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275B1 -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및/또는 공압 시스템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및/또는 공압 시스템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275B1
KR102001275B1 KR1020147023897A KR20147023897A KR102001275B1 KR 102001275 B1 KR102001275 B1 KR 102001275B1 KR 1020147023897 A KR1020147023897 A KR 1020147023897A KR 20147023897 A KR20147023897 A KR 20147023897A KR 102001275 B1 KR102001275 B1 KR 10200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pressure
purge
pneu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823A (ko
Inventor
한스-오토 베커
죄르그 메이에르
우에 스타베나우
Original Assignee
바브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브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브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25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7/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having positively-driven valving
    • F04B7/0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having positively-driven valving the valving being fluid-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6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hydropneumatic systems
    • B60G17/0565Height adjus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2Height or leveling valve for air-springs
    • B60G2500/2021Arrangement of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4Pressure regulating valves for air-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4Pressure regulating valves for air-springs
    • B60G2500/2044Air exhausting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58Pilot or servo controlled
    • Y10T137/7761Electrically actuated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249Multiple inlet with multiple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 조립체, 특히 차량의 에어 스프링 조립체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 압축 공기 공급부(1);
- 공압 조립체(90)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부(1);
- 외부에 대한 퍼지 연결부(3);
- 압축 공기 공급부(1)와 압축 공기 연결부(2) 사이에 위치하며 에어 드라이어(61)를 포함하는 공압 메인 라인(60);
- 압축 공기 연결부(2)와 퍼지 연결부(3) 사이에 위치하는 퍼지 라인(70);
- 퍼지 밸브(71)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밸브(81, 81', 81")를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80)를 포함하되, 제어 밸브(81, 81', 81")는 퍼지 밸브(71)의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 연결된 공압 제어 라인(110) 내의 제어 밸브 연결부(X2, Y2)에 연결되고, 퍼지 밸브(71)는 퍼지 라인(70)의 퍼지 밸브 연결부(X1, Y1)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 유지 공압 장치(120)는 특히 공압 제어 라인(110)에 연결되며, 퍼지 라인(70) 내의 퍼지 밸브(71)의 퍼지 밸브 연결부(X1, Y1)가 열릴 때 퍼지 라인(70) 및/또는 공압 메인 라인(60) 내의 압력과 관계없이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의 제어 압력을 유지하도록 조정된다.

Description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및/또는 공압 시스템 작동 방법{Compressed air supply system, pneumatic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pressed air supply system and/or a pneumatic system}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를 갖는 공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제어 방법, 특히 공압 조립체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는 특히 압축 공기를 차량의 에어 스프링 조립체에 공급하기 위하여 모든 종류의 차량 내에서 사용된다. 에어 스프링 조립체는 또한 레벨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차량 차축과 차량 상부 구조 사이의 거리는 이 레벨 제어 장치로 조정될 수 있다. 위에서 인용된 공압 시스템의 에어 스프링 조립체는 공통 라인(갤러리)에 공압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에어 벨로우즈를 포함한다. 에어 벨로우즈는 채움 레벨이 증가됨에 따라 차량 상부 구조를 들어올릴 수 있고 또한 채움 레벨이 감소됨에 따라 차량 상부 구조를 낮출 수 있다. 차량 차축과 차량 상부 구조 사이의 거리 또는 최저 지상고(ground clearance)가 증가됨에 따라 차량 상부 구조와의 접촉 없이도 스프링 활주(spring travel)는 더 길어지고 더 큰 지면 불균일은 극복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비포장 도로 차량 그리고 스포츠형 다목적 차량(SUV) 내에 사용된다. 매우 강력한 엔진을 갖는 SUV에서, 차량에 먼저 포장 도로 상에서의 고속 주행을 위하여 먼저 비교적 낮은 최저 지상고를 제공하고 두 번째로는 비포장 도로 사용을 위하여 비교적 높은 최저 지상고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최저 지상고의 변화를 가능한 한 빨리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압축 공기 조립체의 속도, 유연성 그리고 신뢰성과 관련하여 요구 조건을 증가시킨다. 공압 조립체,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에어 스프링 조립체를 갖는 공압 시스템 내에서의 사용을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는 압축 공기 공급부로부터의, 예를 들어 5 내지 20 바 압력 범위 내의 압축 공기로 작동된다. 압축 공기는 압축 에어 컴프레서, 예를 들어 컴프레서 또는 적용 가능한 경우 이중 컴프레서에 의하여 공기 공급부로 제공된다. 공압 조립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압축 공기 공급부는 압축 공기 연결부와 공압적으로 연결되며, 다른 측부 상에서는 퍼지 연결부(purge connection)와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퍼지 밸브 장치를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를 통하여 공기가 하나 이상의 퍼지 연결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는 외부로 퍼지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의 장시간 작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 조립체는 에어 드라이어를 가지며, 시스템으로 공급된 압축 공기는 이 에어 드라이어로 건조된다. 이는 비교적 저온에서의 밸브에 손상을 입히는 결정 형성을 야기할 수 있고 또한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내 그리고 공압 조립체 내에 바람직하지 않은 결함을 야기할 수 있는 공압 시스템 내에서의 수분의 축적을 방지한다. 에어 드라이어는 건조 매체, 보통 과립화 벌크 제품을 가지며, 압축 공기는 건조 매체를 통과할 수 있어 비교적 높은 압력에서 과립은 압축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경우, 에어 드라이어는 재생식 에어 드라이어로 설계될 수 있다. 각 퍼지 사이클에서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으로부터의 건조된 압축 공기가 충진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또는 동일한 방향으로 과립을 통하여 흐를 수 있다는 점에서 위의 과정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퍼지 밸브 장치는 열릴 수 있다. 압력 변화 흡수로서 알려진 이러한 응용을 위하여,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를 유연하게 그리고 동시에 신뢰할 수 있게 설계하여 에어 드라이어의 재생에 충분한 압력 변화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속한 퍼지를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입증되어 왔다. 특히 이 상황들을 고려하여,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를 위하여 비교적 신뢰할 수 있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퍼지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는 가능한 한 큰 퍼지 압력 진폭(pressure amplitude), 즉 작동 압력에서 퍼지 압력까지의 퍼지 압력 진폭으로써 달성할 필요를 초래하며, 여기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조 단계에서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의 요소는 규격이 크거나 지나치게 복잡해서는 안된다.
-제어 밸브를 갖지 않은- 소위 직접 퍼지 회로는 제어 및 퍼지 밸브를 갖는 위에서 언급된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의 불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접 퍼지 회로에서, 빠른 퍼지를 허용하기 위하여 퍼지 밸브의 공칭 폭은 비교적 크게 설계되어야 하나, 동시에 퍼지 밸브를 위한 자기 코일의 전류 흡수에 의하여 제한되며, 따라서 결국에는 단지 제한된 전환 압력 차이만이 이루어질 수 있다.
EP 1 165 333 B2 는 원칙적으로 처음에 인용된 형태의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의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는 퍼지 밸브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밸브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를 포함한다. 제어 밸브는 제어 라인 내에서 밸브 연결부와 연결되며, 제어 라인은 퍼지 밸브의 압력 제어 연결부에 연결된다. 퍼지 밸브는 퍼지 라인 내에서 밸브 연결부와 연결된다. 원칙적으로 급격한 퍼지 전환을 허용하는 이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또는 유사한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는 기본적인 구조에 있어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제어 밸브는 일반적으로 3/2-웨이 밸브로서 형성되며 공압 메인 라인의 에어 벨로우즈에 의하여 또는 이로부터 얻어진 제어 압력에 의하여 전환된다. 퍼지 밸브의 압력 제어 연결부로 전달될 수 있는 제어 압력은 퍼지 라인 내의 퍼지 밸브의 밸브 연결부의 열림을 작동시키고 따라서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의 퍼지를 시작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개념을 따르는, 예를 들어 DE 102 23 405 B4 또는 EP 0 978 397 B1 또는 DE 10 2009 029 898 A1에서와 같은 모든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의 단점은 퍼지 밸브의 릴레이 피스톤이 정상적으로 밸브 스프링에 의하여 제공된 닫힘 유지력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잔류 압력 - 그리고 대응하는 선-제어 압력(pre-control pressure)-이 퍼지 밸브의 릴레이 피스톤을 위하여 시스템 내에 비축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밸브 스프링의 닫힘 유지력은 예를 들어 에어 컴프레서가 비교적 높은 압력에 대항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요구된다. 또한 퍼지 밸브의 열림 작용은 잔류 압력을 위하여 고려되어야만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의 기본적인 퍼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 환경들은 규칙적으로 선-제어 압력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벨로우즈 압력, 예를 들어 1 또는 수 바(bar) 범위의 벨로우즈 압력의 보존을 야기한다. 잔류 압력은 1 또는 2 내지 3 바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의 설계에서 3 바 이상의 벨로우즈 압력을 위한 압력 하한가가 한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설계에도 불구하고, 작동 환경에 따라, 부분적으로 닫혀진 밸브 횡단면이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는 에어 드라이어 내의 현저하게 감소된 재생 작용을 야기할 수 있고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불안정한 시스템 작동 상태를 야기할 수 있다.
현 시점에서 본 발명이 사용되며,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 특히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그리고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를 갖는 공압 시스템을 특정하는 것이며,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는 제어 밸브와 퍼지 밸브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에 기초하여 개선된 기능, 특히 개선된 퍼지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비교적 높은 압력 진폭으로 퍼지 기능이 가능하다.
