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821B1 -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에서의 싱크 디바이스에서 소스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입력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에서의 싱크 디바이스에서 소스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입력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2821B1 KR101982821B1 KR1020180060686A KR20180060686A KR101982821B1 KR 101982821 B1 KR101982821 B1 KR 101982821B1 KR 1020180060686 A KR1020180060686 A KR 1020180060686A KR 20180060686 A KR20180060686 A KR 20180060686A KR 101982821 B1 KR101982821 B1 KR 1019828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message
- input
- category
- user inpu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싱크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를 통해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방식에서의 싱크 디바이스에서 소스 디바이스로 사용자 입력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방식은 기존의 와이파이 방식과는 다르게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홈 네트워크, 오피스 네트워크 및 핫스팟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않아도, 서로 피어 투 피어(Peer-to-Peer)로 연결할 수 있는 기술로서, Wi-Fi 연합(Alliance)에 의해 제안되었다.
종래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에서는 단순히 AV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 불과한 싱크 디바이스는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소스 디바이스에 명령어를 입력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소스 디바이스에서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항상 소스 디바이스에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네트워크에서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가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RTSP(Real Time Service Protocol)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 및 전송하는 단계는 성능 협상(Capability Negotiation) 절차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는, 좌표, 줌(Zoom)의 배율, 스크롤(Scroll)의 양, 회전(Rotate)량, 아스키 코드(Ascii c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Human Interface Device)의 인터페이스 타입(Interface Typ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Human Interface Device)의 타입(Typ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네트워크에서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가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싱크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메시지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AV 데이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수신된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RTSP(Real Time Service Protocol)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에 있어서,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메시지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메시지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성능 정보 제공부; 및 상기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전송하는 파라미터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RTSP(Real Time Service Protocol)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는, 좌표, 줌(Zoom)의 배율, 스크롤(Scroll)의 양, 회전(Rotate)량, 아스키 코드(Ascii c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Human Interface Device)의 인터페이스 타입(Interface Typ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Human Interface Device)의 타입(Typ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싱크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메시지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AV 데이터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수신된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성능 정보 요청부; 및 상기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파라미터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RTSP(Real Time Service Protocol)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가 싱크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에서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메시지의 구조(Structure)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카테고리(Input Category)를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입력 바디(Generic Input Body)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입력 카테고리의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마우스 입력에 따른 정보 엘리먼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에 따른 정보 엘리먼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줌(Zoom) 입력에 따른 정보 엘리먼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스크롤(Scroll) 입력에 따른 정보 엘리먼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회전(Rotate) 입력에 따른 정보 엘리먼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클래스(Human Interface Device Class: HIDC)의 바디(Body)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Human Interface Device: HID) 인터페이스의 타입(Type)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ID의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간 통신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FD(Wi-Fi Display)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FD 서브 엘리먼트(Subelement)의 포맷(Format)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FD 서브 엘리먼트 ID를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가 싱크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에서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메시지의 구조(Structure)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카테고리(Input Category)를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입력 바디(Generic Input Body)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입력 카테고리의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마우스 입력에 따른 정보 엘리먼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에 따른 정보 엘리먼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줌(Zoom) 입력에 따른 정보 엘리먼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스크롤(Scroll) 입력에 따른 정보 엘리먼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회전(Rotate) 입력에 따른 정보 엘리먼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클래스(Human Interface Device Class: HIDC)의 바디(Body)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Human Interface Device: HID) 인터페이스의 타입(Type)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ID의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간 통신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FD(Wi-Fi Display)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FD 서브 엘리먼트(Subelement)의 포맷(Format)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FD 서브 엘리먼트 ID를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도면 상에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WFD(Wi-Fi Display)란 통신 방식으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 와이파이 다이렉트 (Wi-Fi Direct)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통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소스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이며, 싱크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바이스에 해당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에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는 성능 협상(Capability Negotitation) 단계에서 디바이스의 성능에 따라 정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싱크 디바이스는 AV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바이스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싱크 디바이스는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싱크 디바이스가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과 관련된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식을 통해 싱크 디바이스에 직접 사용자가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입력 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싱크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 백 채널(User Input Back Channel: UIBC)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게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과 관련된 정보로는 마우스를 통한 입력(좌표), 키보드를 통한 입력, 줌(Zoom) 입력, 스크롤(Scroll) 입력 및 회전(Rotate) 입력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에서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201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전, 싱크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을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능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소스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입력을 전송하는 기능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UIBC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입력을 전송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성능 협상 (Capability Negotiation) 절차 또는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 절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 정보는 RTSP(Real Time Service Protocol)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202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생성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생성시 도 5의 구조에 따라 생성하며, 이는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한 메시지를 생성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Human Interface Device: HID)의 인터페이스 타입(Interface Type)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HID의 타입(Type)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도 15및 도 16에서 후술한다.
단계 203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는 WFD 방식을 통해 통신하고 있으므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간 설정된 UIBC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게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과 관련된 정보를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에서 소스 디바이스가 싱크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301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싱크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 소스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능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싱크 디바이스에 요청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입력을 전송하는 기능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입력을 전송하는 기능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요청과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성능 협상 (Capability Negotiation) 절차 또는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 절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 정보는 RTSP(Real Time Service Protocol)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302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AV 데이터를 제어한다. 마우스, 터치 패드, 터치 패널과 같은 포인터를 통해 입력하는 장치를 통해 AV 데이터를 제어하거나, 키보드와 같이 아스키 코드(Ascii Code) 값을 입력할 수 있으며, 줌 배율양, 스크롤의 양, 회전량을 입력하여 AV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AV 데이터는 싱크 디바이스에 스트리밍 중일 수 있으며, 스트리밍중인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줌(Zoom) 배율, 스크롤(Scroll)의 양, 회전(Rotate)량을 입력하여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AV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소스 디바이스(401)는 성능 정보 요청부(402), 파라미터 정보 수신부(403), 메시지 수신부(404) 및 데이터 제어부(405)를 포함한다.
