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030B1 - 광경화형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경화형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030B1
KR101990030B1 KR1020170140825A KR20170140825A KR101990030B1 KR 101990030 B1 KR101990030 B1 KR 101990030B1 KR 1020170140825 A KR1020170140825 A KR 1020170140825A KR 20170140825 A KR20170140825 A KR 20170140825A KR 101990030 B1 KR101990030 B1 KR 10199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group
isosorbide derivative
initiator
isosorb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7223A (ko
Inventor
신승한
조진구
박희웅
마이뜨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40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0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7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4Ortho-condensed systems
    • A61K6/02
    • A61K6/02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31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on-metallic elements or compounds thereof, e.g. carb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에 결합된 히드록시기 대신에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치환하여 제거함으로써, 이를 치과용 충전재로 적용했을 때, 수분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감소시켜 압축강도 및 굴곡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조식 1]
Figure 112017106333312-pat00017

Description

광경화형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PHOTO CURABLE ISOSORBIDE DERIVATIVE COMPOUND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경화형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말단이 메타크릴레이트기로 치환되고, 2개의 에스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대칭구조의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착제를 비롯하여 점착제, 실란트, 코팅제, 도료 등의 경화성 소재는, 현재 토목, 건축분야로부터 포장, 제본, 자동차, 전자, 정밀, 광학제품, 목공, 합판, 섬유, 피혁 등 각종 산업분야는 물론, 일반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등, 그 용도는 실로 광범위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콘크리트에도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착제 등은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화학물질의 혼합물 형태로 제조되는 제품으로서,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용제) 및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다양한 휘발성 첨가제들로 인해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다이옥신 및 환경 호르몬 등 유해한 화학물질을 발생시킨다. 최근에는 국제협약에 의한 환경규제를 통해 이러한 유해물질의 생산 및 사용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EU 등에서는 이러한 규제를 새로운 무역제재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종래의 용제형 접착제는 수용성, 무용매형, 핫-멜트형(hot-melt)형 등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접착소재뿐 아니라,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정밀화학소재들은 석유 분리정제공정(Oil Refinery Process)으로부터 유래된 석유화학 제품이다. 그러나, 국제 유가는 매장량 감소와 BRICs를 중심으로 한 수요급증으로 인해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온실가스의 배출을 엄격히 규제하는 국제협약이 발효됨에 따라, 앞으로 석유와 같은 비가역 화석자원의 사용은 막대한 환경비용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기존의 석유자원 유래 정밀화학제품을 새로운 자원으로부터 얻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탄수화물계 바이오매스(biomass)를 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자연계는 광합성 작용을 통해 매년 약 1,700 억톤 정도의 막대한 양의 탄수화물을 생산하고 있으며, 인류는 이 중 약 3% 정도만을 식량, 종이, 가구, 건자재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재생과 지속사용이 가능한 탄수화물계 바이오 매스로부터 제조된 정밀화학제품은 석유화학제품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석유자원 유래 광원 경화형 접착소재를 대체하기 위하여 이러한 친환경적인 탄수화물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소정의 접착 또는 점착 특성을 갖는 화합물을 합성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탄수화물계 바이오 매스로서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가 있다.
