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781B1 - 사물 인터넷 미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미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781B1
KR101999781B1 KR1020170124565A KR20170124565A KR101999781B1 KR 101999781 B1 KR101999781 B1 KR 101999781B1 KR 1020170124565 A KR1020170124565 A KR 1020170124565A KR 20170124565 A KR20170124565 A KR 20170124565A KR 101999781 B1 KR101999781 B1 KR 101999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arning message
unit
remot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404A (ko
Inventor
민 장
오주병
김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이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이노
Priority to KR1020170124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7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사물 인터넷 미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사물 인터넷을 위한 센싱이 되지 않는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디바이스에서 보여지는 화면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와, 획득된 화면정보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경고 메시지로부터 디바이스의 문제 발생을 검출하는 프로세서와,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미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device without supporting Internet of Thing}
본 발명은 데이터 분석 및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모니터링 및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공장과 같은 현장에 배치된 디바이스들은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 이하 "IoT"라 칭함) 시대 이전에 제작된 기계나 설비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IoT 센싱과 원격 기반의 장비 지원을 고려하지 않아, 디바이스의 콘솔에만 문제발생 내용 또는 이에 대한 코드를 디스플레이한다.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단순 형태의 원격 모니터링 툴이 있다 할지라도 제조사별 또는 장비별로 프로토콜이 제각각이다. 따라서 원격에서 이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별도의 서버를 개별 설치 및 운용해야 하므로 다수의 디바이스를 운용하는 현장에서는 통합관리가 되지 않아 비효율성이다.
결국, 원칙적으로 현장에 있는 디바이스 1대당 1명씩 인원을 배치해야 하거나, 원격 모니터링 요원 역시 다수의 인원을 배치해야 하여 인력수요가 과다하게 소요될 우려가 있다. 1인이 다수의 디바이스를 관리할 경우, 넓은 공간에 배치된 디바이스들의 문제 발생시 이를 파악하는 데 시간이 걸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다. 이는 생산성 저하와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IoT 미지원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사물 인터넷을 위한 센싱이 되지 않는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디바이스에서 보여지는 화면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와, 획득된 화면정보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경고 메시지로부터 디바이스의 문제 발생을 검출하는 프로세서와,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디바이스에 원격 접속하여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캡쳐함에 따라 디바이스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부는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통해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여 카메라로부터 원격으로 수신할 수 있다. 경고 메시지는 경고를 알리는 팝업 창, 문자, 이미지 및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바이스의 상태 별 경고 메시지와 경고 유형을 사전에 매핑한 기준정보를 생성하는 기준정보 설정부와, 통신부에 의해 획득된 화면정보로부터 디바이스의 경고 메시지를 식별하는 정보 분석부와, 식별된 경고 메시지를 기준정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경고 유형을 검출하는 정보 검출부와,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알림이나 경고 정보를 생성하는 알림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경고 유형 별로 사용자 권한을 사전에 설정한 권한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별로 서로 상이한 권한을 할당하며, 문제 발생 시에 문제 처리를 위해 지정된 담당자에게 작업을 자동으로 할당하는 권한정보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검출 결과에 따라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부는, 사용자의 자동 원격 접속 요청 시에는 자동으로 디바이스에 원격 접속하여 제어하고, 수동 원격 접속 요청 시에는 경고 메시지가 발생한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만 가지고 원격 접속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는,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문제 디바이스 리스트 표시부와,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 별로 문제 해결 여부 설정을 표시하는 해결 여부 표시부와,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 중에 문제가 해결하지 않은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되, 디바이스 별 처리 담당자 정보를 같이 표시하는 미결 디바이스 리스트 표시부와,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자동으로 원격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자동 원격 접속 여부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IoT 센싱 능력이 없는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마치 실제 IoT 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싱정보를 가지고 문제 발생 디바이스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IoT 센싱 능력뿐만 아니라 원격 접속이 지원되지 않는 디바이스를 대상으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가 원격 접속이 가능한 경우, 원격지원 툴을 통해 접속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문제 처리를 위해 지정된 담당자에게 자동으로 작업을 할당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센싱이 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센싱 및 네트워크 연결이 지원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프로세서의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출력부의 세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교 분석을 위한 기준정보의 예를 도시한 참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화면의 예를 도시한 참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정보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정보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정보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정보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정보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정보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센싱이 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1)은 디바이스(2), 디바이스 제어장치(3), 네트워크(4) 및 모니터링 장치(5)를 포함한다.
