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296B1 - 시설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시설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296B1
KR102001296B1 KR1020170067797A KR20170067797A KR102001296B1 KR 102001296 B1 KR102001296 B1 KR 102001296B1 KR 1020170067797 A KR1020170067797 A KR 1020170067797A KR 20170067797 A KR20170067797 A KR 20170067797A KR 102001296 B1 KR102001296 B1 KR 102001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
monitoring
monitoring point
scan mess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993A (ko
Inventor
요시오 마키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3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4Control of logging system, e.g. decision on which data to store; time-stamping measur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1Preprocessing measurements, e.g. data collection rate adjustment;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Time series or signal analysis, e.g. frequency analysis or wavelets; Trustworthiness of measurements; Indexes therefor; Measurements using easily measured parameters to estimate parameters difficult to measure; Virtual sensor creation; De-noising; Sensor fusion; Unconventional preprocessing inherently present in specific fault detection methods like PCA-based metho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감시 포인트마다의 특성, 혹은, 성질을 고려한 감시를 할 수 있는 시설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감시 포인트마다 설정된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주기 판정부(12)와, 주기 판정부(12)가,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정한 경우에, 감시 주기가 도래한 감시 포인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시설 관리 장치{FACILITY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시설 내의 기기의 관리를 행하는 시설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설 내의 설비의 운전을 감시하기 위한 시설 관리 장치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소정 주기 내에 취득된 시설 내의 각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에 대해서,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타입마다 감시 기간을 설정하고, 그 감시 기간 내에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시설 관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1-3007호 공보
시설 내의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각 감시 포인트에 대해서는, 그 감시 포인트마다, 변화 특성, 혹은, 감시에 관한 중요성이 상이하다.
따라서, 예컨대, 시설 내의 설비의 운전을 감시할 때는, 감시 포인트마다, 특성, 혹은, 성질에 따른 리얼 타임성으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감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 같은 기술에서는, 시설 내의 각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각 관리 포인트 데이터를 감시하는 주기가,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타입마다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관리 포인트의 특성, 혹은, 성질에 따라 감시를 행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시설 내의 각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각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대해서, 그 감시 포인트마다의 특성, 혹은, 성질을 고려한 감시를 행할 수 있는 시설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는, 감시 포인트마다 설정된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주기 판정부와, 주기 판정부가,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정한 경우에, 감시 주기가 도래한 감시 포인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설 내의 각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각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대해서, 그 감시 포인트마다의 특성, 혹은, 성질을 고려한 감시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를 구비한 시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주기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정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출력 제어부(16)가,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출력 장치(3)에 영상으로서 표시시킨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스캔 메시지 기억부가 기억하는 스캔 메시지의 정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 3에 있어서, 기억하고 있는 정보의 변경을 반영한 후의, 주기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정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3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낸, 스캔 메시지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스캔 메시지에 대해서, 감시 포인트의 추가와, 감시 포인트의 감시 주기의 변경을 반영한 결과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를 구비한 시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설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설 내에 설치된 기기(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된 1대 이상의 컨트롤러(21, 22, ····)와, 그 컨트롤러(21, 22, ····)가 접속된 시설 관리 장치(1)와, 시설 관리 장치(1)에 접속된 출력 장치(3)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1대 이상의 컨트롤러(21, 22, ···)를, 컨트롤러(2n)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시설 관리 장치(1)와 컨트롤러(2n)는, 예컨대, BACnet(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Network) 등의 오픈 네트워크로 접속된다. 또한, 시설 관리 장치(1) 및 컨트롤러(2n)는, 소프트웨어에 기초한 CPU를 이용한 프로그램 처리에 의해 실행된다.
시설 관리 장치(1)는, 컨트롤러(2n)와의 사이에서, 감시 포인트마다 설정된 감시 주기로 통신을 행하여, 컨트롤러(2n)로부터 감시 포인트의 값 등, 감시 포인트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영상, 혹은, 음성에 의해, 출력 장치(3)에 출력한다.
출력 장치(3)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 또는,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장치이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표시 장치인 것으로 한다.
시설의 관리자 등은, 시설 관리 장치(1)가 수집하여, 표시시킨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감시하고, 시설 내에 설치된 기기 등의 각 설비의 관리,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 장치(3)는, 시설 관리 장치(1)의 외부에 마련되어, 시설 관리 장치(1)와 통신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출력 장치(3)는, 시설 관리 장치(1)가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컨트롤러(2n)는, 예컨대, 센서, 온도계, 전력계 등의 기기로부터 그 기기에 관한 온도, 습도, 전력량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 1에서는, 기기의 센서, 온도계, 전력계 등을 감시 포인트라고 하며, 그 감시 포인트로부터 수집되는, 그 감시 포인트의 값, 즉, 그 감시 포인트에 관한 데이터를, 감시 포인트 데이터라고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설 관리 장치(1)는, 지시 접수부(11)와, 주기 판정부(12)와, 주기 기억부(13)와, 스캔 메시지 작성부(14)와,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와, 출력 제어부(16)를 구비한다.
