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793B1 -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793B1
KR101995793B1 KR1020170159774A KR20170159774A KR101995793B1 KR 101995793 B1 KR101995793 B1 KR 101995793B1 KR 1020170159774 A KR1020170159774 A KR 1020170159774A KR 20170159774 A KR20170159774 A KR 20170159774A KR 101995793 B1 KR101995793 B1 KR 101995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ent
decor
disposed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406A (ko
Inventor
김민식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9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7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2Arrangement of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흙이나 사막, 암벽 등 주로 지반이 약하거나 포장이 되지 않은 험로를 주행하며, 사이드월의 상단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사이드바이터를 듀얼로 형성하여 험로에서의 견인력과 배토성이 향상되도록 한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바이터(10)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바이터블록(11)과;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제1바이터블록(11)과 교대로 배치되고 제1바이터블록(1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제2바이터블록(12)과; 제1바이터블록(11)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데코블록(14)과; 제2바이터블록(12)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데코블록(15)과; 제1바이터블록(11)과 제2바이터블록(11)에 각각 대칭하도록 제1데코블록(14)과 제2데코블록(15)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3바이터블록(13)을 포함하고, 제1바이터블록(11)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데코블록(14)과 제3바이터블록(13)에 의해 견인력을 향상시키는 제1바이터구간(S1)이 형성되고, 제2바이터블록(12)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2데코블록(15)과 제3바이터블록(13)에 의해 배토성을 향상시키는 제2바이터구간(S2)이 형성되며, 제1바이터구간(S1)과 제2바이터구간(S2)이 제3바이터블록(13)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for Off-Road}
본 발명은 진흙이나 사막, 암벽 등 주로 지반이 약하거나 포장이 되지 않은 험로를 주행하는 오프로드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월의 상단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사이드바이터를 듀얼 타입으로 형성하여 험로에서의 견인력과 배토성이 향상되도록 한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자동차의 하중을 지지함과 아울러 지면과의 마찰을 이용하여 자동차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운전자의 안정성과 승차감을 좌우하고 있다.
이러한 타이어에서 트레드는 노면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며, 타이어의 이상 마모를 최소화하고 승차감과 제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트레드면에 다양한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는 포장된 도로뿐만 아니라 비포장도로나, 진흙탕, 빙판 등 다양한 지형에서 운행되고 있으므로, 타이어 역시 그 용도에 맞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비포장도로나 험로 등의 오프로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대신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사이드월 상단부의 내구성이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오프로드 주행시 돌출물들이 사이드월 상단부에 충돌하거나 마찰이 일어나는 경우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래나 진흙으로 이루어진 곳에서는 타이어가 헛돌아 차량이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암벽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암벽의 측면을 접하는 타이어의 사이드월이 견인력을 갖지 못해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의 사이드월 상단부에서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사이드바이터를 형성하여, 사이드월 상단부의 내구성 및 견인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프로드용 타이어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사이드바이터가 구비된 오프로드용 타이어는, 사이드바이터로서 한가지 형상의 블록만 연속적으로 나열하고 있어 바이팅 엣지 효과가 미약하고 견인력과 배토성을 양립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하, 사이드바이터가 블록보다는 장식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향상된 바이팅엣지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사이드바이터의 블록 형상이 잘게 분할된 형태로 되어 있어 사이드월을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음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다.
특허문헌 1은, 타이어 사이드월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이드바이터가 다수 개 돌출 형성되어, 포장되지 않고 지반이 약한 길이나 진흙으로 된 노면에서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암반타기에도 암반의 측면에 닿아 회전할 수 있음으로 용이하게 차량을 이동시킴으로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트레드부를 중심으로 타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사이드월부, 및 비드부가 연장 형성되고, 트레드부는 접지 경계선을 기준으로 트레드 접지부와 트레드 숄더부로 구획되며, 트레드 숄더부와 사이드월부를 구획하는 사이드월 경계선를 기준으로 사이드월부 상단부에 복수개의 타이어 바이터가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양각지게 돌출 형성되고, 타이어 바이터는 사이드월 경계선로부터 기울기를 가지고 유선형을 이루며 점차 폭이 감소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1 바이터 블록; 및 제1 바이터 블록 일측에서 제1 바이터 블록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고 유선형을 이루며 점차 폭이 감소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2 바이터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이드월부 상단부에서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타이어 바이터를 형성하여, 사이드월부 상단부의 내구성 및 견인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타이어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개시하고 있다.