성능 정보 요청부(402)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로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411)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소스 디바이스(401)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지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한다.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소스 디바이스(401)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지 관련된 정보에는, 소스 디바이스(401)와 싱크 디바이스(411) 사이에 설정된 UIBC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가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을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정보 수신부(403)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싱크 디바이스(411)로부터 수신한다.
메시지 수신부(404)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싱크 디바이스(411)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수신한다.
데이터 제어부(405)에서는 싱크 디바이스로(411)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AV 데이터를 제어한다.
싱크 디바이스(411)는 성능 정보 제공부(412), 파라미터 정보 송신부(413), 사용자 입력 수신부(414), 메시지 생성부(415) 및 메시지 송신부(416)를 포함한다.
성능 정보 제공부(412)는 소스 디바이스(401)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로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411)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지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소스 디바이스(401)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지 관련된 정보에는, 소스 디바이스(401)와 싱크 디바이스(411) 사이에 설정된 UIBC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가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을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정보 송신부(413)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소스 디바이스(401)에서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를 소스 디바이스(401)로 송신한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414)는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받는다.
메시지 생성부(415)는 사용자의 입력을 소스 디바이스(401)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생성한다.
메시지 송신부(416)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소스 디바이스(401)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에서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메시지의 구조이다.
도시된 예에서, 버전(Version)필드는 프로토콜(Protocol)의 버전을 나타내며 2 비트(bit)의 크기를 갖는다.
T 필드는 타임스탬프(Time Stamp)의 약자로써, 타임 스탬프 필드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며, 1 비트의 크기를 갖는다. 타임 스탬프 필드는 선택적이며, T가 0인 경우, 타임 스탬프 필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T가 1인 경우 타임 스탬프 필드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예약(Reserved) 필드는 이후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존재하는 필드이며, 크기는 8 비트에 해당한다. 모두 0으로 표시된다.
길이(Length) 필드는 전체 메시지의 길이를 나타내며, 8 비트의 크기를 갖는다.
입력 카테고리(Input Category) 필드는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는 입력의 카테고리를 표시하며, 4비트의 크기를 갖는다. 입력 카테고리는 일반적인 입력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Human Interface Device: HID)에 관한 입력으로 나뉜다. 입력 카테고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에서 후술한다.
타임스탬프(Time Stamp) 필드는 선택적인 필드로써, 사용자 입력이 적용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프레임의 RTP(Real Time Protocol)의 타임 스탬프를 표시한다. 타임 스탬프 필드는 16 비트의 크기를 갖는다.
입력 바디(Input Body) 필드는 사용자의 입력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에 해당한다. 입력 바디 필드에는 일반적인 입력(Generic Input) 또는 HID 입력에 대한 내용이 삽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카테고리(Input Category)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입력 카테고리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입력(Generic Input)에 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클래스(Human Interface Device Class: HIDC)에 관한 정보로 나뉜다. 입력 카테고리가 0으로 표시되는 경우 도 5의 메시지는 일반적인 입력에 관한 정보 엘리먼트(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고, 입력 카테고리가 1로 표시되는 경우 HIDC와 관련된 정보 엘리먼트(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입력(Generic Input)은 마우스, 터치 패드와 같은 움직임, 클릭, 터치, 줌 배울, 스크롤의 양, 회전 량 등과 같은 정보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정보 엘리먼트는 싱크 디바이스와 연결된 사용자의 장치가 어떤 규격을 통해 연결되었는지(HID 인터페이스 타입)과 싱크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어떤 입력 장치가 연결되었는지(HID 타입)과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입력 바디(Generic Input Body)의 포맷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반적인 입력 바디의 포맷은 Generic IE ID, 길이, Describe를 포함한다.
Generic IE ID 필드는 일반적인 입력 카테고리에서 사용자 입력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이다. 이는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길이 필드는 전체 필드의 길이를 나타낸다. 2 옥텟(Octet)의 크기를 갖는다.
Describe 필드는 사용자 입력의 실제 내용을 나타낸다. 즉, 포인터의 좌표, 개수, 줌의 배율, 스크롤, 회전량 등 사용자 입력의 실제 내용에 대한 내용이 표시된다. Describe 필드에 기재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3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입력(Generic Input) 카테고리(Category)의 사용자 입력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예는 입력 바디 포맷의 Generic IE ID 필드에 기재될 수 있는 사용자의 입력의 종류에 대한 내용이다.
Down의 경우 마우스 버튼 또는 키를 누르는 동작을 뜻하며, Up의 경우 마우스 버튼 또는 키를 떼는 동작을 뜻한다. 마우스 왼쪽 버튼, 오른쪽버튼 클릭, 마우스 또는 터치패드의 움직임, 줌, 스크롤, 회전 등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의 입력에 대해 해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Generic IE ID는 구현에 따라 생략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마우스 입력에 따른 정보 엘리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예는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마우스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도 9의 내용은 도 7의 일반적인 입력 바디(Generic Input Body)의 Describe 필드에 기재될 수 있다.
