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076B1 -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 Google Patents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076B1
KR101994076B1 KR1020170142021A KR20170142021A KR101994076B1 KR 101994076 B1 KR101994076 B1 KR 101994076B1 KR 1020170142021 A KR1020170142021 A KR 1020170142021A KR 20170142021 A KR20170142021 A KR 20170142021A KR 101994076 B1 KR101994076 B1 KR 101994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everity
state
recording paper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7783A (ko
Inventor
상 은 조
지 연 최
성 민 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모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모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모올
Priority to KR102017014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0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4Questionnaires, statistics
    • B42D15/0046Forms for staff or material planning; Inven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7Sheets or sheet block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66Timetables, lists or forms for shooter enlistment, e.g. for use at compet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현장에서 발생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해 중증도별로 분류하여 환자의 중증도 상태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환자 중증도의 변화에 따라 등급간 유동성을 확보하여 환자등급에 따라 표시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기본 정보, 환자의 상태 정보, 구조된 사람을 중증도 별로 분류하는 매뉴얼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중증도를 색깔로 표시함과 동시에 등급간의 유동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는 기록용지와; 환자의 중증도를 색깔에 따라 표시하여 기록용지를 확인하지 않아도 환자의 중증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록용지에서 절첩 또는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증도표시부와; 기록용지와 동일한 코드를 가지며 필요한 곳에 부착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성되는 기록용지 일측에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는 QR스티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재난현장에서 발생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환자 중증도별로 분류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기록용지에 환자의 상태를 기록함과 동시에 색깔을 이용하여 환자의 중증도를 표시함은 물론 중증도에 따른 등급간의 유동성을 표시하여 적절하게 대응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Records paper for disaster site}
본 발명은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현장에서 발생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해 중증도별로 분류하여 환자의 중증도 상태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환자 중증도의 변화에 따라 등급간 유동성을 확보하여 환자등급에 따라 표시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난현장에서 사용하는 구조한 환자용 태그는 재난 상황에서 한정된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급하게 진료가 필요한 사람이 우선적으로 진료 및 치료를 받도록 중증도를 기준으로 사람을 분류하고 표시하는 태그로써, 다시 말하자면 환자의 현재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전반적으로 기록하는 태그이다.
이와 같은 환자의 분류용 태그로써 현재 널리 사용하고 있는 종래의 MET-tag는 간단하게 전면과 후면으로 되어 있어 환자의 인적사항과 중증도 분류로 필수내용은 기재할 수 있지만, 활력징후, 투약 1회당 기입함으로써 환자의 경과를 기록할 수 없게 되어있다. 또한, 중증도가 분류된 기준으로 이 부분을 뜯어내면 등급이 바뀌었을 때 다시 붙일 수 없다는 문제, 즉 등급간 유동성이 없으며, 중증도 분류 기준이 없어 분류하는 사람이 교육을 받고 숙지를 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다른 형태의 태그로 Triage tag가 있어 MET-tag와 마찬가지로 전면 및 후면으로 되어 있고, START(중증도 분류기준)에 따라 체크되어 분류에 도움이 되는 체크박스가 있으며 활력징후를 3번 기록할 수 있으나, 상기 MET-tag와 같이 등급간 유동성이 없으며 환자의 경과를 기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의 'PEDIATRIC IDENTIFICATION TAG WITH WINGS'의 경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일부 접이식 방식을 이용한 태그 형태이지만 환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만이 표시되는 태그이므로, 응급 상태의 분류 또는 환자 상태 정보를 기재하는 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2의 'Three-panel triage card'와 근래 많이 사용하고 있는 'SMART WMD TAG'의 경우, 하나의 시트를 접이식 형태로 접고 환자 정보를 기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 유사하나, 단순히 카드나 태그를 접기만 할 뿐만 아니라 'Three-panel triage card'는 전면에만 기록할 수 있고, SMART WMD TAG'는 환자 응급 상태의 분류를 위한 시트와 오염물질 정보를 기재하는 시트가 개별적으로 포함되며, 2개의 시트를 보관하는 전용 포켓이 필요하기 때문에, 환자 정보를 확인 및 기재하기 위해서는 포켓에서 시트를 꺼내고, 다시 포켓으로 시트를 접어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시트의 분실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43493호(2016.04.21. 