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886U -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 Google Patents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886U
KR20070000886U KR2020070011908U KR20070011908U KR20070000886U KR 20070000886 U KR20070000886 U KR 20070000886U KR 2020070011908 U KR2020070011908 U KR 2020070011908U KR 20070011908 U KR20070011908 U KR 20070011908U KR 20070000886 U KR20070000886 U KR 200700008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fastening
fixing
pipe support
uppe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5812Y1 (ko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김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식 filed Critical 김대식
Priority to KR2020070011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812Y1/ko
Publication of KR200700008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8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8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량형 배관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부에 고정된 2개의 앙카볼트에 다수개의 배관을 지지하도록 하되,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의 한 쌍으로 구성되는 배관지지체를 서로 체결하여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지지가대와 같은 별도의 설치물 없이도 다수개의 배관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비용의 절감과 작업시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고, 배관지지체와 배관지지체와의 간격이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다수개의 배관을 지지하는데에 전혀 무리가 없도록 한 개량형 배관지지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내측에 연결공(11)이 통공된 연결편(12)과, 상기 연결편(12)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1체결편(13)과, 상기 제1체결편(13)으로부터 연장되고 호형상으로 형성된 제1수용부(14)와, 상기 제1수용부(14)로부터 연장되는 제2체결편(15)과, 상기 제1체결편(13) 및 제2체결편(15)의 내측에 각각 통공된 체결공(16)(17)들을 갖는 상부클램프(10)와; 상기 제1체결편(13)의 하부측에 밀착되는 제1고정편(21)과, 상기 제1고정편(2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수용부(14)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2수용부(22)와, 상기 제2수용부(22)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체결편(15)의 하부측에 밀착되는 제2고정편(23)과, 상기 제1고정편(21)과 제2고정편(23)의 내측에 각각 통공된 고정공(24)(25)을 갖는 하부클램프(20)와; 상기 상부클램프(10)와 하부클램프(20)에 형성되어 서로 밀착되는 각각의 체결편(13)(15)들과 고정편(21)(23)들을 결합하는 볼트(30) 및 너트(30a)를 포함하는 한 쌍의 배관지지 체(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배관지지체(100)와 또 다른 한 쌍의 배관지지체(100)가 상기 상부클램프(10)의 연결편(12)들이 서로 연결되어 연결편(12)에 통공된 연결공(11)에 끼워지는 체결볼트(40) 및 체결너트(40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관, 배관지지구, 배관클램프, 앙카슈

Description

개량형 배관지지구조{IMPROVED SUPPORTING STRUCTURE OF PIPE}
본 고안은 건물에 설치되는 건축물의 기계설비공사시에 각종 배관공사를 함에 있어서 천장으로부터 이격되게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배관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지지체를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클램프의 일측단이 연장되도록 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배관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관지지체와 배관지지체와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고 또한, 배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의 용이함은 물론 설치비용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개량형 배관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래식 배관 시공법은 일반 형강류인 "ㄱ"형, "ㄷ"형, "I"형, "H"형 등의 형강류를 작업 현장에서 산소절단 또는 스피드 커터(Speed Cutter) 등으로 절단하여 용접한 뒤 이를 배관 지지대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법은 기존의 형강류를 현장에 반입하여 녹막이 도장을 실시하는 것으로 해서 완성단계인 보온공사까지 다단계의 공정을 거쳐야만 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에서 배관지지가대를 조립 시 작업시간의 증대와 조립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용접에 의한 시공법은 환경오염은 물론 전기 감전사고의 염려 가 있고, 시공 공정이 많아 작업기피 현상과 함께 화재발생의 우려가 있으며, 공기지연과 현장의 자재소모 및 공구류의 낭비가 심하고, 원가상승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자들어서는 용접방식이 아닌 현장에서의 조립방식에 의해 배관이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있는 바, 전선배관이나 상수도 가스배관등을 소정높이의 고정후레임에 매달림 형태 또는 부착되는 형태로 설치하기 위해서 배관의 외경이 끼워질 수 있는 결착부위를 구비한 결착지지구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결착지지구는 설치장소 및 특성등에 따라 각기 다르게 구성되는데 이는 찬넬(channel)고정형, 행거(Hangers)고정형, 래크(Rack)고정형 등이 있다.
