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432B1 - 물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물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432B1
KR101998432B1 KR1020137032965A KR20137032965A KR101998432B1 KR 101998432 B1 KR101998432 B1 KR 101998432B1 KR 1020137032965 A KR1020137032965 A KR 1020137032965A KR 20137032965 A KR20137032965 A KR 20137032965A KR 101998432 B1 KR101998432 B1 KR 101998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path
along
movemen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541A (ko
Inventor
디에고 페라찐
미쉘레 파그노니
스테파노 자폴리
다니엘레 사나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4004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75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for filters with special features
    • A24D3/0287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for filters with special features for composite filter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Manufacturing Of Cigar And Cigarette Tobacco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Relays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2)용 이송장치(1)에 관한 것으로, 물체(2)용 복수의 고정지지수단(4)갖는 제1이송수단(3)을 포함하고, 제1이송수단(3)은 제1이동경로를 따라 물체(2)를 이송한다. 또한 제1이동경로와는 다른 제2이동경로를 따라 이송수단(3)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지지수단(4)으로부터 물체(2)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2이송수단(5)이 구비된다. 수집수단(10)은 제2이동경로를 따라 물체(2)를 수용하도록 되고, 제2이동경로를 따라 전달된 물체(2)를 수용하는 동안에 제1이동경로를 따라 제1이송수단(3)의 이동을 추종하도록 된다. 수집수단(10)은 제1이송수단(3)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지지수단(3)으로부터 물체(2)를 수용한 후 제1이송수단(3)의 제1이동경로에 실질적으로 반대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왕복운동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체를 이송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와 그 방법{CONVEY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YING OBJECTS}
본 발명은 물체, 특히 흡연물품에 사용하기 위한 예컨대, 필터부재 또는 필터세그먼트와 같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상 물체용 이송장치와 이들 물체를 이송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필터 세그먼트(segment)용 이송장치는 공지되어 있고, 이는 드럼의 외부 원주에 축방향 홈(flute)들이 구비된 드럼 형태의 제1이송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홈에 실질적으로 원통형상인 복수의 필터부재가 구비되고 또 드럼에 대한 제1원주방향 이동경로를 따라 드럼과 함께 회전한다. 제2이송수단으로서, 드럼의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또 드럼의 하나의 홈에 포함된 복수의 물체 중의 적어도 하나와 맞물리는 구동체인이 구비된다. 따라서 체인은 홈을 따라 드럼으로부터 물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축방향인 제2이동경로를 따라 드럼 방향으로 물체를 이송하도록 된다. 또한 필터부재를 위한 이러한 타입의 이송장치는 정지상태의 안내수단을 포함하고, 이는 안내수단의 이송방향인 물체의 세로축의 방위를 유지하면서 드럼의 홈으로부터 제거된 물체를 안내할 수 있도록 된다. 복수의 물체가 드럼의 하나의 홈으로부터 제거되는 동안에 드럼이 연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내수단은 그 단부에 드럼을 향하는 증가된 폭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이송장치는, 안내수단의 증가된 폭으로 인하여, 드럼의 홈으로부터 막 제거된 물체가 자신의 바람직한 방위로 안정되게 고정되지 못하고 또 회전할 수 있고 또 안내수단의 증가된 폭의 단면에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끼게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WO-A-2009/074540은 홈이 형성된 드럼과 동일한 반경방향 속도로 움직이는 회전 안내수단을 개시한다. 이 회전 안내수단은 홈 형성된 드럼으로부터 정지상태의 채널로 개별적인 필터부재를 안내하는 경사진 그루브(groove)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체용 이송장치와 물체를 이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흡연물품용 필터부재, 특히 짧은 필터부재인 물체의 천이가 제1이송수단과 다른 이동경로를 갖는 제2이송수단 사이에서 확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이송장치가 물체용 복수의 고정지지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수단은 제1이동경로를 따라 물체를 이송한다. 장치는 또한 제1이동경로와는 다른 제2이동경로를 따라 제1이송수단으로부터 물체를 제거하기 위한 제2이송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수단은 적어도 제2이동경로를 따라 전달된 물체를 수용하면서 제1이동경로를 따른 제1이송수단의 이동을 추종하는 동안에 제2이동경로를 따라 물체를 수용하도록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하게는 종래기술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당히 넓어진 단면 또는 벌어진(flared)입구 부위가 필요 없다. 제1이송수단의 운동과 수집수단의 동기화는 이송수단의 정렬이 이동 시에 균일해지게 한다. 따라서 제1이송수단을 향하는 적어도 수집수단의 단부는 제2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물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적절한 위치에 위치한다. 물체는 특히 흡연물품용 필터부재 또는 필터 세그먼트이다.
