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503B1 - 환기용 덕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기용 덕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503B1
KR101788503B1 KR1020170013749A KR20170013749A KR101788503B1 KR 101788503 B1 KR101788503 B1 KR 101788503B1 KR 1020170013749 A KR1020170013749 A KR 1020170013749A KR 20170013749 A KR20170013749 A KR 20170013749A KR 101788503 B1 KR101788503 B1 KR 101788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wire
fixing
ceiling wall
adjust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호
Original Assignee
조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호 filed Critical 조인호
Priority to KR102017001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 천장벽에 설치되는 환기용 덕트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환기용 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기를 위하여 천장벽에 설치되는 덕트를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덕트가 천장벽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수단과 결합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환기용 덕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환기용 덕트 시스템{Ventilating duct system}
본 발명은 공장이나 대형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실내 천장벽에 설치되는 환기용 덕트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환기용 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공장, 아파트 또는 빌딩에는 냉난방의 열 부하를 경감하기 위해 벽, 마루, 천장벽 등에 단열재를 넣거나 개구부를 알루미늄 섀시로 하는 등 건물은 점점 기밀화되고 있기 때문에 실내 거주자의 호흡, 연소기기, 담배의 연기나 먼지 등의 원인으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오염 물질이 신속히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실내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 오염 물질에 대한 신속한 강제 환기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실외 공기는 흡입하고 실내공기는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환기시스템을 가지는 아파트 또는 빌딩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기시스템은 통상 환기의 효율성이나 주변 설치물들과의 간섭 여부를 고려하여 주로 천정에 실내에 실외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 장착된 팬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환기용 덕트(A)는 천장벽에 앙카(1)를 좌우로 먼저 설치한 후 전산볼트(2)의 상단을 상기 앙카(1)에 체결하고, 앵글행거 레일(3)의 양단 구멍에 상기 양측 전산볼트(2)을 끼운 후 전산볼트(2) 하단에 너트(4)를 체결하여 앵글행거 레일(3)에 덕트(A)가 올려진 상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환기용 덕트(A)는 전산볼트(2)를 이용하여 설치되므로 작업성이 불량하고, 앵글행거 레일(3)에 올려진 상태로서 천장벽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고정상태가 불안정하며 설치공간을 과다하게 점유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팬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이 덕트(A)에서 크게 증폭되면서 실내까지 전달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성이 우수하고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면서 덕트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팬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이 덕트에서 증폭되지 않는 환기용 덕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환기용 덕트 시스템은 환기를 위하여 천장벽에 설치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를 천장벽에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수단 및 상기 덕트가 천장벽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수단과 결합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이 덕트의 저면과 양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브라켓이고, 상기 고정수단이 천정벽에 체결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을 결합시키는 클립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과 덕트 사이에 제1탄성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와 천장벽 사이에 제2탄성체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용 덕트 시스템에 의하면, 고정수단을 통해 천장벽에 밀착된 상태로 덕트가 고정되므로 앵글행거 레일에 덕트가 올려진 상태로 고정되는 종래에 비하여 덕트의 고정상태가 매우 안정적이며 설치공간이 최소화되고 팬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이 덕트에서 증폭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수단이 천정벽에 체결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을 결합시키는 클립부재를 구비하는 경우에 종래와는 달리 전산볼트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쉽고 빠르고 간편하게 덕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덕트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와이어로 구성하는 경우에 덕트의 외측으로 지지수단이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되므로 설치 외관이 매우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의 텐션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구성되면 덕트의 크기나 형상에 상관없이 고정수단을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환기용 덕트 시스템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덕트 시스템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3은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클리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덕트 시스템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덕트 시스템의 설치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단면도;
도 5는 도 4의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고정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덕트 시스템의 설치 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단면도;
도 8은 도 7의 고정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7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기용 덕트 시스템은 실내 환기를 위하여 천장벽에 설치되는 덕트(A)를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덕트가 천장벽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수단과 결합되는 고정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수단은 덕트(A)의 저면과 양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브라켓(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00)이 덕트(A)의 저면과 양측부를 감싼 상태로 설치되므로 덕트(A)의 고정상태는 매우 안정적이며, 덕트(A)가 천장벽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설치공간이 최소화되고 팬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은 덕트(A)에서 증폭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수단(200)은 천장벽에 체결되는 고정브라켓(210)과 상기 고정브라켓(210)과 지지브라켓(100)을 결합시키는 클립부재(2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10)은 천장벽과 밀착된 상태로 천장벽에 고정되는 고정면(211)과, 천장벽으로부터 이격된 이격면(212)을 가진다. 상기 이격면(212)에는 클립부재(220)가 통과하는 결합공(213)이 형성된다.
