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943B1 - 마찰 전동 벨트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벨트 전동장치 - Google Patents

마찰 전동 벨트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벨트 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943B1
KR101992943B1 KR1020147020649A KR20147020649A KR101992943B1 KR 101992943 B1 KR101992943 B1 KR 101992943B1 KR 1020147020649 A KR1020147020649 A KR 1020147020649A KR 20147020649 A KR20147020649 A KR 20147020649A KR 101992943 B1 KR101992943 B1 KR 101992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hermoplastic resin
powder
friction coefficient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9998A (ko
Inventor
케이스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9/00Producing belts or bands
    • B29D29/10Driving belts having wedge-shaped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04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 F16G5/0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2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with a contact surface of special shape, e.g. toot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9/00Producing belts or bands
    • B29D29/10Driving belts having wedge-shaped cross-section
    • B29D29/103Multi-ribbed driving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2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plastics
    • F16G5/14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plastics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마찰 전동 벨트(B)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 벨트 본체(10)가 풀리에 감아 걸려 동력을 전달한다. 벨트본체(10)의 풀리 접촉측 표면을 피복하도록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막(16)과, 열가소성 수지막(16) 표면측에 형성된 마찰계수 저감분체(粉體)(17a, 17b, 17c)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분체층(17)을 구비한다. 분체층(17)은, 열가소성 수지막(16)에 매몰된 분체(17a)와, 열가소성 수지막(16)의 표면에 담지되고 표면 노출된 분체(17b)와, 응집되어 열가소성 수지막(16)의 표면에 담지되고 노출된 분체(17b)에 밀착된 분체(17c)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찰 전동 벨트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벨트 전동장치{FRICTION TRANSMISSION BEL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ELT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마찰 전동 벨트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벨트 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이나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써, V 리브드 벨트나 V 벨트 등의 마찰 전동 벨트를 이용하는 것은 공지된 것이다. 또, 마찰 전동 벨트에서는, 주행 중에 피수(被水)하는 풀리 상에서 스틱 슬립(stick-slip)이라 불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 스틱 슬립에 의한 이상음이 발생하는 것도 공지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상음에 대해, 종래부터 여러 가지 대책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V 리브 표면이 불소입자를 포함한 저(低)분자량 폴리에틸렌 수지막으로 피복된 V 리브드 벨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직포 등의 커버로 피복된 V 리브 표면이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진 베리어층(barrier layer)으로 피복되고, 그 적어도 플랭크(flank) 상에 있는 커버가 베리어층 두께의 일부분 내에 부분적으로 포함된 V 리브드 벨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V 리브 표면이 직포 등으로 피복되고, 또, 벨트 본체와 직포 등과의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층이 형성된 V 리브드 벨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표 2009-533606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2010-101489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2002-122187호 공보
본 발명은,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 벨트본체가 풀리에 감아 걸려 동력을 전달하는 마찰 전동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본체의 풀리 접촉측 표면을 피복하도록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막과, 이 열가소성 수지막 표면측에 형성된 마찰계수 저감 분체(粉體)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분체층을 구비하고, 상기 분체층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막에 매몰(埋沒)된 마찰계수 저감 분체와, 이 열가소성 수지막의 표면에 담지되고 표면 노출된 마찰계수 저감 분체와, 응집되어 이 열가소성 수지막의 표면에 담지되고 노출된 마찰계수 저감 분체에 밀착한 마찰계수 저감 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 벨트 본체가 풀리에 감아 걸려 동력을 전달하는 마찰 전동 벨트에 있어서, 벨트 성형틀의 풀리 접촉측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면에, 미리 마찰계수 저감 분체를 뿜칠하여(분사 코팅하여) 분체층을 형성하고, 거기에 열가소성 수지로 피복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진 벨트 형성용 성형체를 압접(壓接)시키고, 이 마찰계수 저감 분체가 용융하지 않고 또한 이 열가소성 수지가 연화(軟化) 내지 용융(溶融)하는 성형온도에서 이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가교시킴으로써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의 벨트 전동장치는, 본 발명의 마찰 전동 벨트와, 이 마찰 전동 벨트의 벨트 본체가 감아 걸린 복수의 풀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마찰 전동 벨트의 제조방법은, 벨트 성형틀의 풀리 접촉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면에, 미리 마찰계수 저감 분체를 뿜칠하여 분체층을 형성하고, 거기에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열가소성 수지로 피복한 벨트 형성용 성형체를 압접시키고, 이 마찰계수 저감 분체가 용융하지 않고 또한 이 열가소성 수지가 연화 내지 용융하는 성형온도에서 이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가교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 요부(要部)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 변형예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의 V 리브 표층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를 이용한 자동차 보기 구동벨트 전동장치의 풀리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의 제조에 이용하는 벨트 성형틀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의 제조에 이용하는 벨트 성형틀 일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의 제조에 있어서, 외틀에 분체를 뿜칠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의 제조에 있어서, 내틀에 미가교 고무시트 등을 세팅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의 제조에 있어서, 내틀을 외틀 안에 위치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의 제조에 있어서, 벨트 슬래브를 성형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a)는, 제 1 종래예의 V 리브드 벨트의 V 리브 표층의 단면도이고, 도 12(b)는, 제 2 종래예의 V 리브 표층의 단면도이다.
도 13(a)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의 요부(要部) 단면도이고, 도 13(b)은 이 변형예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4(a) 및 (b)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의 제조에 있어서, 내틀에 미가교 고무시트 등을 세팅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미스얼라인먼트 벨트 주행 시 이상음 시험용 벨트 주행 시험기의 풀리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회전 변동 벨트 주행 이상음 소리 시험용 벨트 주행 시험기의 풀리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마찰 전동 벨트)를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엔진 룸 내에 설치되는 보기(補機) 구동 벨트 전동장치 등에 이용되는 것이다.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는, 예를 들어, 벨트 둘레길이 700∼3000㎜, 벨트 폭 10∼36㎜, 및 벨트 두께 4.0∼5.0㎜이다.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는, 벨트 내주(內周)측의 압축 고무층(11)과 중간의 접착 고무층(12)과 벨트 외주(外周)측의 배면 고무층(13)과의 3중층으로 구성된 V 리브드 벨트 본체(10)를 구비하고, 접착 고무층(12)에는, 벨트 폭방향에 피치를 갖는 나선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심선(14)이 매설된다.
압축 고무층(11)은, 복수의 V 리브(15)가 벨트 내주측으로 늘어지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V 리브(15)는, 각각이 벨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거의 역삼각형의 돌조(rib)로 형성됨과 동시에, 벨트 폭방향으로 나열 형성된다. 각 V 리브(15)는, 예를 들어, 리브 높이가 2.0∼3.0㎜, 기단(基端) 사이의 폭이 1.0∼3.6㎜이다. 또, 리브 수는, 예를 들어, 3∼6개이다(도 1에서는 6개). 압축 고무층(11)은, 고무성분에 여러 가지 배합제가 배합되어 혼련(混鍊)된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가열 및 가압하여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다.
압축 고무층(11)을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의 고무성분은, 예를 들어, 에틸렌-α-올레핀엘라스토머, 클로로프렌 고무(CR),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CSM),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 고무(H-NBR) 등을 들 수 있다. 고무성분은 단일 종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 복수 종이 혼합되어 구성되어도 된다.
배합제로는, 카본블랙 등의 보강재, 가류 촉진제, 가교제, 노화 방지제, 연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보강재로는, 카본블랙에서는, 예를 들어 채널블랙(channel black); SAF, ISAF, N-339, HAF, N-351, MAF, FEF, SRF, GPF, ECF, N-234 등의 퍼네이스블랙(furnace black); FT, MT 등의 서멀블랙(thermal black); 아세틸렌 블랙(acetylene black) 등을 들 수 있다. 보강재로는 실리카도 들 수 있다. 보강재는, 단일 종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 복수 종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보강재는, 내마모성 및 내굴곡성의 균형이 양호하게 되는 관점에서, 고무성분 100질량부에 대한 배합량이 30∼8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류(加硫) 촉진제로는, 산화 마그네슘이나 산화아연(아연화(亞鉛華)) 등의 금속 산화물, 금속 탄산염, 스테아린산(stearic acid) 등의 지방산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가류 촉진제는, 단일 종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 복수 종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가류 촉진제는, 고무성분 100 질량부에 대한 배합량이 예를 들어 0.5∼8질량부이다.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유황, 유기과산화물을 들 수 있다. 가교제로서, 유황을 이용한 것이라도 되고, 또, 유기과산화물을 이용한 것이라도 되며, 또한, 이들 양쪽을 병용한 것이라도 된다. 가교제는, 유황의 경우, 고무성분 100질량부에 대한 배합량이 0.5∼4.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기과산화물의 경우, 고무성분 100질량부에 대한 배합량이 예를 들어 0.5∼8질량부이다.
