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937B1 - 마찰 전동 벨트 - Google Patents

마찰 전동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937B1
KR101992937B1 KR1020187023790A KR20187023790A KR101992937B1 KR 101992937 B1 KR101992937 B1 KR 101992937B1 KR 1020187023790 A KR1020187023790 A KR 1020187023790A KR 20187023790 A KR20187023790 A KR 20187023790A KR 101992937 B1 KR101992937 B1 KR 101992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ass
parts
belt
rubb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0068A (ko
Inventor
타카유키 오쿠보
신지 타카하시
히데아키 카와하라
Original Assignee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0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04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 F16G5/0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06Driving-belts made of rubber
    • F16G1/08Driving-belts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06Driving-belts made of rubber
    • F16G1/08Driving-belts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F16G1/10Driving-belts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with textile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28Driving-belts with a contact surface of special shape, e.g. toot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04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 F16G5/0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F16G5/08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with textile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2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with a contact surface of special shape, e.g. tooth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고무층을 갖는 마찰 전동 벨트로서, 고무층은,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고무 조성물에서의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합계 85질량부 이상이다.

Description

마찰 전동 벨트
본 발명은 마찰 전동 벨트에 관한 것이다.
풀리 접촉면에 폴리에틸렌 입자가 분산되어 노출된 마찰 전동 벨트는 공지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3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입자를 배합한 고무 조성물로 V 리브드 벨트의 압축 고무층을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7-07059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2007-170454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2007-170587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마찰 전동 벨트가 물에 젖었을 때의 이상음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고무층을 갖는 마찰 전동 벨트로서, 고무층은,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고무 조성물에서의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합계 85질량부 이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찰 전동 벨트에 있어서,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를 합계 85질량부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풀리 접촉면이 될 고무층을 형성함으로써 물에 젖었을 때의 이상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의 V 리브 1개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벨트 성형틀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벨트 성형틀의 일부분의 종단면 확대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의 제조방법의 제 1 설명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의 제조방법의 제 2 설명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의 제조방법의 제 3 설명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의 제조방법의 제 4 설명도이다.
도 9는, 자동차의 보조기계 구동벨트 전동장치의 풀리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의 V 리브 1개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의 제조방법의 제 1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의 제조방법의 제 2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의 V 리브 1개분의 단면도이다.
도 16a는,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른 로우 엣지형 V 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16b는,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른 평 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벨트 주행 시험기의 풀리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마찰 전동 벨트)를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엔진 룸 내에 설치되는 보조기계 구동용 벨트 전동장치 등에 이용되는 이음매 없는 것(endless)이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는, 예를 들어 벨트 길이가 700∼3000㎜, 벨트 폭이 10∼36㎜, 및 벨트 두께가 4.0∼5.0㎜이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는, 벨트 내주측의 압축 고무층(11)과 중간의 접착 고무층(12)과 벨트 외주측의 신장 고무층(13)의 3중층으로 구성된 V 리브드 벨트 본체(10)를 구비한다. V 리브드 벨트 본체(10)의 접착 고무층(12)의 두께방향 중간부에는, 벨트 폭 방향으로 피치를 갖는 나선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심선(14)이 매설된다. 압축 고무층(11)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3.6㎜이고, 접착 고무층(12)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2.5㎜이며, 신장 고무층(13)의 두께는 예를 들어 0.4∼0.8㎜이다. 또한, 신장 고무층(13) 대신에 배면 보강포(reinforced fabric)가 형성된 구성이어도 된다.
압축 고무층(11)은, 복수의 V 리브(15)가 벨트 내주측에 늘어지도록(수하(垂下)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V 리브(15)는, 각각이 벨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거의 역삼각형의 돌조(rib)로 형성됨과 더불어, 벨트 폭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압축고무층(11)의 이들 복수의 V 리브(15)의 표면이 동력 전달면으로서 풀리 접촉면을 구성한다. 각 V 리브(15)는, 예를 들어, 리브 높이가 2.0∼3.0㎜, 기단 사이의 폭이 1.0∼3.6㎜이다. V 리브의 수는 예를 들어 3∼6개이다(도 1에서는 6개).
압축 고무층은, 고무 성분에,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배합제가 배합되어 혼련된 미가교 고무 성분을 가열 및 가압하고 고무 성분을 가교시킨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다. 따라서, 압축 고무층(11)을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은, 가교된 고무 성분과, 그 고무 성분에 분산된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각종 배합제를 함유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에 의하면,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압축 고무층(11)이,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를 소정량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고, 풀리 접촉면에 폴리올레핀 입자가 분산되어 노출되므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에 젖었을 때의 이상음(피수(被水) 시의 이상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의 고무 조성물에서의 배합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합계 85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압축 고무층(11)을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의 고무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터폴리머(이하 “EPDM”이라 함),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EPM), 에틸렌-부텐 코폴리머(EDM), 에틸렌-옥텐 코폴리머(EOM) 등의 에틸렌-α-올레핀 엘라스토머; 클로로프렌 고무(CR);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CSM); 수소 첨가 아크릴로니트릴 고무(H-NBR) 등을 들 수 있다. 고무 성분은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α-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EPDM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무 조성물에 배합되는 폴리올레핀 입자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등의 호모폴리머; 에틸렌과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과의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 입자는,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입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의 호모폴리머의 입자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무 조성물에서의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의 합계 함유량이 소정값 이상임과 더불어, 폴리올레핀 입자의 단독 함유량도 소정값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고무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해 50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70질량부 이상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질량부 이상 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폴리올레핀 입자는,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압축고무층(11)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피수 시의 이상음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평균 분자량(중량 평균 분자량, 수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의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평균 분자량(중량 평균 분자량,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만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만 이상이다. 또, 내굴곡 피로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00만 이하이다.
