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865B1 -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 Google Patents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865B1
KR101991865B1 KR1020170156490A KR20170156490A KR101991865B1 KR 101991865 B1 KR101991865 B1 KR 101991865B1 KR 1020170156490 A KR1020170156490 A KR 1020170156490A KR 20170156490 A KR20170156490 A KR 20170156490A KR 101991865 B1 KR101991865 B1 KR 101991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storage body
ash
seal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998A (ko
Inventor
이재정
성동제
김민철
김택성
Original Assignee
(주)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 filed Critical (주)유성
Priority to KR1020170156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8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50Intercepting solids by cleaning fluids (washers or scrub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conducting or purifying combustion fumes; Treatment of fumes or ashes
    • F23J2900/01005Mixing water to 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소로에서 발생되는 재가 모여지는 재박스에 재가 모이는 과정에서 미세분진이 발생되어 주변 기기부품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원활하게 모여진 재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는, 고형연료가 연소 되는 공간인 연소로(10) 내에서,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 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와 연결된 보일러(50)에서 외부로 유동 되도록 보일러(50)와 연결되는 유동부(100); 상기 유동부(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동부(100)를 통하여 낙하 되는 재(30)가 모여 저장되는 저장부(200); 및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어 저장부(200)로 낙하 되면서 저장되는 재(30)가 저장부(200) 내에서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냉각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유체분사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APPARETUS COMBUSTION ASH CHAMBER WITH ANTI-SCATTERING ASHES SWITCH}
본 발명은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소로에서 발생되는 재가 모여지는 재박스에 재가 모이는 과정에서 미세분진이 발생되어 주변 기기부품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원활하게 모여진 재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폐기물이나 산업폐기물은 매립이나 소각로에서 소각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그 대부분이 처리되고 있다.
이러한, 소각로는 연소실에 연료를 투입하여 연소조건(3T ; Temperature, Turbulence, Time)을 갖춘 뒤 연료의 연소가 진행되는데, 연소실에서는 투입된 폐기물 또는 연료를 화염 연소시키거나 열분해(탄화)시키고, 연소조건이나 연료상태에 따라 불연소 된 가스상 물질을 재연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소각로에는 톱밥이나 목재 부스러기뿐만 아니라 사업장이나 가정에서 발생하는 폐플라스틱을 펠릿 형태로 압축한 고형 폐기물 연료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고형 폐기물 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얻음으로써 보일러나 열병합발전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고형 폐기물 연료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는, 온실가스 배출원인 경유/B-C 유 등 을 사용하지 않아 연료비가 적게 들고 친환경적인 설비라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에너지 다소비 업체의 자체이용 전용 보일러뿐만 아니라 지자체의 발전설비나 열병합발전과 같은 곳으로 확산 되고 있는 실정이다.
생활폐기물이나 산업폐기물을 매립하는 경우 많은 량의 폐기물을 일시에 처리하기 위한 대규모의 부지가 확보 및 매립비용 그리고 안정화되기 전까지 침출수 등으로 인한 토양환경 문제 등이 있고, 소각 처리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적은 부지 내에서의 생활폐기물 처리가 가능하나 과도한 설비비용은 물론 소각 잔재의 처리도 매립에 의존해야 하고, 소각에 따른 대기 환경의 문제 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매립량을 줄이거나 소각량을 줄여야 하는데, 이러한 생활쓰레기가 대부분 집에서 분류됨으로써 각 가정의 생활폐기과 기업의 산업폐기물 저감 노력이나 정확한 분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그와 같은 목적이 달성되기 어렵게 된다.
결국, 매립지나 소각장에서 최종 매립이나 소각 전에 생활폐기물이나 산업폐기물을 처리해야 하나, 이를 기계적으로 처리하기가 어려워 손에 의한 선택분류정도만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그냥 매립하거나 소각할 수밖에 없어 효율적인 분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연료 중에서도 SRF는 무연탄보다 열량이 높고 값도 저렴해 산업체나 공공기관의 대체연료와 난방연료로도 손색이 없는 자원이다. 이에 따라 최근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SRF를 이용한 난방연료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어서 그 시장성 또한 매우 밝은 실정이다.