특히 그럼에도 불구하고,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내의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는 비교적 간단하게 그리고 속성 기능을 갖고 설계될 수 있다. 특히, 기능 악화의 가능성은 크게 방지 또는 감소된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이전에 사용 중인 시스템의 비교적 간단한 변형에 의하여, 특히 초기에 언급된 급속 퍼지 시스템 그리고 해당되는 경우 예를 들어 공압 조립체 또는 제어 전자 장치와 같은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의 주변 요소의 비교적 간단한 변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및/또는 공압 조립체의 작동을 위한, 특히 제어를 위한 적절한 방법을 특정하는 것이다.
한 장치에 따르면, 위의 목적은 처음에 언급된 형태의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항의 특징부의 특징들이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내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 유지 공압 장치가 제어 라인에 연결된 구조가 제안되며, 이 장치는 퍼지 라인 및/또는 공압 메인 라인 내의 압력에 관계없이, 퍼지 라인 내의 퍼지 밸브의 퍼지 밸브 연결부가 열릴 때 압력 제어 연결부에서 제어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조정된다. 제어 라인에 대한 연결부는 또한 제어 라인 내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를 갖는 압력 유지 공압 장치는 단지 하나의 연결부로 제어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정도로 압력 유지 공압 장치는 일방적으로,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압력 어큐뮬레이터, 압력 리저버(pressure reservoir) 또는 벨로우즈 또는 컴프레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연결부를 갖는 공압 장치는 2개의 연결부 또는 해당되는 경우 다수의 연결부를 갖는 제어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정도로 공압 장치는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밸브, 특히 2/2-웨이 밸브로 양 방향으로 제어 라인에 통합된다. 밸브는 또한 제어 라인과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3/2-웨이 밸브를 갖는 다른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와 관련하여, 이 목적은 청구항 18항의 공압 시스템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그리고 에어 스프링 조립체 형태의 공압 조립체를 갖는 공압 시스템 내에서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여기서, 에어 스프링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벨로우즈 분기 라인을 갖는 갤러리 및/또는 갤러리와 공압적으로 연결된 어큐뮬레이터 분기 라인을 포함하며, 벨로우즈 및/또는 압력 어큐뮬레이터 및/또는 방향 밸브는 벨로우즈 및/또는 압력 어큐뮬레이터 앞에 배치된다.
방법과 관련하여, 이 목적은 청구항 19항에 따른 방법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내의 퍼지 밸브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밸브를 갖는, 처음에 언급된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가 원칙적으로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는 고려 사항을 기초로 한다. 퍼지 밸브의 압력 제어 연결부에서의 제어 압력을 이루기 위하여 공압 메인 라인 내에 존재하는 벨로우즈 압력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적절하지만, 잔류 유지 압력, 특히 잔류 벨로우즈 압력의 초기에 언급된 문제점과 관련하여 장애 요인일 수 있다. 드라이어를 재생하기 위하여 특별하게 효과적인 압력 변화 흡수 또는 에어 스프링 조립체 내의 높은 스프링 진폭(spring amplitude)이 이루어지거나 최적화된다면, 이 정도로 필요한 잔류 유지 압력은 제한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하게 신속한 퍼지 기능이 이루어진다면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의 퍼지 기능을 위하여 선행 기술에서 요구된 바와 같이 잔류 유지 압력에 관한 수단이 해당되는 경우에 저해 요인일 수 있다는 고려 사항을 기초로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속한 퍼지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퍼지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의 간단한 구조는 과도하게 복잡해져서는 안되며 또한 비교적 간단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 고려 사항들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라인에 연결된 압력 유지 공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로 인하여 벨로우즈 압력으로부터 제어 압력을 이루는 것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더 정확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압력 유지 공압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퍼지 라인 내의 퍼지 밸브의 밸브 연결부가 열릴 때 압력 제어 연결부에서 제어 압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퍼지 라인과 공압 메인 라인 내의 압력에 관계없이 이 제어 압력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조정된다.
벨로우즈 압력과 관계없이 이 정도로 기능을 수행하는 압력 유지 공압 장치의 이 개념은 비교적 높은 압력 변화 진폭 및 신속한 퍼지 기능을 이루기 위한 설계 가능성과 관련하여 성공적으로 입증되어 왔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에 더하여 그리고/또한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 특히 제어 밸브의 변형과 함께 제어 라인 내의 압력 유지 공압 장치는 비교적 간단하게 그리고 이전에 공지된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의 과도한 변형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종속항에 주어져 있으며, 그리고 과제의 부분으로서 그리고 다른 이점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개념을 실행하기 위한 유리한 가능성을 상세하게 특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압력 유지 수단이 압력 유지 공압 장치 내에 제공되며, 이 압력 유지 공압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의 비교적 간단한 변형에 의하여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공압 조립체와 같은,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의 주변 요소의 공압 요소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압력 유지 수단은 원칙적으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는 모든 수단 또는 일정한 압력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다. 일정한 압력은 벨로우즈 압력과 관계없는, 특히 퍼지 라인과 공압 메인 라인 내의 압력과 관계없는 압력이다.
특히, 간단히 말하면, 개념은 압력 유지 수단을 갖는 압력 유지 공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유지 수단은 퍼지 밸브의 압력 제어 연결부에서 제어 압력을 구성할 수 있으며 제어 압력으로써 일정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벨로우즈 압력과 관계없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공압 차단 수단은 특정 제어 압력이 강화된 후의 제어 라인 및/또는 벨로우즈 압력과 관계없이 제어 라인에 비교적 일정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공압원을 차단하기에 적합하다.
특별한 바람직한 개선에서, 퍼지 라인 내의 퍼지 밸브의 밸브 연결부가 열려 퍼지 라인 및/또는 공압 메인 라인 내의 압력이 잔류 유지 압력 이하로 가변적으로 떨어질 수 있을 때 압력 제어 연결부에서 압력을 유지하도록 압력 유지 공압 장치는 조정된다. 특히, 잔류 유지 압력은 퍼지 밸브의 퍼지 밸브 스프링에 의하여 미리 정의된 잔류 압력이다. 이 개선은 특히 제어 압력이 가변적으로 조정, 즉 특히 벨로우즈 압력과 관계없이 그리고 특히 잔류 압력 이하의 범위 내에서 조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마지막으로, 이는 다른 바람직한 개선에서 사용될 수 있어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의 퍼지가 주위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개선은 퍼지 라인 내의 퍼지 밸브의 밸브 연결부가 열려 퍼지 라인 및 공압 메인 라인 내의 압력이 사실상 주위 압력으로 떨어질 수 있을 때 압력 제어 연결부에서 압력을 유지하도록 압력 유지 공압 장치가 조정된다는 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개선의 제 1 변형의 부분으로서, 압력 유지 공압 장치는 제어 밸브 그리고 체크 밸브를 갖고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체크 밸브는 퍼지 라인 및/또는 공압 메인 라인 내의 압력에 관계없이 공압 제어 라인 내의 제어 압력이 적절한 레벨에서 유지되는 것을 허용한다. 특히 이를 위하여 체크 밸브는 제어 밸브 (특히 제어 밸브의 제 1 연결부)와 제어 라인의(즉, 특히 제어 라인 내의) 분기 연결부 사이에서 공압 메인 라인에 연결된다. 특히, 제 1 변형의 개선으로서, 제어 라인을 공압 메인 라인으로부터, 즉 특히 분기 연결부에서 분기시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어 왔으며, 여기서 체크 밸브는 분기 연결부와 (제어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제어 밸브의 밸브 연결부 사이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위의 형태의 분기 연결부는 공압 조립체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부와 에어 드라이어 사이, 특히 쵸크(choke)와 압축 공기 연결부 사이의 공압 메인 라인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쵸크는 드라이어의 재생을 위하여 먼저 충분한 압력 변화 진폭을 지지하는 공칭 폭을 갖는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쵸크는 비교적 신속한 퍼지를 허용하기 위하여 충분하게 큰 규격을 갖는다.
바람직한 제 1 변형을 위한 제어 밸브는 유리하게는 3/2-웨이 밸브로서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제어 밸브의 다른, 특히 제 3 밸브 연결부는 외부와 연결된다. 제어 밸브의 다른 밸브 연결부가 외부에 대한 다른 퍼지 연결부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파생 기술에서, 다른 퍼지 라인은 다른 밸브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 라인은 퍼지 라인 또는 퍼지 연결부로 이어진다.
제 1 개선 변형은 원칙적으로 예를 들어 제 1 전환 위치에서 3/2-웨이 밸브에 의하여 제어 압력이 강화될 수 있으며 또한 퍼지 밸브의 압력 제어 연결부에서 유지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제 1 전환 위치는 유리하게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형성된 제어 밸브의 작동 전환 위치이다. 제어 밸브의 제 2 전환 위치, 바람직하게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비작동, 즉 분리된 전환 위치에서, 제어 라인은 유리하게는 공압 메인 라인으로부터 분기된 부분에서 차단되며, 그리고 유리하게는 퍼지 밸브의 압력 제어 연결부에 연결된 부분 내에서 퍼지된다.
제 2 개선 변형의 부분으로서, 압력 유지 공압 장치가 제어 밸브 그리고 압력 어큐뮬레이터를 갖고 형성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유리하게는, 제어 라인은 압력 어큐뮬레이터 및/또는 압력 어큐뮬레이터로 이어지는 어큐뮬레이터 분기 라인으로부터의 분기부에 연결된다. 어큐뮬레이터 분기 라인 그리고 압력 어큐뮬레이터는 바람직하게는 공압 시스템의 공압 조립체의 구성 요소이다. 이는 기존의 사용 중인 공압 라인 시스템에 대한 변형이 비교적 쉽게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이전 공압 라인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압력 어큐뮬레이터에 연결되고 공압 메인 라인에 대한 연결부를 갖고 있지 않는 제어 라인이 제공된다. 압력 어큐뮬레이터는 퍼지 라인 그리고 공압 메인 라인 내의 압력과는 관계없이 제어 압력이 비교적 복잡함이 거의 없이 생성되는 것을 허용한다. 퍼지 라인 내의 퍼지 밸브의 밸브 연결부가 열릴 때, 메인 라인과 퍼지 라인, 특히 가변적인 잔류 압력을 갖는 벨로우즈는 특히 주위 압력으로 퍼지될 수 있다.