폴리올레핀 입자의 평균 입경은,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압축 고무층(11)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피수 시의 이상음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며, 또한, 내굴곡 피로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이 평균 입경은,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입자의 사진에서 확대 배율을 고려하여 실측한 50∼100개의 입경(최대 외경)을 산술 평균함으로써 구해진다.
폴리에틸렌 입자의 입도 분포는,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압축고무층(11)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피수 시의 이상음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입경이 100∼1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폴리올레핀 입자의 형상은,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압축 고무층(11)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피수 시의 슬립으로 인한 동력 전달 능력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구체 형상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 입자의 최대 외경을 최소 외경으로 나눈 종횡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이하이다. 이 종횡비는,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폴리올레핀 입자의 사진에서 확대 배율을 고려하여 실측한 50∼100개의 최대 외경을 최소 외경으로 나눈 것을 산술 평균하여 구해진다. 폴리올레핀 입자는, 배합 전 형태가, 입경 10∼50㎛의 구상 입자가 클러스터 형상으로 응집된 것인 경우, 이들 구상 입자가 제조 시 가열에 의해 융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구체 형상 내지 타원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입자의 135℃의 데칼린 안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는,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압축 고무층(11)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피수 시의 슬립으로 인한 동력 전달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dl/g 이상이며, 또, 내굴곡 피로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dl/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dl/g 이하이다.
폴리올레핀 입자의 융점은,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압축 고무층(11)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피수 시의 슬립으로 인한 동력 전달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145℃ 이하이다. 이 융점은, 시차주사 열량측정(DSC)에 의해 구해진다.
다음으로, 고무 조성물에 배합되는 무기 필러로는, 실리카, 층상규산염, 탄산칼슘, 점토(clay)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가지 또는 복수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무 조성물에서의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의 합계 함유량이 소정값 이상임과 더불어, 무기 필러의 단독 함유량도 소정값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고무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해 30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필러 중 층상규산염으로는, 스멕타이트족(smectite group), 버미큘라이트족(vermiculite group), 카올린족(kaolin group)을 들 수 있다. 스멕타이트족으로서는, 예를 들어, 몬모릴로나이트, 베이델라이트(beidellite), 사포나이트(sap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등을 들 수 있다. 버미큘라이트족으로서는, 예를 들어 3·8면체형 버미큘라이트, 2·8면체형 버미큘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카올린족으로는, 예를 들어, 카올리나이트, 디카이트, 할로이사이트, 리자다이트, 에임자이트, 크리소타일 등을 들 수 있다. 층상규산염은,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몬모릴로나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필러 중 실리카로는, 커플링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또, 실리카는, 고무 조성물에서,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30질량부 이상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부 이상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무기 필러로는, 실리카와 몬모릴로나이트를 함께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조성물의 다른 배합제로서는, 카본블랙, 가공보조제, 가황보조제, 가교제, 공가교제(co-crosslinker) 등을 들 수 있다.
카본블랙으로는, 예를 들어, 채널블랙(channel black); SAF, ISAF, N-339, HAF, N-351, MAF, FEF, SRF, GPF, ECF, N-234 등의 퍼네스블랙(furnace black); FT, MT 등의 서멀블랙(thermal black); 아세틸렌블랙(acetylene black)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카본 블랙은 주로 흑색 착색을 위해 배합되며, 보강재로 하는 것이 목적인 경우보다 함유량은 적어도 된다. 예를 들어,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15질량부 이하여도 되고, 10질량부 이하여도 되며, 5질량부 이하여도 된다.
가공보조제로는,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 왁스, 지방산의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가공보조제는,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고무층(11)을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에서의 가공보조제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3질량부이다.
가황보조제로는, 예를 들어, 산화아연(아연화(亞鉛華))이나 산화 마그네슘 등의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가황보조제는,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황보조제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1∼10질량부이다.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유기과산화물 및 황을 들 수 있다. 가교제는, 유기과산화물을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황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또한 이들 양쪽을 병용하여도 된다. 가교제의 배합량은, 유기과산화물인 경우,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0.5∼8질량부이고, 또, 황인 경우,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0.5∼4질량부이다.
공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액상 폴리부타디엔, N,N’-m-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공가교제는,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고무층(11)을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에서의 공가교제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5∼7질량부이다.
접착 고무층(12)은, 단면이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띠 형상으로 구성된다. 신장 고무층(13)도, 단면이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띠 형상으로 구성된다. 신장 고무층(13)의 표면은, 접촉하는 평 풀리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직포의 결(texture)이 전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고무층(12) 및 신장 고무층(13)의 각각은, 고무 성분에 여러 가지 배합제가 배합되어 혼련된 미가교 고무 조성물이 가열 및 가압되고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접착 고무층(12) 및 신장 고무층(13)의 각각은, 가교된 고무 성분과 각종 배합제를 함유한다. 신장 고무층(13)은, 평 풀리와의 접촉에서 점착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접착 고무층(12)보다 약간 단단한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고무층(12) 및 신장 고무층(13)을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의 고무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α-올레핀 엘라스토머, 클로로프렌 고무(CR),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CSM), 수소 첨가 아크릴로니트릴 고무(H-NBR) 등을 들 수 있으나, 압축 고무층(11)과 동일한 고무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제로서는, 압축 고무층(11)과 마찬가지로, 카본블랙 등의 보강재, 충전재, 가공보조제, 가황보조제, 가교제, 공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압축 고무층(11), 접착 고무층(12), 및 신장 고무층(13)은, 동일 배합의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어도 되며, 또한, 다른 배합의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어도 된다.