노화 방지제로는, 아민계, 퀴놀린(quinoline)계,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유도체, 페놀계, 아인산(phosphorous acid) 에스테르계의 것을 들 수 있다. 노화 방지제는, 단일 종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 복수 종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노화 방지제는 고무성분 100질량부에 대한 배합량이 예를 들어 0∼8질량부이다.
연화제로는, 예를 들어, 석유계 연화제, 파라핀 왁스 등의 광물유(鑛物油)계 연화제, 피마자유(castor oil), 면실유, 아마인유(linseed oil), 채종유(rape oil), 대두유, 팜유(palm oil), 야자유(coconut oil), 낙화생유, 목랍(Japan wax), 로진(rosin), 파인오일(pine oil) 등의 식물유계 연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연화제는 단일 종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 복수 종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석유계 연화제 이외의 연화제는, 고무성분 100질량부에 대한 배합량이 예를 들어 2~30질량부이다.
또한, 배합제로서, 스멕타이트(smectite)족,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족, 카올린(kaolin)족 등의 층상 규산염이 포함되어도 된다.
압축 고무층(11)은, 단일 종의 고무 조성물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한, 복수 종의 고무 조성물이 적층되고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압축 고무층(11)은, 도 3에 나타내듯이, 마찰계수 저감재가 배합된 풀리 접촉측 표면층(11a)과, 그 내측에 적층된 내부 고무층(11b)을 가져도 된다. 마찰계수 저감재로는, 예를 들어, 나일론 단섬유, 비닐론 단섬유, 아라미드 단섬유,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면 단섬유 등의 단섬유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내부 고무층(11b)에는 단섬유와 마찰계수 저감재가 배합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고무층(11)은, 풀리 접촉측 표면인 V 리브(15) 표면이 열가소성 수지막(16)으로 피복된다. 열가소성 수지막(16)의 두께는 0.1∼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막(16)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수지(polyethylene resin, PE)나 폴리프로필렌 수지(polypropylene resin, PP)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polyolefin resin), 폴리스티렌 수지(polystyrene resin, PS),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olycarbonate resin, P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 AB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에틸렌 수지(PE)나 폴리프로필렌 수지(PP)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 수지(PE)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는, 단일 종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 복수 종이 혼합되어 구성되어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막(16)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PE)나 폴리프로필렌 수지(PP) 등과 같은 결정성(結晶性) 수지라도 되고, 또 폴리스티렌 수지(PS) 등과 같은 비(非)결정성 수지라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막(16)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軟化)온도 또는 융점은, 성형 가공성과 내열성과의 균형의 관점에서 100∼170℃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16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막(16)의 표면측에는 마찰계수 저감분체(17a, 17b, 17c)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분체층(粉體層)(17)이 형성된다.
분체층(17)은, 열가소성 수지막(16) 표면전체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도 되고, 또, 예를 들어, 벨트 반주(半周)분의 열가소성 수지막(16) 표면만, 혹은, 벨트 폭방향의 내측 또는 외측의 열가소성 수지막(16) 표면만과 같이, 열가소성 수지막(16) 표면을 부분적으로 피복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분체층(17)은, 열가소성 수지막(16)의 표면측에 균일하게 형성되어도 되고, 또, 열가소성 수지막(16)의 표면측에 예를 들어 얼룩모양을 형성하도록 불균일하게 형성되어도 된다.
분체층(17)은, 도 4에 나타내듯이, 열가소성 수지(16)에 매몰(埋沒)된 마찰계수 저감분체(17a)와, 열가소성 수지막(16)의 표면에 담지되고 표면이 노출된 마찰계수 저감분체(17b)와, 응집되어 열가소성 수지막(16)의 표면에 담지되고 노출된 마찰계수 저감분체(17b)에 밀착한 마찰계수 저감분체(17c)를 포함한다. 분체층(17)의 마찰계수 저감분체(17b, 17c)에 의해 V 리브(15) 표면에는 미세한 요철(凹凸)이 형성된다.
마찰계수 저감분체(17a, 17b, 17c)의 입자지름은 0.1∼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5∼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입자지름이란, 체 분석(sieve analysis)법에 의해 측정한 시험용 체의 체구멍(sieve opening)으로 나타낸 것, 침강법(precipitation method)에 의한 스토크스(stokes) 상당 지름으로 나타낸 것, 및 광산란(光散亂)법에 의한 구형(球形)에 상당하는 지름, 그리고 전기저항 시험방법에 의한 구형에 상당하는 값으로 나타낸 것 중 어느 하나이다.
마찰계수 저감분체(17a, 17b, 17c)를 형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불소수지, 층상 규산염, 활석(talc), 탄산칼슘,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풀리 접촉측 표면인 V 리브(15) 표면의 마찰계수를 저감하는 관점에서, 불소수지가 바람직하다. 마찰계수 저감분체(17a, 17b, 17c)는, 단일 종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한, 복수 종이 혼합되어 구성되어도 된다.
불소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수지(polytetrafluoroethylene resin, 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ㆍ퍼플루오로 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수지(P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ㆍ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ㆍ에틸렌 공중합체 수지(ETFE), 폴리비닐이딘 플루오라이드 수지(polyvinylidene fluoride resin, PVDF), 폴리클로로 트리플루오로에틸렌 수지(polychlorotrifluoroethylene, PCTFE), 클로로 트리플루오로에틸렌ㆍ에틸렌 공중합체 수지(ECTFE)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수지(PTFE)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주식회사 SEISHIN사 제의 PTFE 파우더 TFW 시리즈(TFW-500, TFW-1000, TFW-2000, TFW-3000, TFW-3000F)를 들 수 있다.
층상 규산염으로는, 스멕타이트족, 버미큘라이트족, 카올린족을 들 수 있다. 스멕타이트족으로는, 예를 들어,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바이델라이트(beidellite), 사포나이트(sap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등을 들 수 있다. 버미큘라이트족으로는, 예를 들어, 삼팔면체(trioctahedral)형 버미큘라이트, 이팔면체(dioctahedral)형 버미큘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카올린족으로는, 예를 들어,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디카이트(dickite),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리잘다이트(lizardite), 에임자이트(amesite), 크리소타일(chrysotile)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스멕타이트족의 몬모릴로나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내마모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분체층(17)에 더불어 열가소성 수지막(16)의 표면에 단섬유가 밀착되어도 된다. 이러한 단섬유로는, 예를 들어, 나일론 단섬유, 비닐론 단섬유, 아라미드 단섬유,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면 단섬유를 들 수 있다. 단섬유는, 예를 들어, 길이가 0.2∼5.0㎜, 섬유지름이 10∼50㎛이다.
접착 고무층(12)은, 단면이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띠형상으로 구성되고, 두께는 예를 들어 1.0∼2.5㎜이다. 배면 고무층(13)도, 단면이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띠형상으로 구성되고, 두께는 예를 들어 0.4∼0.8㎜이다. 배면 고무층(13)의 표면은, 벨트 배면이 접촉하는 평 풀리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상음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직포의 결이 전사(轉寫)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고무층(12) 및 배면 고무층(13)은, 고무성분에 여러 가지 배합제가 배합되어 혼련된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가열 및 가압하여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다. 배면 고무층(13)은, 벨트 배면이 접촉하는 평 풀리와의 접촉으로 점착(粘着)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접착 고무층(12)보다 약간 단단한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축 고무층(11)과 접착 고무층(12)에 의해 V 리브드 벨트 본체(10)를 구성하고, 배면 고무층(13) 대신에, 예를 들어, 면,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의 실로 형성된 직포, 편물(編物),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보강포가 형성된 구성이라도 된다.
접착 고무층(12) 및 배면 고무층(13)을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의 고무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α-올레핀엘라스토머, 클로로프렌 고무(CR),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 고무(CSM),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 고무(H-NBR) 등을 들 수 있다. 접착 고무층(12) 및 배면 고무층(13)의 고무성분은 압축고무층(11)의 고무성분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제로는, 압축 고무층(11)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카본블랙 등의 보강재, 가류촉진제, 가교제, 노화방지제, 연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압축 고무층(11), 접착 고무층(12), 및 배면 고무층(13)은, 별도 배합의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어도 되고, 또, 동일 배합의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어도 된다.
