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790B1 -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790B1
KR101992790B1 KR1020170172921A KR20170172921A KR101992790B1 KR 101992790 B1 KR101992790 B1 KR 101992790B1 KR 1020170172921 A KR1020170172921 A KR 1020170172921A KR 20170172921 A KR20170172921 A KR 20170172921A KR 101992790 B1 KR101992790 B1 KR 101992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pressure
emergency braking
aeb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960A (ko
Inventor
정윤철
고운용
Original Assignee
(주)인터라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라온 filed Critical (주)인터라온
Priority to KR1020170172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7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initiated by contact of vehicle, e.g. bumper, with an external object, e.g. another vehicle, or by means of contactless obstacle detectors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3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pneumat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60W2420/42
    • B60W2420/52
    • B60W2550/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50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기술의 구체적인 예에 따르면, 풋 브레이크 페달의 전단에 설치된 기존의 공압 계통으로부터 제공된 공압을 장애물 감지에 의한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설정된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소정 공압을 회전하는 좌우 바퀴 및 회전하지 아니한 좌우 바퀴 모두의 제동 장치로 전달함에 따라 긴급 제동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기존의 공압 계통 및 제동 계통의 교체 없이 간단하게 긴급 제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및 방법{AUTOMATIC EMERGENCY BREAK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풋 브레이크 페달의 전단으로부터 제공된 공압을 기 정해진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여 AEB 공압 장치 및 제동 장치로 전달함에 따라 좌우 전후 바퀴에 대한 긴급 제동이 가능하고, 기존의 공압 계통 및 제동 계통을 교체 없이 간편하게 긴급 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추돌 사고 또는 보행자 충돌을 회피하거나 피해를 완화하는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난 장치가 AEB(AUTONOMOUS EMERGENCY BRAKING SYSTEM) 시스템이다.
이러한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은 선행 차량이 속도를 줄이거나 멈출 경우 또는 보행자 등의 장애물이 갑자기 나타나는 경우에 작동하는 적극적 안정 장비이다. AEB는 소극적으로는 운전자에게 경고를 주는 것부터 적극적으로는 운전자의 지시가 없더라도 스스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서 추돌 사고를 방지하거나 그 피해를 최소화한다. 도로 상교 통사고의 약 90%가 운전자의 집중력 저하나 부주의에 의한 것이라는 통계 결과가 있다. 실험 결과 AEB는 추돌사고를 27%까지 줄일 수 있으며 피할 수 없는 사고의 경우에도 부상 정도를 대폭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물이 감지되면 AEB는 운전자가 늦게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최대한의 제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동 계통의 압력을 미리 높여 놓고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의 간격을 좁혀놓는 등 사전 준비를 한다. 사고가 예견되는 상황인데도 운전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AEB는 스스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사고를 방지하거나 사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AEB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 모든 제동 계통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풋 브레이크 전단에 마련된 공압으로 기존의 제동 계통에 대해 긴급 제동 또는 제동을 수행함에 따라 기존의 공압 계통 및 제동 계통의 교체 없이 간단하게 긴급 제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풋 브레이크 전단에 마련된 공압으로 기 정해진 소정 공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소정 공압으로 긴급 제동을 수행함에 따라 기존의 공압 계통 및 제동 계통의 교체 없이 간단하게 긴급 제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공압을 이용한 긴급 제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풋 브레이크 페달의 전단에 설치된 공압을 기 설정된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고 풋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생성된 공압과 상기 소정 공압 중 하나를 제동 장치로 전달하는 AEB 공압 장치; 및
레이더, 카메라, 및 각종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수신 신호에 의거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의 감지 시 상기 긴급 제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AEB 공압 장치 및 제동 장치로 전달하여 차량의 긴급 제동을 수행하는 AEB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EB 공압 장치는,