KR 10-0823893 B1 KR 10-1007641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이드월의 상단을 따라 사이드바이터를 형성하되, 견인력을 향상시키는 구간과 배토성을 향상시키는 구간을 교대로 배치한 듀얼 타입으로 구성하여, 향상된 견인력과 배토성을 양립시키고 험로 주행시 돌이나 이물질로부터 사이드월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이드월의 상단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사이드바이터를 포함하는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 있어서,
상기 사이드바이터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바이터블록과;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바이터블록과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바이터블록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제2바이터블록과; 상기 제1바이터블록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데코블록과; 상기 제2바이터블록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데코블록과; 상기 제1바이터블록과 제2바이터블록에 각각 대칭하도록 상기 제1데코블록과 제2데코블록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3바이터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바이터블록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데코블록과 제3바이터블록에 의해 견인력을 향상시키는 제1바이터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바이터블록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2데코블록과 제3바이터블록에 의해 배토성을 향상시키는 제2바이터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바이터구간과 제2바이터구간이 제3바이터블록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바이터는 사이드월 표면으로부터 6~10㎜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바이터블록의 중간 부분에 지그재그 형상의 사이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에 따르면, 상기 제3바이터블록의 길이(H3)는 림 장착부에서 사이드바이터 끝단까지의 길이인 H의 35% 초과 45% 미만이고, 제1데코블록에 인접한 내각은 100~160도이고 제2데코블록에 인접한 외각은 180~240도가 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에 따르면, 상기 제2바이터블록은 제1바이터블록의 면적대비 100% 초과~150%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바이터블록의 길이(H1)는 제3바이터블록의 길이인 H3의 55% 초과 65% 미만이고, 제2바이터블록의 길이(H2)는 H3의 70% 초과 8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에 따르면, 상기 제1바이터블록은 숄더부 끝단에서 폭 방향 양끝단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후 내측을 향하도록 1차 절곡된 후 끝단 부근에서 내측 방향으로 2차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바이터블록은 숄더부 끝단에서 폭 방향 양끝단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후 외측을 향하도록 1차 절곡된 후 끝단 부근에서 내측 방향으로 2차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3바이터블록은 숄더부 끝단에서 폭 방향 양끝단이 제1바이터블록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부는 일정 내각으로 1차 절곡된 후 끝단 부근에서 사이드바이터 하단부까지 제2바이터블록 방향으로 2차절곡되고, 외측부는 외측각이 예각이 되도록 제2데코블록을 향하여 1차 절곡된 후 내측각이 예각이 되도록 2차 절곡되어 꼬리부를 형성하고 끝단 부근에서 외측각이 일정 외각이 되도록 3차 절곡된 후 사이드바이터 하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내측부에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에 따르면, 상기 제1데코블록은 사이드바이터 하단부에서 제1바이터블록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바이터블록의 내측 끝단 부근에서 제3바이터블록의 내측면과 나란하도록 1차 절곡된 후 제3바이터블록의 절곡부 부근에서 2차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에 따르면, 상기 제2데코블록은 90~110도 범위의 내각으로 3차례 절곡되어 형성되되, 사이드바이터 하단부에서 상기 제2바이터블록의 끝단부와 나란하도록 형성된 후 제3바이터블록의 외측면과 제2바이터블록의 외측면에 나란하도록 1차 절곡되고, 상기 제3바이터블록의 꼬리부 부근에서 제3바이터블록을 향하여 2차 절곡된 후, 상기 제3바이터블록의 꼬리부 안쪽 방향으로 3차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프로드용 타이어는 사이드월의 상단을 따라 듀얼 사이드바이터가 형성되어 견인력과 배토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진흙이나 사막, 암벽 등 주로 지반이 약하거나 포장이 되지 않은 험로를 주행하는데 있어서 향상된 주행능력을 갖출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험로 주행에서 돌이나 이물들로부터 사이드월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오프로드 주행시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이드월 세파레이션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가 도시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사이드바이터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사이드바이터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제3바이터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제2데코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프로드용 