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044B1 - 조명등과 연동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등과 연동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044B1
KR101989044B1 KR1020190020527A KR20190020527A KR101989044B1 KR 101989044 B1 KR101989044 B1 KR 101989044B1 KR 1020190020527 A KR1020190020527 A KR 1020190020527A KR 20190020527 A KR20190020527 A KR 20190020527A KR 101989044 B1 KR101989044 B1 KR 101989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occurred
sensing
control unit
reset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홍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19002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044B1/ko
Priority to JP2020558514A priority patent/JP7263389B2/ja
Priority to PCT/KR2020/002444 priority patent/WO2020171616A1/ko
Priority to US17/252,111 priority patent/US1118914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1Alarm cancelling procedures or alarm forwarding decisions, e.g. based on absence of alarm confi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05B37/0209
    • H05B37/021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등과 연동하여 화재 경보의 리셋을 할 수 있는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거주자도 편하게 리셋할 수 있는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과 연동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감지기는 화재에 대응한 인자를 감지하는 화재 센싱부; 및 상기 화재 센싱부의 센싱값을 사용해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조명등의 온/오프 조작 상황을 통해 리셋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등과 연동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FIRE DETECTOR HAVING A RESET FUNCTION INTERLOCKED WITH A LAMP AND METHOD FOR WARNING A FI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등과 연동하여 화재 경보의 리셋을 할 수 있는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재 감지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나 자동소화설비의 화재를 직접적으로 탐지하는 부품을 말하며,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차동식(差動式)감지기와 열의 축적을 이용한 열(熱)감지기가 있다. 그리고 공기 팽창과 열의 축적을 동시에 이용한 보상식(補償式) 및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기로 대별된다. 또한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국소 부분을 감지하는 스포트형 감지기와 전체 면적을 감지하는 분포형 감지기로 분류된다. 감지기의 종류는 차동식 스포트형, 차동식 분포형, 보상식 스포트형, 정온식 스포트형, 정온식 감지선형, 이온화식, 광전식, 열복합형, 연기 복합형, 열연기 복합형 등이 통용되고 있다.
감지기에서 받은 신호는 전원에 의해서 작동하고 있는 수신기에서 받고 더욱이 경보로 해서 벨을 작동함과 동시에 발신기에 의해 소방관서 등에 통보되기 때문에 화재경보설비를 구성하는 기기나 배선의 신뢰성, 보전은 대단히 중요하며 또 대상 건축물 등에 대한 감지기의 설치방법이나 배선의 내열, 내화 등에 관해서는 소방법규에 의해서 상세한 설치기준이 규정되어 있다.
화재 감지기는 천정에 설치된다. 따라서, 화재 감지기의 화재 경보 중 화재 경보를 중지(리셋)하기 위해서는 천정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에 접근하여 화재 감지기에 설치된 리셋 버튼을 눌러야 한다. 특히, 화재 감지기의 비화재보시에는 빠른 리셋을 통해 인근 주민 또는 이웃 주민의 혼란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다만, 독거노인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거주자는 천정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를 리셋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1. 한국등록특허 제1784424호(공고일: 2017.10.12, 전력소모를 줄인 연동식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2. 한국등록특허 제1563655호(공고일: 2015.10.27, 다기능 화재감지기)
이에,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거주자도 편하게 리셋할 수 있는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과 연동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감지기는 화재에 대응한 인자를 감지하는 화재 센싱부; 및 상기 화재 센싱부의 센싱값을 사용해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조명등의 온/오프 조작 상황을 통해 리셋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재 감지기가 설치된 공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싱부의 센싱값을 사용해 실내 공간의 조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싱부의 센싱값을 통해 조명등이 온에서 오프 또는 오프에서 온으로 변경된 경우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등의 온과 오프 간의 상태 변화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화재 경보를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방법은 제어부가 