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539B1 - 실링 - Google Patents

실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539B1
KR101990539B1 KR1020177035999A KR20177035999A KR101990539B1 KR 101990539 B1 KR101990539 B1 KR 101990539B1 KR 1020177035999 A KR1020177035999 A KR 1020177035999A KR 20177035999 A KR20177035999 A KR 20177035999A KR 101990539 B1 KR101990539 B1 KR 101990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oil
pockets
slop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8633A (ko
Inventor
박남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리켄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리켄
Publication of KR20180008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 F16J15/18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with lubricating, cooling or dr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2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rigid sealing rings
    • F16J15/2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rigid sealing rings with sealing rings made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16J15/3272Mounting of sealing rings the rings having a break or opening, e.g. to enable mounting on a shaft otherwise than from a shaft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 F16J15/340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at least one ring having an uneven slipp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 F16J15/340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at least one ring having an uneven slipping surface
    • F16J15/341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at least one ring having an uneven slipping surface with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프릭션 로스의 저감과 오일 누설의 억제가 양립 가능한 실링을 제공한다. 실링은 내측 둘레면과, 상기 내측 둘레면에 대향하는 외측 둘레면과, 상기 내측 둘레면 및 상기 외측 둘레면에 직교하는 측면과, 상기 측면에 서로 이간해서 설치된 복수의 포켓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포켓은 각각, 둘레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측 둘레면측이 개방되고, 상기 외측 둘레면측이 폐색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포켓은 각각, 상기 둘레방향의 엣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에 접속하는 볼록형상의 R면인 둘레 엣지부와, 상기 둘레방향의 중앙영역에 설치된 바닥부와, 상기 둘레 엣지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 연장하는 사면부를 갖는다. 상기 사면부는 적어도 1개의 모서리부와, 상기 바닥부와 상기 모서리부 사이에 연장하고, 상기 측면에 대해서 제1 각도를 이루는 제1 사면부와, 상기 둘레 엣지부와 상기 모서리부 사이에 연장하고, 상기 측면에 대해서 상기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를 이루는 제2 사면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실링
발명은 유압기기 등에 이용 가능한 실링(Seal Ring)에 관한 것이다.
유압식의 자동변속기 등의 각종 유압기기가 탑재된 자동차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동차에서는 연비향상을 위해서 유압기기의 구동 손실의 저감이 소망되고 있다.
유압식의 자동변속기에는 실링이 사용된다. 실링은 하우징에 삽입되는 샤프트의 홈부에 삽입되고, 하우징과 샤프트 사이를 밀봉한다. 이러한 실링에서는 자동변속기의 구동 시에, 샤프트와의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샤프트와의 사이에 마찰손실(프릭션 로스)이 발생한다.
이러한 프릭션 로스는 유압기기의 구동 손실로 이어진다. 따라서 프릭션 로스를 저감시키는 기술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5에는 실링과 샤프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프릭션 로스를 저감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들의 문헌에 개시된 실링에는 샤프트의 홈부와의 접촉면인 측면에 포켓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실링에 유압이 가해지면 오일이 포켓에 들어간다. 포켓에 들어간 오일은 실링으로부터 샤프트의 홈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약하게 하는 캔슬압을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 실링과 샤프트 사이의 마찰이 억제되기 때문에, 실링과 샤프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프릭션 로스가 저감된다.
국제공개 제2011/105513호 팸플릿 국제공개 제2004/090390호 팸플릿 국제공개 제2011/162283호 팸플릿 국제공개 제2013/094654호 팸플릿 국제공개 제2013/094657호 팸플릿
상기의 기술에서는, 실링의 포켓에 들어간 오일이 실링과 샤프트 사이에 유입해서 실링과 샤프트 사이에 유막을 형성한다. 이 유막의 형성에 의해, 실링의 윤활성이 향상되어 프릭션 로스가 저감된다. 그 반면에, 이 유막이 너무 두꺼워지면 오일이 실링에서 외측으로 누설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프릭션 로스와 오일 누설는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가 되기 쉽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릭션 로스의 저감과 오일 누설의 억제가 양립 가능하는 실링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1형태에 따른 실링은 내측 둘레면과, 상기 내측 둘레면에 대향하는 외측 둘레면과, 상기 내측 둘레면 및 상기 외측 둘레면에 직교하는 측면과, 상기 측면에 서로 이간해서 설치된 복수의 포켓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포켓은 각각, 둘레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측 둘레면측이 개방되고, 상기 외측 둘레면측이 폐색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포켓은 각각, 상기 둘레방향의 엣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에 접속하는 볼록형상의 R면인 둘레 엣지부와, 상기 둘레방향의 중앙영역에 설치된 바닥부와, 상기 둘레 엣지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 연장하는 사면부를 갖는다.
상기 사면부는 적어도 1개의 모서리부와, 상기 바닥부와 상기 모서리부 사이에 연장하고, 상기 측면에 대해서 제1 각도를 이루는 제1 사면부와, 상기 둘레 엣지부와 상기 모서리부 사이에 연장하고, 상기 측면에 대해서 상기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를 이루는 제2 사면부를 갖는다.
이 실링에서는, 포켓이 설치된 측면이 샤프트의 홈부에 대한 밀봉면으로서 기능한다. 각 포켓은 제1 사면부에 있어서의 측면에 대한 제1 각도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제1 사면부에 있어서 내측 둘레면측으로 넓게 개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오일이 포켓 내로 들어가기 쉬워지기 때문에, 포켓 내로의 오일이 충분한 유입양을 확보할 수 있다.
