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415B1 - 엔진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415B1
KR101997415B1 KR1020187011361A KR20187011361A KR101997415B1 KR 101997415 B1 KR101997415 B1 KR 101997415B1 KR 1020187011361 A KR1020187011361 A KR 1020187011361A KR 20187011361 A KR20187011361 A KR 20187011361A KR 101997415 B1 KR101997415 B1 KR 101997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rankshaft
cylinder block
flywhee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688A (ko
Inventor
코키 카시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7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0Flywheels
    • F16F15/315Flywheels characterised by their supporting arrangement, e.g. mountings, cages, securing inertia member to shaft
    • F16F15/3153Securing inertia members to the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6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mechan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43Arrangements of mechanical dri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65Shape of casings for other machine parts and purposes, e.g. utilisation purposes, safety
    • F02F7/0073Adaptations for fitting the engine, e.g. front-plates or bell-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9/00Arrangements of fuel-injection apparatus with respect to engines; Pump drives adapted to such arrangements
    • F02M39/005Arrangements of fuel feed-pumps with respect to fuel injec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06Crank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06Crankshafts
    • F16C3/08Crankshafts made in one 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22Internal 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실린더 블록(6)의 일측부(303)에 크랭크축(5)과 일체 회전하는 플라이휠을 수용하는 플라이휠 하우징(7)이 배치되는 엔진 장치로서, 크랭크축심(300) 방향을 따른 실린더 블록(6)의 양측부(301)에 있어서의 일측부(303)측의 단부에 크랭크축(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하우징 브래킷부(304)가 실린더 블록(6)에 일체 성형됨과 아울러, 일측부(303)와 하우징 브래킷부(304)와 플라이휠 하우징(7)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기어 트레인을 수용하는 기어 케이스(330)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엔진 장치
본원발명은 엔진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실린더 블록의 일측부에 크랭크축과 일체 회전하는 플라이휠을 수용하는 플라이휠 하우징이 배치되는 엔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린더 블록의 일측부에 크랭크축과 일체 회전하는 플라이휠이 배치되는 엔진 장치는 잘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실린더 블록의 일측부에는 플라이휠을 수용하는 플라이휠 하우징이 배치된다. 또한, 실린더 블록의 상기 일측부에 대향하는 타측부에는 크랭크 기어나 아이들 기어, 캠축 기어, 연료 공급 펌프 기어 등으로 구성되는 타이밍 기어 트레인을 수용하는 기어 케이스가 설치된다.
일본 특허공개 2012-18902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261322호 공보
실린더 블록을 사이에 두고 플라이휠과 기어 트레인이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크랭크축에 있어서 관성 모멘트가 큰 플라이휠의 고정 개소와, 밸브 이동 기구나 보기(補機) 등을 구동시키는 기어 트레인을 회전시키는 크랭크 기어의 고정 개소가 멀어져 있기 때문에 크랭크축에 뒤틀림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크랭크축의 뒤틀림은 크랭크축의 뒤틀림 진동을 증대시키는 원인의 하나가 되어 엔진 소음 레벨을 증대시킨다.
본원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크랭크축의 뒤틀림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에 의한 엔진 장치는 실린더 블록의 일측부에 크랭크축과 일체 회전하는 플라이휠을 수용하는 플라이휠 하우징이 배치되는 엔진 장치로서, 크랭크축심 방향을 따른 상기 실린더 블록의 양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일측부측의 단부에 상기 크랭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하우징 브래킷부가 상기 실린더 블록에 일체 성형됨과 아울러, 상기 일측부와 상기 하우징 브래킷부와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기어 트레인을 수용하는 기어 케이스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으로 상기 플라이휠의 외주측을 덮는 원통상의 주위 벽면부와 상기 주위 벽면부의 외주측을 덮는 외벽부 사이에 상기 기어 케이스에 연속하는 리세스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주위 벽면부와 상기 외벽부를 연결하는 리브부가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주위 벽면부는 상기 실린더 블록측만큼 반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추대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리브부 중 상기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 헤드 접합면측의 면은 상기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실린더 헤드 접합면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는 예를 들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기어 트레인은 상기 크랭크축에 고정된 크랭크 기어와, 상기 크랭크 기어에 맞물리는 아이들 기어와, 캠축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아이들 기어에 맞물리는 캠 기어와, 연료 공급 펌프의 펌프축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아이들 기어에 맞물리는 펌프 기어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에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크랭크 회전각 검출부재의 부착부와, 상기 캠 기어 또는 상기 펌프 기어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회전축 회전각 검출부재의 부착부가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에 관통 개구된 윤활유 급유구는 상기 연료 공급 펌프 기어와 상기 아이들 기어의 맞물림 위치를 시인할 수 있게 구성되는 예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윤활유 급유구는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의 내부측의 개구 면적이 외부측의 개구 면적보다 커져 있는 예를 들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원발명의 엔진 장치는 크랭크축심 방향을 따른 실린더 블록의 양측부에 있어서의 플라이휠 배치측의 단부에 크랭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하우징 브래킷부가 실린더 블록에 일체 성형됨과 아울러, 일측부와 하우징 브래킷부와 플라이휠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기어 트레인을 수용하는 기어 케이스를 구성하도록 했으므로 플라이휠과 기어 트레인을 크랭크축의 동일 단부측에 배치할 수 있고, 실린더 블록을 사이에 두고 플라이휠과 기어 트레인이 배치되는 구성에 기인하는 크랭크축의 뒤틀림을 해소하여 크랭크축의 뒤틀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기어 트레인의 진동이나 소음의 원인이 되는 크랭크축의 뒤틀림 진동은 관성 모멘트가 큰 플라이휠에 가까운 크랭크축 부위의 쪽이 먼 부위보다 작으므로 플라이휠과 기어 트레인을 크랭크축의 동일 단부측에 배치함으로써 기어 트레인의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과 플라이휠 하우징으로 기어 케이스를 형성함으로써 기어 케이스를 별도 부품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나 조립공수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플라이휠 하우징으로 플라이휠의 외주측을 덮는 원통상의 주위 벽면부와 주위 벽면부의 외주측을 덮는 외벽부 사이에 기어 케이스에 연속하는 리세스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주위 벽면부와 외벽부를 연결하는 리브부가 형성되도록 하면 리세스 공간에 의해 플라이휠 하우징의 중량을 저감하면서 리브부에 의해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플라이휠 하우징의 강도 확보를 위하여 두께를 크게 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중량 증가, 주조 시의 제조 불량, 응력 집중에 의한 균열 발생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주위 벽면부는 실린더 블록측만큼 반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추대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리브부 중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 헤드 접합면측의 면은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실린더 헤드 접합면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도록 하면, 플라이휠 하우징 내에서의 윤활유의 저류를 방지할 수 있고, 엔진 내의 정확한 윤활유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기어 트레인은 크랭크축에 고정된 크랭크 기어와, 크랭크 기어에 맞물리는 아이들 기어와, 캠축에 고정되며 또한 아이들 기어에 맞물리는 캠 기어와, 연료 공급 펌프의 펌프축에 고정되며 또한 아이들 기어에 맞물리는 펌프 기어를 가짐과 아울러, 플라이휠 하우징에 크랭크축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크랭크 회전각 검출부재의 부착부와, 캠 기어 또는 펌프 기어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회전축 회전각 검출부재의 부착부가 형성되도록 하면, 2개의 회전각 검출부재를 1부품인 플라이휠 하우징에 부착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회전각 검출부재가 따로따로 부품에 부착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각 부품의 제조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부착 오차를 배제할 수 있다.
