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882B1 - 오일여과기능을 구비한 튀김장치 - Google Patents

오일여과기능을 구비한 튀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882B1
KR101989882B1 KR1020170092155A KR20170092155A KR101989882B1 KR 101989882 B1 KR101989882 B1 KR 101989882B1 KR 1020170092155 A KR1020170092155 A KR 1020170092155A KR 20170092155 A KR20170092155 A KR 20170092155A KR 101989882 B1 KR101989882 B1 KR 10198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ing band
oil
band portion
si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034A (ko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최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호 filed Critical 최준호
Priority to KR102017009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8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을 담고 있고 히터가 내장된 한 쌍의 오일저장통 사이에 링밴드부를 개재시키되, 수평선에 대칭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링밴드부에 대하여 한 쌍의 오일저장통 각각이 선회가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링밴드부를 베이스 프레임에 상기 한 쌍의 오일저장통이 뒤집어 질 수 있도록 선회 가능하게 장착하고, 링밴드부 내에 탈착이 가능하게 거름망을 장착시키고, 상기 링밴드부의 내부에 진공원에 접속된 유통관을 접속시킨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일여과기능을 구비한 튀김장치{frying apparatus provided with oil filtering function}
본 발명은 오일여과기능을 구비한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튀김요리는 식용유를 170~180℃ 정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음식물의 재료를 가열된 식용유 내에 투입하여 조리하는 조리 방법의 하나이며, 튀김 요리의 조리 시간은 대체적으로 10~15분 이내이다. 따라서 튀김 요리는 찌거나 굽거나, 삶거나 하는 등의 타 요리 방식에 비하여 조리 시간이 짧고 조리 기구가 간편하며, 조리 과정도 단순하고 요리의 맛도 좋아 가장 대표적인 간편 음식의 조리 형태로 많이 애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만 닭튀김 전문점이 4~5만개 정도 성업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튀김 요리는 조리 시에 음식물에서 떨어져 나온 여러 이물질이 식용유에 혼입되게 되며, 이러한 식용유를 그대로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조리에 사용하게 되면, 조리된 음식물의 맛이 변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등 튀김요리의 상품가치가 현격히 떨어지게 되고, 더욱이 이들 이물질들은 식용유의 산패를 촉진시켜서, 식용유의 유효기간을 대폭 짧아지게 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장시간 반복 사용되어 불순물이 많이 혼합된 식용유는 재활용을 하지 못하고 버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따라서 경제적으로 손실은 물론 환경오염을 가중시키는 문제점등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튀김장치가 한국등록실용 제20-032477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튀김장치는 튀김장치에 오일여과수단을 구비시켜, 튀김장치에서 사용된 오일을 오일여과수단에 보내어 이를 필터에 의해 여과하여 이를 다시 튀김장치에 공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튀김장치는 본체에 마련된 오일저장용기에 담겨진 오일을 오일필터통에 보내고 이를 다시 오일저장용기에 복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오일을 여과하여 순환시키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조리할 때마다 오일을 여과시키지 못하며, 영업종류 후에나 오일을 여과시킬 수 있어서, 이를 영업용으로 이용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상기 개시된 튀김장치에서는 오일저장용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한 후에 파생된 음식물 부스러기 중 중량이 나가는 부스러기는 오일저장용기의 바닥 쪽에 위치하고, 가벼운 부스러기는 오일저장용기의 오일의 액면 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오일흡입관을 오일저장용기의 바닥에 위치시키면, 액면에 위치된 