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394B1 - 차량용 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394B1
KR101989394B1 KR1020120149575A KR20120149575A KR101989394B1 KR 101989394 B1 KR101989394 B1 KR 101989394B1 KR 1020120149575 A KR1020120149575 A KR 1020120149575A KR 20120149575 A KR20120149575 A KR 20120149575A KR 101989394 B1 KR101989394 B1 KR 101989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water storage
housing
center board
componen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121A (ko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39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박스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는 부품장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12)에는 퓨즈(14)와 같은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센터보드(20)가 설치되고, 상기 센터보드(20)에는 인쇄회로기판(22)이 설치되는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커넥터부(24)와 터미널(26)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26)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2)에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터미널블럭(28)이 사용되는데, 상기 터미널블럭(28)의 상면에는 배수로(30)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30)를 따라 유동된 수분은 배수로(30) 끝부분의 제1저수공간(32)에 모여지고, 상기 제1저수공간(32)에 모여진 수분은 상기 센터보드(20)에 형성된 제2저수공간(40)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2저수공간(40)은 상기 센터보드(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저수공간(40)은 상기 센터보드(20)를 상하로 관통하는 수직배수로(42)를 통해 센터보드(20)의 외부로 수분을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박스 내부로 수분이 전달되더라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어 차량용 박스의 동작안정성과 내구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박스{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사용되는 박스의 외부에서 수분이 내부의 인쇄회로기판 등에 전달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 차량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는 다양한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박스가 사용된다. 상기 박스의 내부에는 퓨즈와 릴레이 및 인쇄회로기판 등이 설치되어 전원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박스는 그 기능에 따라 다양한 것이 있으며, 최근에는 박스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박스는 엔진룸, 트렁크, 차실의 내부 등 다양한 부분에 위치되는데, 엔진룸 등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박스의 경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스로 물이 유입되는 상황은 다양하지만, 급격하게 물이 박스로 유입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고, 적은 양의 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적은 양이 물이 유입되는 경우, 박스 내부의 인쇄회로기판이나 그에 실장된 부품에 영향을 미치면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2-0077132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의 내부로 전달된 수분이 인쇄회로기판이나 이에 실장된 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스의 내부로 전달된 수분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면에 부품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장착부를 통해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외부가 연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고 터미널과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며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직배수로를 구비하는 센터보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부품장착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면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전달된 수분이 유동되어 상기 센터보드의 수직배수로로 전달하는 배수로가 형성되는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부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터미널을 지지하는 터미널블럭이다.
상기 부품에는 상기 배수로에 연결되어 제1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보드에는 상기 제1저수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수직배수로로 수분을 전달하는 제2저수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제1저수공간과 제2저수공간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부품에는 내부에 배수유로가 형성된 배출관이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관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센터보드에 형성된 연결공에 압입된다.
상기 배출관의 배수유로 끝부분에는 낙하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낙하부는 상기 제2저수공간의 바닥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배수유로를 유동되는 수분이 상기 제2저수공간으로 직접 낙하되도록 한다.
삭제
상기 배수로는 상기 터미널블럭의 상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터미널블럭을 관통하는 상기 터미널을 둘러서는 구획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의 수분이 터미널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센터보드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저수공간은 상기 센터보드의 상면으로 개방되는데, 상기 수직배수로는 상기 제2저수공간이 상기 센터보드의 상면으로 개방된 위치에서 오프셋된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면에 부품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장착부를 통해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외부가 연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터미널과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며 내부에 제2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저수공간과 연결되고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직배수로를 구비하는 센터보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부품장착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면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전달된 수분이 유동되어 상기 센터보드의 제2저수공간으로 전달하는 배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터미널을 지지하는 터미널블럭을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블럭에는 상기 배수로에 연결되어 제1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저수공간의 수분은 상기 제2저수공간으로 상기 터미널블럭에 구비되고 내부에 배수유로가 형성된 배출관을 통해 전달된다.