또, 포켓 내로 들어간 오일은 제1 사면부로부터 제2 사면부로 유입된다. 포켓에는 제2 사면부에 의해 쐐기형상의 오일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사면부에 있어서의 측면에 대한 제2 각도가 제1 각도보다 작기 때문에, 오일이 제1 사면부로부터 제2 사면부로 유입할 때에 오일 유로의 조임이 완만해진다. 이것에 의해, 오일은 실링의 내측 둘레면측으로 달아나지 않고, 제2 사면부의 안쪽까지 진입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제2 사면부에 가해지는 유압이 증대한다.
또, 제2 사면부를 통과한 오일은 둘레 엣지부에 유입한다. 둘레 엣지부는 볼록형상의 R면이기 때문에, 둘레 엣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오일 유로의 조임은 서서히 완만해진다. 이것에 의해, 제2 사면부를 통과한 오일은 실링의 내측 둘레면측으로 달아지니 않고, 둘레 엣지부의 안쪽까지 진입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이 실링에서는 둘레 엣지부를 통과한 오일에 의해 측면에 적절한 유막이 형성된다.
이상의 작용에 의해, 이 실링에서는 샤프트에 대한 프릭션 로스가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또, 이 실링에서는 각 포켓이 둘레방향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방향에 의하지 않고, 프릭션 로스를 저감하는 효과가 수득된다.
또, 이 실링에서는 각 포켓이 외측 둘레면측으로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포켓 내로 들어 간 오일이 외측 둘레면측으로 누설되기 어렵다. 또, 각 포켓이 내측 둘레면측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에, 포켓 내의 유압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들에 의해서, 이 실링에서는 오일 누설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이 실링에서는 프릭션 로스의 저감과 오일 누설의 억제가 양립 가능하다.
상기 사면부는 단일의 상기 모서리부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1 사면부와 상기 제2 사면부가 상기 모서리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사면부를 제1 사면부 및 제2 사면부의 2단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의 효과가 수득된다.
상기 모서리부는 볼록형상의 R면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포켓은 각각, 상기 바닥부와 상기 제1 사면부를 접속하는 오목형상의 R면인 접속부를 추가로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이것들의 구성에서는, 포켓 내의 오일이 더욱 부드럽게 유동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이 실링에서는 프릭션 로스를 저감하는 작용이 촉진된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측면에 평행한 평면일 수도 있다.
이 실링에서는 바닥부에 있어서 포켓 내로 오일이 들어가기 쉽다. 따라서 포켓 내로의 오일이 충분한 유입양이 확보되기 때문에, 더 효과적으로 프릭션 로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포켓이 양쪽의 상기 측면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실링에서는 어느 측면이 밀봉면인 경우라도, 프릭션 로스의 저감과 오일 누설의 억제가 양립가능하다. 이 때문에, 이 실링에서는 샤프트로의 장착 방향을 신경 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한다.
상기 복수의 포켓은 한쪽의 상기 측면과 다른 쪽의 상기 측면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실링의 강도가 향상하고, 실링에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이 실링에서는,밀봉성 등의 각종 성능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프릭션 로스의 저감과 오일 누설의 억제가 양립 가능한 실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1실시형태 에 따른 실링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실링의 부분사시도다.
도 3은 상기 실링의 내측 둘레면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실링의 변형예 내측 둘레면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실링의 회전시에 유압을 받는 부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비교예 1에 따른 실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비교예 2에 따른 실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 3에 따른 실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 4에 따른 실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프릭션 로스 평가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오일 누설 평가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1실시형태를 설명한다.
1. 실링(1)
도 1은 본 발명에 1실시형태에 따른 실링(1)의 평면도이다. 실링(1)은 외측 둘레면(1a), 내측 둘레면(1b), 및 측면(1c)을 가지고,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둘레면(1a) 및 내측 둘레면(1b)은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이고, 측면(1c)은 외측 둘레면(1a) 및 내측 둘레면(1b)에 직교하는 평면이다.
실링(1)은 2개의 측면(1c)에 각각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포켓(10)을 갖는다. 각 포켓(10)은 측면(1c)로부터 우묵하게 들어간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실링(1)에는 필요에 따라서, 샤프트로의 장착을 쉽게 하기 위한 이음부(30)가 설치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이음부(30)를 가지는 경우의 실링(1)의 형상은 이음부(30)를 닫은 상태로서 정의되는 것으로 한다.
이음부(30)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형상을 채용 가능하다. 이음부(30)로서는 예를 들면, 직각(스트레이트) 이음, 경사(앵글) 이음, 단차(스텝) 이음, 더블앵글 이음, 더블커트 이음, 트리플스텝 이음 등을 채용 가능하다. 더블앵글 이음, 더블커트 이음, 트리플 스텝 이음에서는 이음부(30)로부터의 오일 누설이 특히 양호하게 억제된다.
실링(1)은 이음부(30)가 벌어진 상태에서 샤프트의 홈부에 장착된다. 실링(1)이 장착된 샤프트는 실링(1)의 외측 둘레면(1a)이 홈부로부터 약간 돌출한 상태에서 하우징에 삽입된다. 이때, 실링(1)의 외측 둘레면(1a)이 하우징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하는 동시에, 실링(1)의 측면(1c)이 샤프트의 홈부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실링(1)에 의해 샤프트와 하우징 사이가 밀봉된다.
실링(1)은 샤프트 및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포켓(10)이 샤프트의 홈부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링(1)과 샤프트의 홈부 사이에는, 포켓(10)에 의해 공간이 형성된다. 실링(1)에서는 포켓(10) 내로 유입한 오일의 유압이, 측면(1c)로부터 샤프트의 홈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약하게 하는 캔슬압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샤프트의 홈부와의 사이의 마찰이 억제된다.
