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770B1 -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770B1
KR102114770B1 KR1020200044679A KR20200044679A KR102114770B1 KR 102114770 B1 KR102114770 B1 KR 102114770B1 KR 1020200044679 A KR1020200044679 A KR 1020200044679A KR 20200044679 A KR20200044679 A KR 20200044679A KR 102114770 B1 KR102114770 B1 KR 102114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ete
fixed
distribution line
support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대한기술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기술단(주) filed Critical 대한기술단(주)
Priority to KR102020004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완철의 위치변경이 손쉬우면서도 완철의 내구성이 보완되도록 하는 한편, 유지보수를 위한 완철본체의 회전시, 받침장치와 완철본체 간의 분리,결합이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받침장치에 의한 완철본체의 회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면서 작업 완료 후에는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ARM SYSTEM OF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완철의 위치변경이 손쉬우면서도 완철의 내구성이 보완되도록 하는 한편, 유지보수를 위한 완철본체의 회전시, 받침장치와 완철본체 간의 분리,결합이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받침장치에 의한 완철본체의 회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면서 작업 완료 후에는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철탑은 배전선로 등의 각종 전선을 지상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 공중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써, 강관전주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완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T)에 고정되어 애자(I)를 매개로 배전선로(C)를 지지한다.
일반적으로 완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본체(200')를 포함하고, 철탑(T')과 '十'가 형상으로 교차하도록 철탑(T)의 상부에서 'U'자형 완철밴드(B) 등을 통해 고정되며, 완철본체(200')의 설치 후 배전선로(C)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완철본체(200')에 애자(I)가 고정된다.
배전선로(C)은 통상 도로가에서 도로와 평행하게 설치되므로, 완철본체(200')의 일단은 인도측으로 향하고 타단은 도로측을 향하게 된다.
이때, 도로측으로 향하는 완철본체(200')의 타단은 도로의 상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로의 상방에 배치된 완철본체(200')에 애자(I)를 고정하고, 고정된 애자(I)에 배전선로(C)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작업시 철탑(T')에 승주하여 도로의 상방에서 작업해야한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직접 승주하여 도로측에서 작업하다가, 작업 중 부주의로 인해 도로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단순 추락사고뿐만 아니라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에 치이는 교통사고를 동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15986호(2009.09.10.)에는 '송전선용 특고압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철탑고정식 완철은 유지보수를 위한 완철본체의 회전시, 받침장치와 완철본체 간의 분리,결합이 쉽지 않은 것은 물론, 분리 후에는 받침장치에 의한 완철본체의 회전이 방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받침대에 의해 작업방해가 없도록 별도의 벨트나 끈 등으로 받침대를 철탑에 묶어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15986호(2009.09.10.) '송전선용 특고압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완철의 위치변경이 손쉬우면서도 완철의 내구성이 보완되도록 하는 한편, 유지보수를 위한 완철본체의 회전시, 받침장치와 완철본체 간의 분리,결합이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받침장치에 의한 완철본체의 회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면서 작업 완료 후에는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제1안착홈(110)과, 제1안착홈(110)의 외측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형성되고 제1체결구멍(121)이 다수개 형성된 제1고정돌기(120)를 구비하고서, 철탑(T)에 끼움고정되는 관 형상의 제1지지대(100); 둘레면에 상호 대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애자(I)를 매개로 배전선로(C)이 고정되는 한 쌍의 설치대(210)와, 설치대(210)와 이격되어 외부로 돌출되고 제2체결구멍(221)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대(220)를 구비하고서, 철탑(T)에 끼움고정되며, 제1지지대(100)의 제1안착홈(110)에 설치되는 제1베어링(b1)을 매개로 제1지지대(100)에 회전가능하게 얹혀져는 관 형상의 완철본체(200); 관 형상으로,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제2안착홈(310)과, 제2안착홈(310)의 외측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형성되고 제3체결구멍(321)이 다수개 형성된 제2고정돌기(320)를 구비하고서, 철탑(T)에 끼움고정되며, 제2안착홈(310)에 설치되어 완철본체(200)의 상부에 맞닿는 제2베어링(b2)을 매개로, 완철본체(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 형상의 제2지지대(300); 제2지지대(300)의 제2고정돌기(320)의 제3체결구멍(321)과 완철본체(200)의 고정대(220)의 제2체결구멍(221) 및 제1지지대(100)의 제1고정돌기(120)의 제1체결구멍(12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완철본체(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고정장치(400); 및 제1지지대(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철탑(T)의 둘레면을 감싸 고정되는 밴드부(510)와, 하단은 밴드부(510)에 고정되고, 상단은 완철본체(200)의 설치대(210)에 고정되어, 설치대(210)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520)를 갖춘 받침장치(500)로 구성되는 배전선로의 고장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에 있어서, 유지보수를 위한 완철본체(200)의 회전시, 받침장치(520)와 완철본체(200) 간의 