상기 배출관의 배수유로의 끝부분에는 낙하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유로를 지난 수분이 상기 제2저수공간에 낙하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의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센터보드의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수직배수로의 출구가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개방된 센터보드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의 상면은 상기 제1저수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지고, 상기 센터보드의 상면은 상기 제2저수공간을 향해 하형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박스의 내부로 들어간 수분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수분에 취약한 인쇄회로기판 및 그에 설치된 부품에 수분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센터보드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부품을 지지하는 부품을 활용하여 배수경로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차량용 박스의 동작안정성 및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터보드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블럭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8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저면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은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개방된 하우징(10)의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커버(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합성수지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부품장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품장착부(12)는 다수개가 열을 지어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12)의 내부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된다. 즉,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6)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부품장착부(12)의 내부로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상기 부품장착부(12)에는 퓨즈(14)가 장착된다. 하지만, 상기 부품장착부(12)는 반드시 퓨즈(14)의 장착을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부품장착부(12)는 릴레이와 같은 부품이 장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는 장착레버(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레버(16)는 본 발명의 박스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장착레버(16)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장착레버(16)가 임의의 외력에 의해 조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보호리브(18)가 구비된다. 상기 보호리브(18)는 상기 장착레버(16)의 양측에 해당되는 하우징(10)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센터보드(20)가 구비된다. 상기 센터보드(20)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상기 센터보드(20)가 양측으로 구획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센터보드(20)는 합성수지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만들게 된다.
상기 센터보드(20)에서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양측의 2면에는 각각 인쇄회로기판(22)이 설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2)의 내부에는 회로패턴이 형성되고 표면에는 다양한 소자 등의 부품들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2)에는 커넥터부(2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부(2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박스와 외부를 연결하는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넥터부(24)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2)에는 또한 터미널(26)이 실장된다. 상기 터미널(26)은 상기 부품장착부(12)의 내부로 연장되어 선단이 부품장착부(12)의 내부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26)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2)의 표면과 상기 하우징(10)의 부품장착부(12)가 보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기 때문이다.
상기 터미널(26)이 상기 인쇄회로기판(22)에 보다 견고하게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2)에는 터미널블럭(28)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블럭(28)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22)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26)들이 관통하면서 지지된다. 상기 터미널블럭(28)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2)에만 지지되게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2)과 상기 센터보드(20)에 동시에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블럭(28)에서 상기 부품장착부(12)를 향하는 면,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면 천정을 보는 면에는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배수로(30)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30)는 상기 터미널블럭(28)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26)이 관통하는 위치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30)와 상기 터미널(26)이 관통하는 부분은 구획리브(31)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구획리브(31)는 상기 터미널(26)이 상기 터미널블럭(28)을 관통하는 부분을 둘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로(30)에 수분이 있더라도 상기 터미널(26)로는 전달되지 않게 된다.
상기 터미널블럭(28)의 일단부에 해당되는 상기 배수로(30)의 일측 끝부분에는 제1저수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저수공간(32)은 상기 터미널블럭(28)의 상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저수공간(32)은 상기 배수로(30)를 따라 흘러온 수분이 1차로 저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저수공간(32)에서 터미널블럭(28)의 외부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배출관(34)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관(34)은 상기 터미널블럭(28)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22)을 관통하여 상기 센터보드(20)에 형성된 연결공(40')에 삽입된다. 상기 배출관(34)의 내부에는 배수유로(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유로(36)는 상기 제1저수공간(32)의 수분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관(34)의 끝부분에는 낙하부(38)가 형성된다. 상기 낙하부(38)는 상기 배수유로(36)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배수유로(36)를 통과하여 온 수분이 낙하되도록 한다. 상기 낙하부(38)는 상기 터미널블럭(28) 상면의 반대쪽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낙하부(38)는 센터보드(20)에 형성된 제2저수공간(40)의 바닥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센터보드(20)에는 연결공(4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40')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게 상기 센터보드(20)의 내부에 제2저수공간(4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저수공간(40)은 그 상부가 상기 센터보드(20)의 상면,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천정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제2저수공간(40)이 반드시 위의 방향으로 개방될 필요는 없으나 센터보드(20)의 제작을 위한 금형 구조상 일측 방향으로 개방이 필요하다.
