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043B1 -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 - Google Patents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043B1
KR101984043B1 KR1020180112918A KR20180112918A KR101984043B1 KR 101984043 B1 KR101984043 B1 KR 101984043B1 KR 1020180112918 A KR1020180112918 A KR 1020180112918A KR 20180112918 A KR20180112918 A KR 20180112918A KR 101984043 B1 KR101984043 B1 KR 101984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pe body
reinforcement
flat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휴먼이엔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먼이엔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먼이엔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본 발명의 강관 거더는 원통 형태의 강관 바디와, 상기 강관 바디의 내면 상측에 장착되어 강관 바디의 상부를 보강하는 상부 보강부와, 상기 강관 바디의 내면 하측에 장착되어 강관 바디의 하부를 보강하는 하부 보강부와, 상기 상부 보강부와 하부 보강부 사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부 보강부와 하부 보강부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강관 바디에 보강부를 설치하기 쉽고 편리하다.

Description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STEEL PIPE GIRDER FOR BRIDGE}
본 발명은 굽힘 강성을 강화하여 강관 거더의 처침을 방지하고, 강관 거더의 수축 및 이완시 이를 보상하여 강관 거더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에 관한 것이다.
교량용 강관 거더는 교량 상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종래의 강관 거더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725686(2017년 04월 05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단면 형상으로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상부 충진부 및 하부 충진부와, 좌우측에 배치되고 상부 충진부 및 하부 충진부와 볼트 체결되어 원형의 강관을 이루는 제1사이드관 및 제2사이드관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강관 거더는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상부 충진부 및 하부 충진부가 구비되어 강관의 굽힘 강성을 강화할 수 있지만, 상부 충진부 및 하부 충진부를 별도로 제작한 후 제1사이드관 및 제2사이드관과 볼트 체결하여 조립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교량 받침은 등록특허공보 10-1117302(2012년 02월 09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교량 받침이 설치되고, 교량 받침에는 부반력장치가 구비되고 부반력장치는 가이드 슬릿과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수평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 받침은 가이드 슬릿에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조이므로 반복되는 이동에 의해 마찰에 의해 마모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교량 받침의 수명이 짧고 교량 받침이 마모에 의해 정밀한 받침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교량에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한국 등록특허공보 10-1725686(2017년 04월 05일) 특허문헌 2:등록특허공보 10-1117302(2012년 02월 09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관 바디에 보강부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설치작업이 쉽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관 바디의 길이방향 수축 및 이완시 원봉부재의 구름 운동에 의해 수평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강관 바디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받침 유닛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교량용 보강용 강관 거더는 원통 형태의 강관 바디와, 상기 강관 바디의 내면 상측에 장착되어 강관 바디의 상부를 보강하는 상부 보강부와, 상기 강관 바디의 내면 하측에 장착되어 강관 바디의 하부를 보강하는 하부 보강부와, 상기 상부 보강부와 하부 보강부 사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부 보강부와 하부 보강부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보강부는 강관 바디의 내면 상측에 고정되는 곡면 형태의 상부 보강판이고, 상기 하부 보강부는 강관 바디의 내면 하측에 고정되는 곡면 형태의 하부 보강판이고, 상기 상부 보강부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슬라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강부는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슬라이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평판 형태이고, 상면이 상기 제1슬라이드 홈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고, 하면이 상기 제2슬라이드 홈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강부는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강부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리브가 설치되어 상부 보강부의 수직하중을 보강하고, 상기 상부 보강부의 하면에는 지지판의 상단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제1슬라이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보강부는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강관의 중앙에 수직으로 지지리브가 설치되어 수직하중을 보강하고, 하부 보강관의 하면에는 지지판의 하단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제2슬라이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관 바디의 하면에 장착되어 강관 바디의 길이방향 수축 및 이완시 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강관 바디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신축 받침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 받침유닛은 강관 거더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1평판부재와, 교각에 고정되는 제2평판부재와, 상기 제1평판부재와 제2평판부재 사이에 구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원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평판부재는 하면에 제1레일로드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평판부재의 상면에는 제2레일로드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원봉부재의 중앙에는 원주방향으로 제1레일로드 및 제2레일로드가 삽입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원봉부재의 회전운동시 이탈을 방지하는 강관 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평판부재의 전방 및 후방에는 전방 이탈방지부재 및 후방 이탈 방지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원봉부재가 전후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강관 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봉부재의 양쪽 측면에는 원봉부재가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바가 고정되고, 상기 이탈 방지바의 상단은 제1평판부재의 양쪽 측면에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1걸림홈에 걸림되고, 상기 이탈 방지바의 하단은 제2평판부재의 양쪽 측면에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걸림홈에 걸림되는 강관 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평판부재의 전방 및 후방에는 원봉부재가 전후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 이탈방지부재 및 후방 이탈 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강관 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관 거더는 강관 바디의 내면 상측에 상부 보강부가 설치되고, 강관 바디의 하부 내면에 하부 보강부가 설치되며, 상부 보강부와 하부 보강부 사이에 지지판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설치가 쉽고 편리하다.