포인터의 숫자 필드는 포인터의 숫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포인터는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 있다. 마우스의 경우 포인터(Pointer)가 하나이지만, 터치 패드의 경우 멀티 터치를 지원하므로 포인터가 둘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포인터가 여러 개인 경우 For 구문을 사용하여 각 포인터에 대한 정보를 기재할 수 있다. For 구문의 내용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포인터 ID 필드는 포인터가 여러 개인 경우 각 포인터의 구분을 위한 ID를 나타낸다.
X, Y 좌표 필드는 각 포인터의 X 및 Y 좌표를 표시한다. 이는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의 해상도(resolution)의 결정 정도에 따라 정규화(Normalized) 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에 따른 정보 엘리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예는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키보드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도 10의 내용은 도 7의 일반적인 입력 바디(Generic Input Body)의 Describe 필드에 기재될 수 있다.
단축기와 같이 2개의 키를 한꺼번에 입력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총 2개의 Key Code 필드를 갖는다. 각 Key code의 필드의 크기는 2 옥텟이며, 아스키 코드로 입력 키를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아스키 코드(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ASCII) 는 1 바이트 이하의 크기로 표시되며, 나머지 1 바이트의 경우 이후 아스키 코드의 변화에 호환될 수 있도록 예약된 바이트에 해당한다.
또한 입력된 키가 하나인 경우에는 Key Code II 필드는 0으로 표시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줌(Zoom) 입력에 따른 정보 엘리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예에서, X, Y 좌표 필드는 줌 동작을 위해 참고되는 X 및 Y 좌표(Reference X, Y coordinate)를 표시한다. 참고되는 X 및 Y 좌표는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의 해상도(resolution)의 결정 정도에 따라 정규화(Normalized) 될 수 있다.
*도시된 예의 줌 배율의 정수부(Integer times to zoom) 필드는 줌 동작의 확대 배율의 정수 부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줌 배율이 2.5배인 경우 정수 부분인 2를 줌 배율의 정수부에 표시한다. 또한 줌 동작은 확대로만 이루어지므로, 무부호 정수(Unsigned integer)만을 표시한다.
도시된 예의 줌 배율의 소수부(Fraction times to zoom) 필드는 줌 동작의 확대 배율의 소수 부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줌 배율이 2.5배인 경우 소수 부분인 0.5를 줌 배율의 소수부에 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스크롤(Scroll) 입력에 따른 정보 엘리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예에서 스크롤의 양(Amount to Scroll) 필드는 해상도에 따라 스크롤에 따라 변화하는 픽셀들의 숫자에 대해 표시한다.
또한 스크롤 동작은 스크롤 동작은 수평(Horizontal) 및 수직(Vertical)으로 가능하고 방향성(좌, 우 또는 위, 아래)이 존재하므로 부호 붙임 정수형(Signed integer)로 표시한다. 일 실시예로서 음의 정수인 경우 오른쪽 또는 위로의 스크롤 동작을 표시하고 양의 정수인 경우 왼쪽 또는 아래로의 스크롤 동작을 표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회전(Rotate) 입력에 따른 정보 엘리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예의 회전량의 정수부(Integer Portion of Rotation Amount) 필드는 회전량의 정수 부분을 나타낸다. 회전량은 라디언(radian) 단위로 표시된다. 회전 동작 또한 방향성(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이 존재하므로, 부호 붙임 정수형으로 표시한다. 일 실시예로서 음의 정수인 경우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표시하고 양의 정수인 경우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표시한다.
또한 도시된 예의 회전량의 소수부(Fraction Portion of Rotation Amount) 필드는 줌 동작의 확대 배율의 소수 부분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클래스(Human Interface Device Class: HIDC)의 바디(Body) 포맷을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HIDC의 바디 포맷은 HID Interface Type, HID Type, Usage, Length, HIDC value 필드를 포함한다.
HID Interface Type필드는 HID 인터페이스의 연결 타입에 대해 나타낸다. HID Interface Type은 도 15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HID Type 필드는 HID의 종류에 대해 나타낸다. HID Type 필드는 도 16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Usage 필드는 HIDC Value와 관계된 필드로 HIDC Value가 HID 입력의 보고(HID Input Report)에 사용되는지, HID 보고에 대한 설명으로 사용되는지(HID Report Descriptor)와 같은 HIDC Value 필드에 기재된 내용의 용도에 대해 표시한다.
Length 필드는 전체 메시지의 길이를 표시한다. 2 옥텟의 크기를 갖는다.
*HIDC Value 필드는 HID 입력 보고에 대한 내용 또는 HID 입력에 대한 설명을 표시한다. 변환적인 크기를 갖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Human Interface Device: HID) 인터페이스의 타입(Type)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예에서, 각 값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와 HID 장치의 연결 타입에 대해 도시한다. 연결 타입은 각 값에 따라 적외선(Infrared),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연결 형태를 가진다. 각 인터페이스의 연결 타입에 대한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후의 새롭게 사용되는 연결형태의 경우 5-254의 값에 매칭(Matching)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Vendor Specific HID 인터페이스의 경우 제조사(vendor)가 연결형태를 정의하지 않은 새로운 연결형태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ID의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해 나타낸다. 즉, 싱크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에 대해 나타낸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종류로는 키보드, 마우스가 있고,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널의 경우 싱글 터치(Single Touch) 또는 멀티 터치(Multi Touch)가 존재하며, 조이스틱(Joystick), 카메라(Camera), 제스쳐(Gesture),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가 존재한다.
