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486B1 - 파이프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지게차 - Google Patents

파이프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486B1
KR101998486B1 KR1020170163235A KR20170163235A KR101998486B1 KR 101998486 B1 KR101998486 B1 KR 101998486B1 KR 1020170163235 A KR1020170163235 A KR 1020170163235A KR 20170163235 A KR20170163235 A KR 20170163235A KR 101998486 B1 KR101998486 B1 KR 101998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ripping means
gripping
tilting
fork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002A (ko
Inventor
이태건
Original Assignee
이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건 filed Critical 이태건
Priority to KR1020170163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48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은,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파이프의 외측면 중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두 영역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기준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파지부를 회동시키고, 지게차의 승강 가능한 승강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연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틸팅부를 포함하여, 파이프를 파지하고 이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지게차 {PIPE TRANSFER UNIT AND FORKLIFT USING SAME}
본 발명은 파이프 이송유닛과, 이를 이용한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전방으로 수평면과 나란하게 뻗은 거치수단을 승강시킴으로써, 거치수단에 안착된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의 거치수단은 전방으로 뻗은 2개의 보(beam)로 구성되어, 보의 상면에 물체를 안착시키거나, 보를 팔레트 등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하여 팔레트를 들어올릴 수 있다. 이러한 거치수단의 형태 및 작용 때문에, 지게차로 불린다.
그러나 이러한 거치수단의 형상 때문에, 하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물체, 특히 관체형의 파이프를 다루기에 어려움이 있다. 하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물체를 지게차가 들어올리기 위해서, 하면이 평평한 별도의 팔레트나 지지수단을 이용해 상기 물체를 지지한 뒤, 팔레트나 지지수단을 들어올리는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간접적인 방식으로만 파이프를 운반할 수 있고, 직접적으로 파이프를 들어올리거나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키는 작업은 수행하기가 불가능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게차에 사용되어 파이프를 이송할 수 있는 파이프 이송유닛과 이를 이용한 지게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은,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파이프의 외측면 중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두 영역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기준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파지부를 회동시키고, 지게차의 승강 가능한 승강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연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틸팅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은,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파이프의 하면을 지지하고, 지게차의 승강 가능한 승강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연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이프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상기 기준방향에 직교하고 수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연장된 방향을 따라 갈수록 횡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기준방향에 직교하고 수평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파지수단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연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부를 포함하는, 주행가능한 차량; 및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고, 상기 승강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파이프 이송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이송유닛은,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기 파이프의 외측면 중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두 영역을, 서로를 향해 움직이는 2개의 파지수단을 이용해 가압함으로써, 상기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기준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파지부를 회동시키고, 지게차의 승강 가능한 승강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틸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기준방향과 직교하고 수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꼭지점이 맞닿은 2개의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게차를 이용해서 파이프를 이송할 수 있다.
파이프를 다양한 각도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을 이용한 지게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을 이용한 지게차가, 지면에 놓인 파이프를 파지하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을 이용한 지게차가, 파이프를 파지한 상태에서 틸팅부를 직립시키는 중간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을 이용한 지게차가, 파이프를 파지한 상태에서 틸팅부를 직립시킨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이 포함하는 파지수단 중 제1 파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을 이용한 지게차가, 파이프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된 거치대 사이로 기울인 파이프를 진입시키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을 이용한 지게차가, 거치대에 파이프를 안착시키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을 이용한 지게차가, 파이프를 회전시켜 직립시키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을 이용한 지게차가, 직립한 파이프를 안착시키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을 이용한 지게차가, 파지수단에 안착된 파이프를 이송하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1)을 이용한 지게차(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1)을 이용한 지게차(100)가, 지면에 놓인 파이프(P)를 파지하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1)을 이용한 지게차(100)가, 파이프(P)를 파지한 상태에서 틸팅부(20)를 직립시키는 중간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1)을 이용한 지게차(100)가, 파이프(P)를 파지한 상태에서 틸팅부(20)를 직립시킨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100)는, 승강부(41)를 포함하는 차량(4)과, 승강부(41)에 결합된 파이프 이송유닛(1)을 포함한다.