따라서, 클립부재(220)가 이격면(212)의 결합공(213)에 결합될 때클립부재(220)의 상단이 천장벽과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브라켓(100)의 상단에는 클립부재(220)가 끼워지는 끼움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클립부재(220)는 지지브라켓(100)의 끼움공(110)과 고정브라켓(210)의 결합공(213)을 통과할 수 있는 외경을 가진 몸체부(221)와, 고정브라켓(210)의 끼움공(110)과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몸체부(221)의 하단에 형성된 몸체부(22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머리부(222)와, 상기 몸체부(221)의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측방향으로 외력을 받을 경우 몸체부(221)를 향해 탄성 이동하는 탄성걸림단(223)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클립부재(220)는 지지브라켓(100)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공(110)과 고정브라켓(210)의 결합공(213)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지지브라켓(100)의 아래에서 클립부재(220)의 몸체부(221) 상단을 끼움공(110)에 끼워 넣고 밀어 올리면 탄성걸림단(223)이 몸체부(221)로 탄성이동하면서 끼움공(110)과 결합공(213)을 차례로 통과하게 되고 결합공(213)을 완전히 통과한 탄성걸림단(223)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면서 고정브라켓(210)의 결합공(213)에서 걸림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브라켓(100)은 클립부재(220)를 통해 매우 쉽고 간편하게 고정브라켓(210)에 결합되며, 지지브라켓(100)과 고정브라켓(21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덕트(A)는 천장벽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221)에는 탄성걸림단(223)이 몸체부(221)를 향해 용이하게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걸림단(223)을 수용하는 홈부(224)가 더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머리부(222)에는 작업자가 타격용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손으로 잡고 직접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손가락 걸이공(225)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지지브라켓(100)을 교체하지 않고도 높이가 서로 다른 덕트(A)를 고정할 수 있도록 탄성걸림단(223)은 몸체부(221)에 상하 방향으로 다단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100)과 덕트(A) 사이에는 제1탄성체(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탄성체(300)가 덕트(A)의 저면 모서리에 구비되도록 하면 덕트(A)가 지지브라켓(100)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덕트(A)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A)와 천장벽 사이에 제2탄성체(4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탄성체(400)는 천장벽을 타고 실내로 전달되는 덕트(A)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제1탄성체(300) 및 제2탄성체(400)가 설치되면, 지지브라켓(100)과 고정브라켓(210) 사이가 제1탄성체(300)와 제2탄성체(400)의 두께만큼 이격되지만, 탄성걸림단(223)이 상하방향으로 다단 형성된 클립부재(220)를 이용하면 지지브라켓(100)이나 고정브라켓(210)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천장벽에 덕트(A)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벽에 설치되는 덕트(A)를 밀착 지지하는 지지수단은 일단이 덕트(A) 일측의 천장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덕트(A)의 저면을 횡단하는 와이어(500)일 수 있다. 지지수단이 와이어(500)로 구성되면 상대적으로 대면적인 지지브라켓(100)을 지지수단으로 하는 제1실시예에 비하여 덕트(A)의 설치 외관이 매우 우수해진다.
