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148B1 - 유탕기 - Google Patents

유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148B1
KR101390148B1 KR1020120073632A KR20120073632A KR101390148B1 KR 101390148 B1 KR101390148 B1 KR 101390148B1 KR 1020120073632 A KR1020120073632 A KR 1020120073632A KR 20120073632 A KR20120073632 A KR 20120073632A KR 101390148 B1 KR101390148 B1 KR 101390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frame
main body
frying object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518A (ko
Inventor
임경헌
이순덕
Original Assignee
(주)상신종합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신종합식품 filed Critical (주)상신종합식품
Priority to KR1020120073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148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19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lowering or raising the frying bask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식용 기름에 튀겨진 어류, 육류 등의 재료를 균일하게 튀킬 수 있는 유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탕기는 오일이 채워지는 유탕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 상단에는 수평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측 연결부재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부의 하강 또는 상승에 따라 상기 본체측 유탕부에 구속되거나 해제되는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는 튀김 대상물의 종류 및 크기 별로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튀김 대상물을 클램핑하는 부분이 적어도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진 탄력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 상하 및 좌우 강제 벌림 및 수축 복원되므로 튀김 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탕기 {F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식용 기름에 튀겨진 어류, 육류 등의 재료를 균일하게 튀킬 수 있는 유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점, 치킨점 등에서는 튀김기름에 닭이나 돈까스 등의 육류나 어묵과 같은 어류 등과 같은 재료를 넣고 고온에서 튀켜 튀김류를 만든다. 근래 들어 식단이 서구화되면서 튀김의 종류도 다양화되고 있고 그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보통, 통닭이나 돈까스 등의 조리 대상물을 오일에 튀겨 조리하고자 할 때에는 통상 뚜껑이 없는 용기에 오일을 붙고 이를 가열하여 튀기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조리하는 경우에, 조리하고자 하는 재료는 오일이 끓는 일정한 온도에서 조리되기 때문에 각대상물에 따라 최적의 온도와 시간으로 조절할 수 없고, 조리 대상물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어 육질이 퍽퍽하고 부드럽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조리하는 경우에는 조리 대상물이 오일의 표면에 부유된 상태로 특히 아래 부분에만 그 열이 집중되어 전체적으로 동일 시각에 같은 정도로 튀기기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영업소에서는 집게 등을 이용하여 조리 대상물의 위치를 바꿔주거나 오일 중에 깊숙이 더 넣는 작업이 행해져 왔다. 이러는 과정 중에 조리 대상물의 외관이 훼손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등록 제20-0282435호 (2002.07.05. 등록, 고안의 명칭 "알람기능을 갖는 육류 자동 튀김기계"). 이 등록실용신안문헌에서는 튀김 대상물의 튀김 시간을 제어하여 설정된 시간 만큼 오일에 열을 가하고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알람이 울리도록 하는 튀김기계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실용신안등록문헌에는 튀김 대상물을 고르게 튀길 수 있는 방법과 튀기는 중에 튀김 대상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63819호 (2010.06.08. 등록, 발명의 명칭 "자동 튀김장치"). 이 특허문헌에서는 튀김재료가 튀김 조에 투입되어 튀김 요리가 완성되는 전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는 튀김 대상물을 고르게 튀길 수 있는 방법과 튀기는 중에 튀김 대상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 대상물을 튀기는 중에 조리 대상물의 훼손 없이 적절한 온도를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 대상물을 고르게 튀길 수 있게 하는 유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일이 채워지는 유탕부(120)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100);
상단에는 수평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250)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25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100)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부(200); 및
상기 승강부측 연결부재(250)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부(200)의 하강 또는 상승에 따라 상기 본체측 유탕부(120)에 구속되거나 해제되는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300)는 튀김 대상물의 종류 및 크기 별로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모터(27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연결부재(250)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부재(25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2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260)의 하단에 상기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30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300)는, 상기 승강부측 연장부(26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프레임(302), 상기 제1프레임(302)과 제2프레임(302)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3 및 제4프레임(304), 상기 제3프레임(304)과 제4프레임(304)를 연결하되 튀김 대상물을 끼울 수 있게 형상화된 복수의 형상부(3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3프레임(302)과 상기 제4프레임(302)은 각각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적어도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형상부(306)는 각각 좌우로 움직임이 가능한 적어도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201), 상기 지지 플레이트(201)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상화된 2개의 수직 고정부(202), 상기 수직 고정부(202)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회전판(203), 상기 회전판(203)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04), 상기 회전판(204)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변동되는 캠(206), 일측은 상기 캠(206)의 외주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높이조절바(208), 일측이 상기 제1높이조절바(208)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높이조절바(208)의 높이에 따라 함께 높이가 조절되는 제 2 높이 조절바(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높이조절바(210)는 상기 본체(100)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는 중공형의 안내부(212)의 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게 구성된다.
