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621B1 -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621B1
KR101998621B1 KR1020170148157A KR20170148157A KR101998621B1 KR 101998621 B1 KR101998621 B1 KR 101998621B1 KR 1020170148157 A KR1020170148157 A KR 1020170148157A KR 20170148157 A KR20170148157 A KR 20170148157A KR 101998621 B1 KR101998621 B1 KR 101998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reen oil
parts
mixed extract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457A (ko
Inventor
조영욱
김우진
윤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스탠다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스탠다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스탠다드
Priority to KR1020170148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621B1/ko
Priority to PCT/KR2017/012709 priority patent/WO2019093546A1/ko
Priority to CN201811291250.XA priority patent/CN109745249A/zh
Publication of KR20190052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5Fat tissue; Adipocytes; Stromal cells; Connective tiss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2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피부 보습능, 콜라겐 형성능 및 피부 재생능이 우수하여, 화장품 등에 포함될 경우 피부에 보다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기존 방식의 녹유 추출물 추출방법에 비하여 정제 과정이 간단한 반면 특유의 냄새가 완전히 제거된 녹유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어 화장품으로의 적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EXTRACTION METHOD OF DEER FAT MIXED EXTRACT AND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슴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동물로서, 약 16속 46종 150 내지 200 아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여 체중이 1.5kg 정도의 아주 작은 것부터 800kg이 넘는 대형 사슴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슴의 효용가치는 대표적인 건강식품 소재인 녹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사슴고기, 즉 사슴육이 일부 이용되고 있으나 사슴뼈 및 그의 부산물을 이용한 제품에 대한 개발이 전무하여 이를 이용한 새로운 고부가가치성 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사슴의 부산물로서, 사슴육의 지방에서 추출될 수 있는 사슴기름, 즉 "녹유(鹿油)"에 대한 제품 적용이 이루어진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사슴육을 이용하여 제품 적용을 시도한 대표적인 경우이다.
즉, 특허문헌 1은 사슴육을 이용한 한방 소시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황기분말10~15wt%, 복분자분말10~15wt%, 매실원액 10~15wt%, 양파15~20wt%, 마늘10~13wt%, 고추10~13wt%, 대추 3~5wt% 배10~13wt% 난백3~5wt%, 생강4~6wt% 및 실파10~13wt%를 혼합하여 분쇄한 천연 향신즙5~10wt%; 녹육50~70wt% 및 돈육지방25~40wt%을 혼합한 원료육을 5~20㎜로 분쇄하여 분쇄육을 형성하는 분쇄육 형성 단계; 통상의 석창포농축액 30~35wt%, 원지농축액30~35wt%, 백복신농축액 25~35wt%, 감초 5~15wt%로 구성된 농축액을 상기 분쇄육 중량의 5~10%; 상기 천연 향신즙을 상기 분쇄육 중량의 5~10%를 더 혼합한 후 천일염을 이용하여 염도0.8으로 염지하는 염지단계; 및 상기 염지단계 수행 후에 0~3도의 온도에서 20~30시간 동안 저온 숙성시킨 후 케이싱에 충진하여 55도에서 10~30분, 60도에서 10~30분, 70도에서 10~30분 순차적으로 열탕한 후 60%의 습도에서 60도의 온도로 20~40분간 훈연한 뒤 0~5도의 냉각수에 냉탕 후 진공 포장하는 사슴육을 이용하는 한방 소시지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은 다른 한약 성분들이 추가적으로 포함이 되어 사슴육, 즉 녹유 자체적인 효용 가치를 충분히 살리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녹유의 특성, 즉 "녹유(鹿油)"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고 다른 동물성 지방과 달리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50% 내지 55%에 이를 정도로 높아 인간의 피부에 유익하게 사용을 할 수 있다.