용어 "필터 세그먼트"는 흡연물품용 전체 필터 또는 그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필터의 세그먼트를 지칭하기 위하여 명세서를 통해 사용된다. 필터 세그먼트는 또한 하나 이상의 필터, 즉 흡연물품의 후속 제조공정에서 더 작은 필터 세그먼트로 절단되는 다중 필터부재의 로드(rod)의 필터부재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필터 로드는 최종 흡연물품의 2개 또는 4개 필터의 길이를 갖는다. 필터 세그먼트용 예는, 이에 한정됨이 없이, 예컨대 필터재료에 놓여진 비드, 캡슐, 식물재료 또는 실(thread)과 같은 추가 부재를 갖는 보통의(plain) 필터 토우 플러그 또는 필터 토우 플러그이다. 나아가서, 필터 세그먼트의 예는 예컨대, 조임부재 (restrictor) 또는 튜브형상 부재와 같은 비절삭성 물체이다. 필터 세그먼트의 예는 예컨대, 식물재료, 비이드, 캡슐 또는 과립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른 비-토우(tow)재료를 포함하는 플러그이다. 세그먼트는 예컨대, 카본 비이드를 갖는 필터 토우 세그먼트와 보통의 필터 토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이중 필터 세그먼트와 같은 2개 내지 5개의 개별적인 필터부재의 조합일 수도 있다. 세그먼트는 "공극 (void)" 부재, 즉 예컨대, 소위 플러그-공간-플러그 필터 또는 마우스(mouth)-단부 캐비티를 갖춘 필터와 같은 비어있는 세그먼트인 필터 세그먼트의 조합일 수도 있다. 의문을 피하기 위하여, 용어 "필터"는 이러한 필터 세그먼트의 가능한 여과효과를 참조함이 없이 흡연물품의 필터부위에서 필터 세그먼트의 위치를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수집수단은 제1이송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지지수단으로부터 물체를 수용한 후 제1이송수단의 제1이동경로에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다. 따라서 물체는 제1이송수단 상의 다음의 하류의 고정지지수단으로부터 수용될 수 있다. 수집수단의 이러한 왕복운동은 제1이송수단이 끊임없이 운동하는 동안에 제1이송수단 상의 후속 고정지지수단으로부터의 물체가 수집수단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기에는, 제1이동경로에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에서 수집수단의 이동속도는, 제1이동경로를 따라 제1이송수단의 운동을 따르는 동안에 수집수단의 이동속도보다 더 크다. 특히, 적어도 2배, 바람직하기에는 적어도 5배 더 크다. 이는 물체가 제1이송수단으로부터 수집수단으로 이송될 수 있는 시간이 증가하는 한편, 이송장치에서 물체의 처리량이 증가할 수 있도록 수집수단이 제1이동경로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시간이 적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기에는, 제1이송수단은 자신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는 드럼이고, 또 제1이동경로는 드럼의 원주 상에서 원주방향이다. 따라서 제1이동경로는, 그 직경이 실질적으로 드럼의 직경에 대응하는 원으로 형성된다. 제1이동경로 상의 이동방향은 드럼의 회전방향에 의해 형성된다. 드럼은 흡연물품의 구성부품을 위한 통상적인 이송수단이다. 바람직하기에는, 예컨대 호퍼로부터 드럼에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제공된다. 그 다음, 물체들은 제2이송수단에 의해 제거될 때까지 드럼과 함께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한 고정지지수단은 드럼의 외부 원주의 홈이고, 이는 바람직하기에는 실질적으로 드럼의 축 방향인 제2이동경로를 따라 연장한다. 바람직하기에는 홈은 드럼의 외부 원주표면에서 축방향으로의 선형 오목부이다. 바람직하기에는, 홈을 형성하는 오목부는 원통형상 물체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반원형 단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기에는 물체들은 진공의 적용에 의해 홈에 고정지지된다.
바람직하기에는, 주변 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제공된 흡입구멍이 홈에 배열되어 물체를 홈 내에 고정지지할 수 있게 한다. 흡입구멍은 바람직하기에는, 드럼의 흡입배관에 의해 드럼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공된 진공원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집수단은 약간 깔대기 형상의 수용단부를 갖는, 제1이송수단 상에 접하는 채널이다. 약간 깔대기 형상의 수용단부는 제1이송수단 옆에 배열되고 또 제1이동경로를 따른 제1이송수단의 이동을 따르는 동안에 제2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물체들을 수용하도록 된다. 깔대기 형상의 수용단부는, 종래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수집수단과 제1이송수단 사이의 임의의 정렬불량을 수정하지않고 제1이송수단으로부터 수집수단으로 물체의 원활한 천이만을 가능하게 해야하기 때문에, 단지 약간 넓혀져 있다. 바람직하기에는, 깔대기 형상의 수용단부의 폭은 물체의 길이보다 더 작다. 이는 물체가 자신의 세로축 주위 이외로는 회전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기에는, 수집수단과 제1이송수단 사이의 정렬은 수집수단의 적어도 일부가 제1이동경로를 따라 제1이송수단과 동기이동함으로써 얻어진다. 바람직하기에는, 수집수단의 깔대기 형상의 수용단부는 하나의 홈의 단부에 직접 배열되고 또 회전드럼 상에 배열된 홈과 함께 이동한다. 보통 홈의 단부는 드럼의 축 방향 단부의 외부 원주이다.
