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797B1 -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797B1
KR101988797B1 KR1020180079126A KR20180079126A KR101988797B1 KR 101988797 B1 KR101988797 B1 KR 101988797B1 KR 1020180079126 A KR1020180079126 A KR 1020180079126A KR 20180079126 A KR20180079126 A KR 20180079126A KR 101988797 B1 KR101988797 B1 KR 101988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toilet
movable
ba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순영
Original Assignee
송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순영 filed Critical 송순영
Priority to KR1020180079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797B1/ko
Priority to US16/282,319 priority patent/US1089399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2Wall mounted grab bars or handles, with or without support on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7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mounted on or in combination with a toi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4Hand or wri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변기 사용자가 앉는 가동 좌대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양변기 사용자가 쉽고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하는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양변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양변기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가동 좌대; 상기 양변기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Apparatus for assisting the standing of toilet seat users}
본 발명은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변기 사용자가 앉는 가동 좌대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양변기 사용자가 쉽고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하는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 또는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적당한 높이를 갖는 본체가 바닥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본체의 상단에 좌대가 설치되며, 이 좌대의 후단은 힌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상부로 절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좌대의 외주 형상과 동일한 덮개가 구비되어 용변구를 덮을 수 있도록 하였고, 본체의 후단에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양변기 또는 좌변기는 앉아서 용변을 보기에는 좋으나, 다양한 환자들, 하체에 힘이 없는 노약자들, 장애인들 경우에는 용변을 본 후 앉은 상태에서 일어서기까지의 행동에서 매우 힘겨움을 느끼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종래에는 양변기 또는 좌변기 주위에 보조 횡간을 설치하여 이 횡간을 손으로 잡고 좌대에 앉거나 일어설 수 있도록 하였으나 하체에 힘이 없는 환자, 노약자, 장애인들은 대부분 팔에도 힘이 없어 횡간에 의지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2669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는 장애인 또는 노약자 등 하체가 불편한 사람들이 용변을 본 후 앉은 상태에서 많은 힘을 가하지 않고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및 하체 장애자용 좌변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은 노약자 등이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노약자 등이 직접 힘을 가하여 동작시키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 힘을 가할 수 없는 환자들, 노약자들, 장애인들에게는 무용지물에 불과하고, 더 나아가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더 큰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노약자 등이 쉽고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해서는 좌대를 수직으로 승강하는 움직임뿐만 아니라 회동하는 움직임도 조합해서 적용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소형인 기립 보조 장치가 제안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2669호(공고일자 : 2001년 10월 06일, 고안의 명칭 : 노약자 및 하체 장애자용 좌변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양변기 사용자가 앉는 가동 좌대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양변기 사용자가 쉽고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하는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 형상의 장착 프레임에 최적의 링크로 구성되는 링크 조립체와 링크 조립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조립체를 장착 배치하여 가동 좌대를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와 소형 사이즈로 제작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간단하고 용이하며 외관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양변기에 인접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 좌대에 대하여 승강 움직임,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회동 움직임이 순차적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링크 조립체를 구성함으로써, 양변기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함과 동시에 일어서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변기에 인접하여 사용자가 잡고 거동할 수 있는 거동 보조 안전 바를 추가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양변기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더욱더 방지할 수 있고, 가동 좌대의 움직임 동작 과정에서 동시에 잡고 일어설 수 있기 때문에 양변기 사용자가 더욱더 용이하고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동 보조 안전 바를 양변기에 인접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장실 구조에 무관하게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바닥면 또는(및) 벽면에 흡착력을 이용하여 부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 및 재설치를 위해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양변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양변기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가동 좌대; 상기 양변기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대 작동기기는, 상기 양변기에 인접하여 고정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되, 적어도 두 개의 링크로 구성되어 일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타단에 연결되는 상기 가동 좌대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링크 조립체;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링크 조립체의 일단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변기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거동 보조 안전 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동 보조 안전 바는 제1 연결 바, 상기 제1 연결 바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 바, 상기 제1 연결 바와 상기 제2 연결 바의 각 일단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1 연결 바와 상기 제2 연결 바 사이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모듈 및 상기 제1 연결 바와 상기 제2 연결 바 중, 적어도 하나의 타단에 결합하되, 결합하는 연결 바에 대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부착 대상 면에 흡착력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결합/흡착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에 의하면, 양변기 사용자가 앉는 가동 좌대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양변기 사용자가 쉽고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판 형상의 장착 프레임에 최적의 링크로 구성되는 링크 조립체와 링크 조립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조립체를 장착 배치하여 가동 좌대를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와 소형 사이즈로 제작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간단하고 용이하며 외관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양변기에 인접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좌대에 대하여 승강 움직임,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회동 움직임이 순차적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링크 조립체를 구성하기 때문에, 양변기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함과 동시에 일어서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양변기에 인접하여 사용자가 잡고 거동할 수 있는 거동 보조 안전 바를 추가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양변기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더욱더 방지할 수 있고, 가동 좌대의 움직임 동작 과정에서 동시에 잡고 일어설 수 있기 때문에 양변기 사용자가 더욱더 용이하고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동 보조 안전 바를 양변기에 인접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화장실 구조에 무관하게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바닥면 또는(및) 벽면에 흡착력을 이용하여 부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설치 및 재설치를 위해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의 부분 분리된 제1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의 부분 분리된 제2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의 부분 분리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좌대 작동 기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좌대 작동 기기의 부분 분리된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좌대 작동 기기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거동 보조 안전 바의 연결 모듈의 제1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거동 보조 안전 바의 연결 모듈의 제2 분리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거동 보조 안전 바의 연결 바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거동 보조 안전 바의 결합/흡착 모듈의 제1 분리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거동 보조 안전 바의 결합/흡착 모듈의 제2 분리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거동 보조 안전 바의 결합/흡착 모듈의 제3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부분 분리된 제1 사시도(케이스(290)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부분 분리된 제2 사시도(장착 프레임의 한쪽을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부분 분리된 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좌대 작동 기기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좌대 작동 기기의 부분 분리된 확대 사시도(장착 프레임의 한쪽을 분리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8은 좌대 작동 기기의 확대 정면도(장착 프레임의 한쪽을 분리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300)는 양변기(150)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가동 좌대(110)와 상기 양변기(15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양 변기(150)에 장착되되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양변기(150)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양변기(150)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일반적인 양변기에 구비되는 좌대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양변기에 구비되는 좌대와 별도로 구비되는 별도의 좌대일 수도 있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양변기(150)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가동 좌대(110)는 양변기 사용자의 엉덩이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매개체(별도의 좌대 등)가 개재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간접적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양변기(150)에 장착되되, 고정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양변기(150)의 용변구 상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에 고정된다. 즉,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양변기(150)의 용변구 상에 안착된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의 작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은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의 동작 구동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에 앉아 있는 양변기(150) 사용자가 기립, 즉 일어설 수 있도록 승강 움직임 및(또는) 회동 움직임을 가진다.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는 상기 가동 좌대(110)가 승강 움직임만 가지거나 또는 회동 움직임만 가지거나 또는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모두 가질 수 있도록 작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는 상기 양변기(15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110)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는 상기 양변기(15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 즉 수직 왕복 움직임에 해당하는 승강 움직임과 회전에 해당하는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발생하기 때문에, 외관을 해치지 않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는 상기 양변기(150)에 인접 배치될 수 있도록,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배치 구조 및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의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는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키면서 상기 양변기(150)의 측면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장착 프레임(210), 상기 장착 프레임(210)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하여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링크 조립체(230) 및 상기 링크 조립체(230)가 상기 가동 좌대(110)의 의 움직임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여 전달하는 구동 조립체(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 프레임(210)은 상기 링크 조립체(230) 및 상기 구동 조립체(250)가 장착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상기 양변기(150)에 인접하여 고정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 프레임(210)은 상기 양변기(150)의 측부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장착 프레임(210)은 지지 브래킷(260)을 개재하여 지지/흡착 모듈(270)을 통해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양변기(150)의 측부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프레임(210)은 대동소이한 구조를 가지는 한쪽 장착 프레임과 반대쪽 장착 프레임이 서로 대향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크 조립체(230)와 상기 구동 조립체(250)는 상기 한쪽 장착 프레임과 반대쪽 장착 프레임 사이에 장착 또는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를 위하여 상기 한쪽 장착 프레임과 상기 반대쪽 장착 프레임은 상기 링크 조립체(230)와 구동 조립체(250)가 수용 장착 또는 배치될 수 있도록 대향 결합한다.