공개) "환자분류용 태그"는 한쪽 또는 다른 쪽의 면에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기재할 수 있는 난이 표시된 환자정보 표시부와, 상기 환자정보 표시부의 양측면 아래에 날개형태로 연결되어 환자정보 표시부 위에 각각 별도로 접어 겹치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각각의 중증도 표시부로 이루어져, 상기 각 중증도 표시부를 환자정보 표시부 쪽으로 접어 겹치면 환자정보 표시부의 한쪽 또는 다른 쪽의 면의 상부면은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 또한 환자의 중증도가 변화될 때마다 환자의 상태를 새롭게 기재하고, 이를 전산화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이 태그에 기재된 내용을 일일이 전산에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과, 환자의 기록지를 잃어버리는 경우에는 그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제공개특허공보 WO2011-094217호 미국 디자인등록공보 US D0550,287호 공개특허공보 10-2016-0043493호
본 발명은 재난현장에서 발생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환자 중증도별로 분류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환자의 상태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색깔을 이용하여 환자의 중증도를 표시함은 물론 환자 중증도의 변화에 따라 등급간 유동성을 확보하여 환자등급에 따라 표시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현장에서 발생한 환자의 상태를 기록한 기록용지를 촬영하여 이를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가하고, 인가된 기록용지의 영상을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전산화할 수 있도록 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용지 일측에 QR스티커를 절취 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한 곳에 부착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록용지에 기록된 데이터를 전산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환자의 기본 정보, 환자의 상태 정보, 구조된 사람을 중증도 별로 분류하는 매뉴얼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중증도를 색깔로 표시함과 동시에 등급간의 유동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는 기록용지와; 환자의 중증도를 색깔에 따라 표시하여 기록용지를 확인하지 않아도 환자의 중증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록용지에서 절첩 또는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증도표시부와; 기록용지와 동일한 코드를 가지며 필요한 곳에 부착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성되는 기록용지 일측에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는 QR스티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록용지는, 환자의 손상 기전, 증상, 처치, 혈압, 심박수 호흡에 관한 상태를 OMR형태로 체크하여 기록하는 환자상태입력부와; 환자의 이름, 주소, 연령, 성별, 발견장소, 소견 및 주의 사항을 필기 형태로 기록할 수 있도록 환자상태입력부의 하부에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는 기본정보입력부와; 기설정된 ID를 코드화하여 환자상태입력부에 형성되는 QR코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환자상태입력부는, 환자의 손상부위, 손상기전, 증상, 처치, 호흡수, 심박수, 혈압에 대한 상태를 체크하는 상태체크부와; 환자의 의식 상태를 체크하는 의식체크부와; 환자의 중증도를 체크하는 중증도체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본정보입력부는, 환자상태입력부의 하단에서 절첩되어 중증도표시부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QR코드부는, QR스티커와 동일한 ID 적용된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용지는, 기설정된 규약에 의해 환자의 외상, 의식상태 및 중증도를 마킹하고, 마킹된 상태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기기를 통해 촬영하고, 촬영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신하여 서버에서 데이터화 할 수 있도록 OMR용지에 기록하는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증도표시부는, 긴급, 응급, 비응급 및 사망에 대하여 색깔 및 숫자로 구분되어 표시되고, 긴급, 응급, 비응급은 절첩되어 각각의 상태가 표시되며, 사망은 비응급으로 표시된 부분을 절취하여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QR스티커는, 기록용지의 분실시 환자의 데이터를 추후 식별할 수 있게 환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개가 하나의 묶음으로 구성되어 낱개로 절취 가능하게 이루어진 밴드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난현장에서 발생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환자 중증도별로 분류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기록용지에 환자의 상태를 기록함과 동시에 색깔을 이용하여 환자의 중증도를 표시함은 물론 중증도에 따른 등급간의 유동성을 표시하여 적절하게 대응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중증도를 표시하는 색깔영역을 절취 또는 절첩하여 환자의 상태변화로 인한 환자 등급간의 표시를 쉽게 변경할 수 있어 환자의 상태에 따른 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용지 일측에 QR스티커를 절취 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한 곳에 예를 들어 환자 이송시 기록되는 용지 또는 