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822Y1 - 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822Y1
KR200407822Y1 KR2020050027277U KR20050027277U KR200407822Y1 KR 200407822 Y1 KR200407822 Y1 KR 200407822Y1 KR 2020050027277 U KR2020050027277 U KR 2020050027277U KR 20050027277 U KR20050027277 U KR 20050027277U KR 200407822 Y1 KR200407822 Y1 KR 200407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pe
tube
frame
guid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오씨
Priority to KR2020050027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8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8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랜트 분야 또는 화학공장의 파이프 및 관을 지지하는 파이프 및 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관 지지장치는 관의 하면에 설치되며 전기적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절연패드와, 상기 절연패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관을 프레임 상에서 지지하고, 관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상호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 1지지부재 및 제 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을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관을 지지하는 장치를 일체형이 아닌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구성하여 관의 보수에 따른 작업자의 편리를 제공한다. 또한, 관의 열팽창 및 진동에 따라 관의 외면상에 도포 된 페인트가 벗겨져 페인팅 보수 작업을 할 때에도, 무거운 중량의 관을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서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관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대형 배관에 있어서는 파이프를 들어올리는 작업 자체가 불가능하여 관 하부의 페인팅 보수 작업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바, 본 고안의 기술구성에 따르면 대형 배관에 있어서 하면의 부식 발생 여부에 대한 점검 및 유지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배관 하면의 지지부재와의 접촉점에서 습기가 마르지 않고 상존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습기에 의하여 페인트가 벗겨져 점부식이 발생되는 경우에 위와 같은 현상을 점검 및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 지지장치{Device for supporting pip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지지장치의 제 1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지지장치의 제 2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지지장치의 제 3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지지장치의 제 4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지지장치의 제 5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본 고안은 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플랜트 분야 및 화학공장의 배관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 20-0197261호에는 배관용 파이프 지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배관용 파이프 지지장치는 프레임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연결 플레이트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 상에 상향 개구되도록 설치되는 반원관 형상의 하부덮개와 하향으로 개구된 반원관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부덮개 상에 결합되는 상부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관 지지장치는, 부품의 교체 또는 수리시에 상, 하부덮개를 분리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늘어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 지지장치를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함으로써 절연패드의 교체 또는 관의 보수시에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교체 및 관의 보수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는 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관 지지장치는 관의 하면에 설치되며 전기적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절연패드와, 상기 절연패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관을 프레임 상에서 지지하고, 상기 관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상호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을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고 프레임의 상면과 접촉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마련되고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분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과, 상기 장공을 통하여 브라켓과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볼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지지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관 지지장치는 관(20)의 하면에 설치되며 전기적인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절연패드(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패드(30)의 하부에 지지블럭(40)이 설치되어 관(20)을 프레임(10) 상에서 지지한다. 상기 지지블럭(40)은 관(20)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상호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지지블럭은 PVC 등의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블럭의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재료 소요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상기 절연패드(30)는 하나의 또는 복수개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럭(40)은 제1 지지부재(50)와 제2 지지부재(60)로 형성되어 관(20) 및 절연패드(30)를 지지한다. 상기 제1 지지부재(50)와 제2 지지부재(60)의 양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홈(8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82)에는 결합수단(80)이 결합된다.