또한, 강관 바디의 하부에 신축 받침유닛이 구비되어 강관 바디의 길이방향 수축 및 이완시 원봉부재의 구름 운동에 의해 수평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강관 바디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받침 유닛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거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거더에 보강부가 설치되는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에 보강부가 설치되는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에 보강부가 설치되는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에 보강부가 설치되는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 거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 거더에 콘트리트가 주입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축 받침유닛이 구비된 강관 거더의 측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축 받침유닛이 구비된 강관 거더의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축 받침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은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축 받침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축 받침유닛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관 거더의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강관 더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의 강관 바디(12)와, 강관 바디(12)의 내면에 설치되어 강관의 처짐을 방지하는 보강부(14,16)를 포함한다.
보강부(14,16)는 강관 바디(12)의 내면 상측에 장착되어 강관 바디(12)의 상부를 보강하는 상부 보강부(14)와, 강관 바디(12)의 내면 하측에 장착되어 강관 바디(12)의 하부를 보강하는 하부 보강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보강부(14)와 하부 보강부(16)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어 상부 보강부(14)와 하부 보강부(16)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판(18)이 설치된다.
상부 보강부(14)는 호 형태이고 일정 두께를 갖는 상부 보강판으로 형성되어 강관 바디의 상부의 강도를 보강하고, 하부 보강부(16)는 호 형태이고 일정 두께를 갖는 상부 보강판으로 형성되어 강관 바디의 하부의 강도를 보강한다.
상부 보강부(14)의 하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판(18)의 상단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제1슬라이드 홈부(32)가 형성되고, 하부 보강부(16)의 상면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판(18)의 하단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제2슬라이드 홈부(34)가 형성된다.
지지판(18)은 수직으로 세워지게 배치되는 평판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제1슬라이드 홈부(32)에 삽입되고 하단은 제2슬라이드 홈부(34)에 삽입되어 상부 보강부(14)와 하부 보강부(16) 사이에 끼움 조립된다.
상부 보강부(14)와 하부 보강부(16) 사이를 지지판(18)으로 연결하면 강관 바디(12)의 내부가 수직방향으로 지지되어 강관 바디(12)의 굽힘 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상부 보강부(14)와 하부 보강부(16) 사이에 지지판이 용접에 의해 고정될 경우 강관 바디 내부가 지지판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되어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용접을 실시하기 어렵고 상부 보강부와 하부 보강부 사이에 지지판을 고정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되므로 작업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보강부(14)를 강관 바디(12)의 내면 상측에 용접하여 고정하고, 하부 보강부(16)를 강관 바디(12)의 내면 하측에 용접하여 고정한 후 지지판(18)을 상부 보강판(14)과 하부 보강판(16) 사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설치가 쉽고 간편하다.