바람직하기에는, 물체의 세로축의 방위를 채널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채널은 물체의 기하구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물체는, 이 물체의 폭 또는 높이보다 더 큰 길이를 세로축을 따라 갖는다. 특히, 물체는 원통형상 물체이고, 세로축은 원통형상 물체의 면포(nappe)에 평행하고 또 중심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채널은 바람직하기에는 원통형상 물체의 직경보다 약간 크지만 길이방향으로 물체의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원형 또는 반원형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세로축의 방위는 채널을 통해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한편, 원통형상 물체는 자신의 세로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물체의 세로축은 제2이동경로와 정렬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집수단은 수용단부에 대한 일정 거리에서 힌지에 의해 장착되어, 수용단부가 힌지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제1이동경로를 따라 제1이송수단의 운동을 추종할 수 있도록 된다. 바람직하기에는, 힌지의 회전축은 드럼의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이는 수집수단의 홈과 채널 사이의 각도변화를 보정하기 위하여 약간 더 큰 깔대기를 갖기 위한 추가적인 이유이다. 수집수단의 회전속도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드럼의 반경을 곱하고 또 힌지와 드럼 사이의 거리로 나눔으로써 정해진다. 따라서 드럼쪽으로 실질적으로 지향된 수집수단은, 드럼의 대응하는 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자신의 수용단부와 함께 이동한다. 그러나 만일 수집수단이 드럼쪽으로 지향되지 않다면 드럼과 수집수단의 수용단부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수집수단의 왕복 회전이 수행되고 그 동안에 수집수단은 드럼쪽으로 실질적으로 지향되게 잔류한다. 예컨대, 수집수단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에서, 물체는 깔대기의 우측면을 향하여 수집수단의 깔대기로 진입하기 시작하고, 그러나 깔대기의 좌측면을 향하여 고정지지수단과 수집수단 사이의 천이를 완료한다.
바람직하기에는, 제1이송수단 상의 각 고정지지수단은 정렬된 복수의 물체를 고정한다. 수집수단은 제2이송수단이 하나의 고정지지수단으로부터 수집수단으로 정렬된 복수의 물체를 전달하는 동안에 제1이송수단의 운동을 추종하도록 된다. 바람직하기에는, 제1이송수단의 각 고정지지수단에 2개 내지 10개의 물체, 더 바람직하기에는 2개 내지 6개의 물체가 제공된다. 몇 개의 물체가 하나의 고정지지수단으로부터 수집수단으로 동시에 전달되기 때문에, 장치의 높은 수율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이송수단은 구동 돌기들을 갖는 벨트 또는 체인이고, 구동돌기들은 제1이송수단의 고정지지수단의 물체와 맞물리고 또 물체를 수집수단 내로 이송하도록 된다. 구동돌기들은 고정지지수단을 따라 이동하고 또 물체와 맞물린다. 바람직하기에는, 구동돌기들은 벨트 또는 체인 상에 구비된 핑거들이다. 바람직하기에는, 고정지지수단은 홈이 형성된 드럼 상의 홈이다. 따라서 물체들은 수집수단 내로 밀어 넣어지고 또 제1이송수단의 고정지지수단으로부터 제거된다. 특히, 돌기들은 단지 고정지지수단에서 최상류의 물체들과 맞물리는 한편, 모든 하류의 물체들은 인접한 상류 물체들에 의해 밀려진다. 바람직하기에는, 돌기들은 제1이동경로를 따라 특정한 가요성을 갖고 배열되어, 고정지지수단이 제1이동경로를 따라 더 이동됨에도 불구하고 돌기들은 고정지지수단에 잔류한다.
바람직하기에는, 물체들이 벨트 또는 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동안에, 고정지지수단은 그 안에 배열된 물체들을 안내하도록 된다. 따라서 벨트 또는 체인은 단지 구동력만을 제공하도록되고, 정렬 및 안내는 고정지지수단에 의해 제공된다.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구동돌기가 물체와 맞물리기 위하여 제공된다. 그러한 통상적인 구동돌기는 벨트 또는 체인에 대하여 자신의 방위를 유지하도록 벨트 또는 체인 상에 제공될 수 있고, 또 벨트 또는 체인이 자신의 방위를 변경할 때마다 자신의 방위를 변경한다. 특히, 구동돌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스프로킷처럼, 안내휠의 원주방향으로 방위변경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는 돌기 선단의 속도 증가로 이어지고 또 이에 따라 물체에 대한 증가된 구동속도로 이어져 물체의 불안정한 이송속도를 유발한다. 또한, 구동돌기의 방위의 변경은 방위 변경 동안에 물체를 조이고(pinch) 또 손상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하기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구동돌기, 특히 핑거들은 벨트 또는 체인 상에 배열되어, 벨트 또는 체인의 이동에 걸쳐 자신의 절대방위를 유지한다. 이는 구동돌기가 고정된 벨트 또는 체인의 섹션이 풀리 또는 스프로킷 주위로 회전하는 동안에, 구동돌기는 동일한 방위로 잔류한다. 특히, 이는 벨트 또는 체인과 구동돌기 사이의 기계적인 전동에 의해 가능하고, 벨트 또는 체인의 회전을 보정한다. 구동돌기와 벨트 또는 체인사이의 기계적인 전동에 의해 구동돌기는 하나의 방위로 잔류한다. 바람직하기에는, 구동돌기의 방위는 구동돌기의 전체 이동에 걸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벨트 또는 체인이 풀리 또는 체인 스프로킷 주위로 안내될 때 구동돌기는 자신의 구동속도를 단지 약간만 감소하면서, 물체로부터 후퇴된다. 이는 물체의 원활하고 연속적인 이동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기에는 2개의 구동돌기가 벨트 또는 체인 상에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물체를 이송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기노즐이 수집수단에 구비된다. 공기노즐은 수집수단에 있는 물체에 대하여 유리한 구동수단을 형성하는바, 왜냐하면 공기노즐이, 물체를 구동하기 위하여 수집수단에 추가적인 기계부품들이 구비될 필요가 없게 하기 때문이다. 이는 몇몇 실시예에서 수집수단이 체널형태를 갖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고, 따라서 외부의 구동수단과 물체의 적절한 맞물림을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공기노즐은 경량의 수집수단을 설계하는 것은 허용하고, 이는 수집수단의 고속에서의 왕복운동에 관하여 유리하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수집수단은 물체와 맞물리기 위하여, 앞서 언급된 돌기와 같은 구동수단을 허용하기 위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집수단은 하류측 세트의 롤러가 배열되는 다음의 상류측 세트의 롤러에 인접하여 배열된 하류 단부를 포함한다. 각 세트의 롤러는 적어도 2개 측면으로부터 물체와 맞물리고, 상류측 세트의 롤러는 하류측 세트의 롤러보다 낮은 속도로 회전하여, 서로 이미 인접한 물체들이 서로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롤러들의 상류와 서로 접촉하는 물체 세트들은 롤러의 하류의 물체들 사이에 한정된 거리를 갖는다.
