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078Y1 -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078Y1
KR200296078Y1 KR2020020023504U KR20020023504U KR200296078Y1 KR 200296078 Y1 KR200296078 Y1 KR 200296078Y1 KR 2020020023504 U KR2020020023504 U KR 2020020023504U KR 20020023504 U KR20020023504 U KR 20020023504U KR 200296078 Y1 KR200296078 Y1 KR 2002960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ng
inlet
support body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중
Original Assignee
성낙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낙중 filed Critical 성낙중
Priority to KR2020020023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0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0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078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오수나 우수등을 배출하는 배수관용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특히 단부가 직선형태의 배수관용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주는 것이다.
본 고안은 그 재질이 합성수지재관이나 금속재관등의 재질을 막론하고 단부가 파이프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단한 파이프 단부를 파이프 유입구를 통해 지지몸체에 밀어 넣은 후 클램프를 볼트, 너트로 조여 줄 때 파이프 지지몸체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파이프 유입구의 테두리를 외측으로 벌어진 테이퍼진 테두리를 가지며, 이에 끼워지는 고정링과 테이퍼진 테두리를 클램프로 체결할 때 클램프 내측의 고정링과 파이프 유입구의 테이퍼진 테두리가 클램프에 의해 압착되어질 때 고정링 내측의 압착링이 이에 끼워진 배수관용 가압 고정하여 간단하면서도 견고히 배수관용 파이프와 파이프 연결구를 일체로 연결토록 하는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pipe joint}
본 고안은 배수관용 파이프와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주는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배수관용 파이프로는 강관이나 주철재관등의 금속관이나 경질 비닐관등의 합성수지재관등을 볼 수 있다.
또한 배수관용 파이프는 그 형상에 따라 단부에 플랜지의 고정수단등을 갖는 플랜지타입의 배수관과 단부가 직선형태의 배수관을 볼 수 있다.
파이프의 단부에 플랜지등의 고정수단을 갖는 배수관은 주철재관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강관이나 합성수지재관등은 파이프의 단부가 직선상태를 유지하는 직관형태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고안은 파이프 단부에 고정 플랜지등의 고정수단을 갖지 않는 직관타입의배수관용 파이프와 또다른 직관타입의 배수관용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관로를 형성토록 하는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그 재질이 금속재인 강관이나 그 재질이 경질 비닐관등의 합성수지재관등을 불문하고 단부가 직선형태를 갖는 배수관용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주는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파이프 지지몸체 양단부에 배수관용 파이프의 단부를 끼워 넣는 파이프 유입구를 가지며, 파이프 유입구 내측에 파이프를 잡아 고정하는 고정링과 파이프를 압착하는 압착링과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을 가지며, 상기 고정링과 파이프 유입구를 압착하는 클램프등으로 구성하여 파이프 유입구 내측에 끼워진 배수관용 파이프가 파이프 유입구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건물내에서 발생하는 오수나 우수등의 배수를 위한 배수관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것으로, 배수관의 연결시공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연결구조가 견고하여 누수등의 염려가 없는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직관형태의 배수관을 끼워 넣는 파이프 유입구를 갖는 파이프 지지몸체와 파이프 유입구 입구 테두리를 밖으로 벌어진 테이퍼진 형태를 취하며, 파이프 유입구 내측에는 기밀을 보장하는 패킹링이 끼워지며, 그 위로 파이프의 외주면을 잡아 고정하는 압착링과 압착링을 눌러 고정하는 고정링을 가지며, 고정링과 테이퍼진 파이프 유입구 테두리를 서로 압착하는 클램프로 갖도록 구성하여 배수관용 파이프를 단지 파이프지지몸체의 파이프 유입구로 밀어 넣은 후 볼트, 너트로 클램프를 조여줄 때 클램프가 압착되면서 고정링과 압착링이 배수관용 파이프를 눌러 파이프가 지지몸체에 간단히 고정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1 -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2 - 본 고안에 배수관을 결합한 것을 보인 단면도.
도3 - 본 고안에 배수관을 결합하기 직전의 단면도.
도4 - 본 고안의 분해 단면도.