특히, 제어 밸브가 3/2-웨이 밸브로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어 왔으며, 여기서 제어 밸브의 다른 밸브 연결부는 외부(environment)에 연결된다. 원칙적으로, 여기서 제 1 개선 변형에서의 이점과 동일한 이점이 발견된다. 제 2 개선 변형의 부분으로서, 제어 밸브의 다른 밸브 연결부가 외부에 대한 퍼지 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다른 밸브 연결부가 다른 퍼지 연결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 3 개선 변형으로서, 압력 유지 공압 장치가 제어 밸브 자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제 3 개선 변형의 맥락에서, 제어 밸브 자체가 특히 3/2-웨이 밸브로부터의 변경에 의하여 비교적 쉽게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특히, 제어 밸브로서의 3/2-웨이 밸브의 이점은 제어 밸브의 간략화된 기계적 설계를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특히 제 3 개선 변형의 부분으로서, 제어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라인 내에서 연결된 2개의 밸브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밸브는 외부에 대한 밸브 연결부를 갖지 않는다. 특히, 제어 밸브는 2/2-웨이 밸브로서 형성된다. 제 3 개선 변형은 제어 라인이 또한 공압 제어 라인 내로 그리고 에어 드라이어를 통하여 퍼지될 수 있다는 지식을 따른다.
특히, 전자기적 기능 및/또는 제어 밸브를 위한 제어 공정은 개선된 방식으로 확장되어 제 3 변형에 따른 유리한 압력 유지 공압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어 밸브가 전자기적으로 구간 제어 가능(interval-controllable)하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여기서 용어 "제어 가능(interval-controllable)"은 제어 밸브의 열림 및 닫힘 과정이 거의 일시적으로 잇달아 일어나 -특히, 제어 펄스 페어; 즉, 예를 들어 자기 코일로의 전류를 위한 연결 및 차단 과정의 조합에 의하여 시작되어- 즉, 퍼지 밸브의 압력 제어 연결부에서 충분한 제어 압력이 강화될 수 있고 그 직후에 제어 연결부에 연결된 제어 라인의 제 2 부분이 닫힐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 밸브의,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2/2-웨이 밸브의 이러한 (구간 제어 기능으로서 알려진) 제어의 부분으로서, -퍼지 밸브의 밸브 연결부가 열릴 때 -퍼지 라인과 공압 메인 라인 내의 압력과 관계없이- 제어 압력은 퍼지 밸브의 압력 제어 연결부에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제 3 개선 변형은 전자기 구간 제어 기능에 의하여, 제어 구간의 시작에서 제어 라인으로의 퍼지 밸브의 압력 제어 연결부에서 제어 압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어 밸브의 2개의 밸브 연결부는 열려야 하며; 제어 구간의 종료시에 압력 제어 연결부에서의 제어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2개의 밸브 연결부는 닫혀야 한다는 특징을 제공한다. 간단히 말하면, 제어 밸브, 바람직하게는 2/2-웨이 밸브 형태의 제어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형성되며, 또한 제어 구간을 제한하는 제어 펄스 페어(control pulse pair)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어 밸브는 제어 구간의 시작에서 열리고 제어 구간의 종료 시점에서 닫힌다. 제어 구간의 기간은 제어 압력을 강화시키기에 충분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1초 이하에 있을 수 있다.
제 3 개선 변형의 제 1 파생 기술로서, 제어 라인은 압력 어큐뮬레이터에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압력 어큐물레이터로 이어지는 어큐뮬레이터 분기 라인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분기될 수 있다. 제 3 개선 변형의 제 2 파생 기술로서, 제어 라인은 벨로우즈에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벨로우즈로 이어지는 벨로우즈 분기 라인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분기될 수 있다. 이 파생 기술들은 제 2 개선 변형의 문맥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이점을 갖는다.
제 3 개선 변형의 제 3 파생 기술로서, 제어 라인이 에어 컴프레서에 연결된 것이, 특히 에어 컴프레서 및/또는 에어 컴프레서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분기 라인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제어 라인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공압 메인 라인에서 직접적으로 분기될 수 있다. 제 3 파생 기술의 부분으로서, 메인 라인을 통하여 압축 공기 공급부로부터의 에어 컴프레서의 압력 진폭이 한정된 제어 압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어 왔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어 구간의 구간 길이의 미리 한정된 확정(establishment) 및/또는 컴프레서 움직임에 의하여 제어 압력 상황을 종속적으로 한정하기 위한 다양한 부가적인 유리한 가능성이 발생한다.
위의 3가지 파생 기술 및 그들의 실시예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도시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면은 반드시 실시예를 일정한 비율로 도시하지는 않으며, 오히려 도면은 -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개략적으로 그리고/또는 다소 왜곡된 형태로 작성된다. 도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명백한 기술에 대한 추가와 관련하여, 관련 선행 기술이 참고된다. 본 발명의 전반적인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실시예의 형태 및/또는 세부 사항과 관련하여 많은 변형과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어떠한 조합 형태로 본 발명의 개선에 있어서 필수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세한 설명, 도면 및/또는 청구범위에 개시된 적어도 2개의 특징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반적인 개념은 이하에서 설명되고 개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확한 형태 및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 않거나, 또는 그 목적은 청구범위에 한정된 대상물과 비교해 볼 때 제한되지는 않는다. 주어진 규격 범위를 위하여, 위의 제한 내에 있는 값은 또한 한계값으로 서 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임의적으로 사용되고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특징 및 세부 사항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이해된다. 상세하게 도면은 하기 사항을 도시한다.
도 1은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및 공압 조립체를 갖는 공압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는 제어 밸브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를 구비하여 퍼지 밸브를 제어하며, 부가적으로 압력 유지 공압 장치는 제어 밸브와 체크 밸브와의 조합으로서 제어 라인 내에 제공됨을 도시함.
도 2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및 공압 조립체를 갖는 공압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는 제어 밸브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를 구비하여 퍼지 밸브를 제어하며, 압력 유지 공압 장치는 공압 조립체의 압력 어큐뮬레이터와 제어 밸브의 조합으로서 형성됨을 도시함.
도 3은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및 공압 조립체를 갖는 공압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여 퍼지 밸브를 제어하고, 압력 유지 공압 장치는 전자기적 구간 제어 기능을 갖는 2/2-웨이 밸브 형태의 변형된 제어 밸브에 의하여 형성되어 2/2-웨이 밸브가 간단하게 열려 제어 압력을 강화 및 유지시킬 수 있고 그후 닫힐 수 있음을 도시함.
도 4는 2/2 웨이 밸브 형태의 제어 밸브에 의한 도 3 내의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를 위한 퍼지 공정의 기본적인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은 상징적으로 지시된 차량(1000)용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10)와 공압 조립체(90)를 갖는 공압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제어 목적을 위하여 공압 시스템(100)은 플러그 연결부(50)와 데이터버스(40)를 통하여 전자 차량 컨트롤러로서의 ECU에 연결된다. 여기서,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10), 공압 조립체(90), 센서 그리고 릴레이 회로를 위하여, 도면 부호 41, 42, 43, 44, 45, 46, 47, 48로 지시되고 또한 얇게 그려진 다양한 전기적 제어 라인 및 센서 라인 또는 파워 라인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공압 시스템(100)의 모니터링과 제어를 위하여, ECU는 데이터버스(40), 전기 제어 및 센서 라인 그리고 플러그 연결부(50)를 통하여 연결된다; 전기 제어 라인은 공압 조립체(90) 내의 솔레노이드 방향 밸브(93)의 마그네틱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 1 전기 제어 라인(43) 그리고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10, 10', 10") 내의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80)의 솔레노이드 방향 밸브 형태의 제어 밸브(81, 81', 81")의 마그네틱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 2 전기 제어 라인(46)을 포함한다. 제 1 전기 제어 라인(43)은 벨로우즈 및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형성된, 방향 밸브(93, 93.S) 형태의 어큐뮬레이터 밸브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2 전기 제어 라인(46)은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형성된 제어 밸브(81, 81', 81")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 1 전기 센서 라인(45)이 공압 조립체(90) 내의 차고 센서(97; height sensor)에 제공되며, 제 2 전기 센서 라인(44)은 압력 어큐뮬레이터(92)에 대한 어큐뮬레이터 분기 라인(92L) 내의 압력 센서(94)에 제공된다. 제 1 전기 센서 라인(45)은 차고 센서(97)에 연결된다. 제 2 전기 센서 라인(44)은 어큐뮬레이터 분기 라인(92L) 내의 압력 어큐뮬레이터(92) 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94)에 연결된다. 더욱이, 제 3 전기 센서 라인(48)은 또한 벨로우즈 압력 센서(99)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컴프레서 유니트(21)의 전기 모터(21.2)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릴레이(42)를 갖는 파워 라인(47)과 같은, 다른 전자기 요소를 위한 파워 라인(47) 그리고 릴레이(42)에 대한 전기적 제어 라인(41)이 제공된다. 본 경우에, 전기 모터(21.2)는 전기적 전환 라인의 역할을 수행하는 파워 라인(47), 전기적 제어 라인(41) 그리고 제어 가능한 릴레이(42)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10) 및 공압 조립체(90)를 갖는 공압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이들 기본적인 수단 및 하기에 설명된 수단은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10, 10', 10") 및/또는 공압 조립체(90, 90', 90")를 갖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공압 시스템(100, 100', 100")의 변형에도 또한 적용된다. 간략화의 목적을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 또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의 부품을 동일한 도면 부호가 아래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유용하고 적절하다면 모든 경우에 구성 요소들의 다른 변형이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10, 10', 10") 또는 공압 조립체(90, 90', 90")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공압 조립체(90)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10)가 도시된다; 본 경우에서 공압 조립체는 차량(1000)의 (앞 차축(210)과 뒤 차축(220)을 갖고 상징적으로 지시된) 차량 상부 구조(200)의 에어 스프링 조립체이다.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10)는 압축 공기 공급부(1)와 압축 공기 연결부(2)를 가지며, 여기서 압축 공기는 공기 공급부(22)를 통하여 압축 공기 공급부(1)로 공급될 수 있다. 압축 공기는 압축 공기 공급부(1)와 압축 공기 연결부(2) 사이에서 공압 메인 라인(60)을 통하여 채움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또한 공압 조립체(9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공기 공급부(22)에서, 공기 흡입구를 위하여 제공된 공기 연결부(0), 필터(23) 그리고 컴프레서 유니트(21)가 공기 공급 라인(20) 내에 배치된다. 본 경우에서, 컴프레서 유니트(21)는 제 1 체크 밸브(24.1)와 제 2 체크 밸브(24.2) 사이에 배치되며, 여기서 컴프레서 유니트(21) 내의 컴프레서(21.1)는 전기 모터(21.2)를 통하여 구동될 수 있다.