차량(4)은 차륜을 이용해 주행 가능한 차체를 포함한다. 차체에는 사용자가 탑승하여 차량(4)을 조작하여 주행시키거나 승강부(41)의 승강을 제어할 수 있다. 차체의 정면에는 승강부(41)가 배치된다. 승강부(41)는 연직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을 따라 구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슬라이더가 배치되어, 슬라이더에 적재된 물체를 연직 상하방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파이프 이송유닛(1)은 파이프(P)를 파지하는 구성요소이다. 파이프 이송유닛(1)은 승강부(41)에 결합되어, 승강부(41)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연직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파이프 이송유닛(1)은 파지부(10)와 틸팅부(20)를 포함한다. 또한 파이프 이송유닛(1)은 회전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이송유닛(1)은 차량(4)의 승강부(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지게차(100)의 작업 수행을 위해서, 차량(4)에서 파이프 이송유닛(1)을 제거한 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거치수단을 승강부(41)에 조립할 수 있다.
파지부(10)
파지부(10)는 파이프(P)를 파지하는 구성요소이다.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파이프(P)의 외측면 중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두 영역을 가압함으로써 파이프(P)를 파지하기 위해, 파지부(10)는 파지수단(11, 12)과 파지부 몸체(13)를 포함할 수 있고, 간격조절부재(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지수단(11, 12)은 직접적으로 파이프(P)에 접촉하여 파이프(P)를 가압하는 구성요소이다. 상술한대로 파이프(P)의 파지를 위해서 파이프(P)의 외측면 중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두 영역을 가압해야 하므로, 파지수단(11, 12)은 제1 파지수단(11)과 제2 파지수단(12)의 2개로 구성된다.
제1 파지수단(11)은, 파이프(P)의 외측면 중 일영역이 안착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제2 파지수단(12)은, 제1 파지수단(11)에 안착된 파이프(P)의 일영역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반대영역을 가압하는 구성요소이다. 제2 파지수단(12)은 상기 반대영역을 상기 일영역을 향해 가압할 수 있다. 제2 파지수단(12)은 제1 파지수단(11)에 대한 상대이동을 통해, 상기 반대영역을 가압함으로써, 제1 파지수단(11)과 제2 파지수단(12) 사이에서 파이프(P)가 파지되도록 한다.
파이프(P)가 파지수단(11, 12)에 의해 파지될 때, 파지된 파이프(P)가 연장된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파이프(P)가 이동하도록, 각 파지수단(11, 12)은 각 파지수단(11, 12)이 연장된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파지수단(11)과 제2 파지수단(12)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 사이에 파지된 파이프(P)가 기준방향 중 일 방향으로 파지수단(11, 12)에 의한 파지가 유지된 채로 이동한다.
이러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전달받아 파지수단(11, 12)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제1 파지수단 축부재(112)와 제2 파지수단 축부재(122)가 각각 제1 파지수단(11)과 제2 파지수단(12)에 구비될 수 있다. 각 파지수단 축부재(112, 122)는, 파이프(P)와 접촉하는 파지수단 접촉부재(111, 121)에 일단이 결합되고, 파지부 몸체(13)에 타단이 결합된다. 따라서 제1 파지수단 접촉부재(111)와 제2 파지수단 접촉부재(121)는, 각각 제1 파지수단 축부재(112)와 제2 파지수단 축부재(12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동시에 제1 파지수단 축부재(112)는 제1 파지부 몸체(1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파지수단 축부재(122)는 제2 파지부 몸체(1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파지부 몸체(13)는 내부에 구동력을 발생시키거나 전달할 수 있는 구동력 전달부재를 포함해, 각 파지수단 축부재(112, 122)가 회전할 수 있도록 각 파지수단 축부재(112, 122)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파지수단 축부재(112)와 제2 파지수단 축부재(1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고, 각각 제1 파지수단 접촉부재(111)와 제1 파지부 몸체(131), 제2 파지수단 접촉부재(121)와 제2 파지부 몸체(132)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1)이 포함하는 파지수단(11, 12)중 제1 파지수단(11)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1)이 포함하는 파지수단(11, 12)은 전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제1 파지수단(11)을 자세히 설명하여, 다른 파지수단인 제2 파지수단(12)에 대한 설명에 갈음한다.
제1 파지수단(11)은 파지부 몸체(13) 중 제1 파지부 몸체(131)에 결합된다. 제1 파지수단(11)은, 기준방향에 직교하고 수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파지부 몸체(1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 몸체(13)로부터 상기 방향으로 파지수단(11, 12)이 연장되어 형성됨에 따라,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파이프(P)를 2개의 파지수단(11, 12)이 그 사이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파지수단(11, 12)이 기준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파이프(P)를 가압해 파지할 수 있다.