이렇게, 상기와 같이 고형 폐기물 연료를 연소시키게 되면 폐기물 및 고형 연료가 소각 및 연소 되면서 많은 양의 재가 발생 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발생 된 재는 재박스로 유동 된 후 별도로 처리되게 되는데, 연소로에서 재박스로 재가 유동 되는 과정에서 다량의 재가 지속적으로 분산되고 미세분진이 공기중에 날리면서 연소로 기기 부품들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연소로의 소각 및 연소 되면서 연소로에서 재박스로 재가 유동 되는 과정에서 다량의 재가 지속적으로 분산되고 미세분진이 공기 중에 날리면서 연소로 주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분진에 의한 질환이 발생 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연소로에서 재박스로 재가 유입되면서 재가 일정한 위치에 적층 저장되어 수시로 작업자가 일정한 위치에 적층 된 재를 평탄화 해야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추가적인 재와 미세 분진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123064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는, 연소로에서 재박스로 재가 유동 되거나 미세분진이 공기 중에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는, 연소로의 소각 및 연소 되면서 연소로에서 재박스로 재가 유동 되는 과정에서 다량의 재와 미세분진이 연소로 주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미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는, 연소로에서 재박스로 재가 유입되면서 재가 일정한 위치에 적층 저장되는 것을 별도의 작업자 작업 없이도 간편하게 평탄화될 수 있도록 하는 연소로 재박스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는, 고형연료가 연소 되는 공간인 연소로(10) 내에서,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 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와 연결된 보일러(50)에서 외부로 유동 되도록 보일러(50)와 연결되는 유동부(100); 상기 유동부(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동부(100)를 통하여 낙하 되는 재(30)가 모여 저장되는 저장부(200); 및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어 저장부(200)로 낙하 되면서 저장되는 재(30)가 저장부(200) 내에서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냉각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유체분사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부(100)는, 상기 보일러(50)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관(110)과, 상기 연결관(11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름관(120)과, 상기 연결관(1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저장부(200)의 상부를 밀폐하면서 덮는 밀폐덮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덮개(130)는, 상기 연결관(110)에서 상기 저장부(200)로 낙하 되는 재(30)가 상기 저장부(200) 내에서 비산 시 저장부(200)의 하부로 유동 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경사면(132)과, 상기 밀폐덮개(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200)의 상부 테두리 부위를 감싸면서 밀폐하는 단턱(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분사부(300)는,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어 상기 재(30)에 유체를 분사하여 냉각시키면서 재(30)가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냉각기(310)와,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고 상기 냉각기(310)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부(200)에 적층 되는 재(30)가 평탄화되도록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평탄화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310)는, 상기 밀폐덮개(130)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재(30)에 분사될 냉각수(311)가 저장되는 공간인 냉각저장조(312)와, 상기 냉각저장조(312)에 연결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의 내부로 관통 배치되어 상기 냉각저장조(312)로부터 공급받는 냉각수(311)를 재(30)에 분사하는 냉각노즐(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기(320)는, 상기 냉각기(310)와 나란하게 상기 밀폐덮개(130)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부(200)에 낙하된 재(30)에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공급기(322)와, 상기 공기공급기(322)와 연결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의 내부로 관통 배치되어 상기 공기공급기(322)로부터 공급받는 압축공기를 상기 저장부(200)에 낙하 낙하되어 적층된 재(30)에 분사하여 재(30)가 평탄하게 적층되도록 하는 공기노즐(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부(100)는, 상기 주름관(120)이 압축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가 상기 저장부(200)에서 분리되도록 하고, 팽창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가 상기 저장부(200)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동부(100)는, 상기 주름관(120) 하부의 상기 연결관(110)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배치되어 상기 연결관(110) 내부로 유동 되는 재(30)의 유동 및 유동 속도를 제어하는 로터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유동부(100)를 통과한 재(30)가 낙하 되어 저장되는 저장몸체(210)와, 상기 저장몸체(210) 내부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판(220)과, 상기 바닥판(220)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220)에 낙하 되어 적층 되는 재(30)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230)과, 상기 로드셀(230)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받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부(10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240)와, 상기 유동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저장몸체(210)를 감싸면서 지지배치 될 수 있도록 고정형성되는 지지몸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저장몸체(210) 외부의 하부에 저장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외부에서 지게차의 포크(70)로 상기 저장몸체(210)를 들어내어 상기 저장몸체(210)가 지지몸체(250)로부터 이탈 및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포크홀(260)과, 상기 지지몸체(250)의 내부 하면에 지지몸체(25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저장몸체(210)의 하부와 연결되는 슬라이딩돌기(252)와, 상기 저장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돌기(252)와 연결된 채로 상기 저장몸체(21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홈(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몸체(210)는, 상기 저장몸체(210)가 지지몸체(250)로부터 이탈되어 이동 시 저장몸체(210) 내부에 적층 된 재(30)가 비산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저장몸체(210)의 상부를 폐쇄하는 밀폐막(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는, 연소로에서 재박스로 재가 유동 되거나 미세분진이 공기 중에 날리는 것을 차단하여 연소로 주변 부품 기기들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원활하게 연소로의 재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는, 연소로에서 재박스로 재가 유동 되는 과정에서 다량의 재와 미세분진이 연소로 주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미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심혈관 및 폐질환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는, 연소로에서 재박스로 재가 유입되면서 재가 간편하게 평탄화될 수 있도록 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정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름관 아래 