심선(14)은, 폴리에스테르 섬유(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PEN), 아라미드 섬유, 비닐론 섬유 등의 연사(撚絲)로 구성된다. 심선(14)의 직경은 예를 들어 0.5∼2.5㎜이고, 단면에서 서로 인접하는 심선(14) 중심 사이의 길이는 예를 들어 0.05∼0.20㎜이다. 심선(14)은, V 리브드 벨트 본체(10)의 접착 고무층(12)에 대한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성형 가공 전에 RFL 수용액에 침지된 후에 가열되는 접착 처리 및/또는 고무풀에 침지된 후에 건조되는 접착처리가 실시된다.
(V 리브드 벨트의 제조방법)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의 제조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심상으로 배치된, 각각, 원통 형상의 내틀(21) 및 외틀(22)을 구비한 벨트 성형틀(20)을 이용한다.
이 벨트 성형틀(20)에서는, 내틀(21)은 고무 등의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다. 외틀(22)은 금속 등의 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외틀(22)의 내주면은 성형면으로 구성되고, 그 외틀(22)의 내주면에는, V 리브 형성홈(23)이 축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형성된다. 또한, 외틀(22)에는, 수증기 등의 열매체나 물 등의 냉매체를 유통시켜 온도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구가 배치된다. 그리고, 이 벨트 성형틀(20)에서는, 내틀(21)을 내부로부터 가압 팽창시키기 위한 가압 수단이 배치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의 제조에서, 먼저, 고무 성분에 각 배합제를 배합하고, 니더(kneader), 밴버리 믹서(banbury mixer) 등의 혼련기로 혼련하여 얻어진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캘린더 성형 등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고 압축 고무층(11)용 미가교 고무시트(11’)를 제작한다. 압축고무층(11)용 미가교 고무시트(11')에는,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를 합계 소정량 이상 배합한다.
마찬가지로, 접착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2') 및 신장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3')도 제작한다. 또한, 심선용 연사(14')를 RFL 수용액에 침지하여 가열하는 접착 처리를 실시한 후, 고무풀에 침지하여 가열 건조시키는 접착 처리를 실시한다.
이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이 평활한 원통 드럼(24) 위에 고무 슬리브(25)를 씌우고, 그 위에, 신장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3’) 및 접착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2’)를 차례로 감아 적층하고, 그 위에 심선용 연사(14’)를 원통 형상의 내틀(21)에 나선상으로 감고, 추가로 그 위에 접착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2’) 및 압축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1')를 차례로 감아 적층체(S’)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때, 미가교 고무시트(11’, 12’, 13’)를, 결 방향이 벨트 길이 방향(둘레방향)이 되도록 감는다.
이어서, 적층체(S’)를 형성한 고무 슬리브(25)를 원통 드럼(24)으로부터 분리하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를 외틀(22)의 내주면측에 안에서 끼운 상태로 세팅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틀(21)을 외틀(22)에 세팅된 고무 슬리브(25) 내에 위치시켜 밀폐한다.
이어서, 외틀(22)을 가열함과 더불어, 내틀(21)의 밀폐된 내부에 고압 공기 등을 주입하여 가압한다. 이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틀(21)이 팽창되어, 외틀(22)의 성형면에, 적층체(S’)의 벨트 형성용 미가교 고무시트(11’, 12’, 13’)가 압축되고, 또한, 이들 고무 성분의 가교가 진행되어 일체화됨과 더불어 연사(14’)와 복합화하고, 최종적으로 원통 형상의 벨트 슬래브(S)가 성형된다. 이 벨트 슬래브(S)의 성형 온도는 예를 들면 100∼180℃, 성형 압력은 예를 들어 0.5∼2.0㎫, 성형 시간은 예를 들어 10∼60분이다.
그리고, 내틀(21)의 내부를 감압하여 밀폐를 풀고, 내틀(21)과 외틀(22) 사이에서 고무 슬리브(25)를 개재하여 성형된 벨트 슬래브(S)를 꺼내, 벨트 슬래브(S)를 소정 폭으로 절단하여 안과 밖을 뒤집음으로써 V 리브드 벨트(B)가 얻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 벨트 슬래브(S)의 외주측, 즉, V 리브(15)측 표면을 연마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를 이용한 자동차의 보조기계 구동벨트 전동장치(30)의 풀리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이 보조기계 구동벨트 전동장치(30)는, V 리브드 벨트(B)가 4개의 리브 풀리 및 2개의 평 풀리의 6개의 풀리에 감아 걸려 동력을 전달하는 서펜타인 드라이브(serpentine drive) 방식의 것이다.
이 보조기계 구동벨트 전동장치(30)에서는, 최상 위치에 리브 풀리인 파워 스티어링 풀리(power steering pulley)(31)가 배치되고, 이 파워 스티어링 풀리(31)의 하방에 리브 풀리인 AC 제네레이터 풀리(AC generator pulley)(32)가 배치된다. 또한, 파워 스티어링 풀리(31)의 좌측 하방에는 평 풀리인 텐셔너 풀리(tensioner pulley)(33)가 배치되고, 이 텐셔너 풀리(33)의 하방에는 평 풀리인 워터펌프 풀리(water pump pulley)(34)가 배치된다. 또한, 텐셔너 풀리(33)의 좌측 하방에는 리브 풀리인 크랭크샤프트 풀리(crank shaft pulley)(35)가 배치되며, 이 크랭크샤프트 풀리(35)의 우측 하방에 리브 풀리인 에어컨 풀리(air conditioning pulley)(36)가 배치된다. 이들 풀리는, 예를 들어, 금속 프레스 가공품이나 주물, 나일론 수지, 페놀 수지 등의 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또한, 풀리 직경이 φ50∼150㎜이다.
