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176Y1 -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티형 클램프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티형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176Y1
KR200220176Y1 KR2020000033324U KR20000033324U KR200220176Y1 KR 200220176 Y1 KR200220176 Y1 KR 200220176Y1 KR 2020000033324 U KR2020000033324 U KR 2020000033324U KR 20000033324 U KR20000033324 U KR 20000033324U KR 200220176 Y1 KR200220176 Y1 KR 200220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ole
present
fixed
bol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숙
황인만
Original Assignee
김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숙 filed Critical 김혜숙
Priority to KR2020000033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1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176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T형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분리되는 체결몸체를 일체로 형성하고,볼트를 너트에 의해 본체로 체결한 상태에서 수평,수직파이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하므로서 체결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작업효율의 향상과 작업 및 보관시 구성요소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T형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부측 만곡부가 일체로 된 본체를 형성하되, 이 만곡부로는 절곡이 용이하도록 통공을 형성하고, 볼트머리가 위치하는 일측 볼트체결공은 볼트머리가 고정되는 사각고정공과 볼트머리가 이탈되도록 한 원형탈착공이 일체로 된 '

Description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티형 클램프{CLAMP}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T형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동 또는 연동 비닐하우스의 측벽파이프 골조를 체결하는 T형 클램프를 형성함에 있어, 수평파이프 체결부위인 만곡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이 만곡부로 통공을 두어 밀착작업이 용이토록하고, 수직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의 체결공으로 이중고정턱을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를 본체에 체결한 상태로서 수평,수직파이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하므로서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은 물론 부품의 분리을 방지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T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동 또는 복동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형성함에 있어, 골조파이프의 연결되는 형태에 따라 체결클램프를 이용하여 각 골조파이프를 연결하게 되는바, 이중 'T'자형태로 교차하는 골조파이프는 T형 클램프를 이용하여 연결고정되는 것이었다.
이에, 종래 T형 클램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측 동일모양으로 대칭되는 한쌍의 체결몸체(100)를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므로서 파이프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각 체결몸체(100)의 상부는 반원형태로 절곡되어져 있고, 하부로는 세로방향으로 원형, 각 몸체가 맞닿을 경우, 상부로는 만곡부(11)가 형성됨에 따라 수평파이프를 감싸는 형태로서 고정하고, 하부또한 세로방향으로 원형밀착면(120)이 형성되어져 있어, 수직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서 밀착한 후, 볼트체결공(130)을 통해 각 체결몸체(100)를 볼트(B)와 너트(N)로 조임하므로서 연결고정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T형 클램프는 각각의 체결몸체를 고정하고자 하는 수평 및 수직파이프에 밀착시킨 후, 볼트(B)와 너트(N)로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설치시간이 소요됐으며,
또한, T형 클램프의 구성요소가 각,각 분리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사용시 또는 보관시 부주위로 인해 분실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T형 클램프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분리되는 체결몸체를 일체로 형성하고,볼트를 너트에 의해 본체로 체결한 상태에서 수평,수직파이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하므로서 체결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작업효율의 향상과 작업 및 보관시 구성요소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T형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부측 만곡부가 일체로 된 본체를 형성하되, 이 만곡부로는 절곡이 용이하도록 통공을 형성하고, 볼트머리가 위치하는 일측 볼트체결공은 볼트머리가 고정되는 사각고정공과 볼트머리가 이탈되도록 한 원형탈착공이 일체로 된 '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를 본체에 고정한 상태에서 수평,수직파이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T형 클램프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T형 클램프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T형 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T형 클램프의 작용상태도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T형 클램프 2 : 만곡부 3,3' : 볼트결합공
4 : 원형밀착편 21 : 통공 31 : 원형이탈공
32 : 사각고정공 P : 수평파이프 P' : 수직파이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T형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T형 클램프의 작용상태도로서 그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상부측 만곡부(2)가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1)의 중앙측벽으로 원형이탈공(31)과 사각고정공(32)이 일체로 된 볼트체결공(3,3')을 형성하므로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측 만곡부(2)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와같은 만곡부(2)의 중앙부로는 작업자가 작은 힘으로도 만곡부(2)를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도록 통공(21)을 형성되며, 하부측으로는 수직파이프를 감착고정하는 원형밀착면(4)이 마주보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만곡부(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본체(1)는 제작시 만곡부(2)를 축으로 마주보는 상기 원형밀착면(4)이 약간 벌어져 있는 형태로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의 중앙측벽으로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볼트(B)가 본체(1)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한 볼트체결공(3,3')이 형성되는데,
이와같은 볼트체결공(3,3')에 있어, 볼트머리가 위치하게 되는 일측 볼트체결공(3)은 ' '와 같은 형태로서 볼트머리가 고정되는 사각고정공(32)이 상부로 형성되고, 이 사각고정공(32)의 하부측으로는 볼트머리가 자유롭게 이탈할 수 있도록 적어도 볼트머리보다 직경이 큰 원형이탈공(31)을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구성되며,
이러한 일측 볼트체결공(3)과 마주보는 위치로 형성되는 타측 볼트체결공(3')은 볼트의 나사산이 형성된 부위가 자유롭게 관통될 수 있도록 사각통공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볼트체결공(3,3')을 통해 본체로 체결되는 볼트(B)는 도 2에서와 같이 반구형 볼트머리를 갖는 볼트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볼트머리의 하부측으로는 상기 사각고정공(32)에 끼움고정되도록 사각체돌기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T형 클램프(1)는 제작후 볼트체결공(3,3')을 통해 볼트(B)가 너트(N)고정된 상태로 유통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수평파이프(P)와 수직파이프)P')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선, 일측 볼트체결공(3)의 원형이탈공(31)을 통해 볼트머리를 이탈시킨 후, 수평파이프(P)를 만곡부(2)의 내경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재차 원형이탈공(31)을 통해 볼트머리를 삽입함과 동시에 하부측으로 형성된 원형밀착면(4)으로 밀착시킨 후 볼트머리를 사각고정공(32)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너트고정하므로서 수직파이프(P')와 수평파이프(P)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T형 클램프(1)는 상부측 만곡부(2)가 일체로 형성되고, 원형이탈공(31)을 통해 볼트머리가 자유롭게 본체(1)에서 이탈됨에 따라 볼트(B)와 너트(N)가 본체에 체결된 상태에서 파이프(P,P')의 체결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시 또는 보관시 각 구성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T형 클램프는 종래와 같이 분리된 체결몸체로서 형성되는 본체를 일체로 형성하고, 또한 일체로 된 원형이탈공과 사각고정공을 일측 볼트체결공으로 형성하므로서 볼트와 너트를 본체로 체결한 상태에서 수평,수직파이프의 연결고정작업을 행할 수 있어, 종래의 클램프에서 야기되었던 과다한 작업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작업시 또는 보관시 본체와 볼트너트를 분리하지 않아도 됨에따라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상부측 만곡부가 일체로 된 본체를 형성하되, 이 만곡부로는 절곡이 용이하도록 통공을 형성하고, 볼트머리가 위치하는 일측 볼트체결공은 볼트머리가 고정되는 사각고정공과 볼트머리가 이탈되도록 한 원형탈착공이 일체로 된 '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를 본체에 고정한 상태에서 수평,수직파이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T형 클램프.
KR2020000033324U 2000-11-28 2000-11-28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티형 클램프 KR200220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324U KR200220176Y1 (ko) 2000-11-28 2000-11-28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티형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324U KR200220176Y1 (ko) 2000-11-28 2000-11-28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티형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176Y1 true KR200220176Y1 (ko) 2001-04-16