또한 이후의 새로운 입력 장치의 경우 경우 5-254의 값에 매칭(Matching)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간 통신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1701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싱크 디바이스에게 사용자 입력 백 채널(User Input Back Channel) 성능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사용자 입력 백 채널은 싱크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입력과 관련된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해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으로 설정한 사용자 입력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에 해당한다.
단계 1702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UIBC 성능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UIBC를 통한 전송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1703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좌표와 관련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도 5의 포맷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단계 1704에서는 싱크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소스 디바이스는 메시지 수신 확인 신호를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송한다.
*단계 1705에서는 단계 1703과 유사하며,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데이터와 관련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를 도시한다.
단계 1706은 단계 1704와 동일하게 소스 디바이스가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메시지 수신 확인 신호를 전송한다.
각 단계에서 사용자 입력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는 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량, 줌의 배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FD(Wi-Fi Display) 정보 엘리먼트(Information Element)를 도시한 도면이다.
WFD 정보 엘리먼트는 디바이스의 타입, 상태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를 수신하는 프레임의 포맷을 나타낸다. 프로브 요청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 또한 WFD 정보 엘리먼트의 포맷에 따라 작성된다.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간 싱크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입력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여 소스 장치에게 전송하는 기능(예를 들면, UIBC)의 지원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고, 전송하는 경우 WFD 정보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전달한다.
도시된 예에서, WFD IE는 엘리먼트(element)ID, 길이, OUI(Organization Unique Identifier), OUI 타입, WFD 서브 엘리먼트(Sub-elements) 필드들을 포함한다. 엘리먼트 ID, 길이, OUI, OUI 타입 필드의 각각의 크기는 1, 1, 3 및 1 옥텟이며, WFD 서브 엘리먼트 필드의 크기는 가변적(Variable Size)이다.
본 실시예의 엘리먼트 ID 필드는 제조사(vendor)가 IEEE 802.11 표준에서 정의하지 않은 기능들을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하는 필드이며, Length 필드의 경우 WFD 정보 엘리먼트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OUI의 필드는, 각 제조사를 구분하기 위해 정의한 고유의 식별자에 해당한다.
OUI 타입 필드는 WFD 정보 엘리먼트의 버전(Version)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WFD 서브 엘리먼트 필드는 단순히 WFD 정보 엘리먼트에 기재되는 내용만으로는 부족하므로, 세부적인 디바이스 정보들을 나타내는 내용들이 포함되며, WFD 서브 엘리먼트에 포함되는 내용은 도 19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WFD 정보 엘리먼트 중 일부는 구현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FD 서브 엘리먼트(Subelement)의 일반적인 포맷(Format)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예에서, WFD 서브 엘리먼트는 서브 엘리먼트 ID, 길이, 서브 엘리먼트 바디(body)필드들을 포함한다. 서브엘리먼트 ID, 길이 필드의 크기는 각각 1 옥텟이며, 서브 엘리먼트 바디 필드의 크기는 가변적(Variable Size)이다.
본 실시예의 서브 엘리먼트 ID는 WFD 서브 엘리먼트의 타입을 표시한다. 이는 도 20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길이 필드는 WFD 서브 엘리먼트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서브 엘리먼트 바디 필드는 서브 엘리먼트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표시한다.
본 발명의 WFD 서브 엘리먼트 중 일부는 구현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FD 서브 엘리먼트 I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WFD 디바이스 정보는 WFD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싱크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성능 또는 UIBC 성능과 관련된 정보 또한 WFD 디바이스 정보 필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Status는 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며, 본 실시예의 Display EDID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의 Coupled Sink Information은 다른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해 나타낸다.
나머지 서브 엘리먼트 ID는 Codec 및 장치 성능, 주소에 대한 내용으로 당업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내용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브 엘리먼트 ID는 중 일부는 구현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22)
-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네트워크에서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가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AV(Audio/Video)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AV 데이터가 제어되도록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상기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의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입력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의 카테고리는 Generic input 카테고리 및 HIDC(Human Interface Device Class)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의 카테고리가 Generic input 카테고리일 때,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 입력 정보의 종류를 구분하는 입력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타입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마우스 입력, 키보드 입력, 줌, 스크롤, 회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입력 정보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포인터 수, 좌표, 줌(Zoom)의 배율, 스크롤(Scroll)의 양, 회전(Rotate)량, 아스키 코드(Ascii code)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의 카테고리가 HIDC 카테고리일 때, 상기 메시지는 HID 인터페이스의 연결 타입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HID 인터페이스 타입에 관한 정보 및 HID의 종류를 나타내는 HID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HID 인터페이스 타입에 관한 정보는,
상기 HID 인터페이스의 연결 타입이 적외선(Infrared),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HID 타입에 관한 정보는,