이 보조기계 구동벨트 전동장치(30)에서는, V 리브드 벨트(B)는, V 리브(15)측이 접촉하도록 파워 스티어링 풀리(31)에 감아 걸리고, 이어서, 벨트 배면측이 접촉하도록 텐셔너 풀리(33)에 감아 걸린 후, V 리브(15)측이 접촉하도록 크랭크샤프트 풀리(35) 및 에어컨 풀리(36)에 차례로 감아 걸리고, 또한, 벨트 배면측이 접촉하도록 워터펌프 풀리(34)에 감아 걸리며, 그리고, V 리브(15)측이 접촉하도록 AC 제네레이터 풀리(32)에 감아 걸리고, 마지막으로 파워 스티어링 풀리(31)에 되돌아오도록 배치된다. 풀리 사이에서 걸쳐진 V 리브드 벨트(B)의 길이인 벨트 스팬 길이는 예를 들어 50∼300㎜이다. 풀리 사이에서 생길 수 있는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는 0∼2°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벨트에 의해 피수 시의 이상음이 억제되는 이유로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먼저, 본원에서 말하는 피수 시의 이상음은, 물에 젖었을 때 전동벨트의 풀리 접촉면과 풀리와의 마찰면 사이에서 이른바 스틱 슬립 현상이 발생함에 따른 것이다. 전동벨트가 물에 젖으면 마찰 계수가 저하되므로, 마찰면에서 젖은 부분과 젖지 않은 부분이 혼재한 상태가 되면, 부분적으로 마찰력이 다른 상태가 된다. 이는, 스틱 슬립 현상, 나아가 이상음이 발생하기 쉬운 상태이다.
반면, 마찰면 전체가 젖은 상태가 되면 스틱 슬립 현상은 억제된다. 따라서,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고무층을, 무기 필러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함으로써, 풀리 접촉면을 젖기 쉽게 하여 스틱 슬립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고무층에 폴리올레핀 입자를 배합함으로써 동력 전달 능력의 저하를 억제한다. 풀리 접촉면에 노출된 이와 같은 입자의 부분은, 젖으면 메니스커스력(meniscus power)에 의해 전동벨트와 풀리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스틱 슬립 현상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대해, 본 개시의 벨트에서는 폴리올레핀 입자를 이용함에 따라 입자의 부분을 젖기 어렵게 하여, 메니스커스력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스틱 슬립 현상 및 이상음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폴리올레핀 입자에는,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고무층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점에서, 무기 필러 중 실리카로는, 커플링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실리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무 조성물에 실리카를 배합할 경우, 고무 성분에 대한 실리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란 커플링제(silane coupling agent) 등으로 실리카를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리카는 커플링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무 조성물의 배합제로서도 커플링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친수성 높은 실리카가 배합된 고무 조성물이 되어, 물에 젖었을 때 벨트의 풀리 접촉면이 젖기 쉬워지므로, 이상음 억제를 위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무기 필러 중 몬모릴로나이트로는 Ca형 몬모릴로나이트가 바람직하다. 몬모릴로나이트에는 Na, K, Ca2 , Mg2 과 같은 양이온이 흡착되어 있으며, 가장 많이 흡착되어 있는 양이온이 Na인 Na형과, Ca2 인 Ca형이 있다. Ca형 몬모릴로나이트는 Na형에 비해 흡착성이 우수하므로, 풀리 접촉면을 젖기 쉽게 하는 본 실시형태의 목적에 적합하다.
(제 2 실시형태)
도 10 및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명칭의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에서는, 압축 고무층(11)은, 표면 고무층(11a)과 내측 고무부(11b)를 갖는다. 표면 고무층(11a)은, V 리브(15)의 표면 전체를 따르도록 층상으로 형성되고, 표면 고무층(11a)의 이들 복수의 V 리브(15)의 표면이 동력 전달면으로서의 풀리 접촉면을 구성한다. 표면 고무층(11a)의 두께는 예를 들어 50∼500㎛이다. 내측 고무부(11b)는, 표면 고무층(11a) 내측에 형성되고, 압축 고무층(11)에 있어서 표면 고무층(11a) 이외의 부분을 구성한다.
표면 고무층(11a)은, 제 1 실시형태의 압축 고무층(11)과 마찬가지로, 가교된 고무 성분과, 그 고무 성분에 분산된 합계 소정량의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각종 배합제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다.
내측 고무부(11b)는, 가교된 고무 성분과 각종 배합제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다. 내측 고무부(11b)를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를 함유하여도 된다. 여기서, 내측 고무부(11b)를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은, 접착 고무층(12) 또는 신장 고무층(13)을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과 동일하여도 된다.
이상 구성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에 의하면,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표면 고무층(11a)이, 합계 소정량 이상의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풀리 접촉면의 친수성이 향상되고, 또 풀리 접촉면에 폴리올레핀 입자가 분산되어 노출되므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수 시의 이상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압축 고무층(11)의 표면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1a’) 및 내측 고무부용 미가교 고무시트(11b’)를 제작한다. 표면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1a’)에는, 합계 소정량 이상의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를 배합한다. 이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이 평활한 원통 드럼(24) 위에 씌운 고무 슬리브(25) 위에, 신장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3’) 및 접착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2’)를 차례로 감아 적층하고, 그 위에 심선용 연사(14’)를 원통 형상의 내틀(21)에 나선상으로 감고, 추가로 그 위에 접착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2’), 그리고 압축 고무층(11)의 내측 고무부용 미가교 고무시트(11b’), 및 표면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1a')를 차례로 감아 적층체(S’)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적층체(S')에 의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통 형상의 벨트 슬래브(S)를 성형한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 3 실시형태)
도 14 및 도 15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명칭의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에서는, 압축 고무층(11)은, 표면 고무층(11a)과 내측 고무부(11b)를 갖는다. 표면 고무층(11a)은, 다공 고무로 형성되고, V 리브(15)의 표면 전체를 따르도록 층상으로 형성되어 벨트 내주측의 풀리 접촉면을 구성한다. 표면 고무층(11a)의 두께는 예를 들어 50∼500㎛이다. 내측 고무부(11b)는, 중실 고무로 형성되고, 표면 고무층(11a) 내측에 형성되며, 압축 고무층(11)에 있어서 표면 고무층(11a) 이외의 부분을 구성한다.
