면 조도 Rz 및 최대 정지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킨층 및/또는 상기 제2 스킨층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압축 탄성 변형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수지 필름의 전체 두께는 580 내지 940 ㎛, 또는 700 내지 8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수지층의 두께는 80 내지 14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의 두께는 각각 250 내지 400 ㎛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수지 필름은 향상된 차음 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향상된 작업성을 가질 수 있다.
합판 유리의 제조방법
실시예의 합판 유리의 제조방법은 (1) 제1 유리 패널 상에 상기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2) 상기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상에 제2 유리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2 유리 패널을 상기 제1 유리 패널을 기준으로 얼라인(align)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수지 필름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서, 한쌍의 유리 패널과 합지될 수 있다.
단계 (1)
본 단계에서는 제1 유리 패널 상에 상기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을 배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유리 패널(20) 상에 상기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10)을 배치한다. 상기 수지 필름의 하면은 상기 제1 유리 패널의 상면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단계 (2)
본 단계에서는 상기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상에 제2 유리 패널을 배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10) 상에 제2 유리 패널(30)을 배치한다. 이때, 상기 제1 유리 패널 및 상기 제2 유리 패널은 서로 얼라인되지 않아서, 어긋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지 필름의 상면은 상기 제2 유리 패널의 하면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단계 (3)
본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유리 패널을 상기 제1 유리 패널을 기준으로 얼라인(align)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유리 패널을 상기 수지 필름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얼라인시킨다. 이때, 상기 제2 유리 패널은 상기 수지 필름과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지 필름의 접촉면, 즉, 상면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같이, 적절한 슬립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수지 필름의 접촉면은 상기 제2 유리 패널의 자중에 의한 마찰에도 적절한 외력에 의해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작업자 또는 얼라인 장비는 용이하게 상기 제2 유리 패널을 상기 수지 필름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리 패널에 얼라인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유리 패널, 상기 수지 필름 및 상기 제2 유리 패널은 소정의 온도에서 예비 접합된다. 상기 예비 접합 온도는 30 내지 90 ℃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예비 접합된 합판 유리는 열처리를 위해 오븐에 이동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수지 필름은 적절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 및 압축 탄성 변형 지수를 가지기 때문에, 이송 과정에서 상기 제 1 유리 패널 및 상기 제 2 유리 패널의 얼라인이 틀어지지 않는다. 즉, 상기 수지 필름은 적절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 및 압축 탄성 변형 지수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제 2 유리 패널은 이송 중에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예비 접합된 합판 유리는 상기 예비 접합 공정에서 가해진 열이 식기 전에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의 접촉면은 40 및 45℃의 온도에서 높은 정지 마찰 계수를 가지기 때문에, 이송 중에 미끄러짐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오븐 내에서 상기 예비 접합된 합판 유리는 본 접합 공정이 진행된다. 이후, 상기 수지 필름가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상기 제2 유리 패널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지 필름의 외곽 부분이 절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지층 및 제1 스킨층과 제2 스킨층이 상기 범위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를 가짐에 따라 실시예의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10)을 이용하여 합판 유리 제조 시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판 유리는 절단, 연마, 성형, 세척, 접합 등의 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은 두 장의 유리 사이에 수지 필름(PVB 필름)을 삽입한 후 내부 공기를 제거하여 유리와 수지 필름의 접합력을 높이고, 접합 유리로써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접합 공정에서 합판 유리의 물성을 제어하기 위해 온도(15 내지 45℃) 및 습도(상대습도 15 내지 40%)를 관리할 수 있다.