위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물뿌림 유도판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평탄화 공압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밀폐막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연소로에서 발생 되는 재가 모여지는 재박스에 재가 모이는 과정에서 미세분진이 발생되어 주변 기기부품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원활하게 모여진 재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특히, 유동부, 유체분사부]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정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는, 고형연료가 연소 되는 공간인 연소로(10) 내에서,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 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와 연결된 보일러(50)에서 외부로 유동 되도록 보일러(50)와 연결되는 유동부(100); 상기 유동부(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동부(100)를 통하여 낙하 되는 재(30)가 모여 저장되는 저장부(200); 및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어 저장부(200)로 낙하 되면서 저장되는 재(30)가 저장부(200) 내에서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냉각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유체분사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부(100)는, 상기 연소로(10)와 보일러(50)에서 발생 되는 재(30)가 상기 저장부(200)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를 위해, 상기 보일러(50)와 저장부(200)를 상호 연결하며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유동부(100)는, 상기 보일러(50)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관(110)과, 상기 연결관(11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름관(120)과, 상기 연결관(1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저장부(200)의 상부를 밀폐하면서 덮는 밀폐덮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110)은 상기 보일러(50)와 밀폐덮개(130)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보일러(50)를 통하여 유입되는 재(30)가 밀폐덮개(130)를 통하여 상기 저장부(200)로 유동 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110)은 다수 개가 배치되어 각각 다른 위치에서 상기 보일러(50)와 밀폐덮개(130)를 상호 연결하면서 다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연결관(110)에는 상기 주름관(120)이 배치된다.
상기 주름관(120)은 압축 또는 팽창될 수 있고, 압축 또는 팽창을 통하여 상기 연결관(1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주름관(120)에 대한 내용 및 실시 예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유동부(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동부(100)를 통하여 낙하 되는 재(30)가 모여 저장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저장부(200)에 재(30)가 설정된 만큼 쌓이게 되면 재(30)가 간편하게 외부로 이송되어 버려질 수 있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유동부(100)를 통과한 재(30)가 낙하 되어 저장되는 저장몸체(210)와, 상기 저장몸체(210) 내부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판(220)과, 상기 바닥판(220)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220)에 낙하 되어 적층 되는 재(30)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23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로드셀(230)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받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부(10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240)와, 상기 유동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저장몸체(210)를 감싸면서 지지배치 될 수 있도록 고정형성되는 지지몸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몸체(210)는 상부가 개구된 채로 상기 지지몸체(250)에 의해 지지 되면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250)는 수평방향으로 벽면이 개방되어, 상기 저장몸체(210)가 그 벽면의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지지몸체(25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거나 인입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몸체(210)가 지지몸체(250)의 내부로 인입될 경우, 저장몸체(210)는 지지몸체(250)에 지지된 상태로 배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저장몸체(210)는, 상기 지지몸체(25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지지몸체(250)에 지지될 경우, 상기 밀폐덮개(130)에 의해 개구된 상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저장몸체(210)가 상기 밀폐덮개(130)에 의해 개구된 상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보일러(50)로부터 연결관(110)을 통하여 유입되는 재(30)는 저장몸체(210)의 내부에 적층 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몸체(210) 내부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판(2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로드셀(230)은, 상기 바닥판(220)에 낙하 되어 적층 되는 재(30)의 무게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로드셀(230)을 통하여 바닥판(220)에 낙하 되어 적층 된 재(30)의 양은 상기 로드셀(230)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받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부(100)의 밀폐덮개(13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240)를 통하여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로드셀(230)은 상기 바닥판(220)에 낙하 되어 적층 되는 재(30)의 양을 측정하여 상기 저장몸체(210) 내부에 적층 된 재(30)가 어느 정도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240)를 통하여 외부에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일 실시 예로, 상기 로드셀(230)은 상기 저장몸체(210)에 적층 되는 재(30)의 양에 대한 데이터정보를 확인한 후 로드셀(230)과 연결되는 송수신기(미도시)를 통하여 적층 된 재(30)의 데이터정보를 밀폐덮개(13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240)로 전송하게 되고, 외부에서 디스플레이(240)를 통하여 저장몸체(210) 내부의 재(30)의 양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로드셀(230)을 통하여 저장몸체(210) 내부에 적층 된 재(30)의 양을 디스플레이(240)를 통하여 외부에서 확인하지만, 저장몸체(210) 내부에 적층 된 재(30)의 양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밀폐덮개(130)는, 상기 연결관(110)에서 상기 저장부(200)로 낙하 되는 재(30)가 상기 저장부(200) 내에서 비산 시 저장부(200)의 하부로 유동 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경사면(132)과, 상기 밀폐덮개(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200)의 상부 테두리 부위를 감싸면서 밀폐하는 단턱(13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밀폐덮개(130)는, 상기 저장부(200) 저장몸체(210)의 상부 테두리 부위를 가압하면서 저장몸체(210)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밀폐덮개(130)의 단턱(134)이 저장몸체(210)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한 후 상기 보일러(50)의 재(30)가 상기 연결관(110)을 통하여 저장몸체(2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일러(50)의 재(30)가 상기 연결관(110)을 통하여 저장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저장몸체(210) 내부에서 비산 되는 재(30)는 경사각을 가지고 형성되는 상기 밀폐덮개(130)의 경사면(132)에 부딪히면서 저장몸체(210)의 바닥판(220)으로 낙하 되도록 유도되게 된다.