디바이스(2)는 IoT 시대 이전에 제작된 레거시 기기(legacy device)로서, IoT 센싱 능력이 없다. IoT 센싱 능력이 없다는 것은, 디바이스에 내장 또는 장착되는 IoT 센서가 없어서 디바이스와 그 주변환경의 정보를 센싱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IoT 센서는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Power status), 온도(temperature), 스크린 상태(screen status), CPU, 팬 속도, HDD, 습도, 압력, 움직임, 가속도 등의 센싱정보를 얻는다. IoT는 이러한 디바이스의 센싱 정보를 인터넷과 연결하여 알려주고 제어하는 것으로, IoT 센싱이 불가능하면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IoT 센서를 가지면 IoT 센서의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특히 문제 발생을 원격에서 검출하고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IoT 센서가 없는 디바이스(2)를 대상으로는 디바이스(2)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원격에서 검출 및 제어하기 어렵다.
디바이스(2)는 다양한 장소, 예를 들어, 가정집, 사무실, 빌딩, 공공기관 등에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2)는 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디바이스 한 개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다수 개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5)는 IoT 센싱 기능이 없는 디바이스(2)를 대상으로 문제 발생을 검출하고 모니터링하며,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2)가 문제 발생 시에 화면에 문제발생 내용이나 이에 대한 코드를 표시하는 것에 착안하여, 디바이스(2)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정보를 이용한다. 디바이스(2)는 문제발생 내용을 문자, 이미지, 코드 등으로 콘솔 화면에 표시한다. 그러면, 모니터링 장치(5)는 디바이스(2)에서 보여지는 화면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화면정보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식별하며, 식별된 경고 메시지로부터 디바이스(2)의 문제 발생을 검출한다. 검출결과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화면정보는 캡쳐 이미지일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5)는 디바이스(2)에 원격 접속하여 디바이스(2)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캡쳐함에 따라 디바이스(2)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5)는 화면정보로부터 의미있는 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디바이스(2)를 IoT화하고 IoT화를 통해 디바이스(2)의 문제 발생을 검출한다. IoT화는 IoT 센싱 능력이 없는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IoT 센싱 능력이 있는 디바이스에서나 가능한 디바이스 문제 검출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문자, 이미지, 코드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화면정보에서 경고 메시지를 식별하여 식별된 경고 메시지로부터 경고 유형을 식별한다. 따라서, 화면의 정보만 가지고도, 마치 실제 IoT 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싱정보를 획득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정보에서 식별된 경고 메시지는 식별코드 1이고, 경고 메시지로부터 검출된 경고 유형은 디스크 에러(disk error) 발생이다.
모니터링 장치(5)는 디바이스(2)의 화면에 보여지는 경고 메시지를 가지고 디바이스(2)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의 전력량, 과전력, 누전, 온도, 부품의 이상 징후를 파악할 수 있다. 부품의 이상 징후는 디스크 에러, 팬 사용 불가 등이 있다. 이상 징후 발생은 디바이스(2)에 치명적이어서 이를 사전에 예측하거나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해당 디바이스(2)를 복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모니터링 장치(5)는 원격의 모니터링 룸에 위치하여 디바이스(2)의 문제 발생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장치(device agent)(3)는 디바이스(2)를 제어한다. 디바이스 제어장치(3)는 디바이스 별로 제어하거나 그룹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제어장치(3)는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디바이스(2)를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장치(3)는 모니터링 장치(5)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디바이스(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제어장치(3)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장치(5)와 네트워크(4)를 설정하고 모니터링 장치(5)로부터 디바이스(2)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모니터링 장치(5)가 디바이스(2)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디바이스 제어장치(3)에서 직접적으로 디바이스(2)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바이스(2)와 디바이스 제어장치(3)를 별도의 구성으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디바이스(2)와 디바이스 제어장치(3)는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제어장치(3)는 디바이스(2)에 위치하여 디바이스(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장치(3)가 디바이스(2)과 분리되는 경우, 디바이스(2)과 연결 가능한 모든 전자장치일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장치(3)는 디바이스(2)의 화면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화면정보를 모니터링 장치(5)에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4)는 디바이스 제어장치(3)와 모니터링 장치(5) 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유무선 네트워크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4)는 인터넷 망이다. 사용자(6)는 모니터링 장치(5)를 사용하는 사람으로서, 모니터링 장치(5)에 의해 문제가 있는 디바이스들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6)는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원격진단(remote diagnosis) 및 복구(repair) 할 수 있다. 사용자(6)는 관리자일 수 있고, 실제 처리자일 수도 있다. 관리자는 총괄 권한이 부여된 책임자이고, 처리자는 고장 원인에 따라 이를 조치할 수 있는 실무 엔지니어일 수 있다.