최근까지 이러한 녹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화장품 등의 제품에 적용하기 위한 시도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품 등의 적용 가능성은 사슴의 지방에서 추출된 녹유는 특유의 냄새로 인하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한게 사실이다. 따라서, 탈취와 관련된 연구도 진행되어 왔으며, 상기 탈취를 위해 활성백토, 활성탄을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이 경우 높은 온도에서 이용되어 녹유의 산화 또는 녹유의 성분 변화 등의 문제점이 있고, 나아가 정제 과정 중 탈취를 위하여 사용된 산성백토 또는 활성탄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 정제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슴의 지방에서 추출된 녹유는 정제 과정을 통해 순수한 오일 형태로 만드는데, 정제 과정에서 탈검과 탈산을 거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검 과정에 인체에 유해한 인산과 염산을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탈산 과정에서 산의 잔여물의 처리와 중화를 위하여 가성소다를 이용하고 있으나, 상기 탈검 및 탈산을 하더라도 녹유의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는 데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따라서, 효용 가치가 높은 녹유에 대한 화장품 분야 제품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556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것으로, 녹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슴의 지방육으로부터 추출된 녹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보다 피부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슴의 지방육으로부터 추출된 녹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염증성 질환 완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염증성 질환은 여드름(pimple),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알러지성 피부염(allelic dermatitis), 건선(psoriasis), 지루성 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홍반성 루프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습진(eczema), 땀띠(prickly heat) 및 두드러기(urticari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재생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에멀젼, 현탁액, 유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스프레이, 페이스트, 팩, 세안제, 비누, 오일, 왁스, 콘실스틱 및 에어로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사슴의 지방육으로부터 원료 녹유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원료 녹유를 제 1 비누화 반응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이용한 제 1 정제 공정을 수행하여 제 1 정제 녹유를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된 제 1 정제 녹유를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켜 제 2 정제 녹유를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득된 제 2 정제 녹유를 제 2 비누화 반응을 시켜 제 3 정제 녹유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슴의 지방육을 세척한 후, 물과 혼합하여 80 내지 120에서 3시간 내지 5시간 동안 가열 및 교반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B) 단계의 제 1 비누화 반응은 상기 원료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정제수 10 중량부 내지 500 중량부, 수산화칼륨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및 에탄올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B) 단계의 폴리페놀 화합물은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한 건조 식물에 함유된 폴리페놀 화합물이고,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한 건조 식물은 상기 원료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한 건조 식물은 모링가(moringa), 녹차(green tea), 도토리(acorn) 및 선인장(cactu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 단계의 에스테르화 반응은 산 촉매 및 알코올을 첨가하여 가열 및 교반함으로써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 촉매 및 알코올은 각각 상기 제 1 정제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 촉매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알코올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D) 단계의 제 2 비누화 반응은 상기 제 2 정제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정제수 10 중량부 내지 300 중량부 및 수산화칼륨 0.005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녹유 혼합 추출물 추출방법은 (E) 상기 수득된 제 3 정제 녹유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피부 보습능, 콜라겐 형성능 및 피부 재생능이 우수하여, 화장품 등에 포함될 경우 피부에 보다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기존 방식의 녹유 추출물 추출방법에 비하여 정제 과정이 간단한 반면 특유의 냄새가 완전히 제거된 녹유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어 화장품으로의 적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1에서의 HPTLC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1에서의 DEAE-Sephadex A-25 Column Chromatography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1에서의 Sialic Acid 정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제형의 효과 검증을 위해 제조한 화장품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항염 효과 확인을 위해 사용된 쥐를 관찰한 것이다.
도 8은, 상기 관찰 결과를 염증 지수로서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주황색: DNCB처리군의 염증 지수, 노란색: DNCB처리군에 녹유 비함유 크림을 도포하였을 때 염증 지수, 초록색: DNCB처리군에 녹유 함유 크림을 도포하였을 때 염증 지수].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보습 효과 및 콜라겐 형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피부 재생 유도능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피부 재생 유도능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H&E 조직염색법을 이용하여 나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상기 녹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범위가 하기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녹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상에서의 용어 '녹유(鹿油)'이라 함은, 사슴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기름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도축된 사슴고기 중 지방을 포함하는 부위, 즉 지방육에서 얻어진 기름을 의미이며, 바람직하게는 내장 지방을 포함하는 지방육을 제외한 지방육에서 얻어진 기름을 통칭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녹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녹유 혼합 추출물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항염증, 피부 보습능, 콜라겐 형성능 및 피부 재생능 등을 우수하게 하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화장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염증성 질환 완화용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염증성 질환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여드름(pimple),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알러지성 피부염(allelic dermatitis), 건선(psoriasis), 지루성 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홍반성 