특히, 상기 유동부(100)는, 상기 주름관(120) 하부의 상기 연결관(110)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배치되어 상기 연결관(110) 내부로 유동 되는 재(30)의 유동 및 유동 속도를 제어하는 로터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로터리(140)는 상기 연결관(110)에 구비되되, 상기 주름관(120) 하부에 연장되는 연결관(110)에 구비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보일러(50)에서 저장몸체(210)로 유동 되는 재(30)의 양과 유동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보일러(50)에서 저장몸체(210)로 유동 되는 재(30)의 양이 설정된 양보다 많을 경우, 상기 로터리(140)의 회전이 멈추면서 상기 연결관(110)을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50)에서 저장몸체(210)로 유동 되는 재(30)의 유동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로터리(140)의 회전이 설정된 회전속도보다 빨리 회전되거나 늦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로터리(140)는, 상기 보일러(50)에서 저장몸체(210)로 유동 되는 재(30)가 정량으로 상기 저장몸체(210)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저장몸체(210)에 재(30)가 원활하게 즉층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로터리(14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연소로(10) 및 보일러(50)의 가동 정지시 또는 저장몸체(210)가 밀폐덮개(130)와 분리될 경우, 상기 유동부(100)의 재(30)가 저장부(200)로 유동 되는 것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는 전단슬라이드(미도시) 및 나이트게이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단슬라이드(미도시) 및 나이트게이트(미도시)는 상기 로터리(14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동부(100)를 일시적으로 폐쇄하여 유동부(100)의 재(30)가 일시적으로 저장부(200)로 유입되는 것을 폐쇄할 수 있고, 보수가 완료된 후 연소로(10) 및 보일러(50)가 다시 가동될 경우, 상기 전단슬라이드(미도시) 및 나이트게이트(미도시)에 의해 유동부(100)는 간편하게 개방되어 유동부(100)의 재(30)가 다시 저장부(200)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밀폐덮개(130)가 저장몸체(210)와 분리되면서, 상기 전단슬라이드(미도시) 및 나이트게이트(미도시)를 통하여 유동부(100)를 일시적으로 폐쇄하여 외부 공기가 유동부(1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유동부(100) 내에 결로가 발생 되거나 이로인한 부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유동부(100)의 상기 연결관(110)과 주름관(120)의 사이는 상호 플랜지(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관(120)과 상기 로터리(140)의 사이 역시 상호 플랜지(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로터리(140)와 상기 밀폐덮개(130)의 사이 또한 상호 플랜지(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연결관(110)과 주름관(120), 로터리(140) 및 밀폐덮개(130)의 교체 및 보수 시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유체분사부(300)는, 상기 보일러(50)에서 저장몸체(210)로 유동 되는 재(30)가 냉각되도록 하고, 상기 저장몸체(210)의 바닥판(220)에 적층 되는 재(30)가 한 부분에 편향되게 적층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재(30)가 저장몸체(210)의 하부에 평탄화 되게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유체분사부(300)는,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어 상기 재(30)에 유체를 분사하여 냉각시키면서 재(30)가 비산 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냉각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분사부(300)는,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고 상기 냉각기(310)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부(200)에 적층 되는 재(30)가 평탄화되도록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평탄화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기(310)는, 상기 보일러(50)에서 저장몸체(210)로 낙하 되는 재(30)가 냉각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평탄화기(320)는, 상기 저장몸체(210)로 낙하 되어 적층 되는 재(30)가 한 부분에 편향되게 적층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30)가 평탄하게 상기 저장몸체(210)의 바닥판(220)에 적층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냉각기(310)와 평탄화기(32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는, 고형연료가 연소 되는 공간인 연소로(10) 내에서,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 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와 연결된 보일러(50)에서 외부로 유동 되도록 보일러(50)와 연결되는 유동부(100); 상기 유동부(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동부(100)를 통하여 낙하 되는 재(30)가 모여 저장되는 저장부(200); 및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어 저장부(200)로 낙하 되면서 저장되는 재(30)가 저장부(200) 내에서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냉각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유체분사부(3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부(100)는, 상기 보일러(50)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관(110)과, 상기 연결관(11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름관(120)과, 상기 연결관(1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저장부(200)의 상부를 밀폐하면서 덮는 밀폐덮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덮개(130)는, 상기 연결관(110)에서 상기 저장부(200)로 낙하 되는 재(30)가 상기 저장부(200) 내에서 비산 시 저장부(200)의 하부로 유동 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경사면(132)과, 상기 밀폐덮개(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200)의 상부 테두리 부위를 감싸면서 밀폐하는 단턱(13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유동부(100)를 통과한 재(30)가 낙하 되어 저장되는 저장몸체(210)와, 상기 유동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저장몸체(210)를 감싸면서 지지배치 될 수 있도록 고정형성되는 지지몸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10)은 다수 개가 배치되어 각각 다른 위치에서 상기 보일러(50)와 밀폐덮개(130)를 상호 연결하면서 다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연결관(110)에는 상기 주름관(120)이 배치된다.
