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958B1 -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의 조절이 가능한 강관 거더를 갖는 보도교 - Google Patents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의 조절이 가능한 강관 거더를 갖는 보도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958B1
KR101782958B1 KR1020170054547A KR20170054547A KR101782958B1 KR 101782958 B1 KR101782958 B1 KR 101782958B1 KR 1020170054547 A KR1020170054547 A KR 1020170054547A KR 20170054547 A KR20170054547 A KR 20170054547A KR 101782958 B1 KR101782958 B1 KR 101782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pace
steel
filled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훈
김종열
유경아
Original Assignee
오종훈
김종열
유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훈, 김종열, 유경아 filed Critical 오종훈
Priority to KR102017005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본 발명은 교대, 교각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하부구조의 상부에 구비되는 강관 거더를 갖는 보도교에 관한 것이자, 특히 각도로 상호 교차된 두 강재로 이루어진 내부보강재를 도입하여, 두 강재의 설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인장저항성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강관 내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 충진재의 채움량을 조절함으로써 압축저항성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효율 및 현장여건에 따라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보도교에 관한 것으로,
강관 거더가, 수평 배치되는 상판, 그리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강관, 그리고 상기 강관 내부에 구비되고, 소정 각도로 상호 교차된 제1강재와 제2강재로 이루어진 내부보강재, 그리고 상기 내부보강재의 제1 및 제2강재와, 상기 강관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 상부 제1공간 또는 하부 제2공간 또는 둘 모두에 충진되는 콘크리트 충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의 조절이 가능한 강관 거더를 갖는 보도교{PEDESTRIAN BRIDGE}
본 발명은 교대, 교각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하부구조의 상부에 구비되는 강관 거더를 갖는 보도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각도로 상호 교차된 두 강재로 이루어진 내부보강재를 도입하여, 두 강재의 설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인장저항성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강관 내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 충진재의 채움량을 조절함으로써 압축저항성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효율 및 현장여건에 따라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보도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가로질러 구축되어 사람이 통행하도록 되는 보도교(일명 육교)는 철근을 배근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축되고 있다.
보도교는 상부구조에 가해지는 고정하중 및 군중하중으로 인해 보도교의 하부에 인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오랜 기간 동안 사람의 이동으로 인한 군중하중을 반복적으로 받게 되면 콘크리트에 균열 및 박리가 발생하여 파손으로 인한 붕괴의 위험이 있게 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도교는 교대와 교각 사이의 구간에서 하면 인장이 발생하는 정모멘트 구간을 형성하고, 교각에 인접한 좌우측 구간은 상면 인장이 발생하는 부모멘트 구간을 형성하며, 정모멘트 구간과 부모멘트 구간 사이에서 교번 구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모멘트의 발생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최대 정모멘트를 기준으로 하여 단면크기를 정함으로 인해 거더 단면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거더의 두께 또한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되기도 한다. 따라서 고가의 철판의 소모가 많아지게 되고 시공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저항력 확보를 위해 거더 단면의 크기 증대 및 두께 증대에 따라 자중이 증대되게 되고, 이에 거더를 지지하는 하부구조의 규모 또한 증가하게 되어 하부 시공에 따르는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보도교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403266호(2014년05월27일)(종래기술1)가 있는데, 종래기술1은 기둥의 상부에 거더를 용이하게 조립식으로 접합시킬 수 있고, 조립 접합부를 견고하게 하며,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둥 상부에 조립식 접합구조를 갖는 보도교에 관한 것이고,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663591호(2016년09월30일)(종래기술2) 등이 있는데, 종래기술2는 여름철 온도 변화 시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교량 상판으로 인한 교각 상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 부재들이 장착된 상부 두부를 보강한 브라켓 플레이트 거더 보도교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1 및 2를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은 각각의 주된 특징에 의해 유의미한 효과들을 가지고 있으나, 상기 문제점에 대한 해결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각도로 상호 교차된 제1강재와 제2강재의 교차 각을 조절함으로써 인장보강판의 설치 폭(두 강재의 설치 각도)이 조절되고, 이를 통해 구조효율 및 현장여건에 따라 인장저항성능이 조절되는 보도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강관 