여기서, 본 출원의 “다공 고무”란, 내부에 다수의 중공부를 가짐과 더불어 표면에 다수의 오목구멍(16)을 갖는 가교 완료된 고무 조성물을 의미하고, 중공부 및 오목구멍(16)이 분산되어 배치된 구조나 중공부 및 오목구멍(16)이 연통된 구조도 포함된다. 또한, 본 출원의 “중실 고무”란, “다공 고무” 이외의 중공부 및 오목구멍(16)을 포함하지 않는 가교 완료된 고무 조성물을 의미한다.
표면 고무층(11a)은, 제 1 실시형태의 압축 고무층(11)과 마찬가지로, 가교된 고무 성분과, 그 고무 성분에 분산된 합계 소정량 이상의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각종 배합제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다. 표면 고무층(11a)은, 이와 더불어 다공 고무인 점에서, 그 형성 전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 다공 고무를 구성하기 위한 미팽창 중공 입자 및/또는 발포제가 배합된다.
미팽창 중공 입자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머(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머) 등으로 형성된 쉘 내부에 용제가 봉입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중공 입자는, 1종만 이용하여도 되며, 또한, 2종 이상을 이용하여도 된다. 중공 입자의 배합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5∼10질량부이다. 발포제로는, 예를 들어, 아조디카본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ADCA계 발포제,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을 주성분으로 하는 DPT계 발포제,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OBSH계 발포제, 히드라조디카본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HDCA계 발포제 등의 유기계 발포제 등을 들 수 있다. 발포제는,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제의 배합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5∼10질량부이다.
표면 고무층(11a)은 다공 고무이므로, 그 표면에는 다수의 오목구멍(16)이 형성된다. 오목구멍(16)의 평균 구멍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0∼150㎛이다. 오목구멍(16)의 평균 구멍 직경은, 표면 화상으로 측정되는 50∼100개의 수평균에 의해 구해진다.
내측 고무부(11b)는, 가교된 고무 성분과 각종 배합제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다. 내측 고무부(11b)를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은, 중공부 및 오목구멍(16)을 제외한 표면 고무층(11a)을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과 동일하여도 된다.
내측 고무부(11b)를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를 함유하여도 된다. 여기서, 내측 고무부(11b)를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은, 접착 고무층(12) 또는 신장 고무층(13)을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과 동일하여도 된다.
이상 구성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에 의하면,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표면 고무층(11a)이, 합계 소정량 이상의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어, 풀리 접촉면의 친수성이 향상되고, 또 풀리 접촉면에 폴리올레핀 입자가 분산되어 노출되므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수 시의 이상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V 리브드 벨트(B)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압축 고무층(11)의 표면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1a’) 및 내측 고무부용 미가교 고무시트(11b’)를 제작한다. 표면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1a’)에는, 합계 소정량 이상의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와 함께, 중공 입자 및/또는 발포제를 배합한다. 이어서,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도 12 및 도 13 참조), 표면이 평활한 원통 드럼(24) 위에 씌운 고무 슬리브(25) 위에, 신장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3’) 및 접착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2’)를 차례로 감아 적층하고, 그 위에 심선용 연사(14’)를 원통 형상의 내틀(21)에 나선상으로 감고, 추가로 그 위에 접착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2’), 그리고 압축 고무층(11)의 내측 고무부용 미가교 고무시트(11b’), 및 표면 고무층용 미가교 고무시트(11a’)를 차례로 감아 적층체(S’)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적층체(S’)에 의해 원통 형상의 벨트 슬래브(S)를 성형한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제 1∼3 실시형태에서는, V 리브드 벨트(B)를 도시하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찰 전동 벨트이면, 예를 들어,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벨트 내주측의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압축고무층(11)을 갖는 로우 엣지형 V 벨트(B)여도 되고, 또,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벨트 내주측의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내측 고무층(17)을 갖는 평 벨트(B)여도 된다.
실시예
(V 리브드 벨트)
이하의 실시예 1∼13 및 비교예 1∼5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는 표 1, 표 2에도 나타낸다.
<실시예 1>
밀폐식 밴버리 믹서의 챔버에 고무 성분으로서의 EPDM을 투입하여 반죽하고, 이어서, 이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ISAF 카본블랙 2질량부, 폴리에틸렌 수지 입자(Mitsui chemicals, inc.제 상품명: HI-ZEX MILLION 240S, 평균 분자량 200만 정도)를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50질량부, 실리카(Degussa사제, 상품명:ULTRASIL VN3) 40질량부, 층상규산염(Hojun Co., Ltd., 상품명:몬모릴로나이트 호타카) 40질량부, 탄산칼슘(Shiraishi Kogyo Kaisha, Ltd., 상품명:ACTIFORT 700) 5질량부, 중공 입자(Sekisui Chemical Co.,Ltd.제, 상품명:EM403) 2.6질량부, 발포제(Sankyo Kasei Co.,Ltd.제, 상품명:cellmic CE) 7.3질량부, 스테아르산 0.5질량부, 산화아연 5질량부, 순도 40질량%의 유기과산화물 가교제(NOF CORPORATION, 상품명:PEROXYMON F40) 8질량부(순도를 고려한 실질 성분은 3.2질량부), 및 공가교제(Seiko Chemical Co.,Ltd., 상품명:Hi-Cross M) 2질량부를 투입 배합하여 혼련하고, 얻어진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압축 고무층의 표면 고무층을 형성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실시예 1로 하였다.
