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044B1 - 중증도 분류표 및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 Google Patents

중증도 분류표 및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044B1
KR102495044B1 KR1020210034342A KR20210034342A KR102495044B1 KR 102495044 B1 KR102495044 B1 KR 102495044B1 KR 1020210034342 A KR1020210034342 A KR 1020210034342A KR 20210034342 A KR20210034342 A KR 20210034342A KR 102495044 B1 KR102495044 B1 KR 102495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sheet
recording
injured
severity
classification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723A (ko
Inventor
김아정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4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044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부상자가 재난현장부터 의료기관까지 이송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중증도 분류표와 중증도 분류표를 부상자의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착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증도 분류표 및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TRIAGE TAG AND THE HOLDER FOR TRIAGE TAG}
본 발명은, 부상자가 재난현장부터 의료기관까지 이송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중증도 분류표에 관한 것이다.
화재, 지진 등의 대규모 재난, 재해가 발생하여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할 경우, 긴급한 부상자에게 적절한 대처를 행하기 위해 현장에 투입된 의료진은 트라이지 태그(Triage Tag)라는 중증도 분류표를 각 부상자에게 부착하여 부상자의 중증도에 대응하는 치료 우선도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받도록 한다.
지역사회 관점에서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하여 지역사회 내의 응급의료자원이 이것을 해결할 수 없을 때 재난임을 선포하며 부상자는 기존처럼 부상자가 받을 수 있는 최대 및 최선의 처치가 아닌, 지역사회 및 국가가 가지고 있는 인적, 물적, 시설 자원의 보유수준에 따라 효율적인 처치를 받게 된다.
그리고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재난현장에서 응급의료팀은 중증도 분류라는 방법을 통해 부상자의 상태에 따라 색을 부여하게 되며 색에 따라 부상자가 제공받는 처치 순서가 바뀌게 된다.
일반적으로 재난현장에서 중증도 분류가 시행된 부상자를 현장 분류소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송반이 투입된다. 이 경우 이송반은 부상자가 분류 받은 색을 확인하여 해당 색으로 분류된 부상자가 모이기로 지정된 구역으로 이동시킨다. 효율적인 이송반의 역할을 위해서 부상자의 분류된 색이 잘 보일 수 있어야 하는데, 기존의 중증도 분류표들은 색이 작게 노출되거나 타 분류 색이 일부 노출되어 시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부상자가 중증도 이상의 손상 등을 입게 될 시 병원에 도착하여 수술 등의 적극적인 처치가 시행되기 전까지는 부상자의 상태는 시간이 경과될수록 변화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부상자의 활력징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활력징후에 따른 처치 내용, 해당 행위를 시행한 자의 인적사항 등이 의무기록으로서 기재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중증도 분류표는 상술한 내용들이 기재될 공간이 없어 이송반이 부상자를 이송하면서 변화하는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할 수 없는 실정이다. 만약 이러한 내용들을 별지로 작성할 경우 부상자가 병원으로 옮겨지면서 분실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중증도 분류표는 끈으로 연결되어 있어 부상자의 목에 매달거나 팔, 다리 등에 묶는 일종의 띠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부상자의 이동 시 끈이 의도치 않게 물체에 걸리어 부상자가 제압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는 분류표가 길게 늘어져 있어 부상자의 처치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또한, 부상자의 팔, 다리 등에 묶는 띠 형태의 경우 부상자가 해당 부위에 손상을 입었을 경우 고정시키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부상자가 발생한 재난현장에서부터 의료기관에 도착할 때 가지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증도 분류표 및 상기 중증도 분류표가 수용 고정되는 부착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표는, 기록지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구비되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지는, 부상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1 기록지와 상기 부상자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포함하는 제2 기록지 및 상기 부상자의 경과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포함하는 제3 기록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는 복수개의 면들이 접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면들은 부상자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컬러 코드(Color Code)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면들이 형성하는 네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영역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록지, 제2 기록지 및 제3 기록지는 순차적으로 겹쳐지도록 부착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식별부와 상기 기록지는 서로 독립적으로 접착된 면들 간의 분리가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기록지의 전면을 감싸며, 상기 제1 기록지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투명필름 