상기 지지수단을 천장벽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600)은 와이어(500)의 텐션력을 조절해 가면서 와이어(500)의 타단을 천장벽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수단(600)은 덕트(A) 타측의 천장벽에 고정된 하우징(610)과, 상기 하우징(610) 내부에 덕트(A)를 향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블럭(620)와, 상기 하우징(610) 내부에 설치되어 덕트(A)를 향해 이동하는 이동블럭(620)에 대하여 덕트(A)의 반대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와이어(500)에 대하여 텐션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630)와, 회전시 와이어(500)의 타측단을 감을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500)와 연결된 상태로 하우징(610)의 외측에서 이동블럭(620)에 결합되어 와이어(500)의 감김 정도에 따라 상기 이동블럭(620)에 대하여 덕트(A)를 향하는 이동력을 달리 부여하면서 와이어(500)의 텐션력을 변화시키는 텐션조절볼트(64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630)가 덕트(A)의 반대측에 위치한 하우징(610)의 일측단에 고정된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덕트(A)와 대면하는 하우징(610)의 타측단에 고정된 압축스프링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하우징(610)의 전면에는 텐션조절볼트(64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61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611)은 텐션조절볼트(6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수평평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텐션조절볼트(640)는 하우징(610)의 삽입공(611)으로 삽입된 후 이동블럭(620)에 체결된다. 상기 이동블럭(620)에는 텐션조절볼트(640)와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나선공(62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텐션조절볼트(640)의 일측에는 와이어(500)의 타측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와이어 관통공(641)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500)의 타측단은 텐션조절볼트(640)에 감길 때 와이어 관통공(64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고리형상으로 밴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텐션조절볼트(640)가 와이어(500)를 감은 상태에서는 탄성부재(630)의 탄성력과 와이어(500)의 텐션력은 텐션조절볼트(640)가 풀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텐션조절볼트 회전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텐션조절볼트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하우징(610)의 전면에 덕트(A)를 향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관통공(612)과, 상기 텐션조절볼트(640)의 머리부(222)에 형성된 제2관통공(642)과, 상기 제1관통공(612)과 제2관통공(642)에 차례로 끼워지는 고정핀(6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610)의 외측면에는 텐션조절볼트(640)의 이동거리를 통해 와이어(500)에 작용하는 텐션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텐션 눈금(660)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와이어(500)와 접촉되는 상기 덕트(A)의 하부 모서리에 완충부재(67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재(670)는 덕트(A)와 와이어(500) 사이에 작용하는 강한 밀착력으로 인하여 덕트(A) 및 와이어(5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줄 뿐만 아니라, 덕트(A)로부터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와이어(500)를 타고 실내로 통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해 준다.
상기 완충부재(670)는 설치과정에서 와이어(500)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면을 따라 와이어 홈부(67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완충부재(670)의 내측면에는 덕트(A)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경우 덕트(A)로부터 탈락되지 않고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자석(672)이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덕트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A) 일측의 천장벽에 와이어(500)의 일측단을 고정시키고 덕트(A) 타측의 천장벽에 하우징(610)을 고정시킨 후에 와이어(500)의 타측단을 텐션조절볼트(640)에 감아서 와이어(500)가 덕트(A)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한 상태로 가조립을 완료한다.
이 상태에서의 텐션조절볼트(640)는 이동블럭(620)에 가체결된 상태로서, 텐션조절볼트(640)를 오른쪽으로 감게 되면 텐션조절볼트(640)가 회전하면서 이동블럭(620)와의 체결이 진행됨과 함께 와이어(500)가 텐션조절볼트(640)에 감겨지게 된다.
그 결과,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500)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덕트(A)는 와이어(500)에 의해 밀려 올라가 천장벽에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덕트(A)와 천장벽 사이에 제2탄성체(400)가 설치되고 와이어(500)와 접촉되는 덕트(A)의 하부 모서리에 완충부재(670)가 더 구비되면, 덕트(A) 및 와이어(5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줄 뿐만 아니라, 덕트(A)로부터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와이어(500)를 타고 실내로 통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해 줄 수 있다.