에어 드라이어(61)와 초크(62; choke)가 공압 메인 라인(60) 내에 배치된다. 퍼지 라인(70)은 공압 라인(60)에서 압축 공기 공급부(1)로 분기되며 퍼지 밸브(71)를 통하여 퍼지 연결부(3)로 계속 이어진다. 본 경우에서, 퍼지 연결부(3)는 퍼지측 상에서 퍼지 밸브(71)의 제 2 퍼지 밸브 연결부(Y1)를 갖고 직접적으로 형성된다. 퍼지 밸브(71)의 제 2 퍼지 밸브 연결부(Y1) 반대쪽의, 압력부 상의 제 1 퍼지 밸브 연결부(X1)는 퍼지 라인(70)에 연결된다. 본 경우에서 퍼지 밸브(71)는 압력 제어 연결부(71S)를 갖는 2/2-웨이 릴레이 밸브로서 형성된다. 퍼지 밸브는 제 1 퍼지 밸브 연결부(X1)를 가지며, 이 제 1 퍼지 밸브 연결부는 퍼지 라인(70)을 통하여 압축 공기 공급부(1)에 연결된다. 제 2 퍼지 밸브 연결부(Y1)는 퍼지 연결부(3)로서 형성되거나, 파생된 구조에서는 퍼지 연결부(3)에 연결된다.
또한, 압력 제한기(74), 특히 릴레이-작동되는 압력 제한기가 퍼지 밸브(71) 상에 제공되어 압력 제한기(74)를 통하여 퍼지 라인(70) 내의 압력을 빼냄으로써 퍼지 밸브(71)를 열기 위한 압력은 제한된다. 이렇게 하여, 비교적 큰 작동 압력에서도, 압력 제한에 관하여 가변성의 정도 또는 허용 오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가장 유리한 것은 파워-제어 압력 제한기(74)이며, 본 경우에서 제어 밸브(81)를 위한 제어 전류의 전류 세기에 따라 퍼지 밸브(71)의 전환점(switch point)이 가변적으로 조정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 압력 제한기는 실행된다. 이는 제어 밸브(81) 내의 자석 부분(코일)에서의 전류 세기가 공압 부분(릴레이 밸브로써의 퍼지 밸브(71))의 전환점을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 상황, 시스템 온도 또는 다른 온도 관련 시스템 변수에 따라, 공압 부분, 즉 릴레이 밸브로서 형성된 퍼지 밸브(71)의 전환점은 유효 전류 세기로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압력 제한기, 특히, 전류 제어되는 압력 제한기(71) 때문에 갤러리 압력이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형성된, 방향 밸브(93) 형태(또는 레벨 제어 밸브로 불림)의 벨로우즈 밸브의 정적 열림 압력(static opening pressure) 그리고 벨로우즈(91)의 내부 압력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것이 보장된다. 압력은 또한 갤러리(95) 내에서, 본 경우에서 어큐뮬레이터(92)에서, 즉 압력 센서(94)를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경우에서,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80)는 릴레이 밸브로서의 퍼지 밸브(71)를 제어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로서의 제어 밸브(81)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어 밸브(81)는 공압 제어 라인(110)에서 제 1 제어 밸브 연결부(X2)와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Y2)와 연결된다. 제 1 제어 밸브 연결부(X2)는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1 부분(110.1)을 통하여 공압 메인 라인(60)의 분기 연결부(63)에 연결된다.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Y2)는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2 부분(110.2)을 통하여 퍼지 밸브(71)의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 연결된다. 제어 밸브(81)의 제 3 제어 밸브 연결부(Z2)는 외부에 대한 다른 퍼지 연결부(3')로서 형성된다. 파생된 구조에서, 퍼지 연결부(3')는 퍼지 연결부(3)과 함께 -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퍼지 라인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공기 공급 라인(20)과 필터(23)를 통하여 공기 공급 연결부(0)에 연결될 수 있다.
공압 조립체(90)는 밸브 블록(98) 내에 배치된, 본 경우에는 5개의 레벨 제어 밸브를 포함하며, 이 레벨 제어 밸브는 벨로우즈 또는 방향 밸브(93) 형태, 즉 솔레노이드 방향 밸브; 즉 2/2-웨이 솔레노이드 밸브 형태의 어큐뮬레이터 밸브로써 형성된다. 밸브 블록(98)에서 벨로우즈 또는 솔레노이드 방향 밸브로써 형성된 어큐뮬레이터 밸브(93)는 갤러리(95)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여기서 갤러리(95)는 다른 공압 라인(96)을 통하여 그리고 압축 공기 연결부(2)를 통하여 공압 라인(60)에 연결된다. 벨로우즈(91) 또는 압력 어큐뮬레이터(92)는 벨로우즈 분기 라인(91L) 또는 어큐뮬레이터 분기 라인(92L)을 통하여 벨로우즈 또는 어큐뮬레이터 밸브, 즉 방향 밸브(93, 93.S)에 연결된다. 갤러리(95)에 대항하여 차단될 수 있거나 갤러리(95)에 대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벨로우즈 또는 어큐뮬레이터 밸브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 밸브(93, 93.S)는 벨로우즈(91) 또는 압력 어큐뮬레이터(92)의 상류에 연결된다. 차고 센서(97)는 각 벨로우즈(91)에 할당되며,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는 센서 라인(45)과 플러그 연결부(50) 또는 데이터버스(40)를 통하여 특히 ECU로 전달될 수 있다.
-측정된 차고에 따라- 공압 조립체(9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에어 스프링을 형성하는 벨로우즈(91)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10)로부터 압축 공기 연결부(2)를 통하여 공급된 압축 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 이후 이는 차량 상부 구조(200)의 높이를 들어올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역으로, 벨로우즈(91)로부터의 압축 공기의 빠져나감 하에서 차량 상부 구조(200)의 높이가 떨어지도록 공기 벨로우즈(91)는 압축 공기 연결부(2)를 통하여 반대 방향으로 퍼지 연결부(3)로 퍼지될 수 있다. 압축 공기 연결부(2)를 통하여 공압 조립체(90)를 채우기 위하여,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지 연결부(3)에 대항하여 퍼지 밸브(71)는 비작동 (unpowered), 닫힌 상태에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X2, Y2)는 공압적으로 분리된다. 즉,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1 부분(110.1)은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2 부분(110.2)에 대항하여 닫힌다. 이는 퍼지 밸브(71)의 제어되지 않은, 닫힌 위치를 야기한다.
공압 조립체(90)를 퍼지하기 위하여, 전기 제어 라인(46)을 통하여 운반된 전류 신호에 의하여 적절한 전류가 제어 밸브(81)의 자기 코일로 공급된다; 그 결과, 제어 밸브(81)의 자기 코일에는 작동되고 제어 밸브 스프링(82)의 스프링 압력에 대항하여 열려진다. 따라서 공압 제어 라인(110)은 제어 밸브(81)를 통하여 열려진다. 즉,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2 부분(110.2)과 함께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1 부분(110.1)은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 대하여 열린다. 공압 제어 라인(110) 내에 존재하는 제어 압력이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 강화되고 퍼지 밸브(71)의 퍼지 밸브 스프링(72)의 힘에 대항하여 작동하여 최종적으로 제 1 퍼지 밸브 연결부(X1)가 퍼지 밸브(71)의 제 2 퍼지 밸브 연결부(Y1)에 대하여 열려진다; 따라서 퍼지 라인(70)과 에어 드라이어(61)의 출력부는 퍼지 연결부(3)에 대하여 열려진다. 퍼지 라인(70) 내의 퍼지 밸브(71)의 밸브 연결부(X1, Y1)가 이러한 방식으로 열려짐에 따라, 본 경우에서 벨로우즈(91) 내에 존재하는 압력 (이는 방향 밸브(93, 93.S), 즉 벨로우즈 또는 어큐뮬레이터 밸브가 열려질 때 공압 메인 라인(60) 내에 존재) 때문에 제어 압력은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 유지되며, 이러한 이유로 공압 제어 라인(110) 내의 제어 압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설명된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퍼지 라인(70) 내의 퍼지 밸브의 밸브 연결부(X1, Y1)가 열릴 때, 제어 압력은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 유지된다는 것이 규정된다; 이는 퍼지 라인(70) 및 공압 메인 라인(60) 내의 압력과는 관계없다. 특히, 도 1,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된 압력 유지 공압 장치(120)에 의하여, 퍼지 라인 그리고 공압 메인 라인(60) 내의 압력이 잔류 유지 압력, 즉 퍼지 밸브(71)의 퍼지 밸브 스프링(72)에 의하여 미리 한정된 압력 아래로 떨어질지라도 제어 압력은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경우에서는, 공압 제어 라인(110) 내의 필요한 제어 압력이 가변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퍼지 밸브(71)의 퍼지 밸브 스프링(72)을 통하여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된 모든 실시예에 따르면, 벨로우즈(91)가 주위 압력으로 퍼지될 수 있도록 퍼지 라인(70)과 공압 메인 라인(60) 내의 압력은 실제로 주위 압력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된다.