파이프 지지몸체(11) 양단에 파이프 유입구(12)를 가지며, 파이프 유입구(12)의 테두리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벌어진 테이퍼진 테두리(13)를 가지며, 파이프 유입구(12) 내측에는 이에 끼워지는 배수관용 파이프(41)의 단부가 맞닿는 저지테두리(14)를 가지며, 파이프 유입구(12) 내측으로는 패킹링(21)과 경사진 단면을 갖는 원형 압착링(22)과 압착링(22)을 눌러 가압하는 지지테두리(24)를 갖는 고정링(23)을 가지며, 상기 고정링(23)과 파이프 유입구(12)의 테이퍼진 테두리(13)를 일체로 가압 체결하는 클램프(31)를 가지며, 상기 클램프(31)는 볼트(35) 및 너트(36)로 조여 체결하는 좌우체결부(32)를 갖는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파이프 연결구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 지지몸체(11)의 양단에 직선상으로 파이프 유입구(12)를 갖는 직관용 파이프 연결구를 구성할 수 있으며, 파이프 지지몸체(11)에 파이프 유입구(12)를 90도 각도방향으로 형성되는 "L"자형 파이프 연결구 또는 파이프 지지몸체(11)에 파이프 유입구(12)를 3개 형성한 "Y"관용 파이프 연결구 또는 3~5개의 파이프 유입구(12)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파이프 연결구를 조성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좌우 양측에 볼트(35) 및 너트(36)로 체결 고정하는 체결부(32)를 갖는 클램프(31)는 그 단면이 "["형상을 가지며, 그 내측으로 고정링(23)의 경사진 표면(23')과 파이프 유입구(12)의 테이퍼진 테두리(13)를 가압하여 파이프 지지몸체(11)에 배수관용 파이프(41)를 연결 고정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작용을 설치과정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이프 지지몸체(11)의 양단부인 파이프 유입구(12) 내측에 패킹링(21)과 단면이 경사진 원형 압착링(22) 및 고정링(23)을 차례로 적층한 것위에 단면이 "["형상의 클램프(31)를 조립 설치하고 배수관용 파이프(41)를 파이프 유입구(12) 안쪽으로 밀어 넣되 배수관용 파이프(41) 단부가 저지테두리(14)에 맞닿토록 밀어넣게 되면 배수관용 파이프(41) 단부외측에는 패킹링(21)과 압착링(22)과 고정링(23)이 끼워지게 클램프(31) 양단의 좌우체결부(32)를 볼트(35) 및 너트(36)로 체결하여 클램프(31)를 조여줄 때 조여드는 클램프(31)는 고정링(23)과 파이프 유입구(12) 테두리인 테이퍼진 테두리(13)를 서로 가압하여 고정하게 되며, 클램프(31)를 조여 가압하는 고정링(23)은 고정링(23) 내측에 끼워 고정하는 경사진 단면을 갖는 압착링(22)을 누르게 되며, 압착링(22)은 조여지면서 그 가운데 끼워진 배수관용 파이프(41) 단부를 가압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파이프 유입구(12)를 통해 파이프 지지몸체(11) 내측으로 유입된 배수관용 파이프(41) 단부는 클램프(31)의 조임으로 인해 고정링(23)이 압착링(22)을 압착하고 압착링(22) 및 고정링(23)에 의해 배수관용 파이프(41)단부는 파이프 지지몸체(11)와 고정되며, 패킹링(21)에 의해 기밀이 보장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클램프(31)와 고정링(23), 압착링(22), 파이프 지지몸체(11)는 그 재질이 금속재이며, 패킹링(21)은 고무재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배수관용 파이프(41)는 그 재질이 경질비닐재등의 합성수지재관일 경우에 있어서는 압착링(22)이 배수관용 파이프(41) 외주면을 파고 들어가 배수관용 파이프(41)를 가압 고정하게 되며, 배수관용 파이프(41)의 재질이 강관등의 금속재관에 있어서는 압착링(22)이 외주면을 강하게 압착하게 된다.
압착링(22)은 단면이 경사진 원형으로 고정링(23)이 클램프(31)의 조임으로 인해 압착될 때 고정링(23)이 압착링(22)을 압착하여 경사진 단면을 눌려 펼치거나 압착링(22)을 패킹링(21) 방향으로 가압하여 그 내측에 끼워진 배수관용 파이프(41)를 가압함으로 인해 파이프 유입구(12) 내측에 끼워진 배수관용 파이프(41)를 파이프 지지몸체(11)와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압착링(22) 및 고정링(23)을 가압하는 클래프(31)는 단면이 "["형상을 갖는 원형으로 볼트(35) 및 너트(36)를 체결하는 좌우체결부(32)를 가지며, 볼트(35) 및 너트(36)를 조여 체결할 때 클램프(31)가 조여들어 배수관용 파이프(41)와 파이프 지지몸체(11)가 일체로 고정되어지게 되며, 고정된 배수관용 파이프(41)는 압착링(22)에 의해 가압 체결됨으로 인해 클램프(31)를 벗겨내기까지 이탈의 염려가 없게 된다. 본 고안의 도면에 있어서는 배수관용 파이프와 또다른 배수관용 파이프가 직선상으로 연결되도록 파이프 지지몸체(11) 양단부에 직선상으로 파이프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파이프 지지몸체(11) 양측의 파이프 유입구(12)가 90도 ~ 150도 유지하는 "L"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파이프 지지몸체(11)에 파이프 유입구(12)가 3개를 갖는 "Y"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파이프 지지몸체(11)에 파이프 유입구(12)가 4개 또는 그 이상의 다수개를 갖도록 본 고안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하나인 파이프 지지몸체(11)의 양단에 형성되는 파이프 유입구(12)의 직경을 서로 달리 구성할 때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배수관용 파이프를 연결 가능하게 된다.
