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287B1 - 중증도 분류표 - Google Patents

중증도 분류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287B1
KR101711287B1 KR1020150099880A KR20150099880A KR101711287B1 KR 101711287 B1 KR101711287 B1 KR 101711287B1 KR 1020150099880 A KR1020150099880 A KR 1020150099880A KR 20150099880 A KR20150099880 A KR 20150099880A KR 101711287 B1 KR101711287 B1 KR 101711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ification table
severity
severity classification
format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8557A (ko
Inventor
차명일
강효영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50099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287B1/ko
Priority to PCT/KR2016/005888 priority patent/WO2017010684A1/ko
Publication of KR2017000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이하의 실시예는 부상자의 중증도를 분류하는 분류표에 관한 것이다.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포함하는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적어도 하나의 변은 서로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각각 상기 부상자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컬러 코드(Color Code)들에 대응하고,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모서리 영역들; 및 상기 컬러 코드들 중 하나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모서리 영역들을 미리 정해진 형태로 절취 가능한 절취선들을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중증도 분류표{Triage Tag}
이하의 실시예는 부상자의 중증도를 분류하는 분류표에 관한 것이다.
테러, 지진, 태풍, 화재, 전복, 건물 붕괴 등 대규모의 재난, 재해에 의해 부상자가 한꺼번에 다수 발생하는 경우, 긴급한 부상자에게 적절한 대처를 행하기 위해 현장에 투입된 의료진은 트리아지 태그(Triage Tag)라는 인식표를 각 부상자에게 부착하여 부상자의 중증도에 대응하는 치료 우선도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받도록 한다.
기존의 트리아지 태그는 중증도에 따라서 하단에 중증도를 나타내는 컬러 코드 별로 태그가 부착되어 있으며, 부착되어 있는 태그를 제거하여 부상자의 중증도를 컬러 코드로 표시하는데, 중증도 결정 시 제거된 태그는 다시 부착되지 않아 중증도의 수정이 불가하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등록특허 제7918045호에서는 부상자의 상태 정보가 슬롯 아이덴티티 태그로 출력되는 손목 밴드형의 트리아지 태그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트리아지 태그보다 더 직관적이면서도, 중증도 분류표의 수정이 가능한 형태로 개선된, 부상자의 중증도를 표현하기 위한 중증도 분류표를 제공하고자 한다.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포함하는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적어도 하나의 변은 서로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각각 상기 부상자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컬러 코드(Color Code)들에 대응하고,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모서리 영역들; 및 상기 컬러 코드들 중 하나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모서리 영역들을 미리 정해진 형태로 절취 가능한 절취선들을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가 제공될 수 있다.
일측에 있어서, 상기 컬러 코드들에 대응하는 색상들을 상기 모서리 영역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현하는 색상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3 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색상 영역들을 상기 미리 정해진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절취 가능한 절취선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중증도 분류표의 아래에 겹쳐지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컬러 코드들 중 분류된 중증도에 해당하는 컬러 코드를 선택하는 포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각각 상기 중증도 분류표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홀; 및 상기 홀과 상기 중증도 분류표의 상단 변 사이에 위치하는 절취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모서리 영역들 및 상기 제2 면의 모서리 영역들은 서로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각각 상기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 상기 환자의 상태를 기록할 시, 상기 제1 면의 아래에 겹쳐진 상기 제2 면에 동시에 기록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중증도 분류표의 상단부의 두 모서리 영역들 사이에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트리아지 태그보다 더 직관적이면서도, 중증도 분류표의 수정이 가능한 형태로 개선된, 부상자의 중증도를 표현하기 위한 중증도 분류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증도 분류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증도 분류표를 통해 중증도에 대응하는 컬러 코드를 식별하는 일례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증도 분류표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증도 분류표의 제3 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면의 분리를 위한 절취선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부상자의 중증도를 수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에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포함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증도 분류표의 구성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표는 제1 면(110), 제2 면(120) 및 제3 면(130)이 겹쳐져 부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면(110)은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포함하고, 사각형의 네 모서리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선들이 제공되어 미리 정해진 형태로 절취될 수 있다. 각 모서리에서 절취선까지의 영역(도 1에 의하면 모서리의 삼각형 영역)을 모서리 영역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각 모서리 영역은 해당 영역이 절취될 때 제2 면의 대응하는 모서리 영역이 같이 절취될 수 있고, 제1 면(110), 제2 면(120)의 하단에 겹쳐진 제3 면(130)의 일부가 모서리 영역만큼 보여질 수 있다. 각 모서리 영역의 절취를 통해 보여지는 제3 면(130)에 대해서 도 2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면(120)은 제1 면(110)의 아래에 겹쳐지도록 부착될 수 있고, 제1 면(110)에 포함되는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이 제2 면(120)에 동일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면(120)의 모서리는 제1 면(110)의 모서리의 절취선과 동일한 위치에 절취선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면(110)의 모서리 영역과 제2 면의 모서리 영역은 접착되어 있어 예를 들어, 제1 면(110)의 어느 한 모서리 영역이 절취될 경우, 해당 모서리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면(120)의 모서리 영역이 동시에 절취될 수 있다.