실링(1)의 직경이나 두께(t0)(도 3 참조)는 장착하는 샤프트나 하우징의 구성에 따라 결정 가능하다. 실링(1)의 외경은 예를 들면, 10mm 이상 200mm 이하로 할 수 있다. 실링(1)의 두께(t0)는 예를 들면, 0.8mm 이상 3.5mm 이하로 할 수 있다.
실링(1)을 형성하는 재료는 특정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이미드(PI),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변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에틸렌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ETF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실링(1)을 형성하는 재료에는 이것들에 카본 분말이나 카본 파이버 등의 첨가제가 충전되어 있을 수도 된다.
실링(1)의 제조방법은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출성형법이나 압축 성형법에서는 포켓(10)이 설치된 실링(1)을 직접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출성형법에 적합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PEEK, PPS, PI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압축성형법에 적합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PTFE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PTFE 등의 수지에 대해서는 사후적으로 포켓(10)을 기계가공하는 것에 의해 실링(1)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2. 포켓(10)의 구성
도 2는 실링(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고, 포켓(10)을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실링(1)의 포켓(10)을 내측 둘레면(1b)측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실링(1)의 내측 둘레면(1b)을 따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치수(d0, d1, d2)는 실링(1)의 내측 둘레면(1b)의 둘레방향에 따른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포켓(10)은 실링(1)의 측면(1c)의 내측 둘레면(1b)측에 설치되어 있다. 포켓(10)은 실링(1)의 외측 둘레면(1a)와의 사이에 격벽부(17)를 구비하고, 외측 둘레면(1a)측이 격벽부(17)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따라서 실링(1)에서는 포켓(10) 내의 오일이 실링(1)의 외측 둘레면(1a)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포켓(10)은 내측 둘레면(1b)와의 사이에 격벽부를 가지고 있지 않고, 실링(1)의 내측 둘레면(1b)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포켓(10) 내의 유압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포켓(10) 내의 오일이 실링(1)의 외측 둘레면(1a) 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포켓(10)의 격벽부(17)는 실링(1)의 측면(1c)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격벽부(17)는 포켓(10) 내의 공간과 외측 둘레면(1a) 측의 공간을 가로 막을 수 있다면, 특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포켓(10)은 측면(1c)에 설치된 기둥부(20)에 의해 실링(1)의 둘레방향에 가로 막혀 있다. 즉, 실링(1)의 내측 둘레면(1b)에는 포켓(10)과 기둥부(20)가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포켓(10)의 치수(d0) 및 기둥부(20)의 치수(d1)는 각각 실링(1)의 직경 등에 따라서 적시 결정가능하다. 포켓(10)의 치수(d0)는 예를 들면, 2.0mm 이상 35mm 이하로 할 수 있다. 기둥부(20)의 치수(d1)는 예를 들면, 0.1mm 이상 5.0mm 이하로 할 수 있다.
포켓(10)의 형상은 중심축(C)을 통과하고,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있는 도 3에 1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평면(D)에 대해서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실링(1)에 2개의 측면(1c)에 있어서의 포켓(10)의 위치 및 형상은 실링(1)의 두께(t0)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있는 도 3에 1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평면(E)에 대해서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포켓(10)은 바닥부(11)와, 제1 사면부(12a, 12b)와, 제2 사면부(13a, 13b)를 구비한다. 또, 포켓(10)은 접속부(14a, 14b)와, 모서리부(15a, 15b)와, 둘레 엣지부(16a, 16b)를 구비한다. 상기의 포켓(10)의 구성은, 모두 평면(D)에 대해서 대칭이다. 제1 사면부(12a)및 제2 사면부(13a)는 일련의 사면부를 구성하고, 제1 사면부(12b) 및 제2 사면부(13b)는 일련의 사면부를 구성하고 있다.
바닥부(11)는 포켓(10)의 둘레방향 중앙영역에 설치되고, 포켓(10)에 있어서 측면(1c)로부터의 깊이가 가장 깊은 부위이다. 바닥부(11)는 실링(1)의 회전방향에 의하지 않고, 오일의 유입구로서 기능한다. 바닥부(11)는 일련의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측면(1c)에 평행한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오일이 포켓(10)에 유입되기 쉬워지고, 포켓(10) 내로의 오일이 충분한 유입양을 확보할 수 있다.
바닥부(11)의 치수(d2) 및 측면(1c)로부터의 깊이(t1)는 적당하게 결정가능하다. 바닥부(11)의 치수(d2)는 예를 들면, 0.01mm 이상 20mm 이하로 할 수 있다. 바닥부(11)의 측면(1c)로부터의 깊이(t1)는 예를 들면, 0.1mm 이상 1.0mm 이하로 할 수 있다. 또, 바닥부(11)의 측면(1c)로부터의 깊이(t1)는 예를 들면, 실링(1)의 두께(t0)의 50% 이상 98% 이하로 할 수 있다.
제1 사면부(12a, 12b)는 바닥부(11)의 둘레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2,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사면부(12a)가 바닥부(11)의 우측에 배치되고, 제1 사면부(12b)가 바닥부(11)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사면부(12a, 12b)는 각각 바닥부(1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측면(1c)로부터의 깊이가 얕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2 사면부(13a, 13b)는 제1 사면부(12a, 12b)의 바닥부(11)와는 반대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2,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사면부(13a)가 제1 사면부(12a)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사면부(13b)가 제1 사면부(12b)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사면부(13a, 13b)는 각각 제1 사면부(12a, 12b)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측면(1c)로부터의 깊이가 얕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1 사면부(12a, 12b)및 제2 사면부(13a, 13b)는 설계나 가공의 용이함 등의 관점으로부터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1 사면부(12a, 12b)및 제2 사면부(13a, 13b)는 곡면일 수 도 있고, 예를 들면, 볼록형상이나 오목형상의 곡면일 수도 있다.
