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181Y1 -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181Y1
KR200220181Y1 KR2020000033325U KR20000033325U KR200220181Y1 KR 200220181 Y1 KR200220181 Y1 KR 200220181Y1 KR 2020000033325 U KR2020000033325 U KR 2020000033325U KR 20000033325 U KR20000033325 U KR 20000033325U KR 200220181 Y1 KR200220181 Y1 KR 200220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ending
nut
ben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숙
황인만
Original Assignee
김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숙 filed Critical 김혜숙
Priority to KR2020000033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1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181Y1/ko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절곡볼트가 힌지결합구조로서 절곡부에 설치하고, 절곡볼트의 너트결합부위측 볼트체결공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너트가 나사결합된 상태로 이탈 또는 고정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하여, 간편한 골조체결작업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 구성부품의 일체화로 유통,보관시 분실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는 곡부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절곡볼트가 너트공정되도록 볼트체결공이 형성되는 절곡부를 축으로 파이프수용구가 대칭형성되며 곡부형태로 골조를 연결하는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절곡볼트는 일측 끝단에 힌지고리가 형성하고 타측 끝단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중앙부로 파이프밀착면을 형성하되, 상기 절곡부의 일측으로 힌지결합구를 형성하여 상기 힌지고리가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너트가 결합되는 부위의 볼트체결공은 너트가 이탈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원형이탈공과 사각고정공을 일체로 형성하여, 너트를 절곡볼트의 나사산에서 탈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직파이프의 체결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CLAMP}
본 고안은 연동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동하우스의 골조를 형성함에 있어, 곡부에 적용하여 용이한 파이프연결을 행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구조의 고정구를 형성한 연동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동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형성함에 있어, 골조파이프의 연결되는 형태에 따라 체결클램프를 이용하여 각 골조파이프를 연결하게 되는바, 이중 비닐하우스와 비닐하우스를 연결하는 부위인 곡부는 곡부연결구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이에, 종래 곡부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곡부(120)를 중심으로 파이프(P)를 끼움할 수 있는 파이프수용구(110)가 상호 대칭되는 구조로서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120)로는 ' ㄱ '자형태로 절곡된 볼트가 너트에 의해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체결공(이 형성되어져 있어, 상기 한쌍의 파이프수용구를 통해 곡부형태로 파이프(P)를 연결함과 동시에 절곡부(120)로는 직선형태 파이프(P')를 수용한 상태로 절곡볼트(140)를 통해 고정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곡부연결구(100)는 본체와 절곡볼트가 분리된 구조를 취함에 따라 작업시 여러단계로 나뉘어 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이는 각 파이프 수용구(110)로 아치형태 파이프(P)를 끼움고정한 후, 절곡볼트(140)로 결합된 너트(N)를 풀러 직선형태파이프(P')를 절곡부(120)에 수용한 상태에서 재차 절곡볼트(140)에 너트(N)를 나사결합해야하므로 상당한 번거로움을 갖는 것이고, 이로인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며, 특히 본체(100)가 분리된 구조를 취함에 따라 유통,보관상에서 각 부품이 분실될 수 있는 위험성이 상존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곡부 연결구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절곡볼트가 힌지결합구조로서 절곡부에 설치하고, 절곡볼트의 너트결합부위측 볼트체결공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너트가 나사결합된 상태로 이탈 또는 고정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하여, 간편한 골조체결작업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 구성부품의 일체화로 유통,보관시 분실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는 곡부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절곡볼트가 너트공정되도록 볼트체결공이 형성되는 절곡부를 축으로 파이프수용구가 대칭형성되며 곡부형태로 골조를 