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467B1 - 손떨림 보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손떨림 보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467B1
KR101989467B1 KR1020120141592A KR20120141592A KR101989467B1 KR 101989467 B1 KR101989467 B1 KR 101989467B1 KR 1020120141592 A KR1020120141592 A KR 1020120141592A KR 20120141592 A KR20120141592 A KR 20120141592A KR 101989467 B1 KR101989467 B1 KR 101989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ctuator
focal length
ratio
moving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5603A (ko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2/01065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85355A1/en
Priority to US14/361,214 priority patent/US9215373B2/en
Priority to TW101146423A priority patent/TWI630423B/zh
Publication of KR20130065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5Blur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손떨림 보정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은, 카메라의 틸트에 의한 각속도를 수신하고, 상기 각속도로부터 상기 제2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제1구동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제1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하여,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증폭한 제2구동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떨림 보정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HAND BLUR}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조도 환경에서는 카메라 모듈의 노출 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이 경우에 움직이는 타겟(target)에 의한 모션 블러(motion blur) 혹은 손떨림에 의한 핸드 블러(hand blur) 와 같은 이미지 블러 문제점이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동영상 촬영에서도 외부 흔들림에 의한 틸트(tilt) 발생시, 카메라 모듈의 흔들림에 의한 안정적인 동영상 촬영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광학식 이미지 안정화 장치(Optical Image Stablizer; OIS)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이 보급되고 있다.
OIS는 액추에이터(actuator)의 형태로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며, 자동초점(Auto Focus; AF) 액추에이터와 함께 렌즈를 쉬프트(shift)한다. OIS는 렌즈(lens) 또는 렌즈를 탑재하고 있는 베럴(barrel)을 수평방향으로 쉬프트(shift)하거나 또는 카메라 자체를 요(yaw) 또는 치피(pitch) 방향으로 틸트(tilt)할 수 있는 기구적 액추에이터를 말한다.
그러나 종래의 OIS 카메라 모듈에서는, 줌(zoom)이나 AF와 같은 초점거리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고정 초점거리에서의 렌즈 쉬프트 혹은 틸트 보정을 적용하고 있어, 초점거리가 변화할 때 기존 고정초점의 정보가 불일치하여 보정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렌즈의 이동거리에 따른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계산하여, 광학식 이미지 안정화장치(OIS)의 보정에러를 최소화하는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초점(AF)/줌을 위한 제1액추에이터와 광학적 이미지 안정화장치(OIS)를 위한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 블러를 보정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보정장치는, 카메라 모듈의 틸트에 의한 각속도 정보로부터, 상기 제2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제1구동신호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1액추에이터에 의해 렌즈의 초점거리가 변화한 경우,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증폭한 제2구동신호를 결정하는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틸트에 의한 각속도를 검출하는 각속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제1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구동부는, 렌즈이동에 따른 코드정보를 상기 계산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계산부는, 렌즈이동에 따른 상기 코드정보로부터 렌즈의 이동거리를 결정하여, 상기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렌즈이동에 따른 상기 코드정보에 해당하는 렌즈의 이동거리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계산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렌즈의 이동거리를 수신하여, 상기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제2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속도를 적분치환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이 틸팅한 각도를 구하고, 상기 틸팅한 각도로부터 보정 스트로크를 구하여, 상기 보정 스트로크로부터 상기 제1구동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AF/줌을 위한 제1액추에이터와 OIS를 위한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서,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 블러를 보정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보정방법은, 카메라의 틸트에 의한 각속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각속도로부터 상기 제2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제1구동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하여,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증폭한 제2구동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구동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속도를 적분치환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이 틸팅한 각도를 구하는 단계; 상기 틸팅한 각도로부터 보정 스트로크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 스트로크로부터 상기 제1구동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의 이동에 따른 코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코드정보로부터 상기 렌즈의 이동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렌즈이동에 따른 코드정보에 해당하는 렌즈의 이동거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2101652316-pat00001
단,
Figure 112012101652316-pat00002
는 제2구동신호,
Figure 112012101652316-pat00003
는 제1구동신호이며,
Figure 112012101652316-pat00004
는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구동신호 또는 상기 제2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제2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의 롤축상 이동거리(D)에 따른 유효초점거리(EFL)의 비율을 계산하고 이를 OIS 액추에이터의 구동신호에 반영함으로써, 렌즈의 초점거리 변화에 대응하여 이미지 블러를 보정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렌즈의 초점거리 변화에 대응하여 이미지 블러를 보정함으로써, OIS 보정에러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의 렌즈 초점거리 변화에 따른 블러 보정에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광학식 이미지 안정화장치(Optical Image Stableizer; OIS)를 구비하는 가지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의 초점거리 변화에 따른 블러 보정에러를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의 렌즈 초점거리 변화에 따른 블러 보정에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면에서, P를 인피니티(infinity; I)에서의 렌즈의 주점(priciple point)의 위치라 하면, P에서 센서면(100)까지의 롤(roll)축(R)상의 거리는 유효초점거리(Effective Focal Length; EFL)이다.