내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 충진재의 채움량을 조절함으로써 압축저항성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효율 및 현장여건에 따라 압축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보도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강관 내부에 막음판을 설치하여, 압축저항성능 조절을 위해 콘크리트 채움량을 조절할 때, 채움량의 변화와 관계없이 강관 내부에 빈 공간을 없애줌으로써, 내부 채움 콘크리트 균열, 박리, 변형 등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보도교의 강도 및 내구성 보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강관 내벽에 구비되는 인장보강판을 통해, 인장력에 대한 저항 성능이 부족한 구간에서도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로 내부보강재와 강관의 일체화를 통한 저항성능 향상, 각 모멘트에 따른 콘크리트 충진재 채움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적절한 압축저항 제공, 블록화된 보도교의 결합을 통한 시공 용이성 및 제조, 운반, 보관 등의 편리성을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강관 거더가, 수평 배치되는 상판, 그리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강관, 그리고 상기 강관 내부에 구비되고, 소정 각도로 상호 교차된 제1강재와 제2강재로 이루어진 내부보강재, 그리고 상기 내부보강재의 제1 및 제2강재와, 상기 강관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 상부 제1공간 또는 하부 제2공간 또는 둘 모두에 충진되는 콘크리트 충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강관 거더가, 상기 제1공간 또는 상기 제2공간 또는 둘 모두에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제1강재에, 타단은 상기 제2강재에 연결되는 막음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강관 거더가 상기 강관 내벽에 구비되고, 상기 강관의 내벽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인장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내부보강재의 제1강재와 제2강재는 상기 강관의 내벽에 용접되어 일체를 이루고, 상기 막음판에 의한 구획에 의해, 상기 제1공간에는 외곽 제3공간이, 상기 제2공간에는 외곽 제4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충진재는, 정모멘트 구간에서는 상기 제1공간 또는 상기 제3공간에 충진되고, 부모멘트 구간에서는 상기 제2공간 또는 상기 제4공간에 충진되고, 교번 구간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공간 또는 상기 제3 및 제4공간에 충진되며, 공간 및 상기 제2공간에 모두 충진되고, 상기 강관 거더는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되되, 상기 블록들의 연결부위는 정모멘트 구간 및 교번 구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구조효율 및 현장여건에 따라 인장저항성능이 조절될 수 있고, 또한 구조효율 및 현장여건에 따라 압축저항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 압축저항성능 조절을 위해 콘크리트 채움량을 조절할 때 채움량의 변화와 관계없이 보도교의 강도 및 내구성이 보장되며, 나아가 인장력에 대한 저항 성능이 부족한 구간에서도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고, 추가로 내부보강재와 강관의 일체화를 통한 저항성능 향상, 각 모멘트에 따른 콘크리트 충진재 채움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적절한 압축저항 제공, 블록화된 보도교의 결합을 통한 시공 용이성 및 제조, 운반, 보관 등의 편리성 향상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보도교의 모멘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도 4 및 도 5는 제1 및 제2실시예에 관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정 각도로 상호 교차된 두 강재로 이루어진 내부보강재를 도입하여, 두 강재의 설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인장저항성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강관 내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 충진재의 채움량을 조절함으로써 압축저항성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효율 및 현장여건에 따라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보도교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의 조절이 가능한 강관 거더를 갖는 보도교(이하 본 보도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명도로, 보도교의 모멘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보도교는 교대, 교각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하부구조(L)의 상부에 구비되는 강관 거더를 갖는 도보 통행용 교량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보도교는 교대와 교각 사이의 구간에서 하면 인장이 발생하는 정모멘트 구간을 형성하고, 교각에 인접한 좌우측 구간은 상면 인장이 발생하는 부모멘트 구간을 형성하며, 정모멘트 구간과 부모멘트 구간 사이에서 교번 구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각 모멘트 구간에서 구조효율 및 현장여건에 따라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보도교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하중을 지탱하는 보도교에 적합하기 때문에 보도교로 한정한 것인 바, 본 발명의 특징들을 기타 목적의 교량에 적용한 실시의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제1 및 제2실시예에 관한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보도교는 강관 거더가 상판(1), 강관(2), 내부보강재(3) 및 콘크리트 충진재(4)를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살펴보면, 상판(1)은 수평 배치되어, 보도교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다음, 강관(2)은 상판(1)의 하부에 구비되어, 좌굴에 대한 취약성을 해소하는 구성으로, 특히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데, 이러한 강관(2)은 강판을 롤링 벤딩(Rolling Bending)하고 용접하여 제작될 수 있다.