Family

ID=73092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324U KR200220176Y1 (ko) 2000-11-28 2000-11-28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티형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1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259B1 (ko) 2006-01-17 2006-11-01 이수영 구조개선된 파이프 연결구 및 그 제조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259B1 (ko) 2006-01-17 2006-11-01 이수영 구조개선된 파이프 연결구 및 그 제조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98329A4 (en) CONNECTING TUBES AND ASSEMBLY USING THE SAME
US10054143B2 (en) Connector device for use in connecting elements of bracing systems and the like
JP4807827B2 (ja) チエン吊り具
KR200220176Y1 (ko)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티형 클램프
KR20070056757A (ko) 비계용 클램프
KR20010002131U (ko) 주방가구의 다리 체결장치
KR20110043200A (ko)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AU2009238196B2 (en) Connection fixture
KR200205868Y1 (ko) 비계용 클램프의 파이프 결속구조
KR20020068016A (ko) 강관 비계
JP2011106126A (ja) 補充パネル付き作業足場
JPS5936725Y2 (ja) 棒状体の結合具
KR101942706B1 (ko) 비닐하우스 골조 고정구
JP2004263789A (ja) 単管パイプの伸縮ジョイント構造
WO2010091451A1 (en) Scaffolding tool
JP2003106324A (ja) 角根付ボルト用座金
CA2911611A1 (en) Pipe clamp assembly with stiffening element
KR100638633B1 (ko) 전력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구
JP4203894B2 (ja) 鋼管杭の継手
JP2000081168A (ja) パイプ取付け具
JP3801422B2 (ja) パイプの結合部材
JP3018854U (ja) フレーム連結構造
JP3006629U (ja) 羽子板ボルト
KR200220181Y1 (ko)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
EP1464881A1 (en) Attach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