병원에 도착하여 환자별로 부여되는 차트 등에 부착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록용지에 기록된 데이터를 전산상으로 확인하여 재난현장에서 구급팀에 의해 기록된 환자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현장에서 발생한 환자의 상태를 기록한 기록용지를 촬영하여 이를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가하고, 인가된 기록용지의 영상을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전산화하므로 환자의 상태를 기록한 기록용지를 분실하여도 기록용지의 아이디와 같은 아이디를 갖는 밴드를 환자의 팔목 또는 발목에 착용하므로 기록용지와 같은 정보를 전산상에서 확인할 수 있어 환자의 상태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의 기록용지가 절첩하여 환자의 중증도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를 절첩되어 환자의 중증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와 다른 상태의 중증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과 다른 상태의 중증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과 다른 상태의 중증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를 환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밴드를 환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는 도 1 내지 4와 같이 구성되고, 도 5 및 도 10과 같이 환자에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의 기록용지가 절첩하여 환자의 중증도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를 절첩되어 환자의 중증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와 다른 상태의 중증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과 다른 상태의 중증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과 다른 상태의 중증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를 환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밴드를 환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는 환자의 기본 정보, 환자의 상태 정보, 구조된 사람을 중증도 별로 분류하는 매뉴얼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중증도를 색깔로 표시함과 동시에 등급간의 유동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는 기록용지(100)와, 환자의 중증도를 색깔에 따라 표시하여 기록용지(100)를 확인하지 않아도 환자의 중증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록용지(100)에서 절첩 또는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증도표시부(200)와, 기록용지(100)와 동일한 코드를 가지며 필요한 곳에 부착할 수 있도록 기록용지(100) 일측에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는 QR스티커(300)를 포함한다.
상기 기록용지(100)는 환자상태입력부(110), 기본정보입력부(120) 및 QR코드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기록용지(100)에는 고정부재(101)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01)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상태입력부(110)의 측면에 형성하여 기본정보입력부(120)를 접었을 때 접은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101)는 환자상태입력부(110)에만 국한되어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기본정보입력부(120)를 접었을 시에 그 접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이면 기본정보입력부(120)를 포함하여 그 어떠한 위치에도 무관하게 형성한다.
상기 환자상태입력부(110)는 환자의 손상 기전, 증상, 처치, 혈압, 심박수 호흡에 관한 상태를 OMR형태로 체크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환자상태입력부(110)는 환자의 손상부위, 손상기전, 증상, 처치, 호흡수, 심박수, 혈압에 대한 상태를 체크 할 수 있도록 환자상태입력부(110)에 형성되는 상태체크부(111)와, 환자의 의식 상태를 체크 할 수 있도록 환자상태입력부(110)에 형성되는 의식체크부(112)와, 환자의 중증도를 체크 할 수 있도록 환자상태입력부(110)에 형성되는 중증도체크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정보입력부(120)는 환자의 이름, 주소, 연령, 성별, 발견장소, 소견 및 주의 사항을 필기 형태로 기록할 수 있도록 환자상태입력부(110)의 하부에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환자상태입력부(110)의 하단에서 절첩되어 중증도표시부(200)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상태입력부(110)와 기본정보입력부(120)의 사이에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기본정보입력부(120)를 접어 중증도표시부(200)와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환자상태입력부(110)와 기본정보입력부(120)의 사이에는 환자의 목에 기록용지(100)를 걸 수 있도록 목걸이가 결합되는 고정홈(미부호)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목걸이를 결합한 상태에서 기록용지(100)가 환자에 패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QR코드부(130)는 기설정된 ID를 코드화하여 환자상태입력부(110)에 형성한다.
그리고 QR코드부(130)는 QR스티커(300)와 동일한 ID 적용된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록용지(100)는 기설정된 규약에 의해 환자의 외상, 의식상태 및 중증도를 마킹하고, 마킹된 상태를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웨어러블기기를 통해 촬영하고, 촬영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신하여 서버에서 데이터화 할 수 있도록 OMR용지에 기록하는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표시한다.