제1 면(110)과 제2 면(1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지되, 가장 윗면인 제1 면(110)의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에 부상자의 상태가 기록될 때에, 먹지 또는 감압복사지 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1 면(110)에 기록되는 자국에 따라 제2 면(120)의 포맷에 제1 면(110)의 기록과 동일한 기록을 남길 수 있다.
제3 면(130)은 부상자의 중증도를 나타내기 위한 컬러 코드(Color 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3 면(130)은 네 개의 색상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고, 각 영역에 부상자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컬러 코드가 지정될 수 있다. 컬러 코드가 채워지는 영역에 대해서 색상 영역으로 정의한다. 제3 면(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면 전체가 분할된 색상 영역으로 지정되거나 제1 면(110) 및 제2 면의 모서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서 색상 영역으로 지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면(110)과 제3 면(130) 사이에 제2 면(120)이 생략될 수 있다. 또는, 제1 면(110)과 제3 면(130) 사이에 제2 면(120)이 두 장 이상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증도 분류표를 통해 중증도에 대응하는 컬러 코드를 식별하는 일례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제1 면 및 제2 면의 각 모서리 영역이 절취되는 경우, 절취된 모서리 영역을 통해 나타나는 제 3면의 컬러 코드를 이용하여 부상자의 중증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록색의 컬러 코드는 경미한 부상 상태, 노란색의 컬러 코드는 중등도의 부상이 있으나 구조가 늦춰져도 생명에 크게 지장이 없는 상태, 빨간색의 컬러 코드는 생명이 위험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상태, 그리고 검은색의 컬러 코드는 사망 상태 또는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다른 컬러 코드를 표시하고 있고, 각 컬러 코드는 미리 정해진 모서리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이 좌측 상단의 모서리 영역이 절취된 경우 노란색 컬러 코드를 표시할 수 있고, 도 2b와 같이 우측 상단의 모서리 영역이 절취된 경우 빨간색 컬러 코드를 표시할 수 있으며, 도 2c와 같이 좌측 하단이 절취된 경우 검은색 컬러 코드를 표시할 수 있고, 도 2d와 같이 우측 하단의 모서리 영역이 절취된 경우 초록색 컬러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의 실시예는 부상자의 중증도를 표시하고 있다. 각 모서리 영역에 대응하여 다른 컬러 코드를 가지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컬러 코드는 대응하는 텍스트, 기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노란색 컬러 코드는 'DELAYED'라는 텍스트 또는 거북이 모양의 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빨간색 컬러 코드는 'IMMEDIATE'라는 텍스트 또는 토끼 모양의 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검은색 컬러 코드는 'DECEASED'라는 텍스트 또는 십자가 모양의 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녹색 컬러 코드는 'MINIMAL'이라는 텍스트 또는 구급차 위에 금지 마크가 겹쳐진 모양의 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와 마크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증도 분류표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증도 분류표(300)는 도 1의 제1 면(110), 제2 면(120) 및 제3 면(130)이 겹쳐져 있는 형태를 가진다. 