지시 접수부(11)는, 예컨대, 엔지니어링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의 지시를 접수한다. 지시 접수부(11)는, 접수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의 지시 정보를 주기 판정부(12)에 출력한다.
주기 판정부(12)는, 지시 접수부(11)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의 지시 정보를 접수하면, 감시 기간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또한, 주기 판정부(12)는, 주기 기억부(13)를 참조하여,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주기가 되면, 그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정한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 작성 지시를, 스캔 메시지 작성부(14)에 출력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주기를 감시 주기라는 것으로 한다.
주기 기억부(13)는, 감시 포인트마다 감시 주기가 링크된 주기 정보를 기억한다. 주기 기억부(13)가 기억하는, 감시 포인트마다 감시 주기가 링크된 주기 정보는, 미리, 시설 관리자 등이, 엔지니어링 장치 등으로부터 설정해 두는 것으로 한다.
주기 기억부(13)는, HDD, DVD,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설 관리 장치(1)가 주기 기억부(13)를 구비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주기 기억부(13)는, 시설 관리 장치(1)의 외부에 구비되며, 주기 판정부(12)는, 네트워크를 통해 주기 기억부(13)를 참조하도록 하여도 좋다.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주기 판정부(12)로부터 출력된 스캔 메시지 작성 지시에 기초하여, 감시 주기가 도래한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를 작성하고, 작성한 스캔 메시지를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에 출력한다.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로부터 출력된 스캔 메시지를 해당 컨트롤러(2n)에 송신하고, 해당 컨트롤러(2n)로부터 해당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한다.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출력 제어부(16)에 출력한다.
출력 제어부(16)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로부터 취득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출력 장치(3)에 영상으로서 표시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예컨대, 시설의 관리자 등이,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지시를 입력하면,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그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지시의 정보가 시설 관리 장치(1)에 송신되어, 시설 관리 장치(1)에 있어서, 이하에 설명하는 도 3의 동작을 행한다.
지시 접수부(11)는,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지시 정보를 접수하고, 그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지시 정보를 접수하면, 그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의 지시 정보를 주기 판정부(12)에 출력한다.
주기 판정부(12)는, 지시 접수부(11)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지시 정보를 취득하면, 감시 기간의 카운트를 개시한다(단계 ST301).
주기 판정부(12)는, 주기 기억부(13)를 참조하여,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감시 주기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302).
여기서, 도 4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주기 기억부(13)가 기억하고 있는 정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기 기억부(13)에는, 감시 포인트와, 그 감시 포인트의 감시 주기와, 그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트롤러의 정보가 링크되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주기 기억부(13)에는, 감시 포인트, 감시 주기, 컨트롤러의 정보 외에, 예컨대, 감시 포인트의 데이터 타입의 정보 등, 도 4에 나타내는 정보 이외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도록 하여도 좋고, 감시 포인트마다 감시 주기가 링크된 주기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것이면 좋다.
단계 ST302에 있어서, 주기 판정부(12)는, 주기 기억부(13)를 참조하여, 감시 기간의 카운트를 개시(단계 ST301)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감시 주기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T302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주기가 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즉, 감시 주기는 도래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T302의 "NO"의 경우), 주기 판정부(12)는, 단계 ST302의 처리를 반복하여, 감시 주기가 도래하는 것을 대기한다.
단계 ST302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주기가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즉,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T302의 "YES"의 경우), 주기 판정부(12)는,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정한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 작성 지시를, 스캔 메시지 작성부(14)에 출력한다. 이때, 주기 판정부(12)는,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정한 감시 포인트와 그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트롤러의 정보를 주기 기억부(13)로부터 취득하고, 그 감시 포인트와 컨트롤러의 정보를, 스캔 메시지 작성 지시와 함께, 스캔 메시지 작성부(14)에 출력한다.
예컨대, 감시 기간의 카운트를 개시하고 나서 30초가 경과하고, 주기 기억부(13)에는 도 4에서 설명한 것 같은 내용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주기 판정부(12)는, 감시 포인트 1, 감시 포인트 3, 감시 포인트 5에 대해서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정하여, 그 감시 포인트 1, 감시 포인트 3, 감시 포인트 5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 작성 지시를 스캔 메시지 작성부(14)에 출력한다. 이때, 주기 판정부(12)는, 감시 포인트 1, 감시 포인트 3, 감시 포인트 5의 정보와, 각각에 대응하는, 컨트롤러(21), 컨트롤러(21), 컨트롤러(22)의 정보를 대응시켜 스캔 메시지 작성부(14)에 출력한다.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주기 판정부(12)로부터 출력된 스캔 메시지 작성 지시에 기초하여, 스캔 메시지를 작성한다(단계 ST303).
