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711B1 - 벌룬 카테터 - Google Patents

벌룬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711B1
KR101996711B1 KR1020167035998A KR20167035998A KR101996711B1 KR 101996711 B1 KR101996711 B1 KR 101996711B1 KR 1020167035998 A KR1020167035998 A KR 1020167035998A KR 20167035998 A KR20167035998 A KR 20167035998A KR 101996711 B1 KR101996711 B1 KR 101996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outer shaft
shaft
balloon catheter
proj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177A (ko
Inventor
도시히코 츠카모토
아키히로 미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4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34Joining of shaft and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1Means for forcing inflation fluid into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7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for contrast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86Catheters with fixed wires, i.e. so called "non-over-the-wire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부에서의 외경을 굵게 하지 않고,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 강도를 향상시킨 벌룬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벌룬 카테터(1)에서는, 벌룬(10)의 내측 돌출부(72)가, 아우터 샤프트(20)의 간극부(81)에 배치되고, 또한, 아우터 샤프트(20)의 외측 돌출부(80)가, 벌룬(10)의 간극부(71)에 배치되어 있다. 벌룬(10)의 후단(12)과 아우터 샤프트(20)의 선단(21)을 서로 물리게 함으로써, 벌룬(10)과 아우터 샤프트(20)와의 고착 면적을 용이하게 넓힐 수 있으며, 벌룬(10)과 아우터 샤프트(20)와의 고착부(14)에서의 외경을 굵게 하지 않고, 벌룬(10)과 아우터 샤프트(20)와의 고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벌룬 카테터{Balloon Catheter}
본 발명은, 벌룬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혈관이나 소화기관 내에 형성된 협착부(狹窄部)를 확장하고, 혈액이나 소화액의 흐름을 회복시키는 치료용 벌룬 카테터나, 벌룬을 혈관벽이나 소화 기관벽까지 확장시켜 고정함으로써, 내부에 삽입한 가이드 와이어 등의 의료 기구를 조작시키기 쉽게 하는 고정용 벌룬 카테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벌룬 카테터에서는, 주로, 확장체인 벌룬과, 벌룬의 후단에 고착된 아우터 샤프트와,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내부에 삽입된 이너 샤프트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이너 샤프트는,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해서 이용되며, 아우터 샤프트와 이너 샤프트와의 사이에 마련된 확장 루멘(lumen)은, 벌룬을 확장하기 위한 액체(조영제(造影劑)나 생리 식염수 등)를 유통(流通)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벌룬 카테터는, 벌룬의 후단과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과의 고착 강도가 약한 경우, 협착부를 확장시키기 위해서, 또는, 혈관벽이나 소화 기관벽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벌룬을 확장시켰을 때, 벌룬의 후단이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벌룬의 후단과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을 별도의 부재인 열수축성 튜브에 의해 외주로부터 피복시킴으로써,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 강도를 향상시킨 벌룬 카테터(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을 참조)나, 벌룬의 후단과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과의 사이에, 서로 경사지게 커팅한 서로 겹침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 강도를 향상시킨 벌룬 카테터(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2를 참조)가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벌룬 카테터에서는, 별도의 부재인 열수축 튜브를 외주로부터 피복시키기 때문에,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부에서의 외경이 굵게 되고, 그 결과, 벌룬 카테터의 통과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벌룬 카테터에서는,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부에서의 외경은 굵게 되지 않지만,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 면적을 넓히는 것에 한계가 있고,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다. 특히, 벌룬에 고압을 부여시킨 경우에, 벌룬의 후단이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으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9-05629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 제5237572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부에서의 외경을 굵게 하지 않고,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 강도를 향상시킨 벌룬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는, 이하에 열거되는 수단에 의해 해결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형태 1은, 벌룬과, 상기 벌룬의 후단(後端)에 고착된 아우터 샤프트를 구비한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벌룬의 상기 후단 및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先端)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돌출부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돌출부와, 상기 내측 돌출부와 상기 외측 돌출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벌룬의 상기 내측 돌출부 또는 상기 벌룬의 상기 외측 돌출부는,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상기 간극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상기 내측 돌출부 또는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상기 외측 돌출부는, 상기 벌룬의 상기 간극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벌룬 카테터이다.
