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389B1 - 철도 궤도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 Google Patents

철도 궤도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389B1
KR101996389B1 KR1020170170522A KR20170170522A KR101996389B1 KR 101996389 B1 KR101996389 B1 KR 101996389B1 KR 1020170170522 A KR1020170170522 A KR 1020170170522A KR 20170170522 A KR20170170522 A KR 20170170522A KR 101996389 B1 KR101996389 B1 KR 101996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block
upper frame
sound absorb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0054A (ko
Inventor
고효인
장승호
홍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70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3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Abstract

일체형 저상 방음벽은 레일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초저판, 상기 기초저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며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지지블록부, 상기 지지블록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로부터 상기 레일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프레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도 궤도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MONOLITHIC LOW-HEIGHT NOISE BARRIER INSTALLED NEAR RAILWAY TRACK}
본 발명은 일체형 저상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차량용 레일에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철도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철도 궤도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철도 차량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 또는 차단하기 위한 방음장치로서, 특히 저상 방음장치는 일반 방음장치보다 낮은 높이로 철도 차량용 레일에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철도 차량의 차륜 및 하부 동력장치, 그리고 레일 및 침목으로부터 방사되는 소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13206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17016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7266호 등과 같이 다수의 저상 방음장치 관련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저상 방음장치의 경우, 소음의 저감을 위한 최적의 구조로만 개발되어 왔을 뿐, 일반 방음장치에 비해서 궤도로부터 1.6에서 2.1m 정도로 가깝게 설치되는바 철도 차량의 운행에 지장이 되지 않도록 더욱 빠른 시공이 가능하여야 하나 신속한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침목 교환 등의 궤도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궤도에 근접한 지장물이 되어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13206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17016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7266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 차단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설치 및 시공, 수리 및 교환 작업이 용이한 철도 궤도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저상 방음벽은 레일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초저판, 상기 기초저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며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지지블록부, 상기 지지블록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로부터 상기 레일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블록부, 상기 지주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부는 철도 차량의 대차부를 커버하는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블록부, 상기 지주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주부의 상기 레일과 마주보는 측벽에 부착되어 소음을 흡수하는 제1 흡음판 및 상기 상부프레임부의 하면에 부착되어 소음을 흡수하는 제2 흡음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흡음판들 각각은 상기 지주부 및 상기 수평프레임부 각각에 삽입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지주부 및 상기 수평브레임부 각각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초저판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초저판은, 상기 회전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블록부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되거나, 상기 지지블록부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및 제2 기초저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블록부는 양측면에 각각 체결홈 및 체결돌기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지지블록부들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블록부는 상기 상부프레임부를 향하여 상기 관통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구된 체결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를 밀폐하여 상기 레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막음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막음판은 침목이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는 경우, 상기 침목의 관통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막음판은 상기 침목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침목의 관통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열된 이동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막음판은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침목이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는 경우, 상기 기초저판은 상기 지지블록부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부는 상부에서 회절되는 소음을 저감하는 흡음부재 및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음부재는 다수의 홈 및 돌기가 교번적으로 형성된 디퓨져(QRD)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부의 상면에 부착되며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음체는 골재 또는 바인더를 포함한 다공성 재료, 또는 다공성 콘크리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철도 차량의 접근 및 상기 레일의 진동가속도레벨 증가를 알리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보부는 음성을 발생하거나 발광하는 경보신호부 및 상기 레일에 부착된 진동가속도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레일의 진동가속도레벨 및 상기 철도 차량의 통과시간을 감지하여 상기 경보신호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철도 차량에서 소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대차부만을 커버함으로써 소음 감소 효과를 높이면서 승객의 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 시공 내지 설치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지주부 및 상부프레임부에 각각 제1 및 제2 흡음판이 추가로 부착되어 소음 