상기 찬넬고정형은, 상향개구부 내측에 걸림단턱이 형성된 수평찬넬의 양단을 상측의 고정후레임과 연결로드로 지지시키되 수평찬넬의 상향개구부 내에는 분할된 결착부로 구성된 결착지지구의 하단걸편을 걸림단턱에 각각 끼워 고정시키고 상단은 서로 맞닿게 하여 볼트결합으로 결착고정하여 매달림형태로 배관이 설치되게 한다.
행거고정형은, 링형밴드로 구성된 결착부의 상단 결합편을 나사결합부가 구비된 연결구의 하단고정편에 볼트결합으로 결착고정하고 연결구 상단은 상측의 고정후레임과 연결로드로 지지시켜 매달림 형태로 배관이 설치되게 한다.
래크고정형은, 래크(Rack)가 형성된 고정구를 고정후레임에 고정시키되 고정구의 결합구멍에 분할된 결착부로된 결착지지구의 상단 절곡돌편을 각각 끼워 고정 시키고 하단 결합편에 볼트결합으로 결착고정하여 고정후레임 일측에 부착형태로 배관이 설치되게 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볼트 조립방식의 배관지지구조들은 하나의 배관지지체에 한 개의 배관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대개 동일한 경로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배관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배관지지체를 별도로 지지하여 주는 지지가대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천장부에 고정된 앙카볼트에 결합되는 지지가대를 천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하여 체결한 다음, 상기 지지가대에 다시 배관이 지지되는 배관지지체를 각각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중 작업에 의한 작업성이 저하되고 또한 많은 구성요소들에 의해 설치비용이 증가되고 작업인원이 증가되며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배관지지구조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천장부에 고정된 2개의 앙카볼트에 다수개의 배관을 지지하도록 하되,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의 한 쌍으로 구성되는 배관지지체를 서로 체결하여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지지가대와 같은 별도의 설치물 없이도 다수개의 배관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비용의 절감과 작업시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고, 배관지지체와 배관지지체와의 간격이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다수개의 배관을 지지하는데에 전혀 무리가 없도록 한 개량형 배관지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개량형 배관지지구조는, 내측에 연결공이 통공된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1체결편과, 상기 제1체결편으로부터 연장되고 호형상으로 형성된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체결편과, 상기 제1체결편 및 제2체결편의 내측에 각각 통공된 체결공들을 갖는 상부클램프와; 상기 제1체결편의 하부측에 밀착되는 제1고정편과, 상기 제1고정편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수용부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체결편의 하부측에 밀착되는 제2고정편과, 상기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의 내측에 각각 통공된 고정공을 갖는 하부클램프와; 상기 상부클램프와 하부클램프에 형성되어 서로 밀착되는 각각의 체결편과 고정편을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한 쌍의 배관지지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배관지지체와 또 다른 한 쌍의 배관지지체가 상기 상부클램프의 연결편들이 서로 연결되어 연결편에 통공된 연결공에 끼워지는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상부클램프의 연결편 내측에 통공된 연결공은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인 개량형 배관지지구조는, 상부클램프와 하부클램프를 갖는 한 쌍의 배관지지체에 의해 배관이 지지되되, 상기 상부클램프의 일측에 연결편이 연장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배관지지체와 또 다른 배관지지체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 음에 따라 별도의 지지가대 없이도 다수개의 배관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향상되어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또한 상기 상부클램프로부터 연장형성된 연결편의 내측에 통공된 연결공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배관지지체와 또 다른 배관지지체의 간격이 조절가능하고 앙카볼트가 장입되어 체결되는 조절너트에 의해 배관지지체의 설치 높이가 가변된다.