본 발명의 형태 2는,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상기 간극부에 배치된, 상기 벌룬의 상기 내측 돌출부 또는 상기 벌룬의 상기 외측 돌출부에는, 팽융부(膨隆部)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형태 1에 기재된 벌룬 카테터이다.
본 발명의 형태 3은, 상기 벌룬의 상기 간극부에 배치된,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상기 내측 돌출부 또는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상기 외측 돌출부에는, 팽융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형태 1 또는 형태 2에 기재된 벌룬 카테터이다.
본 발명의 형태 1의 벌룬 카테터에서는, 벌룬의 후단 및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돌출부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돌출부와, 내측 돌출부와 외측 돌출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가 각각 마련되고, 벌룬의 내측 돌출부 또는 벌룬의 외측 돌출부가, 아우터 샤프트의 간극부에 배치되고, 또한, 아우터 샤프트의 내측 돌출부 또는 아우터 샤프트의 외측 돌출부가, 벌룬의 간극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 면적을 용이하게 넓힐 수 있으며,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부에서의 외경을 굵게 하지 않고,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벌룬의 후단과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이 서로 물려 있기 때문에, 벌룬에 고압을 부여시킨 경우에도, 벌룬의 후단이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으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2의 벌룬 카테터에서는, 아우터 샤프트의 간극부에 배치된, 벌룬의 내측 돌출부 또는 벌룬의 외측 돌출부에는, 팽융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 면적을 더욱 넓힐 수 있고, 또한, 아우터 샤프트의 간극부에 대한 팽융부의 앵커(anchor) 효과에 의해,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3의 벌룬 카테터에서는, 벌룬의 간극부에 배치된, 아우터 샤프트의 내측 돌출부 또는 아우터 샤프트의 외측 돌출부에는, 팽융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 면적을 더욱 넓힐 수 있고, 또한, 벌룬의 간극부에 대한 팽융부의 앵커 효과에 의해,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고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의 전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벌룬 및 아우터 샤프트를 서로 분리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의 변형예이다.
도 5는, 제3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도 2의 변형예이며, 도 5의 (B)는, 도 4의 변형예이다.
도 6은, 제4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도 2의 변형예이며, 도 6의 (B)는, 도 4의 변형예이다.     
도 7은, 제5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도 6의 (A)의 변형예이며, 도 7의 (B)는, 도 6의 (B)의 변형예이다.  
도 8은, 제6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도 7의 (A)의 변형예이며, 도 8의 (B)는, 도 7의 (B)의 변형예이다.  
도 9는, 도 3의 변형예이다.
도 10은, 제7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의 전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를 설명한다. 도 1에서는, 도시한 좌측이 체내에 삽입되는 선단측(先端側)(원위측(遠位側)), 우측이 의사 등의 시술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후단측(後端側)(근위측(近位側), 기단측(基端側))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 2를 나타낸 벌룬 및 아우터 샤프트를 서로 분리한 상태의 도면이다.
벌룬 카테터(1)는, 예를 들면, 협착부를 확장하여 치료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치료용 벌룬 카테터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벌룬 카테터(1)는, 주로, 벌룬(10)과, 아우터 샤프트(20)와, 이너 샤프트(30)와, 선단 팁(tip)(40)과, 보강체(50)와, 커넥터(60)로 이루어진다.
협착부를 확장하는 벌룬(10)은, 수지제(樹脂製) 부재로 이루어지며, 벌룬(10)의 선단에 있는 선단 장착부(11)와, 벌룬(10)의 후단에 있는 후단 장착부(12)를 가지고 있다. 선단 장착부(11)는, 선단 팁(40)을 매개로 하여 이너 샤프트(30)의 선단에 고착되고, 후단 장착부(12)는, 아우터 샤프트(20)의 선단(21)에 고착되어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벌룬(10)의 선단 장착부(11)가 이너 샤프트(30)에 직접 고착되도록, 이너 샤프트(30)와 선단 팁(40) 사이에 선단 장착부(11)를 끼워 넣어도 좋다.