이를 위하여, 도 1의 실시예는 공압 제어 라인(110) 내에, 즉 여기서는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1 부분(110.1) 내에 분기 연결부(63)와 제어 밸브(91)의 제 1 제어 밸브 연결부(X2) 사이의 체크 밸브(111)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도 2의 실시예는 공압 제어 라인(110)이 공압 메인 라인(60)에 연결되지 않고 제 1 부분(110.1) 이후에 어큐뮬레이터 분기 라인(92L)까지 제 3 부분(110.3)으로 이어지며 분기 라인에 연결, 즉 압력 어큐뮬레이터(92)에 연결된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도 3의 실시예는 제어 밸브(81)가 도 3에 도시된 2/2-웨이 밸브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제공하며, 이 밸브의 작동은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을 참고하면, 퍼지를 위하여 3/2-웨이 밸브로 형성된 제어 밸브(81)의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어 밸브(91)는 도 1에 도시된 비작동 상태(unpowered state)에서 작동 상태(powered state)로 전환된다. 여기서, 작동 상태에서는 제 1 제어 밸브 연결부(X2)는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Y2)와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즉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1 부분(110.1)과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2 부분(110.2)은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 함께 연결된다. 따라서 3/2-웨이 밸브는 전환되어 공압 제어 라인(110) 내의 제어 밸브(81)를 연다. 퍼지 라인(70) 내의 퍼지 밸브(71)의 밸브 연결부(X1, Y1)가 열려짐에 따라, 본 경우에서 벨로우즈(91) 내에 존재하는 압력 (이는 열려진 레벨 제어 밸브, 즉 벨로우즈 또는 어큐뮬레이터 밸브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 밸브(93)에도 불구하고 공압 메인 라인(60) 내에 존재한다) 때문에 제어 압력은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 유지되며, 따라서 공압 제어 라인(110) 내의 제어 압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어 압력이 일정한 수준에서 공압 제어 라인(110)으로 공급되면,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1 부분(110.1) 내에서 선-제어 채널의 역할을 수행하는, 도 1에 도시된 체크 밸브(111)는 제어 압력을 유지시켜 제어 압력이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 유지되는 결과로서 퍼지 라인(70)과 공압 메인 라인(60) 내의 압력과 관계없이 퍼지 밸브(71)의 릴레이 피스톤은 작동된 상태를 유지하며 그리고 퍼지 라인(70) 내의 퍼지 밸브(71)는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하여 공압 조립체(90)는 드라이어(61)를 퍼지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퍼지 연결부(3)에 대한 퍼지 라인(70)을 쵸크(62)를 통하여 퍼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쵸크(62)의 공칭 폭은 에어 드라이어(61)의 재생에 유리한 치수로 설계된다.
이렇게 하여 전환된 퍼지 공정을 종료하기 위하여, 먼저 솔레노이드 방향 밸브(93)로서 형성된 제 1 벨로우즈 밸브는 닫히며, 또한 3/2-웨이 밸브로서 형성된 제어 밸브(81)의 자기 코일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제어 밸브 스프링(82)의 효과 하에서 제어 밸브가 도 1에 도시된 비작동 전환 상태로 물러난다. 3/2-웨이 밸브는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후퇴하며, 3/2-웨이 밸브의 제 3 제어 밸브 연결부(Z2)와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Y2)는 서로 공압적으로 연결되어 공압 제어 라인(110) 내의 제어 밸브(81)를 열리게 한다. 따라서 선-제어 채널, 특히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2 부분(110.2)은 주위 압력으로 퍼지되고, 그리고 퍼지 밸브(71)의 퍼지 밸브 스프링(72)은 릴레이 피스톤을 닫으며 따라서 퍼지 밸브(71)는 도 1에 도시된 가압되지 않은 상태로 물러나고 퍼지 라인(70)을 닫는다. 즉 퍼지 밸브는 퍼지 라인(70) 내에서 제 1 퍼지 밸브 연결부(X1)와 제 2 퍼지 밸브 연결부(Y1)를 분리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압력 어큐뮬레이터(92) 내의 이용 가능한 저장 압력을 이용하며 또한 이 저장 압력을 어큐뮬레이터 라인(92L) 그리고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3 부분(110.3)을 통하여 사전 제어 채널(pre-control channel)의 역할을 수행하는 공압 라인(11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제어 압력이 퍼지 밸브(70)의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 존재하여 퍼지 밸브(71)의 릴레이 피스톤을 연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공압 시스템(100') 내에 존재하는 압력 어큐뮬레이터(92)를 유리하게 이용한다. 원칙적으로, 압력 어큐뮬레이터가, 퍼지 라인(70)과 공압 메인 라인(60) 내의 압력과 관계없이 유지될 수 있는 제어 압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일정한 압력원을 의미할 수 있는 한 또는 어떠한 형태의 압력원으로 대체될 수 있는 한 도 2에 도시된 압력 어큐뮬레이터(92)는 또한 상징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에어 컴프레서(21)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낮은 시스템 압력의 경우에, 또한 해당된다면 압력 어큐뮬레이터(92) 내의 낮은 압력의 경우에, 에어 컴프레서(21)의 간단한 가동에 의하여 필요한 제어 압력은 압축 공기 공급부를 통하여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에어 컴프레서(21)의 작동에 의하여 압력 어큐뮬레이터(92) 내에 적절한 압력이 다시 축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큐뮬레이터 분기 라인(92L)에서 어큐뮬레이터 밸브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 밸브(93.S)가 열려야 한다. 이 경우, 압축 공기 공급부로부터의 에어 컴프레서(21)의 작동시, 컴프레서(21.1)의 움직임은 압력 어큐뮬레이터(92) 그리고 공압 제어 라인(110) 형태의 선-제어 채널을 충분한 제어 압력으로 모두 채운다. 적절한 센서 라인(44)을 통한 ECU로의 신호를 이용하기 위하여, 압력 어큐뮬레이터(92) 내의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센서(94)가 어떠한 경우에 플러그 연결부(50) 및 다른 데이터버스(40)에 제공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따라서 에어 컴프레서(21)의 압력 의존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어 공압 제어 라인(110) 내의 제어 압력을 이룬다. 제어 압력이 압력 어큐뮬레이터(92)로부터 공압 제어 라인(110) 내에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하게 높은 압력에서, 예를 들어 임계 압력 이상에서, 에어 컴프레서(21)는 비작동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 만일, 시스템 내의 압력이 임계 압력 아래에 있다면, 충분한 제어 압력을 제공하여 퍼지 밸브(71)의 릴레이 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낮은 압력에서 에어 컴프레서(21)는 간단하게 작동할 수 있고 또한 압력 어큐뮬레이터(92)는 어큐뮬레이터 밸브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 밸브(93.S)를 통하여 충분한 압력 레벨까지 높여진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어 밸브(81)는 비작동 상태에 있음을 보여주며 따라서 제 1 제어 밸브 연결부(X2)는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Y2)와 공압적으로 분리되고 또한 충분한 제어 압력이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1 및 제 3 부분(110.1 및 110.3) 내의 제 1 제어 밸브 연결부(X2)에 존재한다.
퍼지 공정을 시작하기 위하여, 전기 제어 라인(46)을 통하여 자기 코일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제어 밸브(81)는 작동 상태로 전환된다. 즉, 다른 퍼지 라인(73)이 제 3 제어 밸브 연결부(Z2)에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제 1 제어 밸브 연결부(X1)가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Y2)에 대하여 열려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1, 제 2 및 제 3 부분(110.1, 110.2 및 110.3)은 공압적으로 함께 연결되며, 결과적으로 제어 압력은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 존재한다. 따라서, 퍼지 밸브(71)의 릴레이 피스톤은 퍼지 밸브(71)의 퍼지 밸브 스프링(72)의 스프링 압력에 대항하여 열린다. 즉, 퍼지 밸브(71)의 제 1 퍼지 밸브 연결부(X1)와 제 2 퍼지 밸브 연결부(Y1)는 공압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퍼지 연결부(3)에 대한 퍼지 라인(70)이 열린다. 퍼지 공정을 종결하기 위하여, 제어 밸브(81)의 자기 코일로의 전원은 꺼지며 도 2에 도시된 비작동 상태로 복귀한다.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2 부분(110.2)이 퍼지 연결부(3)에 대한 다른 퍼지 라인(73)을 통하여 퍼지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퍼지 밸브(71)의 릴레이 피스톤은 퍼지 밸브 스프링(72)의 압력 하에서 다시 닫히며 퍼지 밸브(71) 내의 밸브 연결부(X1, Y1)를 분리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 밸브(81)의 밸브 연결부(X2, Y2)는 분리되며 압력 어큐뮬레이터(92)의 제어 압력을 유지한다.