심선(14)은, 폴리에스테르 섬유(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PEN), 아라미드 섬유, 비닐론 섬유 등의 연사(撚絲)로 구성된다. 심선(14)은, V 리브드 벨트 본체(10)에 대한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성형가공 전에 레조르신ㆍ포르말린ㆍ라텍스 수용액(이하, "RFL수용액"이라 함)에 침지(浸漬)한 후에 가열하는 접착처리 및/또는 고무풀에 침지한 후에 건조시키는 접착처리가 행해진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를 이용한 자동차의 보기 구동 벨트 전동장치(20)의 풀리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이 보기 구동 벨트 전동장치(20)는, V 리브드 벨트(B)가 4개의 리브 풀리 및 2개의 평 풀리를 합쳐 6개의 풀리에 감아 걸려 동력을 전달하는 서펜타인(serpentine) 드라이브 방식의 것이다.
이 보기 구동벨트 전동장치(20)는, 최상 위치에 파워 스티어링 풀리(power steering pulley)(21)가 설치되고, 이 파워 스티어링 풀리(21)의 약간 우측의 경사진 하방에 배치된 AC제네레이터 풀리(22), 파워 스티어링 풀리(21)의 좌측 경사진 하방이며, 또 AC제네레이터 풀리(22)의 좌측 경사진 상방에 배치된 평 풀리의 텐셔너 풀리(23)와, AC제네레이터 풀리(22)의 좌측 경사진 하방이며 또, 텐셔너 풀리(23)가 바로 아래에 배치된 평 풀리의 워터 펌프풀리(24)와, 텐셔너 풀리(23) 및 워터 펌프풀리(24)의 좌측 경사진 하방에 배치된 크랭크 샤프트 풀리(25)와, 워터 펌프풀리(24) 및 크랭크 샤프트 풀리(25)의 우측 경사진 하방에 배치된 에어컨풀리(26)를 구비한다. 이들 중, 평 풀리인 텐셔너 풀리(23) 및 워터 펌프 풀리(24) 이외는 모두 리브 풀리이다. 이들 리브 풀리 및 평 풀리는, 예를 들어, 금속의 프레스 가공품이나 주물(鑄物), 나일론 수지, 페놀 수지 등의 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되며, 또, 풀리 지름이 Φ50~150㎜이다.
이 보기 구동 벨트 전동장치(20)에서는, V 리브드 벨트(B)는, V 리브(15)측이 접촉하도록 파워 스티어링 풀리(21)에 감아 걸리고, 이어서, 벨트 배면이 접촉하도록 텐셔너 풀리(23)에 감아 걸린 후, V 리브(15)측이 접촉하도록 크랭크샤프트 풀리(25) 및 에어컨 풀리(26)에 차례로 감기며, 또한, 벨트 배면이 접촉하도록 워터펌프 풀리(24)에 감기고, 그리고, V 리브(15)측이 접촉하도록 AC제네레이터 풀리(22)에 감기며, 마지막에 파워 스티어링 풀리(31)로 되돌아오도록 설치된다.
다음에,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 제조방법의 일례에 대해 도 6∼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의 제조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동심상(同心狀)으로 설치된, 각각, 원통형 내틀(31)(고무 슬리브) 및 외틀(32)로 이루어진 벨트 성형틀(30)을 이용한다.
이 벨트 성형틀(30)에서는, 내틀(31)은, 고무 등의 가요성(可撓性) 재료로 형성된다. 내틀(31)의 외주면은 성형면에 구성되고, 그 내틀(31)의 외주면에는, 직포의 결 형성모양 등이 형성된다. 외틀(32)은, 금속 등의 강성(剛性)재료로 형성된다. 외틀(32)의 내주면은 성형면에 구성되고, 그 외틀(32)의 내주면에는, V 리브 형성홈(33)이 축방향에 일정 피치로 형성된다. 또, 외틀(32)에는, 수증기 등의 열매체나 물 등의 냉매체를 유통시켜 온도 조절하는 온도조절기구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벨트 성형틀(30)에서는, 내틀(31)을 내부로부터 가압 팽창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이 설치된다.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의 제조에 있어서, 먼저, 고무성분에 각 배합물을 배합하고, 니더(kneader), 밴버리 믹서(banbury mixer) 등의 혼련기(混練機)로 혼련하여 얻어진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캘린더 성형 등에 의해 시트형상으로 성형하고 압축 고무층(11)용의 미가교 고무시트(11')(벨트 형성용의 미가교 고무 조성물)를 제작한다. 마찬가지로, 접착 고무층(12)용 및 배면 고무층(13)용의 미가교 고무시트(12', 13')도 제작한다. 또, 심선(14)이 되는 연사(14')를 RFL 수용액에 침지하고 가열하는 접착처리를 행한 후, 연사(14')를 고무풀에 침지하여 가열 건조하는 접착처리를 행한다.
이어서, 도 9에 나타내듯이, 내틀(31) 외주(外周)면의 성형면에는, 배면 고무층(13)용의 미가교 고무시트(13'), 및 접착 고무층(12)용의 미가교 고무시트(12')를 차례로 감아 적층하고, 그 위로부터 심선(14)용의 연사(14')를 원통형 내틀(31)에 대해 나선형으로 감고, 또 그 위로부터 접착 고무층(12)용의 미가교 고무시트(12') 및 압축 고무층(11)용의 미가교 고무시트(11')를 차례로 감아 적층하고, 마지막에 열가소성(可塑性) 수지시트(16')를 감아 피복함으로써 벨트 형성용 성형체(10')를 형성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의 V 리브드 벨트(B)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압축 고무층(11)용의 미가교 고무시트(11')로써, 풀리 접촉측 표면층(11a)용과 내부 고무층(11b)에 다른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다.
여기서, 압축 고무층(11)용 미가교 고무시트(11') 상에 감은 열가소성 수지시트(16')의 단부(端部)는, 겹이음(lap joint)하여도 되고, 또, 거의 틈새를 갖지 않도록 맞대기 이음(butt joint)하여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시트(16')의 단부를 맞대기 이음 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시트(16')의 단부끼리를 열에 의한 용착(溶着) 접착(열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열가소성 시트(16')의 단부를 맞대어 접착하지 않으면, 그 후의 가류공정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시트(16')가 줄어, 단부 사이가 벌어져 틈새가 형성되는 것이나, PK형의 V 리브드 벨트(B)의 경우, 10㎜ 정도 이하의 틈새이면, 특별히 이상음 발생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열가소성 수지 시트(16')를 감는 대신에, 열가소성 수지를 원통 막형상으로 압출 성형한 것을 압축 고무층(11)용의 미가교 고무시트(11')의 위에서부터 씌워도 되고, 또, 열가소성 수지의 시트 단부를 접착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이를 압축 고무층(11)용의 미가교 고무시트(11')의 위에서부터 씌워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의 시트 단부의 접착은 열 접착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시트(16') 등의 이음부는, 제조되는 V 리브드 벨트(B)의 벨트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도 되고, 또, 벨트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도 된다.
한편, 도 8에 나타내듯이, 외틀(32) 내주(內周)면의 풀리 접촉측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면에 마찰계수 저감 분체(P)를 뿜칠한다. 이 때, 외틀(32) 성형면에는 분체층(17')이 형성된다. 분체층(17')의 두께는 0.1∼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10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체층(17)은 열가소성 수지(16) 전면(全面)을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외틀(32)의 성형면 전면에 분체층(17')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분체층(17')의 두께는, 적어도 마찰계수 저감분체(P)의 입자지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체층(17)은, 열가소성 수지막(16)에 매몰된 마찰계수 저감분체(17a) 및 열가소성 수지막(16)의 표면에 담지되고 표면 노출한 마찰계수 저감분체(17b)를 가짐으로써, 외틀(32)의 성형면에, 마찰계수 저감분체(P)가 중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분체층(17')의 두께는, 마찰계수 저감분체(P) 입자지름의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분체층(17')의 두께가 두꺼우면, 많은 잉여 분체가 부착하고, 이들은 주행초기에 탈락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분체층(17')의 두께는, 마찰계수 저감분체(P)의 입자지름의 10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이 때, 외틀(32)로의 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뿜칠하는 마찰계수 저감분체(P)를 예를 들어 10∼100㎸의 전압을 걸어 대전(帶電)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찰계수 저감분체(P)의 뿜칠은 일반의 분체도장 장치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내듯이, 내틀(31)을 외틀(32) 안에 위치시켜 밀폐한다. 이 때, 내틀(31) 내부가 밀봉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외틀(32)을, 마찰계수 저감분체(P)가 용융하지 않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시트(16')가 연화 내지 용융하는 성형온도에서 가열함과 동시에, 내틀(31)의 밀폐된 내부에 고압공기 등을 주입하여 가압한다. 이 때, 도 11에 나타내듯이, 내틀(31)이 팽창되고, 외틀(32)의 성형면에, 벨트 형성용 성형체(10')가 압접되고, 그리고, 미가교 고무시트(11', 12', 13')의 가교가 진행하여 일체화됨과 동시에, 연사(14')와 복합화하고, 또, 열가소성 수지시트(16')가 연화 내지 용융하여 고무와 복합화하고, 최종적으로, 원통형의 벨트 슬래브가 성형된다. 또한, 미리 외틀(32)의 성형면에 마찰계수 저감분체(P)를 뿜칠하여 형성한 분체층(17')은, 연화 내지 용융한 열가소성 수지시트(16')의 표면측에서 복합화된다. 벨트 슬래브의 성형온도는 예를 들어 100∼180℃, 성형압력은 예를 들어 0.5∼2.0㎫, 성형시간은 예를 들어 10∼60분이다.