그런데 접합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 두 장의 유리 사이에 수지 필름이 삽입된 구조의 적층체가 이송하면서 유리와 수지 필름의 계면 간에 슬립(slip)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두 장의 유리와 수지 필름이 틀어진 상태에서 접합되어 페어링(pairing) 불량 상태의 접합유리가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의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10)은 상기 특정 범위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를 갖는 접촉면을 포함하기 때문에 접합 유리의 제조 과정에서 페어링(pairing) 불량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의 표면 조도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범위를 가지기 때문에, 예비 접합 및 본 접합 공정에서, 효과적으로 상기 수지 필름과 상기 유리 패널 사이의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합판 유리
실시예는 수지 필름, 제1 유리 패널, 및 제2 유리 패널을 포함하는 합판 유리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판 유리는 제1 유리 패널, 상기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및 제2 유리 패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합판 유리(G)에 포함되는 수지 필름(10)은 합판 유리(G)의 중간에 위치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실시예의 합판 유리(G)에 포함되는 제1 유리 패널(20)과 제2 유리 패널(30)은 각각 수지 필름(10)의 상하에 적층된다. 상기 제1 유리 패널(20)과 제2 유리 패널(30)은 당업계에 공지된 유리 패널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리 패널(20) 및 제2 유리 패널(30)로는 각각 플로트판 유리, 마판 유리, 형판 유리, 망입(網入) 유리, 선입(線入) 유리, 착색된 유리, 열선 흡수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리 패널(20) 및 제2 유리 패널(30)은 무기(無機) 유리 이외에, 투명성이 뛰어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합판 유리(G)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지 필름(10)을 제1 유리 패널(20)과 제2 유리 패널(30) 사이에 삽입하고, 가열 또는 용융시킨 후 냉각 또는 고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합판 유리(G)는 상술한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10)을 포함하기 때문에 차음 성능 및 광학 성능이 우수하다.
자동차
실시예는 상기 합판 유리로 이루어진 윈드 쉴드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자동차는 합판 유리(G)로 이루어진 윈드 쉴드가 전면유리창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윈드 쉴드는 운전자가 육안으로 외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바람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합판 유리(G)로 이루어짐에 따라 차음 성능, 광학 성능 및 자외선 차단 성능 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1 및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 측정: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2 중량%의 농도로 중수-벤젠용액에 용해시키고 테트라메틸실란[(CH3)4Si]을 표준물질로서 첨가하고, 온도 23℃에서 H-NMR 스펙트럼으로 측정.
제1 및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기량 측정: 폴리비닐아세탈 시험방법(JIS K-6728-1977)의 조성분석 항목의 '비닐아세탈'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측정.
제1 및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분취: 분취 크로마토그래피로서 GPC(LS-8000 시스템)을 사용하여 컬럼으로서 쇼오와 덴꼬 제의 HFIP 분취 컬럼 및 용매로서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분취.
제조예 1: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제조
물 2,910 g에 중합도 1,100의 폴리비닐알콜 15 g, 중합도 1,700의 폴리비닐알코올 150 g 및 중합도 2,300의 폴리비닐알콜 25 g을 첨가하고, 90℃에서 가온용해하였다.
반응계를 12℃로 조절하고, 35 중량%의 염산 201 g과 n-부틸알데히드 104 g을 첨가하여 폴리비닐아세탈을 석출시켰다. 이후 반응액을 50℃에서 4 시간 유지시켜 반응을 완료하고, 과잉의 물로 세척하여 미반응 알데히드를 씻어내었다. 이후, 염산촉매로 중화하여 염을 제거한 후 건조하여 백색분말의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는 56.9 몰%, 아세틸기량은 1.6 몰%였다.
제조예 2: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제조
물 2,890 g에 중합도 1,700의 폴리비닐알코올 191 g을 첨가하고 90℃에서 가온용해하였다. 반응계를 12℃로 조절하고, 35 중량%의 염산 201 g과 n-부틸알데히드 130 g을 첨가하여 폴리비닐아세탈을 석출시켰다. 이후 반응액을 50℃에서 5 시간 유지시켜 반응을 완료하고, 과잉의 물로 세척하여 미반응 알데히드를 씻어내었다. 이후, 염산촉매로 중화하여 염을 제거한 후 건조하여 백색분말의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는 60.2 몰%, 아세틸기량은 11.9 몰%였다.