화재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제어부가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조명등의 온/오프 조작 상황을 통해 리셋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리셋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실내 공간의 조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조명등이 온에서 오프 또는 오프에서 온으로 변경된 경우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등의 온과 오프 간의 상태 변화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화재 경보를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된 조명 스위치를 통해 화재 감지기의 리셋을 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가 설치된 실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1의 화재 감지기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가 설치된 실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1의 화재 감지기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내에 천장(1)과 벽면(4)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실내는 거실일 수 있다. 천장(1)에는 조명등(2)과 화재감지기(3)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등(2)은 LED 조명등일 수 있다. 조명등(2)은 전원선(6)에 의해 상용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조명등(2)에 공급되는 전원은 벽면스위치(5)에 의해 단속될 수 있다. 벽면스위치(5)의 온/오프에 따라 조명등(2)이 온/오프될 수 있다. 화재감지기(3)는 조명등(2)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재감지기(3)는 화재 센싱부(31), 제어부(32), 경보부(33), 조도 센싱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센싱부(31)는 주지된 방식으로 화재에 대응한 인자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센싱부(31)는 연기감지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32)는 화재 센싱부(31)의 센싱값을 실시간 수신하고 이를 이용해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화재 센싱부(31)의 센싱값을 통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부(33)를 통해 음성 또는 음향으로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조도 센싱부(3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32)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동안에는 조도 센싱부(34)는 비활성 상태이며 센싱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조도 센싱부(34)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조도 센싱부(34)의 센싱값을 사용해 리셋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활성화된 조도 센싱부(34)의 센싱값을 사용해, 제어부(32)는 조명등(2)이 온 및 오프 간에 상태 변화가 있는 경우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감지된 시점에 조명등(2)이 온 상태이었고 화재가 감지된 시점 이후 벽면스위치를 통해 조명등(2)이 오프되었다면 조도가 높은 상태에서 낮은 상태로 변화되고 이를 조도 센싱부(34)의 센싱값을 통해 제어부(32)가 인식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화재가 감지된 시점에 조명등(2)이 오프 상태이었고 화재가 감지된 시점 이후 벽면스위치를 통해 조명등(2)이 온되었다면 조도가 낮은 상태에서 높은 상태로 변화되고 이를 조도 센싱부(34)의 센싱값을 통해 제어부(32)가 인식할 수 있다. 오감지를 줄이기 위해 제어부(32)는 조명등(2)의 온 및 오프 간에 상태 변화가 기 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3회)를 초과한 경우에 한해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조명등(2)이 온되었을 때 제공하는 조도값을 미리 저장하고 조도의 변화가 미리 저장된 조명등(2)이 온되었을 때 제공하는 조도값의 기 설정된 비율에 해당하면 조명등의 온/오프 간 조작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부(34)의 경보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벽면 스위치를 통해 화재 경보기를 리셋할 수 있어 거동이 불편한 자도 쉽게 화재 경보기를 리셋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리셋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이 내장된 화재 경보기를 실내에 설치하기 만 하면 리셋 이벤트 발생 여부를 조도 변화를 통해 간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조명이 설치된 실내에 화재 경보기를 설치하는 것 만으로도 간이하게 리셋 기능을 가지는 화재 경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리셋 이벤트를 조명의 조도를 통해 인지하는 방식이므로, 기존 화재 경보기에 조도 센서를 추가하고 제어부에서 조도 센서와 연동하는 사항 만을 추가하면 되므로, 기존 화재 경보기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제어부(32)가 화재 센싱부(31)의 센싱값을 사용해 실시간 화재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S31). 이때, 조도 센싱부(34)는 비활성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2)는 화재 센싱부(31)의 센싱값을 사용해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
S32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31로 복귀할 수 있다.
S32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2)는 경보부(33)를 통해 음성 또는 음향으로 경보를 제공하고, 조도 센싱부(3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33).