제1 사면부(12a, 12b)는 각각, 측면(1c)에 대해서 각도(α)를 이루고 있다. 또, 제2 사면부(13a, 13b)는 각각, 측면(1c)에 대해서 각도(β)를 이루고 있다. 제2 사면부(13a, 13b)의 경사각도(β)는 제1 사면부(12a, 12b)의 경사각도(α)보다도 작다.
접속부(14a, 14b)는 바닥부(11)와 제1 사면부(12a, 12b)를 접속하고 있다. 접속부(14a, 14b)는 오목형상의 R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부(14a, 14b)의 곡률반경은 예를 들면, 오일이 바닥부(11)로부터 제1 사면부(12a, 12b)에 부드럽게 유동 가능하도게 되도록 결정된다.
접속부(14a, 14b)는 단일 곡률반경을 형성되고 있을 수도 있고, 연속해서 곡률반경이 변화되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접속부(14a, 14b)의 곡률반경이 가장 작은 부분의 곡률반경(선단 곡률반경)은 0mm 보다 크면 좋다. 또, 접속부(14a, 14b)의 선단 곡률반경은 0.5mm 이상 1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mm 이상 80m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mm 이상 6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접속부(14a, 14b)의 구성은 R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C면일 수도, 바닥부(11)와 제1 사면부(12a, 12b)가 교차하는 곡선(谷線)일 수도 있다.
모서리부(15a, 15b)는 제1 사면부(12a, 12b)와 제2 사면부(13a, 13b)를 접속하고 있다. 모서리부(15a, 15b)는 바닥부(11)에 있어서의 측면(1c)에 대한 깊이(t1)보다도 얕은 위치에 있다. 제2 사면부(13a, 13b)의 경사각도(β)가 제1 사면부(12a, 12b)의 경사각도(α)보다도 작기 때문에 모서리부(15a, 15b)는 볼록형상이 된다.
모서리부(15a, 15b)는 볼록형상의 R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부(15a, 15b)의 곡률반경은 예를 들면, 오일이 제1 사면부(12a, 12b)로부터 제2 사면부(13a, 13b)로 부드럽게 유동 가능하게 되도록 결정된다.
모서리부(15a, 15b)는, 단일 곡률반경에서 형성되고 있어도, 연속해서 곡률반경이 변화되게 형성 되어 있어도 된다. 모서리부(15a, 15b)의 가장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의 곡률반경(선단 곡률반경)은, 0.5mm 이상 1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mm 이상 80m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mm 이상 6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모서리부(15a, 15b)의 구성은 R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C면일 수도, 제1 사면부(12a, 12b)와 제2 사면부(13a, 13b)가 교차하는 능선일 수도 있다.
둘레 엣지부(16a, 16b)는 포켓(10)의 둘레방향 양쪽 단부에 배치되고, 제2 사면부(13a, 13b)와 기둥부(20)의 측면(1c)을 접속하고 있다. 둘레 엣지부(16a, 16b)는 볼록형상의 R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레 엣지부(16a, 16b)의 상세하 대해서는 후술한다.
실링(1)에서는, 양측면(1c)의 모든 포켓(10)이 평면(E)에 대해서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실링(1)의 강도가 향상하고, 실링(1)에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실링(1)에서는 밀봉성 등의 각종 성능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그렇지만, 필요에 따라, 실링(1)은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양측면(1c)의 포켓(10)이 서로 둘레방향으로 비키어 놓아서 배치할 수도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실링(1)으로도, 도 3에 나타내는 실링(1)과 동일한 포켓(10)의 작용이 수득된다. 양측면(1c)에 있어서의 포켓(10)의 둘레방향 편차량은 임의로 결정가 능하다.
또, 실링(1)에서는 양측면(1c)에 포켓(1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실링(1)에서는 어떤 측면(1c)이 밀봉면일 경우에도, 포켓(10)의 작용이 수득되게 된다. 따라서 양측면(1c)에 포켓(10)이 설치된 실링(1)에서는 샤프트로의 장착 방향을 걱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 작업성이 향상한다.
그렇지만, 필요에 따라서 포켓(10)은 실링(1)에 2개의 측면(1c) 가운데 한쪽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3. 포켓(10)의 작용 효과
3.1 포켓(10) 내의 유압
도 5는 실링(1)의 회전 시에 높은 유압을 받는 부위를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는 화살표(R) 방향으로 우회전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도 5의 (B)는 화살표(L) 방향으로 좌회전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링(1)의 회전이란 샤프트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실링(1)의 회전방향은 샤프트를 기준으로 하는 회전방향이다.