물론 상기 장착 프레임(210)은 한쪽 장착 프레임과 반대쪽 장착 프레임이 대향 결합하여 구성되지 않고, 하나의 단독 장착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 하나의 단독 장착 프레임은 상기 링크 조립체(230)와 상기 구동 조립체(250)가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보장하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상기 장착 프레임(210)은 상기 링크 조립체(230)가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착 프레임(210)에는 작동경로 유도 홀(211), 제1 가이드 홀(215) 및 제2 가이드 홀(216)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은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 모드(즉, 수직 승강 움직임 또는 회동 움직임 또는 승강과 회동의 동시 움직임) 및 움직임 모드의 발생 경로를 결정하고 유도할 수 있는 일정한 경로를 가지는 홀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홀(215)은 후술할 상기 링크 조립체(230)를 구성하는 제1 회동 조인트(23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가이드 홀(216)은 후술할 상기 링크 조립체(230)를 구성하는 지지 가이드 핀(237)의 이동을 가이드 하면서 동시에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발생하도록 보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겠다.
상기 링크 조립체(230)는 상기 장착 프레임(210)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되, 적어도 두 개의 링크로 구성되어 일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타단에 연결되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링크 조립체(230)는 상기 구동 조립체(25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기존에는 승강 움직임만 발생시키거나 또는 회동 움직임만을 발생하여 좌대를 작동시킨 구조라면, 본 발명에 따른 가동 좌대(110)는 수직 방향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승강 움직임과 특정 지점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동 움직임을 모두 적용받아 작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이와 같은 작동은 본 발명에 채택 적용되는 링크 조립체(230)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링크 조립체(230)가 상기 구동 조립체(25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동 좌대(110)를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통하여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가동 좌대(110)는 앉아 있는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을 좀 더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보조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조립체(23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뿐만 아니라 회동 움직임도 발생할 수 있도록 작동하기 때문에 적어도 두 개의 링크가 결합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링크 조립체(230)는 적어도 두 개의 링크로 결합 구성하여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상기 링크 조립체(230)는 상기 구동 조립체(25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하도록 작동하기 때문에, 일단이 상기 구동 조립체(25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고, 타단이 상기 가동 좌대(110)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링크 조립체(23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조립체(250)는 상기 장착 프레임(210)에 장착되어 상기 링크 조립체(230)의 일단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동 조립체(250)는 상기 링크 조립체(230)의 일단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장착되되(후술하겠지만, 가동 링크(231)에 회전력을 전달함),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단순하며, 특히 설치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이 채택 적용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겠다.
상기 링크 조립체(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작동한다. 상기 링크 조립체(230)가 두 개의 링크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한 경우에도 타단에 연결되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상기 링크 조립체(230)의 일단 하측에서 병진 운동에 관한 구동력을 인가해주는 구조를 채택 적용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링크 조립체(230)의 일단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구동 조립체(250)가 상기 링크 조립체(230)의 하측에 장착 배치되는 구조를 적용해야 하는데, 이 구조는 좌대 작동기기(200)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는 상기 양변기(150)의 높이보다 높지 않게 설치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링크 조립체(230)는 세 개의 링크, 즉 가동 링크(231), 연결 링크(233) 및 작동 링크(235)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채택 적용한다. 이와 같이, 상기 링크 조립체(230)를 세 개의 링크로 구성함에 따라, 상기 구동 조립체(250)는 상기 링크 조립체(230)의 하측이 아닌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 조립체(230), 구체적으로 가동 링크(231)에 구동력, 구체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조립체(230)를 구성하는 상기 가동 링크(231)와 상기 연결 링크(233)는 제1 회동 조인트(232)에 의하여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 링크(233)와 상기 작동 링크(235)는 제2 회동 조인트(234)에 의하여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 링크(231)는 일단이 상기 구동 조립체(250), 구체적으로 웜 휠(257)의 회전축(258)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회동 조인트(232)를 통하여 상기 연결 링크(23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 링크(233)는 일단이 상기 제1 회동 조인트(232)를 통해 상기 가동 링크(23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를 통하여 상기 작동 링크(23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작동 링크(235)는 일단이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를 통해 상기 연결 링크(233)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동 좌대(110)에 연결된다.
상기 가동 링크(231)는 링크 조립체(230)의 측부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조립체(2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 회전력은 상기 연결 링크(233)의 일단에 전달되어 상기 연결 링크(233)가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 링크(233)에 연결된 상기 작동 링크(235) 역시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링크 조립체(230)는 상기 가동 좌대(110)가 수직 방향으로 승강 움직임과 소정 지점을 회동축으로 하는 회동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착 프레임(210)은 작동경로 유도 홀(211)과 제2 가이드 홀(216)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링크 조립체(230)의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는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작동 링크(235)에는 상기 제2 가이드 홀(216)에 삽입 배치되는 지지 가이드 핀(237)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채택 적용되는 구성을 통해, 상기 구동 조립체(250)가 상기 가동 링크(231)에 회전력을 전달하면, 상기 연결 링크(233)는 상기 가동 링크(231)의 타단과 회동하면서 이동하되, 타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가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작동 링크(235) 역시 상기 연결 링크(233)의 타단과 회동하면서 이동하되,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이 상기 제2 가이드 홀(216)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은 상기 연결 링크(233)에 전달되는 힘에 따라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를 가이드 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 모드들(수직 승강 움직임 모드, 회동 움직임 모드, 승강 및 회동 동시 움직임 모드)을 유도할 수 있고, 상기 각 움직임 모드들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 홀(216)은 상기 작동 링크(235)에 전달되는 힘에 따라 상기 작동 링크(235)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을 가이드 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을 가이드 하면서 지지하여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가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 좌대(110)가 해당 움직임 모드로 작동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링크 조립체(230)에 의하여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되되, 승강 움직임, 회동 움직임, 승강 및 회동 동시 움직임의 세 종류의 움직임 모드를 가지도록 작동되고, 양변기 사용자를 기립시키는 동작에서, 세 종류의 움직임 모드 중 승강 움직임 모드, 승강 및 회동 동시 움직임 모드, 회동 움직임 모드 순서대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 좌대(110)에 앉아 있는 양변기 사용자를 가장 편안하고 안전하게 기립하기 위해서,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세 종류의 움직임 모드를 가지도록 작동하되, 가장 먼저 수직 승강 움직임 모드로 작동하고, 그 다음 수직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이 동시에 작동하는 승강 및 회동 움직임 모드로 작동하며, 마지막으로 회동 움직임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가동 좌대(110)의 작동을 위하여,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은 서로 연속해서 통하도록 형성되는 승강 유도 홀(212), 승강 및 회동 유도 홀(213), 회동 유도 홀(214)로 구성되고,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가면서 승강 유도 홀(212), 승강 및 회동 유도 홀(213), 회동 유도 홀(214) 순서대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 유도 홀(212)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 및 회동 유도 홀(213)은 상기 승강 유도 홀(212)과 접하는 지점에서 상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 유도 홀(214)은 상기 승강 및 회동 유도 홀(213)과 접하는 지점에서 상측 방향으로 호 형상(라운드 형상)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을 따라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가 가이드 되면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작동 링크(235)가 동작할 수 있는데, 상기 작동 링크(235)의 타단에 연결되는 상기 가동 좌대(110)를 상술한 움직임 모드들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이 상기 제2 가이드 홀(216)에 가이드 되면서 지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이 삽입되어 가이드 및 지지되는 상기 제2 가이드 홀(216)은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 상측부에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2 가이드 홀(216)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 및 지지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에 상기 연결 링크(233)와 상기 작동 링크(235)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를 삽입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2 가이드 홀(216)에 상기 작동 링크(235)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을 삽입되도록 배치한 후, 상기 구동 조립체(25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가동 링크(231)가 전달받아 상기 연결 링크(233)에게 인가하면,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와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이 