이용한 실리카(ULTRASIL VN3)는, 커플링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실리카이다. 또, 몬모릴로나이트 호타카는, Ca형을 소다회에 의해 개질한 몬모릴로나이트이다.
또한,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 배합량의 합계는, 폴리올레핀 입자, 실리카, 층상규산염 및 탄산칼슘의 합계이므로 135질량부이다(표 1, 표 2에는 당해 합계량도 기재하였음).
또한, 압축 고무층의 내측 고무부, 그리고 접착 고무층 및 배면 고무층을, EPDM을 고무 성분으로 하는 다른 고무 조성물로 형성하였다. 또한, 심선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제의 연사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벨트 길이를 900㎜, 벨트 폭을 21.36㎜, 벨트 두께를 4.3㎜로 하고, 리브 수를 6개로 하였다. 또, V 리브측 표면은 연마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무기 필러 중 하나인 몬모릴로나이트로서, Hojun Co., Ltd.제의 상품명: Ben-Gel Blight 11을 40질량부(고무 성분 100질량부 기준. 이하에서도 동일) 이용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실시예 2로 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폴리에틸렌 수지 입자의 배합량을 70질량부로 하며, 또 발포제를 배합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실시예 2와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폴리에틸렌 수지 입자의 배합량을 100질량부로 하고, 중공 입자의 배합량을 3.1질량부로 하며, 또 발포제를 배합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실시예 2와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실시예 4로 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폴리에틸렌 입자로서 Mitsui chemicals, inc.제의 상품명:HI-ZEX MILLION 630M을 80질량부, 몬모릴로나이트로서 Hojun Co., Ltd.제의 상품명: Ben-Gel W-100을 20질량부 이용하였다. 또, 발포제를 배합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실시예 5로 하였다.
이용한 폴리올레핀 입자(HI-ZEX MILLION 630M)의 평균 분자량은 590만 정도이다. 또, 이용한 몬모릴로나이트(Ben-Gel W-100)는, Na형 몬모릴로나이트이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몬모릴로나이트로서 Ben-Gel Blight 11을 40질량부 이용하였다. 또, 중공 입자를 2.7질량부로 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실시예 5와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실시예 6으로 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6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실리카로서 ULTRASIL VN3을 30질량부 이용하였다. 또, 카본 블랙의 배합량을 12질량부로 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실시예 6과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실시예 7로 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5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폴리에틸렌 입자로서 HI-ZEX MILLION 240S를 80질량부 이용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실시예 5와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실시예 8로 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8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몬모릴로나이트로서 Ben-Gel Blight 11을 40질량부 이용하였다. 또, 중공 입자를 2.7질량부로 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실시예 8과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실시예 9로 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9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카본 블랙으로서 HAF 카본 2질량부를 이용하였다. 또, 실리카의 배합량을 60질량부로 하였다. 몬모릴로나이트는 배합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실시예 9와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실시예 10으로 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9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폴리에틸렌 입자로서 HI-ZEX MILLION 240S를 50질량부 이용하였다. 또, 실리카의 배합량을 50질량부로 하였다. 몬모릴로나이트는 배합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실시예 9와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실시예 11로 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폴리에틸렌 입자의 배합량을 40질량부로 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실시예 11과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실시예 12로 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1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폴리에틸렌 입자의 배합량을 30질량부로 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실시예 11과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실시예 13으로 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카본 블랙으로서 ISAF 카본 22질량부를 이용하였다. 폴리에틸렌 입자로서 HI-ZEX MILLION 240S를 20질량부 이용하였다. 실리카는 배합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몬모릴로나이트로서 몬모릴로나이트 호타카를 40질량부 이용하였다. 탄산칼슘은 배합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발포제는 배합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비교예 1로 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카본 블랙으로서 ISAF 카본 42질량부를 이용하였다. 몬모릴로나이트로서, Hojun Co., Ltd.제의 상품명: Ben-Gel HVP를 40질량부 이용하였다. 중공 입자는 2.9질량부 이용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비교예 1과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비교예 2로 하였다.
이용한 몬모릴로나이트(Ben-Gel HVP)는, Na형 몬모릴로나이트이다.
<비교예 3>
비교예 1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카본 블랙으로서 ISAF 카본 42질량부를 이용하였다. 폴리에틸렌 입자로서 HI-ZEX MILLION 240S를 30질량부 이용하였다. 실리카로서 ULTRASIL VN3을 20질량부 이용하였다. 몬모릴로나이트로서 Ben-Gel Blight 11을 20질량부 이용하였다. 탄산칼슘을 5질량부 이용하였다. 중공 입자는 2.7질량부 이용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비교예 1과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비교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1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카본 블랙으로서 ISAF 카본 42질량부를 이용하였다. 폴리에틸렌 입자로서 HI-ZEX MILLION 240S를 50질량부 이용하였다. 몬모릴로나이트로서 Ben-Gel Blight 11을 30질량부 이용하였다. 발포제로서 cellmic CE를 7.3질량부 이용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비교예 1과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비교예 4로 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1에서 이용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에서, 카본 블랙으로서 ISAF 카본 42질량부를 이용하였다. 폴리에틸렌 입자로서 HI-ZEX MILLION 630M을 80질량부 이용하였다. 몬모릴로나이트는 배합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중공 입자는 2.7질량부 이용하였다. 그 밖의 점에서는 비교예 1과 동일 구성의 V 리브드 벨트를 제작하고, 이를 비교예 5로 하였다.