제조예 3: 제1 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70.9 g, 가소제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26 g 및 자외선 흡수제로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0.6 g을 혼합한 후 믹싱 로울러로 충분히 혼련하여, 제1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제2 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의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63.85 g, 가소제로 트리에틸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36 g 및 산화방지제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네이트]메탄 0.15 g을 혼합한 후 믹싱 로울러로 충분히 혼련하여, 제2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아세탈화도
(몰%)
아세틸기
함량 (몰%)
OH 함량
(몰%)
중량평균분자량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56.9 1.6 41.5 280,000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60.2 11.9 7.5 400,000
실시예 1: 수지 필름의 제조
상기 제1 수지 조성물을 200℃로 압출하고 캐스팅하여 평균 두께 760 ㎛의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후 용융 파단 방식을 이용하여 150℃에서의 표면 조도가 67 ㎛가 되도록 표면처리하였다.
압출시 사용한 장비는 TEX, 70 Φ 압출기, 브라벤더제이였고, 스크류 속도는 300 rpm이었다.
실시예 2 및 3.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필름의 평균 두께 및 평균 조도, 및 수지 필름의 층간 구성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제3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제조
중합도 1,700의 폴리비닐알코올 190 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3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제3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는 79.2 몰%, 아세틸기량은 1.3 몰%, 히드록시기 함량은 19.4 몰%, 중량평균분자량은 310,000이었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5의 제3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73.4 g, 가소제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26 g, 및 자외선 흡수제로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0.6 g을 혼합한 후, 믹싱로울러로 충분히 혼련하여 제3 수지 조성물이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제3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 조도가 20 ㎛의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표면 조도가 95 ㎛가 되도록 표면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구분 사용한 수지 조성물 25℃에서의 표면조도(Rz) 각 층의 두께
실시예 1 제1 수지 조성물 67 ㎛ 760 ㎛
실시예 2 제1 수지 조성물 56 ㎛ 780 ㎛
실시예 3 제1 수지 조성물/제2 수지 조성물/제1 수지조성물 52 ㎛ 330 ㎛/120 ㎛/330 ㎛
비교예 1 제3 수지 조성물 20 ㎛ 760 ㎛
비교예 2 제3 수지 조성물 95 ㎛ 760 ㎛
시험예. 물성 측정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의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합판 유리를 제조한 후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합판 유리의 제조>
자동차 윈드실드용 곡면 유리(면적 1.8 ㎡, 두께 2.1 mm) 상에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을 배치시킨 후, 상기 수지 필름 상에 동일한 형상의 다른 곡면 유리를 배치시켰다. 이후, 두 곡면 유리를 얼라인하고, 이를 고무백에 넣고 20 torr의 진공도로 20 분간 탈기한 후, 90℃의 오븐에 옮기고, 이 온도를 30 분간 유지하였다. 이후, 진공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접착하고,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압력 12 ㎏/㎠ 및 온도 135℃의 조건으로 열압착처리하여 투명한 합판 유리를 제조하였다.
(1) 최대 정지 마찰 계수 측정
수평을 유지한 SUS판상에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을 배치하고,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상에 65 mm X 65 mm 평면형의 추(500 g)를 배치하고, 기울여서 미끌어질 때의 각도를 측정 후 마찰계수로 환산하였다. 마찰계수는 tan(기울어진 각도)으로 환산하였다.
(2) 압축 탄성 변형 지수 측정
수평이 맞춰진 SUS판상에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을 적층하고, 직경 4 ㎜의 끝이 평평한 팁(tip)을 상기 수지 필름 상에 배치했다. 이후, 35℃에서 점차적으로 상기 팁을 통하여 힘을 가하고, 가해지는 힘에 따라서 변형되는 깊이를 측정하였다. 0.05 N에서 0.2 N까지, 0.2 N에서 0.4 N까지 및 0.4 N에서 0.6 N까지 가해지는 힘이 증가될 때, 변형되는 깊이를 각각 측정하였다.