사용자(6)는 모니터링 장치(5)로부터 디바이스(2)에 대한 경고 알림을 소정의 방식으로 통보받을 수 있다. 소정의 방식이라 함은, 전화(call), 문자 메시지(MMS), 이메일(E-mail) 등일 수 있다. 사용자(6)는 경고 메시지를 통보받으면, 즉시 경고가 발생한 디바이스 또는 부품에 대한 조치를 취하거나, 소정의 시점, 예를 들어 정기점검 때에 경고가 발생한 디바이스를 점검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에 발생한 문제 별로 사용자(6)를 다르게 부여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작업을 맡길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센싱 및 네트워크 연결이 지원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1)은 디바이스(2), 디바이스 제어장치(3), 네트워크(4), 모니터링 장치(5) 및 카메라(7)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IoT 센싱을 지원하지는 않으나 네트워크 연결은 가능한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한다면, 도 2에 도시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IoT 센싱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연결까지 지원되지 않는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자면, 도 2의 디바이스(2)의 경우 네트워크가 아예 연결되지 않는 장비이므로 카메라(7)를 설치하여 디바이스(2)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촬영함에 따라 캡쳐 이미지를 획득한다. 카메라(7)는 획득된 캡쳐 이미지를 네트워크(4)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5)에 전송한다. 모니터링 장치(5)는 수신된 캡쳐 이미지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경고 메시지로부터 디바이스의 문제 발생을 검출하여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 장치(5)는 카메라(7)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장치(3)와 네트워크(4)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디바이스(2)의 네트워크 미지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장치(5)는 통신부(50), 프로세서(52), 출력부(54), 입력부(56) 및 저장부(58)를 포함한다.
통신부(50)는 네트워크(4)를 통해 외부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제어장치(3)로부터 캡쳐 이미지와 같은 화면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디바이스 제어장치(3)와 원격 접속을 위해 필요한 연결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2)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해 원격 제어 명령을 디바이스 제어장치(3)에 전송할 수도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52)에 의해 디바이스(2)에 대한 문제 발생을 검출하면, 문제 발생에 대한 알림이나 경고 정보를 사용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문제 해결을 위한 담당 엔지니어일 수 있으며, SMS, E-mail, ARS 등의 기존의 통신수단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52)는 통신부(50)를 통해 획득된 화면정보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경고 메시지로부터 디바이스의 문제 발생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 결과를 출력부(54)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입력부(56)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며 필요 시 저장부(58)에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정보를 읽어들여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52)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출력부(54)는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54)는 프로세서(52)를 통한 생성된 결과를 출력한다. 출력수단은 화면, 음성 등 기존의 출력 가능한 수단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2)에 의해 디바이스(2)에 대한 문제 발생을 검출하면, 검출 결과를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고, 경고음 등을 통해 문제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출력부(54)의 세부 구성은 도 5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입력부(56)는 사용자(6)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6)는 센터 담당자 같은 관리자일 수 있고, 로컬의 처리 담당자, 예를 들어 담당 엔지니어와 같은 처리자일 수도 있다. 입력부(56)는 사용자(6)로부터 조작명령, 원격 제어명령 등의 각종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조작명령은 자동 원격 접속 여부, 문제 발생한 디바이스에 대한 문제 해결 여부 등에 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58)는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2)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 통신부(50)를 통해 수신된 정보, 프로세서(52)의 동작 수행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 등이 저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58)에는 디바이스의 상태 별 경고 메시지와 경고 유형을 사전에 매핑한 기준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프로세서(52)는 디바이스(2)의 화면정보를 획득하면, 획득된 화면정보와 기준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경고 유형을 검출할 수 있다. 저장부(58)는 경고 유형 별 사용자 권한을 사전에 매핑한 권한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권한정보는 사용자 별로 서로 상이한 권한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에게는 모든 권한을 부여하고, 처리자에게는 본인에게 할당된 작업과 대기 중인 작업에 대해서만 선택하여 처리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프로세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2)는 정보 분석부(520), 정보 검출부(521), 알림 제어부(522), 원격 제어부(523), 기준정보 설정부(524) 및 권한정보 설정부(525)를 포함한다.