그리고, 내틀(31)의 내부를 감압하여 밀폐를 해제하고, 내틀(31)과 외틀(32)의 사이에서 성형된 벨트 슬래브를 꺼내어, 이를 소정 폭으로 자르고 앞뒤를 뒤집음으로써, V 리브드 벨트(B)가 얻어진다.
그런데, 종래 V 리브드 벨트에 있어서, V 리브 표면을 피복하도록 열가소성 수지막을 형성하고, 그 막 안에 마찰계수 저감 필러(filler) 및 내마모성 향상 필러를 혼입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막을 형성함으로써, 마찰계수 저감 필러에 의한 마찰저감 효과에 의해 스틱 슬립(stick slip)에 의한 이상음의 발생이 억제됨과 동시에, 내마모성 향상 필러에 의한 보강효과에 의해 내마모성이 향상하는 것이 기대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V 리브드 벨트의 제조 시에는, 가류성형 전의 고무표면을 열가소성 수지로 피복하고, 또한 그 표면에 마찰계수 저감 필러를 뿜칠하므로, 가류성형 시에는, 열가소성 수지가 소성 변형하면서 유동하고, 그 결과 상기 종래의 V 리브드 벨트에서는, 도 12(a)에 나타내듯이, 마찰계수 저감 필러(17")가 열가소성 수지막(16")에 매몰되어 버리고, 또한, V 리브(15")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막(16")의 스킨층(16a")이 형성되며, 마찰계수 저감필러(17")에 의한 마찰저감 효과가 실제로는 기대한 정도로는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실제, 상기 종래의 V 리브드 벨트를 자극 조건이 엄격한 자동차의 보기 구동벨트 전동장치에 적용한 경우, 주행 초기에서부터 스틱 슬립에 의한 이상음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된다. 또, 특히 최근, 자동차의 보기구동 벨트 전동장치에서는, 크랭크 풀리에 마찰계수를 상승시키는 수계(水系) 도장이 실행되므로, 주행초기의 마찰계수 저감이 매우 중요하게 되며, 그 경우, 상기 종래의 V 리브드 벨트로는 이미 전혀 대응할 수가 없다. 또한, 상기 종래의 V 리브드 벨트에서는, 열가소성 수지막의 스킨층에 의해 V 리브 표면이 매우 평활하게 되므로, 피수(被水) 시에는 V 리브 표면에 용이하게 물의 피막이 형성되어 하이드로 플레이닝(hydroplaning) 현상에 의한 벨트 슬립을 일으켜, 동력전달 자체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써, 가류성형 후의 V 리브 표면에 베이비 파우더 등의 분체를 뿜칠함으로써 초기 마찰계수를 저감하여 스틱 슬립에 의한 이상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술도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확실히, 주행초기의 마찰계수 저감이 도모되어 이상음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으나, 도 12(b)에 나타내듯이, 분체(17")가 V 리브(15") 표면에 부착되어 있을 뿐이므로, 분체(17")가 주행개시부터 단시간에 비산(飛散)되어 버리고, 마찰계수 저감 효과가 상실되어 스틱 슬립에 의한 이상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분체의 요철(凹凸)에 의한 하이드로 플레이닝 현상의 방지효과도 동시에 상실되므로, 피수 시에는 벨트 슬립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특히, 주행초기의 단계에서 큰 비 등에 의해 피수하면, 분체가 단시간에 씻겨 내려가 버리므로, 조기(早期)의 이상음 및 벨트 슬립의 발생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에 반해,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에 의하면, 주행 초기에서부터 장기에 걸쳐 마찰계수 저감효과가 지속되고, 그 결과, 계속적으로 스틱 슬립에 의한 이상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주행 초기에서부터 장기에 걸쳐 V 리브(15) 표면의 요철상태가 유지되고, 그 결과, 계속적으로 피수 시의 하이드로 플레이닝 현상에 의한 벨트 슬립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에서는, 주행 초기에서부터의 마찰계수 저감 및 그 지속성의 2가지를 양립시키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막(16) 표면측에 마찰계수 저감분체(17a, 17b, 17c)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분체층(17)을 형성한다. 또한, 모든 마찰계수 저감분체(17a, 17b, 17c)가, 열가소성 수지막(16) 내에만 매몰되어 버리는 일없이, 게다가 열가소성 수지막(16)에 매몰되어 확실하게 담지되고 장기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제조 시에, 벨트 성형틀(30)의 풀리 접촉측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면에, 미리 마찰계수 저감 분체(P)를 뿜칠하여 분체층(17')을 형성하고, 거기에 미가교 고무시트(11', 12', 13')의 적층체를 열가소성 수지시트(16)로 피복한 벨트 형성용 성형체(10')를 압접시키고, 마찰계수 저감분체(P)가 용융하지 않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시트(16')가 연화 내지 용융하는 성형온도에서 가압하여 미가교 고무시트(11', 12', 13')를 가교시킨다. 이 때, 열가소성 수지시트(16')가 연화 내지 용융하므로, 마찰계수 저감분체(P)가 확실하게 열가소성 수지시트(16')에 매입되어 일체화된다.
상기 종래의 V 리브 벨트와 같이, 가류성형 전의 고무표면을 열가소성 수지로 피복하고, 추가로 그 표면에 마찰계수 저감 필러를 뿜칠한 경우, 열가소성 수지가 V 리브 형상을 따를 때까지 대변형(large defomation)의 과정에서 크게 유동(流動)하고, 그 유동에 끌려 수지막 표면에 부착한 마찰계수 저감 필러까지도 유동하여 열가소성 수지 내에 거의가 매몰되어 버린다. 그러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에서는, 벨트 성형틀(30)의 성형면에, 미리 마찰계수 저감분체(P)를 뿜칠하여 분체층(17')을 형성하므로, 연화 내지 용융하여 대변형한 열가소성 수지시트(16')가 V 리브 형상을 따르기 직전에 마찰계수 저감 분체(P)와 접촉하므로, 그 결과, 마찰계수 저감분체(P)는, 큰 유동을 일으키지 않고, 유동하는 열가소성 수지시트(16')에 매입하는 것과 그 표면에 남는 것의 양쪽이 발생한다.
또, 공지 기술의 하나로써, 미가류 고무표면에 미리 분체를 매입하는 것이 있으나, 가류성형 시의 고무 점성도는 높으므로, 분체를 고무의 안쪽까지 충분히 매입시켜 일체화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에서는, 열가소성 수지시트(16')는 연화 내지 용융하면 점성도가 크게 저하하므로, 이와 마찰계수 저감 분체(P)를 조합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막(16)의 안쪽 깊이까지 마찰계수 저감 분체(P)를 매입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장기의 주행으로 열가소성 수지막(16)의 마모가 진행되어도 장기에 걸쳐 저(低)마찰 계수를 유지할 수 있고, 이들 조합에 의한 상승(相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에서는, 벨트 성형틀(30)의 성형면에, 미리 마찰계수 저감분체(P)를 뿜칠하여 분체층(17')을 형성하므로, 분체층(17)에는, 완전히 열가소성 수지막(16)의 내부에 매입하고(묻혀 넣어) 매몰되어 일체화되는 제 1 마찰계수 저감분체(17a), 일부분이 열가소성 수지막(16)의 표면에 매입하고 담지되어 일체화되며, 나머지 부분이 표면 노출한 제 2 마찰계수 저감분체(17b), 및 열가소성 수지막(16)에 매입하지 않고, 응집하여 열가소성 수지막(16)의 표면에 담지되고 노출한 제 2 마찰계수 저감분체(17b)에 밀착된 제 3 마찰계수 저감분체(17c)의 3종류가 존재한다.