상기 안내부(212)의 상단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과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제2높이조절바(212)의 최대 수축 위치가 상기 안내부(212)의 상단과 같거나 그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튀김 대상물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승강부(200)의 하강 체류 시간이 설정되고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300)의 회전 속도가 설정된 메인조작반(110)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튀김 대상물을 클램핑하는 부분이 적어도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진 탄력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 상하 및 좌우 강제 벌림 및 수축 복원되므로 튀김 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튀김 대상물을 오일 중에 넣은 상태로 회전하므로 튀김 대상물의 고른 튀김을 보장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튀김 대상물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승강부의 하강 체류 시간이 설정되고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의 회전 속도가 설정된 메인조작반이 설치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탕기의 전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튀기고자 하는 재료를 튀기기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탕기의 전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튀기고자 하는 재료를 튀길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탕기의 주요 구성 중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탕기의 내부 모습 중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탕기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탕기의 전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튀기고자 하는 재료를 튀기기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탕기의 전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튀기고자 하는 재료를 튀길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탕기의 주요 구성 중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탕기의 내부 모습 중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2와 함께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탕기는 오일이 채워지는 유탕부(120)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부(200) 및 튀김 대상물을 클램핑하여 튀기고자 하는 클램핑부(3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부(200)는 상기 본체(100)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하며 이의 상단에는 수평하게 형성된 연결부재(250)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승강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201)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201)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상화된 2개의 수직 고정부(202) 및 2개의 상기 수직 고정부(202) 사이에서 회전하는 원반 형상의 회전판(203) 그리고 상기 회전판(203)을 회전시키기는 구동모터(204)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203)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변동되는 캠(206)이 장착된다. 상기 캠(206)에는 일측이 상기 캠(20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길다란 제1높이조절바(208)가 대체로 수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높이조절바(208)의 상단에는 수직으로 제2높이조절바(210)가 연결되며, 상기 제1높이조절바(208)의 상단과 상기 제2높이조절바(210)의 하단은 도 3의 "A" 부분과 같이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높이조절바(210)는 상기 본체(100)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중공형의 안내부(212)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구동모터(204)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판(203)의 회전에 따라 이들간에 설치된 캠(208)의 위치가 변동되고, 캠(208)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1높이조절바(208)의 위치와 각도가 변함에 연동하여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2높이조절바(210)가 수직으로 승하강됨으로써 그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부(200)의 상단에는 수평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250)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250)의 하부로는 이의 연장부(260)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60)의 하단에는 상기 승강부측 연결부재(250)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부(200)의 하강 또는 상승에 따라 상기 본체측 유탕부(120)에 구속되거나 해제되는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3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300)는 튀김 대상물의 종류 및 크기 별로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모터(27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300)는, 상기 승강부측 연장부(26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프레임(302), 상기 제1프레임(302)과 제2프레임(302)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3 및 제4프레임(304), 상기 제3프레임(304)과 제4프레임(304)를 연결하되 튀김 대상물을 끼울 수 있게 형상화된 복수의 형상부(30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프레임(302)과 상기 제4프레임(302)은 각각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적어도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형상부(306)는 각각 좌우로 움직임이 가능한 적어도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300)에 튀김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형상부 중의 어느 하나(304a)와 다른 하나(304b)를 잡고 벌린 후 그 안에 튀김 대상물을 넣게 되면 이들의 원위치 복원력에 의해 튀김 대상물을 클램핑하게 된다. 이때, 튀김 대상물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상기 형상부(304)가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3프레임(304)과 제4프레임(304)의 상위 가닥(304a)과 하위 가닥(304b)이 벌어져 튀김 대상물이 온전하게 클램핑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탕기에는 튀김 대상물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승강부(200)의 하강 체류 시간이 설정되고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300)의 회전 속도가 설정된 메인조작반(110)이 설치되어 있어 누가나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본체
200 : 승강부
300 :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