한편, 증가하는 와이어(500)의 텐션력은 이동블럭(620)에 결합된 탄성부재(630)에 반영된다. 즉, 와이어(500)의 텐션력이 탄성부재(630)의 탄성력 보다 큰 경우에 탄성부재(630)가 탄성 변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텐션조절볼트(640)의 회전량이 증가할수록 와이어(500)의 텐션력이 커지면서 이동블럭(620)의 덕트(A)측으로의 이동거리가 증가하게 되며, 작업자는 이동블럭(620)에 결합된 텐션조절볼트(640)의 이동거리를 통해 와이어(500)에 작용하는 텐션력을 하우징(610)의 외측에서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작업자는 텐션조절볼트(640)의 회전량을 조절해 가면서 텐션조절볼트(640)의 이동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와이어(500)의 종류에 상관없이 항상 적정한 텐션력을 부여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610) 전면에 텐션 눈금(660)이 표시된 경우에는 텐션조절볼트(640)의 이동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와이어(500)에 작용하는 텐션력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텐션조절볼트(640)를 통해 적정한 텐션력으로 와이어(500)가 고정되면, 고정핀(650)을 텐션조절볼트(640)의 제2관통공(642)과 하우징(610)의 제1관통공(612)에 차례로 삽입하여 텐션조절볼트(64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렇게 하면, 텐션조절볼트(640)에 작용하는 와이어(500)의 텐션력과 탄성부재(6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칫 텐션조절볼트(640)가 풀리면서 덕트(A)의 고정상태가 불량해질 우려가 전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수단(200)은 와이어(500)의 텐션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어떠한 크기나 형상의 덕트(A)에 대해서도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고 와이어(500)에 항상 일정한 텐션력을 부여하여 와이어(500)나 덕트(A)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항상 견고하고 안정되게 덕트(A)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100; 지지브라켓 200; 고정수단
210; 고정브라켓 220; 클립부재
300; 제1탄성체 400; 제2탄성체
A; 덕트

Claims (4)

  1. 천장벽에 설치되는 덕트를 고정하기 위한 환기용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일측 천장벽에 일측부가 고정되며 상기 덕트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 및 상기 덕트의 타측 천장벽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타측부가 연결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덕트의 타측 천장벽에 고정되며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장슬릿 형태의 삽입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공 측으로 나선공이 구비되는 이동블럭과,
    상기 와이어의 타측부가 관통 체결되는 와이어 관통공이 구비되며 회전 시 상기 와이어의 타측부가 감기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이동블럭의 나선공에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의 감김 정도에 따라서 상기 이동블럭에 대하여 상기 덕트를 향하는 이동력을 달리 부여하면서 상기 와이어의 텐션력을 변화시키는 텐션조절볼트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 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블럭에 대하여 상기 덕트의 반대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이동블럭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에 대하여 텐션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와 접촉되는 상기 덕트의 하부 모서리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환기용 덕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와 천장벽 사이에 제2탄성체가 더 구비되는 환기용 덕트 시스템.
KR1020170013749A 2017-01-31 2017-01-31 환기용 덕트 시스템 KR101788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749A KR101788503B1 (ko) 2017-01-31 2017-01-31 환기용 덕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749A KR101788503B1 (ko) 2017-01-31 2017-01-31 환기용 덕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503B1 true KR101788503B1 (ko) 2017-10-23

Family

ID=6029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749A KR101788503B1 (ko) 2017-01-31 2017-01-31 환기용 덕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5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126B1 (ko) 2018-08-16 2019-04-03 송두삼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벽부설치 급배기 일체형 환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02361B1 (ko) * 2019-12-16 2020-04-20 황용호 덕트 지지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279Y1 (ko) 2000-04-12 2000-09-15 이영주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KR101660124B1 (ko) * 2014-12-03 2016-09-26 이영호 덕트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279Y1 (ko) 2000-04-12 2000-09-15 이영주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KR101660124B1 (ko) * 2014-12-03 2016-09-26 이영호 덕트 고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126B1 (ko) 2018-08-16 2019-04-03 송두삼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벽부설치 급배기 일체형 환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02361B1 (ko) * 2019-12-16 2020-04-20 황용호 덕트 지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4281B2 (en) Suspension bracket
US20190032953A1 (en) Ventilation fan housing and mounting system
JP5950877B2 (ja) 空気調和機の化粧パネル取付構造及び室内機
US6595471B1 (en) J-shaped flexible duct hanger
JP7343524B2 (ja) 器具取り付けシステム
US11686483B2 (en) Ventilation fan mounting assembly
US977794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mproved damper, boot and damper combination, and an improved HVAC duct system
KR101788503B1 (ko) 환기용 덕트 시스템
US20060185887A1 (en) Wire support
US7568665B2 (en) Stand off tie for communications cables
US10215307B2 (en) Pipe securing apparatus
JP3829168B2 (ja) 空気調和機用の天井埋込型室内機
JP2015143567A (ja) 機器取付装置及び室内機
JP6530880B2 (ja) 配設体固定具
JP2019027273A (ja) 野縁受け用ハンガー
US20180058668A1 (en) Captive retaining spring
KR200414327Y1 (ko) 디퓨저
KR100836836B1 (ko) 천장 설치형 에어컨 고정 장치
JP7086296B2 (ja) 空調室内機用の取り付け用アセンブリ
JP4702890B2 (ja) ダクト用換気ファン
KR101715480B1 (ko) 환풍기 그릴 체결장치
KR100787232B1 (ko) 광학 프로젝터 설치용 벽걸이 장치
KR102025331B1 (ko) 실외기 설치용 유동방지 지그
KR20090018308A (ko) 덕트 고정부재
JP7183109B2 (ja) 換気装置の化粧グリルおよび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