상기 HID가 키보드, 마우스, 싱글 터치 장치, 멀티 터치 장치, 조이스틱(Joystick), 카메라(Camera), 제스쳐(Gesture), 리모트 컨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프로토콜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버전 필드, 상기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입력 카테고리 필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바디 필드, 디스플레이 되는 프레임의 RTP의 타임 스탬프를 나타내는 타임 스탬프 필드, 예약 필드, 길이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AV(Audio/Video)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AV 데이터가 제어되도록,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상기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AV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의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입력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의 카테고리는 Generic input 카테고리 및 HIDC(Human Interface Device Class)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의 카테고리가 Generic input 카테고리일 때,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 입력 정보의 종류를 구분하는 입력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타입 정보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마우스 입력, 키보드 입력, 줌, 스크롤, 회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입력 정보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포인터 수, 좌표, 줌(Zoom)의 배율, 스크롤(Scroll)의 양, 회전(Rotate)량, 아스키 코드(Ascii code)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디바이스.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의 카테고리가 HIDC 카테고리일 때,
상기 메시지는 HID 인터페이스의 연결 타입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HID 인터페이스 타입에 관한 정보 및 HID의 종류를 나타내는 HID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디바이스.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HID 인터페이스 타입에 관한 정보는,
상기 HID 인터페이스의 연결 타입이 적외선(Infrared),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HID 타입에 관한 정보는,
상기 HID가 키보드, 마우스, 싱글 터치 장치, 멀티 터치 장치, 조이스틱(Joystick), 카메라(Camera), 제스쳐(Gesture), 리모트 컨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프로토콜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버전 필드, 상기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입력 카테고리 필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바디 필드, 디스플레이 되는 프레임의 RTP의 타임 스탬프를 나타내는 타임 스탬프 필드, 예약 필드, 길이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 -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네트워크에서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가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AV 데이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AV 데이터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의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입력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에 있어서,
싱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AV 데이터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 및
상기 AV 데이터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의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입력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161432779P | 2011-01-14 | 2011-01-14 | |
US61/432,779 | 2011-01-14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4915A Division KR101863686B1 (ko) | 2011-01-14 | 2012-01-16 |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에서의 싱크 디바이스에서 소스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입력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5442A KR20180075442A (ko) | 2018-07-04 |
KR101982821B1 true KR101982821B1 (ko) | 2019-05-27 |
Family
ID=465076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4915A KR101863686B1 (ko) | 2011-01-14 | 2012-01-16 |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에서의 싱크 디바이스에서 소스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입력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KR1020180060686A KR101982821B1 (ko) | 2011-01-14 | 2018-05-28 |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에서의 싱크 디바이스에서 소스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입력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4915A KR101863686B1 (ko) | 2011-01-14 | 2012-01-16 |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에서의 싱크 디바이스에서 소스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입력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2) | US9867032B2 (ko) |
EP (1) | EP2664994B1 (ko) |
JP (1) | JP5918270B2 (ko) |
KR (2) | KR101863686B1 (ko) |
CN (2) | CN107015673B (ko) |
BR (1) | BR112013017931A2 (ko) |
CA (1) | CA2824017C (ko) |
MX (1) | MX2013007996A (ko) |
WO (1) | WO2012096546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98084B2 (en) | 2006-05-26 | 2015-11-24 | Qualcomm Incorporated | Wireless architecture for a traditional wire-based protocol |
US9398089B2 (en) | 2008-12-11 | 2016-07-19 | Qualcomm Incorporated | Dynamic resource sharing among multiple wireless devices |
US9264248B2 (en) | 2009-07-02 | 2016-02-16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and resolving conflicts in a wireless mobile display digital interface multicast environment |
US9582238B2 (en) | 2009-12-14 | 2017-02-28 | Qualcomm Incorporated | Decomposed multi-stream (DMS) techniques for video display systems |
US9065876B2 (en) | 2011-01-21 | 2015-06-23 | Qualcomm Incorporated | User input back channel from a wireless sink device to a wireless source device for multi-touch gesture wireless displays |
US9413803B2 (en) | 2011-01-21 | 2016-08-09 | Qualcomm Incorporated |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
US10135900B2 (en) | 2011-01-21 | 2018-11-20 | Qualcomm Incorporated |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
US8964783B2 (en) | 2011-01-21 | 2015-02-24 | Qualcomm Incorporated |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
US20130013318A1 (en) | 2011-01-21 | 2013-01-10 | Qualcomm Incorporated |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
SG191763A1 (en) * | 2011-01-21 | 2013-08-30 | Qualcomm Inc |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
US8677029B2 (en) * | 2011-01-21 | 2014-03-18 | Qualcomm Incorporated |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
US9787725B2 (en) * | 2011-01-21 | 2017-10-10 | Qualcomm Incorporated |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
US10108386B2 (en) | 2011-02-04 | 2018-10-23 | Qualcomm Incorporated | Content provisioning for wireless back channel |
US9503771B2 (en) | 2011-02-04 | 2016-11-22 | Qualcomm Incorporated | Low latency wireless display for graphics |
US9106651B2 (en) * | 2011-09-19 | 2015-08-11 | Qualcomm Incorporated | Sending human input device commands over internet protocol |
US8966131B2 (en) * | 2012-01-06 | 2015-02-24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 method for bi-directional tunneling via user input back channel (UIBC) for wireless displays |
US9525998B2 (en) * | 2012-01-06 | 2016-12-20 | Qualcomm Incorporated | Wireless display with multiscreen service |