상기 결합수단(80)은 제1 지지부재(50)와 제2 지지부재(60)를 결합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81)와 너트(83)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2 지지부재(50,60)를 결합 및 분리 할 수 있는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재(50)와 제2 지지부재(60)를 프레임(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70)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의 양측면에서 각각 연장되고 장공(72)이 형성된 브라켓(71)을 구비한다. 상기 장공은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의 분리방향, 즉 관(20)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브라켓(71)은 장공(72) 및 앵커볼트(73)를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2 지지부재(50,60)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여 절연패드(30)를 교환하거나 관(20)에 페인팅을 칠할 때, 상기 제1,2 지지부재(50,60)에 체결된 볼트(81)와 너트(83)를 풀고, 상기 제1,2 지지부재(50,60)의 측면에 설치된 브라켓(71)에 고정된 앵커볼트(73)를 풀고 난 후 상기 제1,2 지지부재(50,60)를 양측으로 이동시켜 분리하면 쉽게 보수작업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지지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관 지지장치는 관(2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절연패드(30)와 상기 절연패드(30)를 지지하는 지지블럭(40)을 구비한다. 상기 절연패드(30)는 전기적 절연물질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절연패드(30)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블럭(40)은 절연패드(30)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1 지지부재(50)와 제2 지지부재(60)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는 관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면에 상기 절연패드(30)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51,61)를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51,61)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51,61)를 상기 프레임(10)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제1 서포트(52)와 제2 서포트(62)가 수직으로 볼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서포트(52)와 제2 서포트(62)를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10)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1 베이스부(53)와 제2 베이스부(63)가 마련된다.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부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의 분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72)이 형성되고 고정수단(70)에 의해 프레임(10)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70)으로서 상기 프레임(10)과 결합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앵커볼트(73)를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부(35,36)의 장공(72)에 결합되는 앵커볼트(73)를 풀고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를 좌,우로 이동시켜 절연패드(20)를 쉽게 교체할 수가 있다. 또한 열팽창으로 인해 관(10)의 페인트가 벗겨졌을 때에도 상기와 같이 관 지지장치를 분리시켜 관(10)에 페인트 작업을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지지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관 지지장치는 관(20)의 하부에는 절연패드(30)가 설치되고, 상기 관(20) 및 절연패드(30)를 지지하는 지지블럭(40)은 프레임(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블럭(40)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제1 지지부재(50)와 제2 지지부재(6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는 관(20)의 중심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 및 제2 가이드부(51,61)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51,61)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0)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9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90)를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10)의 상면과 접촉되어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의 분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72)을 가진 제1 및 제2 베이스부(53,63)가 설치되어 고정수단(70)에 의해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51,61)를 상기 프레임(10)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서포트(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51,61)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부(53,63)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서포트(52a,62a)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51,61)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3 및 제4 서포트(52b,62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 서포트(52b,62b)는 측면에 결합수단(80)을 사용하여 상호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결합수단(80)은 볼트(81)를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부(53,63)의 장공(72)에 결합되는 것으로, 앵커볼트(73)를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3 및 제4 서포트(52b,62b)에 결합된 볼트(43)를 풀고,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부(53,63)에 고정된 앵커볼트(73)를 풀고 난후,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절연패드(30)를 교환하거나, 관(20)의 외부에 페인팅을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지지장치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관 지지장치는 관(20)의 하단부에 밀착되고 지면에 설치되는 절연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패드(30) 및 관(20)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블럭(40)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블럭(40)는 관(20) 및 절연패드(30)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는 상기 관(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관(20)을 양측에서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51,6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51,61)의 단부에 설치되고 프레임(10)의 상면과 접촉되어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의 분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72)을 가진 제1 및 제2 베이스부(53,63)가 고정수단(70)에 의해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상기 절연패드(30)는 프레임(10)의 상면에 부착되어 관(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중앙패드(31)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51,61)에 부착되어 관(20)의 양측면에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 측면패드(3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70)은 앵커볼트(42)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베이스부(53,63)를 프레임(1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절연패드(30)를 교체하거나 관(20)의 보수를 위해 지지블럭(40)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제1 및 제2 베이스부(53,63)와 프레임(10)에 고정된 앵커볼트(73)를 풀고 난후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를 양측으로 이동시킨 후 절연패드(30)를 교환하거나 관(20)의 외부에 페인팅을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지지장치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관 지지장치는 관(20)과 상기 관(20)과 절연패드(30)를 지지하는 지지블럭(40)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블럭(40)은 관(20) 및 절연패드(30)를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는 수직 방향으로부터 소정각도만큼 경사진 제1 및 제2 가이드부(51,6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51,61)의 단부에 연결되어 프레임(10)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서포트(52,62)와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52,62)의 단부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프레임(10)의 상면과 접촉되어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의 분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72)을 가진 제1 및 제2 베이스부(53,63)가 