가벼운 부스러기를 오일필터통으로 보낼 수 없고, 오일흡입관을 오일저장용기의 액면에 위치시키면 중량이 나가는 부스러기를 오일필터통으로 보낼 수 없어서, 조리에 사용된 오일을 완벽하게 여과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동으로 조밀한 메시를 가진 거름망을 오일저장용기에 담겨진 오일 속에 넣고 휘저어 이들을 걷어내는 것이 고려될 수 있지만, 거름망이 조밀하면 할수록 휘저어 걷어내는 작업이 작업자의 보다 큰 힘을 요구하고, 오일저장용기 모서리 부근에 존재하는 부스러기는 거름망이 상기 모서리 부근에 접근하지 못하여 걷어낼 수가 없어서, 오일 여과효율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오일을 담고 있고 히터가 내장된 한 쌍의 오일저장통 사이에 링밴드부를 개재시키되, 수평선에 대칭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링밴드부에 대하여 한 쌍의 오일저장통 각각이 선회가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링밴드부를 베이스 프레임에 상기 한 쌍의 오일저장통이 뒤집어 질 수 있도록 선회가 가능하게 장착하고, 링밴드부 내에 탈착이 가능하게 거름망을 장착시키고, 상기 링밴드부의 내부에 진공원에 접속된 유통관을 접속시킨 튀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한 쌍의 오일저장통 중 하부에 위치된 제1오일저장통에 오일을 저장 가열시킨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된 제2오일저장통을 열어서 음식물을 제1오일저장통에 넣고 나서, 거름망을 링밴드부에 장전한 다음, 개방된 제2오일저장통을 제2오일저장통에 마련된 제2드레인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다시 닫고, 오일을 계속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한 후, 제2드레인밸브를 잠근 뒤, 상기 한 쌍의 오일저장통을 뒤집어서, 상기 거름망에 조리된 음식물과 조리시 음식물에서 파산된 부스러기를 거름망에 걸리게 하면서 정제된 오일만 거름망을 통과시켜서 하부에 위치된 제2오일저장통으로 이동시킨 후, 상부에 위치된 제1오일저장통을 개방하여 상기 거름망을 링밴드부에서 분리하여 빼내면 자연스럽게 조리된 음식물을 취득하면서 오일을 여과시키는 일련의 작업이 수행 완료되게 되고,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반복하게 되면, 조리시마다 조리된 음식물을 취득하면서도 동시에 오일여과를 수행할 수 있어서, 종래보다 현저하게 오일여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욱이, 필요시에는, 상기 거름망의 성긴 메시(고운망사와 같은 거름망)보다 구멍이 작은 메시를 가진 낙하산천과 같은 조밀한 거름망을 링밴드부에 장착한 후, 위에 위치된 제1오일저장통에 마련된 제1드레인밸브를 열고 상기 유통관을 진공원에 유통시키면, 음압에 의해 미세한 이물질까지 걸러지고 정제된 오일만이 조밀한 거름망을 통과하여 하부에 위치된 제2오일저장통으로 이동하여서 확실하게 음식물의 부스러기가 깨끗하게 걸러진 정제된 오일을 얻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튀김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링밴드부와 거름망부의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도 3은 도 2의 거름망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튀김장치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튀김장치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튀김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서 기립되어 수평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서 마주하게 마련된 한 쌍의 축받이(11), 상기 한 쌍의 축받이(11)에 한 쌍의 회전축(21, 22)을 개재하여 수평방향에서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링밴드부(20), 수직방향에서 상기 링밴드부(20)를 사이에 두고 수평선에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링밴드부(20)에 힌지축을 개재하여 기밀적으로 개폐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도시되지 않은 히터가 내장된 한 쌍의 오일저장통인 한 쌍의 튀김통(30), 상기 링밴드부(20)에 상기 한 쌍의 튀김통 사이에 마련된 한 쌍의 시트부(31)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스커트 단면 형상의 거름망부(40),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축(21, 22) 중 하나의 회전축(21)에 유통하게 접속되어 상기 회전축(21)을 경유하여 상기 링밴드부(20)의 내부와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는 진공원(6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진공원(60)을 상기 링밴드부(20)의 내부와 선택적으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21)이 