아이소소바이드는 글루코스로부터 유래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로서, 글루코스를 수소화하여 소르비톨이 형성되고, 이를 이중 탈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아이소소바이드는 2개의 테트라하이드로 퓨란링이 120°의 각도로 결합된 V자형 구조의 물질로 2, 6 번 탄소 위치에 히드록시기를 갖는다. 아이소소바이드는 광학적 비대칭성을 갖는 견고한 구조의 화합물로 그 유도체는 특이한 기능을 나타낸다는 점에 서, 의약품 원료나 고기능성 공업재료의 원료 등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아이소소바이드는 광학 특성과 열적 특성이 우수하여 광디스크 기판, 광섬유 또는 렌즈 등의 광학 전자 부재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를 응용하여 치과용 충전재의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치과용 재료의 조성물의 프리폴리머로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비스페놀계인 2,2-비스-(4-(2-히드록시-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Bis-GMA)이다. 이것은 주로 휘발성 및 중합 수축도가 작고, 이를 사용한 중합물의 우수한 강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매트릭스 수지 등에 적용되기에 유용하나 비스페놀계 화합물은 인체 내에서 에스트로겐과 같은 역할을 하여 내분비 교란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이오 매스에서 유래되어 인체에 무해한 아이소소바이드 기반의 화합물로 대체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종래의 아이소소바이드 기반의 화합물은 화합물에 히드록시기(-OH)를 포함하므로 치과용 충전재 등으로 사용할 경우, 수분을 흡수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고, 소재 자체의 수축으로 인하여 심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히드록시기로 인해 소재 점도가 높아 필러를 포함하는 복합체 제조시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경호르몬이 용출될 수 있는 비스페놀계 고분자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로 응용 가능한 광경화형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광경화형 아이소소바이드 화합물에 결합된 히드록시기 대신에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치환하여 이를 치과용 충전재로 사용했을 때, 수분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감소시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한다.
[구조식 1]
Figure 112017106333312-pat00001
구조식 1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고,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 내지 C6 알킬기, C2 내지 C6 알케닐기, C2 내지 C6 알키닐기, C5 내지 C6 시클로알킬기, 및 C6 내지 C10 아릴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R1이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일 수 있다.
상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06333312-pat00002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a) 화합물 1을 화합물 2와 반응시켜 화합물 3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7106333312-pat00003
상기 반응식 1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고,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 내지 C6 알킬기, C2 내지 C6 알케닐기, C2 내지 C6 알키닐기, C5 내지 C6 시클로알킬기, 및 C6 내지 C10 아릴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단계 (a)가 -10 내지 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친핵성 촉매 및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핵성 촉매가 디메틸아미노피리딘(Dimethylaminopyridine), 피롤리디닐피리딘(4-(1-pyrrolidinyl)pyridine), 2-할로피리딘염(2-halopyridinium salts) 및 1-토실이미다졸(1-tosylimidazol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가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N,N'-Dicyclohexylcarbodiimide), TBTU(2-(1H-benzotriazole-1-yl)-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TATU(2-(1H-7-azabenzotriazole-1-yl)-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및 COMU(1-[(1-(cyano-2-ethoxy-2-oxoethylideneamiooxy)dimethylaminomorpholino methylene)]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 2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및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acryl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치과용 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개시제;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100중량부; 및 상기 개시제 0.1 내지 5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가 광중합 개시제일 수 있다.
상기 개시제가 캄포퀴논(camphoquinone), 에틸-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ethyl-4-dimethylamino benzoate), 3차 아민 개시제, 디페닐요오도늄 클로라이드, 디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요오도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톨릴쿠밀요오도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아실, 비스아실 포스핀 산화물,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산화물,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 포스핀 산화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 포스핀 옥시드,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및 에틸2,4,6-트리메틸벤질페닐 포스피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에 결합된 히드록시기 대신에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치환하여 제거함으로써, 이를 치과용 충전재로 적용했을 때, 수분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감소시켜 압축강도 및 굴곡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의 핵자기공명(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압축강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굴곡강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레진 수축률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수분흡수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형성되어" 있다거나 "적층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표면 상의 전면 또는 일면에 직접 부착되어 형성되어 있거나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alkyl)기"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알킬기는 어떠한 이중결합이나 삼중결합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포화 알킬(saturated alkyl)기" 일 수 있다.
알킬기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을 포함하고 있는 "불포화 알킬(unsaturated alkyl)기"일 수도 있다.
포화이든 불포화이든 간에 알킬기는 분지형, 직쇄형 또는 환형일 수 있다.
알킬기는 C1 내지 C30 알킬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C1 내지 C20 알킬기,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C1 내지 C6 알킬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1 내지 C4 알킬기는 알킬쇄에 1 내지 4 개의 탄소원자, 즉, 알킬쇄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및 t-부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나타낸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에테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한다.
