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503B1 -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503B1
KR101728503B1 KR1020150075859A KR20150075859A KR101728503B1 KR 101728503 B1 KR101728503 B1 KR 101728503B1 KR 1020150075859 A KR1020150075859 A KR 1020150075859A KR 20150075859 A KR20150075859 A KR 20150075859A KR 101728503 B1 KR101728503 B1 KR 101728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ath wiring
input terminal
power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925A (ko
Inventor
지병찬
Original Assignee
지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병찬 filed Critical 지병찬
Priority to KR1020150075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50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05B33/08
    • H05B37/0209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경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청각장애인에게 시각적으로 화재 경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에 위치하는 조명스위치에 실내조명등에 대한 자동 점멸 회로를 포함시켜 간단한 조작만으로 쉽게 화재발생을 청각장애인에게 전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LIGHT SWITCH APPARATUS FOR FIRE ALARM}
본 발명은 화재 경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청각장애인에게 시각적으로 화재 경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건물 또는 시설에서 화재와 같은 위급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장애인들이 초기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화재경보 시설에는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 상황을 알리는 음향경보기가 있고 시각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 상황을 알리는 시각경보기가 있다.
이중 시각경보기는 음향을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화재경보 시설로서 강한 불빛을 깜빡이게 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려 준다.
종래의 시각경보기는 크세논 램프를 사용하여 섬광을 발하게 되는데, 초당 1회 이상 3회 이하로 점멸하며 수신기에서 작동신호를 받은 후 3초 이내 경보를 발생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시각경보기가 청각장애인에게 효과적으로 화재 상황을 전파하는지를 시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도 1은 시험을 위해 사용된 부품들의 외관도이고, 도 2는 각 부품의 연결도이며, 도 3은 시험장치의 외관도이다.
종래 시각경보기와 동일한 시험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24V배터리, 시각경보기(크세논 램프), 스위치, 전선 및 셀카봉이 사용되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 관계상으로 24V배터리의 일측으로는 스위치가 연결되고 다른 일측으로는 시각경보기가 연결된다. 또한, 스위치의 일측으로는 시각경보기가 연결되고 다른 일측으로는 24V배터리가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관계에 따라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으로 시각경보기의 온오프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시각경보기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험장치에서는 시각경보기가 셀카봉에 연결되어 일정 높이 위에 설치된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마트, 패스트푸드점 등 사람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에서 종래 시각경보기의 화재 상황 전파 능력을 시험하였다.
비상시 대피 시간을 생각하여 시험 시간은 3분으로 정하였고 시험자 중 한 사람이 시각경보기를 기존 건물에 부착된 시각경보기 위치에 맞춘 후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방식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도 4 내지 도 9는 각기 다른 장소에서의 시험 상황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의 (a)는 대형마트의 일 외곽(제1지점)에 설치된 화재경보 시설 앞에서의 시험장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4의 (b)는 제1지점의 주변 상황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재경보 시설 주변으로 옷과 장비가 많아 시각경보기가 쉽게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주변 조명이 너무 밝아서 시각경보기가 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의 (a)는 대형마트의 다른 일 외곽(제2지점)에 설치된 화재경보 시설 앞에서의 시험장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5의 (b)는 제2지점의 주변 상황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재경보 시설은 직원들이 물건을 들고 이동하는 창고 앞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창고와 비상구 앞부분에 가벽이 위치하고 있어서 시각경보기가 쉽게 눈에 띄지 않았다.
도 6의 (a)는 대형마트의 상가 중간부분(제3지점)에서의 시험장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6의 (b)는 제3지점에서의 시험장면을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시험장소인 제3지점에는 화재경보 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지만 시각경보기가 설치된 것을 가정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제3지점에서도 제1지점 및 제2지점과 같이 주변 장애물(기둥, 적치 물건 등)에 의해 화재경보가 잘 전파되지 않았으며, 주변 조명이 너무 밝아서 시각경보기가 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다.
