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085B1 -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085B1
KR101986085B1 KR1020180155945A KR20180155945A KR101986085B1 KR 101986085 B1 KR101986085 B1 KR 101986085B1 KR 1020180155945 A KR1020180155945 A KR 1020180155945A KR 20180155945 A KR20180155945 A KR 20180155945A KR 101986085 B1 KR101986085 B1 KR 101986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steel tower
r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근
Original Assignee
(주)한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15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0Pin insulators
    • H01B17/22Fastening of conductors to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완철의 위치변경이 손쉬우면서도 완철의 내구성이 보완되도록 하는 한편, 제2지지대와 철탑 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완철본체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ARM APPARATUS FOR STEEL TOWER WITH FIXING APPARATUS OF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완철의 위치변경이 손쉬우면서도 완철의 내구성이 보완되도록 하는 한편, 제2지지대와 철탑 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완철본체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철탑은 배전선로 등의 각종 전선을 지상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 공중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써, 강관전주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완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T)에 고정되어 애자(I)를 매개로 배전선로(C)를 지지한다(도 1).
일반적으로 완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본체(200')를 포함하고, 철탑(T')과 '十'가 형상으로 교차하도록 철탑(T)의 상부에서 'U'자형 완철밴드(B) 등을 통해 고정되며, 완철본체(200')의 설치 후 배전선로(C)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완철본체(200')에 애자(I)가 고정된다.
송전선(C)은 통상 도로가에서 도로와 평행하게 설치되므로, 완철본체(200')의 일단은 인도측으로 향하고 타단은 도로측을 향하게 된다.
이때, 도로측으로 향하는 완철본체(200')의 타단은 도로의 상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로의 상방에 배치된 완철본체(200')에 애자(I)를 고정하고, 고정된 애자(I)에 송전선(C)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작업시 철탑(T')에 승주하여 도로의 상방에서 작업해야한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직접 승주하여 도로측에서 작업하다가, 작업 중 부주의로 인해 도로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단순 추락사고뿐만 아니라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에 치이는 교통사고를 동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15986호(2009.09.10.)에는 '송전선용 특고압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철탑고정식 완철은 제2지지대와 철탑 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면서 완철본체의 원활한 회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15986호(2009.09.10.) '송전선용 특고압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완철의 위치변경이 손쉬우면서도 완철의 내구성이 보완되도록 하는 한편, 제2지지대와 철탑 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완철본체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제1안착홈(110)과, 제1안착홈(110)의 외측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형성되고 제1체결구멍(121)이 다수개 형성된 제1고정돌기(120)를 구비하고서, 철탑(T)에 끼움고정되는 관 형상의 제1지지대(100); 둘레면에 상호 대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애자(I)를 매개로 송전선(C)이 고정되는 한 쌍의 설치대(210)와, 설치대(210)와 이격되어 외부로 돌출되고 제2체결구멍(221)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대(220)를 구비하고서, 철탑(T)에 끼움고정되며, 제1지지대(100)의 제1안착홈(110)에 설치되는 제1베어링(b1)을 매개로 제1지지대(100)에 회전가능하게 얹혀져는 관 형상의 완철본체(200); 관 형상으로,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제2안착홈(310)과, 제2안착홈(310)의 외측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형성되고 제3체결구멍(321)이 다수개 형성된 제2고정돌기(320)를 구비하고서, 철탑(T)에 끼움고정되며, 제2안착홈(310)에 설치되어 완철본체(200)의 상부에 맞닿는 제2베어링(b2)을 매개로, 완철본체(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 형상의 제2지지대(300); 제2지지대(300)의 제2고정돌기(320)의 제3체결구멍(321)과 완철본체(200)의 고정대(220)의 제2체결구멍(221) 및 제1지지대(100)의 제1고정돌기(120)의 제1체결구멍(12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완철본체(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고정장치(400); 및 제1지지대(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철탑(T)의 둘레면을 감싸 고정되는 밴드부(510)와, 하단은 밴드부(510)에 고정되고, 상단은 완철본체(200)의 설치대(210)에 고정되어, 설치대(210)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520)를 갖춘 완철본체받침장치(500)로 구성되는 배전선로의 고장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에 있어서, 제2지지대(300)와 철탑(T) 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600)를 더 포함하며, 방지부(600)는, 제2지지대(30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바(610); 