고정수단(70)에 의해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52,62)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10)과 접촉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51,61)의 단부에 제1 및 제2 베이스부(53,63)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절연패드(30)는 프레임(10)의 상면에 부착되어 관(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중앙패드(31)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51,61)에 부착되어 관(20)의 양측면에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 측면패드(3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70)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부(53,63)에 형성되는 장공(72)에 앵커볼트(73)로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절연패드(30)를 교체하거나 관(20)의 보수를 위 해 지지블럭(40)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제1 및 제2 베이스부(53,63)와 프레임(10)에 고정된 앵커볼트(73)를 풀고 난후,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50,60)를 양측으로 슬라이딩시킨 후 절연패드(30)를 교환하거나 관(20)의 외부에 페인팅을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관 지지장치의 재질은 중량의 관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료를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 지지장치는 별도의 프레임을 마련하여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면상의 콘크리트에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 지지장치는 일체형이 아닌 분리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관이 팽창시 관의 외부에 덮여진 페인트가 벗겨질 때 관의 외부에 페인팅을 위한 보수가 쉬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관 지지장치는 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관의 보수 및 절연패드를 교환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절연패드는 관과 지지부재 사이의 이종금속 간의 전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전자 이동에 의한 점부식을 방지하는 극히 중요한 구성요소인 바, 본 고안의 기술에 따르면 이와 같은 절연패드의 교환 및 메인터넌스 를 극히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관의 열팽창 또는 관의 진동에 따라 관의 외면상에 도포된 페인트가 벗겨져 페인팅 보수 작업을 할 때에도, 무거운 중량의 관을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서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특히 대형 배관에 있어서는 파이프를 들어올리는 작업 자체가 불가능하여 관 하부의 페인팅 보수 작업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바, 본 고안의 기술구성에 따르면 대형 배관에 있어서 하면의 부식 발생 여부에 대한 점검 및 유지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배관 하면의 지지부재와의 접촉점에서 습기가 마르지 않고 상존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습기에 의하여 페인트가 벗겨져 점부식이 발생되는 경우에, 본 고안의 기술구성에 따르면 위와 같은 현상을 점검 및 예방할 수 있어 더욱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관의 하면에 설치되며 전기적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절연패드와,
    상기 절연패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관을 프레임 상에서 지지하고, 상기 관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상호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을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고 프레임의 상면과 접촉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마련되고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분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과, 상기 장공을 통하여 브라켓과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볼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는 관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면에 상기 절연패드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를 상기 프레임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제1 및 제2 서포트와,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를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분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을 가진 제1 및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지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는 관의 중심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고 상기 절연패드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의 일측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 1 및 2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 1 및 2서포트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가이드부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3 및 제 4서포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지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는 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관을 양측에서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프레임의 상면과 접촉되어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분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을 가진 제1 및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패드는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어 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중앙패드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에 부착되어 관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 측면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지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는 수직 방향으로부터 소정각도만큼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지지장치.
KR2020050027277U 2005-09-22 2005-09-22 관 지지장치 KR200407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277U KR200407822Y1 (ko) 2005-09-22 2005-09-22 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277U KR200407822Y1 (ko) 2005-09-22 2005-09-22 관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822Y1 true KR200407822Y1 (ko) 2006-02-03

Family

ID=4448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277U KR200407822Y1 (ko) 2005-09-22 2005-09-22 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8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394B1 (ko) 2012-10-30 2013-02-12 주식회사 무진기연 다축 조절 스테이지 서포트
KR200476911Y1 (ko) * 2013-10-10 2015-04-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Gre 파이프용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394B1 (ko) 2012-10-30 2013-02-12 주식회사 무진기연 다축 조절 스테이지 서포트
KR200476911Y1 (ko) * 2013-10-10 2015-04-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Gre 파이프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7822Y1 (ko) 관 지지장치
CN210179067U (zh) 一种管道安装固定夹具
WO2004038275A1 (en) Microfabrication tool pedestal and method of use
WO2017161931A1 (zh) 一种无线通讯设备集成安装的结构
CN211772964U (zh) 用于箱涵抢修的桥接悬挂梁
JP5730674B2 (ja) 鉄塔の腕金メンテナンス方法
CN109707044B (zh) 钢结构房屋用抗振型连接结构
KR20070000886U (ko)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KR100862280B1 (ko) 전선케이블관 유동 방지장치
CN210002666U (zh) 适用于h型钢屋架用夹板及灯具安装结构
CN203641693U (zh) 一种管道吊架固定装置
KR100785213B1 (ko) 입상배관 지지장치
CN204201288U (zh) 一种钢格栅上的管道支架
CN104631849B (zh) 一种楼梯临边施工防护栏杆及安装方法
CN205206368U (zh) 工具式楼层防护装置
CN212178070U (zh) 一种索塔泵管扶墙固定装置
CN104141823A (zh) 一种可拆卸支吊架
CN210099848U (zh) 柔性化机车管排预布装置
CN220147133U (zh) 一种膨胀水壶固定支架及膨胀水壶组件
CN220435646U (zh) 一种消防设施工程施工用管道安装机构
CN208184227U (zh) 一种槽钢支架用固定装置
CN102913729A (zh) 可调式角钢安装支架
JP7212825B2 (ja) ケーブルラック設置構造、ケーブルラックの施工方法、及び支持架台
CN210800260U (zh) 一种支架连接系统
CN219632904U (zh) 一种钢结构焊接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