수신된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상기 제동 장치의 압력을 기 설정된 임계 공압으로 미리 충전하는 챠져 밸브;
상기 임계 공압을 제공받아 온 오프 시간에 비례하여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는 압력 제어 밸브; 및
상기 AEB 제어 장치의 긴급 제동 신호에 따라 상기 소정 공압을 제동 장치로 전달하는 투웨이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웨이 체크 밸브는 풋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생성된 공압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계 공압은, 펄스 형태로 증압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 공압은, 계단식으로 리니어하게 증압하여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 공압은 펄스 형태로 증압, 유지, 및 감압하여 생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의해 자동 긴급 제동 방법은, AEB 공압 장치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풋 브레이크 페달의 전단에 설치된 공압을 기 설정된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고 풋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생성된 공압과 상기 소정 공압 중 하나를 제동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 및 레이더, 카메라, 및 각종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수신 신호에 의거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의 감지 시 상기 긴급 제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AEB 공압 장치 및 제동 장치로 전달하여 차량의 긴급 제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AEB 공압 장치에서 챠져 밸브에서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상기 제동 장치의 압력을 기 설정된 임계 공압으로 미리 충전하는 단계; 압력 제어 밸브 에서 상기 임계 공압을 제공받아 온 오프 시간에 비례하여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투웨이 체크 밸브에서 상기 긴급 제동 신호에 따라 상기 소정 공압을 제동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풋 브레이크 페달의 전단으로부터 제공된 공압을 기 정해진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여 AEB 공압 장치 및 제동 장치로 전달함에 따라 좌우 전후 바퀴에 대한 긴급 제동이 가능하고, 기존의 공압 계통 및 제동 계통을 교체 없이 간편하게 긴급 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압을 이용한 긴급 제동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압을 이용한 긴급 제동 시스템의 AEB 공압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압을 이용한 긴급 제동 시스템의 AEB 공압 장치의 각 부의 출력 공압을 보인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압을 이용한 긴급 제동 시스템의 AEB 제어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c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EB 공압 장치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보인 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부의 출력 신호를 보인 파형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EB 제동 제어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이하 AEB 시스템으로 약칭함)은 풋 브레이크 페달 전단에 마련된 공압 계통의 공압으로 기존의 제동 계통을 제어하여 긴급 제동을 수행하도록 구비되고,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은, 이러한 AEB 시스템은 AEB 공압 장치(10), 제동 장치(20), 및 AEB 제어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EB 공압 장치(10)는 풋 브레이크(1) 전단에 마련된 공압 계통(2)으로부터 제공받은 공압을 상기 AEB 제동 제어 장치(30)로부터 공급되는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여 각 바퀴에 마련된 제동 장치(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AEB 공압 장치(10)는 풋 브레이크 페달(1)의 조작에 따른 제동 신호가 입력되면 공압 계통(2)의 공압을 기 설정된 공압으로 생성시켜 제동 장치(2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동 장치(20)는 운전자의 풋 브레이크 페달(1)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생성된 제동 신호에 의해 회전하는 좌우 바퀴의 제동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AEB 공압 장치(10)는 AEB 제어 장치(30)로부터 공급되는 긴급 제동 신호에 의해 입력된 공압 계통(2)의 공압을 긴급 제동에 필요한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여 제동 장치(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AEB 공압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져 밸브(110), 압력 제어 밸브(120), 및 투웨이 체크 밸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챠져 밸브(110)는 수신된 긴급 제어 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임계 공압으로 미리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여기서 기 설정된 임계 공압은 상기 AEB 제어 장치(30)에 록업 테이블 값으로 기 저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져 밸브(110)의 임계 공압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형태로 증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챠져 밸브(110)는 후단에 접속된 압력 제어 밸브(120)가 긴급 제동이 아닌 경우에도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긴급 제동 시 압력 제어 밸브(120)가 동작되도록 한다.