[구조식 1]
Figure 112017106333312-pat00004
구조식 1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고,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 내지 C6 알킬기, C2 내지 C6 알케닐기, C2 내지 C6 알키닐기, C5 내지 C6 시클로알킬기, 및 C6 내지 C10 아릴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이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06333312-pat00005
이하, 본 발명의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7106333312-pat00006
상기 반응식 1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고,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 내지 C6 알킬기, C2 내지 C6 알케닐기, C2 내지 C6 알키닐기, C5 내지 C6 시클로알킬기, 및 C6 내지 C10 아릴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먼저, 화합물 1을 화합물 2와 반응시켜 화합물 3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제조한다(단계 a).
상기 단계 (a)는 -10 내지 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3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4 내지 36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반응이 수행되는 시간은 반응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친핵성 촉매 및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핵성 촉매가 디메틸아미노피리딘(Dimethylaminopyridine), 피롤리디닐피리딘(4-(1-pyrrolidinyl)pyridine), 2-할로피리딘염(2-halopyridinium salts) 및 1-토실이미다졸(1-tosylimidazol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아미노피리딘(Dimethylaminopyridi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가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N,N'-Dicyclohexylcarbodiimide), TBTU(2-(1H-benzotriazole-1-yl)-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TATU(2-(1H-7-azabenzotriazole-1-yl)-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및 COMU(1-[(1-(cyano-2-ethoxy-2-oxoethylideneamiooxy)dimethylaminomorpholino methylene)]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N,N'-Dicyclohexylcarbodi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Steglich esterification 반응으로 커플링제로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를 사용하며, 촉매로 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을 사용하는 에스테르화 반응이다.
상기 화합물 2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및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acryl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치과용 재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개시제; 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100중량부; 및 상기 개시제 0.1 내지 5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광중합 개시제이고, 바람직하게는 캄포퀴논(camphoquinone), 에틸-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ethyl-4-dimethylamino benzoate), 3차 아민 개시제, 디페닐요오도늄 클로라이드, 디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요오도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톨릴쿠밀요오도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아실, 비스아실 포스핀 산화물,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산화물,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 포스핀 산화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 포스핀 옥시드,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에틸2,4,6-트리메틸벤질페닐 포스피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제조예 1: 카르복시기를 말단에 포함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의 제조
아이소소바이드 (Isosorbide) 3.65g(25mmol, 1 equiv)과 무수숙신산 (Succinic anhydride) 5.76g(58mmol, 1.15 equiv)을 넣고 120℃ 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후, 물질을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 MC)과 염화나트륨(NaCl) 수용액을 투입하여 염화메틸렌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유기층을 회전증류기를 이용하여 염화메틸렌을 제거하고 얻어진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용매(Ethyl acetate)를 사용하여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IS-COOH)을 얻었다.
제조예 1의 반응은 아래의 표시된 반응식 2과 같다.
[반응식 2]
Figure 112017106333312-pat00007
실시예 1: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IS-SC-MA)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카르복시기를 말단에 포함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20.0g(1eq)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A) 50mL를 넣고, 아이스배스(ice bath)에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N,N'-Dicyclohexylcarbodiimide, DCC) 28.61ml(138.7mmol)을 커플화제로 사용하여 30분동안 적하시키고, 디메틸아미노피리딘 (Dimethylaminopyridine, DMAP) 11.01ml(90.15mmol)을 촉매로 사용하여 한시간 동안 적하시켰다. 그 다음,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DEMA) 16.62g(138.69mmo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여과 후, 물질을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 MC)과 염화나트륨(NaCl) 수용액을 투입하여 염화메틸렌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유기층을 회전증류기를 이용하여 염화메틸렌을 제거하고 얻어진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공용매(hexane:ethyl acetate = 1:1)를 사용하여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IS-SC-MA)을 얻었다.
상기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IS-SC-MA)에 0.1wt%(1,000ppm)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을 중합방지제로서 첨가하여 보관하였다.
실시예 1의 반응은 아래의 표시된 반응식 3과 같다.