루프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습진(eczema), 땀띠(prickly heat) 및 두드러기(urticari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이에 포함된 녹유 혼합 추출물에 다양한 지방산 및 물질을 함유되어 있고, 상기 물질 중에는 피부 보습을 우수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피부 보습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이에 포함된 녹유 혼합 추출물에 다양한 지방산 및 물질을 함유되어 있고, 상기 물질 중에는 피부 내 콜라겐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피부 탄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재생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이에 포함된 녹유 혼합 추출물에 다양한 지방산 및 물질을 함유되어 있고, 상기 물질 중에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피부 재생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에멀젼, 현탁액, 유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스프레이, 페이스트, 팩, 세안제, 비누, 오일, 왁스, 콘실스틱 또는 에어로졸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글리세린 또는 펜틸렌글라이콜),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제형이 왁스인 경우에는 상기 녹유 혼합 추출물 이외에도 글리세린, 펜틸렌글라이콜, 메틸글루세스-20, 나이아신아마이드, 1,2 헥산다이올 및 정제수 등의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A) 사슴의 지방육으로부터 원료 녹유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원료 녹유를 제 1 비누화 반응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이용한 제 1 정제 공정을 수행하여 제 1 정제 녹유를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된 제 1 정제 녹유를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켜 제 2 정제 녹유를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득된 제 2 정제 녹유를 제 2 비누화 반응을 시켜 제 3 정제 녹유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A) 사슴의 지방육으로부터 원료 녹유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슴의 지방육을 세척한 후, 물과 혼합하여 80 내지 120에서 3시간 내지 5시간 동안 가열 및 교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상기 원료 녹유는 정제되지 않은 상태의 녹유로서, 도축된 사슴고기의 지방육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축된 사슴고기로부터 지방 축적이 잘 되어 있는 지방육 부위를 선별하고 이를 세척하여 상기 지방육의 표면 또는 도축된 사슴고기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된 지방육과 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약 3 내지 5 시간 동안 가열하여 지방육으로부터 액화된 녹유를 추출해 내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 즉 원료 녹유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언급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열 압착식 추출 등의 방법들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B) 상기 원료 녹유를 제 1 비누화 반응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이용한 제 1 정제 공정을 수행하여 제 1 정제 녹유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제 1", "제 2", "제 3" 등은, 단지 구분을 위해 사용된 것으로 상기 용어들이 "순차적"이란 용어와 관련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상기 (B) 단계의 제 1 비누화 반응은 상기 원료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정제수 10 중량부 내지 500 중량부, 수산화칼륨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및 에탄올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정제수, 수산화칼륨 및 에탄올의 함량은 전술한 범위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정제수 10 중량부 내지 500 중량부, 30 중량부 내지 350 중량부 또는 5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 수산화칼륨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0.05 중량부 내지 1 중량부 또는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및 에탄올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5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 또는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의 폴리페놀 화합물은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한 건조 식물에 함유된 폴리페놀 화합물이고,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한 건조 식물은 상기 원료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의 또 다른 예로는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한 건조 식물은 상기 원료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2.5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또는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비누화 반응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이용하는 제1 정제 공정이 수행되어, 원료 녹유로부터 원료 녹유의 이취(off flavor) 성분이 제거된 제 1 정제 녹유가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정제 공정은 원료 녹유에 정제수, 수산화칼륨, 에탄올,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한 건조 식물을 첨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로 인하여 제조된 제 1 혼합물을 약 80 내지 120의 온도로 가열 및 교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한 건조 식물은 모링가(moringa), 녹차(green tea), 도토리(acorn) 및 선인장(cactu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혼합물의 가열 및 교반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건조 식물로부터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화합물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식물 중 모링가에 함유된 클로로겐산, 녹차에 함유된 카테킨, 도토리에 함유된 탄닌, 및 선인장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등은 모두 폴리페놀 화합물에 해당하며, 이러한 폴리페놀 화합물은 80 이상의 고온에서 용출이 잘 되는 반면, 12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변형으로 인해 추후 항산화 효과 등이 감소될 우려가 있으므로, 가열 온도는 80 내지 120인 것인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식물은 원료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건조 식물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때, 폴리페놀 화합물의 추출 효율의 증대 및 추출된 폴리페놀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의 증대를 위해 첨가되는 녹차의 함량은 모링가, 도토리, 및 선인장 각각의 함량보다 작을 수 있다.
건조 식물과 함께 상기 제 1 혼합물에 첨가되는 에탄올은 폴리페놀 화합물의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제 1 혼합물 내에서 알코올 포화 상태를 형성하여 원료 녹유의 가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중성 지질의 손실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원료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에탄올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의 에탄올이 첨가되는 경우 폴리페놀 화합물의 추출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 1 혼합물 내에 알코올 포화 상태가 유지되지 않아 원료 녹유로부터 유리되지 않은 중성 지질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고, 10 중량부 초과의 에탄올이 첨가되는 경우, 유리지방산의 일부가 에스테르로 전환되어 잔존하게 되므로 이를 분리하기 위한 과정이 복잡해질 수 있다.