이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이 손떨림에 의해 요(yaw)축 또는 피치(pitch)축으로 θ만큼 틸트(tilt)가 발생한 경우, 센서면(100)에서는 R축의 중심에서 이미지가 이동하게 되므로, 블러가 발생한다. 이 경우, 이미지 블러에 대한 보정 스트로크(S)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2101652316-pat00005
이때의 보정할 픽셀량은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2101652316-pat00006
즉, OIS 액추에이터는 EFL이 고정인 경우, [수학식 1]의 θ만큼 틸트가 발생하는 경우, [수학식 2]의 픽셀을 보정하기 위하여 [수학식 1]의 거리 S만큼 보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자동초점(Auto Focus; 이하 'AF'라 함) 또는 줌 액추에이터에 의해 렌즈가 R축을 따라 P'에 위치하여, 초점거리가 변화하면, 렌즈의 이동거리 D에 의한 스트로크의 변화 ΔS는 다음의 [수학식 3]와 같다.
Figure 112012101652316-pat00007
따라서, 블러를 보정하기 위한 토탈 스트로크는 S+ΔS가 되어야 하지만,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초점거리의 변화에 의한 스트로크의 변화는 대처하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어, 렌즈가 요축으로 1도만큼, 피치축으로 0.8도만큼 틸트가 발생하고, AF 또는 줌 액추에이터에 의해 렌즈가 0.2mm만큼 초점거리가 변화된 경우, 초점거리 변화에 따른 이미지 블러의 증가량, 즉 OIS가 보정해야 할 블러량은 다음과 같다(유효초점거리(EFL)은 4.24mm, 이미지 센서의 픽셀 피치는 0.0014mm라 하자. 이는 일반적인 수치이다).
Figure 112012101652316-pat00008
Figure 112012101652316-pat00009
즉, 렌즈가 0.2mm 이동한 경우, 요축 블러 증가량은 2.5픽셀이고, 피치축 블러 증가량은 2.0픽셀이다. 따라서, AF 또는 줌 액추에이터에 의해 롤축 상에서 초점거리가 변화할 경우, 변화한 초점거리에 해당하는 스트로크의 변화를 반영하여 블러를 보정하여야 한다.
OIS 보정율을 백분율 수치 R이라 하면, D=0인 경우에 OIS 보정편차 에러는 다음 [수학식 5]와 같고, AF 또는 줌 액추에이터에 의해 렌즈의 이동거리 D만큼 초점거리의 변화가 생겼을 때 OIS 보정에러는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112012101652316-pat00010
Figure 112012101652316-pat00011
예를 들어, 0.95(즉, 95%)의 보정율을 가지는 OIS 카메라는 0.05(5%)의 에러가 발생하며, 이러한 카메라의 경우, 초점거리가 0.2mm 변화하면, 보정에러는 다음 수학식과 같이 4.27%P 증가한다.
Figure 112012101652316-pat00012
특히, 줌 카메라 모듈의 경우, 이동거리 D가 AF 카메라모듈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초점거리 변화에 따른 블러 픽셀이 증가하며, 따라서, 에러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위 [수학식 1] 및 [수학식 3]에 의하면, ΔS는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2101652316-pat00013
Figure 112012101652316-pat0001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는, AF/줌 액추에이터에 의해 초점거리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 렌즈의 이동거리(D)에 대한 유효초점거리(EFL)의 비율을 계산하여, OIS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위한 구동신호를 변화시켜, 이미지 블러를 보정함으로써, OIS 보정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손떨림 보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보정장치(20)는, 카메라 모듈부(10)의 각속도센서(12)로부터 틸트에 의한 각속도를 수신하여, 이로부터 AF/줌 액추에이터(11)와 OIS 액추에이터(13)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구동부(21), OIS 제어부(22), 제2구동부(23), 비율계산부(24), 및 증폭부(25)를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부(10)는 AF/줌 액추에이터(11), 각속도 센서(12), OIS 액추에이터(13) 및 저장부(14)를 포함한다.
