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788B1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788B1
KR101998788B1 KR1020130044320A KR20130044320A KR101998788B1 KR 101998788 B1 KR101998788 B1 KR 101998788B1 KR 1020130044320 A KR1020130044320 A KR 1020130044320A KR 20130044320 A KR20130044320 A KR 20130044320A KR 101998788 B1 KR101998788 B1 KR 101998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interlayer insulating
film
semiconductor device
po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813A (ko
Inventor
김경희
이호기
최길현
한규희
홍종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4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788B1/ko
Priority to US14/256,232 priority patent/US9053948B2/en
Publication of KR20140126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42Isolation within the component, i.e. internal isolation
    • H01L29/0649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the dielectric comprising air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4Air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2Capacitive arrangements or effects of, or between wir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04Conductive materials
    • H01L23/53209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 H01L23/53228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the principal metal being copper
    • H01L23/53238Additional layers associated with copper layers, e.g. adhesion, barrier, clad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04Conductive materials
    • H01L23/53209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 H01L23/53257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the principal metal being a refractory metal
    • H01L23/53266Additional layers associated with refractory-metal layers, e.g. adhesion, barrier, clad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9Insul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9Insulating materials
    • H01L23/53295Stacked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10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 H01L2221/1005Formation and after-treatment of dielectrics
    • H01L2221/1042Formation and after-treatment of dielectrics the dielectric comprising air gaps
    • H01L2221/1047Formation and after-treatment of dielectrics the dielectric comprising air gaps the air gaps being formed by pores in the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반도체 장치가 제공된다. 이 반도체 장치는 기판 상의 배선들, 배선들 사이의 층간 절연 구조, 및 배선들 및 층간 절연 구조를 덮는 덮개막을 포함한다. 층간 절연 구조는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세공을 포함하지 않는 비세공층, 기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하는 크기를 갖는 세공들을 포함하는 세공 함유층, 및 에어 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배선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형화, 다기능화 및/또는 낮은 제조 단가 등의 특성들로 인하여 반도체 장치는 전자 산업에서 중요한 요소로 각광받고 있다. 반도체 장치들은 논리 데이터(logic data)를 저장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논리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는 반도체 논리 장치, 및 기억 요소와 논리 요소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반도체 장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에 전자 기기의 고속화, 저소비 전력화에 따라 이에 내장되는 반도체 장치 역시 빠른 동작 속도 및/또는 낮은 동작 전압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 특성들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반도체 장치는 보다 고집적화되고 있다.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가 심화할수록,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하지만, 전자 산업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반도체 장치의 높은 신뢰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집적화에 최적화될 수 있으면서 높은 신뢰성을 갖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고집적화에 최적화될 수 있으면서 높은 신뢰성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이 반도체 장치는 기판 상의 배선들, 배선들 사이의 층간 절연 구조, 및 배선들 및 층간 절연 구조를 덮는 덮개막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 구조는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세공을 포함하지 않는 비세공층, 기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하는 크기를 갖는 세공들을 포함하는 세공 함유층, 및 에어 갭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막은 실리콘 산탄화물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선들은 텅스텐 또는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 및 층간 절연 구조와 배선들 사이에 개재된 배리어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선은 텅스텐을 포함하며, 배리어막은 금속 배리어막일 수 있다. 금속 배리어막은 탄탈럼, 탄탈럼 질화물, 루테늄, 코발트, 망가니즈,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텅스텐 질화물, 니켈, 니켈 붕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선은 구리를 포함하며, 배리어막은 금속 배리어막 및 금속 배리어막 상의 씨드막으로 구성된 2중막일 수 있다.
기판과 층간 절연 구조 사이에 개재된 식각 정지막을 포함할 수 있다. 식각 정지막은 실리콘 탄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기판 상에 포로겐의 양이 0%에서 100%로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하는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 층간 절연막을 관통하여 기판에 연결되는 배선을 형성하는 것, 배선 및 층간 절연막 상에 덮개막을 형성하는 것, 및 포로겐을 기화시켜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세공을 포함하지 않는 비세공층, 기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하는 크기를 갖는 세공들을 포함하는 세공 함유층, 및 에어 갭을 포함하는 층간 절연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포로겐은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포로겐을 기화시키는 것은 400℃ 이상에서 자외선을 이용하는 공정일 수 있다.