분리,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부(600)를 더 포함하며, 받침대(520)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하부대(521,522)로 분기되고, 탈착부(600)는, 하부가 고정축(610)에 의해 하부대(52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탈착수단(620); 상부대(521)에 구비되는 잠금바(630); 및 탈착수단(620)의 상부를 잠금바(630)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재(640)를 포함하며, 고정축(610)은, 양단부가 하부대(522)의 상부 전,후면을 관통하고, 잠금바(630)는, 양단부가 상부대(521)의 하부 전,후면을 관통하며, 탈착수단(620)은, 하부에 돌기(622)가 형성되어 고정축(610)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잠금바(630)로 결합되는 후크(623)가 형성되는 한 쌍의 탈착판(621); 및 한 쌍의 탈착판(621)을 연결하는 연결판(6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고장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경우 완철본체를 회전시켜 위치변경을 손쉽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성 향상과 함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완철본체의 내구성 하락을 보완하여 장기간 애자 및 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지보수를 위한 완철본체의 회전시, 받침장치와 완철본체 간의 분리,결합이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완철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에서 탈착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탈착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탈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탈착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11은 도 8에서 탈착부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이하 "완철시스템"이라 한다)는 제1지지대(100), 완철본체(200), 제2지지대(300), 고정장치(400) 및 받침장치(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완철시스템이 설치되는 철탑(T)은 원 기둥 형상의 강관전주로써, 상부가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져 뾰족해지는 형상을 취한다.
상기 제1지지대(100)는 원형관체로서, 둘레면을 따라 회전수단인 제1베어링(b1)이 설치되는 링 형상의 제1안착홈(110)이 형성되고, 제1안착홈(110)의 상부 외측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형성된 제1고정돌기(120)를 구비하고서, 철탑(T)의 상부에 끼움고정된다.
상기 제1고정돌기(120)는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1체결구멍(1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대(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하중, 완철본체(200) 및 제1베어링(b1)의 하중에 의해 철탑(T)에 고정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제1지지대(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제1안착홈(110)의 하측으로 관체를 연장시키고, 제2지지대(300)의 상부연장부(330)처럼 연장된 부분에 볼트구멍을 형성하여 볼트를 통해 조여서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완철본체(200)는 원형관체로서, 둘레면에 상호 대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애자(I)를 매개로 배전선로(C)가 고정되는 한 쌍의 설치대(210)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완철본체(200)의 둘레면에는 설치대(210)와 이격되고 제2체결구멍(221)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대(220)가 둘레면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완철본체(200)는 철탑(T)에 끼워지고, 제1지지대(100)에 설치된 제1베어링(b1)에 얹혀져서, 철탑(T)의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지지대(300)는 원형관체로서, 둘레면을 따라 제2베어링(b2)이 설치되는 링 형상의 제2안착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대(300)는, 제2안착홈(310)에 설치되고 완철본체(200)에 얹혀져서 완철본체(200)를 철탑(T)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베어링(b2)을 매개로 완철본체(2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철탑(T)에 끼움고정된다.
상기 제2지지대(300)는 제2안착홈(310)의 하부 외측면을 따라 외부로 제1고정돌기(120)가 돌출형성되고, 제1고정돌기(1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3체결구멍(32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대(300)는 제2안착홈(310)의 상방으로 연장된 상부연장부(330)가 형성되고, 상부연장부(330)의 내측으로 나사산이 구비된 볼트구멍(33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연장부(330)의 볼트구멍(331)에 볼트(b)가 체결되어, 볼트(b)가 조여지면서, 철탑(T)에 제2지지대(300)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장치(400)는 제2지지대(300)의 제2고정돌기(320)의 제3체결구멍(321)과 완철본체(200)의 고정대(220)의 제2체결구멍(221) 및 제1지지대(100)의 제1고정돌기(120)의 제1체결구멍(12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완철본체(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고정볼트(410)와, 고정볼트(410)를 고정하는 고정너트(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장치(500)는 완철본체(200)의 설치대(210)의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밴드부(510)와 받침대(520)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부(5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T)의 양측에서 고정하는 방식도 적용 가능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철탑(T)의 둘레면을 감싸 일측에서만 고정할 수 있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520)는 사선의 바 형상으로서, 하단은 밴드부(510)측으로 구부러져 밴드부(510)에 고정되고, 상단은 설치대(210)측으로 구부러져, 설치대(210)의 하면을 받쳐 지지한다.
이하, 도 1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철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탑(T)의 상부에 제1지지대(100), 완철본체(200), 제2지지대(300), 고정장치(400) 및 받침장치(500)를 설치한다.