아우터 샤프트(20)는, 벌룬(10)을 확장시키기 위해서, 조영제나 생리 식염수 등의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확장 루멘(lumen)(26)을 구성하는 관 모양의 부재이다. 아우터 샤프트(20)는, 선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선단 아우터 샤프트부(22)와, 가이드 와이어 포트부(23)와, 중간 아우터 샤프트부(24)와, 후단 아우터 샤프트부(25)로 이루어진다. 선단 아우터 샤프트부(22)와 중간 아우터 샤프트부(24)는,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튜브이다. 가이드 와이어 포트부(23)는, 선단 아우터 샤프트부(22)와, 중간 아우터 샤프트부(24)와, 이너 샤프트(30)를 서로 고착시킨 부분이다.
선단 아우터 샤프트부(22)에는, 이너 샤프트(30)가 삽입되어 있고, 선단 아우터 샤프트부(22)와 이너 샤프트(30)와의 사이에는, 상술한 확장 루멘(26)이 형성되어 있다.
후단 아우터 샤프트부(25)는, 소위 하이포 튜브(hypo tube)로 불리는 금속제의 관 모양 부재이다. 후단 아우터 샤프트부(25)의 선단은, 중간 아우터 샤프트부(24)의 후단에 삽입되어 고착되어 있다. 후단 아우터 샤프트부(25)의 후단에는, 커넥터(60)가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60)에 장착할 수 있는 인디플레이터(indeflator)(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벌룬(10)을 확장시키기 위한 조영제나 생리 식염수 등의 액체가 공급되면, 액체는, 확장 루멘(26)을 통하여 벌룬(10)을 확장시킨다. 또, 후단 아우터 샤프트부(25)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테인리스강(SUS302, SUS304)이나 Ni-Ti 합금 등의 초탄성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이너 샤프트(30)는, 내부에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 와이어 루멘(31)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이너 샤프트(30)의 후단은, 아우터 샤프트(20)의 가이드 와이어 포트부(23)에 고착함으로써, 후단측 가이드 와이어 포트(32)를 형성하고 있다. 시술자는, 이 후단측 가이드 와이어 포트(32)로부터 가이드 와이어의 교환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너 샤프트(30)의 선단에는, 선단 팁(40)이 고착되어 있다. 선단 팁(40)은, 유연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선단 팁(40)은, 선단에 선단측 가이드 와이어 포트(41)를 가지고 있다.
후단 아우터 샤프트부(25)의 선단의 내주에는, 보강체(50)가 장착되어 있다. 보강체(50)는, 단면이 원형이며, 선단을 향해 지름이 가늘어진 테이퍼 모양의 금속제의 선재(線材)이다. 보강체(50)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테인리스강(SUS304)이나 Ni-Ti합금 등의 초탄성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보강체(50)는, 중간 아우터 샤프트부(24)와 가이드 와이어 포트부(23)를 통과하여, 선단 아우터 샤프트부(22)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벌룬(10)의 후단(12)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돌출부(70)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돌출부(72)와, 외측 돌출부(70)와 내측 돌출부(72)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71)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샤프트(20)의 선단(21)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돌출부(80)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돌출부(82)와, 외측 돌출부(80)와 내측 돌출부(82)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81)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에서는, 벌룬(10)의 내측 돌출부(72)는, 아우터 샤프트(20)의 간극부(81)에 배치되고, 또한, 아우터 샤프트(20)의 외측 돌출부(80)는, 벌룬(10)의 간극부(71)에 배치되어 있다(도 2를 참조). 환언하면, 벌룬(10)의 후단(12)과 아우터 샤프트(20)의 선단(21)과의 고착부(14)에서, 아우터 샤프트(20)의 내측 돌출부(82)와, 벌룬(10)의 내측 돌출부(72)와, 아우터 샤프트(20)의 외측 돌출부(80)와, 벌룬(10)의 외측 돌출부(70)가, 지름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벌룬(10)의 후단(12)과 아우터 샤프트(20)의 선단(21)을 서로 물리게 함으로써, 벌룬(10)과 아우터 샤프트(20)와의 고착 면적을 용이하게 넓힐 수 있으며, 벌룬(10)과 아우터 샤프트(20)와의 고착부(14)에서의 외경을 굵게 하지 않고, 벌룬(10)과 아우터 샤프트(20)와의 고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시술자가 벌룬(10)에 고압을 부여시킨 경우에도, 벌룬(10)의 후단(12)이 아우터 샤프트(20)의 선단(21)으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2)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변형예이다. 벌룬 카테터(1)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벌룬 카테터(2)에서는, 벌룬(10)의 외측 돌출부(70)는, 아우터 샤프트(20)의 간극부(81)에 배치되고, 또한, 아우터 샤프트(20)의 내측 돌출부(82)는, 벌룬(10)의 간극부(71)에 배치되어 있다(도 4를 참조). 