다음, 내부보강재(3)는, 본 발명의 핵심 특징으로, 강관(2) 내부에 구비되어, 보도교의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특히 소정 각도(a3)로 상호 교차된 제1강재(31)와 제2강재(32)로 이루어진다.
다음, 콘크리트 충진재(4)는 내부보강재(3)의 제1 및 제2강재(31)(32)와, 강관(2)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 상부 제1공간(s1) 또는 하부 제2공간(s2) 또는 둘 모두에 충진되는 구성으로, 강관(2)과의 상호구속효과를 통해 변형에 저항 강성 및 저항성을 부가한다.
추가로, 콘크리트 충진재(4)와 강관(2)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관 거더는 강관(2)의 내벽에 구비되고 내측으로 돌출된 전단연결재(p)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단연결재(p)는 강관(2)의 내벽에 용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제1강재(31)와 제2강재(32)의 각도, 즉 제1강재(31)와 제2강재(32)가 이루는 교차 각(a3)을 조절함으로써, 설치되는 인장보강판(6)의 폭을 조절하여 인장저항성능을 조절할 수 있고, 강관(2) 내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 충진재(4)의 채움량을 조절함으로써 압축저항성능을 조절할 수 있어, 설치되는 보도교의 구조상 효율이나 현장의 여건에 따라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이러한 효과는 지지하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보도교에서 현저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로, 내부보강재(3)의 제1강재(31)와 제2강재(32)의 교차 각(a3)을 늘리는 경우, 내부보강재(3)( 및 인장보강판(6))의 폭이 커지게 되어 인장저항성능이 향상되나, 더 많은 재료의 소모로 인한 비용이 증대되는 바, 본 발명은 실시자가 구조상 효율 및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내부보강재(3)의 설치 폭을 조절하여 인장저항성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하나의 예로, 콘크리트 충진재(4)의 채움량을 늘리는 경우, 압축저항성능이 향상되나, 거더의 자중을 증가시켜 오히려 더 큰 단면력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는 바, 본 발명은 실시자가 구조상 효율 및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충진재(4)의 채움량을 조절함으로써, 모멘트에 더욱 근접한 형태의 저항력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보다 세부적인 특징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보도교는 강관 거더가 제1공간(s1) 또는 제2공간(s2) 또는 둘 모두에 구비되고, 일단은 제1강재(31)에, 타단은 제2강재(32)에 연결되는 막음판(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강재(31) 및 제2강재(31)(32), 그리고 강관(2)의 내벽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은 상부 제1공간(s1)과 하부 제2공간(s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제1강재(31) 및 제2강재(32)의 교차에 의해 형성된 좌우측 공간에 대해서는 별도의 언급을 생략하기로 한다.(좌우측 공간을 콘크리트 충진재(4)로 채우는 실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
상기한 막음판(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s1)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 5의 가장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공간(s2)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막음판(5)의 구비를 통해 본 발명은 구조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진재(4)의 채움량을 조절할 때, 콘크리트가 충실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데, 막음판(5)에 의해 구획된 제1공간(s1)의 외곽부인 제3공간(s3)에 콘크리트 충진재(4)가 채워지거나 또는 막음판(5)에 의해 구획된 제2공간(s2)의 외곽부인 제4공간(s4)에 콘크리트 충진재(4)가 채워지게 되어, 압축저항성능 조절을 위해 콘크리트 채움량을 조절하여 제1공간(s1) 또는 제2공간(s2)을 가득 채우지 않고도 빈 공간에 의한 내구성 문제가 없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본 보도교는 강관 거더가 강관(2) 내벽에 구비되고, 강관(2)의 내벽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인장보강판(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보강판(6)은 강관(2)의 내벽에 구비되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강관(2)의 내벽에 밀착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장보강판(6)은 강관(2)의 내벽과 동일한 곡률을 가져, 강관(2)의 내벽에 완벽하게 밀착되고, 양 단부는 각각 내부보강재(3)의 제1강재(31)와 제2강재(32)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장보강판(6)의 구비를 통해 본 발명은 인장력에 대한 저항 성능이 부족한 구간에서 안정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으로, 본 보도교는 강관 거더의 일 구성인 내부보강재(3)를 이루는 제1강재(31)와 제2강재(32)가 강관(2)의 내벽에 용접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을 통해 내부보강재(3)를 통한 보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특히 제1강재(31)의 양 단부, 제2강재(32)의 양 단부, 총 4곳을 모두 용접하여 강관(2)과 내부보강재(3)의 일체화를 통한 향상된 저항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보도교는 콘크리트 충진재(4)가, 정모멘트 구간에서는 제1공간(s1) 또는 제3공간(s3)에 충진되고, 부모멘트 구간에서는 제2공간 또는 제4공간에 충진되고, 교번 구간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공간(s1)(s2) 또는 상기 제3 및 