동시에 파지수단(11, 12)은 파지부 몸체(13)에서 멀어질수록, 연장된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횡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파지수단(11, 12)이 포함하는, 파지수단(11, 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각 파지수단 접촉부재(111, 121)가, 연장된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횡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파지수단(11, 12)은, 상기 기준방향과 직교하고 수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꼭지점이 맞닿은 2개의 원추형으로, 모래시계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지수단(11)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파지수단 접촉부재의 중심(1114)의 횡단면의 직경이, 다른 위치의 제1 파지수단 접촉부재(111)의 횡단면의 직경과 비교했을 때 가장 작을 수 있다. 제1 파지수단 접촉부재(111)의 양 단으로부터 파지수단 접촉부재의 중심(1114)으로 갈수록, 제1 파지수단 접촉부재(111)의 외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수단 접촉부재(111, 121)의 형상에 의해, 원관체형의 파이프(P)의 외주면의 서로 상이한 4개의 일부 영역이 두 파지수단(11, 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안정적으로 파이프(P)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각 파지수단(11, 12)의 말단이 걸림턱이 되어, 파지수단(11, 12)이 연장된 방향으로 파이프(P)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파지수단 접촉부재(111, 121)의 종단면의 프로파일은, 원관체형의 파이프(P)의 외주면에 보다 잘 대응될 수 있도록,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파지수단(11)은, 제1 파지수단(11)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장방향 칼럼(1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장방향 칼럼(1112)은, 각각 제1 파지수단(11)의 외측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제1 파지수단(11)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장방향 칼럼(1112)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제1 파지수단(11)은 또한, 제1 파지수단(11)의 외측면에서, 상기 복수의 장방향 칼럼(1112)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크(1111, 1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크(1111, 1113)는 제1 파지수단(11)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접한 디스크(1111, 1113)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크(1111, 1113)는 제1 파지수단 접촉부재(111)의 양 단에 위치한 경계 디스크(1111)와, 2개의 경계 디스크(1111)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디스크(1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파지수단(11)의 전체적인 형상 때문에, 경계 디스크(1111)의 직경은 중간 디스크(1113)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중간 디스크(1113)들은, 파지수단 접촉부재의 중심(1114)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제1 파지수단(11)이 복수의 장방향 칼럼(1112)과 이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디스크(1111, 1113)를 포함하므로, 격자를 형성해 그물 같은 구조를 만든다. 이러한 구조는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파지수단(1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파지수단(11, 12)를 가공할 경우, 가공이 용이하며, 파지수단(11, 12)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파지수단(11) 및 제2 파지수단(12)은, 각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파지수단(11, 12)은 각각 2개로 구성되어, 서로 기준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파이프(P)를 기준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이한 개소에서 파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파이프(P)를 파지부(10)에 고정할 수 있다.
제1 파지수단(11)과 제2 파지수단(12)은 파지부 몸체(13)에 결합된다. 파지부 몸체(13)는 파지부(10)를 각 구성요소들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파지부 몸체(13)는 틸팅부(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서, 틸팅부(20)에 대해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 몸체(13)는, 제1 파지수단(11)과 연결되는 제1 파지부 몸체(131)와, 제2 파지수단(12)과 연결되는 제2 파지부 몸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지부 몸체(131)와 제2 파지부 몸체(132)는 간격조절부재(14)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간격조절부재(14)는 제1 파지수단(11)과 제2 파지수단(12)을 직접적 또는 제1 파지부 몸체(131)와 제2 파지부 몸체(132)를 이용해 간접적으로 연결한다. 간격조절부재(14)는 제1 파지수단(11)과 제2 파지수단(12)이 연장된 방향과, 기준방향에 모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간격조절부재(14)는 제1 파지부 몸체(131)와 제2 파지부 몸체(132)가 서로 이격되는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제1 파지수단(11)과 제2 파지수단(12)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증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격조절부재(14)는 연장된 방향을 따라 신축이 가능해야 하므로, 유압 실린더나 에어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간격조절부재(14)가 제1 파지수단(11)과 제2 파지수단(12)을 서로 상대이동하도록 해서, 제1 파지수단(11)과 제2 파지수단(12)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간격조절부재(14)가, 파지수단(11, 12)간에 서로 이격된 거리를 파이프(P)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증가시켜서, 제1 파지수단(11)과 제2 파지수단(12)의 사이에 파이프(P)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간격조절부재(14)가, 파지수단(11, 12)간에 서로 이격된 거리를 감소시켜, 제1 파지수단(11)과 제2 파지수단(12)에 파이프(P)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이 접촉하도록 하고, 각 파지수단(11, 12)이 서로를 향해 파이프(P)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P)가 각 파지수단(11, 12)에 의해 파지된다.