추출된 폴리페놀 화합물은 원료 녹유에 함유된 이취 성분의 분자체인 알데히드 및 저급 지방산과 반응하여 이취 성분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페놀 화합물에 포함된 복수의 하이드록시기가 이취 성분인 알데히드 및 저급 지방산과 결합하여 이취 성분을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반응으로 상기 원료 녹유의 이취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함된 폴리페놀 화합물은 흡착, 이온 반응 또는 가교 결합을 통해 원료 녹유에 함유된 탄화물 색소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 1 혼합물에 첨가되는 수산화칼륨의 경우 제1 비누화 반응을 통해 원료 녹유 내에 존재하는 유리지방산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정제 공정 동안, 상기 원료 녹유 내의 유리지방산은 수산화칼륨과 반응하여 지방산염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전환된 지방산염은 후술하는 유수 분리에 의해 수상층에 흡수되어 원료 녹유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원료 녹유의 산가는 1 내지 5의 범위 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산가의 단위는 mg KOH/g Oil로써 1g 내에 존재하는 유리지방산을 중화하는데 소비되는 수산화칼륨의 양을 적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산가 5의 1g의 유지 내 존재하는 유리지방산을 모두 제거하는 데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양은 5mg이다.
따라서, 상기 원료 녹유 내에 존재하는 유리지방산의 제거를 위해 원료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의 수산화칼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포함되는 수산화칼륨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원료 녹유 내의 유리지방산이 모두 중화되지 않고 잔존할 수 있으며, 0.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중성 지질의 가수분해가 진행되어 과비누화 반응이 수행됨으로써 정제율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 1 혼합물 내의 정제수의 함량은 원료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5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원료 녹유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정제수가 5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제 1 비누화 반응의 반응성 저하로 유리지방산의 제거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정제수가 2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다량의 에탄올이 첨가가 필요하게 되어 이에 따른 부반응으로써 에스테르화 반응이 주도될 수 있기 때문에 부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료 녹유와 정제수의 혼합 중량비는 1:1 일 수 있다.
제 1 혼합물의 가열 및 교반 후, 제 1 혼합물 내의 건조 식물의 잔여물은 필터 등을 통해 여과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 후, 제 1 혼합물을 약 1시간 내지 2시간 정도 방치시켜 유상층과 수상층을 분리한 후, 세척 또는 감압 증발을 통해 수상층을 제거함으로써, 원료 녹유로부터 이취 성분(예컨대, 유리지방산, 알데히드 및/또는 저급 지방산)이 제거된 제 1 정제 녹유가 수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정제 녹유는 불활성화된 이취 성분과 결합된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항산화 기능으로 인하여 잔주름 및 노화를 예방하고, 피부 깊이에서 항균 작용을 하여 피부 트러블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정제 공정은 원료 녹유에 정제수, 수산화칼륨, 에탄올,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한 후 40 내지 80 온도에서 가열 및 교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정제 공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 식물을 첨가하고 이로부터 폴리페놀 화합물을 추출하는 대신 이미 추출된 폴리페놀 화합물을 직접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혼합물이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가열 및 교반되는 동안, 제1 비누화 반응 및 원료 녹유의 이취 성분과 폴리페놀 화합물의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원료 녹유에 함유된 유리지방산, 알데히드 및/또는 저급 지방산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 실질적으로 첨가되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상기 원료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페놀 화합물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2.5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또는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이 전술한 건조 식물에서 추출될 경우 항산화 효과의 증대를 위해, 녹차 추출물의 함량은 모링가 추출물, 도토리 추출물 및 선인장 추출물 각각의 함량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링가 추출물, 녹차 추출물, 도토리 추출물 및 선인장 추출물의 중량비는 약 1:0.2~0.4:1~1.2:1 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제 1 정제 공정에서 건조 식물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또한 (C) 상기 수득된 제 1 정제 녹유를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켜 제 2 정제 녹유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의 에스테르화 반응은 산 촉매 및 알코올을 첨가하여 가열 및 교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제 2 정제 녹유를 수득할 수 있는 제 2 정제 공정은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제 1 정제 녹유에 함유된 함유되어 있는 인지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정제 공정은 제 1 정제 녹유에 산 촉매 및 알코올 첨가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한 후, 60 내지 80 온도에서 가열 및 교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혼합물이 제 2 온도에서 가열 및 교반되는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제 1 정제 녹유에 함유된 인지질은 친수성으로 전환되어 비극성인 오일상으로부터 극성인 알코올상(또는 알코올층)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정제 녹유에 함유된 인지질은 알코올과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인지질의 친수성을 가지는 치환기를 포함한 부분이 친유성인 트리글리세리드 구조에서 떨어져 나와 