각각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과 제2 가이드 홀(216)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이동할 수 있고, 이 과정을 통하여 상기 작동 링크(235)에 연결된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술한 순서대로 상술한 움직임 모드들로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가이드 홀(216)의 최상단과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을 구성하는 상기 승강 및 회동 유도 홀(213)과 상기 회동 유도 홀(214)의 접하는 지점 사이의 거리(상기 제2 가이드 홀(216)의 최상단으로부터 상기 승강 및 회동 유도 홀(213)과 상기 회동 유도 홀(214)의 접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과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 사이의 거리(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으로부터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거리 관계를 만족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가 상기 승강 및 회동 유도 홀(213)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 역시 상기 제2 가이드 홀(216)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고, 이 동작 과정을 통해 상기 작동 링크(235)에 연결되는 상기 가동 좌대(110)는 수직 상승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이 동시에 발생하는 승강 및 회동 움직임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가 상기 승강 및 회동 유도 홀(213)과 상기 회동 유도 홀(214)의 접하는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은 상기 제2 가이드 홀(216)의 최상단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후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가 상기 회동 유도 홀(214)을 따라 호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은 상기 제2 가이드 홀(216)의 최상단에 지속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 동작 과정을 통해 상기 작동 링크(235)에 연결되는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또는 제2 가이드 홀(216)의 최상단)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움직임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회동 유도 홀(214)은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이 상기 제2 가이드 홀(216)의 최상단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상기 회동 유도 홀(214)은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또는 상기 제2 가이드 홀(216)의 최상단)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과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 사이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일부 호를 따라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동 링크(231)와 상기 연결 링크(233)는 상기 제1 회동 조인트(232)에 의하여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동 링크(231)가 상기 구동 조립체(2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연결 링크(233)로 힘을 가할 수 있고, 이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가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 링크(231)와 상기 연결 링크(233)는 상기 제1 회동 조인트(232)에 의하여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회동 조인트(232)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가동 링크(231)의 일단은 웜 휠(257)의 회전축(258)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링크의 타단은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을 따라 이동하는 제2 회동 조인트(234)를 통해 상기 작동 링크(235)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 회동 조인트(232)가 별도의 가이드 홀에 가이드되지 않아도 링크 조립체(230)의 전체 동작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그러나, 링크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원활한 이동 및 동작을 위하여 상기 제1 회동 조인트(232) 역시 상기 장착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가이드 홀(215)에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가이드 홀(215)은 상기 회전축(258)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회전축(258)과 상기 제1 회동 조인트(232) 사이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일부 호를 따라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링크 조립체(230)는 상기 구동 조립체(250)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즉, 상기 구동 조립체(250)는 상기 장착 프레임(210)에 장착되어 상기 링크 조립체(230)의 일단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조립체(250)는 상기 링크 조립체(230)를 구성하는 상기 가동 링크(23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 조립체(250)는 상기 링크 조립체(230)의 하측에서 병진 운동을 위한 힘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링크 조립체(230)의 측부에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더 나아가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간단하면서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구동 조립체(250)는 상기 장착 프레임(21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되는 구동 모터(251), 상기 구동 모터(251)의 축에 연결되는 샤프트(253), 상기 샤프트(253)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웜(255) 및 상기 웜(255)에 맞물려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장착 프레임(210)에 장착되는 훰 휠(25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조립체(250)는 웜 기어 조립체를 적용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판 형상의 상기 장착 프레임(210)에 장착할 수 있고,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가동 링크(231)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구동 조립체(250)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 모터(251)가 동작되면, 상기 샤프트(253)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웜(255) 역시 회전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웜(255)에 맞물려 있는 상기 웜 휠(257)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훰 휠(257)은 얇은 원판 형상의 기어로 형성되어 회전축(258)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장착 프레임(210)에 장착된다. 상기 가동 링크(231)의 일단이 상기 회전축(258)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웜 휠(257)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동 링크(231) 역시 회전하여 자신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연결 링크(233)에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좌대 작동기기(20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가동 좌대(110)의 작동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동작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300)의 보통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상기 가동 좌대(110)는 상기 양변기(150)의 용변구 상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양변기 사용자는 상기 가동 좌대(110)에 직접 않거나 다른 좌대를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의 가동 좌대는 사용자가 직접 앉을 수 있는 구조뿐만 아니라 다른 좌대 등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앉을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 상태에서 양변기 사용자가 일어서는 것을 보조받기 위하여 동작 버튼을 누르면, 상기 구동 조립체(250)가 동작하여 상기 가동 링크(23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링크(233)가 이동하고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가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의 승강 유도 홀(212)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이동하며,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 역시 상기 제2 가이드 홀(236)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작동 링크(235)에 연결되는 상기 가동 좌대(110)는 이전 상태에서 높이가 높아져서 상승하는 승강 움직임으로 작동한다. 상기 작동 링크(235)는 상기 가동 좌대(110)가 세 종류의 움직임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 링크(235)는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본 발명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작동 링크의 타단을 상기 가동 좌대의 측부 후방에 연결하기 위하여 굴곡형으로 형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10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 조립체(250)가 상기 링크 조립체(230)을 더 구동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링크(233)가 이동하고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가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의 승강 및 회동 유도 홀(213)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이동하며,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 역시 상기 제2 가이드 홀(236)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작동 링크(235)에 연결되는 상기 가동 좌대(110)는 이전 상태에서 높이가 상승하는 작동과 회동하는 동작이 동시에 적용되는 승강 및 회동 움직임으로 작동한다.
도 11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 조립체(250)가 상기 링크 조립체(230)을 더 구동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링크(233)가 이동하고 상기 제2 회동 조인트(234)가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211)의 회동 유도 홀(214)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이동하며, 이때 상기 지지 가이드 핀(237)은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제2 가이드 홀(236)의 최상단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 유지한다. 그러면, 상기 작동 링크(235)에 연결되는 상기 가동 좌대(110)는 이전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이드 홀의 최상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동작이 적용되는 회동 움직임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은 회동 움직임은 도 13에 도시된 상태까지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300)의 동작에 따라 양변기 사용자는 편안하고 용이하게 일어설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복귀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도 13에 도시된 상태가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300)는 상술한 동작 과정을 역행하고, 이 과정을 통하여 상기 가동 좌대(110)는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좌대 작동기기(200)는 상기 양변기(150)의 측부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될 필요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수평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착 프레임(210)은 지지 브래킷(260)을 개재하여 지지/흡착 모듈(270)에 지지된 상태로 장착 유지하고, 상기 지지/흡착 모듈(270)은 바닥면(구체적으로 양변기(150)가 설치되는 화장실 바닥면)에 흡착력을 이용하여 부착된다.