상기 주름관(120)은 압축 또는 팽창될 수 있고, 압축 또는 팽창을 통하여 상기 연결관(1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주름관(120)의 외측 하부에 연결형성되는 렉기어(미도시와, 그 렉기어에 연결된 채로 회전되는 피니언(미도시)과, 상기 피니언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통하여 상기 주름관(120)이 압축 또는 팽창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상기 주름관(120)이 압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면 웜기어 또는 풀리와 밸트 등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주름관(120)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압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유동부(100)는, 상기 주름관(120)이 압축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가 상기 저장부(200)에서 분리되도록 하고, 팽창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가 상기 저장부(200)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저장몸체(210)가 지지몸체(250)에 진입된 채로 지지 되게 되면, 상기 주름관(120)은 팽창되면서 상기 연결관(110)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주름관(120)이 팽창되면서 상기 연결관(110)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상기 밀폐덮개(130)의 단턱(134)이 상기 저장몸체(210)의 상부 테두리 부위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하면서 상기 저장몸체(210)의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밀폐덮개(130)가 상기 저장몸체(210)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110)을 통하여 재(30)가 저장몸체(2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재(30)가 저장몸체(210) 내부로 유입되면서 재(30)가 비산 되게 되는데, 상기 저장몸체(210) 내부에서 상 방향으로 비산 되는 재(30)는 경사각을 갖으며 형성되는 상기 경사면(132)에 충돌한 후 저장몸체(210)의 하부로 적층 되게 된다.
즉, 상기 경사면(132)은 경사각을 형성하기 때문에 비산 되는 재(30)가 경사면(132)에 충돌한 후 저장몸체(210)의 하부로 낙하 되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저장몸체(210) 내부에 재(30)가 사용자의 설정된 양만큼 적층되게 되면, 상기 주름관(120)은 압축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가 저장몸체(210)에서 이격 되게 된다.
즉, 상기 주름관(120)이 압축되면 상기 연결관(110)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면서 상기 밀폐덮개(130)도 같이 승강 되면서 상기 단턱(134)이 저장몸체(210)의 상부 테두리 부위에서 이탈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단턱(134)이 저장몸체(210)의 상부 테두리 부위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가 상기 저장몸체(210)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저장몸체(210)는 상기 지지몸체(25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저장몸체(210)의 재(30)를 지지몸체(250)의 외부로 인출하여 외부에서 재(30)를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는, 고형연료가 연소 되는 공간인 연소로(10) 내에서,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 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와 연결된 보일러(50)에서 외부로 유동 되도록 보일러(50)와 연결되는 유동부(100); 상기 유동부(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동부(100)를 통하여 낙하 되는 재(30)가 모여 저장되는 저장부(200); 및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어 저장부(200)로 낙하 되면서 저장되는 재(30)가 저장부(200) 내에서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냉각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유체분사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분사부(300)는,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어 상기 재(30)에 유체를 분사하여 냉각시키면서 재(30)가 비산 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냉각기(310)와,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고 상기 냉각기(310)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부(200)에 적층 되는 재(30)가 평탄화되도록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평탄화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기(310)는, 상기 연결관(110)에서 저장몸체(210)로 유입되는 재(30)가 저장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순간 냉각수(311)를 분사하여 재(30)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냉각기(310)는, 재(30)가 저장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순간 냉각수(311)를 분사하여 재(30)가 수분을 함유하여 질량을 높여 재(30)가 원활하게 저장몸체(210) 내부에 적층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기(310)는, 상기 밀폐덮개(130)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재(30)에 분사될 냉각수(311)가 저장되는 공간인 냉각저장조(312)와, 상기 냉각저장조(312)에 연결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의 내부로 관통 배치되어 상기 냉각저장조(312)로부터 공급받는 냉각수(311)를 재(30)에 분사하는 냉각노즐(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310)의 냉각저장조(312)는, 상기 냉각수(311)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의 외면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냉각노즐(314)은, 상기 냉각저장조(312)에 연결된 채로 상기 밀폐덮개(130)를 