또한, 플라이휠 하우징에 관통 개구된 윤활유 급유구는 연료 공급 펌프 기어와 아이들 기어의 맞물림 위치를 시인할 수 있게 구성되도록 하면 윤활유 급유구를 통해 크랭크축의 위상에 맞추기 위해서 연료 공급 펌프 기어와 아이들 기어에 각각 타각(打刻)된 타이밍 마크를 시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대중량 부품인 플라이휠 및 플라이휠 하우징을 분리하는 일 없이 상기 타이밍 마크를 맞춰 연료 공급 펌프를 교환할 수 있고, 엔진 장치의 착탈에 의한 교환 부품점수 및 공수(工數)의 삭감을 실현할 수 있어 서비스성이 대폭 향상한다. 또한, 회전 부품인 플라이휠을 제거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유지보수 후의 제품 안전성이 향상한다. 또한, 마크 맞춤 전용의 확인창을 플라이휠 하우징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어 케이스를 포함하는 플라이휠 하우징의 개구부 면적을 저감할 수 있고, 엔진 외부로의 기어 소음 통과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윤활유 급유구는 플라이휠 하우징의 내부측의 개구 면적이 외부측의 개구 면적보다 크레 되어 있도록 하면, 윤활유 급유구를 통해 기어 케이스 내부를 시인할 때의 시야를 넓게 할 수 있고, 연료 공급 펌프 교환 시에 있어서의 마크 맞춤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또한, 내부측의 개구 면적이 외부측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음으로써 윤활유 급유구를 통해 윤활유를 급유할 때의 윤활유의 끓어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엔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엔진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엔진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엔진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엔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엔진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엔진을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경사도이다.
도 8은 엔진을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경사도이다.
도 9는 실린더 블록 및 플라이휠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린더 블록 및 플라이휠 하우징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실린더 블록 및 플라이휠 하우징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기어 트레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A-A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9의 B-B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연료 공급 펌프의 부착 위치를 나타내는 경사도이다.
도 16은 플라이휠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플라이휠 하우징의 내부를 나타내는 경사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C-C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D-D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6의 E-E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플라이휠 하우징 및 회전각 센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2는 윤활유 급유구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경사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8을 참조하면서 디젤 엔진(엔진 장치)(1)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크랭크축(5)과 평행한 양측부(크랭크축(5)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측부)를 좌우, 플라이휠 하우징(7) 설치측을 전방측, 냉각 팬(9) 설치측을 후방측이라고 칭하고, 이들을 편의적으로 디젤 엔진(1)에 있어서의 4방 및 상하의 위치 관계의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도 1~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1)에 있어서의 크랭크축(5)과 평행한 일측부에 흡기 매니폴드(3)를, 타측부에 배기 매니폴드(4)를 배치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 헤드(2)의 우측면에 흡기 매니폴드(3)가 실린더 헤드(2)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실린더 헤드(2)의 좌측면에 배기 매니폴드(4)가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2)는 크랭크축(5)과 피스톤(도시 생략)이 내장된 실린더 블록(6) 상에 탑재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6)은 크랭크축(5)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실린더 블록(6)의 전후 양측면으로부터 크랭크축(5)의 전후 선단측을 돌출시키고 있다. 디젤 엔진(1)에 있어서의 크랭크축(5)과 교차하는 일측부(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 블록(6)의 전방측면측)에 플라이휠 하우징(7)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7) 내에 플라이휠(8)이 배치되어 있다. 플라이휠(8)은 크랭크축(5)의 전단측에 축지지되어 있고, 크랭크축(5)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 기계(예를 들면, 유압 셔블이나 포크리프트 등)의 작동부에 플라이휠(8)을 개재하여 디젤 엔진(1)의 동력을 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젤 엔진(1)에 있어서의 크랭크축(5)과 교차하는 타측부(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 블록(6)의 후방측면측)에 냉각 팬(9)이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축(5)의 후단측으로부터 V벨트(10)를 개재하여 냉각 팬(9)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6)의 하면에는 오일 팬(11)을 배치한다. 오일 팬(11) 내에는 윤활유가 저류되어 있다. 오일 팬(11) 내의 윤활유는 실린더 블록(6)의 플라이휠 하우징(7)과의 연결 부분이며 실린더 블록(6)의 우측면측에 배치된 오일 펌프(12)(도 11 참조)로 흡인되고, 실린더 블록(6)의 우측면에 배치된 오일 쿨러(13) 및 오일 필터(14)를 개재하여 디젤 엔진(1)의 각 윤활부에 공급된다. 각 윤활부에 공급된 윤활유는 그 후 오일 팬(11)에 리턴된다. 오일 펌프(12)는 크랭크축(5)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6)의 플라이휠 하우징(7)과의 연결 부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펌프(15)가 부착되고, 연료 공급 펌프(15)가 EGR 장치(24) 하방에 배치된다. 커먼레일(16)이 실린더 헤드(2)의 흡기 매니폴드(3) 하방에서 실린더 블록(6) 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연료 공급 펌프(15)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헤드 커버(18)로 덮여 있는 실린더 헤드(2) 상면부에 전자 개폐 제어형의 연료 분사 밸브를 갖는 4기통분의 각 인젝터(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각 인젝터가 연료 공급 펌프(15) 및 원통상의 커먼레일(16)을 개재하여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연료 탱크의 연료가 연료 공급 펌프(15)로부터 커먼레일(16)에 압송되고, 고압의 연료가 커먼레일(16)에 축적된다. 각 인젝터의 연료 분사 밸브를 각각 개폐 제어함으로써 커먼레일(16) 내의 고압의 연료가 각 인젝터로부터 디젤 엔진(1)의 각 기통으로 분사된다.
실린더 헤드(2) 상면부에 설치하는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도시 생략) 등을 덮는 헤드 커버(18) 상면에 디젤 엔진(1)의 연소실 등으로부터 실린더 헤드(2) 상면측으로 누출된 블로바이 가스를 도입하는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19)가 설치되어 있다.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19)의 블로바이 가스 출구가 환원 호스(68)를 개재하여 2단 과급기(30)의 흡기부에 연통된다.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19) 내에서 윤활유 성분이 제거된 블로바이 가스는 2단 과급기(30)를 개재하여 흡기 매니폴드(3)에 환원된다.
플라이휠 하우징(7)에 엔진 시동용의 스타터(20)가 부착되고, 스타터(20)가 배기 매니폴드(4) 하방에 배치된다. 스타터(20)는 실린더 블록(6)과 플라이휠 하우징(7)의 연결부 하방이 되는 위치에서 플라이휠 하우징(7)에 부착된다.
실린더 블록(6)의 후면 좌측 근처 부위에는 냉각수 순환용의 냉각수 펌프(21)가 냉각 팬(9)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크랭크축(5)의 회전에 의해 냉각 팬 구동용 V벨트(10)를 개재하여 냉각 팬(9)과 함께 냉각수 펌프(21)가 구동된다.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라디에이터(도시 생략) 내의 냉각수가 냉각수 펌프(21)의 구동에 의해 냉각수 펌프(21)에 공급된다. 그리고 실린더 헤드(2) 및 실린더 블록(6)에 냉각수가 공급되어 디젤 엔진(1)을 냉각한다.