제2지지대(3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철탑(T)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방지링(620); 일단부가 방지링(62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철탑(T)에 접하는 밀착링(630); 및 방지링(620)을 지지바(6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640)을 포함하고, 고정수단(640)은, 일단부가 지지링(630)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지지바(610)를 통과하는 고정바(641); 및 고정바(641)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642)를 포함하고, 지지바(610)는, 고정바(641)가 통과하는 중공(6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밀착링(630)은, 방지링(620)의 승,하강에 따라 철탑(T)과 접하는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고장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경우 완철본체를 회전시켜 위치변경을 손쉽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성 향상과 함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완철본체의 내구성 하락을 보완하여 장기간 애자 및 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지지대와 철탑 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완철본체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완철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에서 방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방지링과 밀착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에서 방지링과 밀착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10은 도 7에서 방지링과 밀착링이 한 쌍의 분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이하 "완철장치"라 한다)는 제1지지대(100), 완철본체(200), 제2지지대(300), 고정장치(400) 및 완철본체받침장치(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완철장치가 설치되는 철탑(T)은 원 기둥 형상의 강관전주로써, 상부가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져 뾰족해지는 형상을 취한다.
상기 제1지지대(100)는 원형관체로서, 둘레면을 따라 회전수단인 제1베어링(b1)이 설치되는 링 형상의 제1안착홈(110)이 형성되고, 제1안착홈(110)의 상부 외측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형성된 제1고정돌기(120)를 구비하고서, 철탑(T)의 상부에 끼움고정된다.
상기 제1고정돌기(120)는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1체결구멍(1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대(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자체하중, 완철본체(200) 및 제1베어링(b1)의 하중에 의해 철탑(T)에 고정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제1지지대(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제1안착홈(110)의 하측으로 관체를 연장시키고, 제2지지대(300)의 상부연장부(330)처럼 연장된 부분에 볼트구멍을 형성하여 볼트를 통해 조여서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완철본체(200)는 원형관체로서, 둘레면에 상호 대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애자(I)를 매개로 송전선(C)이 고정되는 한 쌍의 설치대(210)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완철본체(200)의 둘레면에는 설치대(210)와 이격되고 제2체결구멍(221)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대(220)가 둘레면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완철본체(200)는 철탑(T)에 끼워지고, 제1지지대(100)에 설치된 제1베어링(b1)에 얹혀져서, 철탑(T)의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지지대(300)는 원형관체로서, 둘레면을 따라 제2베어링(b2)이 설치되는 링 형상의 제2안착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대(300)는, 제2안착홈(310)에 설치되고 완철본체(200)에 얹혀져서 완철본체(200)를 철탑(T)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베어링(b2)을 매개로 완철본체(2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철탑(T)에 끼움고정된다.
상기 제2지지대(300)는 제2안착홈(310)의 하부 외측면을 따라 외부로 제1고정돌기(120)가 돌출형성되고, 제1고정돌기(1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3체결구멍(32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대(300)는 제2안착홈(310)의 상방으로 연장된 상부연장부(330)가 형성되고, 상부연장부(330)의 내측으로 나사산이 구비된 볼트구멍(33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연장부(330)의 볼트구멍(331)에 볼트(b)가 체결되어, 볼트(b)가 조여지면서, 철탑(T)에 제2지지대(300)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장치(400)는 제2지지대(300)의 제2고정돌기(320)의 제3체결구멍(321)과 완철본체(200)의 고정대(220)의 제2체결구멍(221) 및 제1지지대(100)의 제1고정돌기(120)의 제1체결구멍(12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완철본체(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고정볼트(410)와, 고정볼트(410)를 고정하는 고정너트(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철본체받침장치(500)는 완철본체(200)의 설치대(210)의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밴드부(510)와 받침대(520)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부(5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T)의 양측에서 고정하는 방식도 적용 가능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철탑(T)의 둘레면을 감싸 일측에서만 고정할 수 있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520)는 사선의 바 형상으로서, 하단은 밴드부(510)측으로 구부러져 밴드부(510)에 고정되고, 상단은 설치대(210)측으로 구부러져, 설치대(210)의 하면을 받쳐 지지한다.
