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80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초기화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초기화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809A
KR20160119809A KR1020167024392A KR20167024392A KR20160119809A KR 20160119809 A KR20160119809 A KR 20160119809A KR 1020167024392 A KR1020167024392 A KR 1020167024392A KR 20167024392 A KR20167024392 A KR 20167024392A KR 20160119809 A KR20160119809 A KR 20160119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fd
rtsp
sub
discove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주
박기원
김동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19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04L65/4084
    • H04L65/6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WFD(Wi-Fi Display)를 지원하는 제1 장치가 WFD 서비스를 초기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장치가 WFD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프레임을 제2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장치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M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WFD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프레임 전송 시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제2 장치 사이에 IP(Internet Protocol)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M1 메시지 전송 이전에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요청 또는 세션 초기화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 장치로 전송하는,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초기화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SSION INITI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디스플레이에서 세션 초기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없이, 장치(device)들이 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직접 통신 기술로서,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또는 Wi-Fi P2P(peer-to-peer)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하면 복잡한 설정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장치들이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무선랜 시스템의 통신 속도로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최근 다양한 Wi-Fi 지원 장치들이 이용되며, 그 중에서도 AP 없이 Wi-Fi 장치간 통신이 가능한 Wi-Fi Direct 지원 장치의 개수가 증가하고 있다. WFA(Wi-Fi Alliance)에서는 Wi-Fi Direct 링크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센드(Send), 플레이(Play), 디스플레이(Display), 프린트(Print) 등)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도입하는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이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WFDS)라고 칭할 수 있다. WFDS 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은 ASP(Application Service Platform)이라는 서비스 플랫폼에 의해서 제어 또는 관리될 수 있다.
무선랜(WLAN) 기술에 대한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그룹에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a 및 b 는 2.4.GHz 또는 5GHz 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이용하고, IEEE 802.11b 는 11Mbps 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고, IEEE 802.11a 는 54 Mbps 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g 는 2.4GHz 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를 적용하여 54Mbps 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 은 다중입출력 OFDM(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FDM, MIMO-OFDM)을 적용하여 300Mbps 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 은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을 40MHz 까지 지원하며, 이 경우 600Mbps 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e 에 따른 무선랜 환경에서의 DLS(Direct Link Setup) 관련 프로토콜은 BSS(Basic Service Set)가 QoS(Quality of Service)를 지원하는 QBSS(Quality BSS)를 전제로 한다. QBSS 에서는 비-AP(Non-AP) STA 뿐만 아니라 AP 도 QoS 를 지원하는 QAP(Quality AP)이다. 그런데,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무선랜 환경(예를 들어, IEEE 802.11a/b/g 등에 따른 무선랜 환경)에서는 비록 Non-AP STA 이 QoS 를 지원하는 QSTA(Quality STA)이라고 하더라도 AP 는 QoS 를 지원하지 못하는 레거시(Legacy) AP 가 대부분이다. 그 결과,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무선랜 환경에서는 QSTA 이라고 하더라도 DLS 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없는 한계가 있다.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Tunneled Direct Link Setup; TDLS)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새롭게 제안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다. TDLS 는 QoS 를 지원하지는 않지만 현재 상용화된 IEEE 802.11a/b/g 등의 무선랜 환경에서도 QSTA 들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전원 절약 모드(Power Save Mode; PSM)에서도 다이렉트 링크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TDLS 는 레거시 AP 가 관리하는 BSS 에서도 QSTA 들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반 절차를 규정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이러한 TDLS 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TDLS 무선 네트워크라고 한다.
종래의 무선랜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가 허브로서 기능하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BSS 에 대한 동작을 주로 다루었다. AP 는 무선/유선 연결을 위한 물리 계층 지원 기능과, 네트워크 상의 장치들에 대한 라우팅 기능과, 장치를 네트워크에 추가/제거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등을 담당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은 AP 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지, 서로간에 직접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장치들 간의 직접 연결을 지원하는 기술로서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표준의 제정이 논의되고 있다.
Wi-Fi 다이렉트 네트워크는 Wi-Fi 장치들이 홈 네트워크, 오피스 네트워크 및 핫스팟 네트워크에 참가하지 않아도, 서로 장치-대-장치(Device to Device; D2D)(혹은, Peer-to-Peer;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서 Wi-Fi 연합(Alliance)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하, Wi-Fi Direct 기반 통신을 와이파이 D2D 통신(간단히, D2D 통신) 혹은 와이파이 P2P 통신(간단히, P2P 통신)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와이파이 P2P 수행 장치를 와이파이 P2P 장치, 간단히 P2P 장치라고 지칭한다.
WFDS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Wi-Fi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WFDS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디지털 카메라, 프로젝터 및 스마트 폰 등 Wi-Fi 를 지원하는 장치들을 포함한다. 또한, WFDS 장치는 Non-AP STA 및 AP STA 를 포함한다. WFDS 네트워크 내의 WFDS 장치들은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2P 통신은 두 WFDS 장치들간의 신호 전송 경로가 제 3 의 장치(예를 들어, AP) 또는 기존 네트워크(예를 들어, AP 를 거쳐 WLAN 에 접속)를 거치지 않고 해당 WFDS 장치들간에 직접 설정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두 WFDS 장치들 간에 직접 설정된 신호 전송 경로는 데이터 전송 경로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2P 통신은 복수의 Non-STA 들이 AP 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예, 음성/영상/문자 정보 등)를 전송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 정보(예, P2P 설정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무선 장치 식별 정보 등)를 위한 신호 전송 경로는 WFDS 장치들(예를 들어, Non-AP STA-대-Non-AP STA, Non-AP STA-대-AP) 간에 직접 설정되거나, AP 를 경유하여 두 WFDS 장치들(예를 들어, Non-AP STA-대-Non-AP STA) 간에 설정되거나, AP 와 해당 WFDS 장치(예를 들어, AP-대-Non-AP STA#1, AP-대-Non-AP STA#2) 간에 설정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링크 계층(Link layer)의 동작까지 정의하는 네트워크 연결 표준 기술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해서 구성된 링크의 상위 계층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표준이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들이 서로 연결된 후에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경우의 호환성을 지원하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WFDS)라는 상위 계층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대한 표준화가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FA)에서 논의중이다.