배기 매니폴드(4) 하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출구와 연통되는 냉각수 입구관(22)이 실린더 블록(6)의 좌측면이며 냉각수 펌프(21)와 동일높이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편,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입구와 연통되는 냉각수 출구관(23)이 실린더 헤드(2)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2)는 흡기 매니폴드(3) 후방으로 돌출시킨 냉각수 배수부(35)를 갖고 있으며, 상기 냉각수 배수부(35) 상면에 냉각수 출구관(23)이 설치된다.
흡기 매니폴드(3)의 입구측은 후술하는 EGR 장치(24)(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의 컬렉터(25)를 개재하여 에어 클리너(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에 흡입된 신기(新氣)(외부 공기)는 상기 에어 클리너로 제진·정화된 후, 컬렉터(25)를 개재하여 흡기 매니폴드(3)에 이송되고, 그리고 디젤 엔진(1)의 각 기통에 공급된다. 실시형태에서는 EGR 장치(24)의 컬렉터(25)가 실린더 헤드(2)와 일체 성형되어서 실린더 헤드(2)의 우측면을 구성하고 있는 흡기 매니폴드(3)의 우측방에 연결되어 있다. 즉, 실린더 헤드(2)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흡기 매니폴드의 입구 개구부에 EGR 장치(24)의 컬렉터(25)의 출구 개구부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EGR 장치(24)의 컬렉터(25)는 인터쿨러(도시 생략) 및 2단 과급기(30)를 개재하여 에어 클리너에 연결되어 있다.
EGR 장치(24)는 디젤 엔진(1)의 재순환 배기가스(배기 매니폴드(4)로부터의 EGR 가스)와 신기(에어 클리너로부터의 외부 공기)를 혼합시켜서 흡기 매니폴드(3)에 공급하는 중계관로로서의 컬렉터(25)와, 에어 클리너에 컬렉터(25)를 연통시키는 흡기 스로틀부재(26)와, 배기 매니폴드(4)에 EGR 쿨러(27)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환류관로의 일부가 되는 재순환 배기가스관(28)과, 재순환 배기가스관(28)에 컬렉터(25)를 연통시키는 EGR 밸브부재(29)를 갖고 있다.
EGR 장치(24)는 실린더 헤드(2)에 있어서의 흡기 매니폴드(3)의 우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EGR 장치(24)는 실린더 헤드(2)의 우측면에 고정되고, 실린더 헤드(2) 내의 흡기 매니폴드(3)와 연통되어 있다. EGR 장치(24)는 컬렉터(25)가 실린더 헤드(2) 우측면의 흡기 매니폴드(3)에 연결됨과 아울러, 재순환 배기가스관(28)의 EGR 가스 입구가 실린더 헤드(2) 우측면의 흡기 매니폴드(3) 전방 부분과 연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컬렉터(25)의 전후 각각에 EGR 밸브부재(29) 및 흡기 스로틀부재(26)가 연결되고, EGR 밸브부재(29)의 후단에 재순환 배기가스관(28)의 EGR 가스 출구가 연결된다.
EGR 쿨러(27)는 실린더 헤드(2)의 전방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 헤드(2) 내를 흐르는 냉각수와 EGR 가스가 EGR 쿨러(27)에 유출입하여 EGR 쿨러(27)에 있어서 EGR 가스가 냉각된다. 실린더 헤드(2)의 전방측면은 그 좌우 위치에 EGR 쿨러(27)를 연결하는 EGR 쿨러 연결 대좌(33, 34)를 돌출하고, 연결 대좌(33, 34)에 EGR 쿨러(27)가 연결되어 있다. 즉, EGR 쿨러(27)는 EGR 쿨러(27) 후단면과 실린더 헤드(2)의 전방측면이 이간되도록 하여 플라이휠 하우징(7) 상방 위치이며 실린더 헤드(2)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매니폴드(4)의 측방(실시형태에서는 좌측방)에 2단 과급기(30)가 배치되어 있다. 2단 과급기(30)는 고압 과급기(51)와 저압 과급기(52)를 구비한다. 고압 과급기(51)가 터빈 휠(도시 생략)을 내장한 고압 터빈(53)과 블로어휠(도시 생략)을 내장한 고압 컴프레서(54)를 가짐과 아울러, 저압 과급기(52)가 터빈 휠(도시 생략)을 내장한 저압 터빈(55)과 블로어휠(도시 생략)을 내장한 저압 컴프레서(56)를 갖는다.
배기 매니폴드(4)에 고압 터빈(53)의 배기가스 입구(57)를 연결시키고, 고압 터빈(53)의 배기가스 출구(58)에 고압 배기가스관(59)을 개재하여 저압 터빈(55)의 배기가스 입구(60)를 연결시키고, 저압 터빈(55)의 배기가스 출구(61)에 배기가스 배출관(도시 생략)의 배기가스 도입측 단부를 연결시키고 있다. 한편, 저압 컴프레서(56)의 신기 도입구(신기 입구)(63)에 급기관(62)을 개재하여 에어 클리너(도시 생략)의 신기 공급측(신기 출구측)을 접속하고, 저압 컴프레서(56)의 신기 공급구(신기 출구)(64)에 저압 신기 통로관(65)을 개재하여 고압 컴프레서(54)의 신기 도입구(66)를 연결시키고, 고압 컴프레서(54)의 신기 공급구(67)에 고압 신기 통로관(도시 생략)을 개재하여 인터쿨러(도시 생략)의 신기 도입측을 접속시킨다.
고압 과급기(51)가 배기 매니폴드(4)의 배기가스 출구(58)에 연결하여 배기 매니폴드(4)의 좌측방에 고정되는 한편, 저압 과급기(52)가 고압 배기가스관(59) 및 저압 신기 통로관(65)을 개재하여 고압 과급기(51)와 연결하여 배기 매니폴드(4)의 상방에 고정된다. 즉, 소경이 되는 고압 과급기(51)와 배기 매니폴드(4)가 대경이 되는 저압 과급기(52) 하방에서 좌우로 병설됨으로써 2단 과급기(30)가 배기 매니폴드(4)의 좌측면 및 상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배기 매니폴드(4)와 2단 과급기(30)가 배면으로부터 볼 때(정면으로부터 볼 때) 직사각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해서 실린더 헤드(2) 좌측면에 컴팩트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어서, 도 9~도 13을 참조하면서 실린더 블록(6)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린더 블록(6)에는 크랭크축(5)의 크랭크축심(300) 방향을 따른 좌측면(301) 및 우측면(302)에 있어서의 전방측면(303)측의 단부에 플라이휠 하우징(7)이 복수의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좌측 하우징 브래킷부(304) 및 우측 하우징 브래킷부(305)(돌출부)가 성형되어 있다. 좌측면(301)의 측벽과 좌측 하우징 브래킷부(304) 사이에 상방측(톱 데크부측)이나 하방측(오일 팬 레일부측)을 향해서 순서대로 좌측 제 1 보강 리브(306), 좌측 제 2 보강 리브(307), 좌측 제 3 보강 리브(308), 좌측 제 4 보강 리브(309)가 성형되어 있다. 또한, 우측면(302)의 측벽과 우측 하우징 브래킷부(305) 사이에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해서 순서대로 우측 제 1 보강 리브(310), 우측 제 2 보강 리브(311)가 성형되어 있다. 하우징 브래킷부(304, 305) 및 보강 리브(306~311)는 실린더 블록(6)에 일체 성형된 것이다.