이하, 도 1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철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탑(T)의 상부에 제1지지대(100), 완철본체(200), 제2지지대(300), 고정장치(400) 및 완철본체받침장치(500)를 설치한다.
유지보수 등 작업시, 장애물 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완철본체(200)의 회전이 요구되는 경우, 완철본체받침장치(500)의 받침대(520)를 완철본체(200)의 설치대(210)와 분리하고, 받침대(520)에 의해 작업방해가 없도록, 별도의 벨트나 끈 등으로 받침대(520)를 철탑(T)에 묶어 고정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이 편리한 방향으로 상기 완철본체(200)를 회전시킨 뒤, 상기 고정장치(400)의 고정볼트(410)를 제1지지대(100)의 제1고정돌기(120)의 제1체결구멍(121), 완철본체(200)의 고정대(220)의 제2체결구멍(221) 및 제2지지대(300)의 제2고정돌기(320)의 제3체결구멍(321)에 순차적으로 관통시킨 후 고정너트(420)로 고정볼트(410)를 고정하여, 완철본체(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1지지대(100) 및 제2지지대(300)에 완철본체(200)를 고정한다.
상기 송전선(C)은 온도 등에 의해 송전선(C)이 팽창되거나 수축된 상태를 대비하기 위해, '딥'이라 불리우는 여유분을 일정길이 두게 되므로 완철본체(200)가 일정각도로 회전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애자(I) 또는 송전선(C) 등의 보수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완철본체(200)의 고정을 해제한 뒤, 송전선(C)의 진행방향으로 완철본체(300)를 회전시켜 원위치시킨 뒤, 고정장치(400)로 재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철탑(T)에 고정된 받침대(520)를 풀어, 완철본체(200)의 설치대(210)에 받침대(520)를 고정하여 작업을 완료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완철장치는 상기 완철본체(200)가 제1베어링(b1) 및 제2베어링(b2)을 통해 손쉽게 회전되어, 장애물을 제거하지 않고서도, 장애물을 피해 완철본체(200)를 회전시켜 작업하면 되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도로의 상방에서 작업하는 경우 역시, 완철본체(200)를 회전시켜 인도측에서 작업하면 되므로 작업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장치(400)로 완철본체(200)의 회전을 손쉽게 저지할 수 있으므로 완철본체(200)의 고정이 편리하다.
또한, 상기 완철본체받침장치(500)가 설치대(210)를 받쳐 고정하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완철본체(200)의 내구성 하락을 보완하여, 장기간 애자(I) 및 송전선(C)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철장치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대(300)와 철탑(T) 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600)를 더 포함한다.
방지부(600)는 제2지지대(300)와 철탑(T) 간으로 우수나, 흙, 모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완철본체(200)의 불완전 회전을 방지한다.
방지부(600)는 제2지지대(30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바(610), 제2지지대(3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철탑(T)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방지링(620), 하단부가 방지링(620)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철탑(T)에 접하는 밀착링(630) 및 방지링(620)을 지지바(6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640)을 포함한다.
지지바(610)는 하부가 제2지지대(300)의 상부 양측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 형태를 이룬다.
방지링(620)는 상,하부가 개방되는 원형링으로 이루어지며, 철탑(T)의 상부 외측으로 결합된다.
밀착링(630)은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방지링(620)의 상부 가장자리에 고정되면서 상단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밀착링(630)은 하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형링 형태를 이루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이는, 도 2 및 도 4,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밀착링(630)이 결합되는 철탑(T)의 형태가 원뿔 형태를 이루기 때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밀착링(630)은 상단부가 철탑(T)의 둘레에 접하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제2지지대(300)와 철탑(T) 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수단(650)은 일단부가 지지링(630)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지지바(610)를 통과하는 고정바(641) 및 고정바(641)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642)를 포함한다.