유지보수 등 작업시, 장애물 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완철본체(200)의 회전이 요구되는 경우, 받침장치(500)의 받침대(520)를 완철본체(200)의 설치대(210)와 분리하고, 받침대(520)에 의해 작업방해가 없도록, 별도의 벨트나 끈 등으로 받침대(520)를 철탑(T)에 묶어 고정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이 편리한 방향으로 상기 완철본체(200)를 회전시킨 뒤, 상기 고정장치(400)의 고정볼트(410)를 제1지지대(100)의 제1고정돌기(120)의 제1체결구멍(121), 완철본체(200)의 고정대(220)의 제2체결구멍(221) 및 제2지지대(300)의 제2고정돌기(320)의 제3체결구멍(321)에 순차적으로 관통시킨 후 고정너트(420)로 고정볼트(410)를 고정하여, 완철본체(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1지지대(100) 및 제2지지대(300)에 완철본체(200)를 고정한다.
상기 배전선로(C)는 온도 등에 의해 배전선로(C)가 팽창되거나 수축된 상태를 대비하기 위해, '딥'이라 불리는 여유분을 일정길이 두게 되므로 완철본체(200)가 일정각도로 회전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애자(I) 또는 배전선로(C) 등의 보수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완철본체(200)의 고정을 해제한 뒤, 배전선로(C)의 진행방향으로 완철본체(300)를 회전시켜 원위치시킨 뒤, 고정장치(400)로 재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철탑(T)에 고정된 받침대(520)를 풀어, 완철본체(200)의 설치대(210)에 받침대(520)를 고정하여 작업을 완료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완철시스템은 상기 완철본체(200)가 제1베어링(b1) 및 제2베어링(b2)을 통해 손쉽게 회전되어, 장애물을 제거하지 않고서도, 장애물을 피해 완철본체(200)를 회전시켜 작업하면 되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도로의 상방에서 작업하는 경우 역시, 완철본체(200)를 회전시켜 인도측에서 작업하면 되므로 작업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장치(400)로 완철본체(200)의 회전을 손쉽게 저지할 수 있으므로 완철본체(200)의 고정이 편리하다.
또한, 상기 받침장치(500)가 설치대(210)를 받쳐 고정하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완철본체(200)의 내구성 하락을 보완하여, 장기간 애자(I) 및 배전선로(C)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철시스템은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보수를 위한 완철본체(200)의 회전시, 받침장치(520)와 완철본체(200) 간의 분리,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부(600)를 더 포함한다.
탈착부(600)는 유지보수를 위해 완철본체(200)를 회전시키는 경우, 받침장치(520)를 완철본체(200)와 분리하는 한편, 받침대(521)에 의한 회전 방해가 없도록 별도로 벨트나 끈 등으로 철탑(T)에 묶어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받침대(520)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하부대(521,522)로 분기된다.
상부대(521)는 상단이 완철본체(200)에 고정되면서 하단이 하부대(522)와 이격된다.
하부대(522)는 하단이 밴드부(510)에 고정되면서 상단이 상부대(521)와 이격된다.
탈착부(600)는 하부가 고정축(610)에 의해 하부대(52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탈착수단(620), 상부대(521)에 구비되는 잠금바(630) 및 탈착수단(620)의 상부를 잠금바(630)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재(640)를 포함한다.
고정축(610)은 양단부가 하부대(522)의 상부 전,후면을 관통하면서 하부대(522)의 전,후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잠금바(630)는 양단부가 상부대(521)의 하부 전,후면을 관통하면서 상부대(521)의 전,후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탈착수단(620)은 하부에 돌기(622)가 형성되어 고정축(610)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잠금바(630)로 결합되는 후크(623)가 형성되는 한 쌍의 탈착판(621) 및 한 쌍의 탈착판(621)을 연결하는 연결판(624)을 포함한다.
탈착판(621)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하부대(522)의 상부 전,후면에 배치된다.
연결판(624)은 한 쌍의 탈착판(621)을 일체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탈착수단(620)은 종단면이 'ㄷ'자 형태를 이룬다.
돌기(622)는 체결공(622a)이 형성되어 고정축(610)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후크(623)는 일단부로부터 중앙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홀(623a)이 형성되면서 잠금바(630)의 외측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탈착수단(620)은 고정축(610)을 중심으로 상부가 회전되면서 후크(623)가 잠금바(630)로 결합되거나, 잠금바(6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잠금바(630)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속부재(64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잠금바(630)로 나사결합된다.
결속부재(640)는 후크(623)가 잠금바(630)로 결합된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따라 후크(623)로 밀착되면서 탈착수단(620)을 결속한다.