Claims (6)

  1. 오일이 채워지는 유탕부(120)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100);
    상단에는 수평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250)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25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100)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부(200); 및
    상기 승강부측 연결부재(250)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부(200)의 하강 또는 상승에 따라 상기 본체측 유탕부(120)에 구속되거나 해제되는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300)는 튀김 대상물의 종류 및 크기 별로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모터(27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250)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부재(25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2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260)의 하단에 상기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30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300)는,
    상기 승강부측 연장부(26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프레임(302), 상기 제1프레임(302)과 제2프레임(302)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3 및 제4프레임(304), 상기 제3프레임(304)과 제4프레임(304)를 연결하되 튀김 대상물을 끼울 수 있게 형상화된 복수의 형상부(3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3프레임(302)과 상기 제4프레임(302)은 각각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적어도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형상부(306)는 각각 좌우로 움직임이 가능한 적어도 2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201), 상기 지지 플레이트(201)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상화된 2개의 수직 고정부(202), 상기 수직 고정부(202)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회전판(203), 상기 회전판(203)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04), 상기 회전판(204)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변동되는 캠(206), 일측은 상기 캠(206)의 외주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높이조절바(208), 일측이 상기 제1높이조절바(208)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높이조절바(208)의 높이에 따라 함께 높이가 조절되는 제 2 높이 조절바(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높이조절바(210)는 상기 본체(100)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는 중공형의 안내부(212)의 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212)의 상단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과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제2높이조절바(212)의 최대 수축 위치가 상기 안내부(212)의 상단과 같거나 그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튀김 대상물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승강부(200)의 하강 체류 시간이 설정되고 튀김 대상물 클램핑부(300)의 회전 속도가 설정된 메인조작반(11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기.
KR1020120073632A 2012-07-06 2012-07-06 유탕기 KR101390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632A KR101390148B1 (ko) 2012-07-06 2012-07-06 유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632A KR101390148B1 (ko) 2012-07-06 2012-07-06 유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518A KR20140006518A (ko) 2014-01-16
KR101390148B1 true KR101390148B1 (ko) 2014-05-07

Family

ID=5014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632A KR101390148B1 (ko) 2012-07-06 2012-07-06 유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7789A (zh) * 2016-02-22 2016-05-11 孙丽君 一种糖糕油炸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882B1 (ko) * 2017-07-20 2019-06-17 최준호 오일여과기능을 구비한 튀김장치
CN107595158A (zh) * 2017-10-14 2018-01-19 嘉善县嘉洲机械有限公司 一种自升降油过滤西式炸炉
CN112825874A (zh) * 2021-01-21 2021-05-25 山东佳士博食品有限公司 一种鸡米花油炸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7789A (zh) * 2016-02-22 2016-05-11 孙丽君 一种糖糕油炸设备
CN105557789B (zh) * 2016-02-22 2017-11-03 郭婷婷 一种糖糕油炸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518A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3242B2 (en) Fryer
KR101390148B1 (ko) 유탕기
JP5881103B2 (ja) フライヤ装置
KR102083784B1 (ko) 시간 조절이 가능한 튀김망 상하 이송장치
KR101848570B1 (ko) 불판 높이가 조절되는 고기 구이용 로스터
CN209090797U (zh) 智能温控的自动炒菜机
KR101508654B1 (ko) 자동 꼬치구이 장치
CN212630544U (zh) 一种无人厨房机器人用炒菜装置
CN210095472U (zh) 可摆动食材烫煮辅助装置
CN208388450U (zh) 一种自动无烟烧烤机的传动机构
US2588091A (en) Combination rotisserie and oven
CN105231862A (zh) 一种加工汉堡的活动支架烤盘的使用方法
CN205215035U (zh) 侧部加热汉堡的活动支架烤盘
KR101515228B1 (ko) 바비큐 그릴
CN210185360U (zh) 一种升降火锅
CN205215034U (zh) 侧部加热汉堡的食物夹烤盘
CN108742118A (zh) 智能温控的自动炒菜机
KR101088858B1 (ko) 회전식 꼬치 구이기
CN210055711U (zh) 食材烫煮辅助装置
CN208551163U (zh) 一种用于调味料加工的炒料机
CN220734367U (zh) 一种自动控制温度和速度的辣椒煮沸机
CN208388451U (zh) 一种自动无烟烧烤机
CN105231868A (zh) 一种侧部加热升降烤盘的使用方法
CN105411412A (zh) 侧部加热汉堡的活动支架烤盘的使用方法
CN105266617A (zh) 侧部加热汉堡的活动支架烤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