이러한 차져 밸브(110)를 통해 제공받은 임계 공압은 긴급 제동 신호 수신 시 압력 제어 밸브(120)로 전달되며, 압력 제어 밸브(120)는 온 오프 주기에 따라 비례적으로 소정 공압을 생성하고, 소정 공압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압, 유지 및 감압으로 생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압력 제어 밸브(120)의 생성된 소정 공압은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투웨이 체크 밸브(130)로 전달된다. 투웨이 체크 밸브(130)는 풋 브레이크 페달(1)의 누름 정도에 따라 생성된 공압과 긴급 제동 시 압력 제어 밸브(120)로부터 생성된 소정 공압 중 적어도 하나를 제동 장치(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EB 제어 장치(30)의 투웨이 체크 밸브(130)를 통과한 소정 공압 또는 공압은 제동 장치(20)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 상기 AEB 공압 장치(10)는 각각의 차져 밸브(110), 압력 제어 밸브(120), 및 투웨이 체크 밸브(130)를 는 하나의 통합된 비례 압력 제어 밸브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동 장치(20)는 각 바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풋 브레이크 페달(1)의 제동 요구에 의한 제동을 위해 각 바퀴에 설치된 각각의 제동 장치(20)는 압력 제어 밸브(210) 및 브레이크 챔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제어 밸브(210)는 AEB 공압 장치(10)로부터 제공받은 소정 공압을 긴급 제동 시 바퀴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기 정해진 설정 공압으로 생성한다.
한편, 제동 장치(20)는 전륜 구동 차량의 경우 후방 바퀴에 설치된 제동 장치의 각각의 압력 제어 밸브(210)의 사이에 릴레이 밸브(2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릴레이 밸브(230)는 후륜 구동 차량의 경우 전방 바퀴에 설치된 제동 장치의 각각의 입력 제어 밸브(21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륜 구동 차량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때 릴레이 밸브(230)은 상기 AEB 제어 장치(30)의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온 상태로 스위칭하여 AEB 공압 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소정 공압을 후단에 연결된 압력 제어 밸브(2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긴급 제동 시 전후 4 바퀴 모두에 대한 제동이 이루어지고 이에 제동 시간 및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AEB 제어 장치(30)는 장애물 감지에 따른 긴급 제동에 대한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고, 이에 AEB 제어 장치(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더, 카메라, 및 각종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수신 신호에 대한 캔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캔 통신부(310 ~ 312)와, 캔 통신부(310 ~ 312)로부터 제공받은 수신 신호에 의거 긴급 제동을 수행하기 위한 긴급 제동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컴(320)과, 프론트 챠져 밸브 드라이버(331), 리어 챠져 밸브 드라이버(332), 프론트 압력 제어 밸브 드라이버(333) 및 리어 압력 제어 밸브 드라이버(3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캔 통신부(310 ~ 312)로부터 제공받은 수신 신호들을 토대로 마이컴(320)은 장애물 감지를 판단하고 장애물 감지 시 긴급 제동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긴급 제동 신호를 AEB 공압 장치(10) 및 제동 장치(20)의 챠져 밸브(110) 및 비례 압력 제어 밸브(120)의 공압을 제어하기 위한 프론트 챠져 밸브 드라이버(331), 리어 챠져 밸브 드라이버(332), 프론트 압력 제어 밸브 드라이버(333) 및 리어 압력 제어 밸브 드라이버(334)로 전달한다.
여기서 마이컴(320)은 중앙 연산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캔 통신부, 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레이더, 카메라, 및 각종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수신 신호를 토대로 장애물 감지하여 긴급 제동 신호 또는 제동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긴급 제동 신호 및 제동 신호에 의해 AEB 공압 장치(10) 및 제동 장치(2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중앙 연산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EB 공압 장치(10)는 공압 계통(2)으로부터 제공받은 공압을 긴급 제동 용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여 제동 장치(20)로 전달하고 제동 장치(20)는 생성된 소정 공압을 설정 전압으로 생성하여 각각 바퀴로 전달한다.