보강 리브(306~311)는 각각 크랭크축심(300)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됨과 아울러,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하우징 브래킷부(304, 305)가 넓은 대략 삼각형상을 갖는다. 또한, 좌측의 보강 리브(307, 308, 309) 및 우측 제 2 보강 리브(311)는 대략 삼각형상 부분으로부터 실린더 블록(6)의 후방측면(312)측에 연장 설치된 직선상 부분(307a, 308a, 309a, 311a)을 갖는다(도 7 및 도 8도 참조). 보강 리브(306, 307, 308)는 실린더 블록(6)의 실린더부에 배치되어 있다. 보강 리브(309, 310, 311)는 실린더 블록(6)의 스커트부에 배치되어 있다.
좌측면(301) 및 우측면(302)에는 엔진(1)과 차체를 연결하는 엔진 마운트를 부착하기 위한 마운트 부착 시트(317)가 각각 전후 방향으로 2개씩 오일 팬 레일부 근처의 부위에 돌출되어 있다. 좌측 제 4 보강 리브(309)는 좌측면(301)으로 돌출된 2개의 마운트 부착 시트(317)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 제 2 보강 리브(311)는 우측면(302)으로 돌출된 2개의 마운트 부착 시트(317)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6)의 후방측면(312)에 크랭크 케이스부의 내부가 엔진(1)의 외부에 노출하지 않도록 크랭크축(5)의 주위를 덮는 크랭크 케이스부 커버부재(326)가 볼트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크랭크 케이스부 커버부재(326)의 하면에는 오일 팬(11)이 볼트 체결된다.
실린더 블록(6)에 일체 성형된 하우징 브래킷부(304, 305) 및 보강 리브(306~311)는 실린더 블록(6)의 강성, 특히 실린더 블록(6)의 전방측면(303) 근방의 강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고, 나아가서는 엔진(1)의 진동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브래킷부(304, 305) 및 보강 리브(306~311)는 실린더 블록(6)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있으므로 실린더 블록(6)의 냉각 효율, 나아가서는 엔진(1)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6)의 좌측면(301)에 있어서의 후방측면(312) 근처의 부위에 냉각수 펌프(21)(도 2 등 참조)가 부착되는 냉각수 펌프 부착부(319)와, 냉각수 입구관(22)(도 3 등 참조)이 부착되는 입구관 부착 시트(320)가 돌출되어 있다. 입구관 부착 시트(320)의 후방측면(312)측의 부위는 냉각수 펌프 부착부(319)에 연결되어 있다. 냉각수 펌프 부착부(319) 및 입구관 부착 시트(320)는 크랭크축(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실린더 블록(6)의 강성, 강도 및 냉각 효율의 향상에 기여한다.
실린더 블록(6)의 내부에 캠축(313)을 수용하는 캠축 케이스부(314)(도 1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실린더 블록(6)의 전방측면(303)에는 크랭크축(5)에 고정된 크랭크 기어(331)와, 캠축(313)에 고정된 캠 기어(332)가 배치되고, 크랭크 기어(331)에 연동해서 캠 기어(332) 및 캠축(313)을 회전시켜 캠축(313)에 관련시킨 밸브 이동 기구(도시 생략)를 구동시킴으로써 엔진(1)의 흡기 밸브나 배기 밸브(도시 생략)가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엔진(1)은 소위 오버헤드 밸브의 밸브 이동계를 갖는다.
캠축 케이스부(314)는 실린더 블록(6)의 실린더부에 있어서의 좌측면(301) 근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캠축(313) 및 캠축 케이스부(314)는 크랭크축심(300)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6)의 좌측면(301)에 성형된 좌측 제 2 보강 리브(307) 및 좌측 제 3 보강 리브(308)의 대략 삼각형상 부분 및 직선상 부분(307a, 308a)은 측방으로부터 볼 때 캠축 케이스부(314)의 배치 위치에 근접 배치되어, 보다 구체적으로는 캠축 케이스부(314)의 배치 위치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는 좌측 제 2 보강 리브(307) 및 좌측 제 3 보강 리브(308)에 의해 캠축 케이스부(314) 주변의 강성이 향상되어 있으므로 캠축 케이스부(314)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캠축 케이스부(314)의 변형에 기인하는 캠축(313)의 회전 저항이나 회전 마찰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고, 캠축(313)을 적절하게 회전시켜서 흡기 밸브나 배기 밸브(도시 생략)의 적절한 개폐 작동이 행해진다.
또한, 실린더 블록(6) 내에 형성되는 윤활유 통로 중 일부의 윤활유 통로, 여기에서는 윤활유 흡입 통로(315)와 윤활유 공급 통로(316)가 실린더 블록(6)의 스커트부에 있어서의 우측면(302) 근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윤활유 공급 통로(316)는 실린더 블록(6)의 스커트부에 있어서 실린더부 근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윤활유 흡입 통로(315)는 윤활유 공급 통로(316)에 대하여 오일 팬 레일부 근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윤활유 흡입 통로(315)의 일단은 실린더 블록(6)의 오일 팬 레일부 하면(오일 팬(11)에 대향하는 면)에 개구되고, 오일 팬(11) 안에 배치되는 윤활유 흡입관(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윤활유 흡입 통로(315)의 타단은 실린더 블록(6)의 전방측면(303)에 개구되고, 전방측면(303)에 고정 설치되는 오일 펌프(12)(도 11 참조)의 흡입구에 접속된다. 윤활유 공급 통로(316)의 일단은 실린더 블록(6)의 전방측면(303)에 윤활유 흡입 통로(315)의 개구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개구되고, 오일 펌프(12)의 토출구에 접속된다. 윤활유 공급 통로(316)의 타단은 실린더 블록(6)의 우측면(302)에 돌출된 오일 쿨러 부착 시트(318)에 개구되고, 오일 쿨러 부착 시트(318)에 배치되는 오일 쿨러(13)(도 4 등 참조)의 흡입구에 접속된다. 또한, 실린더 블록(6) 내에는 윤활유 흡입 통로(315)와 윤활유 공급 통로(316) 이외에도 윤활유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6)의 우측면(302)에 있어서, 우측 제 1 보강 리브(310)는 측방으로부터 볼 때 윤활유 공급 통로(316)의 배치 위치에 근접 배치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방으로부터 볼 때 윤활유 공급 통로(316)의 배치 위치와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 제 2 보강 리브(311)는 측방으로부터 볼 때 윤활유 흡입 통로(315)의 배치 위치에 근접 배치되어 있다. 보강 리브(310, 311) 및 통로(315, 316)는 각각 크랭크축심(300)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는 우측 하우징 브래킷부(305), 우측 제 1 보강 리브(310) 및 우측 제 2 보강 리브(111)에 의해 윤활유 흡입 통로(315), 오일 펌프(12) 및 윤활유 공급 통로(316) 근방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측방으로부터 볼 때 윤활유 공급 통로(316)에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우측 제 1 보강 리브(310)는 윤활유 공급 통로(316) 근방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산한다. 이것에 의해, 오일 쿨러(13)에 유입하는 윤활유 온도를 저감할 수 있어 오일 쿨러(13)에서 필요하게 되는 열 교환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도 15를 참조하면서 엔진(1)의 기어 트레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린더 블록(6)의 전방측면(303)과 하우징 브래킷부(304, 305)와 플라이휠 하우징(7)으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에 기어 케이스(3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5) 및 캠축(313)의 각 전방 선단부는 각각 실린더 블록(6)의 전방측면(303)으로부터 돌출해서 배치되어 있다. 크랭크축(5)의 전방 선단부에 크랭크 기어(331)가 고착되어 있다. 캠축(313)의 전방 선단부에 캠 기어(332)가 고착되어 있다. 캠 기어(332)에 있어서의 플라이휠 하우징(7)측의 측면에는 도넛반상의 캠축용 펄서(339)가 캠 기어(332)와 일체 회전하도록 볼트 체결되어 있다.