다만, 카메라 모듈부(10)와 손떨림 보정장치(20)의 상세구성은 편의상 구분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이 혼재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의 내에 손떨림 보정장치(20)가 제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OIS 제어부(22)는, 각속도센서(12)로부터 카메라 모듈(10)의 각속도(ω)를 수신하여, 이를 적분치환하여 카메라가 틸팅한 각도 θ를 구하고, [수학식 1]로부터 θ에 해당하는 보정 스트로크 S를 결정한다. 또한, 보정 스트로크 S를 이용하여 OIS 액추에이터(13)의 구동을 위한 전기적 구동신호 ΔV를 결정할 수 있다.
제1구동부(21)는 렌즈의 초점거리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 렌즈의 이동에 따른 코드정보를 비율계산부(24)에 전달한다.
저장부(14)는 렌즈이동에 따른 코드정보에 해당하는 이동거리(D)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저장부(14)는 예를 들어, OTP(One-Time Programmable)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일 수 있다.
비율계산부(24)는 저장부(14)로부터 렌즈의 이동거리(D) 정보를 수신하여, 렌즈의 이동거리(D)에 대한 유효초점거리(EFL)의 비율을 계산한다. 일반적으로 유효초점거리(EFL)는 카메라의 제작시 결정되어 있는 것이다. 즉, 비율계산부(24)는 다음 [수학식 9]의 비율을 계산한다.
Figure 112012101652316-pat00015
한편, 피드백 AF와 같은 폐루프 시스템(Closed Loop System)의 경우, 피드백되는 렌즈이동에 따른 코드정보를 이용하여 비율계산부(24)가 렌즈의 이동거리(D)를 직접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저장부(14)는 렌즈이동에 따른 코드정보에 해당하는 초점거리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비율계산부(24)가 이를 산술계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증폭부(25)는 비율계산부(24)로부터 렌즈의 이동거리(D)에 대한 유효초점거리(EFL)의 비율을 수신하여, 렌즈의 이동에 따라 구동신호를 증폭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OIS 액추에이터(13)가 렌즈를 회전하여야 하는 스트로크인 S+ΔS는 다음의 [수학식 10]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2101652316-pat00016
따라서, 증폭부(25)는 OIS 제어부(22)로부터 수신한 구동신호 ΔV를 다음 수학식의 ΔV'로 증폭한다.
Figure 112012101652316-pat00017
이와 같이 증폭부(25)가 증폭된 구동신호를 제2구동부(23)에 전달하면, 제2구동부(23)는 OIS 액추에이터(13)를 증폭된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이미지 블러를 보정한다. 제2구동부(23)는, 예를 들어, 드라이버 IC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손떨림 보정방법은, 카메라 모듈부(10)의 각속도센서(12)로부터 카메라의 틸트에 의한 각속도 ω를 수신한다(S41). 각속도 ω를 수신한 OIS 제어부(22)는 이를 적분치환하여 카메라가 요축 또는 피치축을 중심으로 틸팅한 각도 θ를 구하고, 각도 θ에 해당하는 보정 스트로크 S를 구한다. 이후, OIS 제어부(22)는 보정 스트로크 S를 이용하여, OIS 액추에이터(13)의 구동을 위한 전기적 구동신호 ΔV를 결정한다(S42).
제1구동부(21)가 AF/줌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제1구동부(21)로부터 렌즈의 초점거리가 변화한 것을 수신한 경우(S43), 제1구동부는 렌즈이동에 따른 코드정보를 비율계산부(24)에 전달한다.
비율계산부(24)는 렌즈이동에 따른 코드정보에 해당하는 렌즈의 이동거리(D) 정보를 저장부(14)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직접 코드정보에 해당하는 렌즈의 이동거리(D)를 계산하여, 렌즈의 이동거리(D)에 대한 유효초점거리(EFL)의 비율을 결정한다(S44).