타이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오프로드용 타이어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월(30)의 상단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사이드바이터(10)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사이드바이터(10)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바이터블록(11)과;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바이터블록(11)과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바이터블록(1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제2바이터블록(12)과; 상기 제1바이터블록(11)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데코블록(14)과; 상기 제2바이터블록(12)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데코블록(15)과; 상기 제1바이터블록(11)과 제2바이터블록(11)에 각각 대칭하도록 상기 제1데코블록(14)과 제2데코블록(15)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3바이터블록(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바이터블록(11)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데코블록(14)과 제3바이터블록(13)에 의해 견인력을 향상시키는 제1바이터구간(S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바이터블록(12)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2데코블록(15)과 제3바이터블록(13)에 의해 배토성을 향상시키는 제2바이터구간(S2)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바이터구간(S1)과 제2바이터구간(S2)이 제3바이터블록(13)을 공유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바이터(10)로서 견인력을 향상시키는 제1바이터구간(S1)과 배토성을 향상시키는 제2바이터구간(S2)의 듀얼 사이드바이터를 적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바이터구간(S1)과 제2바이터구간(S2)의 폭은 도로의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20)의 숄더 블록과 연결성을 갖도록 설정하되, 상기 제1바이터블록(11)과 제2바이터블록(12) 및 제3바이터블록(13)이 숄더블록에 연결되도록 숄더 엔드(SE)에서부터 시작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바이터(10)는 사이드월(30)의 표면으로부터 최대 10㎜까지만 돌출되게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바이터구간(S1)을 형성하는 제3바이터블록(13)의 두께(T)를 6~10㎜로 설정한다.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견인력의 향상에 있는데, 제3바이터블록(13)의 두께(T)가 하한치 미만이면 설계 견인력이 하락하고, 상한치를 초과하게 되면 견인력을 향상되지만 배토성이 하락하는 결과가 발생한다.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이 구비됨에 따라 견인력은 향상되지만 배토성이 하락하므로, 견인력 향상에 기여하는 제1바이터블록(11)을 배토성 향상에 기여하는 제2바이터블록(12)에 비해 작게 하여 배토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바이터블록(11)의 두께를 4~8㎜로 설계하여 제3바이터블록(13)과 층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암반 주행시 암반 측면에 순차적으로 접지되어 주행능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에서 제1바이터블록측, 즉 제1데코블록(14)에 인접한 내각(A)을 100~160도로 설정하여 진흙이나 모래를 잡은 상태로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견인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 상기 제2바이터구간(S2)은 배토성과 사이드월(30)의 세퍼레이션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진흙이나 모래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제2바이터구간(S2)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3바이터블록(13)의 안쪽인 제2바이터블록측, 즉 제2데코블록(15)에 인접한 외각(B)을 180~240도가 되도록 설계한다.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의 외각(B)을 180도 이하로 설계하면 견인력이 하락하고 제3바이터블록(13)의 크기가 작아져 강성이 하락함으로써 사이드월 세퍼레이션이 야기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바이터블록(12)의 두께 역시 4~8㎜로 설계하여 제3바이터블록(13)과 층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암반에서의 주행능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바이터구간(S2)에서의 견인력 확보를 위하여 상기 제2데코블록(15)의 내각(C)을 90~110도 범위로 한정한다.
또한, 상기 제1데코블록(11)과 제2데코블록(12)은 3~5㎜의 두께로 형성하여, 사이드바이터(10)의 바이터블록(11)(12)(13) 사이의 공간으로 돌이나 이물질이 침입하여 발생하는 사이드월 세퍼레이션을 방지하고 견인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 데코블록(11)(12)의 두께가 3㎜ 미만이면 작은 돌이나 날카로운 이물질로부터 사이드월(30)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여 사이드월 세퍼레이션이 야기되고,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성이 약해져 쉽게 파손된다.