상류측 세트의 롤러와 하류측 세트의 롤러 사이의 거리는 조정가능하여, 다른 길이의 물체들이 처리될 수 있게 한다. 롤러 세트들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물체의 길이가 2개 세트의 롤러의 맞물림 부위 사이의 거리보다 크지 않도록 거리가 조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물체들은 유리하게 양쪽 상류 및 하류측 세트의 롤러들과 동시에 맞물리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 세트의 하류에 이송 디스크가 구비되고, 이 이송 디스크는 추가적인 하류의 이송라인의 정해진 위치에서 물체들을 개별적으로 정렬하기 위하여 롤러 세트에 의해 분리된 각각의 물체와 맞물리는 이빨(tooth)을 갖는다. 바람직하기에는, 롤러들에 의해 생성된 물체 사이의 거리는 이송 디스크가 물체 사이로 이빨이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체, 특히 흡연물품용 필터부재를 이송하는 방법에 의해 추가로 해결되고, 이는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먼저, 물체들은 제1이송수단 상의 복수의 고정지지수단에서 제1이동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다음으로, 모든 물체는 제1이동경로와는 다른 제1이동경로를 따라 하나의 고정지지수단으로부터 제거된다. 계속해서, 물체들은 적어도 제2이동경로를 따라 물체를 수용하는 동안에 제1이동경로를 따라 제1이송수단의 이동을 추종하는 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된다.
수집수단은 실질적으로 제1이동경로를 따라 그리고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왕복운동을 수행한다. 실질적으로 제1이동경로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은 복귀운동을 구성한다. 따라서 수집수단은 물체들이 고정지지수단으로부터 수집수단으로 전달되는 동안에 하나의 고정지지수단과 정렬되어 유지될 수 있고, 다음의 또는 다른 고정지지수단과 정렬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귀단계 동안 수집수단의 이동속도는 물체의 수집단계 동안의 속도보다 크다.
바람직하기에는, 물체들은 수집수단에서 다음의 상류 및 하류 물체들과 접촉하고 또 한정된 거리는 수집수단의 하류의 각 물체들 사이에 설정된다. 한정된 거리는 흡연물품의 제조 동안에, 물체들이 추가적인 처리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선택되고 또 이송될 수 있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방법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본질적인 기능적 특징들로 특정된 모든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더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송장치의 부분 저면도이다.
도 1에, 물체(2), 특히 흡연물품용 필터부재용 이송장치(1)가 도시된다. 필터부재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상 물체이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필터부재는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또한, 필터부재는 자신의 면포(nappe)에 작은 직경의 단면인 수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세로축은 물체의 길이방향으로 또 그 직경에 수직으로 자신의 면포에 평행하게 물체에서 중심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물체(2)는 특히 흡연물품용 조임부재(restrictor)이고, 이는 필터재료와 조합되어 흡연물품용 필터 세그먼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타입의 조임부재는 바람직하기에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물체(2)는 처음에 도 1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드럼(3)으로 제공되고 또 드럼의 중심축(100)주위로 회전하도록 된다. 드럼(3)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상 몸체이고, 홈(flute: 4)들을 포함한다. 홈(4)은 드럼(3)의 외부 원주표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목부들이다. 특히, 홈은 그 내부에 물체(2)를 수용하고 또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홈의 단면은 물체의 외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질 수 있고, 그러나 약간 더 커서 물체들이 드럼(3)의 축방향으로 여전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드럼(3)이 자신의 중심축(100)주위로 회전하면, 물체(2)는 드럼(3)의 원주를 따른 원운동에 대응하는 제1경로를 따라 드럼(3)의 외부로 이송된다. 이러한 이송운동 동안에, 물체(2)는 드럼(3)의 홈(4)에서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유지되어, 반경방향으로 낙하할 수 없게 된다. 이는 홈(4)의 형태에 의해서, 또는 물체(2)를 홈(4)에 유지하기 위하여 낮은 압력을 물체(2)에 적용하는 클립 또는 흡입구멍과 같은 추가적인 고정지지수단에 의해 얻어진다. 대신에, 고정지지수단은 드럼의 회전운동 동안에 물체의 이동은 허용하지만 홈으로부터 물체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드럼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안내판일 수 있다.