환언하면, 벌룬(10)의 후단(12)과 아우터 샤프트(20)의 선단(21)과의 고착부(14a)에서, 벌룬(10)의 내측 돌출부(72)와, 아우터 샤프트(20)의 내측 돌출부(82)와, 벌룬(10)의 외측 돌출부(70)와, 아우터 샤프트(20)의 외측 돌출부(80)가, 지름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벌룬 카테터(2)의 고착부(14a)에서는, 벌룬 카테터(1)의 고착부(14)와 마찬가지로, 벌룬(10)의 후단(12)과 아우터 샤프트(20)의 선단(21)이 서로 물린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벌룬(10)과 아우터 샤프트(20)와의 고착 면적을 용이하게 넓힐 수 있으며, 벌룬(10)과 아우터 샤프트(20)와의 고착부(14a)에서의 외경을 굵게 하지 않고, 벌룬(10)과 아우터 샤프트(20)와의 고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시술자가 벌룬(10)에 고압을 부여시킨 경우에도, 벌룬(10)의 후단(12)이 아우터 샤프트(20)의 선단(21)으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A)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서, 제3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3A, 3B)를 설명한다. 도 5의 (A)는, 도 2의 변형예이다. 도 5의 (B)는, 도 4의 변형예이다. 벌룬 카테터(1)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벌룬 카테터(3A)에서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융부(膨隆部)(74)가, 아우터 샤프트(20a)의 간극부(81a)에 배치된 벌룬(10a)의 내측 돌출부(72)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다. 팽융부(74)는, 내측 돌출부(72)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 돌출부(72)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두껍게 되어 있다. 환언하면, 팽융부(74)의 두께 X1은, 내측 돌출부(72)의 두께 X2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X1>X2).
마찬가지로, 벌룬 카테터(2)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벌룬 카테터(3B)에서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융부(74a)가, 아우터 샤프트(20a)의 간극부(81a)에 배치된 벌룬(10b)의 외측 돌출부(70)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다. 팽융부(74a)는, 외측 돌출부(70)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 돌출부(70)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두껍게 되어 있다. 환언하면, 팽융부(74a)의 두께 X3는, 외측 돌출부(70)의 두께 X4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X3>X4).
이와 같이, 아우터 샤프트(20a)의 간극부(81a)에, 내측 돌출부(72) 또는 외측 돌출부(70)의 후단에 마련된 팽융부(74, 74a)를 배치시킴으로써, 벌룬(10a, 10b)과 아우터 샤프트(20a)와의 고착 면적을 더욱 넓힐 수 있고, 또한, 아우터 샤프트(20a)의 간극부(81a)에 대한 팽융부(74, 74a)의 앵커 효과에 의해, 벌룬(10a, 10b)과 아우터 샤프트(20a)와의 고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A)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서, 제4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4A, 4B)를 설명한다. 도 6의 (A)는, 도 2의 변형예이다. 도 6의 (B)는, 도 4의 변형예이다. 벌룬 카테터(1)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벌룬 카테터(4A)에서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융부(84)가, 벌룬(10c)의 간극부(71a)에 배치된 아우터 샤프트(20b)의 외측 돌출부(80)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다. 팽융부(84)는, 외측 돌출부(80)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 돌출부(80)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두껍게 되어 있다. 환언하면, 팽융부(84)의 두께 X5는, 외측 돌출부(80)의 두께 X6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X5>X6).
마찬가지로, 벌룬 카테터(2)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벌룬 카테터(4B)에서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융부(84a)가, 벌룬(10c)의 간극부(71a)에 배치된 아우터 샤프트(20c)의 내측 돌출부(82)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다. 팽융부(84a)는, 내측 돌출부(82)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 돌출부(82)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두껍게 되어 있다. 환언하면, 팽융부(84a)의 두께 X7는, 내측 돌출부(82)의 두께 X8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X7>X8).