관통하여 밀폐덮개(1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수(311)를 저장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재(30)에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평탄화기(320)는, 상기 냉각기(310)와 나란하게 상기 밀폐덮개(130)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부(200)에 낙하된 재(30)에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공급기(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기(320)는, 상기 공기공급기(322)와 연결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의 내부로 관통 배치되어 상기 공기공급기(322)로부터 공급받는 압축공기를 상기 저장부(200)에 낙하 되어 적층된 재(30)에 분사하여 재(30)가 평탄하게 적층되도록 하는 공기노즐(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기(320)는, 상기 연결관(110)에서 저장몸체(210)로 유입되는 재(30)가 저장몸체(210)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냉각기(310)에 의해 냉각되면서 상기 저장몸체(210)의 하부에 편향되게 적층 될 경우, 상기 공기노즐(324)을 통하여 편향되게 적층 된 재(30)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재(30)가 평탄하게 적층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공급기(322)는, 압축공기를 생성하고 상기 공기노즐(324)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의 외면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공기노즐(324)은, 상기 공기공급기(322)에 연결된 채로 상기 밀폐덮개(130)를 관통하여 밀폐덮개(1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압축공기를 저장몸체(210) 내부에 편향되게 적층 된 재(30)에 분사하여 재(30)가 저장몸체(210)의 내부에서 평탄하게 적층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냉각기(310)와 평탄화기(320)를 통하여, 상기 연결관(110)을 통하여 저장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재(30)가 냉각되면서 평탄하게 적층 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9 및 도 10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는, 고형연료가 연소 되는 공간인 연소로(10) 내에서,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 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와 연결된 보일러(50)에서 외부로 유동 되도록 보일러(50)와 연결되는 유동부(100); 상기 유동부(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동부(100)를 통하여 낙하 되는 재(30)가 모여 저장되는 저장부(200); 및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어 저장부(200)로 낙하 되면서 저장되는 재(30)가 저장부(200) 내에서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냉각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유체분사부(30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저장몸체(210)는, 상기 저장몸체(210)가 지지몸체(250)로부터 이탈되어 이동 시 저장몸체(210) 내부에 적층 된 재(30)가 비산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저장몸체(210)의 상부를 폐쇄하는 밀폐막(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몸체(210) 내부에 재(30)가 사용자의 설정된 양만큼 적층 되면 사용자는 외부에서 디스플레이(240)를 통하여 저장몸체(210) 내의 재(30)의 적층된 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저장몸체(210) 내부에 재(30)가 사용자의 설정된 양만큼 적층 되면 상기 저장몸체(210)의 상부를 밀폐하던 밀폐덮개(130)가 승강 되면서 밀폐덮개(130)가 저장몸체(210)와 이격 되게 된다.
상기 밀폐덮개(130)가 저장몸체(210)와 이격 되면 상기 저장몸체(210)는 지지몸체(250) 내부에서 외부로 반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몸체(210) 내부의 재(30)가 외부로 비산 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밀폐막(270)으로 상기 저장몸체(2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밀폐막(270)은 미 사용시 상기 저장몸체(210)의 외측 상부에 접힌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가, 상기 저장몸체(210)가 지지몸체(250)로부터 이탈될 경우 펼쳐지면서 상기 저장몸체(2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밀폐막(270)은, 상기 저장몸체(210)의 상부를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다면 합성수지나 비닐 등 내열성을 갖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1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는, 고형연료가 연소 되는 공간인 연소로(10) 내에서,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 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와 연결된 보일러(50)에서 외부로 유동 되도록 보일러(50)와 연결되는 유동부(100); 상기 유동부(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동부(100)를 통하여 낙하 되는 재(30)가 모여 저장되는 저장부(200); 및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어 저장부(200)로 낙하 되면서 저장되는 재(30)가 저장부(200) 내에서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냉각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유체분사부(30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저장몸체(210) 내부에 재(30)가 사용자의 설정된 양만큼 적층 되면 사용자는 외부에서 디스플레이(240)를 통하여 저장몸체(210) 내의 재(30)의 적층된 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저장몸체(210) 내부에 재(30)가 사용자의 설정된 양만큼 적층 되면 상기 저장몸체(210)의 상부를 밀폐하던 밀폐덮개(130)가 승강 되면서 밀폐덮개(130)가 저장몸체(210)와 이격 되게 된다.