도 12,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6)의 우측 하우징 브래킷부(305)에 설치된 연료 공급 펌프(15)는 크랭크축(5)의 회전축심과 평행상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으로서의 연료 공급 펌프축(333)을 구비하고 있다. 연료 공급 펌프축(333)의 전단측은 우측 하우징 브래킷부(305)의 전방측면(305a)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연료 공급 펌프축(333) 전방 선단부에 연료 공급 펌프 기어(334)가 고착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6)의 우측 하우징 브래킷부(305)는 우측 제 1 보강 리브(310)보다 상방측의 부위에 연료 공급 펌프(15)를 배치하기 위한 연료 공급 펌프 부착 시트(323)를 갖는다. 연료 공급 펌프 부착 시트(323)에는 연료 공급 펌프 기어(334)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연료 공급 펌프축 삽입 구멍(3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공급 펌프 기어(334)의 하방측에서 우측 하우징 브래킷부(305)의 전방측면(305a)에 배치되는 오일 펌프(12)는 크랭크축(5)의 회전축심과 평행상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으로서의 오일 펌프축(335)을 구비하고 있다. 오일 펌프축(335) 전방 선단부에 오일 펌프 기어(336)가 고착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6)의 전방측면(303) 중 크랭크축(5), 캠축(313), 연료 공급 펌프축(333) 및 오일 펌프축(335)으로 둘러싸인 부위에는 크랭크축(5)의 회전축심과 평행상으로 연장되는 아이들 축(337)이 설치되어 있다. 아이들 축(337)은 실린더 블록(6)의 전방측면(303)에 고정되어 있다. 아이들 축(337)에는 아이들 기어(338)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아이들 기어(338)는 크랭크 기어(331), 캠 기어(332), 연료 공급 펌프 기어(334) 및 오일 펌프 기어(336)의 4개에 맞물려 있다. 크랭크축(5)의 회전 동력은 크랭크 기어(331)로부터 아이들 기어(338)를 개재하여 캠 기어(332), 연료 공급 펌프 기어(334) 및 오일 펌프 기어(336)의 3개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캠축(313), 연료 공급 펌프축(333) 및 오일 펌프축(335)은 크랭크축(5)에 연동해서 회전하게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크랭크축(5)의 2회전에 대하여 캠축(313)이 1회전하고, 크랭크축(5)의 1회전에 대하여 연료 공급 펌프축(333) 및 오일 펌프축(335)이 1회전하도록 각 기어(331, 332, 334, 336, 338) 간의 기어비가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크랭크축(5)과 함께 회전하는 크랭크 기어(331)에 연동해서 캠 기어(332) 및 캠축(313)을 회전시키고, 캠축(313)에 관련하여 설치된 밸브 이동 기구(도시 생략)를 구동시킴으로써 실린더 헤드(2) 내에 설치된 흡기 밸브나 배기 밸브(도시 생략)가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크랭크 기어(331)에 연동해서 연료 공급 펌프 기어(334) 및 연료 공급 펌프축(333)을 회전시켜 연료 공급 펌프(15)를 구동시킴으로써 연료 탱크(118)의 연료를 커먼 레일(120)에 압송하고, 고압의 연료를 커먼 레일(120)에 축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크랭크 기어(331)에 연동해서 오일 펌프 기어(336) 및 오일 펌프축(335)을 회전시켜 오일 펌프(12)를 구동시킴으로써 오일 팬(11) 내의 윤활유를 윤활유 흡입 통로(315), 윤활유 공급 통로(316), 오일 쿨러(13) 및 오일 필터(14) 등을 포함하는 윤활계 회로(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각 슬라이딩 부품 등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5)의 회전에 연동해서 작동하는 보기로서의 연료 공급 펌프(15)는 우측 하우징 브래킷부(305)의 연료 공급 펌프 부착 시트(323)에 볼트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연료 공급 펌프 부착 시트(323)에 우측 제 1 보강 리브(310)가 근접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공급 펌프(15)의 바로 아래에 우측 제 1 보강 리브(310)가 배치되고, 우측 제 1 보강 리브(310)의 바로 아래에 우측 제 2 보강 리브(311)가 배치되어 있다. 보강 리브(310, 311)는 연료 공급 펌프 부착 시트(323)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연료 공급 펌프(15)로의 하방측으로부터의 오수이나 돌이 튀는 것 등의 이물의 접촉을 방지하여 연료 공급 펌프(15)를 보호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도 12, 도 14 및 도 16~도 20을 참조하면서 기어 트레인을 수용하는 기어 케이스(330) 및 플라이휠 하우징(7)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6) 및 좌우의 하우징 브래킷부(304, 305)의 전방측면(303, 304a, 305a)을 포함하는 영역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전방측면(303, 304a, 305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플라이휠 하우징(7)과 접합되는 블록측 블록조부(321)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블록측 블록조부(321)는 실린더 블록(6)의 좌우의 오일 팬 레일부의 사이의 부분에 노치부(321a)가 형성되어 있다. 측방으로부터 볼 때 블록측 블록조부(321)의 끝면과 전방측면(303, 304a, 305a) 사이의 공간은 블록측 기어 케이스부(322)를 형성한다.
도 14 및 도 16~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주철제의 플라이휠 하우징(7)은 플라이휠(8)을 수용하는 플라이휠 수용부(401)를 갖는다. 플라이휠 수용부(401)는 플라이휠(8)의 외주측을 덮는 원통상의 주위 벽면부(402)와 후방측면측(실린더 블록(6)측의 면)을 덮는 후방측 벽면부(403)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유저통형상을 갖고, 주위 벽면부(402) 및 후방측 벽면부(403)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플라이휠(8)을 수용한다. 주위 벽면부(402)는 후방측 벽면부(403)측만큼 반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추대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측 벽면부(403)의 중앙부에 크랭크축(5)이 삽입되는 크랭크축 삽입 구멍(404)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측 벽면부(403)에 실린더 블록(6)의 블록측 블록조부(321)의 형상에 따른 환상의 플랜지측 볼록조부(405)가 크랭크축 삽입 구멍(404) 배치 위치를 둘러싸도록 하여 연결되어 있다. 플랜지측 볼록조부(405)의 중앙부는 크랭크축 삽입 구멍(404)에 대하여 상방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측 볼록조부(405)의 하방 부위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설치됨과 아울러, 크랭크축 삽입 구멍(404)에 근접 설치해서 후방측 벽면부(403)에 연결된다.