제1 면 및 제2 면(310)은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30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상자의 중증도, 증상, 수상 부위, 처치 내용, 진단 등을 기록하여 이후 구조될 때 부상자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제1 면과 제2 면은 같은 포맷(301)을 포함하는데, 가장 윗면인 제1 면의 포맷(301)에 부상자의 상태가 기록될 때에, 먹지 또는 감압복사지 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1 면에 기록되는 압력에 따라 제2 면의 포맷에도 제1 면의 포맷(301)과 동일한 기록을 남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 및 제2 면(310)은 적어도 한 변에서 접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면에 기록되는 정보가 제2 면에도 동일하게 기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 및 제2 면(310)은 절취선(302)을 기준으로 모서리 영역에 대해서 접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서리 영역을 접착시키는 것은 절취선(302)에 따라 제1 면의 모서리 영역과 제2 면의 모서리 영역이 동시에 절취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제1 면 및 제2 면(310)은 접착된 모서리 영역들로 인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1 면에 기록되는 정보가 제2 면에도 동일하게 기록될 수 있다. 컬러 코드를 식별하기 위하여 어느 하나의 모서리 영역이 절취되면 해당 모서리 영역에서 제1 면과 제2 면이 서로 분리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분리된 모서리 영역을 이용하여 제1 면을 제2 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절취선(302)은 직선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절취선(302)에 따라 모서리 영역이 절취되면, 제1 면 및 제2 면(310)의 아래에 겹쳐진 제3 면의 컬러 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제3 면(320)은 네 개의 컬러 코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컬러 코드를 나타내는 색상 영역은 적어도 모서리 영역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각 모서리 영역이 절취된 부분에 표시되는 컬러 코드는 해당 부상자의 중증도를 나타낸다.
중증도 분류표(300)은 일측에 홀(303)을 포함할 수 있다. 홀(303)은 제1 면 내지 제3 면을 모두 통과하는 구멍이며, 홀(303)에 끈을 통과시켜 연결함으로써 부상자의 목, 팔 등에 걸 수 있는 고리가 생성될 수 있다. 고리를 통해 목, 팔 등에 중증도 분류표(300)를 걸면, 바람이나 충돌 등에 의해서 중증도 분류표(300)가 유실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부상자의 상태에 대해 기록된 제1 면은 작성자 등에 의해서 중증도 분류표에서 분리되어 보관용 등으로 이용될 수 있고, 이후 부상자의 신체의 일부에 제1 면과 동일한 기록을 포함하는 제2 면 및 제3 면을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330)를 걸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증도 분류표의 제3 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3 면(400)은 네 변 중 어느 하나의 변을 통해 제1 면 및 제2 면의 아래에 겹쳐지도록 부착되고, 컬러 코드들에 대응하는 색상들이 모서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현되는 색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코드는 색상 영역의 위치에 따라 다른 색상을 표현하도록 지정될 수 있다.