그리고,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은 중간 부분에 지그재그 형상의 사이프(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사이드월(30)의 굴신을 용이하게 한 것으로, 이로인해 제3바이터블록(13)의 뜯김 현상이나 사이드월(30)의 세퍼레이션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의 길이(H3)는 림 장착부(40)에서 사이드바이터(10) 끝단까지의 길이(H)의 35% 초과 45% 미만(0.35H < H3 < 0.45H))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H3을 H의 35% 이하로 설계하면 주행시 진흙이나 모래에 충분히 묻히지 못하게 되어 견인력이 하락하고, 45% 이상으로 설계하더라도 주행시 길어진 부분이 땅에 묻히기보다는 돌출된 상태가 되어 견인력의 향상에는 기여하지 못하고 중량 증가의 악영향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제2바이터블록(12)은 제1바이터블록(11)의 면적대비 100% 초과~150%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바이터블록(11)의 길이(H1)는 제3바이터블록(13)의 길이인 H3의 55% 초과 65% 미만이고, 제2바이터블록(12)의 길이(H2)는 H3의 70% 초과 80%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제2바이터 블록(12)의 면적이 제1바이터블록(11)의 면적대비 100% 미만으로 설계되면 배토성은 향상되나 견인력이 하락하고 빈공간이 많아 사이드월 세퍼레이션 현상을 초래한다. 또, 상기 제2바이터 블록(12)의 면적이 제1바이터블록(11)의 면적대비 150% 초과로 설계되면 빈공간이 없어 견인력과 배토성 모두가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한편, 상기 사이드바이터(10)를 형성하는 바이터블록(11)(12)(13)이나 데코블록(14)(15)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바이터블록(11)은 숄더부 끝단(SE)에서 폭 방향 양끝단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후 내측을 향하도록 1차 절곡된 후 끝단 부근에서 내측 방향으로 2차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바이터블록(12)은 숄더부 끝단(SE)에서 폭 방향 양끝단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후 외측을 향하도록 1차 절곡된 후 끝단 부근에서 내측 방향으로 2차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바이터블록(11)과 제2바이터블록(12)은 반경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숄더부 끝단(SE)에서 폭 방향 양끝단이 제1바이터블록(11)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부(13a)는 일정 내각(A)으로 1차 절곡된 후 끝단 부근에서 사이드바이터(10) 끝단부까지 제2바이터블록(12) 방향으로 2차절곡되고, 외측부(13b)는 외측각이 예각이 되도록 제2데코블록(15)을 향하여 1차 절곡된 후 내측각이 예각이 되도록 2차 절곡되어 꼬리부(13c)를 형성하고 끝단 부근에서 외측각이 일정 외각이 되도록 3차 절곡된 후 사이드바이터(10) 끝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내측부(13a)에 이어지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제1데코블록(14)은 사이드바이터(10) 하단부에서 제1바이터블록(11)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의 내측 끝단 부근에서 제3바이터블록(13)의 내측면과 나란하도록 1차 절곡된 후 제3바이터블록(13)의 절곡부 부근에서 2차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데코블록(15)은 도 6에 도시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범위의 내각(C)으로 3차례 절곡되어 형성되되, 사이드바이터(10) 하단부에서 상기 제2바이터블록(12)의 끝단부와 나란하도록 형성된 후 제3바이터블록(13)의 외측면과 제2바이터블록(12)의 외측면에 나란하도록 1차 절곡되고,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의 꼬리부(13c) 부근에서 제3바이터블록(13)을 향하여 2차 절곡된 후,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의 꼬리부(13c) 안쪽 방향으로 3차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상기 바이터블록(11)(12)(13)과 데코블록(14)(15)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두께와 각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사이드바이터
11...제1바이터블록
12...제2바이터블록
13...제3바이터블록
13'...사이프
13a...내측부
13b...외측부
13c...꼬리부
14...제1데코블록
15...제2데코블록
20...트레드부
30..사이드월
40...림 장착부
S1...제1바이터구간
S2...제2바이터구간
SE...숄더 엔드
A...제3바이터블록의 내각
B...제3바이터블록의 외각
C...제2데코블록의 내각

Claims (7)

  1. 사이드월(30)의 상단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사이드바이터(10)를 포함하는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 있어서,
    상기 사이드바이터(10)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바이터블록(11)과;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바이터블록(11)과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바이터블록(1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제2바이터블록(12)과;
    상기 제1바이터블록(11)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데코블록(14)과;
    상기 제2바이터블록(12)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데코블록(15)과;
    상기 제1바이터블록(11)과 제2바이터블록(11)에 각각 대칭하도록 상기 제1데코블록(14)과 제2데코블록(15)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3바이터블록(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바이터블록(11)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데코블록(14)과 제3바이터블록(13)에 의해 견인력을 향상시키는 제1바이터구간(S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바이터블록(12)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2데코블록(15)과 제3바이터블록(13)에 의해 배토성을 향상시키는 제2바이터구간(S2)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바이터구간(S1)과 제2바이터구간(S2)이 제3바이터블록(13)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로드용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바이터(10)는 사이드월(30) 표면으로부터 6~10㎜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의 중간 부분에 지그재그 형상의 사이프(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로드용 타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의 길이(H3)는 림 장착부(40)에서 사이드바이터(10) 끝단까지의 길이인 H의 35% 초과 45% 미만이고,