감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노후된 제1 및 제2 흡음판의 교체 시에 상기 제1 및 제2 흡음판만 착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블록부가 체결홈 및 체결돌기를 포함하여 다른 지지블록부들과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지지블록부들의 설치 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초저판 상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지지블록부, 지주부 및 상부프레임부를 설치함으로써 매우 빠른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침목 교환 등의 궤도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지지블록부에 설치된 관통부 및 막음판의 이동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저상 방음벽 자체를 옮기지 않아도 쉽게 침목을 관통시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부의 상부에 QRD 및 흡읍구조체를 설치함에 따라 회절되는 소음을 효율적으로 차단 및 저감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부는 승객 대피 시 발판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나아가, 열차의 접근여부, 레일의 진동레벨의 증가 등을 외부로 알리는 경보부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레일 연마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하고 레일의 교체주기를 유지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의 증가에 따른 제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저상 방음벽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 및 도 2의 일체형 저상 방음벽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일체형 저상 방음벽을 선로변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의 일체형 저상 방음벽에서 지지블록부 및 기초저판을 상부에서 관측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지지블록부 및 기초저판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지지블록부 및 기초저판을 'A'방향에서 관측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기초저판의 회전 시 지지블록부 및 기초저판을 상부에서 관측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 및 도 2의 일체형 저상 방음벽에서 지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 및 도 2의 일체형 저상 방음벽에서 상부프레임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부프레임부의 흡음부재 및 배수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1 및 도 2의 일체형 저상 방음벽에서 막음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막음판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막음판의 침목 작업 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막음판을 'C' 방향에서 관측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저상 방음벽을 도시한 사시도들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 및 도 2의 일체형 저상 방음벽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일체형 저상 방음벽을 선로변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저상 방음벽은 기초저판(10), 회전핀(20), 지지블록부(100), 지주부(200) 및 상부프레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초저판(도 6의 10)은 상기 일체형 저상 방음벽의 기초를 이루는 베이스로서, 레일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기초저판(10)은 제1 기초저판(도 6의 11) 및 제2 기초저판(도 6의 1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기초저판들(11, 1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일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기초저판들(11, 12)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회전핀(도 6의 20)은 상기 기초저판(1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초저판(1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형성된다.
상기 기초저판(10)이 상기 제1 기초저판(11) 및 상기 제2 기초저판(12)을 포함한다면, 이에 따라 상기 회전핀(20)은 상기 제1 및 제2 기초저판(11, 12)들 각각과 결합하는 상기 제1 회전핀(21) 및 상기 제2 회전핀(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핀들(21, 22)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하여도 후술한다.
상기 지지블록부(100)는 상기 기초저판(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블록부(100)는 도 1 내지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별도의 홈을 구비하여 상기 홈을 통해 상기 회전핀(2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기초저판(10)과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블록부(100)는 콘크리트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고 장방형 블록 형상을 가지며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블록부(100)는 양측면에 각각 체결돌기(101) 및 체결홈(102)을 형성하여 인접하는 지지블록부들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홈(102)은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101)는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1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원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101)는 상기 체결홈(102)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상에는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양측면에 각각 하나의 상기 체결홈(102) 및 상기 체결돌기(101)이 구비되었으나, 상기 체결홈(102) 및 상기 체결돌기(101)는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양측에 복수 개가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체결돌기(101) 및 상기 체결홈(102)에 의해 상기 지지블록부(100)는 서로 인접하는 지지블록부들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레일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지지블록부(100)들 각각은 해당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주부(200)는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상면에 수직인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도 연장되어 상기 연장되는 레일에 인접하도록 위치한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부(200)는 상기 철도차량(1)을 향하는 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지는 사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철도 차량(1)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부(100), 상기 지주부(200) 및 상기 상부프레임부(300)는, 철도 차량(1)의 대차부(3)를 커버하는 높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철도 차량(1)으로부터 가장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대차부(3)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철도 차량(1)의 승객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주부(200)의 외면(상기 철도 차량(1)을 향하는 방향)에는 제1 흡음판(210)이 부착된다. 