틸팅부(20)
틸팅부(20)는 파지부(10)가 배열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틸팅부(20)는 파지부(1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 또는 틸팅부(20)와 파지부(10)간에 형성되는 각도가 변경되도록, 기준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파지부(10)를 회동시킨다. 이러한 작용을 하기 위해 틸팅부(20)는 틸팅부 몸체(21), 틸팅부 힌지(23) 및 틸팅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부 몸체(21)는 틸팅부(20)를 회전부(30) 또는 지게차(100)의 승강부(41)와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틸팅부 몸체(21)는 지게차(100)의 승강부(41)에 결합될 수 있다. 틸팅부(20)는 승강부(41)에 직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승강부(41)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연직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또는 틸팅부 몸체(21)는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부(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30)가 틸팅부(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틸팅부(20)는 승강부(41)에 대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회전부(30)에 틸팅부(20)가 결합되고, 회전부(30)가 승강부(41)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파지부(10)가 승강부(41)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틸팅부 힌지(23)는 틸팅부(20)와 파지부(10)를 힌지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틸팅부 힌지(23)는, 기준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해서 상기 파지부(10)가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움직임을 파지부(10)에 제공하기 위해서, 틸팅부 힌지(23)는 파지부(10)와 힌지결합된다. 틸팅부 힌지(23)가 파지부(10)와 힌지결합되는 축방향은, 기준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파지부(10)의 하단과, 틸팅부 몸체(21)의 하단에 위치하는 틸팅부 힌지(23)가 서로 힌지결합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파지부(10)는 틸팅부(20)에 대해, 틸팅부 힌지(23)를 회전축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면과 파지부(10)가 서로 이루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고, 파지부(10)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P)의 위치를 틸팅부(20)의 작용으로 변경할 수 있다.
틸팅부재(22)는 틸팅부 힌지(23)에 의해 틸팅부(20)에 힌지결합된 파지부(1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외력을 파지부(10)에 가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틸팅부재(22)는 파지부(10)가 상기 틸팅부 힌지(23)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양단이 파지부(10)와 틸팅부 몸체(21)에 각각 연결되고, 기준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배열 및 연장되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다.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해야 하므로, 틸팅부재(22)는 유압 실린더나 에어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틸팅부재(22)의 일단은 틸팅부 힌지(23)와 동일한 개소 또는 틸팅부 힌지(23)로부터 기준방향을 따라 그은 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틸팅부재(22)의 일단은 틸팅부 몸체(21) 중 파지부(10)를 바라보는 면의 일부 영역에 연결되고, 타단은 파지부 몸체(13) 중 틸팅부(20)를 바라보는 면의 일부 영역에 연결된다.
틸팅부재(22)가 연장될 때, 파지부(10)가 틸팅부(20)로부터 밀려나면서 파지부 몸체(13)와 틸팅부 몸체(21)가 형성하는 각도가 증가한다. 도 4의 상태에서 도 3의 상태를 거쳐 도 2의 상태가 되는 것이다.
틸팅부재(22)가 수축할 때, 파지부(10)와 틸팅부(20)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파지부 몸체(13)와 틸팅부 몸체(21)가 형성하는 각도가 감소한다. 도 2의 상태에서 도 3의 상태를 거쳐 도 4의 상태가 되는 것이다.
틸팅부 몸체(21)와 파지부 몸체(13)에는, 틸팅부재(22)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홈이 각 몸체에 형성됨에 따라, 틸팅부 몸체(21)와 파지부 몸체(13)는 틸팅부재(22)가 수축했을 때, 서로 밀착하여 접촉할 수 있다.
회전부(30)
회전부(30)는 파지부(10)와 틸팅부(20)를 회전시킴으로써 파지부(10)에 의해 파지된 파이프(P)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파지된 파이프(P)가 배열된 방향이 바뀌도록, 회전부(30)는 기준방향에 직교하고 수평면과 나란한 방향을 축방향으로 해서 틸팅부(20)를 회전시킨다.