상기 밀폐덮개(130)가 저장몸체(210)와 이격 되면 상기 저장몸체(210)는 지지몸체(250) 내부에서 외부로 반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몸체(210)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지지몸체(250) 내부에서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저장몸체(210) 외부의 하부에 저장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외부에서 지게차의 포크(70)로 상기 저장몸체(210)를 들어내어 상기 저장몸체(210)가 지지몸체(250)로부터 이탈 및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포크홀(2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지게차의 포크(70)를 저장몸체(210)의 포크홀(260)에 진입시킨 후 끌어올리거나 저장몸체(210)를 끌어오게 되면 상기 저장몸체(210)는 지지몸체(250)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지지몸체(250)의 외부로 반출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저장몸체(210) 내부의 재(30)를 외부에서 처리한 후 저장몸체(210)를 다시 상기 지지몸체(250)의 내부로 인입시킬 경우, 마찬가지로 지게차의 포크(70)를 저장몸체(210)의 포크홀(260)에 진입시킨 후 지지몸체(250)에 저장몸체(210)를 밀어넣어 저장몸체(210)가 지지몸체(250) 내부에 안착 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몸체(210)는 지지몸체(250)의 내부 바닥면에서 밀리면서 슬라이딩 될 수 있는데 상기 저장몸체(210)가 지지몸체(250) 내부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지지몸체(250)의 내부 하면에 지지몸체(25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저장몸체(210)의 하부와 연결되는 슬라이딩돌기(252)와, 상기 저장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돌기(252)와 연결된 채로 상기 저장몸체(21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홈(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저장몸체(210) 하부의 슬라이딩홈(212)이 지지몸체(250) 내부의 슬라이딩돌기(252)에 연결된 채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저장몸체(210)는 지지몸체(250)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거나 내부에서 외부로 반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연소로 30 : 재
50 : 보일러 70 : 포크
100 : 유동부 110 : 연결관
120 : 주름관 130 : 밀폐덮개
132 : 경사면 134 : 단턱
140 : 로터리
200 : 저장부 210 : 지지몸체
212 : 슬라이딩홈 220 : 바닥판
230 : 로드셀 240 : 디스플레이
250 : 지지몸체 252 : 슬라이딩돌기
260 : 포크홀 270 : 밀폐막
300 : 유체분사부 310 : 냉각기
311 : 냉각수 312 : 냉각저장조
314 : 냉각노즐 320 : 평탄화기
322 : 공기공급기 324 : 공기노즐

Claims (11)

  1. 고형연료가 연소 되는 공간인 연소로(10) 내에서,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 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와 연결된 보일러(50)에서 외부로 유동 되도록 보일러(50)와 연결되는 유동부(100);
    상기 유동부(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동부(100)를 통하여 낙하 되는 재(30)가 모여 저장되는 저장부(200); 및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어 저장부(200)로 낙하 되면서 저장되는 재(30)가 저장부(200) 내에서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냉각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유체분사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유동부(100)를 통과한 재(30)가 낙하 되어 저장되는 저장몸체(210)와,
    상기 저장몸체(210) 내부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판(220)과,
    상기 바닥판(220)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220)에 낙하 되어 적층 되는 재(30)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230)과,
    상기 로드셀(230)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받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부(10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240)와,
    상기 유동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저장몸체(210)를 감싸면서 지지배치 될 수 있도록 고정형성되는 지지몸체(250)를 포함하는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100)는,
    상기 보일러(50)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관(110)과,
    상기 연결관(11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름관(120)과,
    상기 연결관(1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저장부(200)의 상부를 밀폐하면서 덮는 밀폐덮개(130)를 포함하는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덮개(130)는,
    상기 연결관(110)에서 상기 저장부(200)로 낙하 되는 재(30)가 상기 저장부(200) 내에서 비산 시 저장부(200)의 하부로 유동 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경사면(132)과,
    상기 밀폐덮개(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200)의 상부 테두리 부위를 감싸면서 밀폐하는 단턱(134)을 포함하는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부(300)는,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어 상기 재(30)에 유체를 분사하여 냉각시키면서 재(30)가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냉각기(310)와,
    상기 유동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형성되고 상기 냉각기(310)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부(200)에 적층 되는 재(30)가 평탄화되도록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평탄화기(320)를 포함하는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310)는,
    상기 밀폐덮개(130)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재(30)에 분사될 냉각수(311)가 저장되는 공간인 냉각저장조(312)와,