덮개막은 실리콘 산탄화물 계열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 및 층간 절연막과 배선 사이에 개재되는 배리어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과 층간 절연막 사이에 개재되는 식각 정지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는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세공을 포함하지 않는 비세공층, 기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하는 크기를 갖는 세공들을 포함하는 세공 함유층, 및 에어 갭을 포함하는 층간 절연 구조를 가짐으로써, 배선이 무너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신뢰성을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는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세공을 포함하지 않는 비세공층, 기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하는 크기를 갖는 세공들을 포함하는 세공 함유층, 및 에어 갭을 포함하는 층간 절연 구조를 가짐으로써, RC 지연(RC delay)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집적화에 최적화된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카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장착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더하여, 본 명세서에서, 어떤 막이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는 기판(110), 식각 정지막(etch stop layer, 120), 층간 절연 구조(130a), 배리어막(barrier layer, 140), 배선 패턴들(wiring pattern, 150a) 및 덮개막(cover layer, 16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반도체 기판, 가령 실리콘(Si) 기판, 게르마늄(Ge) 기판 또는 실리콘-게르마늄(SiGe) 기판일 수 있다. 기판(100)의 내부에는 트랜지스터(transistor)들 및/또는 메모리 셀(memory cell)들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식각 정지막(120)은 기판(110)과 층간 절연 구조(130a)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식각 정지막(120)은 층간 절연 구조(130a)와 식각 선택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각 정지막(120)은 실리콘 탄질화물(SiCN)을 포함할 수 있다. 식각 정지막(120)은 배선 패턴들(150a)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에서 기판(110)에 대한 식각 정도에 대한 산포를 감소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층간 절연 구조(130a)는 기판(110)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세공을 포함하지 않는 비세공층(130np), 기판(1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크기를 갖는 세공들(131p)을 포함하는 세공 함유층(130pp), 및 에어 갭(air gap, 130ag)을 포함할 수 있다. 세공 함유층(130pp) 내의 세공들(131p)의 크기는 기판(1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세공들(131p) 및 에어 갭(130ag)은 액상 또는/및 고상 물질이 제공되지 않는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비어있는 공간을 지칭할 수 있다. 비세공층(130np) 및 세공 함유층(130pp)은 저유전(low k)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세공층(130np) 및 세공 함유층(130pp)은 실리콘 탄화물(SiC)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선 패턴(150a)은 텅스텐(W) 또는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다. 배선 패턴(150a)은 기판(110) 내부의 트랜지스터들 및/또는 메모리 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리어막(140)은 기판(110)과 배선 패턴(150a) 사이 및 층간 절연 구조(130a)와 배선 패턴(150a)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배리어막(140)은 배선 패턴(150a)의 금속 성분이 기판(110) 또는/및 층간 절연 구조(150a)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배선 패턴(150a)이 텅스텐을 포함할 경우, 배리어막(140)은 금속 배리어막일 수 있다. 금속 배리어막은 탄탈럼(Ta), 탄탈럼 질화물(TaN), 루테늄(Ru), 코발트(Co), 망가니즈(Mn), 티타늄(Ti), 티타늄 질화물(TiN), 텅스텐 질화물(WN), 니켈(Ni), 니켈 불화물(NiB) 또는 이들의 조합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선 패턴(150a)이 구리를 포함할 경우, 배리어막(140)은 금속 배리어막 및 금속 배리어막 쌍의 씨드막(seed layer)으로 구성된 2중막일 수 있다. 