제어부(32)는 활성화된 조도 센싱부(34)의 센싱값을 사용해 리셋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4). 이때, 활성화된 조도 센싱부(34)의 센싱값을 사용해, 제어부(32)는 조명등(2)이 온 및 오프 간에 상태 변화가 있는 경우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감지된 시점에 조명등(2)이 온 상태이었고 화재가 감지된 시점 이후 벽면스위치를 통해 조명등(2)이 오프되었다면 조도가 높은 상태에서 낮은 상태로 변화되고 이를 조도 센싱부(34)의 센싱값을 통해 제어부(32)가 인식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화재가 감지된 시점에 조명등(2)이 오프 상태이었고 화재가 감지된 시점 이후 벽면스위치를 통해 조명등(2)이 온되었다면 조도가 낮은 상태에서 높은 상태로 변화되고 이를 조도 센싱부(34)의 센싱값을 통해 제어부(32)가 인식할 수 있다. 오감지를 줄이기 위해 제어부(32)는 조명등(2)의 온 및 오프 간에 상태 변화가 기 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3회)를 초과한 경우에 한해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부(34)의 경보를 종료시킬 수 있다(S35).
S34에서 리셋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화재 경보는 계속 유지될 수 있다.
1: 천장
2: 조명등
3: 화재 감지기
4: 실내벽
5: 벽면 스위치
6: 전원선
31: 화재 센싱부
32: 제어부
33: 경보부
34: 조도 센싱부

Claims (10)

  1. 화재에 대응한 인자를 감지하는 화재 센싱부; 및
    상기 화재 센싱부의 센싱값을 사용해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조명등의 온/오프 조작 상황을 통해 리셋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화재 감지기가 설치된 공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싱부의 센싱값을 사용해 실내 공간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싱부의 센싱값을 통해 조명등이 온에서 오프 또는 오프에서 온으로 변경된 경우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등의 온과 오프 간의 상태 변화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화재 경보를 종료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비활성 상태인 조도 센싱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화재 감지기는 상기 조명등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조명등은 벽면에 설치된 벽면스위치에 의해 온 및 오프가 조작되고
    상기 화재 감지기 및 조명등은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과 연동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감지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어부가 화재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제어부가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조명등의 온/오프 조작 상황을 통해 리셋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등의 온/오프 조작 상황을 통해 리셋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화재 감지기가 설치된 공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싱부의 센싱값을 사용해 실내 공간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싱부의 센싱값을 통해 조명등이 온에서 오프 또는 오프에서 온으로 변경된 경우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등의 온과 오프 간의 상태 변화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리셋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화재 경보를 종료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비활성 상태인 조도 센싱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화재 감지기는 상기 조명등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조명등은 벽면에 설치된 벽면스위치에 의해 온 및 오프가 조작되고
    상기 화재 감지기 및 조명등은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20527A 2019-02-21 2019-02-21 조명등과 연동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KR10198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527A KR101989044B1 (ko) 2019-02-21 2019-02-21 조명등과 연동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JP2020558514A JP7263389B2 (ja) 2019-02-21 2020-02-20 照明灯に連動したリセット機能付きの火災感知器及びこれを用いた火災警報方法
PCT/KR2020/002444 WO2020171616A1 (ko) 2019-02-21 2020-02-20 조명등과 연동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US17/252,111 US11189146B2 (en) 2019-02-21 2020-02-20 Fire detector having reset function linked with lamp and fire warning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527A KR101989044B1 (ko) 2019-02-21 2019-02-21 조명등과 연동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044B1 true KR101989044B1 (ko) 2019-06-13

Family

ID=6684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527A KR101989044B1 (ko) 2019-02-21 2019-02-21 조명등과 연동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89146B2 (ko)