이때 릴레이 밸브(230)는 긴급 제동 신호에 의해 온(ON)되어 생성된 소정 공압이 전륜 및 후륜 바퀴에 모두 전달되어 긴급 제동이 수행된다. 또한 릴레이 밸브(230)는 저전위 레벨의 제동 신호에 의해 오프(OFF)되어 이에 투웨이 체크 밸브(130)를 통과한 공압은 회전 중인 바퀴의 제동 장치로 전달하여 풋 브레이크 페달(1)의 제동 요구에 의한 제동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해 풋 브레이크 페달(1)의 전단에 설치된 기존의 공압 계통(2)으로부터 제공된 공압을 장애물 감지에 의한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설정된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소정 공압을 각 모든 바퀴의 제동 장치로 전달함에 따라 긴급 제동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기존의 공압 계통 및 제동 계통의 교체 없이 간단하게 긴급 제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의해 자동 긴급 제동 방법은, AEB 공압 장치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풋 브레이크 페달의 전단에 설치된 공압을 기 설정된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고 풋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생성된 공압과 상기 소정 공압 중 하나를 제동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 및 레이더, 카메라, 및 각종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수신 신호에 의거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의 감지 시 상기 긴급 제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AEB 공압 장치 및 제동 장치로 전달하여 차량의 긴급 제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AEB 공압 장치에서 챠져 밸브에서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상기 제동 장치의 압력을 기 설정된 임계 공압으로 미리 충전하는 단계; 압력 제어 밸브 에서 상기 임계 공압을 제공받아 온 오프 시간에 비례하여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투웨이 체크 밸브에서 상기 긴급 제동 신호에 따라 상기 소정 공압을 제동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자동 긴급 제동 방법의 각 단계는, 전술한 AEB 공압 장치(10), 제동 장치(20), 및 AEB 제어 장치(30)에서 수행되는 기능으로 자세한 원용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풋 브레이크 페달의 전단으로부터 제공된 공압을 기 정해진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여 AEB 공압 장치 및 제동 장치로 전달함에 따라 좌우 전후 바퀴에 대한 긴급 제동이 가능하고, 기존의 공압 계통 및 제동 계통을 교체 없이 간편하게 긴급 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에 대한 운용의 정확성 및 신뢰도 측면, 더 나아가 성능 효율 면에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차량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Claims (7)

  1.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풋 브레이크 페달의 전단에 설치된 공압 계통의 임계 공압을 기 설정된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고 풋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생성된 공압과 상기 소정 공압 중 하나를 제동 장치로 전달하는 AEB 공압 장치; 및
    레이더, 카메라, 및 각종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수신 신호에 의거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의 감지 시 상기 긴급 제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AEB 공압 장치 및 제동 장치로 전달하여 차량의 긴급 제동을 수행하는 AEB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AEB 공압 장치는 상기 AEB 제어 장치의 긴급 제동 신호를 전달받아 공압 계통의 임계 공압을 소정 공압으로 변환한 다음 상기 소정 공압을 상기 제동 장치로 전달하여 긴급 제동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EB 공압 장치는,
    수신된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상기 제동 장치의 압력을 기 설정된 임계 공압으로 미리 충전하는 챠져 밸브;
    상기 임계 공압을 제공받아 온 오프 시간에 비례하여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는 압력 제어 밸브; 및
    상기 AEB 제어 장치의 긴급 제동 신호에 따라 상기 소정 공압을 제동 장치로 전달하는 투웨이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웨이 체크 밸브는
    풋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생성된 공압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공압은,
    펄스 형태로 증압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공압은,
    펄스 형태로 증압, 유지, 및 감압하여 생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EB 공압 장치는
    수신된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상기 공압 계통의 공압을 기 설정된 임계 공압으로 미리 충전하고, 상기 임계 공압을 제공받아 온 오프 시간에 비례하여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며, 상기 AEB 제어 장치의 긴급 제동 신호에 따라 상기 소정 공압을 제동 장치로 전달하는 비례 압력 제어 밸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7. AEB 공압 장치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풋 브레이크 페달의 전단에 설치된 공압을 기 설정된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고 풋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생성된 공압과 상기 소정 공압 중 하나를 제동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 및
    레이더, 카메라, 및 각종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수신 신호에 의거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의 감지 시 상기 긴급 제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AEB 공압 장치 및 제동 장치로 전달하여 차량의 긴급 제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긴급 제동 수행 과정은,
    상기 긴급 제동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공압 계통의 임계 공압을 소정 공압으로 변환한 다음 상기 소정 공압을 상기 제동 장치로 전달하여 긴급 제동을 수행하고,
    상기 AEB 공압 장치에서
    챠져 밸브에서 긴급 제동 신호에 의거 상기 제동 장치의 압력을 기 설정된 임계 공압으로 미리 충전하는 단계;
    압력 제어 밸브 에서 상기 임계 공압을 제공받아 온 오프 시간에 비례하여 소정 공압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투웨이 체크 밸브에서 상기 긴급 제동 신호에 따라 상기 소정 공압을 제동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긴급 제동 방법.