증폭부(25)는 렌즈의 이동거리(D)에 대한 유효초점거리(EFL)의 비율을 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OIS 액추에이터(13)의 구동을 위한 전기적 구동신호 ΔV를 [수학식 11]에 의해 ΔV'으로 증폭한다(S45).
제2구동부(23)는 증폭부(25)가 증폭한 전기적 구동신호 ΔV'에 의해 OIS 액추에이터(13)를 구동하여(S46),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 블러를 보정할 수 있다.
종래의 OIS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AF 또는 줌 액추에이터에 의해 초점거리가 증가하여 이미지 블러가 증가하는 것을 해결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렌즈의 롤축상 이동거리(D)에 따른 유효초점거리(EFL)의 비율을 계산하여, OIS 액추에이터의 구동신호를 상이하게 제어하여 이미지 블러를 보정함으로써, OIS 보정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카메라 모듈부 11: AF/줌 액추에이터
12: 각속도센서 13: OIS 액추에이터
14: 저장부 20: 손떨림 보정장치
21: 제1구동부 22: OIS 제어부
23: 제2구동부 24: 비율계산부
25: 증폭부

Claims (15)

  1. 자동초점(AF)/줌을 위한 제1액추에이터와 광학적 이미지 안정화장치(OIS)를 위한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 블러를 보정하는 보정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의 틸트에 의한 각속도 정보로부터, 상기 제2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제1구동신호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1액추에이터에 의해 렌즈의 초점거리가 변화한 경우,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증폭한 제2구동신호를 결정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틸트에 의한 각속도를 검출하는 각속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보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제1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보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렌즈이동에 따른 코드정보를 상기 계산부에 제공하는 보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는,
    렌즈이동에 따른 상기 코드정보로부터 렌즈의 이동거리를 결정하여, 상기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계산하는 보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렌즈이동에 따른 상기 코드정보에 해당하는 렌즈의 이동거리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보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렌즈의 이동거리를 수신하여, 상기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계산하는 보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제2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보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속도를 적분치환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이 틸팅한 각도를 구하고, 상기 틸팅한 각도로부터 보정 스트로크를 구하여, 상기 보정 스트로크로부터 상기 제1구동신호를 결정하는 보정장치.
  10. AF/줌을 위한 제1액추에이터와 OIS를 위한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서,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 블러를 보정하는 보정방법에 있어서,
    카메라의 틸트에 의한 각속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각속도로부터 상기 제2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제1구동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하여,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증폭한 제2구동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속도를 적분치환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이 틸팅한 각도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틸팅한 각도로부터 보정 스트로크를 구하는 단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정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의 이동에 따른 코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정보로부터 상기 렌즈의 이동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정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렌즈이동에 따른 코드정보에 해당하는 렌즈의 이동거리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정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신호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보정방법.
    Figure 112012101652316-pat00018

    (단,
    Figure 112012101652316-pat00019
    는 제2구동신호,
    Figure 112012101652316-pat00020
    는 제1구동신호이며,
    Figure 112012101652316-pat00021
    는 렌즈의 이동거리에 대한 유효초점거리의 비율임)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신호 또는 상기 제2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제2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정방법.