건물의 배수관 공사에 있어서 정확한 시공으로 인한 누수방지는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며, 작업자는 배수관 공사를 간단하며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을 요구하게 된다.
본 고안은 배수관과 배수관을 하나의 관로로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구조가 견고하여 완벽한 누수방지를 꾀하며, 작업자가 간단한 수공구만으로도 공사를 할 수 있는 간단한 연결구조를 갖는 것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배수관용 파이프의 단면을 정확하게 절단하고 이를 파이프 유입구를 통해 파이프 지지몸체 내측으로 밀어 넣은 후 볼트, 너트를 이용하여 클램프를 조여 체결할 때 클램프가 고정링 및 압착 가압할 때 파이프 유입구를 통해 끼워진 배수관용 파이프는 파이프 지지몸체에 간단히 체결고정됨으로 인해 간단히 파이프 연결작업이 가능하여 파이프 지지몸체에 연결 고정된 배수관용 파이프는 패킹링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며, 압착링 및 고정링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 누수의 염려가 없는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파이프 지지몸체(11) 양단에 파이프 유입구(12)를 가지며, 파이프 유입구(12)의 테두리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벌어진 테이퍼진 테두리(13)를 가지며, 파이프 유입구(12) 내측에는 이에 끼워지는 배수관용 파이프(41)의 단부가 맞닿는 저지테두리(14)를 가지며, 파이프 유입구(12) 내측으로는 패킹링(21)과 경사진 단면을 갖는 원형 압착링(22)과 압착링(22)을 눌러 가압하는 지지테두리(24)를 갖는 고정링(23)을 가지며, 상기 고정링(23)과 파이프 유입구(12)의 테이퍼진 테두리(13)를 일체로 가압 체결하는 클램프(31)를 가지며, 상기 클램프(31)는 볼트(35) 및 너트(36)로 조여 체결하는 좌우체결부(3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 지지몸체(11)에 형성되는 파이프 유입구(12)는 90도 각도방향으로 형성되는 "L"자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 지지몸체(11)에 형성되는 파이프 유입구(12)는 3~5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 지지몸체(11)에 양단에 형성되는 파이프 유입구(12)는 그 내경을 서로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5. 제1항에 있어서, 클램프(31)는 그 단면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KR2020020023504U 2002-08-06 2002-08-06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KR2002960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504U KR200296078Y1 (ko) 2002-08-06 2002-08-06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504U KR200296078Y1 (ko) 2002-08-06 2002-08-06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078Y1 true KR200296078Y1 (ko) 2002-11-23

Family

ID=7307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504U KR200296078Y1 (ko) 2002-08-06 2002-08-06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0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777B1 (ko) * 2015-10-02 2017-03-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내구성이 향상된 연료레일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777B1 (ko) * 2015-10-02 2017-03-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내구성이 향상된 연료레일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3124B2 (en) Pipe junction with seal pressing device
US7490866B2 (en) Anchoring device for pipe coupling
JP4094609B2 (ja) 管継手
JPS6124593B2 (ko)
KR100883800B1 (ko)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JP2009057714A (ja) マンホールと下水道本管との接続構造
KR200296078Y1 (ko)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JP3822021B2 (ja) 管継手の連結方法及び管継手構造
KR100777788B1 (ko) 상수도용 이탈 압륜 고무링
US20230160504A1 (en) Integrated Joining System in Tubular Fluid Distribution Elements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0540783B1 (ko) 배관용 연결구
KR200216805Y1 (ko) 상·하수관 연결구조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KR20020016231A (ko) 상·하수관 연결구조
JPH11108267A (ja) 管継手
KR200280038Y1 (ko) 편수관의 관이음구
KR100684917B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JP2702069B2 (ja) 銅管などの可塑性管の接手装置
KR200331506Y1 (ko) 배관용 연결구
KR200318467Y1 (ko) 밸브 연결플랜지
KR200165066Y1 (ko) 관연결구용패킹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