이에 따라, 탈착수단(620)은 결속부재(640)의 결속에 따라 고정되면서 상,하부대(521,522)가 연결되도록 하는 한편, 받침장치(520)와 완철본체(200) 간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결속부재(640)는 풀림 회전에 따라 후크(623)로부터 밀착해제되면서 탈착수단(620)을 결속해제한다.
이에 따라, 탈착수단(620)은 결속부재(640)의 결속해제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하부대(521,522)가 이격되도록 하는 한편, 받침장치(520)와 완철본체(200) 간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탈착수단(620)은 연결판(624)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부대(521)와 접하는 스토퍼(6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625)는 탈착수단(620)의 회전시, 상부대(521)에 접하면서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한편, 외력에 의한 흔들림 등이 방지되도록 한다.
탈착부(600)는 잠금바(63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캡(650)을 더 포함한다. 이탈방지캡(650)은 잠금바(63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캡(650)은 잠금바(630)의 양단부로 결합되면서 잠금바(630)로부터 잠금부재(64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유지보수를 위한 완철본체(200)의 회전시, 받침장치(520)와 완철본체(200) 간의 분리,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제1지지대 110: 제1안착홈
120: 제1고정돌기 200: 완철본체
210: 설치대 220: 고정대
300: 제2지지대 310: 제2안착홈
320: 제2고정돌기 330: 상부연장부
400: 고정장치 410: 고정볼트
420: 고정너트 500: 받침장치
510: 밴드부 520: 받침대
600: 탈착부 610: 고정축
620: 탈착수단 630: 잠금바
640: 결속부재 650: 이탈방지캡

Claims (1)

  1. 철탑에 끼움고정되는 관 형상의 제1,2지지대; 제1,2지지대 간에 위치되도록 철탑에 끼움고정되며, 제1,2베어링을 매개로 상,하부가 제1,2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접하는 관 형상의 완철본체; 및 제1지지대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철탑의 둘레면을 감싸 고정되는 밴드부와, 하단은 밴드부에 고정되고 상단은 완철본체에 고정되면서 설치대를 지지하는 받침대로 이루어지는 받침장치로 구성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에 있어서,
    유지보수를 위한 완철본체의 회전시, 받침장치와 완철본체 간의 분리,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하며,
    받침대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하부대로 분기되고,
    탈착부는 하부가 고정축에 의해 하부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탈착수단;
    상부대에 구비되는 잠금바; 및 탈착수단의 상부를 잠금바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며,
    고정축은 양단부가 하부대의 상부 전,후면을 관통하고,
    잠금바는 양단부가 상부대의 하부 전,후면을 관통하며,
    탈착수단은 하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고정축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잠금바로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되는 한 쌍의 탈착판; 및
    한 쌍의 탈착판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고장장치를 갖춘 가공 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
KR1020200044679A 2020-04-13 2020-04-13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 KR102114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679A KR102114770B1 (ko) 2020-04-13 2020-04-13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679A KR102114770B1 (ko) 2020-04-13 2020-04-13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770B1 true KR102114770B1 (ko) 2020-06-05

Family

ID=7108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679A KR102114770B1 (ko) 2020-04-13 2020-04-13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7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986B1 (ko) 2009-04-08 2009-09-10 (주)선운 이앤지 송전선용 특고압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986B1 (ko) 2009-04-08 2009-09-10 (주)선운 이앤지 송전선용 특고압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3035B1 (en) Sign supporting system
KR101916333B1 (ko) 변전설비의 낙뢰 방지시스템
CA2236653C (en) Device for detachable fastening of an auxiliary wheel to a wheel of a vehicle
US3387866A (en) Luminaire
US20150197259A1 (en) Air Hose Hanger for a Rail Way Vehicle
US9365220B2 (en) Air hose hanger for a rail way vehicle
KR102114770B1 (ko) 가공배전선로의 완철시스템
US8960707B2 (en) Pivoting tow hook
KR20100097919A (ko) 간이용 전선 풀림장치
KR100915986B1 (ko) 송전선용 특고압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CN110994528A (zh) 一种电缆安装用放线安装座
JPS5819937Y2 (ja) 曲線引用金具
KR100904061B1 (ko) 송전선 고정애자형 접속대
US3532383A (en) Wheel adapters
KR101986085B1 (ko) 배전선로의 고정장치를 갖춘 철탑용 완철장치
US2262356A (en) Fire hydrant, street light standard, and similar structures
KR100914720B1 (ko) 현수식 도로명판의 처짐 방지장치
US2232576A (en) Brake beam safety device
KR20170006025A (ko) 통신케이블 가설장치
JP3038653B2 (ja) ケーブル直載せ型支持具
CN204327673U (zh) 带式紧固装置
US9004522B1 (en) Pivoting tow hook
CN218633120U (zh) 一种汽车线束用卡箍支架
JP3679756B2 (ja) シンブルの電柱取付け装置
JPS6420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