도 5의 (A)에 나타나 있는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실링(1)에서는 각 포켓(10)의 화살표(R) 방향과는 반대측의 제2 사면부(13a)가 높은 유압을 받고 있다. 도 5의 (B)에 나타내는 화살표(L)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실링(1)에서는, 각 포켓(10)의 화살(L) 방향과는 반대측의 제2 사면부(13b)가 높은 유압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이, 실링(1)에서는 회전방향에 대응해서 제2 사면부(13a, 13b)의 한쪽이 높은 유압을 받는 것에 의해, 측면(1c)로부터 샤프트의 홈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약하게 하는 캔슬압이 수득된다. 이것에 의해, 실링(1)에서는 샤프트와의 사이의 마찰이 양호하게 억제되어, 프릭션 로스가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실링(1)에서는 제1 사면부(12a, 12b)및 제2 사면부(13a, 13b)의 작용에 의해, 샤프트와의 사이의 프릭션 로스가 더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이하, 제1 사면부(12a, 12b)및 제2 사면부(13a, 13b)의 작용에 대해서 도 2,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3.2 제1 사면부(12a, 12b)및 제2 사면부 (13a, 13b)
실링(1)에 있어서, 제1 사면부(12a, 12b)는 주로, 오일을 포켓(10) 내로 수용하고, 포켓(10) 내에 수용된 오일을 부드럽게 제2 사면부(13a, 13b)로 보내는 기능을 갖는다.
제1 사면부(12a, 12b)의 경사각도(α)는 제2 사면부(13a, 13b)의 경사각도(β)보다 크다. 이 때문에, 포켓(10)이 제1 사면부(12a, 12b)에 있어서 내측 둘레면(1b)으로 넓게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이 포켓(10) 내에 들어가기 쉬워지기 때문에 포켓(10) 내로의 오일의 유입양이 증가한다.
또, 제1 사면부(12a, 12b)와 제2 사면부(13a, 13b)는 경사방향이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오일이 부드럽게 제1 사면부(12a, 12b)로부터 제2 사면부(13a, 13b)로 흘러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1 사면부(12a, 12b)의 구성에 의해, 제2 사면부(13a, 13b)에 유입하는 오일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제2 사면부(13a, 13b)에 높은 유압이 가해진다.
제2 사면부(13a, 13b)는 주로, 오일로부터의 유압을 실링(1)의 측면(1c)로부터 샤프트의 홈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약하게 하는 캔슬압으로서 이용해서 실링(1)의 프릭션 로스를 저감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제2 사면부(13a, 13b)는 쐐기형상의 오일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사면부(13a, 13b)의 경사각도(β)는 제1 사면부(12a, 12b)의 경사각도(α)보다 작다. 이 때문에, 오일이 제1 사면부(12a, 12b)로부터 제2 사면부(13a, 13b)로 유입할 때에 오일 유로의 조임이 완만해진다. 이것에 의해, 오일은 실링(1)의 내측 둘레면(1b)측으로 달아나지 않고, 제2 사면부(13a, 13b)의 속까지 진입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제2 사면부(13a, 13b)에 증가하는 유압이 증대한다.
또, 제2 사면부(13a, 13b)의 측면(1c)에 대한 각도(β)가 비교적 완만하기 때문, 오일로부터 제2 사면부(13a, 13b)에 증가하는 힘에 있어서의 측면(1c)에 수직방향의 성분이 커진다. 이 때문에, 제2 사면부(13a, 13b) 내의 유압이 보다 효율적으로 실링(1)으로부터 샤프트의 홈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약하게 하는 캔슬압으로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실링(1)에서는 샤프트와의 사이의 마찰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기 때문에 샤프트와의 시이의 프릭션 로스가 더욱 저감된다.
각도(α, β)의 구체적인 수치는 실링(1)의 용도나 사용환경 등에 따라서 적당히게 결정가능하다. 그렇지만, 각도(α)는 2° 이상 8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상 6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 이상 4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각도(β)는 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 1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 이상 1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3.3 둘레 엣지부 (16a, 16b)
둘레 엣지부(16a, 16b)는 주로, 기둥부(20)의 측면(1c)에 있어서 적절한 유막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둘레 엣지부(16a, 16b)는 볼록형상의 R면이다. 이 때문에, 둘레 엣지부(16a, 16b)의 측면(1c)에 대한 각도는 제2 사면부(13a, 13b)로부터 기둥부(20)를 향해서 서서히 작아진다. 즉, 둘레 엣지부(16a, 16b)가 형성하는 오일 유로는 좁아짐에 따라서 조임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제2 사면부(13a, 13b)를 통과한 오일은 내측 둘레면(1b)측으로 달아나지 않고, 둘레 엣지부(16a, 16b)의 안쪽까지 진입하기 쉬워진다. 실링(1)에서는 둘레 엣지부(16a, 16b)를 통과한 오일에 의해 기둥부(20)의 측면(1c)에 적절한 유막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실링(1)의 프릭션 로스가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여기에서, 기둥부(20)의 측면(1c)에 형성되는 유막이 너무 얇으면, 실링(1)에 있어서의 프릭션 로스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충분히 수득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또, 기둥부(20)의 측면(1c)에 형성되는 유막이 너무 두꺼우면, 실링(1)의 외측 둘레면(1a) 측으로의 오일 누설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실링(1)에서는 기둥부(20)의 측면(1c)에 있어서의 유막이 적절한 두께가 되도록, 둘레 엣지부(16a, 16b)나 제1 사면부(12a, 12b)나 제2 사면부(13a, 13b) 등의 포켓(10)의 각 구성이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둘레 엣지부(16a, 16b)는 단일 곡률반경으로 형성되고 있을 수도 있고, 연속해서 곡률반경이 변화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둘레 엣지부(16a, 16b)의 곡률반경이 가장 작은 부분의 곡률반경(선단 곡률반경)은 0mm 보다 크면 좋다. 또, 둘레 엣지부(16a, 16b)의 선단 곡률반경은 0.5mm 이상 1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mm 이상 80m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mm 이상 6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3.4 포켓(10)의 수
실링(1)에서는 포켓(10)의 둘레방향 치수(d0)를 작게 해도, 제1 사면부(12a, 12b)의 경사각도(α)를 크게 하고, 포켓(10)의 깊이(t1)를 깊게 하는 것에 의해, 포켓(10) 내로의 오일의 유입양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1개의 포켓(10) 당 수득되는 캔슬압도 유지된다.