고정바(641)는 일단부가 지지링(630)의 양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지지바(610)를 통과한다.
고정바(64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고정부재(642)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고정바(641)로 나사결합된다.
고정부재(642)는 고정바(641)로 나사결합되면서 방지링(620)과 함께 밀착링(630)이 지지바(6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재(642)는 풀림 회전에 따라 고정바(641)와 함께 방지,밀착링(620,630)이 승,하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밀착링(630)은 철탑(T)에 접하는 적정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는, 밀착링(630)이 밀착되며 접하는 철탑(T)이 원뿔 형태를 이루면서 밀착링(630)의 승,하강에 따라 철탑(T)으로 밀착되는 정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지지바(610)에는 고정바(641)가 통과하는 중공(611)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고정바(641)와 함께 방지,밀착링(620,630)이 승,하강되도록 한다.
방지부(600)는 중공(611)으로 결합되면서 중공(611)을 밀폐하는 압착부재(650)를 더 포함한다.
압착부재(650)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공(6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부재(650)에는 지지바(610)가 통과하는 절단선(651)이 형성되며, 절단선(651)은 지지바(6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절단선(651)은 지지바(6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고정바(641)와 함께 방지링(620)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고정부재(642)는 외경이 압착부재(65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조임 회전시 압착부재(650)를 가압함이 없이 지지바(610)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링(630)은 방지링(620)의 승,하강에 따라 철탑(T)과 접하는 정도가 조절된다.
이는, 밀착링(630)이 밀착되며 접하는 철탑(T)이 원뿔 형태를 이루면서 밀착링(630)의 승,하강에 따라 철탑(T)으로 밀착되는 정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밀착링(630)은 방지링(620)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될 때, 철탑(T)의 직경이 점점 작아지거나, 철탑(T)의 직경이 점점 커짐에 따라 철탑(T)으로 밀착되는 면적이 달라지면서 철탑(T)과 접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방지링(620)과 밀착링(6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으로 분기되면서 철탑(T)의 외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지지대(300)와 철탑(T) 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완철본체(20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제1지지대 110: 제1안착홈
120: 제1고정돌기 200: 완철본체
210: 설치대 220: 고정대
300: 제2지지대 310: 제2안착홈
320: 제2고정돌기 330: 상부연장부
400: 고정장치 410: 고정볼트
420: 고정너트 500: 완철본체받침장치
510: 밴드부 520: 받침대
600: 방지부 610: 지지바
620: 방지링 630: 밀착링
640: 고정수단 650: 압착부재

Claims (1)

  1.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제1안착홈(110)과, 제1안착홈(110)의 외측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형성되고 제1체결구멍(121)이 다수개 형성된 제1고정돌기(120)를 구비하고서, 원뿔 형태를 이루는 철탑(T)에 끼움고정되는 관 형상의 제1지지대(100);
    둘레면에 상호 대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애자(I)를 매개로 송전선(C)이 고정되는 한 쌍의 설치대(210)와, 설치대(210)와 이격되어 외부로 돌출되고 제2체결구멍(221)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대(220)를 구비하고서, 철탑(T)에 끼움고정되며, 제1지지대(100)의 제1안착홈(110)에 설치되는 제1베어링(b1)을 매개로 제1지지대(100)에 회전가능하게 얹혀져는 관 형상의 완철본체(200);
    관 형상으로,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제2안착홈(310)과, 제2안착홈(310)의 외측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형성되고 제3체결구멍(321)이 다수개 형성된 제2고정돌기(320)를 구비하고서, 철탑(T)에 끼움고정되며, 제2안착홈(310)에 설치되어 완철본체(200)의 상부에 맞닿는 제2베어링(b2)을 매개로, 완철본체(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 형상의 제2지지대(300);
    제2지지대(300)의 제2고정돌기(320)의 제3체결구멍(321)과 완철본체(200)의 고정대(220)의 제2체결구멍(221) 및 제1지지대(100)의 제1고정돌기(120)의 제1체결구멍(12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완철본체(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고정장치(400); 및
    제1지지대(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철탑(T)의 둘레면을 감싸 고정되는 밴드부(510)와, 하단은 밴드부(510)에 고정되고, 상단은 완철본체(200)의 설치대(210)에 고정되어, 설치대(210)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520)를 갖춘 완철본체받침장치(500)로 구성되는 배전선로의 고장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에 있어서,
    제2지지대(300)와 철탑(T) 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600)를 더 포함하며,
    방지부(600)는,
    제2지지대(30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바(610);