상기 제1 흡음판(210)은 상기 지주부(200)의 전면(全面)에 부착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흡음판(210)은 골재 또는 바인더를 포함한 다공성 재료, 또는 다공성 콘크리트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철도 차량(1)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을 차단하거나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부(300)는 상기 지주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지주부(200)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지지블록부(100) 또는 노반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상부프레임부(300)는 상기 레일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상부프레임부(3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승객이 상기 상부프레임부(300)를 발판으로 밟으면서 하차할 수 있으며, 보다 용이하게 상기 철도 차량(1)으로부터 멀리 대피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부(300)의 하면에는 상기 제2 흡음판(220)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제2 흡음판(220)은 상기 상부프레임부(300) 하면의 전면(全面)에 부착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흡음판(21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흡음판(220) 또한 골재 또는 바인더를 포함한 다공성 재료, 또는 다공성 콘크리트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철도 차량(1)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을 차단하거나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블록부(100), 상기 지주부(200) 및 상기 상부프레임부(3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체로 형성된 상기 지주부(200) 및 상기 상부프레임부(300)의 제1 및 제 2 흡음판들(210, 220)에 의해 상기 철도 차량(1)의 대차부(3)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의 상기 제1 및 제2 흡음판(220)들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블록부(100), 상기 지주부(200) 및 상기 상부프레임부(3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핀(20)에 의해 상기 기초저판(10)의 상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블록부(100), 상기 지주부(200) 및 상기 프레임부 중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상기 일체로 형성된 상기 지지블록부(100), 상기 지주부(200) 및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기초저판(10)의 상부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전체 또는 일부의 해체 작업 없이도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블록부(100)는 상기 레일과 마주보는 전면부터 후면까지 관통된 관통부(11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관통부(110)는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전면에서 상기 레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며, 상기 제1 관통부(111) 및 상기 제2 관통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철도 차량(1)의 침목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침목을 상기 관통부(110)에 관통시킴으로써, 즉 침목을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상기 전면부터 상기 후면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침목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블록부(100)는 상기 관통부(110)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구된 체결공(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체결공(120)은 상기 상부프레임부(30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것으로 막음판(400)이 상기 체결공(1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관통부(110)를 밀폐하여 상기 철도 차량(1)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부(110)가 상기 제1 및 제2 관통부들(111, 112)을 포함한다면, 상기 체결공(120)은 상기 제1 및 제2 관통부들(111, 112) 각각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1 체결공(121) 및 제2 체결공(122)을 포함하고, 상기 막음판은 상기 제1 및 제2 관통부들(111, 112) 각각을 밀폐하는 제1 막음판(401) 및 제2 막음판(402)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막음판(40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6은 도 1 및 도 2의 일체형 저상 방음벽에서 지지블록부 및 기초저판을 상부에서 관측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지지블록부 및 기초저판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지지블록부 및 기초저판을 'A'방향에서 관측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기초저판의 회전 시 지지블록부 및 기초저판을 상부에서 관측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기초저판(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저면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및 제2 기초저판들(11, 1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 2 기초저판들(11, 12)은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연장방향으로, 레일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기초저판들(11, 12)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회전핀들(21, 22)과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기초저판들(11, 12)이 상기 제1 및 제2 회전핀들(21, 22)과 각각 결합하여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블록부(100)가 상기 제1 및 제2 기초저판들(11, 12)을 따라 운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기초저판들(11, 1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블록부(100)는 저면부에 형성된 홈들(미도시)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회전핀들(21, 22)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기초저판들(11, 12)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부(100)가 상기 기초저판(10)의 상부에 설치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회전핀들(21, 22)이 회전하여 상기 제1 및 제 2 기초저판들(11, 12)이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기초저판들(11, 12)이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하부에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지지블록부(100)에 풍하중 및 외부 충격에 의한 지지력을 추가로 부가하여, 상기 지지블록부(100)가 상기 기초저판(10)의 상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침목의 교체 작업을 위해 상기 침목이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관통부를 관통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및 제2 기초저판들(11, 12)은 회전하여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함으로써, 상기 침목의 교체 작업의 안전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1 및 도 2의 일체형 저상 방음벽에서 지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지주부(2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흡음판(220)이 부착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흡음판(220)을 상기 지주부(200)에 부착하기 위해 제1 고정부재(221)를 이용한다. 즉, 상기 제1 고정부재(221)가 상기 제2 흡음판(220)을 관통하여 상기 지주부(200)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흡음판(220)을 상기 지주부(2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고정부재(221)는 너트, 자석 또는 고정핀일 수 있다.