US11502551B2 (en) | 2012-07-06 | 2022-11-15 | Energous Corporation | Wirelessly charging multiple wireless-power receivers using different subsets of an antenna array to focus energy at different locations |
US9876394B1 (en) | 2014-05-07 | 2018-01-23 | Energous Corporation | Boost-charger-boost system for enhanced power delivery |
US10992187B2 (en) | 2012-07-06 | 2021-04-27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s of using electromagnetic waves to wirelessly deliver power to electronic devices |
US10256657B2 (en) | 2015-12-24 | 2019-04-09 | Energous Corporation | Antenna having coaxial structure for near field wireless power charging |
US9867062B1 (en) | 2014-07-21 | 2018-01-09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a remote server to authorize a receiving device that has requested wireless power and to determine whether another receiving device should request wireless power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US10439448B2 (en) | 2014-08-21 | 2019-10-08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est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
US9787103B1 (en) | 2013-08-06 | 2017-10-10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delivering power to electronic devices that are unable to communicate with a transmitter |
US12057715B2 (en) | 2012-07-06 | 2024-08-06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of wirelessly delivering power to a wireless-power receiver device in response to a change of orientation of the wireless-power receiver device |
US10381880B2 (en) | 2014-07-21 | 2019-08-13 | Energous Corporation | Integrated antenna structure array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US10992185B2 (en) | 2012-07-06 | 2021-04-27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electromagnetic waves to wirelessly deliver power to game controllers |
US10965164B2 (en) | 2012-07-06 | 2021-03-30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of wirelessly delivering power to a receiver device |
US10063105B2 (en) | 2013-07-11 | 2018-08-28 | Energous Corporation | Proximity transmitters for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s |
AU2013338811B2 (en) | 2012-11-05 | 2016-12-01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searching for or advertising service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
KR20150098619A (ko) | 2012-12-17 | 2015-08-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랜 시스템에서 서비스 발견 방법 및 장치 |
KR20140081172A (ko) | 2012-12-21 | 2014-07-01 | 주식회사 팬택 | 싱크 장치, 소스 장치, 이들을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 및 싱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CN103077001B (zh) * | 2013-01-05 | 2016-08-24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控制无线显示的方法、装置及移动设备 |
WO2014109513A1 (ko) * | 2013-01-09 | 2014-07-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장치 |
US9652192B2 (en) * | 2013-01-25 | 2017-05-16 | Qualcomm Incorporated | Connectionless transport for user input control for wireless display devices |
JP6117562B2 (ja) | 2013-02-13 | 2017-04-19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
US9736766B2 (en) | 2013-02-21 | 2017-08-15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finding instrument for wi-fi direct P2P (peer to peer)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
KR101531856B1 (ko) * | 2013-04-03 | 2015-06-29 | 주식회사 팬택 |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역할 전환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
US9635112B2 (en) | 2013-05-02 | 2017-04-25 | Intel Corporatio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an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ASP) session |
US9197680B2 (en) * | 2013-05-23 | 2015-11-24 | Qualcomm Incorporated | Establishing and controlling audio and voice back channels of a Wi-Fi display connection |
CN103702436B (zh) * | 2013-12-11 | 2016-09-14 |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 Miracast反向控制方法及系统 |
KR20160119809A (ko) | 2014-02-03 | 2016-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초기화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1829843B1 (ko) * | 2014-02-06 | 2018-03-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N106063284B (zh) * | 2014-02-28 | 2020-01-03 | 三星电子株式会社 | 用于在通信系统播放多媒体内容的方法及装置 |
CN106105310B (zh) * | 2014-03-12 | 2019-09-17 | Lg 电子株式会社 | 无线通信系统中调整数据传输速率的方法和设备 |
CN103841271B (zh) * | 2014-03-21 | 2016-06-01 | 天津松下汽车电子开发有限公司 | 基于uibc活用的智能屏与智能手机互联系统及方法 |
US10158257B2 (en) | 2014-05-01 | 2018-12-18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ound waves to wirelessly deliver power to electronic devices |
US20150350288A1 (en) * | 2014-05-28 | 2015-12-03 | Qualcomm Incorporated | Media agnostic display for wi-fi display |
TWI610221B (zh) * | 2014-06-18 | 2018-01-01 |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 螢幕播送方法以及使用該方法的系統與裝置 |
US10068703B1 (en) | 2014-07-21 | 2018-09-04 | Energous Corporation | Integrated miniature PIFA with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metamaterials |
TW201610699A (zh) * | 2014-09-05 | 2016-03-16 |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 應用程式分享方法以及使用該方法的裝置 |
US9510384B2 (en) * | 2014-09-09 | 2016-11-29 | Qualcomm Incorporated | Pre-association content discovery |
CN105830457B (zh) * | 2014-11-27 | 2020-03-10 | 索尼公司 |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
KR102281341B1 (ko) | 2015-01-26 | 2021-07-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CN105991516B (zh) * | 2015-01-28 | 2019-06-25 |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 无线同屏系统中的反向传输音频的方法及装置 |
WO2016167475A1 (ko) * | 2015-04-17 | 2016-10-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fd에서 입력 문자 전환 방법 및 장치 |
WO2016186352A1 (ko) * | 2015-05-21 | 2016-1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Uibc를 통한 음성 명령어 처리 방법 및 장치 |
CN106303677A (zh) * | 2015-06-10 | 2017-01-04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无线显示控制系统及无线显示控制方法 |
US10523033B2 (en) | 2015-09-15 | 2019-12-31 | Energous Corporation | Receiver devices configured to determine location within a transmission field |
