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641B1 -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641B1
KR101007641B1 KR1020080070202A KR20080070202A KR101007641B1 KR 101007641 B1 KR101007641 B1 KR 101007641B1 KR 1020080070202 A KR1020080070202 A KR 1020080070202A KR 20080070202 A KR20080070202 A KR 20080070202A KR 101007641 B1 KR101007641 B1 KR 101007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iter
block
sidewall
t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353A (ko
Inventor
이영선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0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64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8Tyre cool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s
    • B60C23/19Tyre cool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s for dissipating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86Continuous ribs
    • B60C2011/039Continuous ribs provided at the shoulder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부(10)를 중심으로 타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사이드월부(20), 및 비드부(30)가 연장 형성되고, 트레드부(10)는 접지 경계선(X)을 기준으로 트레드 접지부(11)와 트레드 숄더부(12)로 구획되며, 트레드 숄더부(12)와 사이드월부(20)를 구획하는 사이드월 경계선(S)를 기준으로 사이드월부(20) 상단부에 복수개의 타이어 바이터(50)가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양각지게 돌출 형성되고, 타이어 바이터(50)는 사이드월 경계선(S)로부터 기울기(a)를 가지고 유선형을 이루며 점차 폭이 감소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1 바이터 블록(51); 및 제1 바이터 블록(51) 일측에서 제1 바이터 블록(51)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고 유선형을 이루며 점차 폭이 감소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2 바이터 블록(5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이드월부 상단부에서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타이어 바이터를 형성하여, 사이드월부 상단부의 내구성 및 견인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타이어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사이드월, 타이어 바이터