도 7의 (a)는 대형마트의 통로 벽 뒤(제4지점)에 설치된 화재경보 시설 앞에서의 시험장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7의 (b)는 제4지점의 주변 상황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각경보기가 벽에 의해 가려져 있어 주변을 지나는 사람들에게 아무런 화재경보의 신호를 전파하지 못했다.
도 8의 (a)는 대형마트의 중앙계산대 주변(제5지점)에서의 시험장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8의 (b)는 제5지점의 주변 상황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메인조명과 광고조명이 너무 강해 멀리까지 시각경보를 전파하지 못하고 있으며 진열대 등의 가림에 의해 주변 사람들이 시각경보를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재연되었다.
도 9는 패스트푸드점의 시험 당시 상황을 촬영한 사진이다.
시험 대상이 된 패스트푸드점에는 시각경보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도 9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각경보기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주변의 조명이 너무 밝아 제 기능을 발휘하기는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와 같이 여러 공공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경보기를 관찰해 보면, 설치되어 있는 시각경보기의 수량도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된 시각경보기도 대형 건물의 천장에 달린 밝은 조명으로 인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시각경보기가 가지는 화재경보의 시각적 전파 능력의 한계를 극복하고 청각장애인에게 효과적으로 화재경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각장애인에게 효과적으로 화재경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실내조명등으로 상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1경로배선, 화재 발생시에 상기 실내조명등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2경로배선, 상기 제1경로배선에 위치하면서, 상기 실내조명등을 온오프시키는 제1스위치, 상기 제2경로배선에 위치하면서, 상기 실내조명등을 적어도 N(N은 2이상의 자연수)번씩 점멸시키는 점멸회로, 상기 제1경로배선과 상기 제2경로배선을 선택적으로 도통시키는 제2스위치, 눌림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의 연결 상태를 변경시키는 제1눌림버튼, 눌림에 따라 상기 제2스위치의 연결 상태를 변경시키는 제2눌림버튼, 상기 점멸회로를 내장하며, 제1절개부를 통해 상기 제1눌림버튼을 노출시키고 제2절개부를 통해 상기 제2눌림버튼을 노출시키는 박스 및
투명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2눌림버튼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2눌림버튼의 눌림을 방지하는 보호판을 포함하는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의 조명을 점멸제어하여 청각장애인이 쉽게 화재경보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실내 조명의 밝기 상관없이 화재경보를 시각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벽면에 위치하는 조명스위치에 대한 단순 조작만으로 화재경보를 시각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시험을 위해 사용된 부품들의 외관도이고, 도 2는 각 부품의 연결도이며, 도 3은 시험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각기 다른 장소에서의 시험 상황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이하 '조명스위치장치'라 함)의 외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용 조명시스템(이하 '조명시스템'이라 함)의 일 회로 구성도이다.
도 12는 점멸회로의 일 예시 회로도이다.
도 13은 화재경보기와 무선으로 연동된 스위치제어기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비상전원을 이용한 화재경보용 조명시스템의 일 회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이하 '조명스위치장치'라 함)의 외관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조명스위치장치(200)는 제1눌림버튼(210), 제2눌림버튼(220) 및 박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눌림버튼(210)은 실내조명등을 온오프하기 위한 버튼이다. 제1눌림버튼(210)이 일 방향으로 눌려지면 실내조명등이 턴온되고, 제1눌림버튼(210)이 다른 방향으로 눌려지면 실내조명등이 턴오프된다.
제2눌림버튼(220)은 화재 발생시에 실내조명등을 점멸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제2눌림버튼(220)이 눌려지면 실내조명등이 주기적으로 혹은 비주기적으로 자동 점멸됨으로써 사람들에게 화재경보를 시각적으로 전파할 수 있다.