플랜지측 볼록조부(405)의 상방 부위 및 좌우 부위는 후방측 벽면부(40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후방측 벽면부(403)의 외측에 위치하는 플랜지측 볼록조부(405)의 전방측 부위와 주위 벽면부(402)의 전방측 부위는 외벽부(406)에 연결된다. 외벽부(406)는 크랭크축(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상의 만곡 경사 형상을 갖고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7)에 있어서 플라이휠 수용부(401)의 하방 부위는 플랜지측 볼록조부(405)에 대하여 크랭크축(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측방으로부터 볼 때 후방측 벽면부(403)와 플랜지측 볼록조부(405)의 끝면 사이의 공간은 플랜지측 기어 케이스부(407)를 형성한다. 플랜지측 기어 케이스부(407)와 상술한 블록측 기어 케이스부(322)에 의해 기어 케이스(330)가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의 엔진(1)은 플라이휠(8)과 기어 트레인을 크랭크축(5)의 동일 단부측에 배치할 수 있으며, 실린더 블록(6)을 사이에 두고 플라이휠(8)과 기어 트레인이 배치되는 구성에 기인하는 크랭크축(5)의 뒤틀림을 해소하여 크랭크축(5)의 뒤틀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기어 트레인의 진동이나 소음의 원인이 되는 크랭크축(5)의 뒤틀림 진동은 관성 모멘트가 큰 플라이휠(8)과 기어 트레인을 크랭크축(5)의 동일 단부측에 배치함으로써 기어 트레인에 전달되는 크랭크축(5)의 뒤틀림 진동을 감소시켜 기어 트레인의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기어 케이스를 별도 부품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이나 조립공수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기어 케이스(330)는, 예를 들면 주철제의 실린더 블록(6) 및 플라이휠 하우징(7)에 의해 구성됨과 아울러, 기어 케이스(330)를 구성하는 좌우의 하우징 브래킷부(304, 305) 및 그들을 보강하는 보강 리브(306~311)는 실린더 블록(6)에 일체 성형되어 있으므로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제의 종래의 기어 케이스에 비해 강성이 향상되어 있고, 기어 트레인의 진동이나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실린더 블록(6) 및 기어 트레인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기어 케이스(330)에 연속하는 리세스 공간(408)에서 감쇠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벽부(406)가 만곡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직육면체형상에 비해 방사 면적이 저감되어 있으므로 엔진 외부로 방출되는 상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7)의 내부에서 플라이휠 수용부(401)의 주위 벽면부(402)의 외벽과 외벽부(406)의 내벽 사이에 리세스 공간(408)이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 공간(408) 내에 주위 벽면부(402)와 외벽부(406)를 연결하는 복수의 하우징 리브(409)(리브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세스 공간(408)에 의해 플라이휠 하우징(7)의 중량을 저감하면서 하우징 리브(409)에 의해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라이휠 하우징의 강도 확보를 위해서 두께를 크게 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중량 증가, 주조 시의 제조 불량, 응력 집중에 의한 균열 발생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위 벽면부(402)는 실린더 블록(6)측만큼 반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추대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세스 공간(408)에 노출하는 주위 벽면부(402)의 부위는 크랭크축심(300)에 대하여 실린더 블록(6)측이 낮아지도록 각도(θ1)만큼 경사된 구배를 갖는다. 또한,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리브(409) 중 실린더 블록(6)의 블록 상면(341)(실린더 헤드 접합면)측의 면은 실린더 블록(6)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블록 상면(341)(도 12 참조)측에 위치하도록 각도(θ2)만큼 경사진 구배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플라이휠 하우징(7) 내에서의 윤활유의 저류가 방지되어 있어 엔진(1) 내의 정확한 윤활유량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각도(θ1)와 각도(θ2)는 같아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또한, 복수의 하우징 리브(409)에 대해서 각도(θ2)는 같아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도 15, 도 16,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라이휠 하우징(7)의 상부 좌측 전방 근처 부위에 크랭크축(5)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크랭크축 회전각 센서(413)(크랭크 회전각 검출부재)가 장착되는 센서 부착 시트(414)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 부착 시트(414)에는 크랭크축 회전각 센서(413)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415)이 형성되어 있다. 플라이휠(8)의 외주측에는 환상의 크랭크축용 펄서(502)(도 14 참조)가 끼워 넣어 고정되어 있다. 크랭크축용 펄서(502)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크랭크각(회전각) 마다 배열되는 피검출부로서의 출력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축용 펄서(502)의 외주면 중, 예를 들면 제 1 또는 제 4 기통의 상사점(TDC)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결치부(缺齒部)가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축 회전각 센서(413)는 센서 부착 시트(41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크랭크축용 펄서(502)에 대치하도록 크랭크축용 펄서(502)의 외주측에 근접 배치된다. 크랭크축 회전각 센서(413)는 크랭크축(5)의 크랭크각(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크랭크축(5)의 회전에 따라 크랭크축용 펄서(502)의 출력 돌기가 그 근방을 통과함으로써 크랭크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플라이휠 하우징(7)의 상부 좌측 후방 근처 부위에 캠 기어(332)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캠축 회전각 센서(416)(구동 기어 회전각 검출부재)가 장착되는 센서 부착 시트(417)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 부착 시트(417)에는 캠축 회전각 센서(416)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418)이 형성되어 있다. 캠축 회전각 센서(416)는 센서 부착 시트(417)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캠 기어(332)에 볼트 체결된 캠축용 펄서(339)에 대치하도록 캠축용 펄서(339)의 외주측에 근접 배치된다. 캠축용 펄서(339)의 외주면에는 90°마다(180° 크랭크각마다) 피검출부로서의 출력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축용 펄서(339)의 원주면 중, 예를 들면 제 1 기통의 상사점에 대응하는 출력 돌기의 직전(회전 상류측)에 여분 티스가 형성되어 있다. 캠축 회전각 센서(416)는 캠축(313)(캠 기어(332)라고 해도 좋음)의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캠축(313)의 회전에 따라 캠축용 펄서(339)의 출력 돌기 및 여분 티스가 그 근방을 통과함으로써 회전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크랭크축(5)의 회전에 따라 크랭크축 회전각 센서(413)로부터 출력되는 크랭크각 신호와, 캠축(313)의 회전에 따라 캠축 회전각 센서(416)로부터 출력되는 회전각 신호는 컨트롤러(도시 생략)에 입력된다. 컨트롤러는 상술한 각 신호로부터 기통 판별 및 크랭크각을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각 연료 분사 밸브(도시 생략)를 전자 제어한다(기통마다의 연료 분사 및 점화를 실행한다). 그 결과, 각 인젝터(도시 생략)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의 분사 압력, 분사 시기, 분사 기간(분사량)이 고정밀도로 컨트롤되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크랭크축(5)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크랭크축 회전각 센서(413)의 센서 부착 시트(414)와, 캠축(313)(캠 기어(332))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캠축 회전각 센서(416)의 센서 부착 시트(417)가 1부품인 플라이휠 하우징(7)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 2개의 회전각 센서(413, 416)가 따로 따로 부품에 부착될 때에 발생하고 있었던 각 부품의 제조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부착 오차를 배제할 수 있다. 상기 오차가 배제됨으로써 기통 판별 및 크랭크축(5)의 회전각의 위상 계산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어 배기가스 성능의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회전각 센서(413, 416)가 1부품인 플라이휠 하우징(7)에 장착됨으로써 이들 회전각 센서(413, 416)가 실린더 블록(6)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었던 종래 기술에 비해 회전각 센서(413, 416) 간의 거리가 단축되므로 회전각 센서(413, 416)에 접속하는 하니스의 어레인지먼트의 간략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부착 시트(414, 417)의 형상을 표준화함으로써 회전각 센서(413, 416)를 센서 부착 시트(414, 417)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품의 비용 삭감이 가능하다.