및 상기 투명필름의 상부에 형성되는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록지는 블록 다이어그램(Block Diagram) 형태로 상기 부상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록지는 신체의 계통별 손상부위를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신체스케치가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3 기록지는 시간, 맥박수(Heart Rate: HR), 호흡수(Respiratory Rate: RR), 혈압(Blood Pressure: BP) 및 맥박산소포화도(SPO2)를 포함하는 테이블이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는, 중증도 분류표와 상기 중증도 분류표가 끼움 고정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들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증도 분류표는, 기록지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구비되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지는, 부상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1 기록지와 상기 부상자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포함하는 제2 기록지 및 상기 부상자의 경과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포함하는 제3 기록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는 복수개의 면들이 접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면들은 부상자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컬러 코드(Color Code)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재난현장에서 발생한 부상자를 의료기관에 이송할 때까지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증도 분류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중증도 분류표가 부상자의 처치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고, 시안성을 높여 재난현장에서 업무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할 수 있는 의무기록을 제공하여 의료기관에서 부상자의 처치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중증도 분류표를 이루는 복수의 기록지 중 하나인 제1 기록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중증도 분류표를 이루는 복수의 기록지 중 하나인 제2 기록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중증도 분류표를 이루는 복수의 기록지 중 하나인 제3 기록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중증도 분류표를 이루는 복수의 기록지 중 하나인 제4 기록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중증도 분류표를 이루는 복수의 기록지 중 하나인 제1 기록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중증도 분류표를 이루는 복수의 기록지 중 하나인 제2 기록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중증도 분류표를 이루는 복수의 기록지 중 하나인 제3 기록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중증도 분류표를 이루는 복수의 기록지 중 하나인 제4 기록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표(10)는 수용부(13)와 식별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는 기록지(1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부(13)는 중증도 분류표(10)의 중앙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는 절취선(131)과 투명필름(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의 전면이 상기 투명필름(133)으로 형성됨에 따라 기록지(100)의 전면을 감싸며 기록지(100)가 외부 요인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록지(100)의 전면 내용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절취선(131)은 상기 투명필름(133)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명필름(133)이 상기 절취선(131)을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절취선(131)을 따라 상기 투명필름(133)의 상부측을 떼어내어 상기 수용부(13)에 수용되어 있는 기록지(100)에 부상자의 신상정보, 상태 등을 기록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필름(133)은 상기 절취선(131)을 따라 탈착 및 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투명필름(133)의 상부측을 떼어 수용부(13)를 개방함으로써 기록지(100)를 수용부(13)로부터 꺼낼 수 있고, 기록지(100)에 부상자의 신상저보, 상태 등을 기입한 뒤 다시 수용부(13)에 기록지(100)를 집어넣고 투명필름(133)의 상부측을 절취선(131)을 따라 부착시켜 기록지(100)를 보관할 수 있다.
상기 기록지(100)는 복수개가 중첩되어 겹쳐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식별부(11)는 복수개의 면들이 접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면들은 부상자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컬러 코드(Color Code)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록색의 컬러 코드는 경미한 부상 상태, 노란색의 컬러 코드는 중등도의 부상이 있으나 구조가 늦춰져도 생명에 크게 지장이 없는 상태, 빨간색의 컬러 코드는 생명이 위험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상태, 그리고 검은색의 컬러 코드는 사망 상태 또는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식별부(11)는 제1면(111), 제2면(112), 제3면(113) 및 제4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면(111)는 중증도 분류표(10)의 전면에 위치되며, 제2면(112) 내지 제4면(114)은 제1면(111)의 후면에 중첩되어 겹치는 위치에 접착될 수 있다. 상술한 식별부(11)의 구성에 있어서 식별부(11)의 전면에는 제1 면(111)이 위치하고, 제1면(111)이 제거되면 제2면(112)이 위치되며, 제2면(112)이 제거되면 제3면(113)이 위치되고, 제3면(113)이 제거되면 제4면이 위치된다.