색상 영역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면적을 네 등분하여 나누어진 영역 전체가 지정될 수 있고, 제1 면 및 제2 면의 모서리 영역에 절취될 때에 노출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이 지정되거나 모서리 영역의 절취에 의해 노출되는 영역을 포함하여 더 큰 영역이 지정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표는 중증도가 결정되어 모서리 영역이 절취된 이후에 중증도를 수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면의 색상 영역 각각에 절취선(401)을 포함하되, 모서리 영역에 의해서 노출되는 영역에 대응하거나 더 넓은 영역을 가지도록 절취선(40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 및 제2 면의 절취된 모서리 영역에 의해 노출된 컬러 코드가 아닌 다른 컬러 코드로 수정하기 위해서는 노출된 컬러 코드의 색상 영역에 포함되는 절취선을 절취하고, 수정하고자 하는 컬러 코드에 대응하는 모서리 영역을 새로이 절취함으로써 중증도 분류표에서 노출되는 컬러 코드를 수정할 수 있다. 자세한 실시예는 이후 도 6을 통해서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면의 분리를 위한 절취선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증도 분류표의 제1 면은 부상자의 상태에 대해 기록하되, 기록된 제1 면은 중증도 분류표에서 분리되어 보관용, 참고용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은 응급구조 대원이 보관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응급구조 대원은 제2 면과 제3 면을 부상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한 뒤, 부상자를 구급차로 이동시킬 수 있다. 분리되기 이전 제1 면은 제2 면 및 제3 면과 적어도 한 변에 대해서 접착되어 있는 상태이고, 제1 면의 모서리 영역은 제2 면의 모서리 영역과 접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중증도가 결정되어 어느 하나의 모서리 영역이 절취된 이후, 제1 면이 중증도 분류표에서 분리될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른 중증도 분류표는 대규모의 재난, 재해에 의해 부상자가 한꺼번에 다수 발생하는 경우, 긴급한 부상자에게 적절한 대처를 행해야 하는 긴급한 상황에서 제공되므로, 용이하게 절취 및 분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제1 면이 중증도 분류표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제공 가능한 형태의 중증도 분류표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의 실시예는, 중증도 분류표의 제1 면, 제2 면 및 제3 면이 상단 변(501)을 기준으로 접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끈을 끼우기 위해서 제공되는 홀과 상단 변 사이에 절취선(502)을 제공하는 일례에 관한 것이다. 홀에 끈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1 면을 분리할 때에 절취선(502)이 없는 경우, 홀 주변의 면이 정해진 형태 없이 임의의 형태로 찢어지기 때문에 포맷의 기록된 내용에 손상이 가해지거나 보관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절취선(502)을 제공하여 상단 변(501)을 기준으로 제1 면이 분리될 때에 절취선(502)에 따라 절취되도록 하여 제1 면이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b의 실시예에 의하면, 중증도 분류표는 제1면, 제2 면 및 제3 면을 고정하기 위해서 중증도 분류표의 상단부의 두 모서리 영역들 사이에 돌출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의 실시예에서는 돌출부(503)에 홀(504)을 포함하여 제공하고, 홀(504)은 끈 등을 끼워 부상자의 목, 팔 등에 걸기 위한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503)는 상단부의 양측 모서리 영역들 사이에서 모서리 영역이 절취되는 데에 지장이 되지 않도록 겹치지 않는 위치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면이 분리될 시, 돌출부와 제1 면 사이에 제공되는 절취선(505)을 이용하여 제1 면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부상자의 중증도를 수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중증도 분류표가 2장의 형태로 제공되는 케이스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앞면에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이 포함되며, 뒷면에 앞면과 동일한 포맷, 그리고 부상자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컬러 코드의 색상들을 표현하는 색상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앞면 및 뒷면은 적어도 하나의 변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앞면의 포맷에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할 시, 먹지 또는 감압복사지 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앞면에 기록되는 압력에 따라 뒷면의 포맷에 앞면의 포맷과 동일한 기록을 남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증도 분류표에서 부상자의 중증도가 결정되면, 앞면의 모서리 영역(601)을 절취함으로써 절취된 모서리 영역(601)에 대응하는 컬러 코드가 노출될 수 있다. 이후, 해당 컬러 코드가 아닌 다른 컬러 코드로 부상자의 중증도를 수정해야 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실시예에서 작성자는 앞면의 모서리 영역(601)에 대응하는, 뒷면의 컬러 코드의 일부 영역(602)을 절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뒷면의 네 모서리 각각에 대해서 절취선이 제공될 수 있다. 뒷면의 절취선은 앞면의 모서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영역(602)가 절취되고 나면, 중증도 분류표는 노출되는 컬러 코드가 없는 상태가 된다. 이후 수정하고자 하는 중증도에 대응하는 컬러 코드를 나타내기 위해 앞면의 모서리 영역(603)을 절취할 수 있다. 모서리 영역(603)이 절취된 중증도 분류표는 모서리 영역(603)에 대응하는 컬러 코드를 나타낼 수 있고, 해당 컬러 코드로 부상자의 중증도를 확정할 수 있다.