회전부(30)는 회전부 몸체(31)와 회전부 축(33)을 포함한다. 회전부 축(33)은 기준방향에 직교하고 수평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회전부 축(33)의 일단은 회전부 몸체(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틸팅부 몸체(21)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부 축(33)이 회전부 몸체(31)의 중앙과 틸팅부 몸체(21)의 중앙에 결합되도록 도시하였으나, 그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회전부 축(33)이 구동력을 받아 회전함에 따라, 틸팅부(20)는 회전부 축(3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부 축(33)이 연장된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한다. 파지부(10)는 틸팅부(2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틸팅부(20)가 회전부(30)에 의해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같이 회전한다. 따라서 파지부(10)가 파지하고 있는 파이프(P)는 회전부(30)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 축(33)이 연장된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파이프(P)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회전부 축(33)에는 회전부 벨트(32)가 연결되고, 회전부 벨트(32)는 회전부(30)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회전부 벨트(32)는 전달받은 구동력을 회전부 축(33)으로 전달할 수 있다. 회전부 벨트(32)가 회전부(30) 구동부재에 의해 당겨지면서, 회전부 축(33)을 당기는 방식으로 회전부 축(33)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부(30)는 승강부(41)에 결합됨으로써 연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다. 따라서 회전부(30)의 승강에 연동하여 틸팅부(20), 파지부(10) 및 파지부(10)에 파지된 파이프(P)가 승강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1)을 이용한 지게차(100)의 동작에 의해 파이프(P)를 파지하고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방향으로 파이프(P)를 위치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1)을 이용한 지게차(100)가, 파이프(P)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된 거치대(S) 사이로 기울인 파이프(P)를 진입시키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은 파이프 이송유닛(1)을 이용하는 지게차(100)가, 도 2의 과정을 거쳐 파이프(P)를 파지부(10)에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과 도 4의 과정을 거쳐 틸팅부(20)를 이용해 파지부(10)를 직립시킬 수 있다. 틸팅부재(22)가 수축하면서, 파지부(10)와 틸팅부(20)가 이루는 각도가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틸팅부(20)가 직립하게 된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파지부(10)가 파이프(P)를 파지하고, 차량(4)이 주행하여 파이프(P)를 안착시키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해 파이프(P)를 해당 위치에 내려놓아 파이프(P) 이송 작업이 종료될 것이다. 그러나 도 6과 같이 거치대(S)의 형태가 앞이 막힌 선반의 형태이고, 거치대(S)간의 거리가 파이프(P)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 단순히 파지부(10)와 틸팅부(20)만을 이용하여 파이프(P)를 거치대(S)에 안착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파이프(P)를 회전시켜서 기울인 상태에서 거치대(S) 사이의 공간으로 파이프(P)를 진입시켜야 한다.
파이프(P)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부(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기준방향과 수직하고 수평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파이프(P)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파이프(P)는 기울어지고, 두 거치대(S)가 나열된 방향을 따라 파이프(P)가 차지하는 길이가 줄어든다. 파이프(P)가 기울어짐에 따라, 파이프(P)가 연장된 방향인 기준방향은 수평면과 나란하지 않게 된다.
두 거치대(S)가 나열된 방향을 따라 파이프(P)가 차지하는 길이가, 두 거치대(S) 사이의 간격보다 줄어들면, 파이프(P)를 두 거치대(S) 사이로 진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게차(100)가 전진하고, 승강부(41)를 상승시켜 거치대(S)의 연직상방에 파이프(P)가 위치하도록 한다.
파이프(P)가 거치대(S)로부터 연직상방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부(30)가 최초 회전하였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파이프(P)가 연장된 방향인 기준방향이 다시 수평면과 나란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1)을 이용한 지게차(100)가, 거치대(S)에 파이프(P)를 안착시키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수평면과 파이프(P)가 나란해지면, 승강부(41)는 하강하여 파이프(P)가 연직하방으로 이동해 거치대(S)에 안착되도록 한다. 거치대(S)에 파이프(P)가 안착되면, 간격조절부재(14)가 작동하여, 파지수단(11, 12)이 서로 이격된 간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파지가 해제되고, 지게차(100)의 차량(4)이 후진하면서, 파이프(P)의 이송 작업이 종료된다.