씨드막은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막(160)은 배선 패턴(150a) 및 층간 절연 구조(130a)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덮개막(160)은 실리콘 산탄화물(SiOC)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막(160)은 10 ~ 30 Å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덮개막(160)은 층간 절연 구조(130a)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에서 기화되어 발생하는 나노(nano) 세공(pore) 유도 물질인 포로겐(porogene : polymeric pore generator)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세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덮개막(160) 상에 층간 절연 구조(130a) 및 배선 패턴(130a)과 유사한 배선 구조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세공을 포함하지 않는 비세공층, 기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하는 크기를 갖는 세공들을 포함하는 세공 함유층, 및 에어 갭을 포함하는 층간 절연 구조를 가짐으로써, 배선이 무너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신뢰성을 갖는 반도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세공을 포함하지 않는 비세공층, 기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하는 크기를 갖는 세공들을 포함하는 세공 함유층, 및 에어 갭을 포함하는 층간 절연 구조를 가짐으로써, RC 지연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집적화에 최적화된 반도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식각 정지막(120)을 갖는 기판(110) 상에 층간 절연막(130)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130)은 기판(110)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비세공층(130np), 포로겐 함유층(130p), 및 포로겐층(130ap)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반도체 기판, 가령 실리콘 기판, 게르마늄 기판 또는 실리콘-게르마늄 기판일 수 있다. 기판(100)의 내부에는 트랜지스터들 및/또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식각 정지막(120)은 층간 절연막(130)과 식각 선택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각 정지막(120)은 실리콘 탄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식각 정지막(120)은 배선 패턴들(도 1의 150a 참조)을 형성하기 위한 추후 공정에서 기판(110)에 대한 식각 정도에 대한 산포를 감소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층간 절연막(130)을 형성하는 것은 증착 과정에서 포로겐 가스의 양을 0%에서 100%로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층간 절연막(130)은 기판(110) 상에 순차적으로 증착된 포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비세공층(130np), 기판(1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크기를 갖는 포로겐부들(129p)을 포함하는 포로겐 함유층(130p), 및 포로겐으로 이루어진 포로겐층(130ap)을 포함할 수 있다. 포로겐 함유층(130p) 내의 포로겐부들(129p)의 크기는 기판(1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할 수 있다. 비세공층(130np) 및 포로겐 함유층(130p)은 저유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세공층(130np) 및 포로겐 함유층(130p)은 실리콘 탄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포로겐 가스는 탄화수소(CxHy; x + y = 1)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30)을 형성하는 것은 화학적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 CVD)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층간 절연막(130)을 관통하여 기판(110)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135)가 형성된다. 개구부(135)를 형성하는 것은 층간 절연막(130)의 소정 영역 상에 하드 마스크 패턴(hard mask pattern, 미도시)을 형성한 후, 하드 마스크 패턴을 마스크로 하는 식각 공정으로 층간 절연막(130) 및 식각 정지막(120)을 순차적으로 식각하는 것에 의해 기판(110)의 일부가 노출된다. 하드 마스크 패턴이 제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개구부(135)를 갖는 기판(110)의 프로파일(profile)을 따라 배리어막(140)이 형성된다. 배리어막(140)은 금속 배리어막일 수 있다. 금속 배리어막은 탄탈럼, 탄탈럼 질화물, 루테늄, 코발트, 망가니즈,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텅스텐 질화물, 니켈, 니켈 불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리어막(140)은 금속 배리어막 및 금속 배리어막 상의 씨드막으로 구성된 2중막일 수 있다. 씨드막은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배리어막(140)이 형성된 기판(110)을 덮는 배선막(150)이 형성된다. 배선막(150)은 텅스텐 또는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막(140)은 배선막(150)의 금속 성분이 기판(110) 또는/및 층간 절연막(150)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배선막(150)이 텅스텐을 포함할 경우, 배리어막(140)은 금속 배리어막일 수 있다. 금속 배리어막은 탄탈럼, 탄탈럼 질화물, 루테늄, 코발트, 망가니즈,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텅스텐 질화물, 니켈, 니켈 불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선막(150)이 텅스텐을 포함할 경우, 배선막(150)은 물리적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 PVD) 방식 또는 화학적 기상 증착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배선막(150)이 구리를 포함할 경우, 배리어막(140)은 금속 배리어막 및 금속 배리어막 상의 씨드막으로 구성된 2중막일 수 있다. 배선막(150)이 구리를 포함할 경우, 배선막(150)은 전기도금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층간 절연막(130)이 노출될 때까지 배선막(150)이 평탄화된다. 