상기 제2저수공간(40)의 일측 바닥에서 상기 센터보드(2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수직배수로(42)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배수로(42)는 도 8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센터보드(20)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수직배수로(42)는 상기 제2저수공간(40)이 하우징(10)의 천정을 향해 개방된 위치에 대해 오프셋된 위치에 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배수로(42)의 출구(4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보드(20)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출구(44)를 통해 상기 수직배수로(42)를 지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센터보드(20)에 형성된 출구(44)를 통해서는 박스의 하부로 수분이 배출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박스는 엔진룸 등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박스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여하튼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 수분이 전달되는 경우에 상기 부품장착부(12) 내부로 수분이 들어갈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부품장착부(12)와 하우징(10)의 상면은 부품장착부(12)를 구성하는 측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기는 하지만, 예를 들어 상기 퓨즈(14)에 직접 수분이 전달되면 상기 퓨즈(14)와 부품장착부(12)의 사이를 통해 수분이 부품장착부(12)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품장착부(12)에는 상기 터미널(26)의 통과를 위해 관통된 부분이 있어 이 부분을 통해 수분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들어간 수분은 상기 센터보드(20)의 상면이나 상기 터미널블럭(28)의 상면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센터보드(20)의 상면에 전달된 수분은 상기 센터보드(20)에서 상기 제2저수공간(40)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센터보드(20)의 상면이 상기 제2저수공간(40)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보드(20)의 상면으로 전달된 물은 상기 센터보드(20)의 상면에서 센터보드(20)의 외측으로 전달되어 외부로 바로 배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터미널블럭(28)의 상면으로 전달된 수분은 상기 배수로(30)를 따라 유동된다. 상기 배수로(30)는 상기 제1저수공간(32)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지므로, 상기 배수로(30)로 전달된 물은 상기 배수로(30)를 따라 유동되어 상기 제1저수공간(32)으로 간다.
상기 제1저수공간(32)으로 전달되어 모아진 수분은 상기 배출관(34)의 내부에 형성된 배수유로(36)를 통과하여 상기 배수유로(36)의 끝에서 낙하부(38)를 만나 낙하되어 상기 제2저수공간(40)으로 전달된다. 즉, 상기 터미널블럭(28)에서 상기 센터보드(20)로 수분이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34)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2)을 관통하여 상기 센터보드(20)의 연결공(40')에 압입된다. 상기 배출관(34)은 상기 터미널블럭(28)을 상기 센터보드(20)에 고정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저수공간(40)으로 전달된 수분은 상기 센터보드(20)의 내부에 형성된 수직배수로(42)를 따라 센터보드(20)의 하부로 전달되고, 상기 수직배수로(42)의 출구(4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수분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인쇄회로기판(22)으로는 거의 전달되지 않고 터미널블럭(28)과 센터보드(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22)이 수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터미널블럭(28)에 하나의 배수로(30)만이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각각의 터미널블럭(28)에 배수로(30)가 터미널(26)의 열 양측에 각각 하나씩 2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배수로(30)의 끝부분에 제1저수공간(32)이 형성되고, 이들 제1저수공간(32)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센터보드(20)와 터미널블럭(28)을 활용하여 하우징(10)의 내부로 들어온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였으나, 반드시 터미널블럭(28)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2)에 설치되는 구성중 어느 하나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부품장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부품에 배수로(30)를 형성하고, 이 배수로(30)를 따라 유동된 수분을 센터보드(20)로 보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저수공간(32)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상기 배수로(30)가 직접 상기 센터보드(20)측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는 센터보드(20)의 제2저수공간(40)도 마찬가지인데, 상기 수직배수로(42)가 상기 터미널블럭(28)의 배수로(3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10: 하우징 12: 부품장착부
14: 부품 16: 장착레버
18: 보호리브 20: 센터보드
22: 인쇄회로기판 24: 커넥터부
26: 터미널 28: 터미널블럭
30: 배수로 31: 구획리브
32: 제1저수공간 34: 배출관
36: 배수유로 38: 낙하부
40: 제2저수공간 42: 수직배수로
44: 출구

Claims (12)

  1. 상면에 부품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장착부를 통해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외부가 연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고 터미널과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며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직배수로를 구비하는 센터보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부품장착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면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전달된 수분이 유동되어 상기 센터보드의 수직배수로로 전달하는 배수로가 형성되는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부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터미널을 지지하는 터미널블럭인 차량용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에는 상기 배수로에 연결되어 제1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보드에는 상기 제1저수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수직배수로로 수분을 전달하는 제2저수공간이 구비되는 차량용 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수공간과 제2저수공간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부품에는 내부에 배수유로가 형성된 배출관이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관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센터보드에 형성된 연결공에 압입되는 차량용 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배수유로 끝부분에는 낙하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낙하부는 상기 제2저수공간의 바닥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배수유로를 유동되는 수분이 상기 제2저수공간으로 직접 낙하되도록 하는 차량용 박스.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는 상기 터미널블럭의 상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터미널블럭을 관통하는 상기 터미널을 둘러서는 구획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의 수분이 터미널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량용 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보드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저수공간은 상기 센터보드의 상면으로 개방되는데, 상기 수직배수로는 상기 제2저수공간이 상기 센터보드의 상면으로 개방된 위치에서 오프셋된 위치에 형성되는 차량용 박스.