제4공간(s3)(s4)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모멘트 구간에서는 보도교의 구조 상 정모멘트에 대항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충진재(4)가 제1공간(s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막음판(5)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충진재(4)가 제3공간(s3)에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모멘트 구간에서는 보도교의 구조 상 부모멘트에 대항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충진재(4)가 제2공간(s2)에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막음판(5)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충진재(4)가 제4공간(s4)에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 하측 모든 방향에서 압력을 받게 되는 교번구간에서는, 콘크리트 충진재(4)가 제1공간(s1)과 제2공간(s2) 모두에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막음판(5)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3공간(s3)과 제4공간(s4)에 모두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상하측 방향의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되 바와 같이, 본 보도교는 강관 거더가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되되, 이 블록들의 연결부위(C)는 정모멘트 구간 및 교번 구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보도교의 강관 거더는 제1 내지 제6블록(G1)(G2)(G3)(G4)(G5)(G6)으로 구성될 수 있고, 연결부위(C)는 정모멘트 구간에 배치되는 제1블록(G1)과 제2블록(G2) 사이에, 교번 구간에 배치되는 제2블록(G2)과 제3블록(G3) 사이에, 다시 교번 구간에 배치되는 제4블록(G4)과 제5블록(G5) 사이에, 다시 정모멘트 구간에 배치되는 제5블록(G5)과 제6블록(G6) 사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위(C)의 구조적 특징은 부모멘트 구간에 연결부위(C)를 갖추지 않음으로써 본 보도교의 내구성에 흠결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특징에 따라, 본 보도교는 블록화된 강관 거더를 연결 시공함으로써, 용이한 시공을 제공함은 물론, 강관 거더를 블록화함으로써 제조, 운반, 보관 등의 편리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보도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의 하부 양 단에 배치된 두 강관(2)을 연결하는 가로보(7)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가로보(7)는 상측으로 휘어진 곡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가로보(7)는 강관 거더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구조적 안정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보도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의 상부 양단에 구비되는 난간(8)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난간(8)은 보행자의 추락 방지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보도교는 하부구조(L)와 강관(2) 사이에 구비되는 거치부재(9)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거치부재(9)는 강관(2)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하부구조(L) 상부에 안정적으로 거치되지 않는 것을 보완하여, 강관 거더의 안정적인 거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L: 하부구조
G1 ~ G6: 제1 내지 제6블록
1: 상판
2: 강관
3: 내부보강재 31: 제1강재
32: 제2강재 a: 교차 각
s1: 제1공간 s2: 제2공간
s3: 제3공간 s4: 제4공간
4: 콘크리트 충진재
5: 막음판
6: 인장보강판

Claims (4)

  1. 교대, 교각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하부구조(L)의 상부에 구비되는 강관 거더를 갖는 보도교에 있어서,
    상기 강관 거더는,
    수평 배치되는 상판(1);
    상기 상판(1)의 하부에 구비되고,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강관(2);
    상기 강관(2) 내부에 구비되고, 소정 각도(a3)로 상호 교차되며, 상기 강관의 내벽에 용접되어 일체를 이루는, 제1강재(31)와 제2강재(32)로 이루어진 내부보강재(3);
    상기 내부보강재(3)의 제1 및 제2강재(31)(32)와, 상기 강관(2)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 상부 제1공간(s1) 또는 하부 제2공간(s2) 또는 둘 모두(s1)(s2)에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제1강재(31)에, 타단은 상기 제2강재(32)에 연결되어, 구획을 통해 상기 제1공간(s1)에는 외곽 제3공간(s3)을, 상기 제2공간(s2)에는 외곽 제4공간(s4)을 형성하는 막음판(5);
    정모멘트 구간에서는 상기 제3공간(s3)에 충진되고, 부모멘트 구간에서는 상기 제4공간(s4)에 충진되고, 교번 구간에서는 상기 제3 및 제4공간(s3)(s4)에 충진되는 콘크리트 충진재(4);
    상기 강관(2) 내벽에 구비되고, 상기 강관(2)의 내벽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인장보강판(6);
    상기 상판(1)의 하부 양 단에 배치된 두 강관(2)을 연결하는 가로보(7); 및
    상기 하부구조(L)와 상기 강관(2) 사이에 구비되고, 상부는 상기 강관(2)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고, 하부는 상기 하부구조(L)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져, 상기 강관(2)이 안착되는 거치부재(9);
    를 포함하고,