    제1데코블록(14)에 인접한 내각(A)은 100~160도이고 제2데코블록(15)에 인접한 외각(B)은 180~240도가 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로드용 타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이터블록(12)은 제1바이터블록(11)의 면적대비 100% 초과~150%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바이터블록(11)의 길이(H1)는 제3바이터블록(13)의 길이인 H3의 55% 초과 65% 미만이고,
    제2바이터블록(12)의 길이(H2)는 H3의 70% 초과 8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로드용 타이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이터블록(11)은 숄더부 끝단(SE)에서 폭 방향 양끝단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후 내측을 향하도록 1차 절곡된 후 끝단 부근에서 내측 방향으로 2차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바이터블록(12)은 숄더부 끝단(SE)에서 폭 방향 양끝단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후 외측을 향하도록 1차 절곡된 후 끝단 부근에서 내측 방향으로 2차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은 숄더부 끝단(SE)에서 폭 방향 양끝단이 제1바이터블록(11)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부(13a)는 일정 내각(A)으로 1차 절곡된 후 끝단 부근에서 사이드바이터(10) 끝단부까지 제2바이터블록(12) 방향으로 2차절곡되고,
    외측부(13b)는 외측각이 예각이 되도록 제2데코블록(15)을 향하여 1차 절곡된 후 내측각이 예각이 되도록 2차 절곡되어 꼬리부(13c)를 형성하고 끝단 부근에서 외측각이 일정 외각이 되도록 3차 절곡된 후 사이드바이터(10) 끝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내측부(13a)에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로드용 타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코블록(14)은 사이드바이터(10) 하단부에서 제1바이터블록(11)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의 내측 끝단 부근에서 제3바이터블록(13)의 내측면과 나란하도록 1차 절곡된 후 제3바이터블록(13)의 절곡부 부근에서 2차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로드용 타이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데코블록(15)은 90~110도 범위의 내각(C)으로 3차례 절곡되어 형성되되, 사이드바이터(10) 하단부에서 상기 제2바이터블록(12)의 끝단부와 나란하도록 형성된 후 제3바이터블록(13)의 외측면과 제2바이터블록(12)의 외측면에 나란하도록 1차 절곡되고,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의 꼬리부(13c) 부근에서 제3바이터블록(13)을 향하여 2차 절곡된 후, 상기 제3바이터블록(13)의 꼬리부(13c) 안쪽 방향으로 3차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로드용 타이어.
KR1020170159774A 2017-11-28 2017-11-28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 KR101995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774A KR101995793B1 (ko) 2017-11-28 2017-11-28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774A KR101995793B1 (ko) 2017-11-28 2017-11-28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06A KR20190061406A (ko) 2019-06-05
KR101995793B1 true KR101995793B1 (ko) 2019-07-03

Family

ID=6684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774A KR101995793B1 (ko) 2017-11-28 2017-11-28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116A (ko) 2022-09-28 2024-04-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4272B1 (ja) 2018-09-14 2020-02-1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7251A (ja) 2008-08-19 2010-03-04 Goodyear Tire & Rubber Co:The サイドウォールトレッド突起を有する空気入りタイヤ
JP2017121876A (ja) 2016-01-07 2017-07-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8022B2 (en) * 2003-11-14 2006-05-2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tread with anti-puncture pads
KR100823893B1 (ko) 2006-07-31 2008-04-2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101007641B1 (ko) 2008-07-18 2011-01-1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7251A (ja) 2008-08-19 2010-03-04 Goodyear Tire & Rubber Co:The サイドウォールトレッド突起を有する空気入りタイヤ
JP2017121876A (ja) 2016-01-07 2017-07-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116A (ko) 2022-09-28 2024-04-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06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0115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9079460B2 (en) Pneumatic tire
JP5054199B2 (ja) 車両の車輪用タイヤ
JP503864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3815758B2 (ja)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KR101877573B1 (ko) 공기 타이어
JP4654301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772709B1 (ko) 공기 타이어
WO2010116710A1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995793B1 (ko)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
JP5506530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3523520A (ja) 重荷重車両ホイール用のタイヤ
KR20180001438A (ko) 타이어
KR100604077B1 (ko) 오프로드용 고성능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구조
JP6825327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823893B1 (ko)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RU2750756C2 (ru) Автомобильная шина
JP5711917B2 (ja) タイヤ
JP4762322B2 (ja) 空気入りタイヤ
EP1122099B1 (en) Pneumatic tire
WO2019146370A1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749399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레이디얼 타이어
JP2010254154A (ja) タイヤ
JPS63125411A (ja) 低騒音タイヤ
CN110461624B (zh) 胎面具有含底切侧面的凹槽和增强元件的轮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