드럼(3)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1이송수단을 구성한다. 제1이송수단은 물체들을 서로 분리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절단 형상부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드럼에 또는 인접하여 나이프를 제공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나이프들은 드럼의 회전이 물체의 절단을 허용하도록 정지상태일 수 있다. 나이프는 대신에 드럼과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서보 또는 리니어 드라이브 또는 캠 드라이브와 같은 액츄에이터가 나이프의 절단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로드(rod)로서 드럼에 제공된 필터재료는 개별적인 물체로 절단될 수 있다.
물체(2)가 드럼(3)의 최저점에 도달하면, 물체는 이하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2이송수단에 의해 제거될 것이고, 개별적인 부재의 더 작은 조각으로 추가로 분리되는 반제품으로 시작한다.
제2이송수단은 체인 드라이브(5)이고, 이는 제1스프로킷(6)과 제2스프로킷 (7) 및 2개의 스프로킷(6, 7) 사이에 구비된 체인(8)을 포함한다. 체인(8)의 연장선은 일반적으로 드럼(3)의 최저 위치에서 홈(4)과 정렬된다. 따라서 체인 드라이브(5)는 일반적으로 드럼(3)의 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체인(8)은 핑거(9)형태의 2개의 돌출부가 구비된다. 핑거(9)는 체인(8)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어, 핑거(9)들 사이의 거리가 체인(8)의 양쪽 방향을 따라 동일하도록 된다. 핑거(9)는 기계적인 전동장치에 의해 체인(8)에 연결되어, 심지어 대응하는 체인 링크들이 제1 또는 제2 스프로킷(6, 7)을 따라 이동하고 또 회전될 때라도 핑거(9)들이 방위를 유지할 수 있다. 핑거(9)는 드럼(3)의 가장 낮은 홈(4)으로 돌출하도록 되고 또 홈(4)을 통해 드럼(3)의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핑거(9)는 홈(4)에서 최우측 및 최상류측 물체(2)와 맞물린다. 최상류측 물체(2)는 다음의 하류측 물체(2)와 접촉하게 되고 또 홈(4)에 포함된 모든 물체(2)가 드럼(3)의 축 방향으로 함께 이송될 때까지 그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드럼(3)의 축 방향은 제2이동경로를 구성한다.
변형예에서, 핑거(9)는 체인(8)과의 운동을 통해 자신의 절대 방위를 유지하도록 된다. 이는 도 1에서 점선의 핑거(9)에 의해 도시되고, 이는 체인 링크가 스프로킷(6, 7)을 따라 주행할 때 핑거(9)가 주로 고정되는 체인 링크에 대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핑거(9)는 자신의 절대 방위를 유지한다. 이는 그렇지 않으면 핑거 (9)에 의해 구동된 물체(2)의 불안정한 이송속도 또는 필터부재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핑거(9)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선단의 추가적인 가속이 없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홈(4)의 하류 단부에 수집수단(10)이 구비된다. 도 1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수집수단(10)은, 드럼(3)에 인접한 자신의 수용 단부(11) 쪽으로 약간 넓혀진 채널이다. 수용 단부(11)는 드럼(3)에 가까이 제공되어, 수용 단부(11)와 홈(4)의 개구부가 실질적으로 정렬되게 된다. 물체(2)는 핑거(9)에 의해 홈(4)으로부터 수집수단(10)내로 밀려 진다. 수집수단(10)은 바람직하기에는 약 70mm의 길이를 갖는다.
수집수단(10)은 실질적으로 수직축(200) 주위로 회전가능하다. 수집수단(10)은 수직축(200) 주위로 왕복운동으로 구동된다. 왕복운동의 피크-대-피크 진폭 각도는 바람직하기에는 예컨대, 약 2도와 3도 사이로 작다. 수직축(200) 주위로 수집수단(10)의 왕복운동은 수집단부(11)가 드럼(3)의 회전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설사 홈(4)으로부터 수집수단(10)으로 물체의 천이 동안에 드럼(3)이 회전하더라도 수용 단부(11)가 홈(4)과 정렬되어 유지되도록 한다. 특히, 모든 물체(2)가 홈(4)으로부터 수집수단(10)으로 전달될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 동안에 수집수단 (10)은 드럼(3)의 회전방향으로 정확하게 구동된다. 그 다음에, 수집수단(10)은 드럼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음의 상류측 홈(4)의 물체(2)를 수용하기 위하여 다음의 상류측 홈(4)과 정렬되게 된다. 수집수단(10)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캠 드라이브(20)가 구비된다. 드럼(3)과 체인 드라이브(5) 및 캠 드라이브(20)의 회전은, 심지어 높은 이송속도에서도 개별적인 드라이브 사이에 적절한 정렬 및 동기화가 보장되는 것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기계적인 또는 전기적인 수단에 의해 모두 동기화된다. 따라서 수집수단(10)은, 적어도 제2이동경로를 따라 이송가능한 물체(2)들을 수용하는 동안에, 제1이동경로를 따라 드럼(3)의 운동을 실질적으로 추종하도록 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집수단은 단지 수직축(200) 주위로 왕복 회전운동만을 수행한다. 이는 물체(2)가 홈(4)으로부터 수집수단(10)으로 짧은 시간에 고속으로 이송되기 때문에, 충분하다. 따라서 제1이동경로는 이송 동안에 거의 선형적이다. 원형의 제1이동경로의 수직성분은 수집수단(10)의 약간 넓혀진 수용 단부(11)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드럼(3)의 최저 위치에서 드럼(3)의 회전에 기인한 홈(4)의 주된 변위는 수평방향으로 일어나고, 여기서 수집수단(10)은 수직축(200) 주위로의 회전 때문에 홈(4)을 추종할 수 있다.