압력 유지 공압 장치(120)의 형성을 위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3은 본 경우에서 2/2-웨이 밸브로 설계된 제어 밸브(81")를 도시한다. 벨로우즈(91)를 퍼지하기 위하여, 특정 기간 동안 자기 코일을 가동함으로써 2/2-웨이 솔레노이드 밸브는 열리며 그후 전원의 단절에 의하여 다시 닫힌다. 즉, 제어 밸브(81")는 특정 구간 기간의 제어 구간 동안 전기 제어 라인(46)을 통하여, 제어 구간을 한정하는 제어 펄스 페어에 의하여 제어, 예를 들어 이중 펄스에 의하여 열린다. 여기서, 위의 특정 구간 기간은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의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2 부분(110.2) 내의 제어 압력을 강화하기에 충분하다. 제어 구간 동안에 제어 밸브(81")가 단지 열리고 그후 다시 닫힘에 따라 공압 제어 라인(110)의 선-제어 채널 내, 즉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2 부분(110.2) 내의 제어 압력은 초기 압력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다. 그후 퍼지 밸브(71)의 릴레이 피스톤은 퍼지 밸브(71)의 퍼지 밸브 스프링(72)의 스프링 압력에 대항하여 열린 상태로 남아있는다.
퍼지 공정을 종료하기 위하여, 먼저 벨로우즈 밸브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 밸브(93)가 닫힌다. 그 결과, 드라이어(61) 내의 압력은 주위 압력, 즉 대기압으로 떨어진다. 그후, 제어 밸브(81")로서의 2/2-웨이 밸브가 열리며; 바람직하게는 단지 특정 구간 기간 동안에만 열린다. 즉, 퍼지 공정을 위하여, 특정 구간 기간 동안 전기 제어 라인(16)을 통하여, 제어 구간(control interval)을 한정하는 제어 펄스 페어(control pulse pair), 예를 들어 이중 펄스에 의하여 2/2-웨이 밸브 형태의 제어 밸브(81")가 열린다. 에어 드라이어(61)의 비교적 큰 에어 드라이어 체적으로 인하여 사전-제어 채널 내, 즉 공압 제어 라인(110) 내의 압력은 줄어들며, 퍼지 밸브 스프링(72)은 제어 구간 내의 2/2-웨이 밸브의 열림 상태 동안에 주위 압력에 대하여 퍼지 밸브(71)의 릴레이 피스톤을 닫을 수 있다. 퍼지 공정을 종료하기 위하여 그리고 예를 들어 에어 드라이어 조립체(10")의 비활동 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하여 또는 충진 공정을 위하여, 구간 기간의 종료 시점에서의 2/2-웨이 밸브의 추가 닫힘에 의하여 제어 구간은 시작된다. 그 결과, 공압 제어 라인(110)은 공압 메인 라인(60)에 대항하여 닫힌다; 즉, 2/2-웨이 밸브 형태의 제어 밸브(81")의 비작동 닫힘 상태에서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1 부분(110.1)은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2 부분(110.2)과 공압적으로 분리된다.
도 3에 도시된 본 실시예는 공압 제어 라인(110)으로의 공압 조립체 내의 라인 루팅(line routing)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도 1과 유사하지 않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도 2에서와 같이 라인 루팅은 또한 특히 압력 어큐뮬레이터(92)와 공압 제어 라인(110)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3 부분(110.3)은 어큐뮬레이터 분기 라인(92L)과 공압 제어 라인(110) 사이에 제공된다. 여기서, 제 3 부분은 그후 공압 메인 라인(6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2/2-웨이 밸브 형태의 제어 밸브(81")에 의한 도 3의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10")를 위한 퍼지 공정의 기본적인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먼저, 제 1 단계(S1)에서, 컴프레서(21)가 작동되고 에어 드라이어(61) 그리고 제어 라인이 공압적으로 채워진다. 퍼지 공정을 시작하기 위하여, 제 1 단계(S1)에서, 압력 어큐뮬레이터(92)가 공압 제어 라인(110) 내에서 또는 퍼지 밸브(71)의 압력 제어 연결부(71)에서 제어 압력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적절한 시스템 압력을 갖는다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해당되는 경우 컴프레서(21)를 작동시킴으로써 압력 어큐뮬레이터(92)는 채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압력 어큐뮬레이터(92)의 상류에 연결된 방향 밸브(93.S) 형태의 어큐뮬레이터 밸브는 열린다; 방향 밸브(93.S)는 열림 상태를 취한다.
그후, 강화에 의한 제어 밸브(81")에서 전자기 구간-제어 단계(S2)에 의하여 퍼지 단계가 시작된다 (S2.1); 제어 밸브(81") 그리고 해당되는 경우 방향 밸브(93.S)는 열림 상태를 취하며, 그리고 유지한다 (S2.2); 제어 밸브(81") 그리고 해당되는 경우 방향 밸브(93.S)는 닫힘 상태를 취한다-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의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2 부분(110.2) 내의 제어 압력. 이를 위하여, 제 1 상태(S2.1)에서, 구간의 시작에서 그리고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의 제어 압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어 밸브(81")의 자기 코일에서의 전자기 이중 펄스의 제 1 펄스에 의하여 제어 밸브(81")의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X2, Y2)는 열린다, 즉 공압적으로 함께 연결된다. 설정된 구간 기간의 만료 후에, 구간을 끝내기 위하여 그리고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의 제어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어 밸브(81")로의 전원이 끊어진다; 즉 전자기 이중 펄스의 제 2 펄스에 의하여 전원이 끊어진다. 결과적으로 제어 밸브(81")는 도 3에 도시된 비작동 상태로 복귀하며,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X2, Y2)는 분리된다; 즉 단계 S2.2에서, 제어 밸브(81")는 닫힌 상태에 있다.
퍼지 밸브(71)의 릴레이 피스톤이 열리고, 그리고 단계 S3에서 벨로우즈 밸브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 밸브(93)의 열림에 의하여 퍼지 공정은 시작될 수 있다 (S3); 방향 밸브(93)는 열림 상태를 취한다. 벨로우즈 밸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 밸브(93)가 닫힘으로 인하여 퍼지 공정은 단계 S4에서 종료된다 (S4); 방향 밸브(93)는 닫힘 상태를 취한다.
또한, 점선 내의 도 4에 도시된 유추된 방법에서, 단계 S3는 또한 단계 S2 전에 단계 S3'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2의 제어 밸브(81")의 구간 제어 기능이 수행되기 전에 벨로우즈 밸브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 밸브(93)는 이미 열려 있다 (S3'); 방향 밸브(93)는 열림 상태를 취한다. 이 경우, 제어 압력은 벨로우즈 압력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증가된다; 해당되는 경우 압력 어큐뮬레이터(92)를 켬으로써 또는 컴프레서(21)를 간단하게 켬으로써 제어 압력은 - 퍼지 라인(70) 및/또는 공압 메인 라인(60) 내의 압력과 관계없이- 부가적으로 보장된다 (S3'); 방향 밸브(93.S)는 열림 상태를 취한다. 이 경우에도, 제어 밸브(81")를 위한 구간 제어 기능은 단계 S2를 참고로 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압력의 강화와 유지를 야기한다.
단계 S4에서 퍼지 공정이 종료된 후, 단계 S5에서 마지막으로 2/2-웨이 밸브 형태의 제어 밸브(81")의 추가 구간 제어에 의하여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2 부분(110.2), 즉 압력 제어 연결부(71S)는 압력-완화되거나 주위 압력으로 설정된다. 이를 위하여, 구간 제어 기능의 시작시에 제어 밸브(81")의 제1 및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X2, Y2)의 열림에 의하여 제 2 부분(110.2) 또는 전체 공압 제어 라인(110)은 단계 S5.1에서 퍼지된다; 즉, 제어 밸브(81")는 간단하게 작동되며 작동 상태로 전환된다; 제 2 부분(110.2) 내에 포함된 압력은 공압 메인 라인(60) 내의 에어 드라이어(61) 그리고 쵸크(62)를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다(S5.1); 제어 밸브(81")는 열림 상태를 취한다. 설정된 구간 기간 후에, 단계 S5.2에서 제어 밸브(81")로의 전원이 꺼지며, 제어 밸브는 도 3에 도시된 비작동 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제어 밸브는 공압 제어 라인(110)의 제 2 부분(110.2)에 대항하여 제 1 부분(110.1)을 닫는다. 그후 주위 압력 이상에 놓여진 퍼지 밸브(71)의 릴레이 피스톤은 전환 압력(switch pressure)에 있으며, 그리고 퍼지 밸브(71)의 퍼지 밸브 스프링(72)은 릴레이 피스톤을 도 3에 도시된 제어되지 않은 상태로 닫는다. 따라서, 공압적으로 분리된 제 1 및 제 2 퍼지 밸브 연결부(X1, Y1)의 결과로서 퍼지 라인(70)은 닫힌다(S5.2); 제어 밸브(81")는 닫힘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퍼지 공정은 종료되고 단계 S1으로부터 다시 반복될 수 있다. 단계 S2.1의 시작에서, 단계 S4의 종료까지 예를 들어 앞 차축(210) 및/또는 뒤 차축(220)을 위하여 벨로우즈(91)로부터 빠져 나가는 공기량 (air volume) 때문에 차량 상부 구조(200)의 낮아짐이 실행된다.
