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279Y1 -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279Y1
KR200197279Y1 KR2020000010475U KR20000010475U KR200197279Y1 KR 200197279 Y1 KR200197279 Y1 KR 200197279Y1 KR 2020000010475 U KR2020000010475 U KR 2020000010475U KR 20000010475 U KR20000010475 U KR 20000010475U KR 200197279 Y1 KR200197279 Y1 KR 200197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ipe
bolt
pair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이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주 filed Critical 이영주
Priority to KR2020000010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2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9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fixed to each other with fastening members on each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은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울트공을 형성하여 착탈부재와의 결합시 너트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로서, 중앙에 벽체 방향으로 만곡된 반원형상의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에서 외측 두께방향으로 내주연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고 벽체 방향으로 소정길이로 각각 버어가 돌설된 한 쌍의 보울트공을 갖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 양단을 내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요입부의 원주면이 상기 벽체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를 상기 벽체와 평행하게 절곡되며 두께방향으로 관통되고 외향으로 각각 버어가 돌설된 보울트공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어 배관파이프를 협착하는 착탈부재로서, 상기 요입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외향으로 만곡된 반원형상의 요입부 및 상기 한 쌍의 보울트공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한 쌍의 보울트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각각 외향으로 돌설된 버어를 갖는 한 쌍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보울트를 직접 상기 고정부재의 보울트공에 나사결합함으로써 너트를 생략할 수 있는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Clamp for fixing a pipe}
본 고안은 건물 외벽이나 또는 내벽에 설치되는 배관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 분리되어 있는 한 쌍의 부재를 갖는 클램프중 벽체에 고정되는 부재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울트공을 형성하고 대향하는 다른 부재에 상기 보울트공보다 그 직경이 큰 관통공을 형성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부재에 보울트를 나사결합되게 함으로써 배관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정 클램프는 파이프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내경을 갖는 반원형상의 요입부를 중앙에 형성하고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동일한 요입부를 갖는 착탈부재를 대면 결합하여 배관파이프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클램프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클램프는 각각의 부재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두께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 보울트를 관통하여 이면에서 너트로 상기 보울트를 고정함으로써 양부재를 결합시켜 배관파이프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양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울트 및 보울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설치비용이 가중되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울트공을 형성하여 착탈부재와의 결합시 너트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로서, 중앙에 벽체 방향으로 만곡된 반원형상의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에서 외측 두께방향으로 내주연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고 벽체 방향으로 소정길이로 각각 버어가 돌설된 한 쌍의 보울트공을 갖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 양단을 내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요입부의 원주면이 상기 벽체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를 상기 벽체와 평행하게 절곡되며 두께방향으로 관통되고 외향으로 각각 버어가 돌설된 보울트공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어 배관파이프를 협착하는 착탈부재로서, 상기 요입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외향으로 만곡된 반원형상의 요입부 및 상기 한 쌍의 보울트공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한 쌍의 보울트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각각 외향으로 돌설된 버어를 갖는 한 쌍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보울트를 직접 상기 고정부재의 보울트공에 나사결합함으로써 너트를 생략할 수 있는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보인 결합전 상태의 클램프 사시도,
도 2는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클램프 10 : 고정부재
11,21 : 요입부 13 : 보울트공
13a, 22a : 버어 14 : 수평바
15 : 절곡부 20 : 착탈부재
22 : 관통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를 분리하는 분리사시도로써 전체 부호 1은 클램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클램프(1)는 각각 분리되어 벽체(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와 결합되는 착탈부재(20)로 이루어져 이들의 결합에 의해 중앙에 배관파이프(3)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재(10)는 중앙에 벽체 방향으로 만곡된 반원형상의 요입부(11)가 형성된 수평바(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평바(14)에는 요입부(11)의 양측에 두께방향으로 내주연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보울트공(13)을 형성하고, 더욱이 상기 보울트공(13)은 벽체 방향으로 소정길이로 각각 버어(12)를 형성하고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어(12)에도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보울트의 결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0)는 수평바(14) 양단을 내향으로 절곡하여 요입부(11)의 원주면이 벽체(2)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절곡부(15)를 갖고, 상기 절곡부(15)를 벽체(2)와 평행하게 절곡하여 형성되며, 두께방향으로 관통되고 외향으로 각각 버어(16a)가 돌설된 보울트공(16)이 형성된 고정부(1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재(10)와 결합되어 배관파이프(3)를 협착고정하는 착탈부재(20)는 수평바(14)에 형성된 요입부(11)와 대응하는 위치에 외향으로 만곡된 반원형상의 요입부(21)를 갖음으로써 