본 실시예의 제1면(111)은 상술한 초록색의 컬러 코드에 대응되는 색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면(112)은 상술한 노란색의 컬러 코드에 대응되는 색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면(113)은 상술한 빨간색의 컬러 코드에 대응되는 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4면(114)은 상술한 검정색의 컬러 코드에 대응되는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면(111) 내지 제4면(114)은 상술한 수용부(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중앙부분이 관통되어 있는 사각 테두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식별부(11)는 수용부(13)의 둘레를 따라 테두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면(111) 내지 제4면(114)은 각 면들이 형성하는 네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서리 영역(15)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영역(15)은 접착력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영역(15)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각 면들끼리 중첩되어 겹쳐지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소정의 접착력을 형성하며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모서리 영역(15)을 통해 식별부(11)를 형성하는 각 면들을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상자의 상태가 생명이 위험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상태일 경우, 사용자(의료진, 이송반, 등)는 모서리 영역(15)을 통해 용이하게 제1면(111)과 제2면(112)을 분리시켜 제3면(113)이 중증도 분류표(1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시안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록지(100)는 복수개가 중첩되어 겹쳐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기록지(100)는 제1 기록지(101), 제2 기록지(102), 제3 기록지(103) 및 제4 기록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기록지들은 순차적으로 겹쳐지도록 부착되어 수용부(13)에 수용될 수 있다.
즉 기록지(100)가 수용부(13)에 수용되어 있을 경우 제1 기록지(101)가 투명필름(133)에 의해 사용자에게 식별될 수 있다. 각각의 기록지들은 중첩되며 겹쳐지도록 위치되어 제1 기록지(101)가 전면에 위치하며 순차적으로 제2 기록지(102), 제3 기록지(103) 및 제4 기록지(104)가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식별부(11)와 기록지(100)는 서로 독립적으로 접착된 면들 간의 분리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시 말해, 식별부(11)는 부상자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써, 중증도 분류표(10)의 전면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되고, 수용부(13)에는 식별부(11)가 구비되어 중증도 분류표(10)의 전면 중앙부분에 위치되어 사용자(의료진, 이송반 등)가 부상자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기록지(101)에는 블록 다이어그램(Block Diagram) 형태로 부상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기 위한 프로세스(1012)가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록지(101)에는 부상자의 신상정보를 간략히 기록하기 위한 부상자 식별란(1011)이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프로세스(1012)를 형성하는 블록들 중 부상자가 해당하는 상태에 표시를 남김으로써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중증도 분류표(10)의 전면 테두리는 식별부(11)의 색상으로써 부상자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중증도 분류표(10)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제1 기록지(101)의 블록들 중 부상자가 해당되는 상태에 표시가 남겨지고, 부상자의 신상정보가 간략히 기재되어 있어 사용자의 시안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록지(101)는 재난 발생 시 재난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기록지들은 각각 재난현장용, 현장분류소용, 이송반용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기록지(101)는 재난현장용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재난현장용이란, 기록이 주 목적이 아니라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서 사용되는 중증도 분류체계를 참고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부상자의 상태를 분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기록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기록지(102)에는 신체의 계통별 손상부위를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신체스케치(1021)가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록지(102)에는 이송반에게 요청하기 위한 사항을 기재하는 기재란(1022)과 부상자의 특이사항을 기재하는 기재란(1023)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신체스케치(1021)는 인체의 전면과 후면을 나타내며, 사용자는 신체스케치(1021)에 부상자에게 발생한 상처 등을 표시함으로써, 추후 의료기관에 부상자를 인도할 경우 의료진이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부상자에게 알맞은 처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재란(1022,1023)들은 부상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응급처치 등을 위한 간단한 정보 등이 기재될 수 있다.
제3 기록지(103)에는 시간, 맥박수(Heart Rate: HR), 호흡수(Respiratory Rate: RR), 혈압(Blood Pressure: BP) 및 맥박산소포화도(SPO2)를 포함하는 테이블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3 기록지(103)에는 부상자에게 처치된 추가적인 조치, 특이사항과 시행자를 기재하는 란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록지(102)와 제3 기록지(103)는 상술한 현장분류소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장분류소용이란, 각 중증도 분류구역에 배정된 담당자가 사용하며, 이송반이 도착하기까지의 부상자의 상태, 경과 등이 기재될 수 있다.