도 11은 도 1 및 도 2의 일체형 저상 방음벽에서 상부프레임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상부프레임부의 흡음부재 및 배수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프레임부(300)의 하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흡음판(210)이 부착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흡음판(210)을 상기 상부프레임부(300)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제2 고정부재(211)를 이용한다. 즉, 상기 제2 고정부재(211)가 상기 제1 흡음판(21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프레임부(300)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흡음판(210)을 상기 상부프레임부(3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고정부재(211)는 너트, 자석 또는 고정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부(300)의 상부에는 회절되는 소음을 저감하는 흡음부재(31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부(300)는 상기 레일을 향하여 연장된 것으로, 상기 레일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상기 상부프레임부(300)의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의 끝단에서 회절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흡음부재(310)는 도 3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번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홈(311) 및 돌기(312)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디퓨져(QRD, Quadratic Residue Diffuser)일 수 있다.
상기 흡음부재(310)의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면 상기 홈(311)에 도달된 입사파와 이로부터 반사되는 반사파의 간섭에 의해서 상기 흡음부재(310)의 전면이 음파의 산란 및 흡음 특성을 나타내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절된 소음이 상기 흡음부재(310)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부(300)의 상면, 즉 상기 흡음부재(310)의 상부에는 흡음체(320)가 형성된다.
상기 흡음체(320)는 골재 또는 바인더를 포함한 다공성 재료, 또는 다공성 콘크리트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철도 차량(1)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을 차단하거나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체(320)가 다공성 재료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의 빗물, 눈 및 오염물질들이 상기 흡음체(3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음체로 유입된 빗물, 눈 및 오염물질들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부(300)의 내부에서 상기 흡음체(320)의 하부에는 배수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부(330)는 상기 상부프레임부(300)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수부(330)를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부(30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배수가 수행된다. 상기 배수부(330)는 상기 흡음체(320)가 형성된 영역 전체에서 원할한 배수를 위해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상부프레임부(300)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 및 도 2의 일체형 저상 방음벽에서 막음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막음판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막음판의 침목 작업 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막음판을 'C' 방향에서 관측한 평면도이다.
상기 막음판(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공(1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관통부(110)를 밀폐하여 상기 철도 차량(1)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막음판(40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복수의 이동부재들(41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들(410)은 롤러 또는 베어링일 수 있다.
상기 막음판(400)은 상기 철도 차량(1)의 소음을 저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위치하여 상기 관통부(110)가 완전히 폐쇄되도록 한다.