이들 중, 제 1 마찰계수 저감분체(17a)가 장기에 걸쳐 마찰계수 저감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유효하게 기능하고, 제 2 및 제 3의 마찰계수 저감분체(17b, 17c)가, 주행초기의 마찰계수 저감효과, 및 V 리브(15) 표면에 요철(凹凸)을 형성함에 따른 피수 시의 하이드로 플레이닝 현상에 의한 벨트 슬립의 발생방지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에서는, 예를 들어 마찰계수를 상승시키는 수계 도장이 실행된 풀리에 적용한 경우라도, 스틱 슬립에 의한 이상음 발생에 대해 가장 엄격한 수계 도장이 벗겨질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마찰계수가 상승하여 스틱 슬립에 의한 이상음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는, 제 2 및 제 3의 마찰계수 저감분체(17b, 17c)가, 종래의 가류성형 후에 V 리브 표면에 분체를 뿜칠한 경우에 비해 잔존 지속성이 높으므로, 마찰계수를 상승시키는 수계 도장이 실행된 풀리에 적용한 경우에는, 마찰 반복에 의해 유연한 수계 도장 표면의 요철이 들어가서 이착(移着, transfer)되어 매입되고, 이에 따라, 원래부터 상당히 마찰계수가 높은 도장 표면이 저(低) 마찰계수화되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상기 제 1∼제 3 마찰계수 저감분체(17a, 17b, 17c) 중, 제 1 및 제 2 마찰계수 저감분체(17a, 17b)가 계속적인 스틱 슬립에 의한 이상음의 발생억제에는 매우 효과적이다. 이에 더불어, 제 3 마찰계수 저감분체(17c)는, 풀리의 도장에 이착하여 그 마찰계수 저감효과를 인출하기 위해 유효한 구성이다. 제 3 마찰계수 저감분체(17c)는, 열가소성 수지막(16) 중에 매입되지 않으나, 가류성형 시의 가압으로 분체끼리가 응집 고착되므로, 종래의 가류 성형 후에 V 리브 표면에 분체를 뿜칠한 경우와 같이 용이하게 물에 씻겨 내려가는 일이 없고, 그 결과, 풀리와의 마찰 반복에 의해 도장에 목적한 대로 이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라 추측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에 의하면, V 리브드 벨트 본체(10)의 풀리 접촉측 표면을 피복하는 열가소성 수지(16)의 표면측에 형성된 분체층(17)이, 열가소성 수지막(16)에 매몰된 마찰계수 저감분체(17a)와, 열가소성 수지막(16)의 표면에 담지되고 표면 노출된 마찰계수 저감분체(17b)와, 응집되어 열가소성 수지막(16)의 표면에 담지되고 노출된 마찰계수 저감분체(17b)에 밀착된 마찰계수 저감분체(17c)를 포함하고, 그 결과, 예를 들어, V 리브드 벨트(B)가 감아 걸리는 복수의 풀리 중, 벨트 스팬 길이가 40∼100㎜로 짧고, 이로써 풀리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스얼라인먼트가 0.5∼2.0°(엄격하게는 1.0∼2.0°)로 큰 한 쌍의 풀리가 포함되는 경우, 자동차의 엔진 룸과 같이, 다량의 물로 피수될 우려가 있는 경우, 또는 회전 변동폭이 30∼50%(더욱 엄격하게는 50∼80%)로 상당히 큰 경우 등 매우 엄격한 사용조건에서도 주행초기에서부터 장기에 걸쳐 유효하게 이상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마찰계수 저감분체(17)에 의해 마찰계수의 저감효과도 있으므로, 풀리와의 접촉에 의한 마모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마찰계수 저감분체(17)에 의한 요철에 의해 피수 시의 하이드로 플레이닝을 방지(배수)하여 피수에 의한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막(16)에 의한 내 균열(crack)성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벨트 스팬(span) 길이는, 상호 인접하여 V 리브드 벨트(B)가 감아 걸린 한 쌍의 풀리의 공통 접선의 접점간 거리이다(Yokendo 발행 "신판 벨트 전동·정밀반송의 실용설계 벨트 전동기술 간담회편" 제 39 항). 미스얼라인먼트는, Yokendo 발행 "신판 벨트 전동·정밀반송의 실용설계 벨트 전동기술 간담회편" 제 64 항 및 제 65 항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정량(定量)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13(a) 및 (b)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마찰 전동 벨트)를 나타낸다. 도 13(a)은 압축 고무층(11)이 단일 층으로 구성된 양태, 및 도 13(b)은 압축 고무층(11)이 풀리 접촉측 표면층(11a)과 그 내측의 내부 고무층(11b)과의 2층으로 구성된 양태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명칭의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도 또한,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엔진 룸 내에 설치된 보기 구동 벨트 전동장치 등에 이용되는 것이다.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에서는, 열가소성 수지막(16)에 포(18)가 매설된다.
포(18)는, 예를 들어, 직포, 편물,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다. 포(18)는 심리스(seamless)의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18)는, V 리브(15) 형상을 따르도록 성형되므로, 이 성형 가공성의 관점에서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18)는, 전체가 열가소성 수지막(16) 중앙에 매설되어도 되고, 또,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열가소성 수지막(16)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어도 되며, 또한, 표면이 열가소성 수지막(16)의 하측에 존재하는 고무에 밀착되어도 된다. 포(18)는, 열가소성 수지막(16) 또는 하측에 존재하는 고무와의 접착을 위한 처리가 실행되어 있어도, 또, 이러한 접착처리가 실행되지 않아도 어느 쪽이라도 된다. 접착처리로는,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silane coupling)제 용액에 침지한 후에 건조시키는 처리, 에폭시 용액이나 이소시아네이트 용액에 침지한 후에 가열하는 처리, RFL수용액에 침지한 후에 가열하는 처리, 고무풀에 침지한 후에 건조시키는 처리, 또는, 이들 조합을 들 수 있다. 포(18)의 두께는 0.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3∼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포(18)를 형성하는 섬유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아라미드 섬유, PBO 섬유 등의 합성섬유, 목면이나 마 등의 천연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의 제조에서는, 도 14(a)에 나타내듯이, 내틀(31) 외주면의 성형면에, 배면 고무층(13)용 미가교 고무시트(13'), 및 접착 고무층(12)용의 미가교 고무시트(12')를 차례로 감아 적층하고, 그 위로부터 심선(14)용의 연사(14')를 원통형 내틀(31)에 대해 나선형으로 감고, 그 위로부터 접착 고무층(12)용의 미가교 고무시트(12') 및 압축 고무층(11)용의 미가교 고무시트(11')를 차례로 감아 적층하고, 또한 그 위에 포(18')를 씌우고, 마지막에 열가소성 수지시트(16')를 감아 피복함으로써 벨트 형성용 성형체(10')를 성형하면 된다. 즉, 벨트 형성용 성형체(10')의 미가교 고무 조성물(12')과 열가소성 수지(10')와의 사이에 포(18')를 배치하면 된다. 이 경우, 성형 가공 시에는, 표면측의 열가소성 수지 시트(16')가 연화 내지 용융되어 하층측 포(18')에 침투하고, 이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막(16)에 포(18)가 매설된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V 리브드 벨트(B)의 제조에서는, 도 14(b)에 나타내듯이, 내틀(31)의 외주면 성형면에, 배면 고무층(13)용의 미가교 고무 시트(13'), 및 접착 고무층(12)용 미가교 고무시트(12')를 차례로 감아 적층하고, 그 위에서부터 심선(14)용 연사(14')를 원통형 내틀(31)에 대해 나선형으로 감고, 그 위에서부터 접착 고무층(12)용 미가교 고무시트(12') 및 압축 고무층(11)용 미가교 고무시트(11')를 차례로 감아 적층하고, 또한 그 위에 열가소성 수지시트(16')를 감아 피복하고, 마지막에 포(18')를 씌움으로써 벨트 형성용 성형체(10')를 성형하여도 된다. 이 경우, 성형 가공 시에는, 하층측의 열가소성 수지시트(16')가 연화 내지 용융하여 표면측의 포(18')에 침투하여 표면으로 스며 나오고, 이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막(16)에 포(18)가 매설된 구성이 얻어진다.