여기서는, 스캔 메시지란, 시설 관리 장치(1)로부터 컨트롤러(2n)에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취득 요구이다.
예컨대,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컨트롤러(21)에 대하여 감시 포인트 1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와, 컨트롤러(21)에 대하여 감시 포인트 3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와, 컨트롤러(22)에 대하여 감시 포인트 5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를 작성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감시 주기가 도래한 감시 포인트에 대해서, 감시 포인트 단위로 스캔 메시지를 작성한다.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작성한 스캔 메시지를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에 출력한다.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로부터 출력된 스캔 메시지를 이용하여,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로부터 출력된 스캔 메시지를 해당 컨트롤러(2n)에 송신하여, 해당 컨트롤러(2n)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한다(단계 ST304).
예컨대,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감시 포인트 1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와, 감시 포인트 3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를 컨트롤러(21)에 송신하여, 컨트롤러(21)로부터, 감시 포인트 1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와 감시 포인트 3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감시 포인트 5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를 컨트롤러(22)에 송신하여, 컨트롤러(22)로부터, 감시 포인트 5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한다.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출력 제어부(16)에 출력한다.
출력 제어부(16)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로부터 취득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출력 장치(3)에 영상으로서 표시시킨다(단계 ST305).
예컨대, 출력 제어부(16)는, 감시 포인트 1, 감시 포인트 3, 감시 포인트 5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내용을, 표시 장치인 출력 장치(3)에 표시시킨다. 표시 형식은,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값을 숫자, 혹은, 문자열로서 표시시키는 것이어도 좋고, 그래프 등으로 표시시키는 것이어도 좋으며, 적절한 표시 방법으로 표시시키도록 하면 좋다.
도 5는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출력 제어부(16)가,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출력 장치(3)에 영상으로서 표시시킨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 제어부(16)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도 5에 있어서는 회의실의 온도 혹은 습도, 냉수 온도)의 현재값을 표시시키거나, 경향(추세) 그래프로서 표시시키거나 한다.
그 후, 단계 ST302로 되돌아가서,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출력 장치(3)는 표시 장치인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출력 제어부(16)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영상으로서 표시시키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출력 장치(3)가 음성 출력 장치이면, 출력 제어부(16)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음성으로서 출력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출력 제어부(16)는, 출력 장치(3)의 형태에 따라,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출력시키도록 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면, 그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그때마다, 출력 제어부(16)에 출력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감시 포인트 데이터 기억부(도시 생략)에 축적하도록 하여, 예컨대, 시설의 감시자 등이,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축적시키고 있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출력 지시를 입력한 경우 등의 타이밍에, 출력 제어부(16)가, 출력 장치(3)에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출력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T305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출력시킨 후, 단계 ST302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시설의 관리자 등이,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을 종료시키는 지시를 입력하면, 엔지니어링 장치는 그 종료 지시의 정보를 시설 관리 장치(1)에 송신하고, 지시 접수부(11)는, 그 종료 지시 정보를 접수하여, 주기 판정부(12)에 대하여 감시 기간의 카운트를 리셋시켜, 처리 종료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일례로서, 시설 관리 장치(1)는,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송신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지시에 따라,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시설 관리 장치(1)는, 그 외의 정보를 계기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지시 접수부(11)가, 내부에 유지한 타이머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을 개시하는 시각이 된 것을 검지하여, 그 시각이 된 타이밍에, 주기 판정부(12)가 감시 기간의 카운트를 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 1에 따르면, 시설 내의 각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각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대해서, 그 감시 포인트마다의 특성, 혹은, 성질을 고려한 감시를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속으로 수집하고자 하는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만을, 수집하고자 하는 타이밍에, 고속으로 데이터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데이터 타입마다 감시 주기를 설정하고 있었던 경우에서는, 예컨대, 1점이라도 고속으로 데이터 수집하고자 하는 감시 포인트가 있으면, 동일한 감시 주기가 설정된 동일한 데이터 타입의 감시 포인트 전부에 대하여 고속으로 데이터 수집하지 않으면 안 되었던 것에 비해서, 시설 관리 장치(1)와 컨트롤러(2n) 사이의 통신 부하 및 시설 관리 장치(1) 등에 있어서의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감시 주기가 도래한 감시 포인트에 대해서, 그 감시 주기가 도래한 감시 포인트마다 하나, 즉, 감시 주기가 도래한 감시 포인트에 대해서, 감시 포인트 단위로, 스캔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 실시형태 2에서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가, 감시 주기가 도래한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트롤러마다 하나, 즉, 감시 주기가 도래한 감시 포인트에 대해서, 그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트롤러 단위로, 스캔 메시지를 작성하는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를 구비한 시설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의 구성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도 1,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도 3에서 설명한 흐름도와 같지만, 이 실시형태 2와 실시형태 1에서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도 3의 단계 ST303에서 설명한, 스캔 메시지 작성부(14)의 구체적인 동작이 상이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1과는 상이한 단계 ST303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그 외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예컨대, 감시 기간의 카운트를 개시하고 나서 30초가 경과하고, 주기 기억부(13)에는 도 4에서 설명한 것 같은 내용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단계 ST302에 있어서, 주기 판정부(12)는, 감시 포인트 1, 감시 포인트 3, 감시 포인트 5에 대해서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정하여, 그 감시 포인트 1, 감시 포인트 3, 감시 포인트 5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 작성 지시를, 감시 포인트 1, 감시 포인트 3, 감시 포인트 5의 정보와, 각각에 대응하는, 컨트롤러(21), 컨트롤러(21), 컨트롤러(22)의 정보와 동시에 스캔 메시지 작성부(14)에 출력한 것으로 한다.