[반응식 3]
Figure 112017106333312-pat00008
상기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IS-SC-MA)의 1H NMR 분석은 도 1에 나타내었고, 이에 대한 1H NMR의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1H NMR (CDCl3, 300MHz): δ 6.21-6.11 (s, 2H), 5.70-5.60 (s, 2H), 5.30-5.10 (m, 2H), 4.90-4.80 (t, 1H), 4.55-3.45 (m, 1H), 4.40-4.30 (s, 8H), 4.00-3.85 (m, 3H), 3.85-3.75 (m, 1H), 2.80-2.60 (m, 8H), 2.00-1.90 (s, 6H).
실시예 2: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IS-SC-MA)을 포함하는 조성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에 camphoquinone/ethyl-4-dimethylamino benzoate (1:2)로 구성된 개시제 1wt%를 첨가하였고, Planetary vacuum mixer를 이용하여 2000rpm에서 3분씩 3회 혼합하여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IsoGMA 화합물 제조
(단계 1)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아이소소바이드(isosorbide) (1.0g, 6.8mmol), KOH(2.8g, 42 mmol)을 넣고 고무마개를 씌운 후 N2 분위기하에서 dry DMSO (5mL) 을 가하였다. 40℃ 배쓰에 반응액이 담긴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담그고 열평형시켰다. 플라스크의 내부에 열평형이 이루어지면 에피브로모히드린(3.84g, 28mmol) 을 주사기를 통해 천천히 적가하였다. 이때 적가에 따라 플라스크 내부의 서스펜션의 색이 점점 진한 갈색으로 변함을 관찰하였다. 적가 이후, 4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액을 필터를 통해 여과함으로써 잔존물 중에서 염을 제거하고, 여과액은 적당량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희석한 후 분액 깔대기에 옮겼다. 증류수 및 식염수로 차례로 세척하고, 유기층의 수분제거(MgSO4) 및 여과, 감압 농축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에틸아세테이트=1:1)로 분리하여 투명한 오일로 아이소소바이드에 에폭시(epoxy)가 형성된 화합물(a)을 얻었다(1.1g, 4.3mmole, 63 %).
단계 1의 반응은 아래의 표시된 반응식 4와 같다.
[반응식 4]
Figure 112017106333312-pat00009
(단계 2)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상기 단계 1에 따라 합성된 화합물(a) (1g, 3.8mmol), 디페닐 피크릴히드라질(Diphenyl picrylhydrazyl) (10mg, 0.6mmol), 및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7mL, 78mmol)을 넣고 교반하였다. 이후, 테트라에틸아민(TEA)을 3방울 적가하고 10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진한 갈색의 반응액이 얻어졌으며 이 반응액을 분액 깔대기에 옮겨 20wt% NaHCO3 수용액으로 5회 씻어주고 물/에틸아세테이트 (water/E.A)로 처리하였다. 처리된 결과물의 유기층을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2, v/v)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점성이 있는 무색의 화합물(IsoGMA)을 제조하였다(1.23g, 2.9mmole, 75%).
단계 2의 반응은 아래의 표시된 반응식 5와 같다.