이와 같이, 벌룬(10c)의 간극부(71a)에, 외측 돌출부(80) 또는 내측 돌출부(82)의 선단에 마련된 팽융부(84, 84a)를 배치시킴으로써, 벌룬(10c)과 아우터 샤프트(20b, 20c)와의 고착 면적을 더욱 넓힐 수 있고, 또한, 벌룬(10c)의 간극부(71a)에 대한 팽융부(84, 84a)의 앵커 효과에 의해, 벌룬(10c)과 아우터 샤프트(20b, 20c)와의 고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의 (A) 및 도 7의 (B)를 참조하면서, 제5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5A, 5B)를 설명한다. 도 7의 (A)는, 도 6의 (A)의 변형예이다. 도 7의 (B)는, 도 6의 (B)의 변형예이다. 벌룬 카테터(4A, 4B)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벌룬 카테터(5A)에서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융부(84)에 더하여, 팽융부(74)가, 아우터 샤프트(20d)의 간극부(81a)에 배치된 벌룬(10d)의 내측 돌출부(72)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다. 또, 팽융부(74)는, 도 5의 (A)에서 설명한 벌룬 카테터(3A)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벌룬 카테터(4B)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벌룬 카테터(5B)에서는,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융부(84a)에 더하여, 팽융부(74a)가, 아우터 샤프트(20e)의 간극부(81a)에 배치된 벌룬(10e)의 외측 돌출부(70)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다. 또, 팽융부(74a)는, 도 5의 (B)에서 설명한 벌룬 카테터(3B)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벌룬(10d, 10e)의 간극부(71a)에, 외측 돌출부(80) 또는 내측 돌출부(82)의 선단에 마련된 팽융부(84, 84a)를 배치, 또한, 아우터 샤프트(20d, 20e)의 간극부(81a)에, 내측 돌출부(72) 또는 외측 돌출부(70)의 후단에 마련된 팽융부(74, 74a)를 배치시킴으로써, 벌룬(10d, 10e)과 아우터 샤프트(20d, 20e)와의 고착 면적을 더욱 넓힐 수 있으며, 또한, 벌룬(10d, 10e)의 간극부(71a)에 대한 팽융부(84, 84a)의 앵커 효과, 및, 아우터 샤프트(20d, 20e)의 간극부(81a)에 대한 팽융부(74, 74a)의 앵커 효과에 의해, 벌룬(10d, 10e)과 아우터 샤프트(20d, 20e)와의 고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벌룬 카테터(3A~5B)에서는, 벌룬(10a, 10d)의 내측 돌출부(72)의 후단에 1개의 팽융부(74)가, 벌룬(10b, 10e)의 외측 돌출부(70)의 후단에 1개의 팽융부(74a)가, 아우터 샤프트(20b, 20d)의 외측 돌출부(80)의 선단에 1개의 팽융부(84)가, 아우터 샤프트(20c, 20e)의 내측 돌출부(82)의 선단에 1개의 팽융부(84a)가, 각각 마련되어 있었다. 이 팽융부(74, 74a, 84, 84a)의 개수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8의 (A)에 나타내는 제6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6A)에서는, 벌룬(10f)의 간극부(71b)에, 아우터 샤프트(20f)의 외측 돌출부(80)의 선단과 중간에 마련된 2개의 팽융부(84, 85)를 배치시키고, 아우터 샤프트(20f)의 간극부(81b)에, 벌룬(10f)의 내측 돌출부(72)의 중간과 후단에 마련된 2개의 팽융부(74, 75)를 배치시켜도 좋다. 또, 도 8의 (B)에 나타내는 제6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6B)에서는, 벌룬(10f)의 간극부(71b)에, 아우터 샤프트(20f)의 내측 돌출부(82)의 선단과 중간에 마련된 2개의 팽융부(84a, 85a)를 배치시키고, 아우터 샤프트(20f)의 간극부(81b)에, 벌룬(10f)의 외측 돌출부(70)의 중간과 후단에 마련된 2개의 팽융부(74a, 75a)를 배치시켜도 좋다.