한편, 실링(1)에 있어서, 포켓(10)의 둘레방향 치수(d0)를 작게 하면, 포켓(10)을 더욱 많이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실링(1)에서는 포켓(10)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실링(1)이 전체로서 받는 캔슬압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실링(1)에 있어서의 프릭션 로스가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또, 실링(1)에서는 포켓(10)의 수를 많게 하는 것에 의해, 높은 유압을 받는 부위의 간격을 좁히고, 즉, 높은 유압을 받지 않는 부위의 범위를 좁히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실링(1)은 그 전체로서, 포켓(10) 내의 오일로부터, 실링(1)으로부터 샤프트의 홈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약하게 하는 캔슬압을 안정되게 수득할 수 있다.
이상의 관점으로부터, 실링(1)에서는 각 측면(1c)에 있어서의 포켓(10)의 수를 8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실링(1)에서는 프릭션 로스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 각 포켓(10)의 둘레방향 치수(d0)의 합계가, 내측 둘레면(1b)의 전체 둘레의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링(1)에서는 기둥부(20)에 의해 각 포켓(10)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각 포켓(10)의 둘레방향 치수(d0)의 합계가 내측 둘레면(1b)의 전체 둘레의 9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4. 실시예
4.1 실시예에 따른 실링(1)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 실링(1)을 제작했다. 실링(1)의 외경은 51mm로 하고, 포켓(10)의 수는 12개로 했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비교예 1∼4에 따른 실링(101, 201, 301, 401)은 특별히 설명하는 구성 이외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4.2 비교예 1에 따른 실링(101)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실링(10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실링(101)의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실링(101)의 도 6의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실링(101)에서는 측면(101c)이 외측 둘레면(101a)으로부터 내측 둘레면(101b)을 향해서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실링(101)에서는 측면(101c)과 샤프트의 홈부가 면 접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프릭션 로스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
4.3 비교예 2에 따른 실링(201)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에 따른 실링(20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실링(201)의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실링(201)의 도7의 (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실링(201)에는 8개의 포켓(210)이 설치되오 있다. 포켓(210)은 실시예에 따른 실링(1)의 포켓(10)과는 달리, 내측 둘레면(201b)과 측면(201c)을 접속하는 경사면을 갖는다. 실링(201)에서는 측면(201c)과 샤프트의 홈부와의 면 접촉을 유지하면서, 포켓(210)에 의한 프릭션 로스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
4.4 비교예 3에 따른 실링(301)
도 8은 본 발명의 비교예 3에 따른 실링(30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실링(301)의 평면도이고, 도 8의 (B)는 실링(301)의 포켓(310)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실링(301)에 설치된 포켓(310)은 내측 둘레면(301b)에 설치된 유입구(311)로부터 외측 둘레면(301a)과 내측 둘레면(301b) 사이의 영역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포켓(310)은 유입구(31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폭 및 측면(301c)으로부터의 깊이가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링(301)은 오일 유로를 조이면서, 유입구(311)로부터 포켓(310) 내로 유입한 오일이 내측 둘레면(301b)측으로 유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링(301)은 포켓(310) 내의 유압을 높이는 것에 의한 프릭션 로스의 저감에 특화한 구성이 되어 있다.
4.5 비교예 4에 따른 실링(401)
도 9는 본 발명의 비교예 4에 따른 실링(40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A)는 실링(401)의 부분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실링(401)의 내측 둘레면(401b)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변형예 4에 따른 실링(401)의 포켓(410)은 바닥부(11)를 가지고, 둘레방향에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실링(1)의 포켓(10)과 공통된다. 그러나, 변형예 4에 따른 실링(401)의 포켓(410)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실링(1)의 포켓(10)과 같이 2단 구성의 사면부를 가지고 있지 않다.
즉, 실링(401)에서는 바닥부(11)와 둘레 엣지부(416a, 416b)가 단일의 사면부(412a, 412b)에 의해 접속되고 있다. 변형예 4에 따른 실링(401)의 사면부(412a, 412b)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실링(1)의 제1 사면부(12a, 12b)와 동일하게, 측면(401c)에 대해서 각도(α)를 이루고 있다.
실링(401)은 사면부(412a, 412b)의 선단부에 있어서 높은 유압을 받는다. 그리고 볼록형상의 R면인 둘레 엣지부(416a, 416b)를 통과한 오일이, 기둥부(20)에 있어서 유막을 형성한다. 이렇게, 실링(401)에서는 사면부(412a, 412b) 및 둘레 엣지부(416a, 416b)에 의해 프릭션 로스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
4.6 프릭션 로스 평가
실시예에 따른 실링(1), 비교예 1에 따른 실링(101), 비교예 2에 따른 실링(201), 비교예 3에 따른 실링(301), 및 비교예 4에 따른 실링(401)을 샘플로 하는 프릭션 로스 평가를 실시했다. 프릭션 로스 평가로서는 각 샘플을 2개 사용하고, 오일의 온도를 80℃로 하고, 유압을 0.5MPa로 하는 드래그 토크(N·m)의 측정을 실시했다. 드래그 토크의 측정에 있어서의 각 샘플의 회전수는 1000∼6000rpm으로 했다.