Description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PNEUMATIC RADIAL TIRE}
본 발명은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사이드월부 가장자리에 타이어 바이터가 형성된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는 실생활에서 중요한 교통수단으로써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그 기능 및 성능의 최적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타이어는 자동차와 노면이 닿는 부분으로써 운전자의 안정성 및 승차감을 좌우하게 됨에 따라 더욱 요구되고 있다.
상기 타이어가 노면과 닿는 트레드의 패턴은 그 형상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타이어의 이상마모를 최소화하고, 자동차의 승차감 및 제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도 5는 종래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100)는 트레드 패턴(113)이 형성되는 트레드부(110)가 접지 경계선(X)를 기준으로 주행시 노면과 접하는 트레드 접지부(111)와 트레드 숄더부(112)로 구획된다.
한편, 트레드 숄더부(12)와 경계를 이루는 사이드월부(130)의 상단부에는 상기한 트레드부(10)와 같이 특정한 트레드 패턴(113)이 형성되지 않거나, 경우에 따라 제품의 규격이나 간단한 정보 등을 표시된다.
따라서, 종래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100)는 사이드월부(130) 상단부의 내구성이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해져 오프 로드 주행시 돌출물들에 의해 충돌 및 마찰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모래나 진흙으로 이루어진 곳에서는 타이어가 헛돌아 차량이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암벽타기 시, 암벽의 측면을 접하는 타이어의 사이드월부가 견인력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이동이 불가능 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드월부 상단부에서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타이어 바이터를 형성하여, 사이드월부 상단부의 내구성 및 견인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트레드부(10)를 중심으로 타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사이드월부(20), 및 비드부(30)가 연장 형성되고, 트레드부(10)는 접지 경계선(X)을 기준으로 트레드 접지부(11)와 트레드 숄더부(12)로 구획되며, 트레드 숄더부(12)와 사이드월부(20)를 구획하는 사이드월 경계선(S)를 기준으로 사이드월부(20) 상단부에 복수개의 타이어 바이터(50)가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양각지게 돌출 형성되고, 타이어 바이터(50)는, 상기 사이드월 경계선(S)로부터 기울기(a)를 가지고 유선형을 이루며 점차 폭이 감소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1 바이터 블록(51); 및 제1 바이터 블록(51) 일측에서 제1 바이터 블록(51)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고 유선형을 이루며 점차 폭이 감소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2 바이터 블록(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타이어 바이터(50)의 타이어 폭 방향 중심(C)이 타이어의 상부 숄더 높이(USH)의 1/2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 바이터(50)의 타이어 폭 방향의 폭(B)은 접지 경계선(X)과 타이어의 최대 숄더 높이(SH)의 중심 지점(T)까지의 거리(L)의 L/3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이터 블록(52)에는 두께 차를 가지는 바이터 홈부(53)가 형성되는 구비될 수 있다.
타이어 바이터(50)는 돌출 두께(t1)는 2mm 내지 5mm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터 홈부(53)의 두께(t2)는 1mm 내지 2mm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이터 블록(51)의 기울기(a)는 사이드월 경계선(S)을 기준으로 타이어의 회전 방향으로 40˚≤ a ≤70˚ 범위의 이내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이터 블록(52)의 기울기는 제1 바이트 블록(51)의 기울기 보다 더 작 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 바이터(50)는 각각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8˚의 간격을 두고 48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사이드월부 상단부에서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타이어 바이터를 형성하여, 사이드월부 상단부를 보강하여 사이드월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사이드월부에 형성된 타이어 바이터의 마찰력에 의해 오프 로드 주행시 견인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타이어 바이트를 이루는 제1 바이터 블록과 제2 바이터 블록을 불꽃 모양으로 형상화시켜 타이어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타이어 바이터에 두께 차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바이터 홈부를 통해 열발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 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프로파일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트레드부(10)를 중심으로 타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사이드월부(20), 및 비드부(30)가 연장 형성된다.
트레드부(10)는 접지 경계선(X)을 기준으로 노면과 접하는 트레드 접지부(11)와 트레드 숄더부(12)로 구획된다.
트레드 접지부(11)에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종그루부(15), 타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횡그루브(16)에 의해 트레드 블록들을 구획하고, 그 트레드 블록 상에 사이프(17)를 형성하여 소정의 트레드 패턴(13)을 이룬다.
그리고, 트레드 숄더부(12)에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숄더 블록들(18)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트레드 숄더부(12)와 사이드월부(20)를 구획하는 사이드월 경계선(S)를 기준으로 사이드월부(20) 상단부에 복수개의 타이어 바이터(50)가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양각지게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사이드월부(20)의 상단부에 양각지게 돌출 형 성된 타이어 바이터(50)가 사이드월부(20) 상단부의 내구성을 보강하여 오프 로드 주행시 돌출물들의 충돌 및 마찰에 의한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타이어 바이터(50)를 제외한 트레드 접지부(11)와 트레드 숄더부(12)의 트레드 패턴(13) 형상은 좀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도 2의 타이어 바이터가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 바이터(50)들은 8˚의 간격(G)으로 피치를 이루며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48개가 반복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타이어 바이터(50)의 타이어 폭 방향 중심(C)이 타이어의 상부 숄더 높이(USH)의 1/2지점에 위치하며, 타이어 바이터(50)의 타이어 폭 방향의 폭(B)은 접지 경계선(X)과 타이어의 최대 숄더 높이(SH)의 중심 지점(T)까지의 거리(L)의 L/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의 Ⅳ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 바이터(50)는 제1 바이터 블록(51)과 제2 바이터 블록(52)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바이터 블록(51)은 사이드월 경계선(S)로부터 기울기(a)를 가지고 불꽃 모양을 형상화하도록 유선형을 이루며 점차 폭이 감소하게 돌출 형성된다.
제1 바이터 블록(51)의 기울기(a)는 사이드월 경계선(S)을 기준으로 타이어 의 회전 방향으로 40˚≤ a ≤70˚ 범위의 이내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월부(20) 상단부에 형성된 타이어 바이터(50)에 의해 오프 로드 주행시 돌출물과의 마찰에 의해 견인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제2 바이터 블록(52)은 제1 바이터 블록(51) 일측에서 제1 바이터 블록(51)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고 불꽃 모양을 형상화하도록 유선형을 이루며 점차 폭이 감소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2 바이터 블록(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2 바이터 블록(52)의 기울기는 1 바이트 블록의 기울기(a) 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타이어 바이터(50)의 형상이 불꽃 모양을 형상화하며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시킴으로써, 사이드월부(20)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바이터 블록(52) 내부에서 두께 차를 가지는 바이터 홈부(53)가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타이어 바이터(50)의 제1 바이트 블록과 제2 바이터 블록은 돌출 두께(t1)는 2mm 내지 5mm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 바이터(50)의 두께가 2mm 미만이면 사이드월부(20)의 내구성을 보강할 수 없게 되며, 5mm 초과이면 주행시 타이어 바이터(50)에 의한 공기 저항의 증가와 함께 불필요하게 많은 량의 사이드월부 고무가 가용되어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바이터 홈부(53)의 두께(t2)는 1mm 내지 2mm 범위 이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터 홈부(53)는 사이드월부의 고무 사용량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주행중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프로파일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타이어 바이터가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Ⅳ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프로파일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10: 트레드부
11: 트레드 접지부 12: 트레드 숄더부
20: 사이드월부 30: 비드부
50: 타이어 바이터 51: 제1 바이터 블록
52: 제1 바이터 블록 53: 바이터 홈부
a: 제1 바이터 블록의 기울기 C: 타이어 바이터의 타이어 폭 방향 중심
S: 사이드월 경계선 X: 접지 경계선