(3) 작업성 평가
곡면 유리 상에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을 배치시키고, 그 위에 다른 곡면 유리를 배치시킨다. 이후, 작업자가 손가락 힘으로 최상층의 곡면유리를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얼라인된 합판 유리를 컨베이어 벨트상으로 약 10m 이동시킬 때, 얼라인된 곡면 유리가 이탈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 작업자가 곡면유리를 손가락 힘으로 얼라인 시킬 수 있고, 컨베이어 벨트 이동 시, 이탈이 없는 경우.
X: 작업자가 곡면유리를 손가락 힘으로 얼라인 시키지 못하거나, 컨베이어 벨트 이동 시, 이탈이 있는 경우.
(4) 기포
○: 최종 합지된 합판 유리가 육안으로 관찰되었을 때, 기포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
X: 최종 합지된 합판 유리가 육안으로 관찰되었을 때, 기포가 발견되는 경우.
(5) 표면 조도(Rz 조도) 측정
표면 조도는 MITUTOYO사의 SJ-310모델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구체적으로, VDA표준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8 mm 컷오프(CUT OFF)에 측정길이는 16 mm로 한 샘플당 5개의 부위를 측정한 뒤 평균값을 취했다.
구분 압축 탄성 변형 지수 (㎛/N)
(0.05N~0.2N / 0.2N~0.4N / 0.4N~0.6N)
최대 정지 마찰 계수
(20℃/40℃/45)
작업성 기포
실시예 1 283 / 130 / 85 0.95 / 1.26 / 1.43
실시예 2 85 / 64 / 45 1.26 / 1.53 / 1.91
실시예 3 98 / 71 / 54 1.40 / 1.65 / 2.01
비교예 1 42 / 33 / 22 1.65 / 1.85 / 2.25 X X
비교예 2 346 / 205 / 167 0.81 / 1.01 / 1.15 X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수지 필름은 소정의 표면 조도, 압축 탄성 변형 지수, 최대 정지 마찰 계수를 가지게 되어, 향상된 작업성 및 기포 제거 효과를 가질 수 있다.
10: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101: 제1 접촉면 102: 제2 접촉면
110: 제1 스킨층 120: 제2 스킨층
200: 중간 수지층 G: 합판 유리
20: 제1 유리 패널 30: 제2 유리 패널

Claims (14)

  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기량이 4 몰% 이하이고, 아세탈화도가 40 몰% 이상이고,
    상기 수지층은 유리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의 Rz 조도가 25 내지 90 ㎛이고,
    상기 접촉면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가 40℃에서 1.05 내지 1.80이고,
    35℃에서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기의 수학식 1의 압축 탄성 변형 지수가 40 내지 310 ㎛/N인,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수학식 1]
    압축 탄성 변형 지수 = d/F
    이때, F는 끝이 평평하고 직경이 4㎜인 팁(tip)으로 상기 접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으로서, 0.05 내지 0.6 N이며, 상기 d는 상기 팁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압축 변형된 깊이이다.
