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123A -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 - Google Patents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67123A KR20220067123A KR1020200153478A KR20200153478A KR20220067123A KR 20220067123 A KR20220067123 A KR 20220067123A KR 1020200153478 A KR1020200153478 A KR 1020200153478A KR 20200153478 A KR20200153478 A KR 20200153478A KR 20220067123 A KR20220067123 A KR 202200671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band
- pipe
- fixing bolt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장에 설치된 전산볼트에 결합되고, 하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부가 상기 관통홀 둘레에 돌출 형성된 연결헤드와; 상기 연결헤드의 하단에 연결되고, 파이프의 외측면 일부분을 둘러싸는 고정밴드와; 상기 고정밴드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측면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고, 상단에 구비된 접촉편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면서 내벽면에 나선이 형성된 연결홀이 형성되는 가동밴드와; 상기 체결부와 상기 연결홀에 나선결합되는 고정볼트;로 구성되어, 고정볼트의 끝부분이 나선이 형성된 연결홀에 살짝 걸려 있기만 하더라도 고정볼트가 접촉편에서 탈락되지 않고 매달려 있을 수 있어서, 작업자가 바닥에 떨어진 고정볼트를 줍는 것과 같은 추가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설치하여 파이프를 지지하는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 중에 부품이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후속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대형 오피스 빌딩이나 주상복합 건물과 같은 건축물 등에는 가스 배관, 상수도 및 하수도 배관, 냉난방용 배관, 각종 전기 및 통신 시설 관련 배관 등과 같은 다양한 파이프가 설비된다.
이러한 파이프는 공간의 활용도를 최대화하고 미관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라브로 구성되는 각 층의 천장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다수의 전산볼트를 천장에 설치하고 이 전산볼트에 파이프를 둘러싸는 파이프 행거를 설치하여 파이프를 지지해야 한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는 파이프 행거는 보통 전산볼트에 연결되는 연결헤드와 2개의 반원형 밴드 및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헤드, 2개의 반원형 밴드, 볼트 및 너트는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작업 현장에서 각 부품을 찾아서 2개의 반원형 밴드로 파이프를 둘러싼 후 볼트와 너트를 연결헤드에 조여 클램핑 작업을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파이프 행거를 이용한 파이프 설치 작업에서는 연결헤드, 분리된 2개의 반원형 밴드, 볼트 및 너트 등을 일일이 찾아서 조립하고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번거로워 공사기간을 오래 걸리게 할 뿐만 아니라, 다들 분리된 개별 부품이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부품을 분실할 가능성이 높아서 작업시 신경을 써야 할 부분이 많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 20-2018-0003182와 같은 선행기술을 제시하였지만, 위의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2개의 밴드를 체결하는 고정볼트가 밴드에서 쉽게 이탈이 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바닥에 떨어진 고정볼트를 줍기 위하여 후속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 중에 부품이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번거로운 후속 조치를 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는 천장에 설치된 전산볼트에 결합되고, 하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부가 상기 관통홀 둘레에 돌출 형성된 연결헤드와; 상기 연결헤드의 하단에 연결되고, 파이프의 외측면 일부분을 둘러싸는 고정밴드와; 상기 고정밴드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측면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고, 상단에 구비된 접촉편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면서 내벽면에 나선이 형성된 연결홀이 형성되는 가동밴드와; 상기 체결부와 상기 연결홀에 나선결합되는 고정볼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밴드와 상기 가동밴드 간의 힌지결합부위는 정중앙에서 일정각도 상향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을 형성시키는 연결헤드의 내벽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와 관통홀이 나선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동밴드의 하단에는 샤프트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밴드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는 포위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는 접촉편에 형성된 연결홀의 내벽면에 나선이 형성되므로, 고정볼트의 끝부분이 연결홀에 살짝 걸려 있기만 하더라도 고정볼트가 접촉편에서 탈락되지 않고 매달려 있을 수 있어서, 작업자가 바닥에 떨어진 고정볼트를 줍는 것과 같은 추가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정밴드와 가동밴드의 힌지 결합부위가 정중앙에서 일정각도 상향된 위치에 형성되므로, 고정밴드에 가동밴드를 체결해제하거나 체결하기 전에도 파이프가 고정밴드에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파이프가 고정밴드 바깥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가 천장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가 천장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가 천장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는 연결헤드(10)와, 상기 연결헤드(10)에 연결되는 고정밴드(20)와, 상기 고정밴드(2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가동밴드(30)와, 상기 연결헤드(10)와 가동밴드(30)를 결합시키는 고정볼트(4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헤드(10)는 천장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전산볼트(B)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면에 연결너트(11a)가 구비되어 있고 이 연결너트(11a)가 전산볼트(B)의 하단 부분과 나선결합된다.