상기 중증도표시부(200)는 긴급, 응급, 비응급 및 사망에 대하여 색깔 및 숫자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상기 긴급, 응급, 비응급은 절첩되어 각각의 상태가 표시되고, 상기 사망은 비응급으로 표시된 부분을 절취하여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QR스티커(300)는 기록용지(100)의 분실시 환자의 데이터를 추후 식별할 수 있게 환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개가 하나의 묶음으로 구성되어 낱개로 절취 가능하게 이루어진 밴드(400)에 부착된다.
상기 QR스티커(300)는 밴(400)드에만 한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응급구조 현장에서 환자의 신체에 직접 부착하거나 또는 환자를 이송하면서 작성하는 환자 기록지 또는 병원에서 작성되는 차트 등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밴드(40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측에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띠 형태로 형성된 일측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밴드(400)는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물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기록용지(110)를 접었을 때 고정하기 위한 끼움돌기(미도시)와 끼움홀(미도시)을 형성하여 이를 결합해 환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밴드(400)는 도면에는 환자의 중증도가 표시되지 않았으나, 이 또한 환자의 중증도를 표시하는 색깔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밴드(400)에는 환자의 이름 및 성별을 기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밴드에는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그 색깔을 달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중증도의 색깔은 별, 원, 사각 등과 같이 별도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를 환자의 중증도 상태에 따라 표시되는 상태를 도 5 내지 10을 통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재난이 발생하면, 재난이 발생한 현장으로 구조팀과 의료진이 현장에 급파되어 사람들을 구조하고, 환자들의 중증도를 체크하여 병원으로 먼저 이송할 사람들을 선별한다.
이때 재난현장에서 중증도를 체크 할 때, 환자의 기본정보와 외상을 입은 상태를 체크하여 기록용지(100)에 입력한다.
상기 기록용지(100)에는 환자의 기본정보, 즉 이름, 연락처, 발견장소, 이송기관, 이송시간, 구급차 차량번호, 오염상태 및 제염상태를 체크 한다. 이때 환자의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환자로부터 정보를 입수하거나, 환자의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환자가 지니고 있는 지갑을 조사하여 신분증을 통해 환자의 기존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보호자가 있는 상태라면 보호자로부터 환자의 정보를 입수하여 기록한다.
상기 기록용지(100)에 환자의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환자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환자상태입력부(110)에 환자의 상태, 즉 외상 정보를 체크 한다.
상기 환자상태입력부(110)는 의료진이 외상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 체크 하고, 의료진의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며, 이때 카메라를 연동해 기록용지(100)를 촬영한 후 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미도시)로 인가한다.
상기 환자의 정보를 촬영하여 서버로 데이터를 인가하는 것은 스마트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급팀 또는 구급대원이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패드 또는 이동통신기능을 갖는 장비를 이용해 서버로 데이터를 무선으로 인가한다.
상기 서버로 인가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환자상태입력부(110)에 체크된 상태에 따른 정보를 읽어들여 이를 데이터화 한다.