  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기량이 4 몰% 이하이고, 아세탈화도가 40 몰% 이상이고,
    상기 수지층은 유리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의 Rz 조도가 25 내지 90 ㎛이고,
    상기 접촉면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가 45℃에서 1.20 내지 2.10이고,
    35℃에서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기의 수학식 1의 압축 탄성 변형 지수가 40 내지 310 ㎛/N인,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수학식 1]
    압축 탄성 변형 지수 = d/F
    이때, F는 끝이 평평하고 직경이 4 ㎜인 팁(tip)으로 상기 접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으로서, 0.05 내지 0.6 N이며, 상기 d는 상기 팁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압축 변형된 깊이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은 상기 F가 0.05 내지 0.2 N일 때, 압축 탄성 변형 지수가 80 내지 310 ㎛/N이고, 상기 F가 0.2 내지 0.4 N일 때, 압축 탄성 변형 지수가 60 내지 140 ㎛/N인,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OH 함량이 5 내지 60 몰%인,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상기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50 중량부의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가소제가 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인산계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중합도 1,000 내지 1,300의 폴리비닐알코올 5 내지 15 중량%, 중합도 1,500 내지 1,900의 폴리비닐알코올 70 내지 85 중량%, 및 중합도 2,000 내지 2,500의 폴리비닐알코올 8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두께가 580 내지 940 ㎛이고, 상기 수지층의 상하면에 각각 유리가 접촉되는,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9. 제1 스킨층, 중간 수지층 및 제2 스킨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이 각각 유리에 직접 접촉하는 제1 접촉면 또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이 각각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 각각의 Rz 조도가 25 내지 90 ㎛이고,
    상기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 각각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가 40℃에서 1.05 내지 1.80이고,
    35℃에서 상기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 각각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기의 수학식 1의 압축 탄성 변형 지수가 40 내지 310 ㎛/N인,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수학식 1]
    압축 탄성 변형 지수 = d/F
    이때, F는 끝이 평평하고 직경이 4㎜인 팁(tip)으로 상기 접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으로서, 0.05 내지 0.6 N이며, 상기 d는 상기 팁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압축 변형된 깊이이다.
  10. 제1 스킨층, 중간 수지층 및 제2 스킨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이 각각 유리에 직접 접촉하는 제1 접촉면 또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이 각각 제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 각각의 Rz 조도가 25 내지 90 ㎛이고,
    상기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 각각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가 45℃에서 1.20 내지 2.10이고,
    35℃에서 상기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 각각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기의 수학식 1의 압축 탄성 변형 지수가 40 내지 310 ㎛/N인,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수학식 1]
    압축 탄성 변형 지수 = d/F
    이때, F는 끝이 평평하고 직경이 4㎜인 팁(tip)으로 상기 접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으로서, 0.05 내지 0.6 N이며, 상기 d는 상기 팁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압축 변형된 깊이이다.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의 두께가 각각 250 내지 400 ㎛이고,
    상기 중간 수지층의 두께가 80 내지 140 ㎛인,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수지층이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수지층이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40 중량부의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OH 함량이 5 내지 30 몰%인,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13. 제1 유리 패널;
    제1항 또는 제2항의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및
    제2 유리 패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합판 유리.
  14. (1) 제1 유리 패널 상에 제1항 또는 제2항의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2) 상기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상에 제2 유리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2 유리 패널을 상기 제1 유리 패널을 기준으로 얼라인(align)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의 제조방법.
KR1020180170670A 2018-12-27 2018-12-27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2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670A KR102002361B1 (ko) 2018-12-27 2018-12-27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670A KR102002361B1 (ko) 2018-12-27 2018-12-27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644A Division KR101936085B1 (ko) 2017-06-15 2017-06-15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98A KR20190002398A (ko) 2019-01-08
KR102002361B1 true KR102002361B1 (ko) 2019-07-22

Family

ID=6502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670A KR102002361B1 (ko) 2018-12-27 2018-12-27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3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6190A (ja) 1975-03-14 1976-09-20 Nippon Steel Corp Boshinyofukugokinzokuban
JPH02229742A (ja) 1989-02-28 1990-09-12 Sekisui Chem Co Ltd 遮音性合わせガラス
CN106164006B (zh) * 2014-09-30 2020-05-22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98A (ko)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085B1 (ko)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58923B1 (ko)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JP2703471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4076730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5147302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4555855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4331846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TW201341186A (zh) 防止缺陷之隔音聚合物內層
CN115625952A (zh) 夹层玻璃用中间膜以及夹层玻璃
KR101936461B1 (ko)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16039470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262975B2 (ja)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
JP2001106556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180132637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2001220183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739939B2 (ja) 熱可塑性樹脂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1226152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4067427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KR102002361B1 (ko)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048600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1048601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2326844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CN113454041A (zh) 夹层玻璃用中间膜和夹层玻璃
JP2001220184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4168646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および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