연결하는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절곡볼트는 일측 끝단에 힌지고리가 형성하고 타측 끝단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중앙부로 파이프밀착면을 형성하되, 상기 절곡부의 일측으로 힌지결합구를 형성하여 상기 힌지고리가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너트가 결합되는 부위의 볼트체결공은 너트가 이탈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원형이탈공과 사각고정공을 일체로 형성하여, 너트를 절곡볼트의 나사산에서 탈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직파이프의 체결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비닐하우스용 곡부 연결구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곡부연결구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곡부연결구에 있어, 볼트체결공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곡부연결구에 있어, 볼트체결공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곡부연결구에 있어,절곡볼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곡볼트의 작용상태도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곡부연결구 2 : 절곡부 3,3' : 볼트결합공
4,4' : 절곡볼트 5 : 파이프 수용구 21 : 파이프밀착면
22 : 힌지핀 31 : 원형이탈공 32 : 사각고정공
41' : 힌지구 42' : 절곡부위
P : 아치형 파이프 P': 직선파이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곡부연결구에 있어, 볼트체결공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곡부연결구에 있어, 볼트체결공의 작동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곡부(2)로 형성되는 볼트체결공(3,3')에 있어, 너트가 결합되는 부위의 볼트체결공(3)을 원형이탈공(31)과 사각고정공(32)이 일체로 된 형상으로 형성하므로서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곡부연결구(1)는 도 2에서와 같이 파이프수용구(5)가 절곡부(2)를 축으로 대칭형성하여 본체(1)를 구성하되, 상기 절곡부(2)로는 도 2에서와 같이 'ㄱ'자형태로 절곡된 절곡볼트(4)가 결합되도록 한 한쌍의 볼트결합공(3,3')이 대칭되는 형태로서 형성되며, 이러한 볼트결합공(3,3')을 통해 'ㄱ'자로 절곡되며 일측으로는 볼트머리가, 타측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절곡볼트(4)가 끼움결합되는 것인데,
본 고안에서는 이와같은 볼트결합공(3,3')에 있어, 너트(N)가 체결되는 부위의 볼트체결공(3)을 원형이탈공(31)과 사각고정공(32)이 일체로 된 형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형이탈공(31)은 그 직경이 적어도 절곡볼트(4)에 너트(N)가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것이며, 상기 사각고정공(32)은 상기 절곡볼트(4)의 나사산형성부위가 끼움되어 어느정도의 고정력을 갖도록 그 크기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곡부연결구(1)는 도 3에서와 같이 파이프수용구(5)로 파이프(P)를 수용한 상태에서 너트(N)가 결합된 절곡볼트(4)를 본체(1)에서 이탈시키지 않고 수평방향 직선파이프(P')를 절곡부(2)에 고정결합할 수 있는 것인데,
이는 볼트머리가 걸림되는 볼트결합공(3')이 타원형으로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어, 볼트결합공(3')에 걸림된 상태에서도 어느정도의 유동성을 갖게 되고,
또한, 너트결합부위측 볼트결합공(3)으로 형성된 원형이탈공(31)을 통해 나사산에 끼움결합된 너트(N)를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절곡볼트(4)의 너트(N)를 해체하지 않고도 직선파이프(P')가 절곡부(2) 파이프밀착면(21)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절곡볼트(4)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절곡부(4)로 안착된 직선파이프(P')를 고정하기 위해 재차 원형이탈공(31)을 통해 너트가 끼움된 절곡볼트(4)를 통과시킨 후, 사각고정공(32)측으로 절곡볼트(4)의 나사산형성부위를 끼움고정한 상태에서 절곡볼트(4)가 수직파이프(P')에 밀착고정되도록 너트(N)를 조임하므로서 그 고정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곡부연결구(1)와 파이프의 탈착작업또한 상기 체결작업의 역순으로 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곡부연결구(1)는 절곡볼트(4)로 부터 너트(N)를 장,탈착하는 작업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서 그만큼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과 함께, 본체(1)와 절곡볼트(4)를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각 부재의 분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곡부연결구에 있어,절곡볼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곡볼트의 작용상태도로서, 그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이는 도시된 바와같이 봉상체를 취하는 기존 절곡볼트(4)의 절곡부위(42')를 판상체로 펀칭가공하여 직선파이프(P')에 밀착고정시 밀착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볼트머리부위로 환형 힌지구(41')를 형성하여 힌지핀(22)을 통해 절곡부(2)에 힌지결합시키므로서, 절곡볼트(4')가 상기 힌지핀(22)을 축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데,