US10778041B2 (en) | 2015-09-16 | 2020-09-15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ower waves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US10734717B2 (en) | 2015-10-13 | 2020-08-04 | Energous Corporation | 3D ceramic mold antenna |
US10027180B1 (en) | 2015-11-02 | 2018-07-17 | Energous Corporation | 3D triple linear antenna that acts as heat sink |
US10063108B1 (en) | 2015-11-02 | 2018-08-28 | Energous Corporation | Stamped three-dimensional antenna |
US10038332B1 (en) | 2015-12-24 | 2018-07-31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of wireless power charging through multiple receiving devices |
US10027159B2 (en) | 2015-12-24 | 2018-07-17 | Energous Corporation | Antenna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signals |
US10079515B2 (en) | 2016-12-12 | 2018-09-18 | Energous Corporation | Near-field RF charging pad with multi-band antenna element with adaptive loading to efficiently charge an electronic device at any position on the pad |
US11863001B2 (en) | 2015-12-24 | 2024-01-02 | Energous Corporation | Near-field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th antenna elements that follow meandering patterns |
US20170195735A1 (en) * | 2015-12-31 | 2017-07-06 | Nagravision S.A.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pheral context management |
US11134114B2 (en) * | 2016-03-15 | 2021-09-28 | Intel Corporation | User input based adaptive streaming |
JP6462627B2 (ja) * | 2016-05-13 | 2019-01-30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US10923954B2 (en) | 2016-11-03 | 2021-02-16 | Energous Corporation | Wireless power receiver with a synchronous rectifier |
EP3552295A1 (en) | 2016-12-12 | 2019-10-16 | Energous Corporation | Methods of selectively activating antenna zones of a near-field charging pad to maximize wireless power delivered |
US10439442B2 (en) | 2017-01-24 | 2019-10-08 | Energous Corporation | Microstrip antennas for wireless power transmitters |
US10680319B2 (en) | 2017-01-06 | 2020-06-09 | Energous Corporation |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mutual coupling effects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
US10389161B2 (en) | 2017-03-15 | 2019-08-20 | Energous Corporation | Surface mount dielectric antennas for wireless power transmitters |
JP6926558B2 (ja) * | 2017-03-17 | 2021-08-25 | ヤマハ株式会社 | データ処理ユニット及び情報処理装置 |
US11011942B2 (en) | 2017-03-30 | 2021-05-18 | Energous Corporation | Flat antennas having two or more resonant frequencies for use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
US10511097B2 (en) | 2017-05-12 | 2019-12-17 | Energous Corporation | Near-field antennas for accumulating energy at a near-field distance with minimal far-field gain |
US11462949B2 (en) | 2017-05-16 | 2022-10-04 | Wireless electrical Grid LAN, WiGL Inc |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system |
US12074452B2 (en) | 2017-05-16 | 2024-08-27 | Wireless Electrical Grid Lan, Wigl Inc. | Networked wireless charging system |
US12074460B2 (en) | 2017-05-16 | 2024-08-27 | Wireless Electrical Grid Lan, Wigl Inc. | Rechargeable wireless power bank and method of using |
JP6914728B2 (ja) * | 2017-05-26 | 2021-08-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US10848853B2 (en) | 2017-06-23 | 2020-11-24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tilizing a wire of a sound-producing device as an antenna for receipt of wirelessly delivered power |
US10122219B1 (en) | 2017-10-10 | 2018-11-06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sing a battery as a antenna for receiving wirelessly delivered power from radio frequency power waves |
US11342798B2 (en) | 2017-10-30 | 2022-05-24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existence of wireless-power signals and data signals operating in a same frequency band |
WO2019125012A1 (ko) * | 2017-12-21 | 2019-06-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랜 시스템에서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장치 |
US10615647B2 (en) | 2018-02-02 | 2020-04-07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wireless power receivers and other objects at a near-field charging pad |
US11159057B2 (en) | 2018-03-14 | 2021-10-26 | Energous Corporation | Loop antennas with selectively-activated feeds to control propagation patterns of wireless power signals |
US11515732B2 (en) | 2018-06-25 | 2022-11-29 | Energous Corporation | Power wave transmission techniques to focus wirelessly delivered power at a receiving device |
US11437735B2 (en) | 2018-11-14 | 2022-09-06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for receiving electromagnetic energy using antennas that are minimally affected by the presence of the human body |
TWI691204B (zh) * | 2018-12-22 | 2020-04-11 | 弘真科技股份有限公司 | 無線影音資訊分享系統及方法 |
KR20210117283A (ko) | 2019-01-28 | 2021-09-28 | 에너저스 코포레이션 |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소형 안테나에 대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
CN113661660B (zh) | 2019-02-06 | 2023-01-24 | 艾诺格思公司 | 估计最佳相位的方法、无线电力发射设备及存储介质 |
CN110324115B (zh) * | 2019-06-10 | 2022-01-04 | 普联技术有限公司 |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
US11381118B2 (en) | 2019-09-20 | 2022-07-05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learning based foreign object dete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WO2021055898A1 (en) | 2019-09-20 | 2021-03-25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learning based foreign object dete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WO2021055900A1 (en) | 2019-09-20 | 2021-03-25 | Energous Corporation | Classifying and detecting foreign objects using a power amplifier controller integrated circuit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
CN115104234A (zh) | 2019-09-20 | 2022-09-23 | 艾诺格思公司 | 使用多个整流器保护无线电力接收器以及使用多个整流器建立带内通信的系统和方法 |
US11355966B2 (en) | 2019-12-13 | 2022-06-07 | Energous Corporation | Charging pad with guiding contours to align an electronic device on the charging pad and efficiently transfer near-field radio-frequency energy to the electronic device |