이와 달리 상기 막음판(400)은 침목(T)의 교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부(110)의 일부만을 밀폐한다. 즉, 상기 침목(T)이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상기 관통부(110)를 관통하는 경우, 상기 막음판(400)은 상기 침목(T)의 관통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막음판(400)의 상기 이동부재들(410)은 상기 침목(T)의 관통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이에 따라 상기 침목(T)이 상기 이동부재들(410)을 통해 상기 관통부(110) 내부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침목 교환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막음판(400)의 일측에는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420)는 상기 막음판(400)의 위치 변경에 사용된다. 즉, 상기 막음판(400)을 상기 관통부(110)를 완전히 밀폐하도록 수직으로 위치하게 하거나, 상기 관통부(110)의 관통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할 때 상기 손잡이부(420)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막음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420)는 상기 막음판(400)의 위치 변경에 사용되어 상기 막음판(400)의 위치 변경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선로유지보수 작업자가 철도 차량(1)에 대하여 상기 일체형 저상 방음벽의 안측에 대피할 때 손잡이로 사용하여 안정되게 몸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목이 상기 제1 관통부(111) 또는 상기 제2 관통부(112)를 관통하는 경우, 상기 제1 막음판(401) 및 상기 제2 막음판(402)을 상기 제1 관통부(111) 또는 상기 제2 관통부(112)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침목이 제1 또는 제2 관통부(111, 112)의 일측부터 타측까지 완전히 관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저상 방음벽은 철도 차량(1)의 접근 및 상기 레일의 진동가속도레벨 증가를 알리는 경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부(500)는 음성을 발생하거나 발광하는 경보신호부(510) 및 상기 레일에 부착된 진동가속도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레일의 진동가속도레벨 및 상기 철도 차량(1)의 통과시간을 감지하여 상기 경보신호부(51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경보신호부(510) 및 상기 제어부(520) 각각은 상기 지지블록부(100)의 외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경보신호부(510) 및 상기 제어부(520)의 설치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보신호부(510)를 통해 상기 철도 차량(1)의 진입을 경보할 수 있으며, 열차의 접근여부를 외부로 알림에 따라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20)는 평소보다 레일의 진동가속도 레벨이 일정 수준 이상 증가하여 통과하는 철도 차량(1)의 소음레벨이 일정 수준 이상 증가하게 되면, 상기 경보신호부(510)를 작동시켜 레일 표면의 조도(거칠기)를 연마해야하는 시기가 도달한 것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철도 차량(1)의 통과소음이 증가하여 주거지에서의 민원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선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일체형 저상 방음벽은 철도 차량(1)의 진동소음이 주거지로 방사되는 것을 차단할뿐만 아니라, 레일의 표면 조도의 성장으로 소음레벨이 증가하는 것 또한 방지하여 저소음 레일을 유지할 수 있도록 레일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철도 차량에서 소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대차부만을 커버함으로써 소음 감소 효과를 높이면서 승객의 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 시공 내지 설치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지주부 및 상부프레임부에 각각 제1 및 제2 흡음판이 추가로 부착되어 소음 감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노후된 제1 및 제2 흡음판의 교체 시에 상기 제1 및 제2 흡음판만 착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블록부가 체결홈 및 체결돌기를 포함하여 다른 지지블록부들과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지지블록부들의 설치 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초저판 상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지지블록부, 지주부 및 상부프레임부를 설치함으로써 매우 빠른 시공이 가능하며,
또한, 침목 교환 등의 궤도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지지블록부에 설치된 관통부 및 막음판의 이동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저상 방음벽 자체를 옮기지 않아도 쉽게 침목을 관통시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부의 상부에 QRD 및 흡읍구조체를 설치함에 따라 회절되는 소음을 효율적으로 차단 및 저감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부는 승객 대피 시 발판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나아가, 열차의 접근여부, 레일의 진동레벨의 증가 등을 외부로 알리는 경보부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레일 연마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하고 레일의 교체주기를 유지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의 증가에 따른 제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기초저판 20 : 회전핀
100 : 지지블록부 110 : 관통부
120 : 체결공 200 : 지주부
210 : 제1 흡음판 211 : 제2 고정부재
220 : 제2 흡음판 221 : 제1 고정부재
300 : 상부프레임부 310 : 흡음부재
320 : 흡음체 330 : 배수부
400 : 막음판 410 : 이동부재
420 : 손잡이부 510 : 경보신호부
520 : 제어부

Claims (19)

  1. 레일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초저판;
    상기 기초저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며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지지블록부;
    상기 지지블록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지주부;
    상기 지주부로부터 상기 레일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프레임부; 및
    상기 기초저판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핀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저판은, 상기 회전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블록부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되거나, 상기 지지블록부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및 제2 기초저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부, 상기 지주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부는,