이에 따라, 상부면이 노출된 배선 패턴(150a)이 형성될 수 있다. 배선 패턴(150a)은 기판(110) 내부의 트랜지스터들 및/또는 메모리 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배선 패턴(150a) 및 층간 절연막(130)을 덮는 덮개막(160)이 형성된다. 덮개막(160)은 실리콘 산탄화물 계열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막(160)은 10 ~ 30 Å 범위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덮개막(160)은 층간 절연 구조(도 1의 130a 참조)를 형성하기 위한 추후 공정에서 기화되는 포로겐부들(129p) 및 포로겐층(130ap)의 포로겐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세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층간 절연막(130)을 경화하는 것에 의해 기판(110)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세공을 포함하지 않는 비세공층(130np), 기판(1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하는 크기를 갖는 세공들(131p)을 포함하는 세공 함유층(130pp), 및 에어 갭(130ag)을 포함하는 층간 절연 구조(130a)가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130)을 경화하는 것은, 예를 들어, 400℃ 이상에서 자외선(UltraViolet ray : UV ray)을 이용하는 공정일 수 있다. 400℃ 이상의 온도에서 자외선을 층간 절연막(130)에 쪼여주는 것에 의해, 포로겐층(130ap) 및 포로겐 함유층(130p) 내의 포로겐부들(129p)은 에너지를 받아 기화되고, 기화된 포로겐은 덮개막(160)의 세공들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반도체 장치는 배선 패턴(150a)의 측벽들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차로 증가하는 세공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된 층간 절연 구조(130a)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덮개막(160) 상에 층간 절연 구조(130a) 및 배선 패턴(130a)과 유사한 배선 구조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반도체 장치는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세공을 포함하지 않는 비세공층, 기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하는 크기를 갖는 세공들을 포함하는 세공 함유층, 및 에어 갭을 포함하는 층간 절연 구조를 가짐으로써, 배선이 무너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신뢰성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반도체 장치는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세공을 포함하지 않는 비세공층, 기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하는 크기를 갖는 세공들을 포함하는 세공 함유층, 및 에어 갭을 포함하는 층간 절연 구조를 가짐으로써, RC 지연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집적화에 최적화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1100, memory system)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er),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이동 전화(mobile phone), 디지털 음악 재생기(digital music player),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또는 정보를 무선환경에서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1100)은 컨트롤러(1110, controller), 키패드(key pad), 키보드(key board) 및 표시 장치(display)와 같은 입/출력(Input/Output : I/O) 장치(1120), 메모리(1130), 인터페이스(1140, interface), 및 버스(1150, bus)를 포함한다. 메모리(1130)와 인터페이스(1140)는 버스(1150)를 통해 상호 소통된다.
컨트롤러(111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또는 그와 유사한 다른 프로세스 장치들을 포함한다. 메모리(1130)는 컨트롤러(1110)에 의해 수행된 명령을 저장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1120)는 시스템(1100) 외부로부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시스템(1100) 외부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장치(1120)는 키보드, 키패드 또는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한다. 메모리(1130)는 또한 다른 종류의 메모리, 임의의 수시 접근이 가능한 휘발성 메모리, 기타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40)는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network)로 송출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받는 역할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카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용량의 데이터 저장 능력을 지원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1200, memory card)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1210)를 장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1200)는 호스트(host)와 메모리 소자(1210) 간의 제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1220)를 포함한다.