단계 ST303에 있어서,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주기 판정부(12)로부터 출력된 스캔 메시지 작성 지시에 기초하여, 스캔 메시지를 작성한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 2에서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감시 주기가 도래한 감시 포인트에 대해서, 그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트롤러 단위로, 감시 주기가 도래한 복수의 감시 포인트의 분의 스캔 메시지를, 통합하여 하나의 메시지로서 작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컨트롤러(21)에 대하여 감시 포인트 1 및 감시 포인트 3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와, 컨트롤러(22)에 대하여 감시 포인트 5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를 작성한다.
즉, 실시형태 1에서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감시 포인트 1과 감시 포인트 3에 대해서, 각각 별도의 스캔 메시지를 작성하고 있었던 데 대하여, 이 실시형태 2에서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원이 되는 컨트롤러(21)가 동일한 감시 포인트 1과 감시 포인트 3에 대해서는 통합하여, 컨트롤러(2n)마다 스캔 메시지를 작성한다. 즉,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원이 동일하며, 또한, 동일한 감시 주기가 도래한 복수의 감시 포인트에 대해서, 그 복수의 감시 포인트분의 스캔 요청 메시지를, 하나의 스캔 메시지로서 작성한다.
이에 의해, 시설 관리 장치(1) 및 컨트롤러(2n) 사이의 통신 부하 및 스캔 메시지 작성 등의 처리 부하를 보다 경감할 수 있어, 시설 내의 각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각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대해서, 보다 효율적인 감시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 2에 따르면, 시설 관리 장치(1) 및 컨트롤러(2n) 사이의 통신 부하 및 시설 관리 장치(1) 등에 있어서의 처리 부하를 보다 경감할 수 있어, 시설 내의 각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각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대해서, 보다 효율적인 감시를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 2에서는, 감시 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스캔 메시지 작성부(14)가 스캔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감시 주기가 도래하는 타이밍에 매회 스캔 메시지를 작성하고 있으면, 그때마다, 스캔 메시지 작성을 위한 시간이 필요로 된다. 또한, 감시 포인트의 구성은, 빈번하게 변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 3에서는, 미리 스캔 메시지를 작성해 두도록 하는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 3에서는, 감시 주기에 변경이 있었던 경우에, 변경 후의 감시 주기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을 행하도록 하는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a)를 구비한 시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a)의 구성도이다.
이 실시형태 3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a)의 구성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시설 관리 장치(1)의 구성이란, 지시 내용 반영부(17)와, 스캔 메시지 기억부(18)를 더 구비한 점이 상이하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의 시설 관리 장치(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지시 내용 반영부(17)는, 지시 접수부(11)로부터, 감시 포인트의 구성에 변경이 있었던 취지의 정보를 취득하고, 스캔 메시지에 변경이 있는 경우, 스캔 메시지 작성부(14)에 스캔 메시지의 변경 지시를 출력한다. 또한, 지시 내용 반영부(17)는, 주기 기억부(13)에서 기억하고 있는, 감시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변경이 있는 경우는, 그 변경을 반영한다.
스캔 메시지 기억부(18)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가 작성한 스캔 메시지를 기억한다.
스캔 메시지 기억부(18)는, HDD, DVD,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 3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설 관리 장치(1a)가 스캔 메시지 기억부(18)를 구비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캔 메시지 기억부(18)는, 시설 관리 장치(1a)의 외부에 구비되며, 스캔 메시지 작성부(14) 및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네트워크를 통해 스캔 메시지 기억부(18)를 참조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a)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형태 3에서도, 실시형태 1의 시설 관리 장치(1)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시설의 관리자 등이, 엔지니어링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지시를 입력하면,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그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지시의 정보가 시설 관리 장치(1a)에 송신되어, 시설 관리 장치(1a)에 있어서, 이하에 설명하는 도 3의 동작을 행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시설의 관리자 등은,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감시 포인트의 구성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시설 관리자 등에 의해 감시 포인트의 구성의 변경이 행해진 경우, 그 감시 포인트의 구성이 변경이 된 취지의 정보가,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시설 관리 장치(1a)에 송신되어, 시설 관리 장치(1a)의 지시 접수부(11)가 그 감시 포인트의 구성이 변경이 된 취지의 정보를 수신한다.