기준정보 설정부(524)는 디바이스의 상태 별 경고 메시지와 경고 유형을 사전에 매핑한 기준정보를 생성한다. 기준정보는 저장부(58)에 저장될 수 있다. 경고 메시지는 경고를 알리는 팝업 창, 문자, 이미지 및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 메시지는 Disk Error=1, Fan disabled=2, Temperature Red=3 등이 있다. 기준정보의 예는 도 6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정보 분석부(520)는 통신부(50)에 의해 획득된 화면정보로부터 의미있는 정보, 즉 디바이스의 경고 메시지를 식별한다. 정보 분석부(520)의 정보 분석 시점은 화면정보 수집에 따라 실시간일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벤트 발생 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정보 분석부(520)는 대량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빅 데이터 분석(Big Data Analysis)을 이용할 수 있다. 화면에서 경고 메시지를 식별하는 것은 문자나 이미지 인식 등의 일반적인 인식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정보 검출부(521)는 정보 분석부(520)에 의해 식별된 경고 메시지를 기준정보 설정부(524)에 의해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경고 유형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획득된 화면정보에서 경고 메시지를 인식하고 저장부(58)의 기준정보에서 인식된 경고 메시지에 해당하는 경고 메시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경고 메시지와 매칭된 경고 유형을 검출한다.
알림 제어부(522)는 정보 검출부(521)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알림이나 경고 정보를 생성한다. 권한정보 설정부(525)는 경고 유형 별로 사용자 권한을 사전에 설정한 권한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별로 서로 상이한 권한을 할당한다. 권한정보 설정부(525)는 디바이스의 문제 발생 시에 문제 처리를 위해 지정된 담당자에게 작업을 자동으로 할당할 수 있다.
원격 제어부(523)는 정보 검출부(521)의 검출 결과에 따라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한다. 원격 제어부(523)는 사용자의 자동 원격 접속 요청 시에는 자동으로 디바이스에 원격 접속하여 제어하고, 수동 원격 접속 요청 시에는 경고 메시지가 발생한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만 가지고 원격 접속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출력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출력부(54)는 문제 디바이스 리스트 표시부(540), 해결 여부 표시부(542), 미결 디바이스 리스트 표시부(544) 및 자동 원격 접속 여부 표시부(546)를 포함한다.
문제 디바이스 리스트 표시부(540)는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의 문제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때, 경고 발생시간, 디바이스 식별자, 경고 유형 및 처리상태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해결 여부 표시부(542)는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 별로 문제 해결 여부 설정을 표시한다. 미결 디바이스 리스트 표시부(544)는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들 중에서 문제가 해결하지 않은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때, 디바이스 별 처리 담당자 정보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자동 원격 접속 여부 표시부(546)는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자동으로 원격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해당 기능은,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에 대해 원격 접속이 가능한 경우, 원격지원 툴로 접속하는 기능이다. 모니터링 장치의 출력 화면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교 분석을 위한 기준정보의 예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장치는 디바이스의 상태 별 경고 메시지와 경고 유형을 사전에 매핑한 기준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기준정보는 매핑 테이블 형태로 테이블화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에 의해 기준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제조사별 또는 장비별로 기설정된 표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디바이스로부터 화면정보를 획득하면, 획득된 화면정보에서 식별된 경고 메시지를 기준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경고 유형을 검출한다.