관형튜브로 되어서 해당 상기 축받이(11)를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관통된 상태에서 회전축(21)의 일단은 상기 링밴드부(20)의 둘레부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링밴드부(20)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21)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1)에 외접된 로터리 조인트(50)에 일단이 접속되고 도중에 개폐밸브(V1)가 개재된 유통관(61)의 타단이 상기 진공원(6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로터리 조인트(50)에는 상기 회전축(21)이 삽입될 수 있는 보어(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어(51)와 상기 회전축(21) 사이에는 복수개의 베어링(52) 및 리테이너(58)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보어(51)의 튀김통측 단부에는 외부와 유통되지 않도록 패킹링(53)이 개재되어 제1덮개(54)가 밀봉적으로 그리고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터리 조인트(50)은 관형튜브인 상기 회전축(21)의 내부와 유통시키기 위해 유통보어(5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통보어(55)는 유통관(61)을 경유하여 진공원(60)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21)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 제2덮개(56)가 O링(57)을 개재하여 상기 로터리 조인트(5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튀김통(30)과 상기 링밴브부(20) 사이에는 한 쌍의 패킹링(32)이 개재되어 있고, 이들을 기밀적으로 닫힘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예를 들면 한국 실용등록 제20-046771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공지된 한 쌍의 클램프(33)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망부(40)를 상기 한 쌍의 튀김통(30)과 상기 링밴드부(20)에 안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시트부(31)를 마련하기 위해, 상기 링밴드부(20)의 두께가 상기 한 쌍의 튀김통(30)의 두께보다 얇게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링밴드부(20)가 한 쌍의 튀김통(30)이 마주하는 면의 외측에 상기 한 쌍의 패킹링(32)을 개재하여 마주하고 있다.
상기 거름망부(40)는, 상기 한 쌍의 시트부(31)에 도시되지 않은 패킹링을 개재하여 기밀적으로 안착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한 쌍의 플랜지(41), 상기 한 쌍의 플랜지(41) 중 하나의 플랜지(41)의 내주면에 일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다른 하나의 플랜지(41)를 향하여 링밴드부(20)의 안쪽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는 상태에서 둘레방향으로 막혀있고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스커트(42), 상기 스커트(42)의 타단에 둘레가 고정적으로 결합된, 모기장과 같은, 성긴 거름망(43a), 및 상기 한 쌍의 플랜지(41)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한 쌍의 플랜지(41)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플랜지(41)에 고정 결합된 복수개의 보강살(44)를 제1거름망부(40A)로서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망부(40)는 상기 제1거름망부(40A)에 더하여 상기 성긴 거름망(43a) 대신에 낙하산 천과 같은, 조밀한 거름망(43b)을 구비하고 있는 점만 상이하고 상기 제1거름망부(40A)의 구성과 동일한 제2거름망부(40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링밴드부(20)에는 상기 한 쌍의 튀김통(30)의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안전밸브(V2)가 마련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튀김통(30)의 천장과 바닥에는 상기 한 쌍의 튀김통(30)에 저장된 오일을 드레인시키거나 외기와 유통시키기 위한 한 쌍의 드레인밸브(V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튀김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먼저, 한 쌍의 튀김통(30) 중 위에 위치된 제1튀김통(30)을 열은 상태에서 상기 거름망부(40)를 상기 한 쌍의 튀김통(30) 밖으로 빼낸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튀김통 중 하부에 위치된 제2튀김통(30)에 오일을 저장시킨 다음, 열린 제1튀김통(30)을 닫아 조리준비를 완료한다.