또, 팽융부(74, 74a, 75, 75a, 84, 84a, 85, 85a)는, 앵커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형상이면, 도 5의 (A)~도 8의 (B)에 나타낸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술한 팽융부(74, 74a, 75, 75a, 84, 84a, 85, 85a) 대신에, 도 9의 (A), (B)에 나타내는 제7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7)와 같이, 벌룬(10d)의 간극부(71b)에 요철 형상의 내주면(76)을 마련하고, 아우터 샤프트(20d)의 간극부(71b)에 요철 형상의 내주면(86)을 마련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벌룬(10g)의 후단(12)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돌출부(70a)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돌출부(72a)와, 외측 돌출부(70a)와 내측 돌출부(72a)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요철 형상의 내주면(76)을 가진 간극부(71c)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샤프트(20g)의 선단(21)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돌출부(80a)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돌출부(82a)와, 외측 돌출부(80a)와 내측 돌출부(82a)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요철 형상의 내주면(86)을 가진 간극부(81c)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도 9의 (A), (B)는, 도 3의 (A), (B)와 마찬가지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벌룬(10g) 및 아우터 샤프트(20g)를 서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벌룬(10g)의 간극부(71c)에 내주면(76)을, 아우터 샤프트(20g)의 간극부(81c)에 내주면(86)을, 각각 마련하고, 이 내주면(76)과 내주면(86)을 서로 고착시킴으로써, 벌룬(10g)과 아우터 샤프트(20g)와의 고착 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그 결과, 벌룬(10g)과 아우터 샤프트(20g)와의 고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는, 제8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8)를 설명한다. 도 10에서는, 도시한 좌측이 체내에 삽입되는 선단측(원위측), 우측이 의사 등의 시술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후단측(근위측, 기단측)으로 되어 있다. 또, 벌룬 카테터(8)에서는, 특별히 예고가 없는 한, 제1~ 제7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벌룬 카테터(1~7)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벌룬 카테터(8)는, 예를 들면, 벌룬을 혈관벽이나 소화 기관벽까지 확장시켜 고정함으로써, 내부에 삽입한 가이드 와이어 등의 의료 기구를 조작시키기 쉽게 하는 고정용 벌룬 카테터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벌룬 카테터(8)는, 주로, 벌룬(10)과, 아우터 샤프트(20)와, 제1 이너 샤프트(34)와, 제2 이너 샤프트(33)와, 보강체(50)와, 커넥터(62)로 이루어진다.
아우터 샤프트(20)에는, 제2 이너 샤프트(33)가, 벌룬 카테터(8)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삽입되어 있다. 제2 이너 샤프트(33)에는,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아우터 샤프트(20)의 후단 및 제2 이너 샤프트(33)의 후단에는, 커넥터(62)가 접속되어 있다. 제2 이너 샤프트(33)의 선단에는, 제1 선단구(先端口)(33a)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2 이너 샤프트(33)의 후단에는, 커넥터(62)를 매개로 하여 제1 삽입구(64)가 마련되어 있다.
아우터 샤프트(20)에는, 제1 이너 샤프트(34)가, 제2 이너 샤프트(33)에 병행하여, 벌룬 카테터(5)의 도중(途中)으로부터 선단까지 삽입되어 있다. 제2 이너 샤프트(33)와 마찬가지로, 제1 이너 샤프트(34)에도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다. 제1 이너 샤프트(34)의 선단에는, 제2 선단구(34a)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 이너 샤프트(34)의 후단에는, 제2 삽입구(34b)가 마련되어 있다.