이하, 본 고안인 개량형 배관지지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인 개량형 배관지지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개량형 배관지지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개량형 배관지지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태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고안인 개량형 배관지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개량형 배관지지구조는, 지지되는 배관의 상부를 덮는 상부클램프(10)와 배관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클램프(20)를 갖는 한 쌍의 배관지지체(1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클램프(10)는, 내측에 연결공(11)이 통공된 연결편(12)과, 상기 연결편(12)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1체결편(13)과, 상기 제1체결편(13)으로부터 연장되고 호형상으로 형성된 제1수용부(14)와, 상기 제1수용부(14)로부터 연장되는 제2체결편(15)과, 상기 제1체결편(13) 및 제2체결편(15)의 내측에 각각 통공된 체결공(16)(17)들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클램프(10)의 연결편(12)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편(12)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상기 제1체결편(13)에 대하여 상부측으로 절곡되어 평행선상으로 형성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체결편(13)에 대하여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평행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하부클램프(20)는, 상기 제1체결편(13)의 하부측에 밀착되는 제1고정편(21)과, 상기 제1고정편(2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수용부(14)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2수용부(22)와, 상기 제2수용부(22)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체결편(15)의 하부측에 밀착되는 제2고정편(23)과, 상기 제1고정편(21)과 제2고정편(23)의 내측에 각각 통공된 고정공(24)(25)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클램프(10)와 하부클램프(20)에 형성되어 서로 밀착되는 제1체결편(13)과 제1고정편(21)을 결합하는 볼트(30) 및 너트(30a)가 더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개량형 배관지지구조의 배관지지체(100)는 상부클램프(10)의 연결설치에 의해 배관지지체(100)와 또 다른 배관지지체(100a)가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배관지지체(100)와 또 다른 한 쌍의 배관지지체(100)가 상기 상부클램프(10)의 연결편(12)들이 서로 연결되어 연결편(12)에 통공된 연결공(11)에 끼워지는 체결볼트(40) 및 체결너트(40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별도의 지지가대 없이도 천장부(101)에 일부가 고정된 앙카볼트(102)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배관이 연결설치되어 고정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고 지지가대와 같은 부가적인 설치물이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설치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상기 상부클램프(10)의 제2체결편(15)에 통공된 체결공(17)에는 천장부(101)에 고정되는 앙카볼트(102)가 장입되어 고정되되 상기 앙카볼트(102)의 장입높이가 조절됨이 가능하도록 자유회전되는 조절너트(50)가 끼움결합된다.
상기 조절너트(50)는, 상기 제2체결편(15)의 체결공(17)에 끼워지는 부싱체(50b)와 상기 부싱체(50b)의 외주면에 용착된 너트체(50c)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체결공(17)의 내측에서 자유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앙카볼트(102)의 장입범위가 가변될 수 있어 상부클램프(10)의 설치높이를 조절하여 배관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클램프(20)의 제2고정편(23)에 통공된 고정공(25)을 관통하는 앙카볼트(102)는 고정너트(50a)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본 고안인 개량형 배관지지구조는, 상기 상부클램프(10)의 연결편(12) 내측에 통공된 연결공(11)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지지되는 배관의 간격에 맞게 상기 한 쌍의 배관지지체(100)와 또 다른 배관지지체(100a)의 간격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클램프(10)의 제1체결편(13)과 제2체결편(15) 및 이들과 밀착되는 상기 하부클램프(20)의 제1고정편(21)과 제2고정편(23)에 각각 통공된 체결 공(16)(17)들과 고정공(24)(25)들은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 역시 상부클램프(10)와 하부클램프(20)의 체결편(13)(15)들과 고정편(21)(23)들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천장부(101)에 일부가 고정되는 앙카볼트(102)의 외주면에 별도의 코팅제(103)를 더 도포한 것으로, 코팅제(103)에 의해 앙카볼트(102)의 부식됨과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개량형 배관지지구조는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개량형 배관지지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개량형 배관지지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태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개량형 배관지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클램프 11 : 연결공
12 : 연결편 13 : 제1체결편
14 : 제수용부 15 : 제2체결편
16, 17 : 체결공
20 : 하부클램프 21 : 제1고정편
22 : 제2수용부 23 : 제2고정편
24, 25 : 고정공
30 : 볼트 30a : 너트
40 : 체결볼트 40a : 체결너트
50 : 조절너트 50a : 고정너트
100 : 배관지지체

Claims (4)

  1. 내측에 연결공(11)이 통공된 연결편(12)과, 상기 연결편(12)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1체결편(13)과, 상기 제1체결편(13)으로부터 연장되고 호형상으로 형성된 제1수용부(14)와, 상기 제1수용부(14)로부터 연장되는 제2체결편(15)과, 상기 제1체결편(13) 및 제2체결편(15)의 내측에 각각 통공된 체결공(16)(17)들을 갖는 상부클램프(10)와;