도 10은 드래그 토크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의 횡축은 회전 수(rpm)를 나타내고, 종축은 드래그 토크의 상대값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에 따른 실링(1), 비교예 1에 따른 실링(101), 비교예 2에 따른 실링(201), 비교예 3에 따른 실링(301), 및 비교예 4에 따른 실링(401)의 모두에서 낮은 드래그 토크가 수득되고, 프릭션 로스가 저감되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에 따른 실링(1) 및 비교예 3에 따른 실링(301)에서는, 매우 낮은 드래그 토크가 수득되고, 더 효과적으로 프릭션 로스가 저감되고 있는 것을 알았다.
또, 실시예에 따른 실링(1)과 비교예 4에 따른 실링(401)을 비교하면, 어느 쪽의 회전수에 있어서도 실시예에 따른 실링(1) 쪽이 낮은 드래그 토크가 수득되었다. 이것에 의해, 포켓(10)에 제2 사면부(13a, 13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더 효과적으로 프릭션 로스가 저감되는 것을 알았다.
4.7 오일 누설 평가
실시예에 따른 실링(1), 비교예 1에 따른 실링(101), 비교예 2에 따른 실링(201), 비교예 3에 따른 실링(301), 및 비교예 4에 따른 실링(401)을 샘플로 하는 오일 누설 평가를 실시했다. 오일 누설 평가로서, 각 샘플을 2개 사용하고, 오일의 온도를 80℃로 하고, 유압을 0.5MPa로 하는 오일 누설량(㎖/min)을 측정했다. 오일 누설량의 측정에 있어서의 각 샘플의 회전수는 1000∼6000rpm으로 했다.
도 11은 오일 누설량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의 횡축은 회전 수 (rpm)를 나타내고, 종축은 오일 누설량의 상대값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에 따른 실링(1), 비교예 1에 따른 실링(101), 비교예 2에 따른 실링(201), 비교예 3에 따른 실링(301), 및 비교예 4에 따른 실링(401)의 모두 오일 누설량이 적고, 오일 누설이 억제되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에 따른 실링(1), 비교예 2에 따른 실링(201), 및 비교예 4에 따른 실링(401)에서는, 회전 수에 의하지 않고, 거의 오일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고, 더 효과적으로 오일 누설이 억제되고 있는 것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3에 따른 실링(301)에서는 저회전 수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고 있지만, 특히 고속 회전수에 있어서 실시예에 따른 실링(1)에는 맞지 않았다.
또, 실시예에 따른 실링(1)과 비교예 4에 따른 실링(401)로 오일 누설량에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것에 의해, 포켓(10)에 제2 사면부(13a, 13b)를 설치해도, 오일 누설량에는 영향이 없는 것을 알았다.
4.8 정리
실시예에 따른 실링(1)에서는 프릭션 로스 평가 및 오일 누설 평가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비교예 1에 따른 실링(101)보다도 더욱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었다.
또, 실시예에 따른 실링(1)에서는, 오일 누설 평가에 대해서 비교예 2에 따른 실링(201)과 손색이 없는 결과가 수득되고, 프릭션 로스 평가에 대해서 비교예 2에 따른 실링(201)보다도 더욱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었다.
또, 실시예에 따른 실링(1)에서는, 프릭션 로스 평가에 대해서 비교예 3에 따른 실링(301)과 손색이 없는 결과가 수득되고, 오일 누설 평가에 대해서 비교예 3에 따른 실링(301)보다도 더욱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었다.
부가해서, 실시예에 따른 실링(1)에서는, 오일 누설 평가에 대해서 비교예 4에 따른 실링(401)과 손색이 없는 결과가 수득되고, 프릭션 로스 평가에 대해서 비교예 4에 따른 실링(401)보다도 더욱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1)에서는 프릭션 로스 평가 및 오일 누설 평가의 양쪽에 있어서 특히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었다. 이것에 의해, 실링(1)에서는 프릭션 로스의 저감과 오일 누설의 억제를 양립 가능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5. 기타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가지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링에 2개의 측면에 동일한 구성의 포켓이 설치되고 있는 구성은 필수적이지는 않다. 예를 들면, 실링에 2개의 측면에 각각 다른 구성의 포켓이 설치되어서 있을 수도 있다. 또 포켓의 수가 실링에 2개의 측면에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실링의 사면부 구성은, 2단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3단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어느 쪽의 경우에도, 둘레 엣지부에 인접하는 제2 사면부의 경사각도(β)가 저면부에 인접하는 제1 사면부의 경사각도(α)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것들의 경우에도, 오일이 제1 사면부로부터 포켓에 들어가기 쉽고, 제2 사면부에 있어서 높은 유압을 받을 수 있다는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된다.
예를 들면, 사면부는, 제1 사면부와 제2 사면부 사이에 제3사면부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제3사면부의 경사각도(γ)는 제1 사면부의 경사각도(α)보다 작고, 제2 사면부의 경사각도(β)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사면부에는 제1 사면부와 제3 사면부를 접속하는 제1 모서리부와, 제2 사면부와 제3 사면부를 접속하는 제2 모서리부가 형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제1 사면부, 제3 사면부, 제2 사면부의 순으로, 즉 오일이 진입하는 순으로 경사각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포켓 내에 있어서의 오일의 유동이 더욱 부드러워진다.