도 6과 도 7의 과정에서, 파이프(P)를 파지수단(11, 12)이 파지한 위치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파지수단(11, 12)이 회전함에 따라, 파이프(P)를 파지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1)을 이용한 지게차(100)가, 파이프(P)를 회전시켜 직립시키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파이프(P)를 세로로 세워 직립시킨 뒤 파이프(P)의 일단을 안착시켜야 하는 도 8과 같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도 1 내지 도 4의 과정을 거쳐 파이프(P)를 파지부(10)가 파지한 후, 도 8과 같이 회전부(30)의 회전에 의해 파이프(P)를 회전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1)을 이용한 지게차(100)가, 직립한 파이프(P)를 안착시키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기준방향이 수평면과 수직해서 연직방향과 나란해지도록, 도 9와 같이 회전부(30)가 직각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이후 차량(4)이 이동하여 파이프(P)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그은 직선상에, 파이프가 직립하여 안착되어야 하는 개소(B)가 위치하도록 파이프(P)를 이동시킨다.
파지수단(11, 12)이 회전함에 따라, 파이프(P)가 연직하방으로 이동한다. 파이프(P)의 일단이, 파이프가 직립하여 안착되어야 하는 개소(B)에 안착되면, 간격조절부재(14)가 작동하여, 파지수단(11, 12)이 서로 이격된 간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파지가 해제되고, 지게차(100)의 차량(4)이 후진하면서, 파이프(P)의 이송 작업이 종료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유닛(1)을 이용한 지게차(100)가, 파지수단(11, 12)에 안착된 파이프(P)를 이송하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파지수단(12) 상에 파이프(P)가 안착된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의 거치대(S)와 같은, 지면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이격된 개소에 안착된 파이프(P)를, 지면으로부터 연직상방으로 이격된 다른 개소로 이송할 경우, 도 10과 같이 제2 파지수단(12) 위에 파이프(P)를 안착하여 이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제2 파지수단(12)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2 파지수단(12)과 파이프(P)가 접촉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파이프 이송유닛 4 : 차량
10 : 파지부 11 : 제1 파지수단
12 : 제2 파지수단 13 : 파지부 몸체
14 : 간격조절부재 20 : 틸팅부
21 : 틸팅부 몸체 22 : 틸팅부재
23 : 틸팅부 힌지 30 : 회전부
31 : 회전부 몸체 32 : 회전부 벨트
33 : 회전부 축 41 : 승강부
100 : 지게차 111, 121 : 파지수단 접촉부재
112, 122 : 파지수단 축부재 131 : 제1 파지부 몸체
132 : 제2 파지부 몸체 1111 : 경계 디스크
1112 : 장방향 칼럼 1113 : 중간 디스크
1114 : 파지수단 접촉부재의 중심
B : 파이프가 직립하여 안착되어야 하는 개소
P : 파이프 S : 거치대

Claims (11)

  1.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파이프의 외측면 중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두 영역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기준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파지부를 회동시키고, 지게차의 승강 가능한 승강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연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틸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측면 중 일영역이 안착될 수 있는, 제1 파지수단; 및
    상기 제1 파지수단에 안착된 파이프의 일영역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반대영역을, 상기 제1 파지수단에 대한 상대이동을 통해, 상기 일영역을 향해 가압할 수 있는 제2 파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가 상기 파지부에 의해 파지될 때,
    상기 파지된 파이프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파이프가 이동하도록, 상기 제1 파지수단은 상기 제1 파지수단이 연장된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파지수단은 상기 제2 파지수단이 연장된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파이프 이송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된 파이프가 배열된 방향이 바뀌도록, 상기 틸팅부를 상기 기준방향에 직교하고 수평면과 나란한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승강부에 결합됨으로써 연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이송유닛.