아우터 샤프트(20)와 제1 이너 샤프트(34)와 제2 이너 샤프트(33)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나일론 등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이너 샤프트(33)는, 벌룬 카테터(8)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시술자는 제2 이너 샤프트(33)가 길게 내부에 삽입한 가이드 와이어를 교환하기 어렵다고 하는 단점이 있는 반면, 제2 이너 샤프트(33)에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했을 때, 이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벌룬 카테터(8)의 강성이 향상되어, 시술자는 벌룬 카테터(8)를 선단 방향으로 밀어넣기 쉽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 제1 이너 샤프트(34)는, 벌룬 카테터(8)의 도중으로부터 선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시술자는 내부에 삽입한 가이드 와이어를 교환하기 쉽다고 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제1 이너 샤프트(34)에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해도, 벌룬 카테터(8)의 선단측밖에 강성이 향상되지 않아, 시술자가 벌룬 카테터(8)를 선단 방향으로 밀어넣었을 때에 강성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제1 이너 샤프트(34)의 제2 삽입구(34b) 부근에서 벌룬 카테터(8)가 접혀 버린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벌룬 카테터(8)에서는, 제1 이너 샤프트(34)와 제2 이너 샤프트(33) 양쪽 모두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2 이너 샤프트(33)에 제1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한 상태에서, 시술자는, 제1 이너 샤프트(34)에 삽입한 제2 가이드 와이어를 즉석으로 교환할 수 있고, 또한, 벌룬 카테터(8)를 선단 방향으로 밀어넣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관벽이나 소화 기관벽에 고정하는 벌룬(10)은, 수지제 부재로 이루어지며, 벌룬(10)의 선단에 있는 선단 장착부(11)와, 벌룬(10)의 후단에 있는 후단 장착부(12)를 가지고 있다. 선단 장착부(11)는, 제1 이너 샤프트(34) 및 제2 이너 샤프트(33)에 고착되며, 후단 장착부(12)는, 아우터 샤프트(20)의 선단(21)에 고착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벌룬(10)을 확장시키기 위해서, 조영제나 생리 식염수 등의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확장 루멘이, 아우터 샤프트(20)와 제1 이너 샤프트(34) 및 제2 이너 샤프트(33)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62)에는, 인디플레이터(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할 수 있는 액체 공급구(供給口)(6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액체 공급구(66)로부터 공급된 조영제나 생리 식염수 등의 액체는, 확장 루멘을 경유하여 벌룬(10)에 공급되어, 벌룬(10)을 확장시킨다.
또, 벌룬 카테터(8)에는, 아우터 샤프트(20)와 제2 이너 샤프트(33)와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체(50)가 삽입되어 있다. 보강체(50)의 선단은, 제1 이너 샤프트(34)의 제2 삽입구(34b)보다도 선단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벌룬 카테터(8)는, 벌룬 카테터(1~7)와 마찬가지로, 벌룬(10)의 후단(12)과 아우터 샤프트(20)의 선단(21)을 서로 물리게 함으로써, 벌룬(10)과 아우터 샤프트(20)와의 고착 면적을 용이하게 넓힐 수 있으며, 벌룬(10)과 아우터 샤프트(20)와의 고착부(14)에서의 외경을 굵게 하지 않고, 벌룬(10)과 아우터 샤프트(20)와의 고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시술자가 벌룬(10)에 고압을 부여한 경우에도, 벌룬(10)의 후단(12)이 아우터 샤프트(20)의 선단(21)으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1~8 : 벌룬 카테터 10~10g : 벌룬
11 : 벌룬의 선단 12 : 벌룬의 후단
14, 14a : 고착부 20~20g : 아우터 샤프트
30 : 이너 샤프트 33 : 제2 이너 샤프트
34 : 제1 이너 샤프트 40 : 선단 팁
50 : 보강체 60, 62 : 커넥터
70, 70a : 벌룬의 외측 돌출부 71, 71a, 71b, 71c : 벌룬의 간극부
72, 72a : 벌룬의 내측 돌출부 74, 74a, 75, 75a : 팽융부
76 : 내주면 80, 80a : 아우터 샤프트의 외측 돌출부
81, 81a, 81b, 81c : 아우터 샤프트의 간극부
82, 82a : 아우터 샤프트의 내측 돌출부
84, 84a, 85, 85a : 팽융부
86 : 내주면

Claims (3)

  1. 벌룬과,
    상기 벌룬의 후단(後端)에 고착된 아우터 샤프트를 구비한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벌룬의 상기 후단 및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先端)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돌출부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돌출부와, 상기 내측 돌출부와 상기 외측 돌출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벌룬의 상기 내측 돌출부 또는 상기 벌룬의 상기 외측 돌출부는,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상기 간극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상기 내측 돌출부 또는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상기 외측 돌출부는, 상기 벌룬의 상기 간극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벌룬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상기 간극부에 배치된, 상기 벌룬의 상기 내측 돌출부 또는 상기 벌룬의 상기 외측 돌출부에는, 팽융부(膨隆部)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벌룬 카테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벌룬의 상기 간극부에 배치된,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상기 내측 돌출부 또는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상기 외측 돌출부에는, 팽융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벌룬 카테터.