이와같은 본 고안의 이실시예는 힌지구(41')를 형성하여 본체(1)와 일체로 절곡볼트(4')를 결합함에 따라, 너트결합부위로 형성된 일실시예의 볼트결합공(3)을 통해 너트(N)가 결합된 상태로 볼트결합공(3)을 통과시켜 도 5에서와 같이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직선파이프(P')를 절곡부(2)의 파이프수용면(22)에 밀착수용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직선파이프(P')를 수용시킨 상태에서 재차 너트(N)가 결합된 상태로 원형이탈공(31)과 사각고정공(32)을 통해 너트결합부위를 고정하므로서 절곡볼트(4')를 통해 직선파이프(P')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곡볼트(4')는 직선파이프(P')가 맞닿는 부위(42')가 판상체로 형성되어져 있어, 봉상체보다 그 밀착력이 향상된 작용,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일, 이실시예에서 구현되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는 절곡볼트가 힌지결합구조로서 절곡부에 일체설치되고, 절곡볼트의 너트결합부위측 볼트체결공은 너트가 나사결합된 상태로 이탈 또는 고정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원형이탈공과 사각고정공을 일체형성하므로서, 절곡볼트로 결합된 너트를 분리하지 않고도 간편한 골조체결작업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 구성부품의 일체화로 유통,보관시 분실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절곡볼트가 너트공정되도록 볼트체결공이 형성되는 절곡부를 축으로 파이프수용구가 대칭형성되며 곡부형태로 골조를 연결하는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절곡볼트는 일측 끝단에 힌지고리가 형성하고 타측 끝단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중앙부로 파이프밀착면을 형성하되, 상기 절곡부의 일측으로 힌지결합구를 형성하여 상기 힌지고리가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너트가 결합되는 부위의 볼트체결공은 너트가 이탈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원형이탈공과 사각고정공을 일체로 형성하여, 너트를 절곡볼트의 나사산에서 탈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이프의 체결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곡부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볼트의 볼트머리부위로 힌지구를 형성하여 힌지핀에 의해 절곡부에 힌지결합하고, 이 절곡볼트의 절곡부위는 판상체로 형성된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곡부 연결구.
KR2020000033325U 2000-11-28 2000-11-28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 KR200220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325U KR200220181Y1 (ko) 2000-11-28 2000-11-28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325U KR200220181Y1 (ko) 2000-11-28 2000-11-28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181Y1 true KR200220181Y1 (ko) 2001-04-16

Family

ID=7309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325U KR200220181Y1 (ko) 2000-11-28 2000-11-28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1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564A (ko) * 2016-07-13 2018-01-23 정길영 비닐하우스 골조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564A (ko) * 2016-07-13 2018-01-23 정길영 비닐하우스 골조 고정구
KR101942706B1 (ko) * 2016-07-13 2019-04-17 박영희 비닐하우스 골조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5480C (en) Electric ground clamp with pivoted jaws and single attached adjusting bolt and terminal block
US20070144314A1 (en) Tool set
KR20050041447A (ko) 자동차용 볼트 및 클램프의 체결구조
CN110318446B (zh) 一种带扳手功能的花洒固定装置
JP2009022101A (ja) 送電線用ボルトレススペーサ
US7455273B2 (en) Projector holder
KR200220181Y1 (ko) 비닐하우스용 곡부연결구
KR20010002131U (ko) 주방가구의 다리 체결장치
JP2002188757A (ja) ケーブル類架設具
KR20180068273A (ko) 클램프 조립을 위한 공구 소켓
KR200220176Y1 (ko) 비닐하우스 골조결합용 티형 클램프
KR20200059565A (ko) 전동드라이버용 다중 비트 소켓
JP2000081168A (ja) パイプ取付け具
CN213776760U (zh) 一种用于排水管的外接机构
KR200248803Y1 (ko) 현관도어용 손잡이의 체결구조
CN210658546U (zh) 一种带扳手功能的花洒固定装置
CN219828130U (zh) 管用抱箍
US20050097939A1 (en) Clamping tool for connecting coaxial cable and terminal
JP3639777B2 (ja) ビニールハウスに於けるパイプ連結具の連結部の構造
CN208686762U (zh) 一种快速连接紧固组件
KR100922424B1 (ko) 파이프 체결장치
JP4679744B2 (ja) 配管用サドル
KR20040066657A (ko) 와이어 연결구 조립체
KR200330474Y1 (ko) 파이프체결장치
KR20000004121U (ko) 호스고정수단을 일체로 가지는 니플접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