지시 접수부(11)는,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지시 정보를 접수하면, 그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지시 정보를, 주기 판정부(12) 및 스캔 메시지 작성부(14)에 출력한다.
주기 판정부(12)는, 지시 접수부(11)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지시 정보를 취득하면, 감시 기간의 카운트를 개시한다(단계 ST601). 구체적인 동작은,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도 3의 단계 ST301과 동일하다.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지시 접수부(11)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지시 정보를 취득하면, 스캔 메시지를 작성한다(단계 ST602). 구체적으로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주기 기억부(13)를 참조하여, 감시 주기마다,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트롤러 단위로, 스캔 메시지를 작성한다.
예컨대, 주기 기억부(13)에는, 도 4에서 나타낸 것 같은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감시 주기가 30초가 된 경우에, 컨트롤러(21)에 대하여 감시 포인트 1 및 감시 포인트 3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와, 컨트롤러(22)에 대하여 감시 포인트 5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감시 주기가 60초가 된 경우에, 컨트롤러(21)에 대하여 감시 포인트 2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와, 컨트롤러(23)에 대하여 감시 포인트 6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감시 주기가 120초가 된 경우에, 컨트롤러(22)에 대하여 감시 포인트 4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를 작성한다.
그리고,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단계 ST602에 있어서 작성한 스캔 메시지를, 스캔 메시지 기억부(18)에 기억시킨다(단계 ST603).
여기서, 도 8은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스캔 메시지 기억부(18)가 기억하는 스캔 메시지의 정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캔 메시지 기억부(18)에는, 감시 주기마다, 스캔 메시지 작성부(14)가 작성한 스캔 메시지가, 스캔 메시지 No.가 부여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다. 스캔 메시지 No.는 적절하게 번호를 매기면 좋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내용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스캔 메시지 기억부(18)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가 작성한 스캔 메시지를 감시 주기마다, 혹은, 감시 포인트마다 특정 가능한 상태로 저장하고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 3에서는, 미리, 스캔 메시지 작성부(14)가, 주기 기억부(13)에서 기억하고 있는 주기 정보에 기초하여, 컨트롤러(2n)로부터 해당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를 작성해 두고, 스캔 메시지 기억부(18)에 기억시켜 둔다.
도 7의 흐름도로 되돌아간다.
주기 판정부(12)는, 주기 기억부(13)를 참조하여,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감시 주기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604). 구체적인 동작은,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도 3의 단계 ST302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T604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감시 주기가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즉,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T604의 "YES"의 경우),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스캔 메시지 기억부(18)를 참조하여, 송신하여야 할 스캔 메시지를 특정하여 취득한다. 그리고,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취득된 스캔 메시지를 해당 컨트롤러(2n)에 송신하여, 해당 컨트롤러(2n)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한다(단계 ST605).
단계 ST605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서, 주기 기억부(13)에는 도 4에 나타낸 것 같은 내용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스캔 메시지 기억부(18)에는 도 8에서 나타낸 것 같은 내용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컨대, 감시 기간의 카운트를 개시하고 나서 30초가 경과하면, 주기 판정부(12)는, 감시 주기가 30초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감시 주기가 도래한 취지의 정보를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에 출력한다.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스캔 메시지 기억부(18)를 참조하여, 감시 주기가 30초인 스캔 메시지 No. 1, 2의 스캔 메시지를, 송신하여야 할 스캔 메시지로 특정하여, 그 스캔 메시지 No. 1, 2를 취득한다. 그리고,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스캔 메시지 No. 1, 2의 스캔 메시지를 해당 컨트롤러(21, 22)에 송신하여, 감시 포인트 1, 감시 포인트 3, 감시 포인트 5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예컨대, 주기 판정부(12)는, 감시 주기가 30초인 감시 포인트 1, 감시 포인트 3, 감시 포인트 5에 대해서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정하여, 감시 포인트 1, 감시 포인트 3, 감시 포인트 5의 정보를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에 출력하고,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스캔 메시지 기억부(18)를 참조하여, 감시 포인트 1, 감시 포인트 3, 감시 포인트 5의 정보로부터, 스캔 메시지 No. 1, 2를 특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출력 제어부(16)에 출력한다.
