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191B1 - 건축용 고정너트 - Google Patents

건축용 고정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191B1
KR101990191B1 KR1020170031117A KR20170031117A KR101990191B1 KR 101990191 B1 KR101990191 B1 KR 101990191B1 KR 1020170031117 A KR1020170031117 A KR 1020170031117A KR 20170031117 A KR20170031117 A KR 20170031117A KR 101990191 B1 KR101990191 B1 KR 101990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fixing
pressing
p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407A (ko
Inventor
차명길
Original Assignee
차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명길 filed Critical 차명길
Priority to KR102017003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19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0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ends of members only, e.g. for connecting members in end-to-end re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고정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으로 설치공간부가 형성된 너트와, 상기 너트의 설치공간부에 관통되어, 각종 파이프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해 마련된 작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주면으로 요철부나 나사부가 형성된 각종 파이프와 상호 대응하게 결합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고정너트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각각의 파이프를 용이하게 연결고정 및 해체할 수 있는 동시에, 슬라브 및 합벽에 설치되는 거푸집을 고정하는 서포트의 길이를 간단히 조절한 후, 고정 및 해제할 수 있음으로, 거푸집을 견고히 고정함은 물론, 해체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고정너트{Fixing nut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고정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건축산업에 사용되는, 외주면으로 요철부나 나사부가 형성된 각종 파이프와 상호 대응하게 결합고정 및 해제됨으로, 각각의 파이프를 연결고정 및 해제하거나 파이프의 높이를 조절하여 슬라브 및 합벽에 설치되는 거푸집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건축용 고정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너트란 쇠붙이로 형성되며, 원통 내면으로 경사지게 나사부(나사골과 나사산)가 형성되어, 나사부가 형성된 각종 기계부품, 건축에 사용되는 파이프 등을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너트는 건축산업에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각종 건축자재(파이프, 서포트) 등에 나사방식으로 결합 및 해제되어, 파이프를 연결고정하거나 서포트의 높이를 조절 및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너트를 살펴보면, 내주면으로, 나사산과 나사골로 이뤄진 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으로 4개 또는 6개의 밀착면을 형성하거나 외주면으로 가압돌기 등을 원형배열 형성함으로, 작업자가 가압부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회전가압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하나의 예로,
건축에서 사용되는 서포트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너트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를 하부파이프에 나사방식으로 결합시킨 다음, 상기 고정너트를 회전시켜 상부파이프에 끼워지는 하부 파이프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서포트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정너트가 사용된 서포트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가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너트를 회전시켜 해체해야 함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짐은 물론, 작업자가 해체하는 과정에서 순간, 부주의로 인해, 상부파이프가 낙하함으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0-0089645,"링너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서포트"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고정너트를 개선하여, 고정너트 양측으로 파이프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작동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외주면에 요철부 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원형파이프 및 각파이프 등을 용이하게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건축용 고정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으로 설치공간부가 형성된 너트와, 상기 너트의 설치공간부에 관통되어, 각종 파이프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해 마련된 작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너트는 단면이 "
Figure 112017024628431-pat00001
" 또는 "
Figure 112017024628431-pat00002
"한 형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은 너트의 설치공간부에 위치하며, 일측면에 나사부 또는 요철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한 쌍의 가압부와, 상기 한 쌍의 가압부 일측으로 연결형성되는 고정구와, 너트 외측으로 위치하여, 고정구에 관통설치되는 결합체와, 상기 고정구 외면으로 설치되며, 한 쌍의 가압부와 결합체 사이에 위치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 단부에 형성된 당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의 외면으로 설치되며, 결합체에 밀착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 일측으로 위치하여, 고정구에 고정설치되는 지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결합체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 일측으로 연결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주면으로 요철부나 나사부가 형성된 각종 파이프와 상호 대응하게 결합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고정너트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각각의 파이프를 용이하게 연결고정 및 해체할 수 있는 동시에, 슬라브 및 합벽에 설치되는 거푸집을 고정하는 서포트의 길이를 간단히 조절한 후, 고정 및 해제할 수 있음으로, 거푸집을 견고히 고정함은 물론, 해체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고정너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고정너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고정너트가 