1: 실링
1a: 외측 둘레면
1b: 내측 둘레면
1c: 측면
10: 포켓
11: 바닥부
12a, 12b: 제1 사면부
13a, 13b: 제2 사면부
14a, 14b: 접속부
15a, 15b: 모서리부
16a, 16b: 둘레 엣지부
17: 격벽부
20: 기둥부
30: 이음부

Claims (7)

  1. 내측 둘레면과, 상기 내측 둘레면에 대향하는 외측 둘레면과, 상기 내측 둘레면 및 상기 외측 둘레면에 직교하는 측면과, 상기 측면에 서로 이간해서 설치된 복수의 포켓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포켓은 각각, 둘레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측 둘레면측이 개방되고, 상기 외측 둘레면측이 폐색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포켓은 각각 상기 둘레방향의 엣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에 접속하는 볼록형상의 R면인 둘레 엣지부와, 상기 둘레방향의 중앙영역에 설치된 바닥부와, 상기 둘레 엣지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 연장하는 사면부를 가지고,
    상기 사면부는 적어도 1개의 모서리부와, 상기 바닥부와 상기 모서리부 사이에 연장하고, 상기 측면에 대해서 제1 각도를 이루는 제1 사면부와, 상기 둘레 엣지부와 상기 모서리부 사이에 연장하고, 상기 측면에 대해서 상기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를 이루는 제2 사면부를 가지는 실링.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부는 단일의 상기 모서리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사면부와 상기 제2 사면부가 상기 모서리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실링.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는 볼록형상의 R면으로 구성되는 실링.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켓은 각각, 상기 바닥부와 상기 제1 사면부를 접속하는 오목형상의 R면인 접속부를 추가로 가지는 실링.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측면에 평행한 평면인 실링.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켓이 양쪽의 상기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실링.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켓은 한쪽의 상기 측면과 다른 쪽의 상기 측면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실링.
KR1020177035999A 2015-10-15 2016-10-05 실링 KR101990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03472A JP6186413B2 (ja) 2015-10-15 2015-10-15 シールリング
JPJP-P-2015-203472 2015-10-15
PCT/JP2016/079621 WO2017065068A1 (ja) 2015-10-15 2016-10-05 シールリン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633A KR20180008633A (ko) 2018-01-24
KR101990539B1 true KR101990539B1 (ko) 2019-06-18

Family

ID=58518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999A KR101990539B1 (ko) 2015-10-15 2016-10-05 실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28925B2 (ko)
EP (1) EP3299681B1 (ko)
JP (1) JP6186413B2 (ko)
KR (1) KR101990539B1 (ko)
CN (1) CN107532720B (ko)
WO (1) WO2017065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0199A (zh) * 2016-02-26 2018-10-23 株式会社理研 密封圈
JP7242659B2 (ja) * 2018-05-17 2023-03-20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
WO2019221228A1 (ja) 2018-05-17 2019-11-21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
WO2019221231A1 (ja) * 2018-05-17 2019-11-21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
WO2019221227A1 (ja) * 2018-05-17 2019-11-21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
CN113557379A (zh) * 2019-03-15 2021-10-26 Nok株式会社 密封环及密封结构
KR102361233B1 (ko) * 2020-03-11 2022-02-10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오일 씰 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8962A (ja) * 2011-12-23 2014-05-15 Riken Corp シールリング
JP2015028382A (ja) * 2013-07-03 2015-02-12 Ntn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14442U1 (ko) 1988-11-18 1990-03-29 Feodor Burgmann Dichtungswerke Gmbh & Co, 8190 Wolfratshausen, De
US5722665A (en) * 1992-02-26 1998-03-03 Durametallic Corporation Spiral groove face seal
JP4676333B2 (ja) * 2003-04-02 2011-04-27 株式会社リケン シールリング
US7377518B2 (en) * 2004-05-28 2008-05-27 John Crane Inc. Mechanical seal ring assembly with hydrodynamic pumping mechanism
WO2011105513A1 (ja) * 2010-02-26 2011-09-01 Nok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
JP5352007B2 (ja) * 2010-06-23 2013-11-27 株式会社リケン シールリング
WO2012125714A1 (en) * 2011-03-15 2012-09-20 Flowserve Management Company Tapered channel macro/micro feature for mechanical face seals
JP5337926B1 (ja) * 2011-12-23 2013-11-06 株式会社リケン シールリング
WO2015045974A1 (ja) 2013-09-27 2015-04-02 株式会社リケン シールリング
KR20160098451A (ko) * 2014-01-24 2016-08-18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실 링
JP6170271B2 (ja) 2015-03-03 2017-07-26 Nok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
US9927033B2 (en) * 2015-06-29 2018-03-27 Kaydon Ring & Seal, Inc. Split circumferential lift-off seal seg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8962A (ja) * 2011-12-23 2014-05-15 Riken Corp シールリング
JP2015028382A (ja) * 2013-07-03 2015-02-12 Ntn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86413B2 (ja) 2017-08-23
EP3299681A4 (en) 2019-02-27
CN107532720A (zh) 2018-01-02
US11028925B2 (en) 2021-06-08
EP3299681B1 (en) 2020-08-12
KR20180008633A (ko) 2018-01-24
CN107532720B (zh) 2020-03-31
JP2017075647A (ja) 2017-04-20
US20180100584A1 (en) 2018-04-12
EP3299681A1 (en) 2018-03-28
WO2017065068A1 (ja)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539B1 (ko) 실링
JP5548312B2 (ja) シールリング
JP6191689B2 (ja) シールリング
KR102468516B1 (ko) 시일 링
US20180051809A1 (en) Seal ring
JPWO2011162283A1 (ja) シールリング
JP6360566B2 (ja) シールリング
KR101487636B1 (ko) 시일 링
JP6687162B2 (ja) シールリング
JPWO2016158848A6 (ja) シールリング
JP6428916B2 (ja) シールリング
EP3364078B1 (en) Seal ring
US10451185B2 (en) Seal ring
JP6872671B2 (ja) シールリング
WO2015020075A1 (ja) シールリング
JP6839148B2 (ja) シールリング
JP2017172606A (ja) シール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