그 다음, 오일을 가열한 뒤, 상부에 위치된 제1튀김통(30)을 열어서 음식물을 하부에 위치된 제2튀김통(30)의 오일에 넣고 나서, 상기 거름망부(40)의 상기 제1거름망부(40A)를 상기 거름망(43a)이 위에 배치된 자세로 상기 링밴드부(20)의 한 쌍의 시트부(31)에 장전한 다음, 개방된 제1튀김통(30)을, 제1튀김통(30)의 드레인밸브(V3)가 열린 상태에서, 다시 닫고 나서, 상기 히터에 의해 상기 제2튀김통(30)에 저장된 오일을 계속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조리가 끝나면, 제1튀김통(30)의 드레인밸브(V3)를 닫은 다음, 상기 한 쌍의 튀김통(30)을 뒤집어서, 상기 거름망(43a)이 아래로 배치되게 자세가 변경된 상기 제1거름망부(40A)에 조리된 음식물과 조리시 음식물에서 파산된 부스러기를 걸리게 하면서 제2튀김통(30)에 저장되었던 오일을 상기 거름망(43a)을 통과시켜서 하부에 위치된 제1튀김통(30)으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상부에 위치된 제2튀김통(30)을 개방하여 상기 제1거름망부(40A)를 상기 링밴드부(20)에서 빼내면, 자연스럽게 조리된 음식물을 취득하면서 오일을 여과시키는 일련의 작업이 수행 완료되게 된다.
상기 준비단계 이후의 상기된 일련의 작업을 반복하게 되면, 조리시마다 조리된 음식물을 취득하면서 오일여과를 수행할 수 있어서, 종래보다 현저하게 오일여과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시에는, 상기 제1거름망부(40A) 거름망(43a)의 성긴 메시(모기장과 같은 거름망)보다 조밀한 메시(예 : 낙하산천과 같은 거름망)를 가진 상기 제2거름망부(40B) 거름망(43b)을 링밴드부에 장착하고 나서, 상기 한 쌍의 튀김통(30)을 닫은 상태에서 뒤집은 후, 개폐밸브(V1)와 상부(뚜껑)쪽에 위치한 드레인밸브(V3)를 열어 상기 유통관(61)을 진공원에 유통시키면, 음압에 의해 오일만이 조밀한 거름망(43b)을 통과하여 하부에 위치된 튀김통(30)으로 이동하며 음식물의 잔부스러기까지 확실하게 걸러진 정제된 오일을 얻은 수 있다.
또한, 사용후 기름의 보관시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오일을 정제시킨 뒤, 한 쌍의 드레인밸브(V3)를 잠그고, 진공원을 가동하여 한 쌍의 튀김통(3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 후, 개폐밸브(V1)를 닫으면, 튀김통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튀김통 내부의 기름이 튀김통 밖의 외기에 함유된 산소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다시 사용시까지 기름을 산폐로부터 상당부분 보호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10; 베이스 프레임, 20; 링밴드부, 30; 튀김통, 40; 거름망부

Claims (3)

  1.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서 기립되어 수평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서 마주하게 마련된 한 쌍의 축받이(11),
    상기 한 쌍의 축받이(11)에 한 쌍의 회전축(21, 22)을 개재하여 수평방향에서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링밴드부(20),
    수직방향에서 상기 링밴드부(20)를 사이에 두고 수평선에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링밴드부(20)에 힌지축을 개재하여 기밀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히터가 내장된 한 쌍의 튀김통(30),
    상기 링밴드부(20)에 상기 한 쌍의 튀김통 사이에 마련된 한 쌍의 시트부(31)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스커트 단면 형상의 거름망부(40),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축(21, 22) 중 하나의 회전축(21)에 유통하게 접속되어 상기 하나의 회전축(21)을 경유하여 상기 링밴드부(20)의 내부와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는 진공원(60)을 포함하고,
    상기 거름망부(40)는,
    상기 한 쌍의 시트부(31)에 기밀적으로 안착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한 쌍의 플랜지(41),
    상기 한 쌍의 플랜지(41) 중 하나의 플랜지(41)의 내주면에 일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다른 하나의 플랜지(41)를 향하여 링밴드부(20)의 안쪽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는 상태에서 둘레방향으로 막혀있고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스커트(42),
    상기 스커트(42)의 타단에 둘레가 고정적으로 결합된 거름망, 및
    상기 한 쌍의 플랜지(41)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한 쌍의 플랜지(41)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플랜지(41)에 고정 결합된 복수개의 보강살(44)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튀김통(30)이 한 쌍의 회전축(21, 22)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됨에 의해, 상기 거름망부(40)의 상기 거름망은, 조리시에 위에 배치된 자세로 되고, 그리고 음식물 취득과 오일여과시에 아래에 배치된 자세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기능을 구비한 튀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부(40)는 거름망만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가진 제1거름망부(40A)와 제2거름망부(40B)를 세트로서 구비하고,