이후 앞면이 작성자에 의해서 분리되면, 앞면에 모서리 영역들이 절취된 정보만으로 해당 부상자의 중증도를 판단하기에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앞면에는 확정된 컬러 코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별도의 표시를 남기거나, 표시가 가능한 형식을 앞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 대응하여 세 면으로 이루어진 중증도 분류표의 컬러 코드를 수정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포함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두 면으로 구성되는 중증도 분류표에 대해서 뒷면(700)은 앞면과 동일한 포맷(701)을 포함할 수 있고, 앞면의 기록이 동일하게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상자의 중증도, 증상, 수상 부위, 처치 내용, 진단 등을 기록하여 이후 구조될 때 부상자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포맷(7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먹지 또는 감압복사지 등의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기록이 용이하도록 뒷면(700)의 전체 면적을 네 등분하여 나누어진 영역 전체가 색상영역으로 지정될 수 있고, 앞면의 모서리 영역에 절취될 때에 노출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이 지정되거나 앞면의 모서리 영역의 절취에 의해 노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더 큰 영역이 색상 영역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중증도 분류표에서 앞면이 분리된 이후에 뒷면(700)은 부상자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컬러 코드에 대해 표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뒷면(700)은 부상자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컬러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포맷(7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기로 체크 가능한 포맷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또는, 중증도에 대응하는 컬러 코드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컬러 코드의 모서리의 일부를 절취하기 위한 절취선이 포함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중증도에 대응하는 컬러 코드를 수정하는 경우, 먼저 표시된 컬러 코드의 모서리의 일부 영역이 절취되고, 수정하고자 하는 중증도에 대응하는 컬러 코드에 대응하는 포맷(702)에 선택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트리아지 태그와 같이 직관적이면서도, 중증도 분류표의 수정이 가능한 형태로 개선된, 부상자의 중증도를 표현하기 위한 중증도 분류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포함하는 제1 면과 제2 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적어도 하나의 변은 서로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각각
    상기 부상자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컬러 코드(Color Code)들에 대응하고,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모서리 영역들; 및
    상기 컬러 코드들 중 하나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모서리 영역들을 미리 정해진 형태로 절취 가능한 절취선들
    을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코드들에 대응하는 색상들을 상기 모서리 영역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현하는 색상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3 면
    을 더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색상 영역들을 상기 미리 정해진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절취 가능한 절취선들을 더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중증도 분류표의 아래에 겹쳐지도록 부착되는,
    중증도 분류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더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컬러 코드들 중 분류된 중증도에 해당하는 컬러 코드를 선택하는 포맷을 더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각각
    상기 중증도 분류표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홀; 및
    상기 홀과 상기 중증도 분류표의 상단 변 사이에 위치하는 절취선
    을 더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모서리 영역들 및 상기 제2 면의 모서리 영역들은 서로 접착되어 있는,
    중증도 분류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 상기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할 시, 상기 제1 면의 아래에 겹쳐진 상기 제2 면에 동시에 기록되는,
    중증도 분류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증도 분류표의 상단부의 두 모서리 영역들 사이에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
    를 더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홀을 더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
  13. 부상자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컬러 코드(Color Code)들에 대응하고,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모서리 영역들; 및
    상기 컬러 코드들 중 하나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모서리 영역들을 미리 정해진 형태로 절취 가능한 절취선들
    을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증도 분류표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홀; 및
    상기 홀과 상기 중증도 분류표의 상단 변 사이에 위치하는 절취선
    을 더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
    을 더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코드들에 대응하는 색상들을 상기 모서리 영역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현하는 색상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3 면
    을 더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색상 영역들을 상기 미리 정해진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절취 가능한 절취선들을 더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중증도 분류표의 아래에 겹쳐지도록 부착되는,
    중증도 분류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포맷을 더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컬러 코드들 중 분류된 중증도에 해당하는 컬러 코드를 선택하는 포맷을 더 포함하는,
    중증도 분류표.