0 공기 공급 연결부
1 압축 공기 공급부
2 압축 공기 연결부
3, 3' 퍼지 연결부
10, 10' 10"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20 공기 공급 라인
21 컴프레서 유니트
21.1 컴프레서
21.2 전기 모터
22 공기 공급부
23 필터
24.1, 24.2 체크 밸브
40 데이터버스
41, 47 파워 라인
42 릴레이
43, 46 전기 제어 라인
44, 45, 48 센서 라인
50 플러그 연결부
60 공압 메인 라인
61 에어 드라이어
62 쵸크
63 공압 메인 라인의 분기 연결부
70 퍼지 라인
71 퍼지 밸브
72 퍼지 밸브 스프링
73 다른 퍼지 라인
74 릴레이 압력 제한기
80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81, 81', 81" 제어 밸브
82 제어 밸브 스프링
90, 90', 90" 공압 조립체
91 벨로우즈
91L 벨로우즈 분기 라인
92 압력 어큐뮬레이터
92L 어큐뮬레이터 분기 라인
93, 93.S 방향 밸브
94 압력 센서
95 갤러리
96 다른 공압 라인
97 차고 센서
98 밸브 블록
99 벨로우즈 압력 센서
100, 100', 100" 공압 시스템
110 공압 제어 라인
110.1, 110.2, 110.3 공압 제어 라인(100)의 제 1, 제 2, 제 3 부분
111 체크 밸브
120 압력 유지 공압 장치
200 차량 상부 구조
210 앞 차축
220 뒤 차축
1000 차량
X, Y 밸브 연결부
X1, Y1 제 1 및 제 2 퍼지 밸브 연결부
X2, Y2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
Z2 제 3 제어 밸브 연결부

Claims (22)

  1. 공압 조립체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에 있어서,
    - 압축 공기 공급부(1);
    - 공압 조립체(90)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부(1);
    - 외부에 대한 퍼지 연결부(3);
    - 압축 공기 공급부(1)와 압축 공기 연결부(2) 사이에 위치하며 에어 드라이어(61)를 포함하는 공압 메인 라인(60);
    - 압축 공기 연결부(2)와 퍼지 연결부(3) 사이에 위치하는 퍼지 라인(70);
    - 퍼지 밸브(71)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밸브(81, 81', 81")를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80)를 포함하되,
    제어 밸브(81, 81', 81")는 퍼지 밸브(71)의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 연결된 공압 제어 라인(110) 내의 제어 밸브 연결부(X2, Y2)에 연결되고, 퍼지 밸브(71)는 퍼지 라인(70)의 퍼지 밸브 연결부(X1, Y1)에 연결되며, 압력 유지 공압 장치(120)는 공압 제어 라인(110)에 연결되고, 퍼지 라인(70) 내의 퍼지 밸브(71)의 퍼지 밸브 연결부(X1, Y1)가 열릴 때 퍼지 라인(70)과 공압 메인 라인(60) 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과 관계없이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의 제어 압력을 유지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퍼지 라인(70) 내의 퍼지 밸브(71)의 퍼지 밸브 연결부(X1, Y1)가 열려 퍼지 라인(70)과 공압 메인 라인(60) 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이 가변적으로 선택될 수 있을 때, 압력 유지 공압 장치(120)는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잔류 유지 압력은 퍼지 밸브(71)의 퍼지 밸브 스프링(72)에 의하여 미리 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퍼지 라인(70) 내의 퍼지 밸브(71)의 퍼지 밸브 연결부(X1, Y1)가 열려 퍼지 라인(70)과 공압 메인 라인(60) 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이 사실상 주위 압력으로 떨어질 수 있을 때, 압력 유지 공압 장치(120)는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유지 공압 장치(120)는 제어 밸브(81)와 체크 밸브(111)를 갖고 형성되며, 제어 밸브와 체크 밸브는 공압 제어 라인(110)에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공압 제어 라인(110)은 공압 메인 라인(60)으로부터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공압 제어 라인(110)은 에어 드라이어(61)와 압축 공기 연결부(2) 사이에 배치된 분기 연결부(63)에서 공압 메인 라인(60)으로부터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체크 밸브(111)는 공압 메인 라인(60)과 제어 밸브(81, 81', 81")의 제 1 제어 밸브 연결부(X2) 사이에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제어 밸브(81')는 3/2-웨이 밸브로서 형성되며, 여기서 제어 밸브(81')의 제 3 제어 밸브 연결부(Z2)는 외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유지 공압 장치(120)는 제어 밸브(81')와 압력 어큐뮬레이터(92)를 갖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공압 제어 라인(110)은 압력 어큐뮬레이터(9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공압 제어 라인(110)은 메인 공압 라인(60)에 대한 연결부를 갖고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공압 제어 라인(110)은 압력 어큐뮬레이터(92)로 이어지는 어큐뮬레이터 분기 라인(92L)으로부터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제어 밸브(81')는 3/2-웨이 밸브로서 형성되되, 제어 밸브(81')의 제 3 제어 밸브 연결부(Z2)는 외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유지 공압 장치(120)는 단지 제어 밸브(81")를 갖고 형성되되, 제어 밸브(81")는 압력 제어 라인(110)에서 연결된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X2, Y2)를 포함하며, 또한 제어 밸브(81")는 외부에 대한 밸브 연결부를 갖고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제어 밸브(81")는 전자기적으로 구간-제어 가능하여 구간의 시작에서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의 제어 압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1 및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X2, Y2)는 열려야 하며, 구간을 끝내기 위하여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 제어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X2, Y2)는 닫혀져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17. 제1항에 있어서, 공압 제어 라인(110)은 에어 컴프레서(21) 및 벨로우즈(91)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18. 제1항에서 청구한 바와 같은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그리고 공압 조립체를 갖되, 공압 조립체(90)는 갤러리(95) 그리고 갤러리에 공압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벨로우즈 또는 어큐뮬레이터 분기 라인(92L, 91L)을 포함하는 에어 스프링 조립체 형태로 형성되되, 여기서 연결된 벨로우즈와 어큐뮬레이터 분기 라인(92L, 91L) 중 적어도 하나는 벨로우즈(91) 및 압력 어큐뮬레이터(9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방향 밸브(93)는 벨로우즈(91) 및 압력 어큐뮬레이터(92) 중 적어도 하나의 앞에 배치된 공압 시스템.
  19. 공압 조립체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압축 공기 공급부(1); 공압 조립체(90)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부(1); 외부에 대한 퍼지 연결부(3); 압축 공기 공급부(1)와 압축 공기 연결부(2) 사이에 위치하며 에어 드라이어(61)를 포함하는 공압 메인 라인(60); 압축 공기 연결부(2)와 퍼지 연결부(3) 사이의 퍼지 라인(70); 퍼지 밸브(71)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밸브(81, 81', 81")를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80)를 포함하되, 제어 밸브(81, 81', 81")는 퍼지 밸브(71)의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 연결된 공압 제어 라인(110) 내의 제어 밸브 연결부(X2, Y2)에 연결되고, 퍼지 밸브(71)는 퍼지 라인(70)의 퍼지 밸브 연결부(X1, Y1)에 연결된, 청구항 1항 내지 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및 청구항 18항에 따른 공압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 공압 제어 라인(110)으로의 압력 유지 공압 장치의 연결 단계;
    - 퍼지 밸브(71)의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의 제어 압력의 강화 단계;
    - 퍼지 라인(70)으로의 퍼지 밸브(71)의 퍼지 밸브 연결부(X1, Y1)의 개방 단계; 및
    - 퍼지 밸브(71)의 퍼지 밸브 연결부(X1, Y1)가 열릴 때 퍼지 라인(70)과 공압 메인 라인(60) 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과 관계없이 퍼지 밸브(71)의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의 제어 압력 유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및 공압 시스템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압력 유지 공압 장치(120)는 제어 밸브(81")를 갖고 형성되되, 제어 밸브(81")는 공압 제어 라인(110)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X2, Y2)를 포함하고, 제어 밸브(81")는 외부에 대한 밸브 연결부를 갖지 않으며,
    제어 밸브(81")의 전자기적 구간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되, 구간의 시작에서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의 제어 압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X2, Y2)는 열리고, 구간을 종료시키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 연결부(X2, Y2)는 닫혀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의 제어 압력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및 공압 시스템 제어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공압 조립체는 차량의 에어 스프링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22. 제19항에 있어서, 공압 조립체는 차량의 에어 스프링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조립체 및 공압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147023897A 2012-01-31 2012-11-28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및/또는 공압 시스템 작동 방법 KR102001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210001736 DE102012001736A1 (de) 2012-01-31 2012-01-31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bzw. eines pneumatischen Systems
DE102012001736.7 2012-01-31
PCT/EP2012/004891 WO2013113344A1 (de) 2012-01-31 2012-11-28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bzw. eines pneumatischen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823A KR20140125823A (ko) 2014-10-29
KR102001275B1 true KR102001275B1 (ko) 2019-10-01

Family

ID=4750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897A KR102001275B1 (ko) 2012-01-31 2012-11-28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및/또는 공압 시스템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14190B2 (ko)
EP (1) EP2809533B1 (ko)
KR (1) KR102001275B1 (ko)
CN (1) CN104080630B (ko)
DE (1) DE102012001736A1 (ko)
WO (1) WO2013113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54699A1 (de) * 2010-12-16 2012-06-21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pneumatisches System
US8616563B2 (en) * 2011-08-25 2013-12-31 Stealth Innovative Systems, Llc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vehicle
DE102011121756A1 (de) * 2011-12-21 2013-06-27 Wabco Gmbh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DE102011121755A1 (de) * 2011-12-21 2013-06-27 Wabco Gmbh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DE102012001734B4 (de) * 2012-01-31 2020-11-12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bzw. eines pneumatischen Systems
DE102014010956B4 (de) * 2014-06-25 2023-06-15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DE102014009419B4 (de) * 2014-06-25 2023-06-07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Druckluftversorgungssanlage
KR102348626B1 (ko) * 2014-08-22 2022-01-07 바브코 게엠베하 차량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공압 회로
DE102015000893B4 (de) * 2015-01-23 2023-07-13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sorgen eines Nutzfahrzeugs mit Druckluft
CN106143041B (zh) * 2015-04-17 2019-11-22 金华理工泰科汽车研究所有限公司 一种车用空气悬架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DE102015010347A1 (de) * 2015-08-06 2017-02-09 Man Truck & Bus Ag Betriebsverfahren für eine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für ein Nutzfahrzeug
US10017025B2 (en) * 2016-03-18 2018-07-10 BeijingWest Industries Co., Inc. Vehicle suspension control system with high flow exhaust mechanization