또한, 캠축용 펄서(339) 및 캠축 회전각 센서(416) 대신에 연료 공급 펌프 기어(334)에 펌프축용 펄서를 장착함과 아울러, 연료 공급 펌프축(333)(연료 공급 펌프 기어(334))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구동 기어 회전각 검출부재를 플라이휠 하우징(7)에 장착해도 좋다. 펌프축용 펄서를 사용해서 기통 판별을 행하는 구성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도 16, 도 17, 도 19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라이휠 하우징(7)의 외벽부(406)의 상부 우측 부위에 윤활유 급유구(419)의 형성부가 돌출되어 있다. 윤활유 급유구(419)는 외벽부(406)를 관통하는 대략 원통형의 관통 구멍을 갖는다. 윤활유 급유구(419)의 외부측의 개구는 대략 원통형의 중심축에 대체로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윤활유 급유구(419)의 내부측의 개구는 크랭크축(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상의 만곡 경사 형상을 갖는 외벽부(406)의 내벽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윤활유 급유구(419)의 내부측의 개구 면적은 외부측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윤활유 급유구(419)는 외부로부터 연료 공급 펌프 기어(334)와 아이들 기어(338)의 맞물림 위치를 시인할 수 있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윤활유 급유구(419)를 통해 크랭크축(5)의 위상에 맞추기 때문에 연료 공급 펌프 기어(334)와 아이들 기어(338)에 각각 타각된 타이밍 마크를 시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대중량 부품인 플라이휠(8) 및 플라이휠 하우징(7)을 분리하는 일 없이 상기 타이밍 마크를 맞춰 연료 공급 펌프(15)를 교환할 수 있고, 엔진(1)의 착탈에 의한 교환 부품점수 및 공수의 삭감을 실현할 수 있어 서비스성이 대폭 향상한다. 또한, 회전 부품인 플라이휠(8)을 분리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유지보수 후의 제품 안전성이 향상한다. 또한, 마크 맞춤 전용의 확인창을 플라이휠 하우징(7)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어 케이스(330)를 포함하는 플라이휠 하우징(7)의 개구부 면적을 저감할 수 있고, 엔진(1) 외부로의 기어 소음 통과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윤활유 급유구(419)는 플라이휠 하우징(7)의 내부측의 개구 면적이 외부측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으므로 윤활유 급유구(419)를 통해 기어 케이스 내부를 시인할 때의 시야를 넓게 할 수 있고, 연료 공급 펌프(15) 교환 시에 있어서의 마크 맞춤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또한, 내부측의 개구 면적이 외부측의 개구 면적보다 커지고 있음으로써 윤활유 급유구(419)를 개재하여 윤활유를 급유할 때의 윤활유가 끓어 넘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윤활유 급유구(419)는 원통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플라이휠 하우징(7)의 내부측만큼 넓어지는 역테이퍼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윤활유 급유구(419)는 리세스 공간(408)에 노출하는 주위 벽면부(402)의 부위 중 2개의 하우징 리브(409)로 끼워진 부위를 향해서 관통 개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윤활유 급유구(419)로부터 급유되는 윤활유는 수평면과 교차하는 주위 벽면부(402)의 부위에 주입되고, 윤활유가 캠축 회전각 센서(416) 등의 타부품에 걸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라이휠 하우징(7)에는 플랜지측 볼록조부(405)의 외측에서 주위 벽면부(402) 및 플랜지측 볼록조부(405)에 연결되고, 플랜지측 볼록조부(405)와 동일 높이면의 스타터 부착 시트(410)를 갖는 스타터 부착부(411)가 형성되어 있다. 스타터 부착부(411)에는 주위 벽면부(402)의 내벽과 스타터 부착 시트(410)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412)이 형성되어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7)은 실린더 블록(6)의 블록측 블록조부(321)의 13개소의 볼트 구멍(351)(도 12 참조) 및 전방측면(303)의 2개소의 하우징용 볼트 보스부(352)의 각볼트 구멍(353)(도 12 참조)에 실린더 블록(6)의 전방측면(303)측에 볼트 체결된다.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6)의 좌측 하우징 브래킷부(304)는 그 둘레 가장자리부가 플라이휠 하우징(7)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오목형상으로 형성된 브래킷 오목형상부(325)를 갖는다. 실린더 블록(6)에 플라이휠 하우징(7)이 고정 설치된 상태로 브래킷 오목형상부(325)의 하방으로 노출하는 플라이휠 하우징(7)의 스타터 부착 시트(410)에 스타터(20)가 배치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라이휠(8)의 외주측에는 스타터(20)용의 환상의 링 기어(501)와, 크랭크축용 펄서(502)가 플라이휠(8)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측으로부터 끼워 넣어 고정되어 있다. 스타터(20)는 관통 구멍(412) 안에 배치됨과 아울러, 링 기어(501)에 이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503)(도 12 참조)를 갖고 있다.
스타터 부착 시트(410) 주변에 있어서, 좌측 하우징 브래킷부(304)의 전방측면(304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세워 설치된 블록측 블록조부(321)(도 12 및 도 14 참조)에 주철제의 플라이휠 하우징(7)이 볼트 체결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6)에서는 스타터 부착 시트(410)에 근접되는 좌측 하우징 브래킷부(304)의 브래킷 오목형상부(325) 근방에 좌측 하우징 브래킷부(304)와 좌측면(301)을 연결하는 좌측 제 4 보강 리브(309)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타터 부착 시트(410) 주변의 강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좌측 하우징 브래킷부(304)의 브래킷 오목형상부(325) 및 전방측면(303)에서 브래킷 오목형상부(325)에 연속해서 스타터 부착 시트(410) 근방에 형성된 블록측 블록조부(321)(도 12참조)도 스타터 부착 시트(410) 주변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제 4 보강 리브(309) 등에 의한 강성이 높은 부위에 스타터(20)를 부착할 수 있게 되므로 스타터 부착 시트(410)나 좌측 하우징 브래킷부(304)의 변형에 의한 스타터(20)의 위치 어긋남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스타터(20)의 고장이나, 스타터(20)의 피니언 기어와 플라이휠(8)의 링 기어(501)의 맞물림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 엔진 5 : 크랭크축
6 : 실린더 블록 7 : 플라이휠 하우징
8 : 플라이휠 15 : 연료 공급 펌프
300 : 크랭크축심 방향 301 : 좌측면(양측부)
302 : 우측면(양측부) 303 : 전방측면(일측면)
304 : 좌측 하우징 브래킷부 305 : 우측 하우징 브래킷부
313 : 캠축 330 : 기어 케이스
331 : 크랭크 기어 332 : 캠 기어
333 : 연료 펌프축(펌프축) 334 : 펌프 기어
338 : 아이들 기어 341 : 블록 상면(실린더 헤드 접합면)
402 : 주위 벽면부 406 : 외벽부
408 : 리세스 공간 409 : 하우징 리브(리브부)
413 : 크랭크축 회전각 센서(크랭크 회전각 검출부재)
414 : 센서 부착 시트(부착부)
416 : 캠축 회전각 센서(회전축 회전각 검출부재)
414 : 센서 부착 시트(부착부)
419 : 윤활유 급유구

Claims (6)

  1. 실린더 블록의 일측부에 크랭크축과 일체 회전하는 플라이휠을 수용하는 플라이휠 하우징이 배치되는 엔진 장치로서,
    크랭크축심 방향을 따른 상기 실린더 블록의 양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일측부측의 단부에 상기 크랭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하우징 브래킷부가 상기 실린더 블록에 일체 성형됨과 아울러, 상기 일측부와 상기 하우징 브래킷부와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기어 트레인을 수용하는 기어 케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기어 트레인은 상기 크랭크축에 고정된 크랭크 기어와, 상기 크랭크 기어에 맞물리는 아이들 기어와, 캠축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아이들 기어에 맞물리는 캠 기어와, 연료 공급 펌프의 펌프축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아이들 기어에 맞물리는 펌프 기어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에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크랭크 회전각 검출부재 부착부와, 상기 캠 기어 또는 상기 펌프 기어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회전축 회전각 검출부재의 부착부가 형성되는 엔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휠의 외주측을 덮는 원통상의 주위 벽면부와 상기 주위 벽면부의 외주측을 덮는 외벽부 사이에 상기 기어 케이스에 연속하는 리세스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주위 벽면부와 상기 외벽부를 연결하는 리브부가 형성되는 엔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벽면부는 상기 실린더 블록측만큼 반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추대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리브부 중 상기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 헤드 접합면측의 면은 상기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실린더 헤드 접합면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는 엔진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에 관통 개구된 윤활유 급유구는 상기 연료 공급 펌프 기어와 상기 아이들 기어의 맞물림 위치를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는 엔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급유구는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의 내부측의 개구 면적이 외부측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는 엔진 장치.