    제2지지대(3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철탑(T)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방지링(620);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방지링(620)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며, 상단부가 철탑(T)에 접하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제2지지대(300)와 철탑(T) 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링(630); 및
    방지링(620)을 지지바(6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640)을 포함하고,
    고정수단(640)은,
    일단부가 지지링(630)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지지바(610)를 통과하는 고정바(641); 및
    고정바(641)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면서 방지링(620)이 지지바(610)에 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풀림 회전에 따라 고정바(641)와 함께 방지링(620)이 승,하강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부재(642)를 포함하고,
    지지바(610)는,
    고정바(641)가 통과하는 중공(6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방지부(600)는,
    중공(611)으로 결합되면서 중공(611)을 밀폐하는 압착부재(650)를 더 포함하고,
    압착부재(650)에는,
    지지바(610)가 통과하는 절단선(651)이 지지바(6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밀착링(630)은,
    방지링(620)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면서 철탑(T)과 접하는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고장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
KR1020180155945A 2018-12-06 2018-12-06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 KR101986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945A KR101986085B1 (ko) 2018-12-06 2018-12-06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945A KR101986085B1 (ko) 2018-12-06 2018-12-06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085B1 true KR101986085B1 (ko) 2019-06-07

Family

ID=66849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945A KR101986085B1 (ko) 2018-12-06 2018-12-06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1975A (zh) * 2021-05-24 2021-09-28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一种多功能10kV带电作业电动绝缘横担及作业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986B1 (ko) 2009-04-08 2009-09-10 (주)선운 이앤지 송전선용 특고압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KR200464660Y1 (ko) * 2010-09-17 2013-01-14 전태웅 가로등주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986B1 (ko) 2009-04-08 2009-09-10 (주)선운 이앤지 송전선용 특고압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KR200464660Y1 (ko) * 2010-09-17 2013-01-14 전태웅 가로등주 보호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1975A (zh) * 2021-05-24 2021-09-28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一种多功能10kV带电作业电动绝缘横担及作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225B1 (ko) 건축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각도조절장치
KR101986085B1 (ko)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
KR101399043B1 (ko)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200444445Y1 (ko) 높낮이 조절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맨홀
KR102333247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1689851B1 (ko) 경사도 조절형 우수용 맨홀커버
JP2017022826A (ja) 電気機器の高所取付装置
JP6364308B2 (ja) アーム部材の取り付け装置、アーム部材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アーム部材の取り外し方法
KR100915986B1 (ko) 송전선용 특고압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US3038046A (en) Combined cutout and lightning arrester bracket assembly
KR101964451B1 (ko) 수평 및 수직 전환이 가능한 완금장치를 포함하는 전주
KR101821152B1 (ko) 배전선로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KR101413960B1 (ko)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JP3195789U (ja) 仮設電柱の支持装置
KR101199518B1 (ko)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CN206972666U (zh) 一种可调节支撑组件
KR200407822Y1 (ko) 관 지지장치
KR102229839B1 (ko) 폴리머애자 유지보수용 발받침 사다리
KR102482160B1 (ko) 가공 송전선로의 처짐방지장치
KR102114770B1 (ko)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
RU2715573C1 (ru) Осветительная опора
JP6922545B2 (ja) 溶接治具
KR102156547B1 (ko) 맨홀용 안전 가드
KR20170000591U (ko) 케이블 가이드용 지그
KR100646657B1 (ko) 점퍼선 지지용 현수애자 안착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