그리고 지지판(18)은 제1슬라이드 홈부(32)와 제2슬라이드 홈부(34) 사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후 그 끝부분을 용접 또는 스톱퍼를 형성하여 제1슬라이드 홈부(32)와 제2슬라이드 홈부(3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부(14,16)는 강관 바디(12)의 집중 하중이 발생되는 구간에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 거더(12)의 양쪽 끝부분만 지지되는 구조일 경우 보강부(14,16)는 강관 거더(12)의 중앙부분에만 설치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 거더(12)가 3점 지지되는 경우 보강부(14,16)는 강관 거더(12)의 중앙부분과, 중앙부분과 양쪽 가장자리 사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14,16)는 강관 거더의 지지 형태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 거더(12)의 양쪽 끝부분에 보강부(14,16)가 설치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 거더(12)의 중앙부분 및 양쪽 끝부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14,16)는 강관 거더(12)의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설치하여 강관 거더의 전체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 더거(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 바디(12)의 내면 상측에 장착되고 콘크리트(60)가 충진되는 상부 보강부(52)와, 강관 바디(12)의 내면 하측에 장착되고 콘크리트(60)가 충진되는 하부 보강부(54)와, 상부 보강부(52)와 하부 보강부(54) 사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부 보강부(52)와 하부 보강부(54)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판(56)을 포함한다.
상부 보강부(52)는 콘크리트(60)가 채워지는 공간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강관 바디(12)의 내면 상측에 부착되도록 호 형태로 형성되는 상면부(52a)와, 상면부(52a)의 양단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면부(52b)와, 측면부(52b)의 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하면부(52c)를 포함한다.
상부 보강부(52)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리브(62)가 설치되어 상부 보강부(52)의 수직하중을 보강한다. 그리고, 상부 보강부(52)의 하면에는 지지판(56)의 상단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제1슬라이드 홈부(64)가 형성된다.
하부 보강부(54)는 콘크리트(60)가 채워지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상부 보강부(52)와 동일한 구조이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하부 보강부(54)의 상면에는 지지판(56)의 하단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제2슬라이드 홈부(6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 거더(40)는 상부 보강부(52) 및 하부 보강부(54)에 콘크리트(60)가 채워지게 형성되어 굽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60)의 충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 바디(12)의 상부에 콘크리트 주입구(42)가 형성되고 콘크리트 주입구(42)는 상부 보강부(52)을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부 보강부(52) 내부로 콘크리트가 주입되고 상부 보강부(52)와 하부 보강부(54) 사이에는 상부 보강부(52)으로 주입되는 콘트리트(60)가 하부 보강부(54)로 공급되도록 하는 주입통로(44)가 연결될 수 있다.
강관 거더(10)의 하부에는 교각(100)에 배치되어 강관 거더(10)의 길이방향 수축 및 이완시 이를 보상하여 강관 거더(10)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신축 받침유닛(20)이 구비된다.
강관 거더(10)는 원형 형태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강관 거더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강관 거더(150)가 적용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강관 거더(160)가 적용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강관 거더(170)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관 거더의 형태는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강관 거더의 내부에는 강관 거더를 보강하도록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상부 보강부, 하부 보강부 및 지지판이 설치될 수 있다.
신축 받침유닛(20)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 바디(12)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1평판부재(22)와, 교각에 고정되는 제2평판부재(24)와, 제1평판부재(22)와 제2평판부재(24) 사이에 구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평판부재(22)가 수평 이동될 때 구름 운동되는 원봉부재(26)를 포함한다.
제1평판부재(22)는 하면에 제1레일로드(7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평판부재(24)의 상면에는 제2레일로드(74)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원봉부재(26)의 중앙에는 원주방향으로 제1레일로드(72) 및 제2레일로드(74)가 삽입되는 레일홈(7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원봉부재(26)의 레일홈(76)에 제1평판부재(22) 및 제2평판부재(24)의 제1레일로드(72) 및 제2레일로드(74)가 삽입되어 원봉부재(26)가 직선방향으로 구름운동 가능하게 가이드한다.
그리고, 제2평판부재(24)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전방 이탈방지부재(82) 및 후방 이탈 방지부재(84)가 설치되어 원봉부재(26)가 전후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원봉부재(26)의 양쪽 측면에는 원봉부재(26)가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바(86)가 장착되고, 이탈 방지바(86,88)의 양쪽 끝부분은 원봉부재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탈 방지바(86,88)의 상단은 제1평판부재(22)의 양쪽 측면에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1걸림홈(92)에 걸림되고, 이탈 방지바(86,88)의 하단은 제2평판부재(24)의 양쪽 측면에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걸림홈(94)에 걸림된다.