KR1020167035998A 2016-03-15 2016-03-15 벌룬 카테터 KR101996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58198 WO2017158735A1 (ja) 2016-03-15 2016-03-15 バルーンカテーテ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177A KR20170134177A (ko) 2017-12-06
KR101996711B1 true KR101996711B1 (ko) 2019-07-04

Family

ID=5985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998A KR101996711B1 (ko) 2016-03-15 2016-03-15 벌룬 카테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92733B2 (ko)
EP (1) EP3431131B1 (ko)
JP (1) JP6233998B1 (ko)
KR (1) KR101996711B1 (ko)
CN (1) CN107438452B (ko)
WO (1) WO201715873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8896A1 (en) 2005-06-06 2011-02-03 C.R. Bard, Inc. Feeding device including balloon tip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40172003A1 (en) 2012-12-19 2014-06-19 W. L. Gore & Associates, Inc. Threaded balloon catheter seal field of disclosure
JP2015156880A (ja) 2014-02-20 2015-09-0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バルーン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7572A (en) 1975-09-19 1977-03-23 Takeda Chem Ind Ltd Rotary tableting machine
JPH01192369A (ja) * 1988-01-27 1989-08-02 Terumo Corp バルーン付カテーテルおよびその製法
US5512051A (en) * 1993-02-16 1996-04-30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Slip-layered catheter balloon
JPH11128350A (ja) * 1997-10-28 1999-05-18 Terumo Corp カテーテル
US6024752A (en) * 1998-05-11 2000-02-15 Scimed Life Systems, Inc. Soft flexible tipped balloon
US6994687B1 (en) 2000-01-19 2006-02-07 Cordis Neurovascular, Inc. Inflatable balloon catheter with purge mechanism and method
US6723113B1 (en) 2000-01-19 2004-04-20 Cordis Neurovascular, Inc. Inflatable balloon catheter seal and method
US6491711B1 (en) * 2000-11-14 2002-12-10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Balloon catheter with non-circular balloon taper and method of use
US6575934B2 (en) * 2000-12-21 2003-06-10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Low profile catheter
JP5237572B2 (ja) 2007-03-29 2013-07-17 株式会社グツドマン バルーンカテー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56297A (ja) 2007-08-03 2009-03-19 Toray Ind Inc バルーンカテーテル
EP2147696B1 (en) * 2008-07-23 2011-11-30 Abbott Laboratories Vascular Enterprises Limited Balloon catheter
CN202185054U (zh) * 2011-08-19 2012-04-11 郜荣 一种组合式宫颈扩张器
JP6037334B2 (ja) * 2013-06-27 2016-12-07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バルーン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8896A1 (en) 2005-06-06 2011-02-03 C.R. Bard, Inc. Feeding device including balloon tip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40172003A1 (en) 2012-12-19 2014-06-19 W. L. Gore & Associates, Inc. Threaded balloon catheter seal field of disclosure
JP2015156880A (ja) 2014-02-20 2015-09-0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バルーン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38452A (zh) 2017-12-05
KR20170134177A (ko) 2017-12-06
WO2017158735A1 (ja) 2017-09-21
EP3431131A4 (en) 2019-12-04
CN107438452B (zh) 2020-08-28
JPWO2017158735A1 (ja) 2018-03-22
US10092733B2 (en) 2018-10-09
US20170266420A1 (en) 2017-09-21
EP3431131A1 (en) 2019-01-23
JP6233998B1 (ja) 2017-11-22
EP3431131B1 (en)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9064B2 (en) Balloon catheter
KR102184238B1 (ko) 장척 의료용 부재
JP6304713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CN105999517B (zh) 气囊导管
KR102113385B1 (ko) 카테터 및 벌룬 카테터
JP5896478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EP3138602B1 (en) Catheter
KR102113902B1 (ko) 벌룬 카테터
EP3088036B1 (en) Balloon catheter
EP2762192A1 (en) Balloon catheter
KR101996711B1 (ko) 벌룬 카테터
EP1159984B1 (en) Occlusion catheter for the ascending aorta
JP6372904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6645867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EP2801385A1 (en) Balloon catheter
JP7076044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6913664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6639560B2 (ja) カテーテル
US20230129088A1 (en) Catheter
JP6769905B2 (ja) 医療用長尺体
KR20240069200A (ko) 3층 구조의 말단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WO2019180928A1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