그 밖의 구성, 제조방법,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마찰 전동 벨트로써 V 리브드 벨트(B)를 나타내나, 특히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로 에지(row-edge) 타입의 V 벨트 등이라도 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벨트 전동장치로써 자동차의 보기 구동 벨트 전동장치(20)를 나타내나, 특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 산업용 등의 벨트 전동장치라도 된다.
-실시예-
(V 리브드 벨트)
이하 구성의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한다. 각각의 구성은 표 1에도 나타낸다.
EPDM 조성물의 압축 고무층용, 접착 고무층용, 및 배면 고무층용 각각의 미가교 고무시트, 그리고 심선용 연사를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압축 고무층의 풀리 접촉측 표면층용의 미가교 고무시트는, EPDM(Dow Chemical Company제, 상품명:Nordel lP4640, 에틸렌 함량 55질량%, 프로필렌 함량 40질량%, 에틸리덴 노보네인(ethylidene norbornane, ENB) 5.0질량%, 무니점도(Mooney viscosity) 40ML1 +4(125℃))를 원료고무로서, 이 원료고무 100질량부에 대해, 카본 블랙(Showa Cabot Corp.,제, 상품명: Showblack IP200카본) 50 질량부, 파라핀 오일(Japan Sun Oil Company LTD., 상품명: SunFlex 2280) 8 질량부, 가류제(Hosoi Chemical Industry Co., Ltd., 상품명: Oil Sulfur) 1.6 질량부, 가류 촉진제(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상품명: EP-150) 2.8 질량부, 가류촉진제(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상품명: MSA) 1.2질량부, 가류조제(Kao Corporation사 스테아린산) 1질량부, 가류조제(Sakai Chemical Industry Co., Ltd., 산화아연) 5질량부, 노화방지제(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상품명: 224 (TMDQ: 2,2,4-트리메틸-1,2-다이하이드로퀴놀린(dihydroquinoline)) 2질량부, 노화방지제(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상품명: MB (2-메르캅토벤지미다졸(mercaptobenzimidazole)) 1질량부,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Mitsui Chemicals, Inc., 상품명: Hizex Million 240S) 40질량부를 배합한 것을 밴버리 믹서(Banbury mixer)로 혼련(混鍊) 후, 캘린더 롤로 압연(壓延)한 것으로 구성한다.
압축 고무층의 내부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는, EPDM(Dow Chemical Company사 제, 상품명:Nordel lP4640)을 원료고무로써, 이 원료고무 100질량부에 대해, 카본블랙(Showa Cabot Corp.,제, 상품명: Showablack IP200카본) 70질량부, 파라핀 오일(Japan Sun Oil Company LTD., 상품명: SunFlex 2280) 8질량부, 가류제(Hosoi Chemical Industry Co., Ltd., 상품명: Oil Sulfur) 1.6질량부, 가류 촉진제(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상품명: EP-150(가류 촉진제 DM(dibenzothiazyl disulfide)과 TT(tetramethylthiuramdisulfide) EZ(zinc diethyldithiocarbamate)와의 혼합물) 2.8질량부, 가류촉진제(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상품명:MSA(N-oxydiethylene-2-benzothiazolylsulfenamide) 1.2질량부, 가류조제(Kao Corporation, 스테아린산) 1질량부, 가류조제(Sakai Chemical Industry Co., Ltd 산화아연) 5질량부, 노화방지제(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상품명:224) 2질량부, 및 노화 방지제(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상품명:MB) 1질량부를 배합한 것을 밴버리 믹서로 혼련 후, 캘린더 롤로 압연한 것으로 구성하였다.
접착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는, EPDM (Dow Chemical Company제, 상품명: Nordel IP4640)을 원료고무로서, 이 원료고무 100질량부에 대해, 카본 블랙(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제, 상품명: HAF 카본) 50질량부, 실리카(Tokuyama Corporation, 상품명: TOKUSIL Gu) 20질량부, 파라핀 오일(Japan Sun Oil Company LTD., 상품명: SunFlex 2280) 20질량부, 가류제(Hosoi Chemical Industry Co., Ltd., 상품명: Oil Sulfur) 3질량부, 가류 촉진제(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상품명: EP-150) 2.5질량부, 가류조제(Kao Corporation, 스테아린산) 1질량부, 가류조제(Sakai Chemical Industry Co., Ltd., 산화아연) 5질량부, 노화방지제(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상품명: 224) 2질량부, 노화방지제(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상품명: MB) 1질량부, 점착 부여제(ZEON CORPORATION, 상품명: 석유수지 Quintone A-100) 5질량부, 및 단섬유(면파우더) 2 질량부를 배합한 것을 밴버리 믹서로 혼련 후, 캘린더 롤로 압연한 것으로 구성하였다.
배면 고무층용의 미가교 고무시트는, EPDM(Dow Chemical Company, 상품명: Nordel IP4640)을 원료고무로서, 이 원료고무 100질량부에 대해, 카본블랙(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상품명: HAF 카본) 60질량부, 파라핀 오일(Japan Sun Oil Company LTD., 상품명: SunFlex 2280) 8질량부, 가류제(Hosoi Chemical Industry Co., Ltd., 상품명: Oil Sulfur) 1.6질량부, 가류촉진제(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상품명: EP-150) 2.8질량부, 가류촉진제(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상품명: MSA) 1.2질량부, 가류조제(Kao Corporation, 스테아린산) 1질량부, 가류조제(Sakai Chemical Industry Co., Ltd., 산화아연) 5질량부, 노화방지제(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상품명: 224) 2질량부, 노화방지제(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상품명: MB) 1질량부, 및 단섬유(Asahi Kasei Corporation, 상품명:나일론 66, Type T-5) 13질량부를 배합한 것을 밴버리 믹서로 혼련 후, 캘린더 롤로 압연한 것으로 구성하였다.
심선용의 연사는, TEIJIN사 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1100dtex/2×3(상연수(上撚數) 9.5T/10㎝(Z), 하연수(下撚數) 2.19T/10㎝(S)) 구성의 것으로 하였다. 이 연사에는, 고형분 농도 20질량%인 이소시아네이트의 톨루엔(toluene) 용액에 침지한 후에 240℃에서 40초간 가열 건조시키는 처리, RFL 수용액에 침지한 후에 200℃에서 80초간 가열 건조시키는 처리, 및 접착 고무층용 고무조성물을 톨루엔에 용해시킨 고무풀에 침지한 후에 60℃에서 40초간 가열 건조시키는 처리를 차례로 행하였다.
또한, RFL 수용액은, 물에, 레조르신, 포르말린(37질량%) 및 수산화 나트륨을 더하여 교반하고, 그 후에 물을 추가하여 교반하면서 5시간 숙성시킴으로써(레조르신(R)의 몰(mole))/(포르말린(F)의 몰)=0.5의 RF수용액을 조제(調製)하고, 이 RF 수용액에, 고형분 농도가 40질량%인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 고무(CSM) 라텍스(L)를, (RF의 고형분 질량)/(L의 고형분 질량)=0.25가 되도록 추가하고, 또한 고형분 농도가 20질량%가 되도록 물을 더하여 교반하면서 12시간 숙성시킴으로써 제조한다.
그리고, 표면이 평활한 원통 드럼 상에 고무 슬리브(내틀)를 씌우고, 그 위에 배면 고무층용의 미가교 고무시트, 및 접착 고무층용의 미가교 고무시트를 차례로 감은 후, 그 위에 접착처리를 행한 연사를 나선형으로 감아, 그 위에 추가로 접착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 압축 고무층 내부 고무층용의 미가교 고무시트, 및 압축 고무층 풀리 접촉측 표면층용의 미가교 고무시트를 차례로 감아 적층하고, 추가로 그 위에 접착처리를 실행하지 않은 통형상의 편물(폴리아미드 섬유제)를 씌우고, 마지막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시트(KEIYO POLYETHYLENE CO., LTD., 상품명: T4005 및 T4010을 1:1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것을 캘린더 롤에 의해 두께 40㎛로 시팅 가공한 것)를 감아 피복함으로써 벨트 형성용 성형체를 성형하였다. 그리고, 이 때, 고밀도 폴리에틸렌 시트를 겹이음한 것으로는, 제조되는 V 리브드 벨트의 내 균열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단부 사이를 접착하지 않고 맞대기 이음하였다.