이때 읽어들이는 정보는 환자상태입력부(110)에 체크 된 마킹을 영상에서 읽어들여 이를 데이터화 하는데, 이때 영상에 기록된 정보를 해독하는 방식은 영상을 이진화하며, 이미지화한 영상에서 환자상태입력부(110) 만을 추출하여 기설정된 영상의 크기로 조절한 후 마킹된 위치에 따른 좌표값을 읽고, 좌표값에 따른 정보를 기설정된 프로그램에서 분석하여 마킹 위치에 따른 정보를 QR코드부(130)에 기록된 ID에 따라 정보를 데이터화 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버에서 환자상태입력부(110)에 기록된 정보를 데이터화 할 때, 기록용지(100) 상부 쪽에 형성된 QR코드부(130)의 ID를 읽어들여 ID 별로 환자의 상태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QR스티커(300)를 절취선을 기준으로 떼어내어 환자가 착용한 기록용지 또는 밴드(400)가 분실 또는 파손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환자의 신체 일부분에 부착하여 환자의 상태를 서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의료진은 환자의 중증도 상태에 따라 기록용지(100)의 내용을 확인하지 않고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기본정보입력부(120)를 접어 환자의 중증도표시부(200)와 함께 표시되도록 하여 중증도표시부(200)에 의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록용지(100)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색깔별로 표시하여 병원으로 먼저 이송할 대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중증도표시부(200)의 접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중증도가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환자의 중증도 상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어 먼저 이송할 환자를 쉽게 구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재난현장에서는 환자의 중증도 상태가 변화되는데, 이때 응급구조대원 또는 의료진은 기록용지(100)의 중증도표시부(200)를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절첩하여 환자의 변화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중증도가 위급, 즉, 빨간색과 숫자가 함께 표시된 상태에서 응급조치에 의해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어 비응급상태인 녹색과 숫자로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녹색이 표시된 부분을 표시되도록 절첩하여 환자의 변화된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환자의 중중도 상태를 색깔과 함께 표시되므로 환자의 상태를 먼 위치에서도 식별이 용이하므로 중증도에 따른 환자별 대처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환자가 사망한 경우에는 비응급 부분이 표시되도록 접은 상태에서 비응급이라고 표시된 부분을 절취하여 사망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중증도를 표시하기가 용이한 것은 물론 환자의 중증도 상태가 변화된 상때에 따라 그 중중도를 표시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환자를 이송하면서 환자의 상태를 이송하면서 기록하는 것을 별도의 노트북, 테블릿PC 등을 포함하는 전산기기를 통해 입력하므로 환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시간을 소비하지 않게 되므로 환자의 처치가 빠르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난현장에서 환자의 기본정보와 중증도를 기록용지(100)에 표시하고, 중증도에 따라 선별해 우선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하므로 환자의 상황에 맞게 대처할 수 있으므로 인명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환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시키는 밴드(400) 또는 환자의 신체 일부분에 부착하는 QR스티커(300)를 통해 기록용지가 파손 또는 분실되어도 환자의 정보가 서버를 통해 데이터화 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의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기록용지 101: 고정부재
110: 환자상태입력부 111: 상태체크부
112: 의식체크부 113: 중증도체크부
120: 기본정보입력부 130: QR코드부
200: 중증도표시부 300: QR스티커
400: 밴드

Claims (8)

  1. 환자의 기본 정보, 환자의 상태 정보, 구조된 사람을 중증도 별로 분류하는 매뉴얼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중증도를 색깔로 표시함과 동시에 등급간의 유동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는 기록용지(100)와;
    환자의 중증도를 색깔에 따라 표시하여 기록용지(100)를 확인하지 않아도 환자의 중증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록용지(100)에서 절첩 또는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증도표시부(200)와;
    기록용지(100)와 동일한 코드를 가지며 필요한 곳에 부착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성되는 기록용지(100) 일측에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는 QR스티커(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록용지(100)는 고정부재(101)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01)는 기본정보입력부(120)를 접었을 때 접은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환자상태입력부(110)의 측면에 형성하며,
    상기 중증도표시부(200)는 긴급, 응급, 비응급 및 사망에 대하여 색깔 및 숫자로 구분되어 표시하되, 긴급, 응급, 비응급은 절첩되어 각각의 상태가 표시되고, 상기 사망은 비응급으로 표시된 부분을 절취하여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용지(100)는,
    환자의 손상 기전, 증상, 처치, 혈압, 심박수 호흡에 관한 상태를 OMR형태로 체크하여 기록하는 환자상태입력부(110)와;
    환자의 이름, 주소, 연령, 성별, 발견장소, 소견 및 주의 사항을 필기 형태로 기록할 수 있도록 환자상태입력부(110)의 하부에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는 기본정보입력부(120)와;
    기설정된 ID를 코드화하여 환자상태입력부(110)에 형성되는 QR코드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상태입력부(110)는,
    환자의 손상부위, 손상기전, 증상, 처치, 호흡수, 심박수, 혈압에 대한 상태를 체크하는 상태체크부(111)와;
    환자의 의식 상태를 체크하는 의식체크부(112)와;
    환자의 중증도를 체크하는 중증도체크부(11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정보입력부(120)는,