제4 기록지(104)에는 시간, 맥박수(Heart Rate: HR), 호흡수(Respiratory Rate: RR), 혈압(Blood Pressure: BP) 및 맥박산소포화도(SPO2)를 포함하는 테이블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제4 기록지(104)에는 이송병원명칭, 이송시작시간, 병원도착시간, 인계자의 인적사항 등을 기재하는 란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4 기록지(104)는 상술한 이송반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송반용이란, 재난현장에서 부상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담당자가 사용하며 현장에서 병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부상자에게 처치한 조치, 특이사항, 시간에 따른 경과 등이 기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기록지(101)는 기록지(100)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제2 기록지(102) 내지 제4 기록지(104)는 일측이 부착되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제1 기록지(101) 내지 제4 기록지(104)는 면의 일측이 부착되어 넘겨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제1 기록지(101)는 제2 기록지(102)로부터 분리가 되되, 제2 기록지(102) 내지 제4 기록지(104)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재난현장에서 부상자의 상태를 빠르게 확인한 뒤 작성된 제1 기록지(101)는 추후 중증도 분류구역에 배정된 담당자, 또는 이송반에 배정된 담당자가 확인한 뒤 분리되어 제2 기록지(102) 내지 제4 기록지(104)에 이송병원의 의료진에게 부상자의 상태, 경과 등의 보다 상세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20)는 중증도 분류표, 표시부(201), 연장부(202) 및 고정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01)는 상기 중증도 분류표가 끼움 고정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표시부(201)가 형성하는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끼움부재(2011,2012)가 형성되어 중증도 분류표가 표시부(20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증도 분류표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분류표가 채택될 수 있다.
연장부(202a,202b)는 표시부(201)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부상자의 신체부위 중 일부에 감싸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부(204a,204b)는 연장부(202a,202b)의 각 단부에 형성되어 연장부들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204a,204b)는 벨크로 소재가 채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연장부(202a,202b)와 고정부(204a,204b)의 사이에는 탄성부(203a,20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맞춰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중증도 분류표
20: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Claims (9)

  1. 기록지가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둘레를 따라 테두리 형태로 구비되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기록지의 전면을 감싸며, 상기 기록지의 내용이 외부 요인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명필름; 및
    상기 투명필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명필름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는 복수개의 면들이 접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면들은 부상자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컬러 코드(Color Code)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색으로 형성되고,
    상기 식별부와 상기 기록지는 복수개의 면들이 겹쳐진 형태로 각각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고,
    상기 기록지는,
    부상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블록 다이어그램(Block Diagram) 형태로 포함하고, 재난현장에서 기록되는 제1 기록지;
    상기 부상자의 신체 계통별 손상부위를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신체스케치를 포함하고, 현장 분류소에서 기록되는 제2 기록지;
    상기 현장 분류소에서 상기 부상자의 경과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포함하는 제3 기록지; 및
    상기 부상자를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부상자의 경과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포함하는 제4 기록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록지, 제2 기록지, 제3 기록지 및 제4 기록지는 순차적으로 겹쳐지도록 부착되고, 상기 제1 기록지는 상기 제2 기록지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제2 기록지 내지 상기 제4 기록지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 형태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재난현장에서부터 상기 의료기관에 도착할 때까지 상기 부상자의 경과가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증도 분류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면들이 형성하는 네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한 모서리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증도 분류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록지 및 상기 제4 기록지에는 시간, 맥박수(Heart Rate: HR), 호흡수(Respiratory Rate: RR), 혈압(Blood Pressure: BP) 및 맥박산소포화도(SPO2)를 포함하는 테이블이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증도 분류표.