제2눌림버튼(220) 상에는 보호판(224)이 위치할 수 있다. 보호판(224)은 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판으로 제2눌림버튼(220)이 쉽게 눌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박스(230)는 조명스위치장치(200)와 관련된 회로들 및 배선들을 내장하고 있는 장치로서, 제1절개부(242)를 통해 제1눌림버튼(210)을 노출시키고 제2절개부(244)를 통해 제2눌림버튼(220)을 노출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용 조명시스템(이하 '조명시스템'이라 함)의 일 회로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명시스템(300)은 상용전력원(340), 조명스위치장치(200) 및 복수의 실내조명등(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용전력원(340)은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력일 수 있다. 물론, 일 실시예와 달리 조명시스템(300)은 다른 전력원(예를 들어, 배터리)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조명스위치장치(200)는 실내조명등(350)으로 상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1경로배선(L1) 및 화재 발생시에 실내조명등(350)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2경로배선(L2)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제1경로배선(L1)이 도통되어 실내조명등(350)으로 제1경로배선(L1)을 경유한 전력이 공급되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2경로배선(L2)이 도통되어 실내조명등(350)으로 제2경로배선(L2)을 경유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제1경로배선(L1)에는 실내조명등(350)을 온오프시키는 제1스위치(31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스위치(310)는 제1눌림버튼(210)과 연동된 장치로서, 제1눌림버튼(210)의 눌림에 따라 제1스위치(310)의 연결 상태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제1눌림버튼(210)이 일측으로 눌려지면 제1스위치(310)는 클로즈되고, 제1눌림버튼(210)이 다른 측으로 눌려지면 제1스위치(310)는 오픈된다.
제2경로배선(L2)에는 실내조명등(350)을 적어도 N(N은 2이상의 자연수)번씩 점멸시키는 점멸회로(33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용전력원(340)과 제1스위치(310) 및 점멸회로(330)의 사이에는 제2스위치(320)가 위치할 수 있다.
제2스위치(320)는 연결 상태에 따라 제1경로배선(L1)과 제2경로배선(L2)을 선택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다.
제2스위치(320)는 제2눌림버튼(220)과 연동된 장치로서, 제2눌림버튼(220)의 눌림에 따라 제2스위치(320)의 연결 상태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제2눌림버튼(220)이 눌려진 상태에서는 제2스위치(320)가 클로즈되고, 제2눌림버튼(220)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스위치(320)가 오픈된다.
박스(230)의 내측에는 전술한 제1경로배선(L1), 제2경로배선(L2), 제1스위치(310), 제2스위치(320) 및 점멸회로(330)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는 점멸회로의 일 예시 회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점멸회로(330)는 발진회로(410), 비교기(COMP1) 및 마그네틱스위치(4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진회로(410)의 출력파형은 오실레이션(위아래로 움직이는 진동)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파형은 비교기(COMP1)의 제1입력단자(예를 들어, 마이너스입력단자)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비교기(COMP1)의 제2입력단자(예를 들어, 플러스입력단자)로는 참조전압(VREF)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발진회로(410)의 출력파형의 최대값은 참조전압(VREF)보다 크고 최소값은 참조전압(VREF)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기(COMP1)는 참조전압(VREF)이 출력파형의 최소값보다 큰 구간에서 하이전압을 출력하고, 참조전압(VREF)이 출력파형의 최대값보다 작은 구간에서 로우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비교기(COMP1)의 출력은 마그네틱스위치(430)의 제어단자(C)로 입력될 수 있다. 마그네틱스위치(430)는 제어단자(C)로 입력되는 전압의 레벨에 따라 입력단자(I)와 출력단자(O)를 연결시키거나 연결해제시킬 수 있다.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점멸회로(330)의 입력단자(I)는 제2스위치(320)와 연결되고 출력단자(O)는 실내조명등(350)과 연결된다. 마그네틱스위치(430)가 점멸회로(330)에 적용되는 경우, 마그네틱스위치(430)의 입력단자(I)가 제2스위치(320)와 연결되고 출력단자(O)는 실내조명등(350)과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비교기(COMP1)가 하이전압과 로우전압을 교대로 출력하기 때문에 마그네틱스위치(430)가 입력단자(I)와 출력단자(O)를 교대로 온/오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2경로배선(L2)이 도통과 단절이 반복되기 때문에 실내조명등(350)이 자동적으로 점멸을 반복하게 된다.