    상기 제1체결편(13)의 하부측에 밀착되는 제1고정편(21)과, 상기 제1고정편(2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수용부(14)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2수용부(22)와, 상기 제2수용부(22)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체결편(15)의 하부측에 밀착되는 제2고정편(23)과, 상기 제1고정편(21)과 제2고정편(23)의 내측에 각각 통공된 고정공(24)(25)을 갖는 하부클램프(20)와;
    상기 상부클램프(10)와 하부클램프(20)에 형성되어 서로 밀착되는 각각의 체결편(13)(15)들과 고정편(21)(23)들을 결합하는 볼트(30) 및 너트(30a)를 포함하는 한 쌍의 배관지지체(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배관지지체(100)와 또 다른 한 쌍의 배관지지체(100)가 상기 상부클램프(10)의 연결편(12)들이 서로 연결되어 연결편(12)에 통공된 연결공(11)에 끼워지는 체결볼트(40) 및 체결너트(40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클램프(10)의 제2체결편(15)에 통공된 체결공(17)에는 천장부(101)에 고정되는 앙카볼트(102)가 장입되어 고정되되 상기 앙카볼트(102)의 장입높이가 조절됨이 가능하도록 자유회전되는 조절너트(50)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하부클램프(20)의 제2고정편(23)에 통공된 고정공(25)을 관통하는 앙카볼트(102)는 고정너트(50a)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클램프(10)의 연결편(12) 내측에 통공된 연결공(11)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클램프(10)의 제1체결편(13)과 제2체결편(15) 및 이들과 밀착되는 상기 하부클램프(20)의 제1고정편(21)과 제2고정편(23)에 각각 통공된 체결공(16)(17)들과 고정공(24)(25)들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KR2020070011908U 2007-07-19 2007-07-19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KR200445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908U KR200445812Y1 (ko) 2007-07-19 2007-07-19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908U KR200445812Y1 (ko) 2007-07-19 2007-07-19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886U true KR20070000886U (ko) 2007-08-08
KR200445812Y1 KR200445812Y1 (ko) 2009-09-01

Family

ID=4365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908U KR200445812Y1 (ko) 2007-07-19 2007-07-19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81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84Y1 (ko) * 2007-12-27 2009-12-28 최창규 배관 고정 장치
KR20170042134A (ko) * 2015-10-08 2017-04-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용 클램프 및 그 코팅방법
KR200490471Y1 (ko) * 2019-04-30 2019-12-03 (주)우진펌프테크 수중펌프용 스트레이너
CN112212076A (zh) * 2019-07-09 2021-01-12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直径DN25mm及以下不锈钢的立管管卡及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9202A (zh) * 2013-11-04 2014-03-12 苏州市吴中区光福香雪苗圃 一种扣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231Y1 (ko) * 1996-08-27 1999-06-15 박동규 튜브고정용 홀더
KR200197279Y1 (ko) * 2000-04-12 2000-09-15 이영주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KR100400406B1 (ko) * 2001-06-15 2003-10-01 코리스산업 주식회사 무용접 경량 조립식 배관 지지가대 장치
KR200318934Y1 (ko) * 2003-03-27 2003-07-04 이광의 파이프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84Y1 (ko) * 2007-12-27 2009-12-28 최창규 배관 고정 장치
KR20170042134A (ko) * 2015-10-08 2017-04-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용 클램프 및 그 코팅방법
KR200490471Y1 (ko) * 2019-04-30 2019-12-03 (주)우진펌프테크 수중펌프용 스트레이너
CN112212076A (zh) * 2019-07-09 2021-01-12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直径DN25mm及以下不锈钢的立管管卡及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812Y1 (ko) 200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6927B2 (en) Utility conduit suppor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0445812Y1 (ko)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US20120318934A1 (en) Multiple vertical clevis hangers
JP2016205614A (ja) 配管支持金具
KR100926329B1 (ko) 배관용 행거 클램프
US20170184222A1 (en) Pipe Suspension Clamp Hanger
KR20080001165U (ko) 개량 배관지지장치
KR20100010367U (ko) 천정 배관용 행거
CN108167528A (zh) 一种水管支吊架
CN216480615U (zh) 一种吊架
KR102198422B1 (ko)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KR100532718B1 (ko) 배관고정구
JP4002665B2 (ja) 垂直ボルト係着用支持具
JP3198433U (ja) 配管支持金具
KR20220067123A (ko)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
CN205877419U (zh) 新型管箍
KR20140000686U (ko) 핸드레일 조명기구용 결합장치
KR100758529B1 (ko) 배관설치용 걸이구
KR20090006264U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KR20080001338U (ko) 보온용 배관지지장치
JP3234035U (ja) 手摺の取付具
JP3186347U (ja) 床スリーブ
JP7409780B2 (ja) 吊り足場用吊具及び吊り足場
CN218267652U (zh) 一种可节约人力并减少空间占用的管道支吊架
CN209941892U (zh) 一种工字钢转换层装配式紧固挂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