에스램(1221, Static Random Access Memory : SRAM)은 프로세싱 유닛(processing unit)인 중앙 처리 장치(1222, Central Processing Unit : CPU)의 동작 메모리로써 사용된다. 호스트 인터페이스(1223, host I/F)는 메모리 카드(1200)와 접속되는 호스트의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protocol)을 구비한다. 오류 정정 부호 블록(1224, Error Correction Coding block : ECC block)은 멀티 비트(multi-bit) 특성을 갖는 메모리 소자(121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류를 검출 및 정정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225, memory I/F)는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1210)와 인터페이싱 한다. 중앙 처리 장치(1222)는 메모리 컨트롤러(1220)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제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1200)는 호스트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부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미도시, Read Only Memory : ROM) 등이 더 제공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이상의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 메모리 카드 또는 메모리 시스템에 따르면, 고집적화된 메모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 SSD) 장치와 같은 메모리 시스템에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집적화된 메모리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장착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 기기(mobile device)나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와 같은 정보 처리 시스템에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1311) 및 시스템 버스(1360)와 반도체 장치(1311) 간의 제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1312)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1310)이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300)은 메모리 시스템(1310)과 각각 시스템 버스(13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뎀(1320, MOdulator and DEModulator : MODEM), 중앙 처리 장치(1330), 램(1340), 유저 인터페이스(1350, user interface)를 포함한다. 메모리 시스템(1310)은 앞서 도 9에서 언급된 메모리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것이다. 메모리 시스템(1310)에는 중앙 처리 장치(1330)에 의해서 처리된 데이터 또는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술한 메모리 시스템(1310)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1300)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메모리 시스템(1310)에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신뢰성의 증대에 따라, 메모리 시스템(1310)은 오류 정정에 소요되는 자원을 절감할 수 있어 고속의 데이터 교환 기능을 정보 처리 시스템(1300)에 제공할 것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300)에는 응용 칩셋(application chipset), 카메라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 ISP), 입/출력 장치 등이 더 제공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 또는 메모리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들의 패키지(package)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소자 또는 메모리 시스템은 패키지 온 패키지(Package on Package : PoP), 볼 그리드 어레이(Ball Grid Arrays : BGAs), 칩 스케일 패키지(Chip Scale Packages : CSPs), 플라스틱 리디드 칩 캐리어(Plastic Leaded Chip Carrier : PLCC), 플라스틱 듀얼 인라인 패키지(Plastic Dual In-line Package : PDIP), 다이 인 와플 팩(die in waffle pack), 다이 인 웨이퍼 폼(die in wafer form), 칩 온 보드(Chip On Board : COB), 세라믹 듀얼 인라인 패키지(CERamic Dual In-line Package : CERDIP), 플라스틱 메트릭 쿼드 플랫 팩(plastic Metric Quad Flat Pack : MQFP), 씬 쿼드 플랫 팩(Thin Quad Flat Pack : TQFP), 스몰 아웃라인 집적 회로(Small-Outline Integrated Circuit : SOIC), 쓰링크 스몰 아웃라인 패키지(Shrink Small-Outline Package : SSOP), 씬 스몰 아웃라인 패키지(Thin Small-Outline Package : TSOP), 씬 쿼드 플랫 팩(Thin Quad Flat Pack : TQFP), 시스템 인 패키지(System In Package : SIP), 멀티 칩 패키지(Multi Chip Package : MCP), 웨이퍼 레벨 패키지(Wafer-level Fabricated Package : WFP) 또는 웨이퍼 레벨 적층 패키지(Wafer-level processed Stack Package : WSP) 등과 같은 방식으로 패키지화되어 패키지에 실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 기판
120 : 식각 정지막
129p : 포로겐부
130 : 층간 절연막
130a : 층간 절연 구조
130ag : 에어 갭
130ap : 포로겐층
130np : 비세공층
130p : 포로겐 함유층
130pp : 세공 함유층
131p : 세공
135 : 개구부
140 : 배리어막
150 : 배선막
150a : 배선 패턴
160 : 덮개막
1100 : 메모리 시스템
1110 : 컨트롤러
1120 : 입/출력 장치
1130 : 메모리
1140 : 인터페이스
1150 : 버스
1200 : 메모리 카드
1210 : 메모리 소자
1220 : 메모리 컨트롤러
1221 : 에스램
1222 : 중앙 처리 장치
1223 : 호스트 인터페이스
1224 : 오류 정정 부호 블록
1225 : 메모리 인터페이스
1300 : 정보 처리 시스템
1310 : 메모리 시스템
1311 : 반도체 장치
1312 : 메모리 컨트롤러
1320 : 모뎀
1330 : 중앙 처리 장치
1340 : 램
1350 : 유저 인터페이스
1360 : 시스템 버스

Claims (10)

  1. 기판 상의 배선들;
    상기 배선들 사이의 층간 절연 구조; 및
    상기 배선들 및 상기 층간 절연 구조를 덮는 덮개막을 포함하되,
    상기 층간 절연 구조는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세공을 포함하지 않는 비세공층, 상기 기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하는 크기를 갖는 세공들을 포함하는 세공 함유층, 및 에어 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막은 실리콘 산탄화물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들은 텅스텐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층간 절연 구조 사이에 개재된 식각 정지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정지막은 실리콘 탄질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6. 기판 상에, 포로겐의 양이 0%에서 100%로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하는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
    상기 층간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배선을 형성하는 것;