이와 같이, 이탈 방지바(86)의 양단이 제1평판부재(22)의 제1걸림홈(92) 및 제2평판부재(24)의 제2걸림홈(94)에 각각 삽입되어 원봉부재(26)의 구름 운동시 양쪽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봉부재(26)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받침유닛의 작용을 살펴보면, 강관바디(12)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온도에 따라 수축 및 이완된다. 즉, 동절기에는 수축이 이루어지고, 하절기에는 이완이 이루어진다.
신축 받침유닛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 바디(12)의 수축 및 이완시 제1평판부재(22)와 제2평판부재(24) 사이에 원봉부재(26)가 구름 운동되면서 강관 바디(12)의 수축 및 이완을 상쇄하여 강관 바디(12)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신축 받침유닛의 측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신축 받침유닛은 강관 바디(12)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1평판부재(22)와, 교각에 고정되는 제2평판부재(24)와, 제1평판부재(22)와 제2평판부재(24) 사이에 구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평판부재(22)가 수평 이동될 때 구름 운동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원봉부재(102,104,106)를 포함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신축 받침유닛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신축 받침유닛과 동일하고, 다만 원봉부재(102,104,106)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로 배열되어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강관 거더 12: 강관 바디
14: 상부 보강부 16: 하부 보강부
18: 지지판 20: 신축 받침유닛
22: 제1평판부재 24: 제2평판부재
26: 원봉부재

Claims (10)

  1. 원통 형태의 강관 바디;
    상기 강관 바디의 내면 상측에 장착되어 강관 바디의 상부를 보강하는 상부 보강부;
    상기 강관 바디의 내면 하측에 장착되어 강관 바디의 하부를 보강하는 하부 보강부; 및
    상기 상부 보강부와 하부 보강부 사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부 보강부와 하부 보강부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보강부는 강관 바디의 내면 상측에 고정되는 곡면 형태의 상부 보강판이고, 상기 하부 보강부는 강관 바디의 내면 하측에 고정되는 곡면 형태의 하부 보강판이며, 상기 상부 보강부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슬라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강부는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슬라이드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평판 형태이고, 상면이 상기 제1슬라이드 홈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고, 하면이 상기 제2슬라이드 홈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로서,
    상기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는 상기 강관 바디의 하면에 장착되어 강관 바디의 길이방향 수축 및 이완시 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강관 바디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신축 받침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 받침유닛은 상기 강관 거더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1평판부재와, 교각에 고정되는 제2평판부재와, 상기 제1평판부재와 제2평판부재 사이에 구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원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평판부재의 하면에는 제1레일로드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평판부재의 상면에는 제2레일로드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원봉부재의 중앙에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레일로드 및 제2레일로드가 삽입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원봉부재의 회전운동시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강부는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강부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리브가 설치되어 상부 보강부의 수직하중을 보강하고, 상기 상부 보강부의 하면에는 지지판의 상단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제1슬라이드 홈부가 형성되는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강부는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강부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수직하중을 보강하는 지지리브와, 하부 보강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지지판의 하단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제2슬라이드 홈부를 포함하는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평판부재의 전방 및 후방에는 전방 이탈방지부재 및 후방 이탈 방지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원봉부재가 전후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봉부재의 양쪽 측면에는 원봉부재가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바가 고정되고, 상기 이탈 방지바의 상단은 제1평판부재의 양쪽 측면에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1걸림홈에 걸림되고, 상기 이탈 방지바의 하단은 제2평판부재의 양쪽 측면에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걸림홈에 걸림되는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평판부재의 전방 및 후방에는 원봉부재가 전후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 이탈방지부재 및 후방 이탈 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
KR1020180112918A 2018-09-20 2018-09-20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 KR101984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918A KR101984043B1 (ko) 2018-09-20 2018-09-20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918A KR101984043B1 (ko) 2018-09-20 2018-09-20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043B1 true KR101984043B1 (ko) 2019-09-04

Family