상기 지지 브래킷(260)은 상기 장착 프레임(210)의 양측 모서리 부분의 하측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 브래킷(260)은 상기 장착 프레임(210)에 고정 결합되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장착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 브래킷(260)은 바닥면에 흡착력에 의하여 부착되는 상기 지지/흡착 모듈(270)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 브래킷(260) 역시 상기 지지/흡착 모듈(27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장착 프레임(210)은 상기 지지 브래킷(260)을 매개하여 상기 지지/흡착 모듈(270)에 장착되되, 높이 고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수평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장착 프레임(210)이 바닥면에 흡착력을 통해 부착되는 상기 지지/흡착 모듈(270)에 장착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좌대 작동기기(200) 또는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300)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착 프레임(210)은 상술한 링크 조립체(230) 및 구동 조립체(250)를 장착한 상태로 양변기(150) 측부에 설치되는데, 외관을 좋게 하고 보호를 위하여 케이스(290)로 덮여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케이스(290)는 상기 장착 프레임(210)에 쉽게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좌대 작동기기(200)는 상기 양변기(150)의 양 측부에서 일 측부에만 설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을 작동시켜도 무방하다. 즉,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는 상기 가동 좌대(110)의 일 측부에만 연결된 상태로 상기 양변기(150)의 일 측부에만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을 작동시켜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 가동 좌대(110)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고 더 나아가 좀 더 안정적인 움직임을 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는 상기 양변기(150)의 양 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110)의 양 측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동 좌대(110)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양변기 양 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의 구동은 동기화되는 것은 당연하다. 즉, 각각의 구동 조립체 및 링크 조립체가 동일하게 구성되고, 구동 모터의 구동이 동기화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양변기의 양 측부에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가 배치되면,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300)는 상기 양변기(150)의 양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좌대 작동기기(200)의 전방을 서로 연결하는 전방 연결 프레임(281)과 후방을 서로 연결하는 후방 연결 프레임(283)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좌대 작동기기(200)는 각각 배치 위치를 변경하거나 상호 간격을 조정하여 재배치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방 연결 프레임(281)과 후방 연결 프레임(283)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좌대 작동기기(200)는 상기 전방 연결 프레임(281)과 후방 연결 프레임(283)의 길이 조절을 통해 상호 간격 또는 장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 링크(235)와 상기 가동 좌대(110) 사이의 연결 역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작동 링크(235)의 타단은 상기 가동 좌대(110)의 측부에 연결되되, 길이 조절이 가능하거나 또는 연결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작동 링크(235)의 타단은 상기 가동 좌대(1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안정적이고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300)는 양변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면서 쉽고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데,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과정을 더욱더 원활하게 하고 더욱더 강력한 보조를 위하여 거동 보조 안전 바(100)를 더 부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300)는 거동 보조 안전 바(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거동 보조 안전 바(100)는 상기 양변기(15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바닥면에만 부착될 수도 있고, 바닥면과 벽면에 걸쳐 부착될 수도 있으며, 바닥면과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 사이에 걸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거동 보조 안전 바는 제1 연결 바(30), 상기 제1 연결 바(30)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 바(40), 상기 제1 연결 바(30)와 상기 제2 연결(40) 바의 각 일단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1 연결 바(30)와 상기 제2 연결 바(40) 사이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모듈(50) 및 상기 제1 연결 바(30)와 상기 제2 연결 바(40) 중, 적어도 하나의 타단에 결합하되, 결합하는 연결 바(본 발명에서는 제1 연결 바(30)로 예시하고 있음)에 대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부착 대상 면에 흡착력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결합/흡착 모듈(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 바 즉 제1 연결 바(30)와 제2 연결 바(40)는 상호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 모듈(50)이 상기 한 쌍의 연결 바(30, 40) 사이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또한, 상기 결합/흡착 모듈(10)은 대응하는 제1 연결 바(30)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부착 대상 면에 흡착력으로 부착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 바(30, 40)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각각의 일단은 상기 연결 모듈(50)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결합/흡착 모듈(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둘 중 하나의 타단은 상기 결합/흡착 모듈(10)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타단은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거동 보조 안전 바(100)는 양변기 사용자의 거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채택 적용하고, 양변기에 인접하여 좌대 작동기기(200)가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한쪽은 바닥면에 장착 결합되고 반대쪽은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연결 바(30, 40) 중, 제1 연결 바(30)의 타단은 상기 결합/흡착 모듈(10)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좌대 작동기기(200)를 구성하는 장착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연결 바 장착부(218)에 장착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연결 바(3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연결 모듈(50)과 상기 결합/흡착 모듈(10)에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 연결 바(4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연결 모듈(50)과 상기 장착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 바 장착부(218)에 연결 또는 장착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 연결 바(30)의 일측과 타측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노출홀(3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노출홀(31)에 탄성 돌기(35)가 가이드되어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2 연결 바(40)의 일측은 도 16에 도시된 구성을 그대로 따르고, 타측은 도 16에 도시된 구성을 그대로 따를 수도 있고 다른 결합 방법으로 상기 연결 바 장착부(218)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제1 연결 바(30)에 대한 설명에 대한 것이고,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연결 바(30)는 제1 연결 바(30)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탄성 돌기(35)는 상기 연결 바(30)의 내측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탄성 클립(33)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 클립(33)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연결 바(30)의 내측에 거치되되 탄성력을 가지도록 견고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클립(33)의 일측에 결합되는 상기 탄성 돌기(35)는 상기 가이드 노출홀(31)에 가이드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측에서 상기 탄성 돌기(35)에 외력을 가하면(내측으로 누르면) 상기 탄성 돌기(35)는 상기 가이드 노출홀(31)에 가이드되어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를 유지하고,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탄성 돌기(35)에 대해 외력을 풀면 상기 탄성 돌기(35)는 상기 가이드 노출홀(31)에 가이드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연결 바(3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연결 모듈(50)과 상기 결합/흡착 모듈(10)에 삽입되어 연결 또는 결합된다. 이때, 상기 탄성 돌기(35)는 상기 연결 모듈(50) 및 상기 결합/흡착 모듈(10)에 형성된 탄성 돌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 바(3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연결 모듈(50)과 상기 결합/흡착 모듈(1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연결 바(30)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 돌기(35)는 도 15에 도시된 연결 모듈(50)의 제1 탄성 돌기 체결홀(52a)과 제2 탄성 돌기 체결홀(55a)에 삽입되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 바(30)의 타측에 형성되는 탄성 돌기(35)는 도 17에 도시된 결합/흡착 모듈(10)의 제4 탄성 돌기 체결홀(25a)에 삽입되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를 통하여, 상기 연결 바(30)는 일측을 통해 상기 연결 모듈(50)에 연결되고 타측을 통해 상기 결합/흡착 모듈(10)에 결합된다.