기준정보 매핑 테이블의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 메시지와 경고 유형(620)이 매핑된다. 경고 메시지는 문자 형태(600)일 수 있고 이미지 형태(610)일 수도 있다.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문자 형태(600)가 "WARNING"이면 경고 유형(620)은 "기본 경고"로 정의된다. 문자 형태(600)가 "DISK ERROR"이면 경고 유형(620)은 "디스크 교체 필요"로 정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화면의 예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장치의 화면에는 문제 디바이스 리스트(70)가 표시된다. 문제 디바이스 리스트(70)는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의 경고 발생시간(700), 디바이스 식별자(ID)(710), 경고 유형(720), 처리상태(730), 문제 디바이스 별 담당자(740), 해결 여부 설정 인터페이스(760)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경고 유형(720)은 식별된 경고 메시지로부터 검출된 경고 유형이 표시된다. 처리상태(730)는, 해당 디바이스에 대해 원격 접속시에는 "처리중"으로, 자동분배 대기시에는 "대기중"으로 표시된다. 담당자(740)는 해당 문제 디바이스에 대한 처리권한이 있는 사람을 표시한 것으로, 문제 디바이스 리스트(70)의 담당자는 관리자(manager)로 설정해 놓을 수 있다. 관리자에게는 모든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자동 원격 접속 설정 인터페이스(750)는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자동으로 원격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관리자가 "ON" 을 선택하면, 해당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원격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가 "OFF"를 선택하면, 문제 디바이스 리스트만 가져오고 원격 접속은 수동으로 수행된다.
해결 여부 설정 인터페이스(760)는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 별로 해결/미해결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관리자이므로, 관리자가 해결/미해결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해결"이 선택되면, 해당 디바이스 리스트는 문제 디바이스 리스트(70)에서 사라진다. "미해결"이 선택되면, 해당 디바이스 리스트는 미결 디바이스 리스트(72)로 옮겨진다.
미결 디바이스 리스트(72)에는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들 중에서 문제가 해결하지 않은 디바이스 리스트가 표시되는데, 미결 디바이스 리스트(72)에서 사용자가 "미결"을 선택하면 처리상태가 "대기중"으로 전환되고, 리스트는 그대로 유지된다. 미결 디바이스 리스트(72)에 있는 미결 디바이스에 대한 담당자는 엔지니어(Engineer)로 설정될 수 있으며, 미결 디바이스 별로 담당자는 상이할 수 있다. 이때, 문제 처리를 위해 해당 담당자에게 자동으로 할당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각 담당자는 본인에게 할당된 작업과 대기중인 작업만을 선택할 수 있고, 관리자는 모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미결 디바이스 리스트(72)의 미결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수동 접속에 의해서만 원격 접속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장치는 IoT 센싱이 되지 않는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디바이스에서 보여지는 화면정보를 획득한다(810). 화면정보는 캡쳐 이미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디바이스에 원격 접속하여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캡쳐함에 따라 디바이스의 캡쳐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통해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여 카메라로부터 원격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모니터링 장치는 획득된 화면정보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식별(820)하고, 식별된 경고 메시지로부터 디바이스의 문제 발생을 검출한다(830). 경고 메시지는 경고를 알리는 팝업 창, 문자, 이미지 및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문제 발생 검출의 예를 들면, 모니터링 장치는 디바이스의 상태 별 경고 메시지와 경고 유형을 사전에 매핑한 기준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획득된 화면정보로부터 디바이스의 경고 메시지를 식별하면, 식별된 경고 메시지를 기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경고 유형을 검출한다.
이어서, 모니터링 장치는 검출 결과를 출력한다(840). 이때,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알림이나 경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경고 유형 별로 사용자 권한을 사전에 설정한 권한정보에 기초하여 문제 디바이스에 대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를 할당하여 표시한다. 모니터링 장치는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자동으로 원격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모니터링 장치는 검출 결과에 따라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자동 원격 접속 요청 시에는 자동으로 디바이스에 원격 접속하여 제어하고, 수동 원격 접속 요청 시에는 경고 메시지가 발생한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만 가지고 원격 접속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2: 디바이스
3: 디바이스 제어장치 4: 네트워크
5: 모니터링 장치 6: 사용자
7: 카메라 50: 통신부
52: 프로세서 54: 출력부
56: 입력부 58: 저장부
520: 정보 분석부 521: 정보 검출부
522: 알림 제어부 523: 원격 제어부
524: 기준정보 설정부 525: 권한정보 설정부
540: 문제 디바이스 리스트 표시부 542: 해결 여부 표시부
544: 미결 디바이스 리스트 표시부 546: 자동 원격 접속 여부 표시부

Claims (9)

  1. 사물 인터넷을 위한 센싱이 되지 않는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디바이스에서 보여지는 화면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획득된 화면정보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경고 메시지로부터 디바이스의 문제 발생을 검출하며 문제 발생 시에 경고 유형 별로 서로 상이한 권한정보에 기초하여 문제 디바이스에 대한 권한을 가진 담당자에게 작업을 자동으로 할당하여 본인에게 할당된 작업을 처리하도록 하는 프로세서; 및