나사부가 형성된 파이프에 고정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고정너트의 작용 1을 나타낸 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고정너트의 작용 2를 나타낸 작용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양측으로 설치공간이 형성된 너트(10)와, 상기 너트(10) 설치공간에 관통되어, 각종 파이프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해 마련된 작동수단(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작용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게 너트(10)와 작동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너트(10)는 외주면에 나사부(21a)가 형성된 원형파이프나 외면으로 요철부(21a)가 형성된 각 파이프 등에 결합되어, 각각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 및 알맞은 높이를 고정 및 해제하는 것으로서, 양측면으로 관통형성되는 설치공간부(11)가 형성되되, 상기 설치공간부(11)의 크기와 형태를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너트(10)의 단면은 "
Figure 112017024628431-pat00003
" 또는 "
Figure 112017024628431-pat00004
"한 형태로, 건축에서 사용되는 파이프의 형태에 상호 대응하게 선택하여 사용된다.
상기 작동수단(20)은 너트(10)의 설치공간부(11)에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측면으로 나사부(21a) 또는 요철부(21a)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부(21)와, 상기 한 쌍의 가압부(21) 일측으로 연결형성되되, 막대 또는 봉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구(22)와, 중공이 형성된 링 형태나 사각형태로 형성되며, 너트(10) 외측으로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되, 고정구(22)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결합체(23) 및 상기 고정구(22) 외면으로 구비되되, 한 쌍의 가압부(21)와 결합체(23) 사이에 위치하여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4)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22) 일단부에 연결형성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당기어, 한 쌍의 가압부(21)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당김부재(25)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22) 외면으로 설치되며, 결합체(23) 외면에 밀착되는 가압부재(26)와, 상기 가압부재(26) 일측으로 위치하여, 고정구(22)에 고정형성되어, 가압부재(26)의 작동범위를 한정하는 지지구(37)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26)는 결합체(23) 외면 밀착되는 밀착부(26a)와, 상기 밀착부(26a) 일측으로 연결형성되어, 고정구(22)를 작용시키는 손잡이(26b)를 더 포함한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 예로,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외주면에 나사부(21a)가 형성된 파이프를 연결고정하는데 있어서,
먼저, 작업자가 당김부재(25)를 당기거나 가압부재(26)의 손잡이(26b)를 잡고 상호 내측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너트(10)의 내측으로 하나의 파이프 일단과 다른 하나의 파이프 일단을 삽입한 다음, 작업자가 가압하고 있던 것을 해제하게 되면,
한 쌍의 가압부(21)와 결합체(23)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24)가 복원되는 동시에, 고정구(22)가 상호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작용과 함께, 고정구(22) 일측 단부에 연결형성된 한 쌍의 가압부(21)의 나사부(21a)의 나사산이 각각 파이프의 나사골에 삽입밀착고정됨으로, 각각의 파이프가 상호 연결고정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각각 연결된 파이프를 해체하는데 있어서,
작업자가 당김부재(25)를 당기거나 가압부재(26)의 손잡이(26b)를 잡고 상호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한 쌍의 가압부(21)와 결합체(23)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24)가 수축되는 동시에, 고정구(22)가 상호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작용과 함께, 각각의 파이프 나사골에 삽입밀착고정되었던 한 쌍의 가압부(21) 나사부(21a)의 나사산이 해제됨으로써, 작업자가 당기거나 밀어, 아주 용이하게 각각의 파이프를 해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 실시 예로,
슬라브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를 고정하는데 있어서,
먼저, 작업자가 하부파이프 상부로 본 발명인 고정너트를 안착시킨 후, 작업자가 작동수단(20)의 당김부재(25)를 당기거나 가압부재(26)의 손잡이(26b)를 잡고 상호 내측으로 가압한 후, 외주면에 나사부(21a)가 형성된 상부파이프 수직 상향 또는 수직하향 이동시켜, 슬라브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알맞을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가압작용하는 것을 해제하게 되면,
한 쌍의 가압부(21)와 결합체(23)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24)가 복원되는 동시에, 고정구(22)가 상호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작용과 함께, 고정구(22) 일측 단부에 연결형성된 한 쌍의 가압부(21)의 나사부(21a)의 나사산이 상부 파이프 나사부(21a)의 나사골에 삽입밀착고정됨으로, 상부파이프가 일정한 높이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슬라브를 지지하고 있던 서포트를 해체하는데 있어서,
작업자가 당김부재(25)를 당기거나 가압부재(26)의 손잡이(26b)를 잡고 상호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한 쌍의 가압부(21)와 결합체(23)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24)가 수축되는 동시에, 고정구(22)가 상호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작용과 함께, 상부 파이프 나사골에 삽입밀착고정되었던 한 쌍의 가압부(21) 나사부(21a)의 나사산이 해제되는 동시에, 상부파이프가 수직낙하하여, 하부파이프의 중공으로 삽입되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고 용이하게 상부파이프를 인출하여 해체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외주면으로 요철부나 나사부가 형성된 각종 파이프와 상호 대응하게 결합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고정너트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각각의 파이프를 용이하게 연결고정 및 해체할 수 있는 동시에, 슬라브 및 합벽에 설치되는 거푸집을 고정하는 서포트의 길이를 간단히 조절한 후, 고정 및 해제할 수 있음으로, 거푸집을 견고히 고정함은 물론, 해체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너트
11: 설치공강부
20: 작동수단
21a: 나사부, 요철부
22: 고정구
23: 결합체
24: 탄성부재
25: 당김부재
26: 가압부재
26a: 밀착부
26b: 손잡이
27: 지지구