발진회로(410)의 출력파형이 일정한 주기를 갖는 경우, 비교기(COMP1)의 출력도 동일한 주기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실내조명등(350)은 주기적으로 점멸을 반복하게 된다. 반대로 발진회로(410)의 출력파형이 비주기적으로 변동되는 경우, 실내조명등(350)은 비주기적으로 점멸을 반복하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발진회로(410)는 오피앰프(OP1) 및 이러한 오피앰프(OP1)의 출력단자와 마이너스입력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1임피던스(412), 마이너스입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위치하는 제2임피던스(414), 오피앰프(OP1)의 출력단자와 플러스입력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3임피던스(416) 및 플러스입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위치하는 제4임피던스(4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발진회로(410)의 구성에서, 제1임피던스(412)는 제1저항(R1)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임피던스(414)는 제2저항(R2)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임피던스(416)은 제3저항(R3)와 제3캐패시터(C3)의 병렬로 구성될 수 있고, 제4임피던스(418)는 제4저항(R4) 및 제4캐패시터(C4)의 직렬 연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의 발진회로(410)를 윈-브리지 발진기(Wien-bridge oscillator)라고도 하는데, 윈-브리지 발진기에서 주증폭기의 이득과 궤환량의 곱이 1이 되면 발진이 된다. 도 12의 회로에서, R1이 11K옴, R2가 22K옴, R3가 10K옴, C3가 8uF, R4가 10K옴, C4가 8uF이면 대략 2초 주기의 출력파형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실내조명등(350)도 2초 주기로 점멸을 반복할 수 있다.
발진회로(410)의 작동을 위해서는 오피앰프(OP1)로 직류전원(VDD)을 입력해 주어야 한다. 이때, 직류전원(VDD)이 입력되면 발진회로(410)가 오실레이션하는 파형을 출력할 수 있고, 직류전원(VDD)이 입력되지 않으면 발진회로(410)는 로우전압(예를 들어, 접지와 동일한 전압 혹은 0V)만 출력할 수 있다.
발진회로(410)는 오피앰프(OP1)의 전원단자와 직류전원(VDD) 사이에 위치하는 제3스위치(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스위치(420)가 오픈되면 오피앰프(OP1)로 직류전원(VDD)이 공급되지 않아 발진회로(410)는 로우전압만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3스위치(420)가 클로즈되면 오피앰프(OP1)로 직류전원(VDD)이 공급되어 발진회로(410)는 오실레이션하는 출력파형을 내 보낼 수 있다.
제3스위치(420)는 제2스위치(320)와 연동될 수 있다. 이때, 제2스위치(320)가 제2경로배선(L2)을 도통시킬 때, 제3스위치(420)가 클로즈될 수 있다. 반대로, 제2스위치(320)가 제1경로배선(L1)을 도통시킬 때, 제3스위치(420)는 오픈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발진회로(410)는 제2경로배선(L2)이 도통될 때, 다시 말해, 화재가 발생할 때만 작동될 수 있다.
조명스위치장치(200)는 화재경보기와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도 13은 화재경보기와 무선으로 연동된 스위치제어기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조명스위치장치(200)는 제2스위치(320)와 제3스위치(420)를 제어하는 스위치제어기(5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위치제어기(520)는 화재경보기(510)와 무선으로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경보기(510)와 스위치제어기(520)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화재경보기(510)와 스위치제어기(520)는 이러한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화재경보기(510)는 연기나 열을 감지하여 화재발생을 알리는 장치로서, 사람의 판단을 거치지 않고 화재를 경보할 수 있다. 조명스위치장치(200)는 이러한 화재경보기(510)와 무선으로 연동되어 있으면서 화재에 따라 발생하는 연기 혹은 열에 따라 실내조명등(350)의 점멸을 반복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화재에 따라 연기 혹은 열이 발생하면 조명스위치장치(200)가 실내조명등(350)을 자동적으로 점멸시켜 청각장애인에거 화재 발생을 알려줄 수 있다.