    상기 제1거름망부(40A)의 거름망은 성긴 거름망(43a)이고, 그리고
    상기 제2거름망부(40B)의 거름망은 조밀 거름망(43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기능을 구비한 튀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원(60)을 상기 링밴드부(20)의 내부와 선택적으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한 쌍의 회전축(21, 22) 중 하나의 회전축(21)이 관형튜브로 되어서 상기 축받이(11)를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21)의 일단은 상기 링밴드부(20)의 둘레부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링밴드부(20)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21)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1)에 외접된 로터리 조인트(50)에 일단이 접속되고 도중에 개폐밸브(V1)가 개재된 유통관(61)의 타단이 상기 진공원(60)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튀김통(30)의 천장과 바닥에는 상기 한 쌍의 튀김통(30)에 저장된 오일을 드레인시키거나 외기와 유통시키기 위한 한 쌍의 드레인밸브(V3)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기능을 구비한 튀김장치.
KR1020170092155A 2017-07-20 2017-07-20 오일여과기능을 구비한 튀김장치 KR101989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155A KR101989882B1 (ko) 2017-07-20 2017-07-20 오일여과기능을 구비한 튀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155A KR101989882B1 (ko) 2017-07-20 2017-07-20 오일여과기능을 구비한 튀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034A KR20190010034A (ko) 2019-01-30
KR101989882B1 true KR101989882B1 (ko) 2019-06-17

Family

ID=6527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155A KR101989882B1 (ko) 2017-07-20 2017-07-20 오일여과기능을 구비한 튀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787B1 (ko) 2022-05-20 2022-12-21 주식회사 에이메카텍 여과지를 이용한 오일 필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006A (ko) * 2009-11-23 2011-05-31 박준명 튀김물용 탈유기
KR101390148B1 (ko) * 2012-07-06 2014-05-07 (주)상신종합식품 유탕기
KR101636037B1 (ko) * 2014-08-21 2016-07-06 주식회사 마세다린 전기가열식 튀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787B1 (ko) 2022-05-20 2022-12-21 주식회사 에이메카텍 여과지를 이용한 오일 필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034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8985A (en) Cooking oil filtering apparatus
US3648595A (en) Food fryer with continuously filtered cooking oil
CN107318911A (zh) 一种可同时加工多种食品的小型油炸机
US3159095A (en) Deep fat pressure fryer
CN106388545B (zh) 一种榨汁滤袋
US2100951A (en) Filter
KR101989882B1 (ko) 오일여과기능을 구비한 튀김장치
US2138967A (en) Cooking basket
US3894482A (en) Cooking oil filtering
CN217089305U (zh) 天然气油炸土豆片炸锅
US20040058043A1 (en) Portable cleaning and filtering apparatus
CN207574402U (zh) 一种可同时加工多种食品的小型油炸机
US2894633A (en) Food strainer
US20180020874A1 (en) Disposable Frying Oil Filter and Filter Securing Device
KR102291053B1 (ko) 튀김장치
WO2006100385A1 (fr) Friteuse pour restauration collective,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d’une telle friteuse
CN211861641U (zh) 一种膨化食品间歇式油炸锅
CN111110008B (zh) 一种全自动炒菜设备
JPH02200222A (ja) 食品フライヤー
CN212279653U (zh) 一种新型果蔬真空油炸脱水装置
CN212185004U (zh) 一种可过滤油烟的火锅底料炒制装置
KR101414682B1 (ko) 구근류 스팀 박피방법
CN216303741U (zh) 一种食品加工用花生榨油设备
EP0320050A1 (en) A process and a device for cleaning used cooking oils and fats as well as a deep fat fryer provided with such a device
KR102383750B1 (ko) 튀김용 바스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