Claims (6)

  1. 양측으로 설치공간부(11)가 형성된 너트(10)와, 상기 너트(10)의 설치공간부(11)에 관통되어, 각종 파이프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해 마련된 작동수단(20)을 구비하는 건축용 고정너트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20)은 너트(10)의 설치공간부(11)에 위치하며, 일측면에 나사부(21a) 또는 요철부(21a)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한 쌍의 가압부(21)와, 상기 한 쌍의 가압부(21) 일측으로 연결형성되는 고정구(22)와, 너트(10) 외측으로 위치하여 고정구(22)가 관통설치되는 결합체(23)와, 상기 고정구(22) 외면으로 설치되며 한 쌍의 가압부(21)와 결합체(23) 사이에 위치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고정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10)는 단면이 "
    Figure 112017024628431-pat00005
    " 또는 "
    Figure 112017024628431-pat00006
    "한 형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고정너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2) 단부에 형성된 당김부재(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고정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2)의 외면으로 설치되며, 결합체(23)에 밀착되는 가압부재(26) 및 상기 가압부재(26) 일측으로 위치하여, 고정구(22)에 고정설치되는 지지구(3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고정너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26)는 결합체(23)에 밀착되는 밀착부(26a)와, 상기 밀착부(26a) 일측으로 연결형성되는 손잡이(26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고정너트.
KR1020170031117A 2017-03-13 2017-03-13 건축용 고정너트 KR101990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117A KR101990191B1 (ko) 2017-03-13 2017-03-13 건축용 고정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117A KR101990191B1 (ko) 2017-03-13 2017-03-13 건축용 고정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407A KR20180104407A (ko) 2018-09-21
KR101990191B1 true KR101990191B1 (ko) 2019-06-17

Family

ID=6372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117A KR101990191B1 (ko) 2017-03-13 2017-03-13 건축용 고정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347B1 (ko) * 2020-06-22 2022-09-0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케이블 조립체 체결용 치구 및 케이블 조립체 체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32340Y (zh) 1995-07-28 1996-08-07 冯春生 拆装深井泵扬水管的组合夹具
JP2010110539A (ja) 2008-11-08 2010-05-20 Kazumasa Yamamoto 移動体、移動規制構造、位置調節機構及び物干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27521A1 (de) * 1981-07-11 1983-01-27 Horst 3006 Burgwedel Warkotsch "schnellspannmutter"
GB9411313D0 (en) * 1994-06-07 1994-07-27 Hedley Purvis Ltd Improved reaction nut
KR200255992Y1 (ko) * 1999-04-01 2001-12-13 영 현 김 넛트
KR20100089645A (ko) 2009-02-04 2010-08-12 김시영 링너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서포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32340Y (zh) 1995-07-28 1996-08-07 冯春生 拆装深井泵扬水管的组合夹具
JP2010110539A (ja) 2008-11-08 2010-05-20 Kazumasa Yamamoto 移動体、移動規制構造、位置調節機構及び物干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407A (ko) 2018-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3596B1 (ja) 安全サポート
KR101885992B1 (ko)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KR101415915B1 (ko) 건축용 서포터
KR101456778B1 (ko) 파이프용 클램프
KR101990191B1 (ko) 건축용 고정너트
KR101895661B1 (ko) 철근 원터치 커플러
KR100673497B1 (ko) 유압전달장치
KR101615738B1 (ko) 건축용 조립식 파이프 서포트
KR100979817B1 (ko) 건축용 서포터
KR101778702B1 (ko) 갱폼용 고정장치
KR102041789B1 (ko) 트러스거더의 결합 및 해지용 장치
KR101194410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
US4465314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KR200487674Y1 (ko) 서포트용 렌치
KR101741478B1 (ko) 발판 고정 장치
KR101378691B1 (ko) 선박 건조용 비계의 클램프
CN217292125U (zh) 一种可拆卸连接的多功能工具
US6941708B2 (en) Reduced friction coupling for shoring apparatus
KR101669817B1 (ko) 원터치 타입 착탈식 데크플레이트 구조
SU967845A1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зъемного креплени опалубки
JP7124253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における貫通孔の施工方法および貫通孔形成に使用可能な筒状部材
KR200167472Y1 (ko) 거푸집의 판넬 간격유지장치의 체결구
CN114108837B (zh) 一种预埋套筒装置及其安装方法
JP6826338B2 (ja) 型枠支保工高さ調節装置
CN211107472U (zh) 一种管道夹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