    철도 차량의 대차부를 커버하는 높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부, 상기 지주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의 상기 레일과 마주보는 측벽에 부착되어 소음을 흡수하는 제1 흡음판; 및
    상기 상부프레임부의 하면에 부착되어 소음을 흡수하는 제2 흡음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음판들 각각은,
    상기 지주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부 각각에 삽입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지주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부 각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부는,
    양측면에 각각 체결홈 및 체결돌기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지지블록부들과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부는,
    상기 상부프레임부를 향하여 상기 관통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구된 체결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를 밀폐하여 상기 레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막음판을 더 포함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은,
    침목이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는 경우,
    상기 침목의 관통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은,
    상기 침목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침목의 관통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열된 이동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은,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13. 제9항에 있어서,
    침목이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는 경우,
    상기 기초저판은 상기 지지블록부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부는,
    상부에서 회절되는 소음을 저감하는 흡음부재; 및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는,
    다수의 홈 및 돌기가 교번적으로 형성된 디퓨져(Q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부의 상면에 부착되며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체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체는,
    골재 또는 바인더를 포함한 다공성 재료, 또는 다공성 콘크리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18. 제1항에 있어서,
    철도 차량의 접근 및 상기 레일의 진동가속도레벨 증가를 알리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음성을 발생하거나 발광하는 경보신호부; 및
    상기 레일에 부착된 진동가속도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레일의 진동가속도레벨 및 상기 철도 차량의 통과시간을 감지하여 상기 경보신호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KR1020170170522A 2017-12-12 2017-12-12 철도 궤도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KR101996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522A KR101996389B1 (ko) 2017-12-12 2017-12-12 철도 궤도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522A KR101996389B1 (ko) 2017-12-12 2017-12-12 철도 궤도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054A KR20190070054A (ko) 2019-06-20
KR101996389B1 true KR101996389B1 (ko) 2019-10-01

Family

ID=6710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522A KR101996389B1 (ko) 2017-12-12 2017-12-12 철도 궤도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3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872B2 (ja) * 1995-05-12 2001-08-13 三菱電機株式会社 列車接近警報装置
JP3660335B2 (ja) 2002-10-10 2005-06-15 株式会社栗本鐵工所 鉄道用防音壁
JP2007170166A (ja) 2005-11-28 2007-07-05 Toray Ind Inc 防音性能に優れた防音構造体
KR101791175B1 (ko) 2011-06-30 2017-10-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KR200475822Y1 (ko) * 2012-06-12 2015-01-12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철도용 근접 방음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054A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389B1 (ko) 철도 궤도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JP2013535595A (ja) 鉄道の騒音障壁として機能する壁構造体および騒音または通行障壁としての壁構造体の使用
JP5894675B2 (ja) 車両線路
JP4587660B2 (ja) 鉄道車両用軌道
KR101048343B1 (ko) 철도교
JP2004132062A (ja) 鉄道用防音壁
RU201071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шума вагонного замедлителя сортировочной горки
KR101044368B1 (ko) 소음저감용 방음구조물
KR101982577B1 (ko) 부양식 맨홀 뚜껑 세트
KR20120037158A (ko) 곡선구간에서의 철도차량 마찰소음 저감장치
KR101987023B1 (ko) 부양식 맨홀 뚜껑 시공 공법
KR101650409B1 (ko) 방음장치
JP2015501894A (ja) 騒音防止装置
RU2437980C1 (ru) Противотаранная дорожно-заград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KR100581092B1 (ko) 도로 방음벽용 기초앵커
RU2286459C1 (ru)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киоск метрополитена
JP6975299B2 (ja) 高架橋及び騒音低減装置
KR0140545Y1 (ko) 철도차량용 배수관의 방음장치
JP6975104B2 (ja) 橋梁の騒音低減装置
WO2017061596A1 (ja) 軌道、走行路形成部、軌道の敷設方法、及び軌道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102212757B1 (ko)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CN110468752A (zh) 用于轨道交通高架桥的防雨帘声屏障
RU96872U1 (ru) Противотаранная дорожно-заград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KR200362553Y1 (ko) 철도레일용 소음방지블록
JP2012207509A (ja) 鉄道用防音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