대신에, 수직축(200)은 수집수단(10)으로부터 하류에, 특히 수집수단(10)의 하류 방향으로 약 15 mm에 위치될 수 있다.
수집수단(10)에 공기노즐(12)이 구비되고, 이는 물체들이 수집수단(10)의 하류 단부(13)로 이송되도록 물체(2)의 이송방향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도록 된다.
추가적인 공기흐름 노즐들이 수집수단(10)에 구비될 수 있고, 이들은 명확화를 위하여 도시되지는 않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집수단(10)의 수용 단부(11)는 홈(4)으로부터 수집수단(10)으로 물체(2)의 제거 동안에 드럼(3)과 접촉한다.
수집수단(10)의 하류 단부(13)에 인접하여, 평행한 수평축 주위로 회전하는 2개의 롤러로 구성된 상류측 세트 롤러(14)가 구비된다. 롤러들은 서로 맞물려서, 하부 롤러가 상부 롤러를 구동한다. 롤러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섹션에서 작은 직경과 외부 섹션에서 큰 직경을 갖고서, 2개의 롤러는 자신들의 축방향 외부 부위에서 서로 접촉만 하는 한편, 롤러들 사이에 물체(2)의 외부 형상에 대응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롤러들의 접촉영역은 마찰을 증가하는 재료가 제공될 수 있어서, 상부롤러와 하부 롤러의 동기화가 확보될 수 있다. 대신에, 롤러들은 작은 이빨을 구비할 수 있고, 하부 롤러는 상부 롤러와 치형(toothed) 맞물림이 된다. 추가적인 변형예로서, 롤러들의 동기화는 벨트 또는 체인연결과 같은 외부의 전동수단에 의해, 또는 치형 휠을 매개로 가능해질 수 있다.
물체(2)의 이송방향으로 상류측 세트의 롤러(14) 다음에 하류측 세트의 롤러(15)가 구비된다. 하류측 세트 롤러(15)의 하부 롤러는 상부롤러와 맞물리고 또 상류측 세트의 롤러(14)와 같은 방식으로 상부 롤러를 구동하도록 된다. 2개 세트의 롤러 사이의 거리는 하류측 세트의 롤러(15)를 물체(2)의 이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상류측 세트의 롤러(14)와 하류측 세트의 롤러(15) 사이의 거리는, 물체(2)들의 맞물림이 상류측 세트의 롤러(14)와 끝나는 동일한 시간에 하류측 세트의 롤러(15)에 의해 물체(2)가 맞물리도록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하류 단부(13)에서 수집수단(10)을 떠나는 물체(2)는 먼저 상류측 세트의 롤러(14)에 의해 맞물리고, 후속적으로 물체(2)와 맞물리는 하류측 세트의 롤러(15)쪽으로 이송된다. 하류측 세트의 롤러 (15)는 상류측 세트의 롤러(14) 보다 더 빠른 속도로 구동된다. 따라서 수집수단(10)에서 모든 물체(2)가 서로 접촉하는 동안에, 다른 회전속도를 갖는 2개 세트의 롤러(14, 15)는 물체(2)들을 분리할 수 있고, 물체(2)들은 서로에 대하여 한정된 거리로 더 이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류측 세트의 롤러는 물체(2)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류측 세트의 롤러(14) 보다 약 4배가 빠른 속도이다.
상류측 세트의 롤러(14)는 제1구동휠(16)에 의해 구동되는 한편, 하류측 세트의 롤러(15)는 제2구동휠(17)에 의해 구동된다. 특히, 구동휠들은 몇 개의 벨트로 구성된 벨트 드라이브(18)에 의해 구동된다. 제1구동휠(16)은 상류측 세트의 롤러(14)의 하부 롤러와 맞물린다. 제2구동휠(17)은 하류측 세트의 롤러(15)의 하부 롤러와 맞물린다.
나아가서, 캠 드라이브(20)에 의해 구동되는 수직 구동축(19)이 구비된다. 수직 구동축은 수집수단(10)의 왕복운동을 구동하는 축이다.
캠 드라이브(20)는 치형 휠(21, 22)에 의해 구동되어, 수집수단(10)의 운동이 체인 드라이브(5) 및 드럼(3)의 운동에 동기화된다.