  8. 상면에 부품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장착부를 통해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외부가 연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터미널과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며 내부에 제2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저수공간과 연결되고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직배수로를 구비하는 센터보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부품장착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면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전달된 수분이 유동되어 상기 센터보드의 제2저수공간으로 전달하는 배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터미널을 지지하는 터미널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블럭에는 상기 배수로에 연결되어 제1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저수공간의 수분은 상기 제2저수공간으로 상기 터미널블럭에 구비되고 내부에 배수유로가 형성된 배출관을 통해 전달되는 차량용 박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배수유로의 끝부분에는 낙하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유로를 지난 수분이 상기 제2저수공간에 낙하되도록 하는 차량용 박스.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센터보드의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수직배수로의 출구가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개방된 센터보드의 하부에 형성되는 차량용 박스.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의 상면은 상기 제1저수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지고, 상기 센터보드의 상면은 상기 제2저수공간을 향해 하형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박스.
KR1020120149575A 2012-12-20 2012-12-20 차량용 박스 KR101989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575A KR101989394B1 (ko) 2012-12-20 2012-12-20 차량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575A KR101989394B1 (ko) 2012-12-20 2012-12-20 차량용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121A KR20140080121A (ko) 2014-06-30
KR101989394B1 true KR101989394B1 (ko) 2019-06-14

Family

ID=5113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575A KR101989394B1 (ko) 2012-12-20 2012-12-20 차량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7726A4 (en) 2019-07-11 2023-04-05 Suzhou Littelfuse OVS Co., Ltd. FUSE BRIDGE WITH BUILT-IN SOLENOI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8169A (ja) * 2007-01-16 2008-07-31 Yazaki Corp 電気接続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831B1 (ko) 2010-12-30 2012-12-2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엔진룸 정션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8169A (ja) * 2007-01-16 2008-07-31 Yazaki Corp 電気接続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121A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807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CN108736405B (zh) 电接线箱和线束
JP6309497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US8969723B2 (en) Electric junction box
JP4413945B2 (ja) 電気接続箱の排水構造体
US9992886B2 (en) Waterproof type control apparatus
JPWO2006109804A1 (ja) 電力分配装置
US9723734B1 (en) Waterproof type control apparatus
US20140338949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08067521A (ja) 充電器
JP2007336730A (ja) 電気接続箱
JP2013255351A (ja) 電気接続箱
CN106382779A (zh) 显示控制装置和冰箱
JP2004328842A (ja) 電気接続箱
KR101989394B1 (ko) 차량용 박스
KR101958671B1 (ko) 차량용 박스
WO2017213144A1 (ja) 基板ユニット
JP2007336729A (ja) 電気接続箱
KR102119650B1 (ko) 정션 블록
JP2005047427A (ja) 車両用液圧制御装置
JP4542484B2 (ja) 電気接続箱
JP5898546B2 (ja) 電子装置
JP6349160B2 (ja) 電気接続箱
CN201690172U (zh) 防水电气接线盒
JP6830733B2 (ja) 電子部品モジュールの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