출력 제어부(16)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로부터 취득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출력 장치(3)에 영상으로서 표시시킨다(단계 ST606). 구체적인 동작은,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도 3의 단계 ST305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 3에서도, 실시형태 1, 2와 마찬가지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감시 포인트 데이터 기억부(도시 생략)에 축적하도록 하여, 예컨대, 시설의 감시자 등이,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축적시키고 있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출력 지시를 입력한 경우 등의 타이밍에, 출력 제어부(16)가, 출력 장치(3)에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출력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단계 ST604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감시 주기가 되지 않았고 판정한 경우, 즉, 감시 주기는 도래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T604의 "NO"의 경우), 지시 접수부(11)는,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감시 포인트의 구성이 변경이 된 취지의 정보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607).
단계 ST607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의 구성이 변경이 된 취지의 정보를 접수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T607의 "NO"의 경우), 단계 ST604로 되돌아간다.
단계 ST607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의 구성이 변경이 된 취지의 정보를 접수하였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T607의 "YES"의 경우), 지시 접수부(11)는, 접수한 변경 정보를 지시 내용 반영부(17)에 출력하고, 지시 내용 반영부(17)는,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 내용을 주기 기억부(13)에 반영한다(단계 ST608).
시설의 관리자 등이,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감시 포인트의 구성의 변경을 행하면, 엔지니어링 장치는, 그 감시 포인트의 구성의 변경을 행한 취지의 정보와 함께, 변경 정보를, 시설 관리 장치(1)의 지시 접수부(11)에 송신한다. 변경 정보에는, 구성의 변경을 행한 감시 포인트 및 변경의 내용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감시 포인트의 구성의 변경이란, 예컨대, 기존의 감시 포인트의 주기 정보 등의 변경, 기존의 감시 포인트의 삭제, 새로운 감시 포인트의 추가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주기 기억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도 4에서 나타내는 내용이며, 지시 내용 반영부(17)는, 컨트롤러(21)의 감시 포인트 2의 감시 주기를 80초로 하는 변경과, 컨트롤러(21)에 감시 주기 30초의 감시 포인트 7을 추가하는 감시 포인트의 구성의 변경을 행하였다고 한다. 이 경우, 단계 ST607에 있어서, 지시 내용 반영부(17)는, 컨트롤러(21)의 감시 포인트 2의 감시 주기를 80초로 변경하는 취지의 변경 정보와, 컨트롤러(21)에 감시 주기 30초의 감시 포인트 7을 추가하는 변경 정보를 취득하고, 주기 기억부(13)에 기억되어 있는 감시 포인트 2의 감시 주기를 80초로 갱신하여, 새롭게, 감시 주기 30초의 감시 포인트 7의 정보를 추가한다(도 9 참조).
지시 내용 반영부(17)는, 감시 주기에 변경이 있는 감시 포인트가 존재하는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609).
단계 ST609에 있어서, 감시 주기에 변경이 있는 감시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T609의 "NO"의 경우), 단계 ST604로 되돌아간다.
단계 ST609에 있어서, 감시 주기에 변경이 있는 감시 포인트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T609의 "YES"의 경우), 지시 내용 반영부(17)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에, 스캔 메시지 변경 지시를 출력한다. 이때, 지시 내용 반영부(17)는, 감시 주기에 변경이 있는 감시 포인트의 정보도 아울러 스캔 메시지 작성부(14)에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는, 예컨대, 컨트롤러(21)의 감시 포인트 2의 감시 주기가 80초로 변경되고, 컨트롤러(21)에 감시 주기 30초의 감시 포인트 7이 추가되어 있기 때문에, 지시 내용 반영부(17)는 감시 포인트 2 및 감시 포인트 7의 감시 주기에 변경이 있다고 판정하여, 그 감시 포인트 2 및 감시 포인트 7의 정보와 함께, 스캔 메시지 변경 지시를, 스캔 메시지 작성부(14)에 출력한다. 또한, 예컨대, 기존의 감시 포인트가 삭제된 경우도, 지시 내용 반영부(17)는, 감시 주기에 변경이 있다고 판정한다.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지시 내용 반영부(17)로부터 출력된은 스캔 메시지 변경 지시에 기초하여, 스캔 메시지 기억부(18)에 기억시키고 있는 스캔 메시지의 변경을 행한다(단계 ST610).
여기서는, 예컨대,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도 8에 나타낸 스캔 메시지 중, 스캔 메시지 No. 1에 대해서, 감시 포인트 7을 추가하도록 변경한다. 또한,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스캔 메시지 No. 3에 대해서, 감시 주기를 80초로 하도록 변경한다.