도 2에, 드럼(3)과, 체인(8), 수집수단(10) 및 이송 디스크(23)의 저면도가 도시된다. 체인(8)으로부터 제1이동경로 상의 상류의 드럼(3)의 모든 홈(4)은 물체(2)로 충진되고, 하류측 홈(4)은 비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체인(8)의 핑거 (9)는 물체(2)를 수집수단(10)으로 밀어준다. 수집수단(10)에서, 단지 하나의 핑거(9)만이 홈(4)으로부터 한 세트의 물체를 밀어주기 때문에, 모든 물체(2)는 자신과 인접한 상류측 및 하류측 물체(2)와 접촉한다. 체인(8)의 핑거(9)는 드럼(3)의 원주방향으로 특정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거나 홈(4) 보다도 더 가늘 수 있어서, 핑거(9)가 홈(4)을 통해 이동하는 동안에 드럼(3)은 계속 회전할 수 있다.
수집수단(10)의 하류 단부(13)에 상류측 세트의 롤러(14)와 하류측 세트의 롤러(15)가 구비되고, 인접한 물체(2)들 사이의 거리가 생성되도록 하류측 세트의 롤러(15)는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롤러 사이로 물체(2)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롤러들은 작아진 직경을 갖는다. 하류측 세트의 롤러(15)뒤에, 개별적인 물체(2)는 이송 디스크(23)의 핑거(24)에 의해 각각 맞물리고 또 굴곡진 안내수단(25)을 따라 운송된다. 하류측 세트의 롤러(15)는 이송 디스크(23)의 핑거(24)가 통과하고 또 물체(2)를 취출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롤러들 사이에 적어도 한 측면에 개구부 또는 틈새가 구비된다. 2개 세트의 롤러(14, 15)의 속도 차이는 조화되어야 하고, 물체(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핑거(24)가 물체(2)사이로 진입하기에 필요한 시간과 상호 연관된다.
이송 디스크(23)의 하류측에 물체(2)를 추가로 이송하는 선형 이송수단(26)이 구비된다. 추가로, 물체(2)는 선형 이송수단(26)의 상류 섹션(27)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고 또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1)에 의해 제공된 물체(2)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Claims (15)

  1. 물체용 복수의 고정지지수단을 구비하고서 제1이동경로를 따라 물체를 이송하는 제1이송수단과,
    상기 제1이동경로와는 다른 제2이동경로를 따라 이송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지지수단으로부터 물체를 제거하기 위한 제2이송수단을 포함하는 물체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제2이동경로를 따라 전달된 물체를 수용하면서, 제2이동경로를 따라 전달된 물체를 수용하는 한편 제1이동경로를 따라 제1이송수단의 이동을 추종하도록된 수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수단은 왕복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1이송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지지수단으로부터 물체를 수용한 후 제1이송수단의 제1이동경로에 반대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며,
    상기 수집수단은 수용단부에 대한 일정 거리에서 힌지에 의해 장착되어, 상기 수용단부가 상기 힌지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제1 이송수단의 운동을 추종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경로에 반대인 방향에서 수집수단의 이동속도는, 제1이동경로를 따라 제1이송수단의 운동을 추종하는 동안에 수집수단의 이동속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수단은 자신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는 드럼이고, 또 제1이동경로는 드럼의 원주 상에서 원주방향이며, 또 고정지지수단은 드럼의 외부 원주의 홈이고, 이 홈은 드럼의 축방향인 제2운동경로를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를 홈에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더 낮은 압력이 제공된 흡입구멍들이 홈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수단은 깔대기 형상의 수용단부를 가지면서 제1이송수단 상에 접하는 채널이고, 상기 깔대기 형상의 수용단부는 제1이송수단 옆에 배열되고 또 제1이동경로를 따른 제1이송수단의 운동을 따르는 동안에 제2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물체들을 수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물체의 세로축의 방위를 채널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물체의 기하구조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수단 상의 각 고정지지수단은 정렬된 복수의 물체를 고정하고, 또 수집수단은 제2이송수단이 하나의 고정지지수단으로부터 수집수단으로 정렬된 복수의 물체를 전달하는 동안에 제1이송수단의 운동을 추종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수단은 구동 돌기들을 갖는 벨트 또는 체인이고, 구동돌기들은 제1이송수단의 고정지지수단의 물체와 맞물리고 또 물체를 수집수단 내로 이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물체를 이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이송수단 상의 복수의 고정지지수단에서 제1이동경로를 따라 물체를 이송하는 단계와,
    제1이동경로와는 다른 제1이동경로를 따라 하나의 고정지지수단으로부터 모든 물체를 제거하는 단계,
    제2이동경로를 따라 물체를 수용하는 동안에 제1이동경로를 따라 제1이송수단의 운동을 추종하는 수집수단에 의해 물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제1이동경로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수집수단을 이동시킴으로써 수집수단이 왕복운동을 수행하도록 수집수단을 복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수단은 수용단부에 대한 일정 거리에서 힌지에 의해 장착되어, 상기 수용단부가 상기 힌지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제1 이송수단의 운동을 추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방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137032965A 2011-07-25 2012-06-12 물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와 그 방법 KR101998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006086 2011-07-25
EP11006086.0 2011-07-25
PCT/EP2012/002485 WO2013013738A1 (en) 2011-07-25 2012-06-12 Convey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ying obje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541A KR20140041541A (ko) 2014-04-04
KR101998432B1 true KR101998432B1 (ko) 2019-07-09

Family