상기 제1 연결 바 및 제2 연결 바(30, 40)의 일측은 상기 연결 모듈(50)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 모듈(50)은 상기 제1 연결 바(30)와 제2 연결 바(40)의 일단을 상호 연결한다. 그런데, 상기 연결 모듈(50)은 상기 한 쌍의 연결 바(30, 40)가 상호 연결에 의하여 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상기 한 쌍의 연결 바(30, 40)의 각 일단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한 쌍의 연결 바(30, 40) 사이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모듈(50)의 구체적인 구조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모듈(50)은 상기 한 쌍의 연결 바(30, 4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몸체(51)와, 상기 다른 하나의 연결 바와 연결되되 상기 제1 연결 몸체(5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 몸체(54) 및 상기 제1 연결 몸체(51)와 상기 제2 연결 몸체(54)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고정구(제1 체결 볼트(57), 제1 체결 너트(58) 및 제1 조임구(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연결 몸체(51)는 상기 한 쌍의 연결 바(30, 40) 중, 어느 하나의 일단이 삽입 결합하도록 일측에 제1 삽입 연결부(5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반 형태의 제1 회동 체결부(5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연결 몸체(51)의 일측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연결 바의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제1 삽입 연결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몸체(51)의 타측에는 원반 형태의 제1 회동 체결부(5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삽입 연결부(52)는 상기 한 쌍의 연결 바(30, 40) 중, 어느 하나의 연결 바의 일측이 삽입 결합되도록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술한 도 16에 도시된 연결 바의 형태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탄성 돌기 체결홀(52a)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삽입 연결부(52)는 상기 연결 바에 장착 형성되는 상기 탄성 돌기(35)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탄성 돌기 체결홀(52a)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는 상기 제1 삽입 연결부(52)에서 돌출 형성되되 원반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는 상기 제2 연결 몸체(54), 구체적으로 제2 회동 체결부(56)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는 양 측면을 가지는 원반 형태이고, 가운데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관통홀(53a)을 구비하고, 양 측면 각각에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치형부(53b)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관통홀(53a)은 고정구를 구성하는 제1 체결 볼트(57)가 상기 제2 연결 몸체(54), 구체적으로 제2 회동 체결부(56)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56a)과 함께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치형부(53b)는 상기 제2 연결 몸체(54), 구체적으로 제2 회동 체결부(56)에 형성되는 제2 치형부(56b)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치형부(53b)와 상기 제2 치형부(56b)가 맞물린 상태로 상기 고정구를 구성하는 제1 체결 볼트(57)를 상기 제2 관통홀(56a)과 상기 제1 관통홀(53a)에 삽입한 후, 제1 조임구(59)를 개재하여 제1 체결 너트(58)로 조이면, 상기 제2 회동 체결부(56)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가 강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회동 체결부(56)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는 상호 회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1 연결 몸체(51), 구체적으로 제1 삽입 연결부(52)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연결 바(30 또는 40)와 상기 제2 연결 몸체(54), 구체적으로 제2 삽입 연결부(55)에 연결되는 다른 하나의 연결 바(40 또는 30)는 상호 소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연결 모듈(5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몸체(54)는 상기 한 쌍의 연결 바(30, 40) 중, 다른 하나의 일단이 삽입 결합하도록 일측에 제2 삽입 연결부(55)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원반 형태의 제1 회동 체결부(53)가 삽입 개재되도록 원반 형태의 한 쌍의 제2 회동 체결부(56)가 상호 대향하여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2 삽입 연결부(55)는 상기 한 쌍의 연결 바(30, 40) 중, 다른 하나의 연결 바(30)의 일측이 삽입 결합되도록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술한 도 16에 도시된 연결 바의 형태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탄성 돌기 체결홀(55a)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삽입 연결부(55)는 상기 연결 바에 장착 형성되는 상기 탄성 돌기(35)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탄성 돌기 체결홀(55a)을 구비한다.
상기 제2 회동 체결부(56)는 상기 제2 삽입 연결부(55)에서 돌출 형성되되 서로 대향하여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원반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제2 회동 체결부(56)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6)의 양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상호 대향하여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원반 형태의 제1 회동 체결부(53)는 상기 상호 대향하여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원반 형태의 제2 회동 체결부(56) 사이에 삽입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체결부(56)는 상기 제1 연결 몸체(51), 구체적으로 제1 회동 체결부(53)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체결부(56)의 각각은 양 측면을 가지는 원반 형태이고, 가운데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관통홀(56a)을 구비하고, 양 측면 중,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와 대향하는 측면에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치형부(56b)를 구비한다. 따라서, 각 제2 회동 체결부(56)의 일측면(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2 치형부(56b)는 상기 대향하는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치형부(53b)와 마주보고 맞물릴 수 있다.
상기 각 제2 회동 체결부(56)에 형성되는 상기 제2 관통홀(56a)은 고정구를 구성하는 제1 체결 볼트(57)가 상기 제1 연결 몸체(51), 구체적으로 제1 회동 체결부(53)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53a)과 함께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제2 회동 체결부(56)에 형성되는 상기 제2 치형부(56b)는 상기 제1 연결 몸체(51), 구체적으로 제1 회동 체결부(53)에 형성되는 제1 치형부(53b)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치형부(56b)와 상기 제1 치형부(53b)가 맞물린 상태로 상기 고정구를 구성하는 제1 체결 볼트(57)를 상기 제2 관통홀(56a)과 상기 제1 관통홀(53a)에 삽입한 후, 제1 조임구(59)를 개재하여 제1 체결 너트(58)로 조이면, 상기 제2 회동 체결부(56)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가 강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회동 체결부(56)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는 상호 회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1 연결 몸체(51), 구체적으로 제1 삽입 연결부(52)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연결 바(30 또는 40)와 상기 제2 연결 몸체(54), 구체적으로 제2 삽입 연결부(55)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연결 바(40 또는 30)는 상호 소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연결 모듈(5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몸체(51)와 상기 제2 연결 몸체(54)는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56)가 상기 고정구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연결 바(30 또는 40)가 삽입 연결되는 상기 제1 삽입 연결부(52)와 상기 다른 하나의 연결 바(40 또는 30)가 삽입 연결되는 상기 제2 삽입 연결부(55)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56)가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한 쌍의 연결 바(30)는 상호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로 연결 모듈(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가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체결부(56) 사이에 삽입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체결부(56)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의 제1 치형부(53b)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56)의 제2 치형부(56b)는 상호 맞물린 상태로 밀착 고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는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체결부(56)에 삽입 개재된 상태로 회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체결부(56)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관통홀(56a)과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53a)에 삽입되는 제1 체결 볼트(57)와, 상기 제1 체결 볼트(57)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되는 제1 체결 너트(58) 및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체결부(56) 중, 어느 하나의 측면(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와 대향하지 않는 측면)과 상기 제1 체결 너트(58)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체결 너트(58)의 체결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체결부(56)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을 밀착하는 제1 조임구(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체결 볼트(57)는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56) 중, 어느 한쪽에서 삽입되어 다른 한쪽으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임구(59)가 상기 돌출된 제1 체결 볼트(57)에 끼워지고, 다음 상기 제1 체결 너트(58)도 상기 돌출된 제1 체결 볼트(57)에 끼워져서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제1 체결 너트(58)를 일방향으로 계속해서 돌리면, 상기 제1 조임구(59)는 제1 체결 너트(58)에 의해 상기 제2 회동 결합부(56)의 측면(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와 대향하지 않는 측면)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체결 너트(58)를 일방향으로 더 돌리면, 상기 제1 조임구(59)가 더 강하게 상기 제2 회동 결합부(56)의 측면(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와 대향하지 않는 측면)에 밀착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1 회동 체결부(53)와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체결부(56)는 조여져서 밀착 고정된다.