도 10은 실시형태 3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낸, 스캔 메시지 기억부(18)에 기억되어 있는 스캔 메시지에 대해서, 감시 포인트 7의 추가와, 감시 포인트 2의 감시 주기의 변경을 반영한 결과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계 ST610에 있어서, 지시 내용 반영부(17)가, 스캔 메시지 기억부(18)에 기억된 스캔 메시지의 변경을 행하면, 단계 ST604로 되돌아가고, 단계 ST604에 있어서 주기 판정부(12)가,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정하면, 단계 ST605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최신의 스캔 메시지에 기초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을 행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단계 ST601∼단계 ST603의 순서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단계 ST601과, 단계 ST602∼단계 ST603의 순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단계 ST602∼단계 ST603의 처리를 행한 후, 단계 ST601의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고, 단계 ST601과, 단계 ST602∼단계 ST603의 처리를 병행하여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 3에서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가 미리 스캔 메시지를 작성하여, 기억시켜 두는 동작은, 지시 접수부(11)가,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지시를 접수한 경우에 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시설 관리 장치(1a)에 전원이 투입된 타이밍 등에, 스캔 메시지 작성부(14)가 미리 스캔 메시지를 작성하여, 기억시켜 두도록 하여도 좋고, 감시 주기가 도래하여,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을 행하는 것(단계 ST605)보다 전에, 스캔 메시지가 작성되어 있게 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 3에서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감시 주기마다,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트롤러 단위로, 스캔 메시지를 작성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스캔 메시지 작성부(14)는, 감시 주기가 도래한 감시 포인트 단위로, 스캔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 2와 마찬가지로, 출력 제어부(16)는, 출력 장치(3)의 형태에 따라,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출력시키도록 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T606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정보를 출력시킨 후, 단계 ST604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시설의 관리자 등이,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을 종료시키는 지시를 입력하면, 엔지니어링 장치는 그 종료 지시 정보를 시설 관리 장치(1)에 송신하고, 지시 접수부(11)는, 그 종료 지시 정보를 접수하여, 주기 판정부(12)에 대하여 감시 기간의 카운트를 리셋시켜, 처리 종료하도록 하여도 좋고, 단계 ST605, 606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은 행하지 않으며, 단계 ST607∼단계 ST610의 처리를 반복해서 행하여, 감시 포인트의 구성의 변경이 있었던 경우에, 그 변경을 주기 기억부(13) 및 스캔 메시지 기억부(18)에 반영하는 동작만 계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일례로서, 시설 관리 장치(1)는,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송신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 지시에 따라, 도 7에서 설명한 것 같은,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시설 관리 장치(1)는, 그 외의 정보를 계기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지시 접수부(11)가, 내부에 유지한 타이머에 의해,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을 개시하는 시각이 된 것을 검지하고, 그 시각이 된 타이밍에, 주기 판정부(12)가 감시 기간의 카운트를 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것 같은, 지시 내용 반영부(17)의 구성을, 실시형태 1의 시설 관리 장치(1)에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실시형태 1의 시설 관리 장치(1)가, 지시 내용 반영부(17)를 더 구비하고, 지시 내용 반영부(17)가, 지시 접수부(11)를 통해, 엔지니어링 장치로부터 감시 포인트의 구성에 변경이 있었던 취지의 정보를 취득하여, 주기 기억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주기 판정부(12)는, 변경 후의, 즉, 최신의 감시 주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15)는, 그 최신의 감시 주기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 3에 따르면, 스캔 메시지 작성부(14)가 미리 스캔 메시지를 작성하여, 기억시켜 두도록 하였기 때문에,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타이밍에 매회 스캔 메시지를 작성할 필요가 없어져, 그 스캔 메시지의 작성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를 보다 고속화할 수 있다.
감시 포인트의 구성은, 빈번히 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미리 스캔 메시지를 작성하고 기억시켜 둔 스캔 메시지를 유효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 3에 따르면, 감시 포인트의 구성에 변경이 있었던 취지의 정보를 접수하고, 그 변경을 반영한 감시 주기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수집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감시 포인트의 구성에 변경이 있었던 경우도, 변경 후의 적확한 감시 주기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감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3에서 설명한 시설 관리 장치(1)는, 빌딩, 공장, 플랜트 등의 모든 시설에 있어서, I/O 상태를 감시하는 시설 관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 실시형태의 자유로운 조합, 혹은 각 실시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변형, 혹은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 요소의 생략이 가능하다.