작동의 흐름상으로 보면, 먼저, 화재에 따라 연기 혹은 열이 발생하고 화재경보기(510)가 이를 감지한다. 화재경보기(510)는 이렇게 감지된 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스위치제어기(520)로 전달한다. 그리고, 스위치제어기(520)는 화재경보기(51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2스위치(320)를 조작하여 제2경로배선(L2)을 도통시키고, 제3스위치(420)를 조작하여 실내조명등(350)을 자동적으로 점멸시킨다.
한편, 화재발생 시 상용전원(340)이 차단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실내조명등(350)을 짧은 시간동안 점멸시키는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14는 비상전원을 이용한 화재경보용 조명시스템의 일 회로 구성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경로배선(L1)으로 공급되는 전력원과 제2경로배선(L2)으로 공급되는 전력원이 상이할 수 있다.
제1경로배선(L1)에는 상용전원(340)이 연결되고, 제2경로배선(L2)에는 비상전원(640)이 연결될 수 있다. 대형 건물이나 시설의 경우, 화재발생을 알리기 위해 24V비상전원을 포함하고 있는데, 제2경로배선(L2)에 연결되는 비상전원(640)은 이러한 24V비상전원일 수 있다.
경로에 따른 전력원이 상이하여 제2스위치의 형태도 도 11에 도시된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1의 제2스위치(320)는 3개의 접점을 가지고 있으면서, 제1경로배선(L1)을 도통시키기 위해 A접점과 C접점을 연결시키고, 제2경로배선(L2)을 도통시키기 위해 A접점과 B접점을 연결시킨다. 이에 반해, 도 14의 제2스위치(620)는 2개의 서브스위치들(621 및 622)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제1경로배선(L1)을 도통시키기 위해 제1서브스위치(621)를 도통시킨다-이때, A1접점과 C접점을 연결시킴. 또한, 도 14의 제2스위치(620)는 제2경로배선(L2)을 도통시키기 위해 제2서브스위치(622)를 도통시킨다-이때, A2접점과 B접점을 연결시킴. 제1서브스위치(621)와 제2서브스위치(622)는 서로 반대로 작동되도록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서브스위치(621)가 클로즈될 때, 제2서브스위치(622)는 오픈될 수 있고, 제1서브스위치(621)가 오픈될 때, 제2서브스위치(622)는 클로즈될 수 있다.
점멸회로(330)는 전력반도체를 이용하여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DC/AC변환기(6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DC/AC변환기(630)는 전력반도체에 대한 제어를 통해 교류전력의 출력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렇게 DC/AC변환기(630)의 교류전력의 출력이 온오프되면 이에 연결된 실내조명등(350)도 점멸을 반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실내 조명과 별도로 시각경보기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실내 조명의 조도가 높으면 시각경보기의 경보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실내 조명 자체를 점멸시키는 기술을 제안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청각장애인이 쉽게 화재경보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실내 조명의 밝기에 상관없이 화재경보를 시각적으로 전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벽면에 위치하는 조명스위치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라도 조명스위치에 대한 단순 조작만으로 화재경보를 쉽게 전파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화재를 감지한 사람이 벽면에 설치된 조명스위치를 누르기만 하면 실내조명등이 자동으로 점멸을 반복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화재경보를 쉽게 전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실내조명등으로 상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1경로배선;
    화재 발생시에 상기 실내조명등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2경로배선;
    상기 제1경로배선에 위치하면서, 상기 실내조명등을 온오프시키는 제1스위치;
    상기 제2경로배선에 위치하면서, 상기 실내조명등을 적어도 N(N은 2이상의 자연수)번씩 점멸시키는 점멸회로;
    상기 제1경로배선과 상기 제2경로배선을 선택적으로 도통시키는 제2스위치;
    눌림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의 연결 상태를 변경시키는 제1눌림버튼;
    눌림에 따라 상기 제2스위치의 연결 상태를 변경시키는 제2눌림버튼;
    상기 점멸회로를 내장하며, 제1절개부를 통해 상기 제1눌림버튼을 노출시키고 제2절개부를 통해 상기 제2눌림버튼을 노출시키는 박스; 및
    투명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2눌림버튼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2눌림버튼의 눌림을 방지하는 보호판을 포함하고,
    상기 점멸회로는,
    출력파형이 오실레이션하는 발진회로, 제1입력단자로 상기 발진회로의 출력파형이 연결되고 제2입력단자로 참조전압이 입력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제어되는 마그네틱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스위치는 상기 제2경로배선의 도통을 제어하며,
    상기 발진회로는,
    오피앰프 및 상기 오피앰프의 출력단자와 마이너스입력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1임피던스, 상기 마이너스입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위치하는 제2임피던스, 상기 오피앰프의 출력단자와 플러스입력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3임피던스 및 상기 플러스입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위치하는 제4임피던스를 포함하고,
    상기 점멸회로는,