[반응식 5]
Figure 112017106333312-pat00010
비교예 2: IsoGMA 조성물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IsoGMA 화합물에 camphoquinone/ethyl-4-dimethylamino benzoate (1:2)로 구성된 개시제 1wt%를 첨가하였고, Planetary vacuum mixer를 이용하여 2000rpm에서 3분씩 3회 혼합하여 비교예 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2]
Figure 112017106333312-pat00011
비교예 3: BisGMA / TEGDMA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BisGMA) 3g 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TEGDMA) 2g을 정량 후 (BisGMA:TEGDMA = 6:4 중량비(wt%)), Planetary vacuum mixer를 이용하여 2000rpm에서 3분씩 3회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3]
Figure 112017106333312-pat00012
[화학식 4]
Figure 112017106333312-pat00013
비교예 4: BisGMA / TEGDMA 조성물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BisGMA/TEGDMA 화합물에 camphoquinone / ethyl-4-dimethylamino benzoate (1:2)로 구성된 개시제 1 wt%를 첨가하였고, Planetary vacuum mixer를 이용하여 2000rpm에서 3분씩 3회 혼합하여 비교예 4의 BisGMA/TEGDMA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압축강도(Compressive Strength) 및 굴곡강도(Flexural Strength) 분석
도 2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압축강도, 도 3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굴곡강도의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압축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편은 원통형 (Φ x L = 4 x 6 mm) SUS몰드에 준비된 레진 혼합물을 채워 넣고 3M사의 ESPE EliparTM S10의 Spot cure장치를 이용하여, 앞 뒷면에 40초간 가시광을 조사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굴곡강도 측정을 위한 시편은 직육면체 형 (H x W x L = 2 x 2 x 25 mm) SUS몰드에 혼합물을 채워 넣고 Spot cure장치를 이용하여, 각 면을 4등분하여 각각 20 초간 가시광을 조사하였고, 반대편도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은 만능시험기 UTM(Universal Testing Machine) Shimadzu AGS-X를 사용하여, Lord Sell 5000N, crosshead speed 1mm/min 조건에서 압축강도를 측정하였으며, Lord Sell 10N, crosshead speed는 1mm/min 조건에서 굴곡강도를 측정하였다. 국제규격시험(압축강도: ISO9917, 굴곡강도: ISO4049)에 준하여 측정을 수행하였다.
도 2 및 3에 따르면,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압축강도와 굴곡강도는 비교예 2 및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과 유사한 수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레진 수축률(Shrinkage resin compare)분석
도 4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레진 수축률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수축률을 측정하는 방법은 1 mL의 조성물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적하하고 stainless steel plate를 덮은 후, 슬라이드 글라스 밑에서 빛을 조사하여 시료가 조사한 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는 것을 LVDT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ducer)를 이용하여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도 4에 따르면,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레진 수축률은 비교예 2 및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보다 수축률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이 비교예 2 및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화수축률이 낮아 치수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며, 접착 시 박리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시험예 3: 수분흡수도(Water Sorption)분석
도 5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수분흡수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수분 흡수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용 시편은 원통형 SUS몰드에 (Φ x L = 15 x 1 mm) 준비된 레진 혼합물을 채워 넣고, 3M사의 ESPE EliparTM S10의 Spot cure장치를 이용하여 가운데와 가운데를 기점으로 주변 8곳을 각각 20초 동안 가시광을 조사하여 제조하였다. 수분 흡수도 측정은 국제규격시험(ISO4049)에 준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준비된 시편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이때 시편의 무게가 일정하게 나올 때까지 드라이 시켜주었다. 이 무게가 M0이고 이 시편을 인산염 버퍼 용액(Phosphate buffer solution, PBS, pH = 7.41) 10ml가 담긴 바이알에 넣어 7일간 37℃ 오븐에 방치시킨 후 꺼내어 시편 표면을 부드럽고 흡수성 좋은 종이로 닦아 주었다. 그 후, 데시케이터에 1시간 동안 넣어 건조시킨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편의 무게가 일정할 때까지 드라이 시켜주었다. 이 무게를 M7이라고 한다. 수분 흡수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하였다.
WS(㎍ / mm3) = M7 - M0 / V
여기서, V는 sample의 초기 부피이다.