DE102016003661B4 (de) * 2016-03-30 2023-06-29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DE102016003662B4 (de) * 2016-03-30 2023-06-22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JP6328694B2 (ja) * 2016-05-31 2018-05-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10442267B2 (en) * 2016-10-24 2019-10-15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Vehicle suspen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liminating manifold exhaust noise on compressor start
JP6485429B2 (ja) * 2016-11-04 2019-03-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DE102017001710A1 (de) 2017-02-22 2018-08-23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bzw. eines pneumatischen Systems
DE102017004359A1 (de) * 2017-05-05 2018-11-08 Wabco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regelanlage mit einem mehrstufigen Kompressor, sowie Druckregelanlage
DE102017004414A1 (de) * 2017-05-05 2018-11-08 Wabco Gmbh Drosselanordnung sowie Druckregelanlage mit einer derartigen Drosselanordnung
DE102017011526A1 (de) * 2017-12-13 2019-06-13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zum Betreiben einer Pneumatikanlage, Verfahren und Fahrzeug
DE102017011527A1 (de) 2017-12-13 2019-06-13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zum Betreiben einer Pneumatikanlage. Verfahren und Fahrzeug
JP7125994B2 (ja) * 2018-09-25 2022-08-25 日立Astemo株式会社 エア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DE102019201444B4 (de) * 2019-02-05 2021-09-0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uftfederungsanlage und eine Luftfederungsanlage
US11135888B2 (en) * 2019-02-26 2021-10-05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Closed integrated air management module
EP3733462B1 (en) * 2019-04-30 2024-01-24 Volvo Car Corporation A cleaning system connected to an air suspension system
DE102020108758A1 (de) 2020-03-30 2021-09-30 Wabco Europe Bvba Druckluftversorgungsanlage zum Betreiben eines pneumatischen Systems, Druckluftversorgungssystem mit d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Fahrzeug mit dem Druckluftversorgungssystem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s Druckluftversorgungssystems
US11787255B2 (en) * 2021-09-20 2023-10-17 Caterpillar Inc. Suspension system with individual ride height and dampening control
DE102022113262A1 (de) 2022-05-25 2023-11-30 Zf Cv Systems Europe Bv Pneumatisches Magnet-Wegeventil, Pneumatikmodul und pneumatische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5074A (en) * 1984-06-30 1987-09-22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DE3523403A1 (de) * 1985-06-29 1987-01-02 Wabco Westinghouse Fahrzeug Einrichtung zum trocknen eines gasstroms
US4709934A (en) * 1985-12-18 1987-12-01 Kabushiki Kaisha Showa Seisakusho Vehicle leveling system
US4881753A (en) * 1987-11-30 1989-11-2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ir suspension system with an air drier
DE3917458A1 (de) * 1989-05-30 1990-12-06 Wabco Westinghouse Fahrzeug Niveauregeleinrichtung fuer fahrzeuge
GB9119534D0 (en) * 1991-09-13 1991-10-23 Dunlop Ltd Vehicle suspension system
US5600953A (en) * 1994-09-28 1997-02-11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Compressed air control apparatus
US5711150A (en) * 1995-07-31 1998-01-27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ehicle height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DE19528852C2 (de) * 1995-08-05 2002-08-29 Continental Ag Niveauregeleinrichtung
DE19745195C2 (de) * 1997-10-13 2000-11-02 Continental Ag Niveauregeleinrichtung für Fahrzeuge mit Luftfedern
DE19813672C1 (de) * 1998-03-27 1999-05-20 Daimler Chrysler Ag Luftfederungsanlage für Fahrzeuge
DE19835491C2 (de) * 1998-08-06 2000-05-25 Continental Ag Niveauregeleinrichtung für Fahrzeuge mit Luftfedern
DE19918157C1 (de) * 1999-04-22 2000-10-26 Continental Ag Niveauregeleinrichtung für Fahrzeuge mit Luftfedern
DE19944873C1 (de) * 1999-09-18 2001-01-04 Haldex Brake Prod Gmbh Steueranlage zum Heben und Senken des Fahrzeugaufbaus von luftgefederten Fahrzeugen mit Niveauregelung
DE10004880A1 (de) 2000-02-04 2001-08-0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Luftfed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EP1243447B1 (de) * 2001-03-24 2005-12-21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Geschlossene Niveauregelanlage für Fahrzeuge
DE10120206A1 (de) * 2001-04-24 2002-10-31 Wabco Gmbh & Co Oh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ompressors
DE10160972C1 (de) * 2001-12-11 2003-01-23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r Regelung der Luftmenge in einem Niveauregulierungssystem
DE10223405B4 (de) 2002-05-25 2007-01-11 Daimlerchrysler Ag Luftfed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301119C5 (de) * 2003-01-14 2018-04-05 Wabco Gmbh Luftfederungssystem
DE10303399B4 (de) * 2003-01-29 2013-08-29 Wabco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Luftfederungsanlage für ein Fahrzeug
DE10333610B4 (de) * 2003-07-24 2005-09-15 Haldex Brake Products Gmbh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Druckluftanlagen
DE10336441A1 (de) * 2003-08-08 2005-03-03 Wabco Gmbh & Co.Ohg Verfahren zur Regelung des Speicherdrucks eines Druckluftspeichers einer Niveauregel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KR100579453B1 (ko) * 2004-07-22 2006-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DE102007013673B4 (de) * 2007-03-19 2009-07-02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für ein Nutz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ATE513700T1 (de) * 2008-04-24 2011-07-1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überprüfung eines umgebungsventils in einer geschlossenen niveauregelungsanlage eines fahrzeuges
DE102008056322A1 (de) * 2008-11-07 2010-05-12 Wabco Gmbh Steuereinrichtung für eine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eines Fahrzeuges,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DE102009003472A1 (de) * 2009-02-12 2010-08-19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Geschlossene Niveauregelanlage für Fahrzeuge
DE102009029898A1 (de) 2009-06-23 2010-12-30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system für einen Druckluftverbraucherkreis, insbesondere für ein Luftfederungssystem
ATE550211T1 (de) * 2009-09-29 2012-04-1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elektronisch regelbaren luftfedersystems für kraftfahrzeuge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10024476A1 (de) * 2010-06-21 2011-12-22 Wabco Gmbh Druckluftsteuerungseinrichtung, Druckluftsteuerungsverfahren, elektronische Steuereinrichtung, Druckluftversorgungssystem, Druckluftversorgungsverfahren und Fahrzeug
DE102010024889B4 (de) * 2010-06-24 2014-12-11 Wabco Gmbh Luftversorgung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mit pneumatischen Einrichtungen
DE102010054713A1 (de) * 2010-12-16 2012-06-21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DE102010054699A1 (de) * 2010-12-16 2012-06-21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pneumatisches System
DE102010054712B4 (de) * 2010-12-16 2023-06-07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pneumatisches System
DE102010054704A1 (de) * 2010-12-16 2012-06-21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pneumatisches System
DE102011109500A1 (de) * 2010-12-16 2012-06-21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Pneumatikanlage
DE102012001734B4 (de) * 2012-01-31 2020-11-12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bzw. eines pneumatischen Systems
DE102012010390B4 (de) * 2012-05-29 2023-01-05 Amk Holding Gmbh & Co. Kg Niveauregelung für Fahrzeuge mit mindestens einer Luftf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80630A (zh) 2014-10-01
US20130195682A1 (en) 2013-08-01
KR20140125823A (ko) 2014-10-29
EP2809533A1 (de) 2014-12-10
EP2809533B1 (de) 2018-10-24
US8814190B2 (en) 2014-08-26
DE102012001736A9 (de) 2014-08-28
WO2013113344A1 (de) 2013-08-08
DE102012001736A1 (de) 2013-08-01
CN104080630B (zh)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275B1 (ko)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및/또는 공압 시스템 작동 방법
KR102001706B1 (ko)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및/또는 공압 시스템 작동 방법
US9273700B2 (en) Pressure medium supply arrangement
US10288092B2 (en) Compressed-air supply installation, pneumati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ressed-air supply installation
CN104010846B (zh) 机动车的空气悬架系统和用于对其进行控制的方法
US7552932B2 (en) Vehicle air-suspens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0668782B2 (en) Dryer regeneration method for air suspension system
US9758007B2 (en) Vehicle height adjustment apparatus
US8876122B2 (en) Level control for vehicles having at least one air spring
JP4742146B2 (ja) 自動車用空圧式衝撃吸収装置
US9062571B2 (en)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and method
WO2017002617A1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40000698A (ko) 에어 서스펜션 장치,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시스템
KR20130143588A (ko) 압축 공기 공급 장치, 공압 시스템 및 공압 장치 동작 방법
US9931900B2 (en) Air suspension system
JP7186237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11052719B2 (en) Vehicle height adjustment device
CN110121439B (zh) 压缩空气供应设备、气动系统和用于运行压缩空气供应设备或气动系统的方法
JP2015054643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15105005A (ja) 車高調整装置
EP2502808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fting axle of an industrial motor vehicle
KR101545751B1 (ko) 이중탱크를 갖춘 에어현가 공압회로
KR102483225B1 (ko) 에어서스펜션 장치
JP2016141206A (ja) 車高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