JP (1) JP7263389B2 (ko)
KR (1) KR101989044B1 (ko)
WO (1) WO20201716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78181A (zh) * 2023-09-20 2023-10-31 永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兼具日常照明功能的led应急灯控制方法及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4880A (ja) * 2004-02-19 2005-09-02 Hochiki Corp 警報器および警報器用入出力装置
KR101475390B1 (ko) * 2014-05-17 2014-12-22 홍성현 다중감지기 및 상기 다중감지기를 이용한 다중감지방법
KR101563655B1 (ko) 2015-03-18 2015-10-27 주식회사 하나비젼씨스템즈 다기능 화재감지기
KR101784424B1 (ko) 2017-06-22 2017-10-12 (주)리더스테크 전력소모를 줄인 연동식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1477A (ja) * 1993-12-09 1995-06-23 Hitachi Commun Syst Inc 火災検知警報機能付き照明器具
JPH0916867A (ja) * 1995-06-27 1997-0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住宅用火災感知器
KR200258735Y1 (ko) * 2001-09-25 2001-12-29 최영식 방범경보장치
US20100315247A1 (en) * 2009-06-10 2010-12-16 Yong-Teng Tseng Multi-function LED lighting device
JP5324398B2 (ja) * 2009-11-05 2013-10-23 ホーチキ株式会社 警報システムの中継方式及び警報器
KR101728503B1 (ko) * 2015-05-29 2017-04-19 지병찬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
TWI547908B (zh) * 2015-07-16 2016-09-01 國立中興大學 外顯式即時救災警示系統之裝置與方法
SG11201908210TA (en) * 2017-03-20 2019-10-30 Oy Halton Group Ltd Fire safety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10977920B2 (en) * 2019-06-21 2021-04-1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ire safety system with integrated lighting devices
KR102087000B1 (ko) * 2019-08-13 2020-05-29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4880A (ja) * 2004-02-19 2005-09-02 Hochiki Corp 警報器および警報器用入出力装置
KR101475390B1 (ko) * 2014-05-17 2014-12-22 홍성현 다중감지기 및 상기 다중감지기를 이용한 다중감지방법
KR101563655B1 (ko) 2015-03-18 2015-10-27 주식회사 하나비젼씨스템즈 다기능 화재감지기
KR101784424B1 (ko) 2017-06-22 2017-10-12 (주)리더스테크 전력소모를 줄인 연동식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89146B2 (en) 2021-11-30
JP7263389B2 (ja) 2023-04-24
US20210256827A1 (en) 2021-08-19
JP2022510741A (ja) 2022-01-28
WO2020171616A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8068C (en) Wireless linking of smoke/co detection units
KR101049796B1 (ko)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80291036A1 (en) Multifunction smoke alarm unit
US7804402B2 (en) Fire detectors with environmental data input
JP6181967B2 (ja) 警報システム
JP3147873U (ja) 警報器
WO2006091281A2 (en) Alarm having illumination feature
WO2006124171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aide in emergency egress
KR101624867B1 (ko) 센서 일체형 led 조명등을 이용한 감시 및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5552B1 (ko) 화재 경보 기능 내장 led 조명 시스템
US20210350684A1 (en) Fire alarm equipment
KR101989044B1 (ko) 조명등과 연동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JP2010152415A (ja) 負荷制御システム
JP6253951B2 (ja) 警報器
KR101663786B1 (ko) 공동주택의 소방관리와 감시시스템
KR101950743B1 (ko) 공동주택의 화재시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KR101818043B1 (ko) 계층 토폴로지 기반 화재 경보 기능 내장 led 조명 시스템
US114283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presence in a space
KR101950742B1 (ko) 공동주택의 화재시 비상 조명 장치
KR101950745B1 (ko) 화재시 아파트의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KR102644624B1 (ko)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US20110193682A1 (en) Remote fire detection bypass for testing fire-smoke alarm and indication devices
JP2019185197A (ja) 火災用無線通信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JP2019117508A (ja) 火災報知設備
KR102666092B1 (ko) 다른 화재감지기에서 감지된 화재에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아날로그형 감지기 및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