    문제 디바이스 리스트 및 문제 디바이스 별 처리 담당자 정보를 포함한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디바이스에 원격 접속하여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캡쳐함에 따라 디바이스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통해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여 카메라로부터 원격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경고를 알리는 팝업 창, 문자, 이미지 및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디바이스의 상태 별 경고 메시지와 경고 유형을 사전에 매핑한 기준정보를 생성하는 기준정보 설정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획득된 화면정보로부터 디바이스의 경고 메시지를 식별하는 정보 분석부;
    식별된 경고 메시지를 상기 기준정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경고 유형을 검출하는 정보 검출부; 및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알림이나 경고 정보를 생성하는 알림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경고 유형 별로 사용자 권한을 사전에 설정한 권한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별로 서로 상이한 권한을 할당하며, 문제 발생 시에 문제 처리를 위해 지정된 담당자에게 작업을 자동으로 할당하는 권한정보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검출 결과에 따라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사용자의 자동 원격 접속 요청 시에는 자동으로 디바이스에 원격 접속하여 제어하고, 수동 원격 접속 요청 시에는 경고 메시지가 발생한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만 가지고 원격 접속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문제 디바이스 리스트 표시부;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 별로 문제 해결 여부 설정을 표시하는 해결 여부 표시부;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 중에 문제가 해결하지 않은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되, 디바이스 별 처리 담당자 정보를 같이 표시하는 미결 디바이스 리스트 표시부; 및
    문제가 발생한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자동으로 원격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자동 원격 접속 여부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KR1020170124565A 2017-09-26 2017-09-26 사물 인터넷 미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9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565A KR101999781B1 (ko) 2017-09-26 2017-09-26 사물 인터넷 미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565A KR101999781B1 (ko) 2017-09-26 2017-09-26 사물 인터넷 미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404A KR20190035404A (ko) 2019-04-03
KR101999781B1 true KR101999781B1 (ko) 2019-07-12

Family

ID=66165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565A KR101999781B1 (ko) 2017-09-26 2017-09-26 사물 인터넷 미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939B1 (ko) * 2019-04-26 2019-11-28 주식회사그린존시큐리티 IoT 디바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2733A (ja) * 2005-05-23 2006-12-07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カメラ画像を利用した監視サービスサポー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714B1 (ko) * 2015-05-29 2017-05-15 주식회사 코이노 통합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가지는 원격제어 장치 및 그 원격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2733A (ja) * 2005-05-23 2006-12-07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カメラ画像を利用した監視サービスサポー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404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17674A1 (en) Remote monitoring of an hvac system for fault detection and diagnostics
JP2016519870A (ja) 測定データの遠隔共有
US10395222B2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EP32702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and displaying site safety metrics
US20190257719A1 (en) Abnormal-state detection system and abnormal-state detection method
KR101860015B1 (ko) 에러 예측 기반 사전 서비스 제공을 위한 IoT 기기 관리장치
US2018014955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19192028A (ja) ビル保守システム及びビル保守支援方法
JPWO2018216197A1 (ja) 異常重要度算出システム、異常重要度算出装置、及び異常重要度算出プログラム
JP2018190029A (ja) 施設監視装置
JP2015106391A (ja) 保全点検システム
JP2007263442A (ja) 空気調和機の故障診断システム
KR101999781B1 (ko) 사물 인터넷 미지원 디바이스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US202203085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health condition and an anomaly of an equipment using one or more sensors
CN110800315B (zh) 设备维护支持系统以及设备维护支持装置
JP5066222B2 (ja) ネットワーク解析支援装置、ネットワーク解析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80505B2 (ja) コントローラ装置およびコントローラ装置のタスク実行管理方法
CN116504039A (zh) 一种室内设备的异常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330381A (zh) 控制系统
JP2018156373A (ja) 設備保全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設備保全情報管理方法
KR101883672B1 (ko) 안전 모니터링이 가능한 hmi 시스템
JP2012079203A (ja) 監視制御システム
CN111932405A (zh) 配电状态的确定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5106746A (ja) 自動分析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6431577B1 (ja) 昇降機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の試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