인(phosphorous)이 포함되지 않는 친유성의 다이글리세리드로 인지질이 변화될 수 있고, 상기 인 성분을 포함한 부분은 알코올에 용해되어 비극성인 오일상(트리글리세리드, 다이글리세리드, 모노글리세리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으로부터 분리되어 친수성인 알코올상에 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산 촉매 및 알코올은 각각 상기 제 1 정제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 촉매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2 중량부 내지 8.5 중량부 또는 3 중량부 내지 7 중량부; 및 알코올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또는 2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정제 공정에 이용되는 산 촉매 및 알코올은 각각 구연산 및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연산은 제 1 정제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내지 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에탄올은 제 1 정제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함량 범위는 구연산 및/또는 에탄올의 양이 너무 적거나 혹은 너무 많은 경우 인지질의 제거 효율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 2 정제 공정은 전술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 즉 제 2 정제 공정에 이용되는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혼합물의 가열 및 교반을 통해 제 1 정제 녹유에 함유된 인지질이 알코올층으로 이동되면, 중력에 의한 층분리 또는 원심 분리를 통해 제 2 혼합물을 유상층과 알코올층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 후, 세척 또는 감압 증발을 통하여 상기 제 2 혼합물의 알코올층을 제거함으로써, 제 1 정제 녹유로부터 인지질이 제거된 제 2 정제 녹유가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층의 제거 과정에서는 제 2 혼합물 내 잔존하는 산 촉매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또한 (D) 상기 수득된 제 2 정제 녹유를 제 2 비누화 반응을 시켜 제 3 정제 녹유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상기 제 2 정제 공정을 통해 수득된 제 2 정제 녹유에 대해 제 3 정제 공정이 수행되어, 제 2 정제 녹유로부터 제 2 정제 녹유의 유리지방산이 제거된 제 3 정제 녹유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정제 공정은 제 2 비누화 반응을 통해 제 2 정제 녹유 내에 잔류하고 있는 유리지방산을 제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정제 공정은 제 2 정제 녹유에 정제수 및 수산화칼륨을 첨가하여 제 3 혼합물을 제조한 후, 60 내지 80 온도에서 가열 및 교반하고, 상기 제 3 혼합물의 가열 및 교반을 하는 동안, 상기 제 2 정제 녹유 내의 유리지방산은 수산화칼륨과 반응하여 지방산염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전환된 지방산염은 후술하는 유수 분리에 의해 수상층에 흡수되어 제 2 정제 녹유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의 제 2 비누화 반응은 상기 제 2 정제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정제수 10 중량부 내지 300 중량부, 35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 또는 5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및 수산화칼륨 0.005 중량부 내지 1 중량부, 0.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또는 0.05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3 혼합물에 포함된 정제수 및 수산화칼륨의 중량은 전술한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정제 녹유에 함유된 유리지방산의 양은 상기 원료 녹유 내에 함유된 유리지방산의 양보다 적으므로 상기 제 3 정제 공정(즉, 제2 비누화 반응)에 이용되는 수산화칼륨의 양은 상기 제 1 정제 공정(즉, 제1 비누화 반응)에 이용되는 수산화칼륨의 양보다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정제 녹유의 산가는 0.5 내지 1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제 2 정제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의 수산화칼륨이 제3 정제 공정에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제 3 혼합물의 가열 및 교반의 완료 후, 제 3 혼합물의 유상층과 수상층의 분리 및 수상층의 제거 공정이 수행되어 제 2 정제 녹유로부터 유리지방산이 제거된 제 3 정제 녹유가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제 3 혼합물의 유상층과 수상층의 분리 및 수상층의 제거 공정은 제 1 정제 공정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수득되는 상기 제 3 정제 녹유는 상온에서 액상일 수 있으며, 수득되는 상기 제 3 정제 녹유가 고상인 경우, 이를 액화시키기 위한 추가 단계를 거쳐 액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 추출방법은, 또한 (E) 상기 수득된 제 3 정제 녹유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3 정제 녹유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 공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탈수 공정은 상기 제 3 정제 녹유에 탈수제를 첨가한 후, 40 내지 50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수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황산나트륨, 염화나트륨, 탄산칼슘, 염화칼륨, 또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수 공정을 통해 상기 제 3 정제 녹유 내의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정제 녹유의 지방 산화를 억제하여 정제 녹유의 유통 기한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탈수 공정의 완료 후 탈수제를 제거함으로써 제 3 정제 녹유의 잔존 수분이 제거된 최종 정제 녹유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기존 방식의 녹유 추출물 추출방법에 비하여 정제 과정이 간단한 반면 특유의 냄새가 완전히 제거된 녹유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어 화장품으로의 적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상기 추출된 녹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피부 보습능, 콜라겐 형성능 및 피부 재생능이 우수하여, 화장품 등에 포함될 경우 피부에 보다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녹유 성분 중 강글리오사이드(gangliosides) 존재 및 종류 확인
녹유 중에 실제 항염증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강글리오사이드의 존재 및 존재할 경우 종류를 확인해 보기로 하였다.