  3. 삭제
  4.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파이프의 외측면 중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두 영역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기준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파지부를 회동시키고, 지게차의 승강 가능한 승강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연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틸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측면 중 일영역이 안착될 수 있는, 제1 파지수단;
    상기 제1 파지수단에 안착된 파이프의 일영역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반대영역을, 상기 제1 파지수단에 대한 상대이동을 통해, 상기 일영역을 향해 가압할 수 있는 제2 파지수단; 및
    상기 제1 파지수단과 상기 제2 파지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틸팅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지수단 및 상기 제2 파지수단은,
    상기 기준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으로 상기 파지부 몸체로부터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파지부 몸체에서 멀어질수록 횡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파이프 이송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수단은,
    상기 제1 파지수단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각각 이격되어 상기 제1 파지수단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장방향 칼럼; 및
    상기 제1 파지수단의 외측면에서, 상기 복수의 장방향 칼럼을 가로지르고, 상기 제1 파지수단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크를 포함하는, 파이프 이송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 파지수단과 상기 제2 파지수단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파지수단과 상기 제2 파지수단이 연장된 방향과, 상기 기준방향에 모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1 파지수단과 상기 제2 파지수단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증감시킬 수 있는 간격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이송유닛.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수단 및 상기 제2 파지수단은,
    각각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파지수단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파지수단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파이프 이송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기준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상기 파지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파지부와 힌지결합되는 틸팅부 힌지;
    상기 지게차의 승강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틸팅부 몸체; 및
    상기 파지부가 상기 틸팅부 힌지를 축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양단이 상기 파지부와 상기 틸팅부 몸체에 각각 연결되고, 연장된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틸팅부재를 포함하는, 파이프 이송유닛.
  10.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파이프의 하면을 지지하고, 지게차의 승강 가능한 승강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연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이프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상기 기준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연장된 방향을 따라 갈수록 횡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연장된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파지수단을 포함하는, 파이프 이송유닛.
  11.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연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부를 포함하는, 주행가능한 차량; 및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고, 상기 승강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파이프 이송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이송유닛은,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기 파이프의 외측면 중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두 영역을, 서로를 향해 움직이는 2개의 파지수단을 이용해 가압함으로써, 상기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기준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파지부를 회동시키고, 지게차의 승강 가능한 승강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틸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기준방향과 직교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꼭지점이 맞닿은 2개의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지게차
KR1020170163235A 2017-11-30 2017-11-30 파이프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지게차 KR101998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235A KR101998486B1 (ko) 2017-11-30 2017-11-30 파이프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235A KR101998486B1 (ko) 2017-11-30 2017-11-30 파이프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지게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002A KR20190064002A (ko) 2019-06-10
KR101998486B1 true KR101998486B1 (ko) 2019-07-09

Family

ID=6684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235A KR101998486B1 (ko) 2017-11-30 2017-11-30 파이프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912B1 (ko) * 2019-12-09 2021-03-17 장채원 롤 이송용 운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757B1 (ko) 2005-11-18 2006-09-01 주식회사 명성금속 지게차에 설치되는 클램핑장치
KR100953600B1 (ko) 2009-11-24 2010-04-21 영진단조(주) 단조금형 어태치먼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3254Y2 (ja) * 1992-03-18 1998-02-18 三陽機器株式会社 フォークリフト着脱作業機
KR100440038B1 (ko) * 2002-06-28 2004-07-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원통형 배관 이송장치가 장착된 지게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757B1 (ko) 2005-11-18 2006-09-01 주식회사 명성금속 지게차에 설치되는 클램핑장치
KR100953600B1 (ko) 2009-11-24 2010-04-21 영진단조(주) 단조금형 어태치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912B1 (ko) * 2019-12-09 2021-03-17 장채원 롤 이송용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002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2946B2 (ja) 移動式リフト組立体
US9080397B2 (en) Pipe handling apparatus
KR101426072B1 (ko) 이송대차
AU2010297183B2 (en) A linkage system for a forklift truck
KR101719479B1 (ko)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JPH0417876B2 (ko)
US20090127001A1 (en) Pipehandler
KR101998486B1 (ko) 파이프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지게차
EP2818381B1 (en) Trolley for the transportation of a load on staircases
JP2013504469A (ja) スキッド支持ヘリコプタ用の搬送架台
FR3058407A1 (fr) Base mobile et procede de transport d'un equipement
JP2019014574A (ja) 移載装置および荷役車両
KR101984667B1 (ko) 갠트리 크레인
EP2457801B1 (en) Device for sideways movement
JP3208385U (ja) 搬送装置及び搬送ユニット
US10815077B2 (en) Window manufacturing conveyor system and method
KR102228912B1 (ko) 롤 이송용 운반장치
EP2462046B1 (en) Parts handling device
JPH11147607A (ja) 伸縮可能な移動ベルトコンベアー
KR102412860B1 (ko) 지게차용 클램프장치
US20220040016A1 (en) Removable electric propulsion system for a rolling object - simultaneous and combined gripping and lifting of the whee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NL2030893B1 (en) A vessel
KR102260492B1 (ko) 지게차용 클램프장치
CN217672928U (zh) 一种机器人移动平台
CA2771777C (en) Pipe hand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