도 5에 따르면,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이 비교예 2 및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비해 낮은 수분 흡수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며, 물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6)

  1. 치과용 충전재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구조식 1]
    Figure 112019003717822-pat00014

    구조식 1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고,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C6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이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17106333312-pat00015
  5.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a) 화합물 1을 화합물 2와 반응시켜 화합물 3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은 치과용 충전재에 사용하기 위한 것인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19003717822-pat00016

    상기 반응식 1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고,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C6 알킬기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가 -10 내지 5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가 에스테르화 반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친핵성 촉매 및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친핵성 촉매가 디메틸아미노피리딘(Dimethylaminopyridine), 피롤리디닐피리딘(4-(1-pyrrolidinyl)pyridine), 2-할로피리딘염(2-halopyridinium salts) 및 1-토실이미다졸(1-tosylimidazol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가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N,N'-Dicyclohexylcarbodiimide), TBTU(2-(1H-benzotriazole-1-yl)-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TATU(2-(1H-7-azabenzotriazole-1-yl)-1,1,3,3-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및 COMU(1-[(1-(cyano-2-ethoxy-2-oxoethylideneamiooxy)dimethylaminomorpholino methylene)]methanaminium hexafluorophosph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2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및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acryl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12. 제1항의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치과용 재료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항의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개시제; 를
    포함하는 치과용 재료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항의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100중량부; 및
    상기 개시제 0.1 내지 5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재료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가 광중합 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재료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가 캄포퀴논(camphoquinone), 에틸-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ethyl-4-dimethylamino benzoate), 3차 아민 개시제, 디페닐요오도늄 클로라이드, 디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요오도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톨릴쿠밀요오도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아실, 비스아실 포스핀 산화물,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산화물,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 포스핀 산화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 포스핀 옥시드,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및 에틸2,4,6-트리메틸벤질페닐 포스피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재료 조성물.
KR1020170140825A 2017-10-27 2017-10-27 광경화형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90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825A KR101990030B1 (ko) 2017-10-27 2017-10-27 광경화형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825A KR101990030B1 (ko) 2017-10-27 2017-10-27 광경화형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223A KR20190047223A (ko) 2019-05-08
KR101990030B1 true KR101990030B1 (ko) 2019-06-17

Family

ID=6658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825A KR101990030B1 (ko) 2017-10-27 2017-10-27 광경화형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9668B (zh) * 2022-01-20 2023-06-30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一种异山梨醇衍生物及基于异山梨醇结构的窝沟封闭剂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ILEY InterScience, DOI: 10.1002/jbm.a.30902(2006.09.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223A (ko)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840B1 (ko) 광경화성 디안히드로헥산헥솔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ES2676430T3 (es) Polímeros curables
ATE523542T1 (de) Photopolymerzusammensetzungen für optische elemente und visuelle darstellungen
CN106661153B (zh) 聚合性单体及其制造方法、固化性组合物以及树脂部件
JP6745283B2 (ja) 多官能性アクリレートへの第2級アミンアミノアルコールの付加から生じた高官能性アミノアクリレート−アクリレートウレタン
CN103987734B (zh) 双组分固化性树脂组合物
KR101694385B1 (ko) 광경화형 4-관능성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37887B1 (ko)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치과용 충전재 조성물
KR101990030B1 (ko) 광경화형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WO2016031829A1 (ja) 重合性単量体、重合性単量体の製造方法、硬化性組成物および樹脂部材
EP2482787A2 (en) Novel multifunctional molecules for dental bonding applications having improved adhesion
Mathias et al. Synthesis of new hydroxylated monomers based on methacrylate, dimethacrylate, and tetramethacrylate michael adducts and photopolymerization kinetics of bulk cross-linkers
JP6995357B2 (ja) 高誘電率を有する官能基を有する酸性基含有重合性単量体
KR101916876B1 (ko) 흡수성이 개선된 광경화형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94367B1 (ko) 접착 재료, 이를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 및 상기 접착 조성물의 경화 방법
KR101798403B1 (ko) 광경화형 2-관능성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33446B1 (ko) 비스퓨란 유도체 화합물,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Yang et al. Biobased Epoxies Derived from Myrcene and Plant Oil: Design and Properties of Their Cured Products
JP2011225469A (ja) フルオレン化合物
JP7090884B2 (ja) 高誘電率を有する官能基を有する酸性基含有重合性単量体
CN104507999A (zh) 硬化剂组合物、及含有该硬化剂组合物的环氧树脂组合物
TWI573823B (zh) 陽離子聚合起始劑、硬化劑組成物及環氧樹脂組成物
KR20140090140A (ko) 신규 하이드라지드 화합물 및 그것을 사용한 수지 조성물
JP2014009274A (ja) 新規な四価アルコールのエステル
JPH0674235B2 (ja) 含フッ素ビスフェノール基を骨格とするジアクリレートまたはジメタクリレートおよびこれらを成分とする高分子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