이러한 연결헤드(10)는 스틸재질의 패널이 여러 번 절곡되어 양단 부분이 하측을 향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데, 이 연결헤드(10)의 하부 양측 부분에 관통홀(12a)이 형성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연결헤드(10)는 역삼각 형상의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밀착편(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는 상면에 연결너트(11a)가 구비되어 있고, 이 연결너트(11a)가 전산볼트(B)의 하단 부분과 나선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밀착편(12)에는 관통홀(12a)이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헤드(10)에는 결국 2개의 관통홀(12a)이 형성되고, 이 2개의 관통홀(12a)은 서로 마주보며 연통된다. 이 2개의 관통홀(12a) 중에서 고정밴드(20)와 연결되는 밀착편(12)에 형성된 관통홀(12a) 둘레에는 체결부(12b)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관통홀(12a)을 형성시키는 연결헤드(10)의 밀착편(12) 내벽면(12c)에는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밀착편(12)의 내벽면(12c)에 나선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정볼트(40)를 고정밴드(20)와 가동밴드(30)에 설치하였을 때 고정볼트(40)와 관통홀(12a)이 나선결합된다.
상기 체결부(12b)는 관통홀(12a) 둘레를 따라 둥글게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밴드(20)는 상단이 연결헤드(10)의 밀착편(12)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내측면이 파이프(P)의 외측면 일부분을 둘러싼다. 고정밴드(20)는 연결헤드(10)와 하나의 구조물로서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연결헤드(10)의 밀착편(12)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절차가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고정밴드(20)는 하단 양측에 포뷔부(21)가 형성되는데, 상기 포뷔부(21)는 고정밴드(20)를 구성하는 스틸 패널 끝부분을 둥글게 말아서 형성시킨 것으로서, 후술할 샤프트(31)를 둘러싼다.
상기 가동밴드(30)는 내측면이 파이프(P)의 외측면 나머지 부분, 즉 고정밴드(2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파이프(P)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이러한 가동밴드(30)는 하단 부분이 고정밴드(20)의 하단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가동밴드(30)는 하단 중앙에 샤프트(31)가 구비되는데, 이 샤프트(31)의 양단 부분을 고정밴드(20)의 하단에 형성된 포뷔부(21)가 둘러싼다. 따라서 가동밴드(30)가 회동할 때 샤프트(31)가 고정밴드(20)의 포뷔부(21)에 의해 지지되면서 포뷔부(21) 내부에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가동밴드(30)는 상단에 접촉편(32)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접촉편(32)에는 연결홀(32a)이 형성되는데, 이 연결홀(32a)은 고정밴드(20)와 가동밴드(30)를 고정볼트(40)로 체결하였을 때 연결헤드(10)의 관통홀(12a)과 연통된다.
상기 연결홀(32a)은 내벽면(32b)에 나선이 형성되어, 고정밴드(20)와 가동밴드(30)를 고정볼트(40)로 체결할 때 고정볼트(40)와 나선결합된다.
한편, 고정밴드(20)와 가동밴드(30) 간의 힌지결합부위는 정중앙에서 일정각도 상향된 위치에 형성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고정밴드(20)와 가동밴드(30) 모두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데, 고정밴드(20)는 가동밴드(30)보다 그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가동밴드(30)의 하단 부분이 고정밴드(20)의 하단에 힌지 결합될 때 이 힌지 결합부위는 정중앙에서 일정각도 상향된 위치, 시계 방향으로 설명하면 대략적으로 3시 방향에서 5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고정밴드(20)가 가동밴드(30)보다 길게 형성되어 힌지 결합부위가 상향된 위치에 있게 되면, 고정밴드(20)의 내측면이 파이프(P)의 외측면 절반 이상을 둘러쌀 수 있기 때문에 파이프(P)가 고정밴드(20) 내측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는 효과가 있다.
즉, 절반을 초과하는 파이프(P)의 외측면 부분이 고정밴드(20)의 내측면에 거치되기 때문에, 가동밴드(30)가 아직 고정밴드(20)에 결속되지 않더라도 파이프(P)는 고정밴드(20) 바깥쪽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볼트(40)는 연결헤드(10)의 체결부(12b)와 가동밴드(30)의 연결홀(32a)에 나선결합됨으로써, 고정밴드(20)와 가동밴드(30)가 파이프(P)의 외측면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고정밴드(20)와 가동밴드(3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가동밴드(30)를 회동시켜 고정밴드(20)와 가동밴드(30)가 원형이 되게 하면, 연결헤드(10)의 한 쌍의 밀착편(12)과 가동밴드(30)의 접촉편(32)은 서로 면접촉을 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볼트(40)를 회전시키면서 밀어 넣으면 고정볼트(40)는 연결홀(32a)과 체결부(12b)에 나선결합이 된다. 앞에서 기재한 대로 밀착편(12)에 형성된 관통홀(12a)의 내벽면(12c)에도 나선을 형성시키면 고정볼트(40)는 관통홀(12a)과도 나선결합이 된다.