1.1 녹유에서 강글리오사이드 분리 정제
녹유 원료는 출원인이 직접 제조한 녹유를 사용하였고, 녹유에서 당지질은 Folch(1957), Suzuki(1965) 방법을 변형한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먼저, 녹유를 35배 부피의 70% 에탄올로 60에서 8시간 정도 가열하여 추출한 후, 여과 농축하였다. 이 농축액을 chloroform-methanol-0.88% KCl 수용액을 분배시키면서 당지질은 수용액층인 상층에 존재하는바 분리하였다. 상층액을 따로 모은 다음 아래층을 동일한 부피의 0.88% KCl이 포함된 용액으로 씻어 준 뒤 수용액층을 모아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액을 투석한 후 당지질을 sephadex G-50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였다(Stephan and Baiba, 1985). 이 때 용출된 용액을 206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활성 부분을 모아 농축시킨 후 증류수에서 투석(MWCO : 500, 1000)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1.2 용매 추출법에 의한 강글리오사이드의 분리
투석 후 동결건조 시킨 시료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강글리오사이드(gangliosides)를 분리하였다.
1.3 High Performance Thin Layer Chromatography(HPTLC)
HPTLC판을 사용하여 4에서 실행하였다. 전개 용매로는 용매 A로서 chloroform/methanol/0.2% CaCl2 수용액(55:45:10v/v/v)으로 극성도가 높은 당지질 분리에 적합한 용매를 사용하였으며, 용매 B는 chloroform/methanol/2.5N NH4OH(60:35:8v/v/v)으로 사용하였다. 염색방법으로는 orcinol-ferric chloride sulfuric acid solution을 사용하였으며, 120에서 15분 내지 20분간 가열하여 sialic aicd와 이를 포함하는 강글리오사이드(gangliosides)를 염색하였다. HPTLC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1.4 DEAE-Sephadex A-25 Column Chromatography
용매 추출법으로 얻은 Gangliosides의 종류 분석을 위하여 F6 분획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온 교환과 부분적인 흡착에 근거한 Column Chromatography를 시행하였다. Gel은 DEAE-Sephadex A-25 Gel을 사용하였으며, 용출속도는 1 ml/min으로 하고 5ml씩 분획하였다.
1.5 Sialic Acid 정량
F6분획에 대해 Gangliosides상에 존재하는 sialic acid의 양을 통해 정량하기 위하여 sialic acid를 Periodate-resorcinol방법(Jourdian et al., 1971)을 이용하여 630n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는 유리 sialic acid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2] 녹유 함유 화장품 제형의 항염 효과 확인
녹유 함유 화장품 크림 제형의 항염 효과 분석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하기 [표 1]의 원료(성분) 및 비율로 혼합하여 크림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도면 6 참조).
순번 원료 명 기능 비율
1 녹유 스킨컨디셔닝 41.6
2 글리세린 용매 41.5
3 펜틸렌글라이콜 용매 6.1
4 메틸글루세스-20 humectant 6
5 나이아신아마이드 스킨컨디셔닝 2
6 1,2 헥산다이올 - 1
7 정제수 - 정량
쥐에게 만성 염증을 유도할 수 있는 DNCB를 2일 간격으로 28일간 적용하여 만성 염증을 유도한 다음 28일부터 2일 간격으로 28일 동안 녹유 함유 화장품 제형을 처리하였다.