상기 연결 모듈(50)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연결 바(30, 40)를 상호 소정 각도로 이룬 상태로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연결 바(30, 40) 중 제1 연결 바(30)의 타측은 상기 결합/흡착 모듈(10)에 결합되고, 제2 연결 바(40)의 타측은 상술한 연결 바 장착부(218)에 장착 결합된다. 상기 결합/흡착 모듈(10)은 화장실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부착 대상 면에 흡착력을 통해 부착된다.
상기 결합/흡착 모듈(10)은 자신과 연결하는 상기 제1 연결 바(30)에 대해 완전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부착 대상 면에 볼트 고정 등을 이용하지 않고 흡착력으로 부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결합/흡착 모듈(10)은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흡착 모듈(10)은 브라켓(11)과, 상기 브라켓(11)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4 회동 체결부(26)와,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 바(30)의 타측이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제4 삽입 연결부(25) 및 상기 브라켓(11)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부착 대상 면에 흡착력으로 흡착 부착되는 흡착 패드(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흡착 모듈(10)을 구성하는 상기 브라켓(11)은 상부에 한 쌍의 돌출편(12)이 대향하여 이격 형성된다. 즉, 상기 브라켓(11)의 상부면에는 한 쌍의 돌출편(12)이 대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에는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가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 각각은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 각각은 상측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제3 관통홀(12a)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 각각의 일측면(상호 대향하는 측면,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의 측면과 밀착하는 면)에는 상기 제3 관통홀(12a)을 중심으로 주변에 방사 형태로 형성되는 제3 치형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제3 치형부(미도시)는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의 각 측면에 형성되는 제4 치형부(미도시)와 맞물린다.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는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 사이에 개재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제4 회동 결합부(25)는 양 측면을 가지는 원반 형태를 가지고, 양 측면을 통해 관통 형성되는 제4 관통홀(26a)을 구비하고, 각 측면에는 상기 각 돌출편(12)에 형성되는 제3 치형부(미도시)에 맞물릴 수 있는 제4 치형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와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은 고정구에 의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적용되는 고정구는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에 각각 형성되는 제3 관통홀(12a)과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에 형성되는 제4 관통홀(26a)에 삽입되는 제2 체결 볼트(27)와, 상기 제2 체결 볼트(27)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되는 제2 체결 너트(28) 및 상기 한 쌍의 돌출편(26) 중, 어느 하나의 돌출편 측면(제4 회동 체결부와 밀착하지 않는 면)과 상기 제2 체결 너트(28)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체결 너트(28)의 체결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돌출편(56) 중, 어느 하나의 돌출편 측면을 밀착하는 제2 조임구(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체결 볼트(27)는 한 쌍의 돌출편(12) 중, 어느 하나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에 형성되는 제4 관통홀(26a)를 지나 다른 한쪽으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 조임구(29)가 상기 돌출된 제2 체결 볼트(27)에 끼워지고, 다음 상기 제2 체결 너트(28)도 상기 돌출된 제2 체결 볼트(27)에 끼워져서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제2 체결 너트(28)를 일방향으로 계속해서 돌리면, 상기 제2 조임구(29)는 제2 체결 너트(28)에 의해 상기 다른 쪽의 돌출편(12)의 측면(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와 접촉하지 않는 측면)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 너트(28)를 일방향으로 더 돌리면, 상기 제2 조임구(29)가 더 강하게 상기 돌출편(12)의 측면(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와 접촉하지 않는 측면)에 밀착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와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는 조여져서 밀착 고정된다.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에는 상기 연결 바(30)의 타측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제4 삽입 연결부(25)가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제4 삽입 연결부(25)는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 바(30)의 타측이 삽입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4 삽입 연결부(25)는 연결되는 제1 연결 바(30)의 타측이 삽입 결합되도록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술한 도 16에 도시된 제1 연결 바(30)의 형태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4 탄성 돌기 체결홀(25a)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삽입 연결부(25)는 상기 제1 연결 바(30)에 장착 형성되는 상기 탄성 돌기(35)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4 탄성 돌기 체결홀(25a)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과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구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과 상기 연결되는 연결 바(30)가 삽입 연결되는 상기 제4 삽입 연결부(25)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돌출편(52)과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가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연결되는 연결 바(30)는 상기 돌출편(12)과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로 상기 제4 삽입 연결부(2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가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 사이에 삽입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가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 사이에서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돌출편(12)에 형성되는 제3 치형부(미도시)와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에 형성되는 제4 치형부(미도시)는 상호 맞물린 상태로 밀착 고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는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에 삽입 개재된 상태로 회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브라켓(11), 구체적으로 한 쌍의 돌출편(12)에 상기 제4 회동 체결부(26)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로 고정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되는 연결 바(30)는 각도 조절 가능하게 상기 제4 삽입 연결부(25)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흡착 모듈(10)은 상기 연결되는 제1 연결 바(30)와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부착 대상 면에 흡착력을 통해 흡착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브라켓(11) 하부에는 상기 흡착 패드(15)가 배치되되, 상기 흡착 패드(15)는 부착 대상 면에 흡착될 수 있고 흡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중앙 부분이 승강할 수 있는 구조로 상기 브라켓(11) 하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흡착 패드(15)는 상기 브라켓(11)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부착 대상 면에 흡착되고 중앙 부분이 승강할 수 있는 구조로 배치된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 패드(15)는 상기 브라켓(1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착 패드(15)의 외곽 영역(15b) 하부면에는 점착 밴드(16)가 형성되며 상기 흡착 패드(15)의 중앙 영역(15a) 상단에는 수직 방향으로 승강 샤프트(17)가 형성된다.