KR1020120141592A 2011-12-09 2012-12-07 손떨림 보정장치 및 방법 KR101989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10653 WO2013085355A1 (en) 2011-12-09 2012-12-07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hand blur
US14/361,214 US9215373B2 (en) 2011-12-09 2012-12-07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hand blur
TW101146423A TWI630423B (zh) 2011-12-09 2012-12-10 用以補償手晃之裝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1666 2011-12-09
KR1020110131666 2011-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603A KR20130065603A (ko) 2013-06-19
KR101989467B1 true KR101989467B1 (ko) 2019-06-14

Family

ID=4886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592A KR101989467B1 (ko) 2011-12-09 2012-12-07 손떨림 보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15373B2 (ko)
KR (1) KR101989467B1 (ko)
TW (1) TWI6304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045B1 (ko) 2014-02-17 2020-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미지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US9778480B2 (en) * 2014-09-26 2017-10-03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using magnetic shape memory actuators
US10334170B2 (en) 2015-01-23 2019-06-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CN106331463B (zh) * 2015-06-26 2019-05-1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摄像头焦距放大方法及装置
US20170358101A1 (en) * 2016-06-10 2017-12-14 Apple Inc.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or Depth Sensing
CN106707658B (zh) * 2016-12-09 2022-06-10 东莞佩斯讯光电技术有限公司 能修正因镜头倾斜造成的影像模糊的方法及系统
JP6997370B2 (ja) * 2017-05-25 2022-01-1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用アクチュエータ、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搭載装置
KR20210071253A (ko) 2019-12-06 2021-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JP7404059B2 (ja) * 2019-12-18 2023-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レンズ装置、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US20230178952A1 (en) * 2021-12-08 2023-06-08 Eagle Technology, Llc Optical system for use with a vacuum chamber and associate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4489A (ja) 2008-03-31 2009-10-22 Hoya Corp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9476B2 (ja) * 2001-04-12 2009-06-17 株式会社リコー 撮影可否情報表示方法および撮影装置
JP4072348B2 (ja) * 2002-01-25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振れ補正装置、撮像装置、振れ補正方法、振れ補正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363070B2 (ja) 2003-03-26 2009-11-11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システム
TWI360017B (en) * 2004-03-08 2012-03-11 Hoya Corp Anti-shake apparatus
JP3832477B2 (ja) 2004-06-21 2006-10-11 株式会社ニコン 手ぶれ補正機能を有するカメラ
TWI384321B (zh) 2005-01-31 2013-02-01 Hoya Corp 光學影像穩定器及控制該光學影像穩定器之方法
DE602006007002D1 (de) * 2005-11-21 2009-07-09 Fujinon Corp Aktorantriebssteuerungsvorrichtung und Aktorantriebssteuerungsverfahren
JP2008151822A (ja) * 2006-12-14 2008-07-03 Pentax Corp 像ブレ補正装置
JP4488041B2 (ja) * 2007-08-02 2010-06-23 ソニー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9222899A (ja) * 2008-03-14 2009-10-01 Canon Inc 像振れ補正装置
US8432468B2 (en) * 2009-05-28 2013-04-30 Panasonic Corporation Composite low frequency cutoff filter and ima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462541B2 (ja) 2009-07-15 2014-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513029B2 (ja) * 2009-07-15 2014-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911220B2 (ja) * 2011-07-01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869812B2 (ja) * 2011-09-13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像ぶれ補正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4489A (ja) 2008-03-31 2009-10-22 Hoya Corp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33785A1 (en) 2014-11-13
TW201331630A (zh) 2013-08-01
US9215373B2 (en) 2015-12-15
TWI630423B (zh) 2018-07-21
KR20130065603A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467B1 (ko) 손떨림 보정장치 및 방법
KR102196231B1 (ko) 손떨림 보정 장치 및 그 조정 방법, 손떨림 보정 회로 및 손떨림 보정 방법과, 카메라 모듈 및 그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 방법
US8150250B2 (en) Camera body and camera system including the same
US6384976B1 (en) Image stabilizing apparatus
JP6124588B2 (ja) 像ブレ補正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WO2015156042A1 (ja) 焦点調節装置、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の焦点調節方法
JP4671705B2 (ja) 撮像装置
US20190230288A1 (en) Imaging apparatus, shake correction method, lens unit, and body unit
US8866917B2 (en) Optic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H11271831A (ja) 交換レンズ及びブレ補正カメラ
JP4683268B2 (ja) 像振れ補正装置
US76927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offset compens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offset compensation
JP4957479B2 (ja) 手振れ補正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ボディ、交換レンズ
KR102449354B1 (ko) 이미지 안정화 모듈 및 카메라 모듈
JP2006220758A (ja) ぶれ補正装置、光学機器およびぶれ補正装置の制御方法
JP5546272B2 (ja) 光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621726B2 (ja) 手ぶれ補正装置、手ぶれ補正プログラム、撮像装置、撮像プログラム
US11445115B2 (en) Image capturing and stabi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image stabilization control by moving an image sensor
JP2006064986A (ja) 画像記録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0848674B2 (en) Image stabilization device, lens unit or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stabilization method
JP4951803B2 (ja) 手振れ補正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ボディ、交換レンズ
JP4363070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20144257A (ja) 観察光学系
JP2016080892A (ja) 像ぶれ補正装置、焦点調節装置、制御ユニットおよび光学機器
JP2014232237A (ja) ブレ補正装置及び光学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