ID=6795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918A KR101984043B1 (ko) 2018-09-20 2018-09-20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04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271B1 (ko) 2020-08-31 2021-03-10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단부 절개면을 갖는 거더를 활용한 교량 구조물
KR20220053744A (ko) * 2020-10-22 2022-05-0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휨강성이 증가된 강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84233B1 (ko) 2022-06-03 2023-01-04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강관 거더의 보강 시스템
KR20230084771A (ko) 2021-12-06 2023-06-13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강성 조절이 용이한 거더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교량
KR102556625B1 (ko) * 2022-09-15 2023-07-18 장인호 트러스 보강 강관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2609977B1 (ko) * 2022-12-27 2023-12-08 휴먼이엔씨주식회사 교량 구조물에 이용되는 중공형 강관 거더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892B1 (ko) * 1996-01-31 1999-01-15 조재연 교량용 가동단 교좌의 지진 구속장치
KR101117302B1 (ko) 2011-04-04 2012-03-20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부반력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받침 시스템
KR101229472B1 (ko) * 2011-11-16 2013-02-07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교량용 강관 거더
KR20140059047A (ko) * 2012-11-07 2014-05-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KR101725686B1 (ko) 2015-12-03 2017-04-26 고재용 교량용 강관 거더
KR101782958B1 (ko) * 2017-04-27 2017-09-28 오종훈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의 조절이 가능한 강관 거더를 갖는 보도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892B1 (ko) * 1996-01-31 1999-01-15 조재연 교량용 가동단 교좌의 지진 구속장치
KR101117302B1 (ko) 2011-04-04 2012-03-20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부반력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받침 시스템
KR101229472B1 (ko) * 2011-11-16 2013-02-07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교량용 강관 거더
KR20140059047A (ko) * 2012-11-07 2014-05-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KR101725686B1 (ko) 2015-12-03 2017-04-26 고재용 교량용 강관 거더
KR101782958B1 (ko) * 2017-04-27 2017-09-28 오종훈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의 조절이 가능한 강관 거더를 갖는 보도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271B1 (ko) 2020-08-31 2021-03-10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단부 절개면을 갖는 거더를 활용한 교량 구조물
KR20220053744A (ko) * 2020-10-22 2022-05-0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휨강성이 증가된 강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82093B1 (ko) * 2020-10-22 2022-12-2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휨강성이 증가된 강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30084771A (ko) 2021-12-06 2023-06-13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강성 조절이 용이한 거더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교량
KR102484233B1 (ko) 2022-06-03 2023-01-04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강관 거더의 보강 시스템
KR102556625B1 (ko) * 2022-09-15 2023-07-18 장인호 트러스 보강 강관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2609977B1 (ko) * 2022-12-27 2023-12-08 휴먼이엔씨주식회사 교량 구조물에 이용되는 중공형 강관 거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043B1 (ko)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
US10563360B2 (en) Finger joint with a bridging cover plate
US5566414A (en) Bridge raising/supporting method and bearing device for the method
KR101704971B1 (ko)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KR101808825B1 (ko)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JP6475548B2 (ja) 押出架設工法
KR101889481B1 (ko)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CN104652257B (zh) 无缝桥台结构
JP6326389B2 (ja) 橋梁の変位制限装置
JP2007276994A (ja) クレーンランウェイガーダーの補強構造
KR101439947B1 (ko) 링플레이트가 장착된 원형 거더와 횡방향 브라켓을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487885B1 (ko) 천정 크레인의 주행레일겸용 크레인 거더
JP6359136B2 (ja) 移動制限装置
JP5587846B2 (ja) 乗客コンベア
JP2017014823A (ja) 伸縮継手
KR101307821B1 (ko)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JP6402001B2 (ja) インバートブロックおよびインバートブロックの固定方法
JP6534631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方法
KR101705765B1 (ko)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JP2020084407A (ja) 建物
KR101336872B1 (ko) 파일압입틀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공법
JP3960964B2 (ja) 建築用足場
JP2017166267A (ja) 落橋防止構造
JP6778159B2 (ja) 床版入替時の補強構造及び床版入替方法
JP5388008B2 (ja) 水面埋立工法用建設機走行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