상기 흡착 패드(15)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을 가지되, 가운데 영역(중앙 영역(15a))이 수평 또는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솟아오른 형상을 가지고, 중앙 영역(15a) 이외의 영역 즉, 외곽 영역(15b)은 경사진 형상 또는 수평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흡착 패드(15)의 중앙 영역(15a)이 수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을 가지고,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반구 형상을 가진다. 상기 중앙 영역(15a)과 외곽 영역(15b)으로 구성되는 상기 흡착 패드(15)는 몰드 등을 통하여 한번에 동시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중앙 영역(15a)과 상기 외곽 영역(15b)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흡착 패드(15)의 상단, 구체적으로 상기 흡착 패드(15)의 중앙 영역(15a)의 상단에는 승강 샤프트(17)가 형성된다. 상기 흡착 패드(15)의 중앙 영역(15a) 상부 중앙 부분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승강 샤프트(17)는 상기 흡착 패드(15)의 중앙 영역(15a)을 상승시켜 상기 흡착 패드(15)와 부착 대상 면 사이의 공간을 진공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착 패드(15)의 하부면에는 흡착 패드가 상기 부착 대상 면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점착 밴드(16)가 부착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착 밴드(16)는 상기 흡착 패드(15)의 외곽 영역(15b) 하부면에 부착되는 점착성의 흡착 밴드에 해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흡착 패드(15)의 중앙 영역(15a)이 상방향으로 상승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흡착 패드(15)와 벽면(1) 또는 바닥면(3) 등의 부착 대상 면(s) 사이에서 진공 상태가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착 패드(15)와 부착 대상 면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흡착 패드(15)의 하부면에는 본드 겔(gel) 재질로 형성되어 부착면에 강하게 흡착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점착 밴드(16)가 부착된다. 상기 점착 밴드(16)는 점착성 연질 물질을 상기 흡착 패드(15)의 중앙 영역(15a)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외곽 영역(15b)의 하부면에만 직접 도포하여 형성하거나, 성형된 점착성 연질 제품을 상기 외곽 영역(15b)의 하부면에만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 밴드(16)는 상기 흡착 패드(15) 하부면에 부착되되, 상기 흡착 패드(15)의 외곽 영역(15b)의 하부면에 원형 띠 형태로 부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흡착 패드(15)의 외곽 영역(15b)은 점착 밴드(16)를 통해 상기 부착 대상 면에 강하게 부착될 수 있고, 상기 흡착 패드(15)의 중앙 영역(15a)은 상기 승강 샤프트(17)의 승강 동작을 통해 상측으로 상승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흡착 패드(15)는 외곽 영역은 부착 대상 면에 강력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중앙 영역은 상측으로 상승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흡착 패드(15)의 중앙 영역(15a)과 외곽 영역(15b)의 경계 라인(15c)은 주변(중앙 영역 및 외곽 영역)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경계 라인(15c)을 따라 절곡 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흡착 패드(15)는 부착 대상 면에 흡착되고 중앙 영역(15b)이 승강할 수 있는 구조로 상기 브라켓(11) 하부에 결합 배치된다. 상기 흡착 패드(15)의 중앙 영역(15b)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흡착 패드(15)와 부착 대상 면 사이에 진공 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흡착 패드(15)는 더 강한 흡착력을 이용하여 부착 대상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흡착 패드(15)의 중앙 영역(15a)에 대한 승강은 다양한 구조를 통해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구조를 채택 적용한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흡착 패드(15)의 중앙 영역(15a)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승강 샤프트(17)는 측방으로 관통 형성되는 체결핀 삽입홀(17a)을 구비하고, 상측에서 내측으로 뚫려서 형성되는 스프링 안착홀(17b)을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11)은 중앙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내측이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 관(13)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관(13)은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1)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흡착 패드(15)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상기 승강 샤프트(17)는 상기 가이드 관(13)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삽입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관(13)은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승강 유도 안내홀(13a)을 구비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승강 유도 안내홀(13a)은 상기 가이드 관(13)의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절개되어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승강 유도 안내홀(13a)은 후술할 체결핀(22)의 양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가이드되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관(13)에는 회전 관(19)이 끼워져서 배치된다. 상기 회전 관(19)은 상기 가이드 관(13)에 끼워져서 상기 가이드 관(13)을 애워싸는 형태로 상기 브라켓(11) 상부면에 안착 배치된다. 결국, 상기 회전 관(19)은 상기 가이드 관(13)에 가이드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관(19)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 관(1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관(19)의 외측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레버(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 관(19)은 사선 방향으로 길게 뚫려서 형성되는 한 쌍의 승강 유도 사선홀(19a)을 구비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승강 유도 사선홀(19a)은 상기 회전 관(19)의 둘레면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승강 유도 사선홀(19a)은 상기 회전 관(19)이 회전됨에 따라, 후술할 체결핀(22)의 양측이 안착된 상태에서 사선 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타고 올라가거나 내려올 수 있도록 사선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승강 샤프트(17)는 상기 가이드 관(13)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관(13)은 상기 회전 관(19)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관(19), 상기 가이드 관(13) 및 상기 승강 샤프트(17)는 상기 체결핀(22)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핀(22)은 상기 회전 관(19)에 형성되는 승강 유도 사선홀(19a), 상기 가이드 관(13)에 형성되는 승강 유도 안내홀(13a) 및 상기 승강 샤프트(17)에 형성되는 체결핀 삽입홀(17a)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핀(22)은 상기 승강 샤프트(17)에 형성되는 체결핀 삽입홀(17a)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양측이 상기 한 쌍의 승강 유도 안내홀(13a)과 상기 한 쌍의 승강 유도 사선홀(19a)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 및 결합 상태에서, 상기 회전 관(19)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체결핀(22)의 양측단은 회전하는 상기 한 쌍의 승강 유도 사선홀(19a)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타고 올라가고, 이 과정에서 상기 체결핀(22)의 양측단은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승강 유도 안내홀(13a)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승강 샤프트(17)가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승강 샤프트(17)의 상승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 관(19)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승강 샤프트(17)와 동반 상승하지 않고 상기 브라켓(11) 상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 동작만 수행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즉, 상기 회전 관(19)은 상기 브라켓(11)의 상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관(13)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 관(19) 상부에는 지지판(24)이 배치된다.
상기 지지판(24)은 상기 회전 관(19) 상부에 안착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회전 관(19)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판(24) 역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판(24)은 그 상부가 상술한 제4 회동 연결부(26)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배치되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4)이 상기 제4 회동 연결부(26)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 관(19)은 상기 브라켓(11)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판(24)의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1)과 상기 지지판(24)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 관(19)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핀(22)의 양측단은 상기 한 쌍의 승강 유도 사선홀(19a)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타고 올라가면서 상기 한 쌍의 승강 유도 안내홀(13a)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고, 이 과정을 통해 상기 승강 샤프트(17)가 상측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통해 상기 승강 샤프트(17)가 상승되면, 상기 흡착 패드(15)의 외곽 영역(15b)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점착 밴드(16)에 의하여 부착 대상 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 패드(15)의 중앙 영역(15a)이 상승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부착 대상 면과 상기 흡착 패드(15)의 중앙 영역(15a) 사이에 진공 상태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흡착 패드(15)의 흡착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 샤프트(17)를 상승시켜 흡착력을 강화하여 흡착 패드(15)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흡착 패드(15)의 흡착을 해제하고자 할 때, 상기 승강 샤프트(17)는 용이하게 원래 위치로 복원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승강 샤프트(17)에 형성되는 상기 스프링 안착홀(17b)에 스프링(23)을 안착시킨다. 상기 스프링(23)은 상기 스프링 안착홀(17b)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측이 상기 지지판(24)에 의해 눌러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23)은 상기 스프링 안착홀(17b)과 상기 지지판(24) 사이에서 탄성력을 가진 상태로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스프링(23)은 상기 지지판(24)에 지지된 상태로 하측 방향으로 힘을 발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레버(20)를 조작하여 상기 회전 관(19)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프링(23)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승강 샤프트(17)가 하강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흡착 패드(15)도 하강하여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흡착력이 풀리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변기에 인접하여 사용자가 잡고 거동할 수 있는 거동 보조 안전 바를 추가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양변기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더욱더 방지할 수 있고, 가동 좌대의 움직임 동작 과정에서 동시에 잡고 일어설 수 있기 때문에 양변기 사용자가 더욱더 용이하고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결합/흡착 모듈 11 : 브라켓