KR1020150099880A 2015-07-14 2015-07-14 중증도 분류표 KR101711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80A KR101711287B1 (ko) 2015-07-14 2015-07-14 중증도 분류표
PCT/KR2016/005888 WO2017010684A1 (ko) 2015-07-14 2016-06-03 중증도 분류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80A KR101711287B1 (ko) 2015-07-14 2015-07-14 중증도 분류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557A KR20170008557A (ko) 2017-01-24
KR101711287B1 true KR101711287B1 (ko) 2017-03-16

Family

ID=5775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880A KR101711287B1 (ko) 2015-07-14 2015-07-14 중증도 분류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1287B1 (ko)
WO (1) WO20170106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723A (ko) * 2021-03-17 2022-09-2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중증도 분류표 및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2062B (zh) * 2020-03-20 2022-09-16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 一种插杆式灾害现场伤情信息标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755B2 (ja) 1995-09-28 2000-06-19 川崎製鉄株式会社 金属材料酸洗液の処理方法
JP3121007B2 (ja) 1989-10-20 2000-12-25 プログレス ウォーター テクノロジ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液体/固体の連続接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755U (ja) * 1997-08-25 1998-11-13 株式会社 オオサキ トリアージタッグ
US7047682B2 (en) * 2002-09-27 2006-05-23 Laser Band, Llc Wristband/label assembly business form and method
US6305605B1 (en) * 1999-08-09 2001-10-23 John W. Goetz Multiple-casualty incident patient tracking
JP3121007U (ja) * 2006-01-04 2006-04-27 明宏 田治 トリアージ・タッグ
US20070194099A1 (en) * 2006-02-09 2007-08-23 Miller Russell L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eople affected by a public health crisis and a tag for use therewith
US7629881B2 (en) * 2006-04-28 2009-12-0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ensor-based adaptive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JP3151663U (ja) * 2009-04-17 2009-07-02 公照 法信 トリアージタッグ
US8959815B2 (en) * 2011-08-18 2015-02-24 The Seaberg Company, Inc. Adhesive casualty and triage c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007B2 (ja) 1989-10-20 2000-12-25 プログレス ウォーター テクノロジ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液体/固体の連続接触装置
JP3053755B2 (ja) 1995-09-28 2000-06-19 川崎製鉄株式会社 金属材料酸洗液の処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723A (ko) * 2021-03-17 2022-09-2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중증도 분류표 및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KR102495044B1 (ko) * 2021-03-17 2023-02-0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중증도 분류표 및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0684A1 (ko) 2017-01-19
KR20170008557A (ko) 201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0552C (en) Continuous strip of thermal wristband/label
US20120210620A1 (en) Business Form With Self Laminating Wristband With Reduced Image Area
KR101711287B1 (ko) 중증도 분류표
JP6363591B2 (ja) 取り外し可能なリストバンドを有するフォーム
CA2617618A1 (en) Business form and self-laminating wristband with improved print area and single layer straps
US20080196144A1 (en) Surgical headpiece
Hodgetts et al. Major Incident Management System (MIMS)
US20120213960A1 (en) Self-laminating card and assembly
US20060257608A1 (en) Destructible privacy label for curved surfaces
ES2247773T3 (es) Medios y sistema codificados de custodia neonatal.
KR20150002942U (ko) 택배용 라벨시트
KR102495044B1 (ko) 중증도 분류표 및 중증도 분류표 부착대
CN204833311U (zh) 可追溯标签和标签组
KR101891249B1 (ko) 환자분류용 태그
JP3201706U (ja) コピー用台紙
JP3151663U (ja) トリアージタッグ
CN210472300U (zh) 一种院前急救识别卡
US20130337430A1 (en) Self-organizing technology for disaster response and recovery
JP3053755U (ja) トリアージタッグ
JP2003038587A (ja) 大規模災害時の患者の重症度識別表示方法とその識別表示タッグ並びにその識別表示体
JP6298774B2 (ja) 識別色視認一体型粘着性再剥離糊部付きメモ用紙
JP2019130178A (ja) リストバンド
CN213211492U (zh) 伤情识别标签
JP2017071188A (ja) 個人情報管理シートの作成用キット
Keene et al. Emergency Preparedness: Major Inciden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