    상기 강관 거더는,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되되, 상기 블록들의 연결부위는 정모멘트 구간 및 교번 구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54547A 2017-04-27 2017-04-27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의 조절이 가능한 강관 거더를 갖는 보도교 KR101782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547A KR101782958B1 (ko) 2017-04-27 2017-04-27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의 조절이 가능한 강관 거더를 갖는 보도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547A KR101782958B1 (ko) 2017-04-27 2017-04-27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의 조절이 가능한 강관 거더를 갖는 보도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958B1 true KR101782958B1 (ko) 2017-09-28

Family

ID=6003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547A KR101782958B1 (ko) 2017-04-27 2017-04-27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의 조절이 가능한 강관 거더를 갖는 보도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9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9301A (zh) * 2018-01-25 2018-05-18 中铁第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跨越铁路的组合结构人行天桥
KR101984043B1 (ko) * 2018-09-20 2019-09-04 휴먼이엔씨주식회사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
KR102087014B1 (ko) * 2019-08-20 2020-03-10 장문혁 비균일 강관 거더 제작방법
KR102453222B1 (ko) * 2021-04-08 2022-10-12 텔루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강판보강부를 구비한 보강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20B1 (ko) * 2008-05-13 2008-10-17 한우물중공업(주) 교량용 강관 거더
KR101391950B1 (ko) * 2013-10-14 2014-05-07 (주)우주유엔드비 분할판재가 내설된 콘크리트 충전 강관 거더
KR101725686B1 (ko) * 2015-12-03 2017-04-26 고재용 교량용 강관 거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20B1 (ko) * 2008-05-13 2008-10-17 한우물중공업(주) 교량용 강관 거더
KR101391950B1 (ko) * 2013-10-14 2014-05-07 (주)우주유엔드비 분할판재가 내설된 콘크리트 충전 강관 거더
KR101725686B1 (ko) * 2015-12-03 2017-04-26 고재용 교량용 강관 거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9301A (zh) * 2018-01-25 2018-05-18 中铁第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跨越铁路的组合结构人行天桥
KR101984043B1 (ko) * 2018-09-20 2019-09-04 휴먼이엔씨주식회사 교량용 보강형 강관 거더
KR102087014B1 (ko) * 2019-08-20 2020-03-10 장문혁 비균일 강관 거더 제작방법
KR102453222B1 (ko) * 2021-04-08 2022-10-12 텔루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강판보강부를 구비한 보강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nashai et al. Fundamentals of earthquake engineering: from source to fragility
KR101782958B1 (ko) 인장저항 및 압축저항의 조절이 가능한 강관 거더를 갖는 보도교
JP6025884B2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部材
KR101022853B1 (ko) 교량시공용 합성거어더
KR101767677B1 (ko) 스틸 콘크리트 합성기둥구조
Moehle et al. Seismic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special moment frames: a guide for practicing engineers
US20180135261A1 (en) Prefabricated, prestressed bridge module
JP4318694B2 (ja) 床版橋構造
Moehle et al. Seismic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special moment frames
KR101683196B1 (ko)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Esmaeili et al. Introducing an easy-install precast concrete beam-to-column connection strengthened by steel box and peripheral plates
JP4957295B2 (ja) 制震橋脚構造
JP2006183250A (ja) 耐震補強構造を有する建物および建物の耐震補強方法
KR101159675B1 (ko)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Moehle et al. Seismic design of cast-in-place concrete diaphragms, chords, and collectors
KR101314791B1 (ko) 변단면 합성 라멘교
KR102226271B1 (ko) 단부 절개면을 갖는 거더를 활용한 교량 구조물
KR102033052B1 (ko)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KR101682528B1 (ko) 거더 자중에 의한 프리플렉스 효과를 이용하여 단면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거더 및 교량 제조방법
JP2006028808A (ja) 道路拡張構造
KR102239773B1 (ko) 모듈러 방식의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2012117364A (ja) 制震橋脚構造
KR102655163B1 (ko) 조립식 데크-거더 연속 연결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87232B1 (ko) 건축용 모멘트 골조 시스템
JP5979586B2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