상기 쥐를 주기적으로 관찰하여 그에 대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쥐에게 만성 염증을 유도할 수 있는 DNCB를 처리한 쥐에서 염증이 유도되었으며, 이는 녹유 함유 크림 화장품 제형을 2일 간격으로 처리하였을 때 약 14일경부터 호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약 28일경에는 90% 이상 호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은, 상기 관찰 결과를 염증 지수로서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주황색: DNCB처리군의 염증 지수, 노란색: DNCB처리군에 녹유 비함유 크림을 도포하였을 때 염증 지수, 초록색: DNCB처리군에 녹유 함유 크림을 도포하였을 때 염증 지수].
[실험예 3] 녹유 함유 화장품 제형의 보습 효과 및 콜라겐 형성 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2에서 제조된 녹유 함유 크림 화장품 제형의 보습 효과 및 콜라겐 형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보습 효과 및 콜라겐 형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녹유 크림 화장품과 녹유를 포함하지 않은 크림 화장품(비포함)을 28일간 쥐의 피부에 도포한 후 콜라겐 형성 유도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쥐의 피부 조직에 Masson chrome staining을 실시하였다. 한편, 대조군(Mock)으로는 콜라겐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상피세포성장인자(Epithelial Growth Factor, EGF)를 처리하였다. 또한, 상기 녹유 크림 화장품의 경우 녹유 함유 농도를 각각 10% 및 30%로 하여 처리하였다.
피부 조직에 대한 관찰 결과는 도 9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관찰 결과를 수치화하여 도 10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9 및 10에 대한 분석 결과, 녹유 함유 농도가 증가될수록 상피세포성장인자를 처리한 실험군과 거의 유사한 수준의 콜라겐 형성 수치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녹유 함유 화장품 제형의 피부 재생 유도능 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2에서 제조된 녹유 함유 크림 화장품의 피부 조직 재생 유도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부 조직 재생 유도능을 확인하기 위해, 쥐의 등에 자연적으로 치유될 경우 염증이나 흉터가 남게 되는 크기의 상처를 발생시킨 후, 녹유가 포함되지 않은 멸균 크림(대조군, Con) 및 녹유가 포함된 멸균 크림(실험군, DF)을 약 14일간 처리하면서 상처 치유 양상을 관찰하였다.
상기 관찰 결과는 도 1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상처 치유에 대한 관찰 결과를 수치화하여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1 및 도 12에 대한 분석 결과, 녹유가 포함된 멸균 크림(DF)을 처리한 경우 상처가 더 깔끔하게 치유되고, 치유 기간 동안 염증도 더 완화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1의 검은 화살표).
추가적으로, 상기 상처를 준 쥐의 피부 조직을 H&E 조직 염색법으로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도 13의 분석 결과를 수치화하여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3 및 도 14에 대한 분석 결과, 대조군(Con), 즉 녹유가 포함되지 않은 멸균 크림을 처리한 경우, 표피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껍고, 불규칙적인 배열을 가지는 울퉁불퉁한 조직이 형성된 반면, 실험군(DF), 즉 녹유가 포함되지 않은 멸균 크림을 처리한 경우, 표피 두께가 얇고, 규칙적인 배열을 가지는 조직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험군에서 피부 재생능이 확인되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A) 사슴의 내장 지방을 포함하는 지방육을 제외한 지방육으로부터 원료 녹유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원료 녹유를 제 1 비누화 반응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이용한 제 1 정제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원료 녹유에 포함된 이취 성분을 제거한 제 1 정제 녹유를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된 제 1 정제 녹유를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켜 상기 제 1 정제 녹유의 유리지방산을 제거한 제 2 정제 녹유를 수득하는 단계 단계; 및
    (D) 상기 수득된 제 2 정제 녹유를 제 2 비누화 반응을 시켜 제 3 정제 녹유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비누화 반응을 수행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슴의 지방육을 세척한 후, 세척된 사슴의 지방육 및 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내지 120℃에서 3시간 내지 5시간 동안 가열 및 교반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비누화 반응을 수행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제 1 비누화 반응은 상기 원료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정제수 10 중량부 내지 500 중량부, 수산화칼륨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및 에탄올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비누화 반응을 수행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폴리페놀 화합물은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한 건조 식물에 함유된 폴리페놀 화합물이고,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한 건조 식물은 상기 원료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비누화 반응을 수행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한 건조 식물은 모링가(moringa), 녹차(green tea), 도토리(acorn) 및 선인장(cactu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비누화 반응을 수행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에스테르화 반응은 산 촉매 및 알코올을 첨가하여 가열 및 교반함으로써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비누화 반응을 수행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산 촉매 및 알코올은 각각 상기 제 1 정제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 촉매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알코올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비누화 반응을 수행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제 2 비누화 반응은 상기 제 2 정제 녹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정제수 10 중량부 내지 300 중량부 및 수산화칼륨 0.005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비누화 