한편, 외틀의 내주면에 100㎸로 대전시킨 불소수지 분체(KITAMURA LIMITED, 상표명: KTL-10L 입자지름 10㎛)를 뿜칠하여 두께 50㎛의 분체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벨트 형성용 성형체를 세팅한 고무 슬리브(sleeve)에 상기 분체층을 형성한 외틀을 씌워 밀폐하고, 계속해서, 외틀을 가열함과 동시에 내틀의 밀봉된 내부를 가압함으로써 벨트 슬래브(slab)를 가류 성형하였다. 성형온도는 170℃, 성형압력은 1.0㎫, 성형시간은 30분으로 하였다. 그리고, 가류성형 후의 벨트 슬래브에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시트가 줄어, 단부 사이가 벌어져 틈새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 벨트 슬래브로부터 제조한 V 리브드 벨트를 실시예 1로 하였다. 이 실시예 1의 V 리브드 벨트는, 벨트 둘레길이가 1115㎜, 벨트 폭이 21.36㎜, 벨트 두께가 4.3㎜, V 리브 높이가 2.0㎜, 및 리브 수가 6개이다.
편물을 씌우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 방법에 의해 제조한 V 리브드 벨트를 실시예 2로 하였다.
<비교예 1>
외틀로의 불소수지 분체의 뿜칠을 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 방법에 의해 제조한 V 리브드 벨트를 비교예 1로 하였다.
<비교예 2>
편물을 씌우지 않고, 또한 외틀로의 불소수지 분체의 뿜칠을 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 방법에 의해 제조한 V 리브드 벨트를 비교예 2로 하였다.
<비교예 3>
고밀도 폴리에틸렌 시트의 감음을 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 방법에 의해 제조한 V 리브드 벨트를 비교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4>
편물을 씌우지 않고, 고밀도 폴리에틸렌 시트의 감음을 행하지 않고, 또한 외틀로의 불소수지 분체의 뿜칠 대신에, 가류성형 후에 V 리브 표면에 불소수지 분체를 뿜칠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 방법에 의해 제조한 V 리브 벨트를 비교예 4로 하였다.
<비교예 5>
외틀로의 불소수지 분체의 뿜칠 대신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시트 표면에 불소수지 분체를 뿜칠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 방법에 의해 제조한 V 리브드 벨트를 비교예 5로 하였다.
Figure 112018128682000-pct00001
(시험평가 방법)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 각각에 대해 이하의 주행 시 소음 시험을 실시하였다.
<미스얼라인먼트 벨트 주행 소음 시험>
도 15는, 미스얼라인먼트 벨트 주행 시 소음 시험용 벨트 주행 시험기(40)의 풀리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이 벨트 주행 시험기(40)는, 좌측 하방 위치에 풀리 지름이 80㎜의 리브 풀리인 구동풀리(41)가 설치되고, 그 우측 측방에 풀리 지름이 130㎜의 페놀수지제의 리브 풀리인 제 1 종동풀리(42)가 설치되며, 또 이들 사이에 풀리지름이 80㎜의 평 풀리인 제 2 종동풀리(43)가 설치되고, 또한, 그 상방에 풀리지름이 60㎜의 리브 풀리인 제 3 종동풀리(44)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벨트 주행 시험기(40)는, V 리브드 벨트(B)의 V 리브측이 리브 풀리인 구동풀리(41), 제 1 종동풀리(42), 및 제 3 종동풀리(44)에 접촉함과 동시에 배면측이 평풀리인 제 2 종동풀리(43)에 접촉하여 감아 걸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3 종동풀리(44)는, V 리브드 벨트(B)에 벨트장력을 부하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가동(可動)하게 구성된다. 또, 제 1 종동풀리(42)와 제 2 종동풀리(43)와의 사이에는 3°의 미스얼라인먼트가 설정된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 각각에 대해, 상기 벨트 주행시험기(40)에 세팅하고, 벨트 장력이 부하되도록 제 3 종동풀리(44)에, 상방에 380N의 데드 웨이트를 부하하고, 분위기 온도 5℃ 하, 구동풀리(41)를 750rpm의 회전 수로 회전시켜 벨트 주행시켰다. 그리고, 특정의 이상음이 발생할 때까지의 벨트 주행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이상음 발생 주행시간으로 하였다. 또한, 시험은 최장 300시간으로 끝냈다.
<회전변동 벨트 주행 시 이상시험>
도 16은, 회전변동벨트 주행 시 이상음 시험용 벨트 주행 시험기(50)의 풀리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이 벨트 주행 시험기(50)는, 최하 위치에 풀리지름이 140㎜의 리브 풀리인 구동풀리(51)가 설치되고, 그 우측 경사진 상방에 풀리지름이 100㎜의 리브 풀리인 제 1 종동 풀리(52)가 설치되고, 또, 구동풀리(51) 및 제 1 종동풀리(52)의 좌측 경사진 상방에 풀리지름이 60㎜의 리브 풀리인 제 2 종동풀리 (53)가 설치되며, 또한, 제 1 종동풀리(52) 좌측에 풀리지름이 70㎜의 평 풀리인 아이들러 풀리(idler pulley)(54)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벨트 주행시험기(50)는, V 리브드 벨트(B)의 V 리브측이 리브 풀리인 구동풀리(51), 제 1 및 제 2 종동풀리(52, 53)에 접촉함과 동시에, 배면측이 평풀리인 아이들러 풀리(54)에 접촉하여 감아 걸리도록 구성된다. 구동풀리(51)에는 수계 도장이 실행된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의 각각에 대해, 상기 벨트 주행 시험기(50)에 세팅하고, 350N의 벨트장력이 부하되도록 아이들러 풀리(54)를 위치 결정하며, 제 1 및 제 2 종동풀리(52, 53)에 회전부하를 가하며, 분위기 온도 25℃ 하, 구동풀리(51)의 벨트 감김 시작 부분에 분무기로 물을 뿜칠하면서, 25㎐ 회전 변동률 27%의 회전변동을 주면서 구동풀리(51)를 750rpm의 회전 수로 회전시키고 5분간 벨트 주행시켰다. 그리고, 이 때의 이상음 발생 유무를 확인하고, 이상음 "무", 이상음 "소", 이상음 "중", 및 이상음 "대"의 4단계 평가를 행하였다.
(시험평가 결과)
시험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미스얼라인먼트 벨트 주행 시 이상음 시험의 결과, 실시예 1 및 2는 300시간 이상음의 발생은 없었다. 한편, 비교예 1은 주행 개시로부터 1시간 후에, 비교예 2 및 4는 주행 개시 직후에, 비교예 3은 주행 개시로부터 25시간 후에, 그리고 비교예 5는 주행 개시로부터 8시간 후에 각각 이상음을 발생하였다.
회전 변동 벨트 주행 시 이상음 시험의 결과, 실시예 1 및 2는 이상음 "무"이었다. 한편, 비교예 1, 3 및 5는 이상음 "중", 그리고 비교예 2 및 4는 이상음 "대"이었다.
본 발명은, 마찰 전동 벨트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벨트 전동장치에 대해 유용하다.
B : V 리브드 벨트(마찰 전동 벨트) P : 마찰계수 저감 분체
10 : V 리브드 벨트 본체 10’ : 벨트 형성용 성형체
16 : 열가소성 수지 16’ : 열가소성 수지 시트
17 : 분체층
17a, 17b, 17c : 마찰계수 저감 분체 18, 18’ : 포
20 : 보기 구동 벨트 전동장치 30 : 벨트 성형틀

Claims (17)

  1.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 벨트본체가 풀리에 감아 걸려 동력을 전달하는 마찰 전동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본체의 풀리 접촉측 표면을 피복하도록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막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막의 표면측에 형성된 마찰계수 저감 분체(粉體)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분체층을
    구비하고,
    상기 분체층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막에 매몰(埋沒)된 마찰계수 저감 분체와, 이 열가소성 수지막의 표면에 담지되고 표면 노출된 마찰계수 저감 분체와, 응집되어 이 열가소성 수지막의 표면에 담지되고 노출된 마찰계수 저감 분체에 밀착한 마찰계수 저감 분체를 포함하는 마찰 전동 벨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막에는 포(布)가 매설되어 있는 마찰 전동 벨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가 편물(編物)인 마찰 전동 벨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막의 두께가 0.1∼200㎛인 마찰 전동 벨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막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軟化)온도 또는 융점(融點)이 100∼170℃인 마찰 전동 벨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막이 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되는 마찰 전동 벨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체층을 구성하는 마찰계수 저감 분체의 입자지름이 0.1∼150㎛인 마찰 전동 벨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체층을 구성하는 마찰계수 저감 분체가 불소수지로 형성되는 마찰 전동 벨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 본체가 V 리브드 벨트 본체인 마찰 전동 벨트.