Claims (9)

  1. 트레드부(10)를 중심으로 타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사이드월부(20), 및 비드부(30)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트레드부(10)는 접지 경계선(X)을 기준으로 트레드 접지부(11)와 트레드 숄더부(12)로 구획되며,
    상기 트레드 숄더부(12)와 상기 사이드월부(20)를 구획하는 사이드월 경계선(S)를 기준으로 상기 사이드월부(20) 상단부에 복수개의 타이어 바이터(50)가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양각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타이어 바이터(50)는,
    상기 사이드월 경계선(S)로부터 기울기(a)를 가지고 유선형을 이루며 점차 폭이 감소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1 바이터 블록(51); 및
    상기 제1 바이터 블록(51) 일측에서 상기 제1 바이터 블록(51)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고 유선형을 이루며 점차 폭이 감소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2 바이터 블록(52)을 포함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2. 제1항에서,
    상기 타이어 바이터(50)의 타이어 폭 방향 중심(C)이 타이어의 상부 숄더 높 이(USH)의 1/2지점에 위치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3. 제2항에서,
    상기 타이어 바이터(50)의 타이어 폭 방향의 폭(B)은,
    상기 접지 경계선(X)과 타이어의 최대 숄더 높이(SH)의 중심 지점(T)까지의 거리(L)의 L/3인 것을 포함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4. 제1항에서,
    상기 제2 바이터 블록(52)에는 두께 차를 가지고 바이터 홈부(53)가 형성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5. 제4항에서,
    상기 타이어 바이터(50)의 돌출 두께(t1)는 2mm 내지 5mm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6. 제5항에서,
    상기 바이터 홈부(53)의 두께(t2)는 1mm 내지 2mm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7. 제1항에서,
    상기 제1 바이터 블록(51)의 기울기(a)는 상기 사이드월 경계선(S)을 기준으로 타이어의 회전 방향으로 40˚≤ a ≤70˚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8. 제1항에서.
    상기 제2 바이터 블록(52)의 기울기는 상기 제1 바이트 블록(51)의 기울기 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9. 제1항에서.
    상기 타이어 바이터(50)는 각각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8˚의 간격을 두고 48개가 형성되는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1020080070202A 2008-07-18 2008-07-18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101007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202A KR101007641B1 (ko) 2008-07-18 2008-07-18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202A KR101007641B1 (ko) 2008-07-18 2008-07-18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353A KR20100009353A (ko) 2010-01-27
KR101007641B1 true KR101007641B1 (ko) 2011-01-13

Family

ID=41817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202A KR101007641B1 (ko) 2008-07-18 2008-07-18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6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406A (ko) 2017-11-28 2019-06-0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
KR20230060270A (ko) * 2021-10-27 2023-05-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유니포미티가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KR20240044116A (ko) 2022-09-28 2024-04-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5033B2 (ja) * 2015-01-29 2017-01-2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2505A (ja) 2001-10-03 2003-04-15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7055498A (ja) 2005-08-25 2007-03-08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2505A (ja) 2001-10-03 2003-04-15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7055498A (ja) 2005-08-25 2007-03-08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406A (ko) 2017-11-28 2019-06-0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오프로드용 공기입 타이어
KR20230060270A (ko) * 2021-10-27 2023-05-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유니포미티가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KR102556287B1 (ko) 2021-10-27 2023-07-17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유니포미티가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KR20240044116A (ko) 2022-09-28 2024-04-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353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9650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0352676C (zh) 胎面的三维刀槽花纹
US8434535B2 (en) Pneumatic tire with tread having circumferential auxiliary grooves
CN109291739B (zh) 用于车轮的轮胎
CN102753362B (zh) 包括具有周向连续凹槽的胎面的两轮车辆轮胎
JP2010285035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548534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190176527A1 (en) Pneumatic tire
CN103370214B (zh) 具有不对称槽以减少异物滞留的胎面花纹
KR101007641B1 (ko)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CN101578186A (zh) 充气轮胎
US20120006455A1 (en) Pneumatic tire for construction vehicle
KR100823893B1 (ko)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JP5698622B2 (ja) タイヤ
EP2265450B1 (en) Heavy- load vehicle tire
AU2018402887B2 (en) Pneumatic tire
JP4692825B2 (ja) 空気入りタイヤ
EP1122099A2 (en) Pneumatic tire
JP201910441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76540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5349970A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220118797A1 (en) Tread for an Agricultural Vehicle
KR101010750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CN112867613B (zh) 车辆充气轮胎
CN114746288B (zh) 轮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