Figure 112018081517252-pct00001
Figure 112018081517252-pct00002
(시험 평가 방법)
도 17은 벨트 주행 시험기(40)의 풀리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이 벨트 주행 시험기(40)는, 최하 위치에 풀리 직경 140㎜의 아연 도금한 리브 풀리인 구동 풀리(41)가 배치되고, 그 우측 대각선 상방에 풀리 직경 100㎜의 리브 풀리인 제 1 종동 풀리(42)(에어컨 풀리)가 배치되고, 또한, 구동 풀리(41) 및 제 1 종동 풀리(42)의 좌측 대각선 상방에 풀리 직경 60㎜의 리브 풀리인 제 2 종동 풀리(43)(얼터네이터 풀리)가 배치되고, 또한, 제 1 종동 풀리 (42) 좌측방에 풀리 직경 95㎜의 평 풀리인 아이들러 풀리(44)가 배치된다. 그리고, 이 벨트 주행 시험기(40)는, V 리브드 벨트(B)의 리브 풀리인 구동 풀리(41), 제 1 종동 풀리(42) 및 제 2 종동 풀리(43)에 V 리브측이 접촉함과 더불어, 평 풀리인 아이들러 풀리(44)에 배면측이 접촉하며 감아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13 및 비교예 1∼5 각각에 대해, 상기 벨트 주행시험기(40)를 이용하여 물에 젖었을 때의 이상음(피수 시의 이상음 발생의 유무)에 대해 시험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시험 대상의 벨트를 벨트 주행시험기(40)의 각 풀리에 감아 걸고, 소정의 벨트 장력이 부하되도록 아이들러 풀리(44)의 위치를 결정하여, 제 1 종동 풀리(42) 및 제 2 종동 풀리(43)에 부하(제 1 종동 풀리(42):1.5㎫, 제 2 종동 풀리(43):20A)를 걸고, 분위기 온도 25℃ 하로, 구동 풀리(41)를 750±120rpm의 회전수로 회전시켜 벨트 주행시켰다. 구동 풀리(41)의 벨트가 감아 걸리기 시작한 부분에 10㎖의 물을 떨어뜨려, 부하가 걸리는 장력에서의 이상음 발생 유무를 확인하였다.
시험은, 벨트 장력이 1300N에서 200N까지의 범위에 대해 실시하였다. 단, 벨트 장력은 아이들러 풀리(44)의 위치에 따라 조정되므로 엄밀하게 100N 단위로 설정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실제 시험에서는, 1300N을 초과하는 값에서 200N을 밑도는 값까지 실시한다. 즉, 1300N을 초과할 정도의 장력에서 시험을 개시하여 이상음 발생이 없으면 아이들러 풀리(44)의 위치를 조정하여 100N 정도 장력을 낮추고, 다시 물을 떨어뜨렸을 때의 이상음 유무를 확인하였다. 순차적으로 벨트 장력을 낮추어 가면서, 이상음이 발생한 경우 그 때의 장력을 기록하였다(상술한 바와 같이 장력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100N 단위의 값으로는 되지 않는다).
(시험 결과)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장력의 수치만을 기재한 경우는, 그 값으로 벨트 장력을 낮추었을 때 피수 시의 이상음이 발생하였음을 의미한다. 수치와 함께 “순간적”이라 기재한 경우, 그 값으로 벨트 장력을 낮추어 벨트를 주행시키고, 물을 떨어뜨린 후에 짧은 시간 이상음이 발생하였으나, 벨트 주행을 계속하면 그 후에는 이상음이 없어졌음을 의미한다. 또, “없음”이란 벨트 장력 1300N에서 200N까지의 모든 장력 영역에서 피수 시의 이상음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무기 필러 및 폴리에틸렌 입자의 합계 배합량이 60∼80질량부인 비교예 1∼5에서는, 벨트 장력을 200N까지 낮출 때까지(690N에서 1330N까지의 범위에서), 순간적이 아닌 이상음이 발생하였다. 반면, 상기 합계 배합량이 85질량부인 실시예 13에서는 벨트 장력 440N에서 순간적으로만 이상음이 발생하였을 뿐이고, 피수 시의 이상음 발생은 억제되었다. 상기 합계 배합량이 95질량부인 실시예 12에서는 벨트 장력 270N에서 순간적인 이상음 발생이었으며, 피수 시의 이상음 발생은 더욱 억제되었다. 상기 합계 배합량이 105∼185인 실시예 1∼11인 경우, 모두 벨트 장력 1300N에서 200N까지의 모든 범위에서 피수 시의 이상음 발생 없어, 피수 시의 이상음은 충분히 억제되었다.
본 발명은, 마찰 전동 벨트의 기술분야에서 유용하다.
B : V 리브드 벨트, V 벨트, 평 벨트(마찰 전동 벨트)
11 : 압축 고무층
11a : 표면 고무층
17 : 내측 고무층

Claims (10)

  1. 풀리 접촉면을 구성하는 고무층을 갖는 마찰 전동 벨트로서,
    상기 고무층은, 폴리올레핀 입자와, 친수성을 갖는 커플링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실리카를 포함하는 무기 필러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 조성물에서의 상기 폴리올레핀 입자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50질량부 이상이며,
    상기 고무 조성물에서의 상기 무기 필러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35질량부 이상이고,
    상기 폴리올레핀 입자의 최대 외경을 최소 외경으로 나눈 종횡비는, 2.00 이하이고,
    상기 고무 조성물은, 커플링제가 배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전동 벨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무 조성물에서의 상기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합계 95질량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전동 벨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무 조성물에서의 상기 폴리올레핀 입자 및 무기 필러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합계 105질량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전동 벨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입자는, 분자량 50만 이상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전동 벨트.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몬모릴로나이트, 점토 및 탄산칼슘 중 적어도 1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전동 벨트.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무 조성물에서의 상기 실리카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30질량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전동 벨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무 조성물의 고무 성분은, 에틸렌-α-올레핀 엘라스토머, 클로로프렌 고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및 수소 첨가 아크릴로니트릴 고무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전동 벨트.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적어도 Ca형 몬모릴로나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전동 벨트.