  9. 중증도 분류표;
    상기 중증도 분류표가 끼움 고정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맞춰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증도 분류표는,
    기록지가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둘레를 따라 테두리 형태로 구비되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기록지의 전면을 감싸며, 상기 기록지의 내용이 외부 요인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명필름; 및
    상기 투명필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명필름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는 복수개의 면들이 접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면들은 부상자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컬러 코드(Color Code)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색으로 형성되고,
    상기 식별부와 상기 기록지는 복수개의 면들이 겹쳐진 형태로 각각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고,
    상기 기록지는,
    부상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블록 다이어그램(Block Diagram) 형태로 포함하고, 재난현장에서 기록되는 제1 기록지;
    상기 부상자의 신체 계통별 손상부위를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신체스케치를 포함하고, 현장 분류소에서 기록되는 제2 기록지;
    상기 현장 분류소에서 상기 부상자의 경과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포함하는 제3 기록지; 및
    상기 부상자를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부상자의 경과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포함하는 제4 기록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록지, 제2 기록지, 제3 기록지 및 제4 기록지는 순차적으로 겹쳐지도록 부착되고, 상기 제1 기록지는 상기 제2 기록지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제2 기록지 내지 상기 제4 기록지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 형태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재난현장에서부터 상기 의료기관에 도착할 때 까지 상기 부상자의 경과가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KR1020210034342A 2021-03-17 2021-03-17 중증도 분류표 및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KR102495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342A KR102495044B1 (ko) 2021-03-17 2021-03-17 중증도 분류표 및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342A KR102495044B1 (ko) 2021-03-17 2021-03-17 중증도 분류표 및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723A KR20220129723A (ko) 2022-09-26
KR102495044B1 true KR102495044B1 (ko) 2023-02-06

Family

ID=8345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342A KR102495044B1 (ko) 2021-03-17 2021-03-17 중증도 분류표 및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0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330B2 (ja) * 1992-04-10 2001-08-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KR101711287B1 (ko) * 2015-07-14 2017-03-16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중증도 분류표
KR101994076B1 (ko) * 2017-10-30 2019-06-27 주식회사 디자인모올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330U (ja) * 2014-12-05 2015-05-14 有限会社関田商会 防災・医療支援フォルダ用台紙
KR20180024950A (ko) * 2016-08-31 2018-03-08 주식회사 디자인모올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330B2 (ja) * 1992-04-10 2001-08-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KR101711287B1 (ko) * 2015-07-14 2017-03-16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중증도 분류표
KR101994076B1 (ko) * 2017-10-30 2019-06-27 주식회사 디자인모올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723A (ko) 202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9375B1 (en) Perimeter seal for a face mask
US7654024B2 (en) Separated wristband label assembly
JP2011034110A (ja) シンチ部分を有するリストバンドを含むビジネスフォーム
JP2010519977A (ja) 応急処置システム、その運用手順及び、特に本システム用の携帯型応急処置機器
JP2010529492A (ja) 代替設計による感熱リストバンドのビジネスフォーム
US9286440B1 (en) Self-contained emergency situation assistance kit with programmed audio and visual instructions
KR102495044B1 (ko) 중증도 분류표 및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KR101711287B1 (ko) 중증도 분류표
WO2003094367A2 (en) Improved first aid kit instructions
KR101994076B1 (ko)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KR20180024950A (ko) 재난현장 환자용 기록지
CN103263328A (zh) 一种快速新型检伤分类卡
CA3096379C (en) Perimeter seal for a face mask
US5573278A (en)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carrying assembly
KR102509710B1 (ko) 인식코드를 활용한 다수의 환자 분류시스템 및 인식코드를 활용한 다수의 환자 분류방법
Baker The management of mass casualty disasters
KR101891249B1 (ko) 환자분류용 태그
Koukopoulos et al. Triage and Transport of Casualties in the First Response Phase
Rodriguez Martinez A Wearable Platform for Patient Monitoring during Mass Casualty Incidents
US11065465B2 (en) Defibrillator cover
JP2021078738A (ja) 簡易担架およびその使用法
Matthews Operation RUMAN: role 2 afloat delivering humanitarian aid and disaster relief operations in the Caribbean
JP2003038587A (ja) 大規模災害時の患者の重症度識別表示方法とその識別表示タッグ並びにその識別表示体
Kilner Pre-hospital care
Andjelic et al. Belgrade model of emergency medical aid organization in mass casualty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