    상기 냉각저장조(312)에 연결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의 내부로 관통 배치되어 상기 냉각저장조(312)로부터 공급받는 냉각수(311)를 재(30)에 분사하는 냉각노즐(314)을 포함하는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기(320)는,
    상기 냉각기(310)와 나란하게 상기 밀폐덮개(130)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부(200)에 낙하된 재(30)에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공급기(322)와,
    상기 공기공급기(322)와 연결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의 내부로 관통 배치되어 상기 공기공급기(322)로부터 공급받는 압축공기를 상기 저장부(200)에 낙하 낙하되어 적층된 재(30)에 분사하여 재(30)가 평탄하게 적층 되도록 하는 공기노즐(324)을 포함하는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100)는,
    상기 주름관(120)이 압축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가 상기 저장부(200)에서 분리되도록 하고, 팽창되면서 상기 밀폐덮개(130)가 상기 저장부(200)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100)는,
    상기 주름관(120) 하부의 상기 연결관(110)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배치되어 상기 연결관(110) 내부로 유동 되는 재(30)의 유동 및 유동 속도를 제어하는 로터리(140)를 더 포함하는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저장몸체(210) 외부의 하부에 저장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외부에서 지게차의 포크(70)로 상기 저장몸체(210)를 들어내어 상기 저장몸체(210)가 지지몸체(250)로부터 이탈 및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포크홀(260)과,
    상기 지지몸체(250)의 내부 하면에 지지몸체(25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저장몸체(210)의 하부와 연결되는 슬라이딩돌기(252)와,
    상기 저장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돌기(252)와 연결된 채로 상기 저장몸체(21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홈(212)를 더 포함하는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몸체(210)는,
    상기 저장몸체(210)가 지지몸체(250)로부터 이탈되어 이동 시 저장몸체(210) 내부에 적층 된 재(30)가 비산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저장몸체(210)의 상부를 폐쇄하는 밀폐막(270)을 더 포함하는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KR1020170156490A 2017-11-22 2017-11-22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KR101991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90A KR101991865B1 (ko) 2017-11-22 2017-11-22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90A KR101991865B1 (ko) 2017-11-22 2017-11-22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98A KR20190058998A (ko) 2019-05-30
KR101991865B1 true KR101991865B1 (ko) 2019-06-21

Family

ID=6667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490A KR101991865B1 (ko) 2017-11-22 2017-11-22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8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1517A (ja) * 1998-10-19 2000-04-28 Kubota Corp 汚泥試料成形方法
JP2002370045A (ja) * 2001-06-13 2002-12-24 Matsumoto:Kk 樹木破砕装置
US20120226089A1 (en) * 2011-03-03 2012-09-06 Covanta Energy Corporation Dry ash coll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647B1 (ko) 2010-12-16 2013-02-06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열원 및 공조 통합 운전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현 방법
KR101327535B1 (ko) * 2013-02-20 2013-11-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소각재 장입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장입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1517A (ja) * 1998-10-19 2000-04-28 Kubota Corp 汚泥試料成形方法
JP2002370045A (ja) * 2001-06-13 2002-12-24 Matsumoto:Kk 樹木破砕装置
US20120226089A1 (en) * 2011-03-03 2012-09-06 Covanta Energy Corporation Dry ash col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98A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5726B2 (ja) 嵩張りごみおよび炭化水素含有液体用のごみ焼却装置
US20180202656A1 (en) High-temperatur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JP4348544B2 (ja) 焼却炉用外気遮断投入装置
CN103453529A (zh) 焚烧炉
KR100896017B1 (ko) 가연성 폐물질을 연료로 활용하는 열회수 소각 연소로
CN201152531Y (zh) 一种实现多物态的工业危险废物焚烧处理设备
KR101991865B1 (ko) 재의 비산방지 개폐기가 구비되는 재박스장치
US7383779B2 (en) Recycling system and method
KR101415450B1 (ko) 고형 폐기물의 연소설비
KR101995668B1 (ko) 열분해 가스화로
KR102482866B1 (ko) 다중연소실이 구비된 폐기플라스틱용 소각장치
KR100688324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와 배기가스 처리장치
CN205782951U (zh) 一种环保型垃圾焚烧装置
CN204987029U (zh) 一种便于上料的化工焚烧装置
JP6063539B1 (ja) ごみ焼却炉及びその冷却方法
CN108758639B (zh) 一种垃圾热解气化及二燃室一体式装置
JP3955564B2 (ja) 小型ガス化焼却炉
CN203464287U (zh) 焚烧炉
CN218442249U (zh) 一种往复炉排风室漏料清理装置
JP2005315539A (ja) 焼却炉
JP2008076018A (ja) 焼却炉
KR102142105B1 (ko) 열분해 가스화로
KR101519880B1 (ko) 수상패킹을 갖는 턴테이블이 구비되는 연소로장치
KR101435637B1 (ko) 음식쓰레기분말용 연소장치
JP3017162U (ja) 焼却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