    환자상태입력부(110)의 하단에서 절첩되어 중증도표시부(200)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부(130)는,
    QR스티커(300)와 동일한 ID 적용된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용지(100)는,
    기설정된 규약에 의해 환자의 외상, 의식상태 및 중증도를 마킹하고, 마킹된 상태를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웨어러블기기를 통해 촬영하고, 촬영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신하여 서버에서 데이터화 할 수 있도록 OMR용지에 기록하는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R스티커(300)는,
    기록용지(100)의 분실시 환자의 데이터를 추후 식별할 수 있게 환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개가 하나의 묶음으로 구성되어 낱개로 절취 가능하게 이루어진 밴드(40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KR1020170142021A 2017-10-30 2017-10-30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KR101994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021A KR101994076B1 (ko) 2017-10-30 2017-10-30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021A KR101994076B1 (ko) 2017-10-30 2017-10-30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783A KR20190047783A (ko) 2019-05-09
KR101994076B1 true KR101994076B1 (ko) 2019-06-27

Family

ID=66546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021A KR101994076B1 (ko) 2017-10-30 2017-10-30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723A (ko) * 2021-03-17 2022-09-2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중증도 분류표 및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243B1 (ko) * 2019-06-10 2021-05-31 장봉석 수급자별 서비스 기록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2075A (ja) * 1999-08-09 2001-02-23 John W Goetz 負傷者大量発生事故の被災者をトラッキングする方法および被災者に対する処置の緊急性を判定する方法
US20050285385A1 (en) * 2004-06-28 2005-12-29 Bova Antonio V Emergency medical analysis form with detachable patient identification piece and method of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287A (en) 1895-11-26 Ladle-carrier
US20110179686A1 (en) 2010-01-27 2011-07-28 Morehouse Steve L Pediatric identification tag with wings
KR101891249B1 (ko) 2014-10-13 2018-08-2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환자분류용 태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2075A (ja) * 1999-08-09 2001-02-23 John W Goetz 負傷者大量発生事故の被災者をトラッキングする方法および被災者に対する処置の緊急性を判定する方法
US20050285385A1 (en) * 2004-06-28 2005-12-29 Bova Antonio V Emergency medical analysis form with detachable patient identification piece and method of us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723A (ko) * 2021-03-17 2022-09-2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중증도 분류표 및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KR102495044B1 (ko) * 2021-03-17 2023-02-0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중증도 분류표 및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783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2716B2 (ja) シンチ部分を有するリストバンドを含むビジネスフォーム
US9519724B2 (en) Temporary cutaneous informa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and multi-patient treatment infrastructure
US7017293B2 (en) Wristband/cinch with label assembly business form and method
EP1920424B1 (en) Business form and self-laminating wristband with improved print area and single layer straps
JP2001052075A (ja) 負傷者大量発生事故の被災者をトラッキングする方法および被災者に対する処置の緊急性を判定する方法
CN101681567A (zh) 替代设计热敏腕带业务表单
US202001266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itions of care
KR101994076B1 (ko)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JP2007517266A (ja) シンチ部分付きリストバンドを有するビジネスフォーム
EP1806670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atient information
KR20180024950A (ko)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US200802435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medical information
JP4736784B2 (ja) 傷病者管理システム及び医療機関端末
CN205354029U (zh) 一种病人管理系统
JP2007172010A5 (ko)
GB2564529A (en) System, Device apparatus and method
KR101891249B1 (ko) 환자분류용 태그
JP2019133425A (ja) トリアージ管理システム
JP2014112342A (ja) 医療用緊急連絡システム
JP2006350976A (ja) Qrコード入りペンダントヘッドと、携帯電話のiモード機能のバーコードリーダーと、インターネット接続サービスプロバイダと、救急車を含む緊急医療病院のpcとをネットワークした、緊急時に於ける個人医療情報の転送システム。
JP4495935B2 (ja) 指紋照合装置及び指紋照合情報共有システム
KR102509710B1 (ko) 인식코드를 활용한 다수의 환자 분류시스템 및 인식코드를 활용한 다수의 환자 분류방법
KR101391773B1 (ko) 의료용 식별태그 및 이를 이용한 환자정보와 체온 체크시스템
JP3151663U (ja) トリアージタッグ
US20040238617A1 (en) Identifying method, identifying chip and identify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