KR1020187011361A 2016-03-29 2017-03-13 엔진 장치 KR101997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66825A JP6473095B2 (ja) 2016-03-29 2016-03-29 エンジン装置
JPJP-P-2016-066825 2016-03-29
PCT/JP2017/010038 WO2017169701A1 (ja) 2016-03-29 2017-03-13 エンジ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688A KR20180057688A (ko) 2018-05-30
KR101997415B1 true KR101997415B1 (ko) 2019-07-05

Family

ID=5996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361A KR101997415B1 (ko) 2016-03-29 2017-03-13 엔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890231B2 (ko)
EP (1) EP3438434B1 (ko)
JP (1) JP6473095B2 (ko)
KR (1) KR101997415B1 (ko)
CN (1) CN109642520B (ko)
WO (1) WO20171697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5640A1 (ja) * 2016-04-08 2017-10-12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EP4053394A3 (en) * 2016-04-08 2022-11-30 Yanmar Power Technology Co., Ltd. Engine device
JP6992435B2 (ja) * 2017-11-22 2022-01-13 スズキ株式会社 クランク角センサの取付構造
US11162414B2 (en) 2018-01-12 2021-11-02 Cummins Inc. Enhanced idler shaft interface for improving structural integrity of flywheel housing
JP1616748S (ko) * 2018-04-19 2018-10-29
EP3797219A4 (en) 2018-05-23 2022-02-16 Cummi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CAPTIVE SPROCKET IN AN ENG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815A (ja) 1999-09-27 2001-04-03 Showa Corp 回転体収容ケースのブリーザ装置
JP2001342809A (ja) 2000-06-02 2001-12-14 Yanmar Diesel Engine Co Ltd 単気筒空冷式内燃機関
JP2010261322A (ja) 2009-04-30 2010-11-18 Yanmar Co Ltd エンジン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02337A (fr) * 1946-09-10 1952-03-05 Moteurs Lab Et Perfectionnement à l'entraînement des accessoires sur moteur d'avion
US3452610A (en) * 1968-01-17 1969-07-01 Us Army Interchangeable dual gear train assemblies
US3502059A (en) * 1968-03-20 1970-03-24 Gen Motors Corp Adjustable gear train
GB1364454A (en) * 1970-11-10 1974-08-21 Perkins Engines Ltd Reciprocating engines
JPS58125868U (ja) * 1982-02-18 1983-08-26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エンジンの回転検出センサ−
GB2342391A (en) * 1998-10-09 2000-04-12 Cummins Engine Co Ltd Mounting ancillary units, eg pumps, on the lateral flange of a structural engine block
DE19853634A1 (de) * 1998-11-20 2000-05-25 Volkswagen Ag Stirnrad-Nockenwellenantrieb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GB2353561A (en) * 1999-08-21 2001-02-28 Cummins Engine Co Ltd An engine block with machined end faces for receiving a camshaft gear train
JP4660897B2 (ja) * 2000-08-11 2011-03-3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変速機ケース
GB0106506D0 (en) * 2001-03-16 2001-05-02 Perkins Engines Co Ltd A cylinder block apron
JP2003194839A (ja) * 2001-12-26 2003-07-09 Kawasaki Heavy Ind Ltd 回転取出し装置
JP3917879B2 (ja) * 2002-03-01 2007-05-23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ミストセパレータ
JP3965062B2 (ja) * 2002-03-06 2007-08-22 日野自動車株式会社 燃料ポンプ駆動構造
JP3962341B2 (ja) * 2003-02-14 2007-08-22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
DE102006052410A1 (de) * 2005-12-01 2007-07-19 Mtu Friedrichshafen Gmbh Brennkraftmaschine
ITBO20060472A1 (it) * 2006-06-16 2007-12-17 I Tea S R L Sistema di supporto di una ruota dentata su un carter di un motore a combustiomne interna
US20090133653A1 (en) * 2007-11-26 2009-05-28 Thomas Duzzie Spur gear dri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1349173A (zh) * 2008-09-03 2009-01-21 无锡开普机械有限公司 发动机的齿轮侧隙调整装置
JP2012189027A (ja) 2011-03-11 2012-10-04 Kubota Corp エンジンのスタータモータ支持装置
US20120260891A1 (en) * 2011-04-18 2012-10-18 Caterpillar Inc. High Pressure Fuel Pump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Lubrication Strategy Therefor
US9849770B2 (en) * 2013-05-10 2017-12-26 Achates Power, Inc. Placement of an opposed-piston engine in a heavy-duty truck
US10458326B2 (en) * 2017-01-27 2019-10-29 Caterpillar Inc. Vee engine dual inboard camshaf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815A (ja) 1999-09-27 2001-04-03 Showa Corp 回転体収容ケースのブリーザ装置
JP2001342809A (ja) 2000-06-02 2001-12-14 Yanmar Diesel Engine Co Ltd 単気筒空冷式内燃機関
JP2010261322A (ja) 2009-04-30 2010-11-18 Yanmar Co Ltd 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90231B2 (en) 2021-01-12
US11603904B2 (en) 2023-03-14
US20200300334A1 (en) 2020-09-24
EP3438434A1 (en) 2019-02-06
CN109642520A (zh) 2019-04-16
JP2017180229A (ja) 2017-10-05
EP3438434A4 (en) 2019-02-06
JP6473095B2 (ja) 2019-02-20
US20210164538A1 (en) 2021-06-03
CN109642520B (zh) 2021-09-21
KR20180057688A (ko) 2018-05-30
EP3438434B1 (en) 2020-02-12
WO2017169701A1 (ja)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415B1 (ko) 엔진 장치
KR102108333B1 (ko) 엔진 장치
CN108884760A (zh) 发动机装置
CN109072836B (zh) 发动机装置
JP2017187009A (ja) エンジン装置
JP3843954B2 (ja) エンジンのシリンダブロック構造
JP2017180417A (ja) エンジン装置
JP7445632B2 (ja) エンジン装置
JP7522280B2 (ja) エンジン装置
JP2017187007A (ja) エンジン装置
JP6473097B2 (ja) エンジン装置
JP2022141731A (ja) エンジン装置
JP2017187010A (ja) エンジ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