KR1020187023790A 2016-03-28 2017-01-05 마찰 전동 벨트 KR101992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64484 2016-03-28
JPJP-P-2016-064484 2016-03-28
PCT/JP2017/000151 WO2017168913A1 (ja) 2016-03-28 2017-01-05 摩擦伝動ベル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068A KR20180100068A (ko) 2018-09-06
KR101992937B1 true KR101992937B1 (ko) 2019-06-25

Family

ID=5996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790A KR101992937B1 (ko) 2016-03-28 2017-01-05 마찰 전동 벨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09487B2 (ko)
JP (1) JP6306266B2 (ko)
KR (1) KR101992937B1 (ko)
CN (1) CN108603567B (ko)
DE (1) DE112017001585T5 (ko)
WO (1) WO20171689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7302B1 (ja) * 2017-06-19 2018-11-21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伝動ベルト
WO2019017101A1 (ja) 2017-07-19 2019-01-24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383135B1 (ja) * 2017-07-19 2018-08-29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CA3114167C (en) * 2018-09-27 2023-11-07 Gates Corporation High-efficiency bel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9212056A1 (de) * 2019-08-12 2021-02-18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Schrägverzahnter Antriebsriemen
WO2023129433A1 (en) * 2021-12-28 2023-07-06 Gates Corporation Reinforced-elastomer article with microporous polymeric fil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0917A (ja) * 2006-03-30 2007-10-18 Mitsuboshi Belting Ltd 摩擦伝動ベルト
JP2007298162A (ja) * 2005-09-21 2007-11-15 Mitsuboshi Belting Ltd 摩擦伝動ベルト
JP2013536268A (ja) * 2010-07-07 2013-09-19 コンティネンタル・ライフェン・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ゴム混合物
JP2014209026A (ja) * 2013-03-29 2014-11-06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伝動用ベルト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37228B2 (en) * 1994-10-31 2007-12-12 The Gates Rubber Company Ethylene-alpha-olefin belting
CN1109830C (zh) * 1997-10-31 2003-05-28 三星皮带株式会社 动力传动带
TW415957B (en) 1997-12-09 2000-12-21 Nippon Kayaku Kk Permeable water cut-off agent, water cut-off material, concrete or morta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venting water leaks
JPH11228941A (ja) * 1997-12-09 1999-08-24 Nippon Kayaku Co Ltd 浸透性防水剤及び漏水防止方法
KR100682809B1 (ko) 1999-03-16 2007-02-15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가교성 고무 조성물 및 그 용도
JP4302243B2 (ja) * 1999-07-23 2009-07-22 三井化学株式会社 架橋可能な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CN1197907C (zh) * 1999-03-16 2005-04-20 三井化学株式会社 可交联的橡胶组合物及其应用
JP4448288B2 (ja) * 2003-04-25 2010-04-0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Vリブドベルト
JP2007070592A (ja) 2004-11-25 2007-03-22 Mitsuboshi Belting Ltd ゴム組成物、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摩擦伝動ベルト
US20090298632A1 (en) * 2005-01-13 2009-12-03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Friction transmission belt
JP2007170454A (ja) 2005-12-20 2007-07-05 Mitsuboshi Belting Ltd Vリブドベルト
JP2007170587A (ja) 2005-12-26 2007-07-05 Mitsuboshi Belting Ltd Vリブドベルト
JP5570233B2 (ja) * 2010-01-29 201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2584217A4 (en) * 2010-06-15 2017-12-13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Transmission belt
JP2012053176A (ja) * 2010-08-31 2012-03-15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WO2012053176A1 (ja) 2010-10-21 2012-04-26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
JP5673189B2 (ja) * 2011-02-18 2015-02-18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弁装置
EP2722161B1 (en) 2011-06-17 2015-06-17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v-ribbed belt
KR20140137350A (ko) 2012-02-24 2014-12-02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마찰 전동 벨트
JP5660170B2 (ja) * 2012-08-16 2015-01-28 堺化学工業株式会社 硝酸塩を含有する粒子状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8162A (ja) * 2005-09-21 2007-11-15 Mitsuboshi Belting Ltd 摩擦伝動ベルト
JP2007270917A (ja) * 2006-03-30 2007-10-18 Mitsuboshi Belting Ltd 摩擦伝動ベルト
JP2013536268A (ja) * 2010-07-07 2013-09-19 コンティネンタル・ライフェン・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ゴム混合物
JP2014209026A (ja) * 2013-03-29 2014-11-06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伝動用ベル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72184A1 (en) 2018-12-27
CN108603567A (zh) 2018-09-28
US10309487B2 (en) 2019-06-04
KR20180100068A (ko) 2018-09-06
JPWO2017168913A1 (ja) 2018-04-05
WO2017168913A1 (ja) 2017-10-05
JP6306266B2 (ja) 2018-04-04
CN108603567B (zh) 2019-05-07
DE112017001585T5 (de)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937B1 (ko) 마찰 전동 벨트
US10647075B2 (en) Friction transmission be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9341234B2 (en) Friction drive belt
JP5508648B2 (ja) Vリブド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7244207B2 (en) Frictional forced power transmission belt and belt drive system with the same
KR101917709B1 (ko) V 리브드 벨트
KR101992858B1 (ko) 마찰 전동 벨트
JP7209773B2 (ja) 摩擦伝動ベルト
JP6348136B2 (ja)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227843B1 (ja) 伝動ベルト
JP6348133B2 (ja)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078702B1 (ja) Vリブドベルト
JP6903791B2 (ja) 摩擦伝動ベルト
JP2017106518A (ja) 摩擦伝動ベルト
JP6581892B2 (ja) 摩擦伝動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