    상기 배선 및 층간 절연막 상에 덮개막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포로겐을 기화시켜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세공을 포함하지 않는 비세공층, 상기 기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조적으로 선형 증가하는 크기를 갖는 세공들을 포함하는 세공 함유층, 및 에어 갭을 포함하는 층간 절연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로겐은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로겐을 기화시키는 것은 400℃ 이상에서 자외선을 이용하는 공정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막은 실리콘 산탄화물 계열의 물질로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층간 절연막 사이에 개재되는 식각 정지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30044320A 2013-04-22 2013-04-22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8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320A KR101998788B1 (ko) 2013-04-22 2013-04-22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4/256,232 US9053948B2 (en) 2013-04-22 2014-04-18 Semiconductor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320A KR101998788B1 (ko) 2013-04-22 2013-04-22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813A KR20140126813A (ko) 2014-11-03
KR101998788B1 true KR101998788B1 (ko) 2019-07-11

Family

ID=5172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320A KR101998788B1 (ko) 2013-04-22 2013-04-22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53948B2 (ko)
KR (1) KR101998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345B1 (ko) * 2010-08-26 2015-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9602B1 (ko) * 2014-05-15 2020-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22249B1 (ko) * 2017-12-11 2022-07-1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8794B2 (ja) 1999-01-27 2007-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孔質膜の形成方法、配線構造体及びその形成方法
US7262130B1 (en) 2000-01-18 2007-08-2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for making integrated-circuit wiring from copper, silver, gold, and other metals
US7211512B1 (en) 2000-01-18 2007-05-01 Micron Technology, Inc. Selective electroless-plated copper metallization
US6423629B1 (en) 2000-05-31 2002-07-23 Kie Y. Ahn Multilevel copper interconnects with low-k dielectrics and air gaps
US6674167B1 (en) 2000-05-31 2004-01-06 Micron Technology, Inc. Multilevel copper interconnect with double passivation
GB2393577B (en) 2001-07-18 2005-07-20 Trikon Holdings Ltd Low dielectric constant layers
US20030213617A1 (en) 2002-05-20 2003-11-20 Subramanian Karthikeyan Method and structure of a reducing intra-level and inter-level capacitance of a semiconductor device
JP2007523465A (ja) 2003-05-26 2007-08-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多孔質の誘電体層とエアギャップとを有する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基板
US7057287B2 (en) 2003-08-21 2006-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ual damascene integration of ultra low dielectric constant porous materials
KR100609133B1 (ko) 2004-12-30 2006-08-0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금속 배선 형성 방법
JP5180426B2 (ja) 2005-03-11 2013-04-1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900231B1 (ko) 2007-06-21 2009-06-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2009194072A (ja) 2008-02-13 2009-08-2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90116477A (ko) 2008-05-07 2009-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저유전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10103329A (ja) 2008-10-24 2010-05-0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JP2010129950A (ja) 2008-12-01 2010-06-10 Panasoni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173863B2 (ja) 2009-01-20 2013-04-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09036A (ja) 2009-11-20 2011-06-02 Panasoni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24351A (ja) 2009-12-10 2011-06-23 Panasoni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54049A (ja) 2010-06-04 2011-12-15 Renesas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12456A1 (en) 2014-10-23
KR20140126813A (ko) 2014-11-03
US9053948B2 (en) 201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9712B2 (en)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a capping layer
US9171781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9741608B2 (en) Methods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supporting patterns in gap regions between conductive patterns
KR102399345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6317465B2 (ja) 導電性バリア層の選択的形成
US8748263B2 (en) Methods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conformal interfacial layer
US9911644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037830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867923B2 (en) Semiconductor device
EP3353803A1 (en) Ultra thin helmet dielectric layer for maskless air gap and replacement ild processes
US10079147B2 (en) Method of forming interconnects for semiconductor devices
KR101998788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9457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US20130175693A1 (en) Semiconductor devices
US9171755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capped metal patterns with air gaps in-between for parasitic capacitance reduction
US20120181693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