이들의 결합에 의해 원형을 이루며 여기에 배관파이프(3)가 협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착탈부재(20)에는 상기 보울트공(13)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보울트공(1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각각 외향으로 돌설된 버어(22a)를 갖는 한 쌍의 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착탈부재(20)는 상기 수평바(14)와 대면함으로써 중앙에 원형의 협착홈이 형성되고, 이 협착홈에 배관파이프(3)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벽체나 또는 천정등에 배관파이프(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배관할 위치를 선정하고 파이프 설치방향으로 고정부재(10)를 보울트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0)에 형성된 요입부(11)에 배관파이프(3)를 삽입하고, 그 반대측에서 착탈부재(20)를 대면시킨 후 보울트로 양부재를 결합함으로써 배관파이프(3)를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양 부재(10)(20)를 보울트만으로 결합시키게 되는데,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10)의 보울트공(13)의 내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보울트공(13)의 외측 즉 벽체방향으로 보울트공(13)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버어(13a)를 돌설되게 하여 상기 버어(13a)의 내주연에도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보울트(23)의 결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부재(10)와 착탈부재(20)의 보울트공(16)이나 또는 관통공(22)에 외향으로 버어(16a)(22a)를 형성하고 있는데, 여기서 상기 버어(16a) (22a)들은 보울트를 조일 때 그 조임력에 의해 헤더에 의해 일그러지면서 와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결과 결합된 보울트(23)의 조임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보울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착탈부재(20)에 형성된 관통공(22)의 직경을 이와 대응하고 있는 고정부재(10)의 보울트공(13)보다 그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이들이 서로 중심선상에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양부재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램프의 고정부재에 형성된 보울트공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 보울트공을 연장하여 버어를 형성되게 함으로써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양 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울트의 헤더와 접면하는 부분에도 버어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버어가 일그러지면서 와셔역할을 할 수 있어 보울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로서,
    중앙에 벽체 방향으로 만곡된 반원형상의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에서 외측 두께방향으로 내주연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고 벽체 방향으로 소정길이로 각각 버어가 돌설된 한 쌍의 보울트공을 갖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 양단을 내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요입부의 원주면이 상기 벽체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를 상기 벽체와 평행하게 절곡되며 두께방향으로 관통되고 외향으로 각각 버어가 돌설된 보울트공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재와 대향하여 배관파이프를 협착하는 착탈부재로서,
    상기 요입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외향으로 만곡된 반원형상의 요입부 및 상기 한 쌍의 보울트공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한 쌍의 보울트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각각 외향으로 돌설된 버어를 갖는 한 쌍의 관통공;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KR2020000010475U 2000-04-12 2000-04-12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KR200197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475U KR200197279Y1 (ko) 2000-04-12 2000-04-12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475U KR200197279Y1 (ko) 2000-04-12 2000-04-12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279Y1 true KR200197279Y1 (ko) 2000-09-15

Family

ID=1965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475U KR200197279Y1 (ko) 2000-04-12 2000-04-12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27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812Y1 (ko) * 2007-07-19 2009-09-01 김대식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KR200447084Y1 (ko) * 2007-12-27 2009-12-28 최창규 배관 고정 장치
KR20160066774A (ko) * 2014-12-03 2016-06-13 이영호 덕트 고정 장치
KR101788503B1 (ko) 2017-01-31 2017-10-23 조인호 환기용 덕트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812Y1 (ko) * 2007-07-19 2009-09-01 김대식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KR200447084Y1 (ko) * 2007-12-27 2009-12-28 최창규 배관 고정 장치
KR20160066774A (ko) * 2014-12-03 2016-06-13 이영호 덕트 고정 장치
KR101660124B1 (ko) 2014-12-03 2016-09-26 이영호 덕트 고정 장치
KR101788503B1 (ko) 2017-01-31 2017-10-23 조인호 환기용 덕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9449A (en) Pipe connector
KR200197279Y1 (ko)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US11649841B2 (en) Tie rod assembly union
JP2008525745A (ja) フランジ
KR100555145B1 (ko) 상수도관 연결구조
JP2019007593A (ja) 固定金具
KR200286079Y1 (ko) 밴드형 클램프
KR200396421Y1 (ko) 편심 파이프 이음용 유니언.
KR200221020Y1 (ko)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
JP2003106324A (ja) 角根付ボルト用座金
KR200343996Y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2005273808A (ja) 管継手
KR200248005Y1 (ko) 개량형 클램프밴드.
KR200257538Y1 (ko)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
KR200428967Y1 (ko) 와이어 클램프
JP2008057660A (ja) ボルトの仮固定構造および仮固定ボルト
KR200220176Y1 (ko)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티형 클램프
KR200339772Y1 (ko) 배관용 파이프의 일체형 이음쇠
KR200257532Y1 (ko) 밴드 클램프
KR20080002617U (ko) 관이음부재
KR20000007269U (ko) 철근연결금구
KR200271410Y1 (ko) 볼트
KR200296078Y1 (ko)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JP2001032977A (ja) 管継手
KR20080001372U (ko)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