한편, 이렇게 접촉편(32)의 연결홀(32a) 내벽면(32b)에 고정볼트(40)를 나선결합 시킴으로써, 고정볼트(40)는 끝부분이 살짝 연결홀(32a)에 걸려 있기만 하더라도 접촉편(32)에서 쉽게 탈락되지 않게 된다. 고정볼트(40)가 쉽게 탈락이 된다면 작업자는 바닥에 떨어진 고정볼트(40)를 줍기 위해 움직여야 하고, 이는 작업성을 떨어뜨리면서 작업자를 귀찮게 하는데, 이러한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연결헤드 11: 본체
11a: 연결너트 12: 밀착편
12a: 관통홀 12b: 체결부
12c: 내벽면 20: 고정밴드
21: 포위부 30: 가동밴드
31: 샤프트 32: 접촉편
32a: 연결홀 32b: 내벽면
40: 고정볼트 B: 전산볼트
P: 파이프
11a: 연결너트 12: 밀착편
12a: 관통홀 12b: 체결부
12c: 내벽면 20: 고정밴드
21: 포위부 30: 가동밴드
31: 샤프트 32: 접촉편
32a: 연결홀 32b: 내벽면
40: 고정볼트 B: 전산볼트
P: 파이프
Claims (4)
- 천장에 설치된 전산볼트(B)에 결합되고, 하측에 관통홀(12a)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부(12b)가 상기 관통홀(12a) 둘레에 돌출 형성된 연결헤드(10)와;
상기 연결헤드(10)의 하단에 연결되고, 파이프(P)의 외측면 일부분을 둘러싸는 고정밴드(20)와;
상기 고정밴드(20)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P)의 외측면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고, 상단에 구비된 접촉편(32)에 상기 관통홀(12a)과 연통되면서 내벽면(32b)에 나선이 형성된 연결홀(32a)이 형성되는 가동밴드(30)와;
상기 체결부(12b)와 상기 연결홀(32a)에 나선결합되는 고정볼트(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20)와 상기 가동밴드(30) 간의 힌지결합부위는 정중앙에서 일정각도 상향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12a)을 형성시키는 연결헤드(10)의 내벽면(12c)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40)와 관통홀(12a)이 나선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밴드(30)의 하단에는 샤프트(3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밴드(20)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샤프트(31)를 둘러싸는 포뷔부(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3478A KR20220067123A (ko) | 2020-11-17 | 2020-11-17 |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3478A KR20220067123A (ko) | 2020-11-17 | 2020-11-17 |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7123A true KR20220067123A (ko) | 2022-05-24 |
Family
ID=8180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3478A KR20220067123A (ko) | 2020-11-17 | 2020-11-17 |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67123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3182U (ko) | 2018-06-15 | 2018-11-07 | 정용기 | 파이프 행거 |
-
2020
- 2020-11-17 KR KR1020200153478A patent/KR2022006712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3182U (ko) | 2018-06-15 | 2018-11-07 | 정용기 | 파이프 행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35100A (ko) | 빔 클램프 | |
KR200445812Y1 (ko) |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 |
KR20220067123A (ko) | 작업성이 개선되는 파이프 행거 | |
US4793580A (en) | Wireway suspension system with braced support leg construction | |
KR101533831B1 (ko) | 다기능 빔 클램프 | |
KR20170014412A (ko) | 자동 결합형 배관용 파이프 행거 | |
KR100435300B1 (ko) | 스프링클러의 고정구조 | |
US20170184222A1 (en) | Pipe Suspension Clamp Hanger | |
JP2008178271A (ja) | ケーブル等保護管の配管構造及び配管方法。 | |
CN208935561U (zh) | 一种门型吊架 | |
KR20110004735U (ko) | 파이프 배관용 클램프 | |
KR200450428Y1 (ko) | 설치각이 가변되는 배관지지용 행거 | |
KR102523942B1 (ko) | 풀림방지 기능과 높낮이 조절부가 있는 풀림방지 건축행거 | |
KR100758529B1 (ko) | 배관설치용 걸이구 | |
KR20240001053U (ko) | 너트 이탈 방지형 파이프 행거 | |
KR101454015B1 (ko) | 지중 케이블관 보호시설 | |
CN205479753U (zh) | 管道组合吊架 | |
CN218267652U (zh) | 一种可节约人力并减少空间占用的管道支吊架 | |
JPH1194134A (ja) | 空調装置の冷媒配管用の吊りバンド金具 | |
KR20100000247U (ko) | 덕트 고정용 가대 | |
JP2001324058A (ja) | 配管支持金具 | |
KR200343997Y1 (ko) | 배관용 파이프 행거 | |
KR102360113B1 (ko) | 가지배관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 | |
KR20080001165U (ko) | 개량 배관지지장치 | |
WO2018182434A1 (en) | A pipe clam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