ID=4509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965A KR101998432B1 (ko) 2011-07-25 2012-06-12 물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2736358B1 (ko)
JP (1) JP6058659B2 (ko)
KR (1) KR101998432B1 (ko)
CN (1) CN103635108B (ko)
BR (1) BR112014001367B1 (ko)
ES (1) ES2553528T3 (ko)
HU (1) HUE026545T2 (ko)
PL (1) PL2736358T3 (ko)
RU (1) RU2583895C2 (ko)
WO (1) WO20130137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6911A1 (en) 2015-08-28 2017-03-09 Philip Morris Products S.A. Improved apparatus for combining filter components
EP3375303A1 (en) * 2017-03-16 2018-09-19 Philip Morris Products S.A. Tool and method for handling hollow filter components
DE102019107387A1 (de) * 2019-03-22 2020-09-24 Hauni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Filterstrangs der Tabak verarbeitenden Industrie
CN110211486B (zh) * 2019-04-18 2021-01-19 重庆城市管理职业学院 一种用于户外的电子信息展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806A (ja) * 2004-11-08 2006-05-25 Japan Tobacco Inc フィルタロッドの製造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31291A (ko) * 1969-02-13 1971-05-12
GB1576212A (en) * 1976-06-19 1980-10-01 Molins Ltd Apparatus for feeding wrapper material
GB1578738A (en) * 1976-07-22 1980-11-05 Molins Ltd Apparatus for assembling rod-like articles
JP3058798B2 (ja) * 1994-08-31 2000-07-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ロータリキャリアのワーク供給・取出し装置
RU2328953C1 (ru) * 2004-03-16 2008-07-20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Машин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фильтрующего стержня
KR100664827B1 (ko) * 2005-09-06 2007-01-04 브리티쉬 아메리칸 토바코 코리아 (주) 담배필터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8047208B2 (en) * 2006-05-31 2011-11-01 Philip Morris Usa Inc. Double action filter assembly wheel with flipping wheel
PL383995A1 (pl) * 2007-12-10 2009-06-22 Philip Morris Products S.A. Sposób zestawiania grup segmentów w procesie wytwarzania filtrów wielosegmentowych oraz urządzenie do przygotowywania i zestawiania w grupy segmentów w procesie wytwarzania filtrów wielosegmentowych
US8808153B2 (en) * 2009-07-14 2014-08-19 Aiger Group Ag Apparatus for assembly of multi-segment rod-like articles
PL388549A1 (pl) * 2009-07-15 2011-01-17 International Tobacco Machinery Poland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Sposób bezpiecznego przekazywania segmentów filtrowych w procesie wytwarzania filtrów wielosegmentowych
CN101703313B (zh) * 2009-11-13 2011-10-19 国营红阳机械厂 一种滤棒分切输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806A (ja) * 2004-11-08 2006-05-25 Japan Tobacco Inc フィルタロッドの製造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36358B1 (en) 2015-10-21
PL2736358T3 (pl) 2016-04-29
RU2014106827A (ru) 2015-08-27
CN103635108B (zh) 2015-11-25
BR112014001367A2 (pt) 2017-02-21
ES2553528T3 (es) 2015-12-09
BR112014001367B1 (pt) 2021-02-17
HUE026545T2 (hu) 2016-06-28
JP6058659B2 (ja) 2017-01-11
KR20140041541A (ko) 2014-04-04
WO2013013738A1 (en) 2013-01-31
CN103635108A (zh) 2014-03-12
EP2736358A1 (en) 2014-06-04
RU2583895C2 (ru) 2016-05-10
JP2014527006A (ja) 2014-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033B1 (ko) 복합 담배필터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104824842B (zh) 将过滤嘴段插入到过滤嘴束条中
KR20190039513A (ko) 물체를 이송 및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US9221614B2 (en) Device for transferring filter segments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multi-segment filter rods
KR101998432B1 (ko) 물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와 그 방법
CN103491812A (zh) 烟草加工业的棒形制品的输送
US20170107062A1 (en) Feed unit
KR102101632B1 (ko) 이송 유닛
US10071866B2 (en) Feed unit
CN107105762B (zh) 用于制造烟草加工业的大体柱形的制品的方法
EP2658801B1 (en) Feeding system
CN105768206B (zh) 用于端面地检查在烟草加工工业的机器中的横轴向地传送的杆状的物件的装置和方法
US3245514A (en) Device and method for turning around cigarettes and like articles
WO2012089302A1 (en) Selection apparatus for objects
RU2734602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стержнеобразных изделий табач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KR101978274B1 (ko) 로드 물품 분배 장치
JP7158418B2 (ja) たばこ産業の棒状物品を移送するための移送装置および移送方法、ならびにそのような物品のストリーム構成の変換装置
JP4230024B2 (ja) 被包装物供給装置
CN105581372A (zh) 用于使纵轴向运动的棒形制品转运到横轴向输送装置中的方法和装置
PL242031B1 (pl) Sposób i urządzenie do transportowania artykułów prętopodobnych przemysłu tytoniowe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