US10985617B1 (en) | 2019-12-31 | 2021-04-20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 for wirelessly transmitting energy at a near-field distance without using beam-forming control |
US11799324B2 (en) | 2020-04-13 | 2023-10-24 | Energous Corporation | Wireless-power transmitting device for creating a uniform near-field charging area |
US11916398B2 (en) | 2021-12-29 | 2024-02-27 | Energous Corporation | Small form-factor devices with integrated and modular harvesting receivers, and shelving-mounted wireless-power transmitters for use therewith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85156A1 (en) * | 2001-04-03 | 2003-10-02 | Makoto Sato |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tter |
US20070294726A1 (en) * | 2004-09-29 | 2007-12-20 | Drazin Jonathan P V | Ipg With Dvd Ordering Facility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0210488D0 (en) | 2002-05-08 | 2002-06-12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Control of an AV content source component |
US20050198663A1 (en) | 2003-12-18 | 2005-09-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ser interface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on in networked devices |
JP4878218B2 (ja) | 2006-06-02 | 2012-02-15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機能を備えた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7881315B2 (en) * | 2006-06-27 | 2011-02-01 | Microsoft Corporation | Local peer-to-peer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
KR101449024B1 (ko) | 2008-03-14 | 2014-10-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이렉트 링크 설정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이를 지원하는 장치, 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위한 프레임포맷 |
GB2463103A (en) * | 2008-09-05 | 2010-03-10 | Skype Ltd | Video telephone call using a television receiver |
US20100205628A1 (en) * | 2009-02-12 | 2010-08-12 | Davis Bruce L | Media processing methods and arrangements |
US8156238B2 (en) | 2009-05-13 | 2012-04-10 | Stmicroelectronics, Inc. | Wireless multimedia transport method and apparatus |
JP5441512B2 (ja) | 2009-06-18 | 2014-03-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KR101732057B1 (ko) | 2009-11-02 | 2017-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v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 백 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및 기기 |
KR101698856B1 (ko) | 2010-09-01 | 2017-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기기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
JP5811602B2 (ja) * | 2010-12-16 | 2015-11-11 | ソニー株式会社 | 画像生成装置、プログラム、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KR20120069832A (ko) | 2010-12-21 | 2012-06-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
-
2012
- 2012-01-13 MX MX2013007996A patent/MX2013007996A/es active IP Right Grant
- 2012-01-13 CA CA2824017A patent/CA2824017C/en active Active
- 2012-01-13 CN CN201710229666.8A patent/CN107015673B/zh active Active
- 2012-01-13 US US13/979,802 patent/US9867032B2/en active Active
- 2012-01-13 WO PCT/KR2012/000341 patent/WO2012096546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1-13 CN CN201280005413.8A patent/CN103314366B/zh active Active
- 2012-01-13 EP EP12734538.7A patent/EP2664994B1/en active Active
- 2012-01-13 BR BR112013017931A patent/BR112013017931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01-13 JP JP2013549368A patent/JP5918270B2/ja active Active
- 2012-01-16 KR KR1020120004915A patent/KR10186368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12-20 US US15/848,937 patent/US10327131B2/en active Active
-
2018
- 2018-05-28 KR KR1020180060686A patent/KR1019828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85156A1 (en) * | 2001-04-03 | 2003-10-02 | Makoto Sato |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tter |
US20070294726A1 (en) * | 2004-09-29 | 2007-12-20 | Drazin Jonathan P V | Ipg With Dvd Ordering Facili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327131B2 (en) | 2019-06-18 |
EP2664994A4 (en) | 2014-08-06 |
WO2012096546A3 (ko) | 2012-11-29 |
US20180115886A1 (en) | 2018-04-26 |
CA2824017C (en) | 2021-08-24 |
KR20120082846A (ko) | 2012-07-24 |
KR20180075442A (ko) | 2018-07-04 |
CN107015673A (zh) | 2017-08-04 |
BR112013017931A2 (pt) | 2018-09-18 |
CA2824017A1 (en) | 2012-07-19 |
US9867032B2 (en) | 2018-01-09 |
US20130304794A1 (en) | 2013-11-14 |
CN107015673B (zh) | 2020-11-24 |
EP2664994B1 (en) | 2021-06-30 |
MX2013007996A (es) | 2013-08-21 |
JP5918270B2 (ja) | 2016-05-18 |
EP2664994A2 (en) | 2013-11-20 |
CN103314366B (zh) | 2017-05-03 |
KR101863686B1 (ko) | 2018-06-01 |
WO2012096546A2 (ko) | 2012-07-19 |
JP2014507862A (ja) | 2014-03-27 |
CN103314366A (zh) | 2013-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2821B1 (ko) |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에서의 싱크 디바이스에서 소스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입력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CN111459433B (zh) | 一种传屏方法、设备及存储介质 | |
KR101541851B1 (ko) |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휴먼 입력 디바이스 커맨드들의 송신 | |
JP4703169B2 (ja) | メディアサーバデバイス | |
US20130050271A1 (en) |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 |
US8750911B2 (en) | Content source, content sink, and method for natively managing and delivering active content from one or more content sources to one or more content sinks wirelessly | |
CN106537848A (zh) | 无线通信系统 | |
EP3084553B1 (en) | Wireless docking system | |
WO2015150428A1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WO2012155539A1 (zh) | 在近场通信网络中共享数据和应用的方法及近场通信网络 | |
KR20100070765A (ko) | 이종 기기간 디지털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 | |
KR20170020776A (ko) | Hdm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JP2016054373A (ja) | 近距離無線装置及びオーディオ機器 | |
JP2010056966A (ja) | 画像コンテンツ送信サーバ、画像表示装置、画像コンテンツ送信方法、及び、画像表示方法 | |
KR20220048245A (ko) |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시스템 | |
US20050065769A1 (en) | Central system based user interface resource management | |
KR20210157799A (ko) | 무선 시스템 및 무선 디바이스 | |
CN115134454A (zh) | 一种移动kvm控制装置及方法 | |
TW201639404A (zh) | 資料傳輸系統及通訊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