KR1020170172921A 2017-12-15 2017-12-15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992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921A KR101992790B1 (ko) 2017-12-15 2017-12-15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921A KR101992790B1 (ko) 2017-12-15 2017-12-15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960A KR20190071960A (ko) 2019-06-25
KR101992790B1 true KR101992790B1 (ko) 2019-06-26

Family

ID=6706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921A KR101992790B1 (ko) 2017-12-15 2017-12-15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9890B (zh) * 2021-01-18 2022-08-23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水下设备的避障方法及水下设备的避障装置
CN113879292A (zh) * 2021-09-17 2022-01-04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紧急制动方法、超声波雷达系统及aeb控制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4211B1 (fr) * 2005-12-06 2008-02-08 Lohr Ind Systeme de freinage a commande electropneumatique a deux etages pour un vehicule routier multi-essieux.
KR102285422B1 (ko) * 2015-02-16 2021-08-04 주식회사 만도 긴급 제동 시스템 및 그의 제동 제어 방법
KR102249764B1 (ko) * 2015-09-07 2021-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960A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527B1 (ko) 발진 시 차량의 운전자를 지원하기 위한 비상 브레이크 지원 시스템
US9834185B2 (en) Vehicle braking control apparatus
US9650057B2 (en)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warning a vehicle driver of a motor vehicle
US90990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a reaction delay time of a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US10773647B2 (en) Method for triggering an automatic emergency braking process with variable warning time period
EP2682318B1 (en) Motor vehicle collision warning system
US9908532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activity of a driver of a motor vehicle and the adaptive response time and a corresponding assistance system
US10005474B2 (en) Vehicle system, vehicle comprising a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transition from an autonomous driving mode
KR101992790B1 (ko)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및 방법
RU2008135363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повещения отклонения от пути движения
US10234866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automated driving of a motor vehicle
KR102287574B1 (ko) 차량 작동 방법 및 장치
US10059315B2 (en) Vehicle brake-control-system, vehicle comprising a brake-control-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brake system
CN102991483A (zh) 一种无人状态下的车辆智能制动系统及方法
US1017957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braking system independent of the state of an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system
KR20140091333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JP6842551B2 (ja) 制動制御装置
JP7387882B2 (ja) 単軌道の原動機付車両のための間隔制御機能または速度制御機能を実行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6004755A (zh) 基于车身稳定系统esc的泊车防刮碰控制系统
US20150251638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Vehicle and Vehicle Having Such a Device
KR101754888B1 (ko) 이중주차 시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6656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dapting the boost rate of a steer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during tire pressure loss
CN105253136B (zh) 机动车控制装置和机动车控制方法
US20130124042A1 (en) Driver-Assistance System Having Control of the Vehicle Brake System and Distance Warning
JP6183613B2 (ja) 自動ブレーキ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