반응을 수행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녹유 혼합 추출물 추출방법은 (E) 상기 수득된 제 3 정제 녹유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비누화 반응을 수행하는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20170148157A 2017-11-08 2017-11-08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8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157A KR101998621B1 (ko) 2017-11-08 2017-11-08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17/012709 WO2019093546A1 (ko) 2017-11-08 2017-11-10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201811291250.XA CN109745249A (zh) 2017-11-08 2018-10-31 鹿油混合提取物的提取方法和含有该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157A KR101998621B1 (ko) 2017-11-08 2017-11-08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457A KR20190052457A (ko) 2019-05-16
KR101998621B1 true KR101998621B1 (ko) 2019-09-27

Family

ID=66402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157A KR101998621B1 (ko) 2017-11-08 2017-11-08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98621B1 (ko)
CN (1) CN109745249A (ko)
WO (1) WO2019093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6528B (zh) * 2019-08-15 2022-12-16 上海萨美细胞技术有限公司 无添加成分的脂肪提取物及其制法和用途
CN115044427A (zh) * 2022-04-22 2022-09-13 黑龙江工业学院 一种羟基水活化鹿油保湿美容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6280A (zh) * 2011-07-25 2011-12-07 吉林农业大学 精制鹿油在制备保湿化妆品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922A (ko) * 2008-06-26 2010-01-06 제주녹산장영농조합법인 정제 마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20002022A (ko) * 2010-06-30 2012-01-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디젤 원료유 제조 방법 및 상기 바이오디젤 원료유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제조 방법
KR101355563B1 (ko) 2010-11-16 2014-01-27 약초록영농조합법인 사슴육을 이용한 한방 소시지의 제조방법
CN102293730B (zh) * 2011-07-25 2012-08-22 吉林农业大学 精制鹿油在制备美乳化妆品中应用
CN102266275B (zh) * 2011-07-25 2012-10-31 吉林农业大学 精制鹿油在制备抗皱化妆品中应用
CN102416103B (zh) * 2011-11-16 2013-11-13 韩旭 一种药物组合物和丸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920803B (zh) * 2012-11-26 2013-11-20 李成仁 一种可以治疗痤疮的油类混合物
KR101405314B1 (ko) * 2013-04-09 2014-06-13 정길동 스킨로션 제조방법
KR20160060947A (ko) * 2014-11-21 2016-05-31 이종언 마유의 이상취 제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수득된 마유를 원료로 포함하여 제조된 화장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6280A (zh) * 2011-07-25 2011-12-07 吉林农业大学 精制鹿油在制备保湿化妆品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457A (ko) 2019-05-16
WO2019093546A1 (ko) 2019-05-16
CN109745249A (zh) 201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225B1 (ko) 마유 정제방법 및 마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MXPA02003076A (es) Procedimiento para extraer compuestos lipidos de furano y alcoholes grasos polihidroxilados a partir de aguacate, composicion basada en estos compuestos y uso terapeutico, cosmetico y alimenticio de los mismos.
KR20180119550A (ko) 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8621B1 (ko) 녹유 혼합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99B1 (ko) 석류, 서양장미꽃, 홍화 및 해당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2039B1 (ko) 미세침 분말 및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837B1 (ko) 히팅크 추출방법 및 저온숙성을 이용한 인진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3374B1 (ko) 녹유의 정제 방법, 정제 녹유 및 정제 녹유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JPH11193238A (ja) 植物性セラミド関連物質を含有する大麦麦芽油及びその製造方法
JP4754834B2 (ja) 化粧料
EP1426028A1 (en) Method of extract composition control in peat extraction, peat extract, and use of peat extract
KR102440266B1 (ko) 쌀추출물, 귀리커넬추출물 및 코코넛야자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4252A (ko) 인삼 에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KR102335683B1 (ko)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2340B1 (ko) 옥수수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97123B1 (ko) 마타리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24631B1 (ko) 지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7976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1577B1 (ko) 고산지역에서 자란 로즈마리 오일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JP2008031049A (ja) 抗アクネ菌組成物
US20240009592A1 (en) Improvements to extraction methods, extraction systems, compounds and formulations
JP2011213605A (ja) 新規フキノール酸誘導体及びその用途ならびに製造方法
KR102601185B1 (ko) 사자발약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5769B1 (ko) 새삼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671105B1 (ko) 대마 엑소좀 추출물 및 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