1, 1a 시설 관리 장치
3 출력 장치
11 지시 접수부
12 주기 판정부
13 주기 기억부
14 스캔 메시지 작성부
15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
16 출력 제어부
17 지시 내용 반영부
18 스캔 메시지 기억부
21, 22, 23, 2n 컨트롤러

Claims (7)

  1. 감시 포인트마다 설정된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주기 판정부와,
    상기 주기 판정부가, 상기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감시 주기가 도래한 감시 포인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감시 포인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를 작성하는 스캔 메시지 작성부와,
    상기 스캔 메시지 작성부가 작성한 스캔 메시지를 기억하는 스캔 메시지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주기 판정부가, 상기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스캔 메시지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스캔 메시지 중, 상기 감시 주기가 도래한 감시 포인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캔 메시지를 특정하여 취득하며, 그 취득된 스캔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 주기가 도래한 감시 포인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주기의 변경 지시 정보를 접수하는 지시 접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시 접수부가 상기 감시 주기의 변경 지시 정보를 접수한 경우, 상기 주기 판정부는, 그 변경 지시 정보에 기초한 변경 후의 감시 주기가 도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포인트 데이터 수집부가 수집한 감시 포인트에 관한 데이터를, 영상으로서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메시지 작성부는,
    상기 감시 포인트 단위로 상기 스캔 메시지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메시지 작성부는,
    상기 감시 포인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트롤러 단위로 상기 스캔 메시지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KR1020170067797A 2016-06-02 2017-05-31 시설 관리 장치 KR102001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10979 2016-06-02
JP2016110979A JP6729967B2 (ja) 2016-06-02 2016-06-02 施設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993A KR20170136993A (ko) 2017-12-12
KR102001296B1 true KR102001296B1 (ko) 2019-07-17

Family

ID=6054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797A KR102001296B1 (ko) 2016-06-02 2017-05-31 시설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29967B2 (ko)
KR (1) KR102001296B1 (ko)
CN (1) CN1074635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0234B2 (ja) * 2017-12-26 2021-09-22 アズビル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上位装置
JP7068819B2 (ja) * 2017-12-28 2022-05-17 アズビル株式会社 施設監視装置および施設監視方法
JP7138486B2 (ja) * 2018-06-07 2022-09-16 アズビル株式会社 施設監視装置および施設監視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2969A (ja) * 2001-02-05 2002-08-16 Yamatake Corp 設備監視方法及び設備監視システム
JP2004094421A (ja) * 2002-08-30 2004-03-25 Yamatake Corp 制御コントローラにおけるデータの入出力定義を行うシステム
JP2016040671A (ja) * 2014-08-12 2016-03-24 アズビル株式会社 施設統合管理システム及び施設統合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2086A (ja) * 2003-07-09 2005-02-03 Yokogawa Electric Corp データ収集システム
US7529642B2 (en) * 2004-08-20 2009-05-05 Pdf Solutions S.A. Method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data collection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CN101267333B (zh) * 2007-06-15 2011-09-07 南京联创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自动变更采集代理的业务系统监控方法
JP2011003007A (ja) * 2009-06-18 2011-01-06 Yamatake Corp 施設管理装置及び施設管理方法
JP5455724B2 (ja) * 2010-03-15 2014-03-26 株式会社東芝 上下水道プラントの運転状況監視システム
US8965595B2 (en) * 2011-10-17 2015-02-24 Gojo Industries, Inc. Methods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for a hands-free dispens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2969A (ja) * 2001-02-05 2002-08-16 Yamatake Corp 設備監視方法及び設備監視システム
JP2004094421A (ja) * 2002-08-30 2004-03-25 Yamatake Corp 制御コントローラにおけるデータの入出力定義を行うシステム
JP2016040671A (ja) * 2014-08-12 2016-03-24 アズビル株式会社 施設統合管理システム及び施設統合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63527A (zh) 2017-12-12
KR20170136993A (ko) 2017-12-12
JP2017215912A (ja) 2017-12-07
JP6729967B2 (ja) 2020-07-29
CN107463527B (zh)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296B1 (ko) 시설 관리 장치
JP5731088B2 (ja) 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733568A (zh) 使用客户端-服务器架构的流处理
US9430221B2 (en)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firmware of a rackmount server system
CN105528366B (zh) 一种数据同步控制方法和装置
JP2010161632A (ja) 映像監視システム、映像情報配信装置およびクライアント装置
JP2005157711A (ja) アクセスパターンを学習する記憶装置
JP2009260838A (ja) 監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7979629B (zh) 分布式缓存系统及其数据缓存方法和装置
JP2002259338A (ja) プロキシサーバとウェブサーバを含む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994514B1 (ja) 公衆無線lanシステム及び公衆無線lanシステム用のルーター装置
KR102534295B1 (ko) Hmi 장치 및 hmi 장치의 데이터 출력방법
JP5641856B2 (ja) 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2169704A (ja) 代行処理方法、代行処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6333369B2 (ja) 展開予測装置、展開予測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592616B2 (ja) 中継装置
JP2010211523A (ja) 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方法、機器管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9016890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7013733A (ja) ファイル作成装置および方法
CN115665112B (zh) 一种适用于工业互联网的视频格式转换系统及方法
JP2005339499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用の制御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の端末装置用のプログラム
JP2017134572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セキュリティ機器のログ情報を保存する方法
JP2004048171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その設定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54495B2 (ja) 計算機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及び処理装置
JP200209471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