12 : 돌출편 12a : 제3 관통홀
13 : 가이드 관 13a : 승강 유도 안내홀
15 : 흡착 패드 15a : 중앙 영역
15b : 외곽 영역 15c : 경계 라인
16 : 점착 밴드 17 : 승강 샤프트
17a : 체결핀 삽입홀 17b : 스프링 안착홀
19 : 회전 관 19a : 승강 유도 사선홀
20 : 레버 22 : 체결핀
23 : 스프링 24 : 지지판
25 : 제4 삽입 연결부 25a : 제4 탄성 돌기 체결홀
26 : 제4 회동 체결부 26a : 제4 관통홀
27 : 제2 체결 볼트 28 : 제2 체결 너트
29 : 제2 조임구 30 : 제1 연결 바
31 : 가이드 노출홀 33 : 탄성 클립
35 : 탄성 돌기 40 : 제2 연결 바
50 : 연결 모듈 51 : 제1 연결 몸체
52 : 제1 삽입 연결부 52a : 제1 탄성 돌기 체결홀
53 : 제1 회동 체결부 53a : 제1 관통홀
53b : 제1 치형부 54 : 제2 연결 몸체
55 : 제2 삽입 연결부 55a : 제2 탄성 돌기 체결홀
56 : 제2 회동 체결부 56a : 제2 관통홀
56b : 제2 치형부 57 : 제1 체결 볼트
58 : 제1 체결 너트 59 : 제1 조임구
100 : 거동 보조 안전 바 110 : 가동 좌대
150 : 양변기 200 : 좌대 작동기기
210 : 장착 프레임 211 : 작동경로 유도 홀
212 : 승강 유도 홀 213 : 승강 및 회동 유도 홀
214 : 회동 유도 홀 215 : 제1 가이드 홀
216 : 제2 가이드 홀 218 : 연결 바 장착부
230 : 링크 조립체 231 : 가동 링크
232 : 제1 회동 조인트 233 : 연결 링크
234 : 제2 회동 조인트 235 : 작동 링크
237 : 지지 가이드 핀 250 : 구동 조립체
251 : 구동 모터 253 : 샤프트
255 : 웜 257 : 웜 휠
258 : 회전축 260 : 지지 브래킷
270 : 지지/흡착 모듈 281 : 전방 연결 프레임
283 : 후방 연결 프레임 290 : 케이스
300 :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Claims (3)

  1. 양변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양변기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가동 좌대; 상기 양변기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가동 좌대의 움직임을 작동시키되, 상기 가동 좌대가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가지도록 작동시키는 좌대 작동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좌대 작동기기는,
    상기 양변기에 인접하여 고정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되, 적어도 두 개의 링크로 구성되어 일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타단에 연결되는 상기 가동 좌대의 승강 움직임과 회동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링크 조립체 및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링크 조립체의 일단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 프레임에는 상기 가동 좌대의 움직임 모드 및 움직임 모드의 발생 경로를 결정하고 유도할 수 있는 일정한 경로를 가지는 홀에 해당하는 작동경로 유도 홀, 상기 링크 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 회동 조인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링크 조립체를 구성하는 지지 가이드 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 조립체는 가동 링크, 연결 링크 및 작동 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 링크와 상기 연결 링크는 제1 회동 조인트에 의하여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 링크와 상기 작동 링크는 제2 회동 조인트에 의하여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회동 조인트는 상기 작동경로 유도 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작동 링크에는 상기 제2 가이드 홀에 삽입 배치되는 지지 가이드 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거동 보조 안전 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동 보조 안전 바는 제1 연결 바, 상기 제1 연결 바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 바, 상기 제1 연결 바와 상기 제2 연결 바의 각 일단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1 연결 바와 상기 제2 연결 바 사이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모듈 및 상기 제1 연결 바와 상기 제2 연결 바 중, 적어도 하나의 타단에 결합하되, 결합하는 연결 바에 대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부착 대상 면에 흡착력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결합/흡착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KR1020180079126A 2018-07-09 2018-07-09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KR101988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126A KR101988797B1 (ko) 2018-07-09 2018-07-09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US16/282,319 US10893994B2 (en) 2018-07-09 2019-02-22 Apparatus for assisting toilet user in standing 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126A KR101988797B1 (ko) 2018-07-09 2018-07-09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797B1 true KR101988797B1 (ko) 2019-06-12

Family

ID=6684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126A KR101988797B1 (ko) 2018-07-09 2018-07-09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93994B2 (ko)
KR (1) KR1019887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7362A1 (en) * 2019-06-17 2020-12-24 Medic, Inc. Toilet with internal lifting system
WO2021167296A1 (ko) * 2020-02-19 2021-08-26 송순영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486B1 (ko) * 2019-04-01 2020-01-03 송순영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CN113261874A (zh) * 2021-05-25 2021-08-17 浙江育英职业技术学院 一种老年人可升降辅助如厕马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669Y1 (ko) 2001-03-08 2001-10-06 조현성 노약자 및 하체 장애자용 좌변기
JP2003176610A (ja) * 2001-12-12 2003-06-27 Naka Ind Ltd 手摺装置
KR100888719B1 (ko) * 2007-09-12 2009-03-17 김종범 좌변기보조지지대
JP2013023376A (ja) * 2011-07-25 2013-02-04 Hi-Lex Corporation 昇降機構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05472A (en) * 1921-09-26 1924-08-19 Kuno Shichigoro Cover-lifting device
US3343871A (en) * 1966-03-03 1967-09-26 George H Yates Automatically operated invalid chair
US3474471A (en) * 1966-07-13 1969-10-28 Felipe O Matibag Arm rest for water closets or the like
US3404411A (en) * 1966-10-31 1968-10-08 Newkirk Kenneth Actuating means for toilet seats and lids
US4894871A (en) * 1989-02-01 1990-01-23 Joseph Schmerler Transfer aid
JP3785233B2 (ja) * 1996-10-11 2006-06-14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跳ね上げ式簡易ひじ掛け体
JP4434923B2 (ja) * 2004-10-06 2010-03-17 新家工業株式会社 洋式便器用介助具
US20160143795A1 (en) * 2013-05-17 2016-05-26 Eli Schwartz Ergonomic lifting and lowering mechanism for apparatuses for assisting a handicapped pers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669Y1 (ko) 2001-03-08 2001-10-06 조현성 노약자 및 하체 장애자용 좌변기
JP2003176610A (ja) * 2001-12-12 2003-06-27 Naka Ind Ltd 手摺装置
KR100888719B1 (ko) * 2007-09-12 2009-03-17 김종범 좌변기보조지지대
JP2013023376A (ja) * 2011-07-25 2013-02-04 Hi-Lex Corporation 昇降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7362A1 (en) * 2019-06-17 2020-12-24 Medic, Inc. Toilet with internal lifting system
WO2021167296A1 (ko) * 2020-02-19 2021-08-26 송순영 양변기 가동 좌대 리프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93994B2 (en) 2021-01-19
US20200008992A1 (en)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797B1 (ko)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US4168552A (en) Adjustable toilet seat
US9393167B2 (en) Wheelchair
US20150257960A1 (en) Hydraulic Chair with Positioning Apparatus
US20200095757A1 (en) Assistive apparatus with adjustable seat height
US20200093665A1 (en) Assistive Apparatus With An Adjustable Backrest Assembly
KR102080917B1 (ko) 전동 휠체어
KR20200021388A (ko) 일어나는 것을 돕는 의자
KR102150594B1 (ko) 휠체어
US6003171A (en) Two-in-one chair lift and toilet seat
JP2015519273A (ja) 階段昇降機
KR101310841B1 (ko) 전동휠체어용 암레스트
KR101838105B1 (ko) 기립 보조기
JP2001161752A (ja) 分離合体型車椅子
JP3227598B2 (ja) 車椅子装置
KR20210123474A (ko) 이동형 사용자 기립 보조 장치
JP3202877U (ja) 立ち上がり補助椅子の構造
KR200319927Y1 (ko)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
JP3210254B2 (ja) 立ち上り補助椅子
CN218075489U (zh) 椅背与扶手协同动作的轮椅
KR20130037603A (ko) 환자용 좌변의자
JP2915856B2 (ja) 椅 子
JP3260105B2 (ja) 多機能椅子
JP2012024401A (ja) 車椅子
CN114158971A (zh) 坐便调节结构及使用其的护理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