  10.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 벨트본체가 풀리에 감아 걸려 동력을 전달하는 마찰 전동 벨트에 있어서,
    벨트 성형틀의 풀리 접촉측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면에, 미리 마찰계수 저감 분체를 뿜칠하여 분체층을 형성하고, 거기에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열가소성 수지로 피복한 벨트 형성용 성형체를 압접(壓接)시켜, 이 마찰계수 저감 분체가 용융하지 않고 또한 이 열가소성 수지가 연화 내지 용융하는 성형온도에서 이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가교시킴으로써 제조된 마찰 전동 벨트.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분체층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마찰 전동 벨트.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10에 있어서,
    상기 벨트 본체의 풀리 접촉측 표면을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의 원료 고무가 EPDM인 마찰 전동 벨트.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마찰 전동 벨트와, 이 마찰 전동 벨트의 벨트 본체가 감아 걸린 복수의 풀리를 구비한 벨트 전동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풀리는, 상기 마찰 전동 벨트의 벨트 스팬(span) 길이가 40∼100㎜인 한 쌍의 풀리를 포함한 벨트 전동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풀리 사이의 미스얼라인먼트가 0.5∼2.0°인 벨트 전동 장치.
  1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마찰 전동 벨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벨트 성형틀의 풀리 접촉측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면에, 미리 마찰계수 저감 분체를 뿜칠하여 분체층을 형성하고, 거기에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열가소성 수지로 피복한 벨트 형성용 성형체를 압접시키고, 이 마찰계수 저감 분체가 용융하지 않고 또한 이 열가소성 수지가 연화 내지 용융하는 성형온도에서 이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가교시키는 마찰 전동 벨트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벨트 형성용 성형체의 미가교 고무 조성물과 열가소성 수지와의 사이에 포를 배치하는 마찰 전동 벨트의 제조방법.
KR1020147020649A 2012-01-11 2012-12-25 마찰 전동 벨트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벨트 전동장치 KR101992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2788 2012-01-11
JPJP-P-2012-002788 2012-01-11
PCT/JP2012/008273 WO2013105191A1 (ja) 2012-01-11 2012-12-25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ベルト伝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998A KR20140109998A (ko) 2014-09-16
KR101992943B1 true KR101992943B1 (ko) 2019-06-25

Family

ID=4878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649A KR101992943B1 (ko) 2012-01-11 2012-12-25 마찰 전동 벨트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벨트 전동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951844B2 (ko)
JP (1) JP6088985B2 (ko)
KR (1) KR101992943B1 (ko)
CN (1) CN104040215B (ko)
BR (1) BR112014016783A8 (ko)
DE (1) DE112012005638T8 (ko)
IN (1) IN2014DN06490A (ko)
RU (1) RU2608207C2 (ko)
WO (1) WO20131051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934B1 (ko) * 2011-12-14 2015-05-04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마찰 전동 벨트 및 그 제조방법
ITTO20120419A1 (it) * 2012-05-09 2013-11-10 Dayco Europe Srl Cinghia poli-v comprendente uno strato di materiale termoplastico ed un tessuto a maglia immerso in uno strato elastomerico
KR102253575B1 (ko) * 2014-02-12 2021-05-18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전동벨트의 제조방법 및 전동벨트
JP6096239B2 (ja) 2014-04-30 2017-03-15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歯付ベルト
JP6322303B2 (ja) * 2014-04-30 2018-05-09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歯付ベルト
DE112016001875T5 (de) * 2015-04-24 2018-01-04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Treibriemen
KR101917709B1 (ko) * 2015-12-04 2018-11-13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V 리브드 벨트
JP6616793B2 (ja) * 2016-04-15 2019-12-04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
DE102016107556B3 (de) * 2016-04-22 2017-05-18 Arntz Beteiligungs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ndlosen Treibriemens
DE102016209633A1 (de) * 2016-06-02 2017-12-07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Keilriem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6846283B2 (ja) * 2017-05-15 2021-03-24 Nok株式会社 樹脂製ベルト
MY193858A (en) * 2018-02-09 2022-10-28 Inoova Mat Science Sdn Bhd An elastomeric composition
JP7219188B2 (ja) * 2018-09-06 2023-02-07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伝動用v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31943B1 (ja) * 2019-10-24 2021-02-17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5238A (ja) * 2000-05-12 2002-01-09 Goodyear Tire & Rubber Co:The 動力伝達ベルト
WO2010134289A1 (ja) 2009-05-20 2010-11-25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90916A (ja) * 2010-03-16 2011-09-29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ベルト伝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2510A (en) * 1985-03-04 1990-01-09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V-ribbed belt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U4677499A (en) * 1998-06-12 1999-12-30 Gates Corporation, The High temperature flexible thermoplastic composites for endless belt driving surfaces
US6443866B1 (en) * 2000-08-14 2002-09-0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ower transmission belt
ATE370353T1 (de) * 2001-04-12 2007-09-15 Gates Corp Riemen mit thermoplastischer ummantelung
JP4133595B2 (ja) * 2002-08-08 2008-08-13 ゲイツ・ユニッタ・アジア株式会社 伝動ベルト
DE50207508D1 (de) * 2002-09-07 2006-08-24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Keilrippenriem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7025699B2 (en) * 2003-04-23 2006-04-11 Dayco Products, Llc Elastomer composition for power transmission belt tooth facing
JP2007070592A (ja) * 2004-11-25 2007-03-22 Mitsuboshi Belting Ltd ゴム組成物、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摩擦伝動ベルト
JP2007170587A (ja) * 2005-12-26 2007-07-05 Mitsuboshi Belting Ltd Vリブドベルト
FR2898171B1 (fr) 2006-03-03 2009-02-27 Hutchinson Sa Courroie de transmission de puissance.
JP5291901B2 (ja) 2007-07-27 2013-09-18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の補機駆動ベルト伝動装置
JP2009036302A (ja) * 2007-08-01 2009-02-19 Bando Chem Ind Ltd 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910675B (zh) * 2008-01-25 2013-01-16 阪东化学株式会社 摩擦传动带
FR2936291B1 (fr) 2008-09-23 2011-06-03 Hutchinson Courroie de transmission de puissance.
DE102008055497B4 (de) * 2008-12-10 2020-06-18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Elastischer Artikel, insbesondere Antriebsriemen, mit einer Textilauflage und einem Haftvermittler aus schmelzbarem Kunststoff
JP5116791B2 (ja) * 2010-03-23 2013-01-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歯付ベルト
KR101516934B1 (ko) * 2011-12-14 2015-05-04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마찰 전동 벨트 및 그 제조방법
DE102011121656A1 (de) * 2011-12-20 2013-06-20 Arntz Beteiligungs Gmbh & Co. Kg Riemen mit mehrschichtig imprägnierter Textilaufl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5238A (ja) * 2000-05-12 2002-01-09 Goodyear Tire & Rubber Co:The 動力伝達ベルト
WO2010134289A1 (ja) 2009-05-20 2010-11-25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90916A (ja) * 2010-03-16 2011-09-29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ベルト伝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5191A1 (ja) 2013-07-18
US9951844B2 (en) 2018-04-24
US20140323256A1 (en) 2014-10-30
JPWO2013105191A1 (ja) 2015-05-11
CN104040215A (zh) 2014-09-10
BR112014016783A8 (pt) 2017-07-04
JP6088985B2 (ja) 2017-03-01
DE112012005638T8 (de) 2015-01-22
CN104040215B (zh) 2016-01-20
RU2608207C2 (ru) 2017-01-17
KR20140109998A (ko) 2014-09-16
BR112014016783A2 (pt) 2017-06-13
DE112012005638T5 (de) 2014-10-09
RU2014132894A (ru) 2016-03-10
IN2014DN06490A (ko) 2015-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943B1 (ko) 마찰 전동 벨트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벨트 전동장치
KR101516934B1 (ko) 마찰 전동 벨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95453B1 (ko) 마찰전동벨트
JP5586282B2 (ja)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ベルト伝動装置
JP6412210B2 (ja) 摩擦伝動ベルト
JP5508648B2 (ja) Vリブド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101677B2 (ja) 摩擦伝動ベルト
CN108700162B (zh) 齿形带
JP5926543B2 (ja)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104778A1 (ja) 耐油性伝動ベルト
JP2009036302A (ja) 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837274B2 (ja) 伝動ベルト
JP2007298162A (ja) 摩擦伝動ベルト
JP6635753B2 (ja) ベルト
JP6581892B2 (ja) 摩擦伝動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