    상기 오피앰프의 전원단자와 직류전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3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스위치는 상기 제2스위치와 연동되어 있고, 상기 제2스위치가 상기 제2경로배선을 도통시킬 때, 상기 제3스위치가 클로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 화재경보기에서 발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로배선에는 상용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제2경로배선에는 24V 비상전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회로는,
    전력반도체를 이용하여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력반도체에 대한 제어를 통해 교류전력의 출력을 온오프시키는 DC/AC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DC/AC변환기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조명등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
KR1020150075859A 2015-05-29 2015-05-29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 KR101728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59A KR101728503B1 (ko) 2015-05-29 2015-05-29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59A KR101728503B1 (ko) 2015-05-29 2015-05-29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25A KR20160139925A (ko) 2016-12-07
KR101728503B1 true KR101728503B1 (ko) 2017-04-19

Family

ID=5757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859A KR101728503B1 (ko) 2015-05-29 2015-05-29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05A1 (ko) * 2017-08-17 2019-02-21 와이테크 주식회사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044B1 (ko) * 2019-02-21 2019-06-13 한국토지주택공사 조명등과 연동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250A (ja) * 2002-05-23 2003-12-05 Airbus 緊急避難表示灯装置
JP2009187845A (ja) * 2008-02-07 2009-08-2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常用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250A (ja) * 2002-05-23 2003-12-05 Airbus 緊急避難表示灯装置
JP2009187845A (ja) * 2008-02-07 2009-08-2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常用照明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05A1 (ko) * 2017-08-17 2019-02-21 와이테크 주식회사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KR20190019469A (ko) * 2017-08-17 2019-02-27 와이테크 주식회사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KR101987675B1 (ko) * 2017-08-17 2019-09-30 와이테크 주식회사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25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4466B2 (en) Guidance indicator and system for providing egress assistance
TWI389063B (zh) 逃生指示燈以及逃生指示系統
US10847174B2 (en) Voice responsive in-wall device
US20160247369A1 (en) Guidance indicator and system for providing egress assistance
JP2008204393A (ja) 照明システム
US9466226B1 (en) General purpose device to assist the hard of hearing
WO2014151077A1 (en) Hazardous lo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networks
KR101728503B1 (ko) 화재경보용 조명스위치장치
WO2017066496A1 (en) Solid state lighting and sensor systems
JP2006277140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4989214B2 (ja) 防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装置、照明器具
JP5934800B2 (ja) スイッチ制御システム
CN208046809U (zh) 一种智能的家庭电视防近视系统
KR20180052917A (ko) 마이크로웨이브 모션센서를 이용한 자동 조명장치
KR102403237B1 (ko) 세대 단말기를 이용한 약자 케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2017147071A (ja) 来客報知照明装置
JP2008083864A (ja) 警報装置及び照明器具
US10337929B2 (en) Remote cooking reminder system
JP2008282152A (ja) 災害予報通報装置および災害予報通報方法
JP6624375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及びセンサーライト
JP2005077334A (ja) 過電流警報装置
JP6712780B2 (ja) 照明システム
US11436902B2 (en) Lighting fixture having an environmental detection system
US20160252244A1 (en) Smoke Detector, Emergency Light and Alternate Light Source System
JP6851023B2 (ja) 照明システムおよびリモコ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