도 1 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WFDS) 프레임워크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의 Wi-Fi Direct 계층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표준에 의해서 정의되는 MAC 계층을 의미한다. Wi-Fi Direct 계층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표준과 호환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성될 수 있다. Wi-Fi Direct 계층의 하위에는 Wi-Fi PHY 와 호환되는 물리 계층(미도시)에 의해서 무선 연결이 구성될 수 있다. Wi-Fi Direct 계층의 상위에 ASP(Application Service Platform)이라는 플랫폼이 정의된다.
ASP 는 공통 공유 플랫폼(common shared platform)이며, 그 상위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계층과 그 하위의 Wi-Fi Direct 계층 사이에서 세션(session)관리, 서비스의 명령 처리, ASP 간 제어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한다.
ASP 의 상위에는 서비스(Service) 계층이 정의된다. 서비스 계층은 용도(use case) 특정 서비스들을 포함한다. WFA 에서는 4 개의 기본 서비스인 센드(Send), 플레이(Play), 디스플레이(Display), 프린트(Print) 서비스를 정의한다. 또한, 인에이블(Enable)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는 기본 서비스 외에 서드파티(3rd party)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경우에 ASP 공통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정의된다.
도 1 에서는 서비스의 예시로서, Send, Play, Display, Print, 또는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서 정의하는 서비스 등을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적용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에서 "서비스"라는 용어는 상기 Send, Play, Display, Print, 또는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서 정의하는 서비스 외에도, 와이파이 시리얼버스(Wi-Fi Serial Bus; WSB), 와이파이 도킹(Wi-Fi Docking), 또는 인접 인지 네트워크(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NAN)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중의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Send 는 두 WFDS 장치간 파일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Play 는 두 WFDS 장치간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A/V), 사진, 음악 등을 공유 또는 스트리밍하는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Print 는 문서, 사진 등의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장치와 프린터 사이에서 문서, 사진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Display 는 WFA 의 미라캐스트(Miracast) 소스와 싱크 사이에 화면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정보를 사람이 인식 가능한 형태로 표현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하위 계층에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 연결을 이미 가지고 있는 장치가 세션 초기화를 수행하는 방법들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기술적인 측면은, WFD(Wi-Fi Display)를 지원하는 제 1 장치가 WFD 서비스를 초기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장치가 WFD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프레임을 제 2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장치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M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WFD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프레임 전송 시 상기 제 1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 사이에 IP(Internet Protocol)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M1 메시지 전송 이전에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요청 또는 세션 초기화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2 장치로 전송하는,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2 기술적인 측면은, WFD(Wi-Fi Display)를 지원하는 제 1 장치에 있어서, 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WFD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프레임을 제 2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장치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M1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WFD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프레임 전송 시 상기 제 1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 사이에 IP(Internet Protocol)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M1 메시지 전송 이전에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요청을 상기 제 2 장치로 전송하는, 제 1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2 기술적인 측면은 다음 사항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FD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프레임 전송 시 상기 제 1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 사이에 IP 연결이 수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M1 메시지 전송 이전에 상기 제 2 장치와의 연결 셋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응답이 긍정 응답인 경우, 상기 제 1 장치는 TCP 서버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응답은 WFD IE, WSC IE, P2P I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FD IE 에는 WFD Device Information 부요소, Associated BSSID 부요소, Coupled Sink Information 부요소, WFD Extended Capability 부요소, Infrastructure BSS 부요소 및 Status 부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Infrastructure BSS 부요소를 통해 상기 제 2 장치가 연관되어 있는 AP(Access Point)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Status 부요소는 상기 긍정 응답 또는 부정 응답 중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긍정 응답 및 상기 부정 응답은 상기 제 2 장치가 사용자 질의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요청은 WFD IE, WSC IE, P2P I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FD IE 에는 WFD Device Information 부요소, Associated BSSID 부요소, Coupled Sink Information 부요소, WFD Extended Capability 부요소, Infrastructure BSS 부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Infrastructure BSS 부요소는 상기 제 1 장치가 연관되어 있는 AP(Access Point)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션 초기화 요청은 IP 헤더, UDP(user datagram protocol) 헤더, UDP 데이터 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장치는 WFD 소스, 상기 제 2 장치는 WFD 싱크일 수 있다.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RTSP M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RTSP M1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 2 장치가 지원하는 RTSP 메소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존재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연결이 있는 경우 P2P 또는 TDLS 연결을 다시 수행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절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WFDS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2 에는 WFD 연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 은 WFD 세션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4 는 WFD 세션 수립을 위해 필요한 절차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WFD 연결 토폴로지를 나타낸다.
도 6 은 WFD 능력 교환 및 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WFD 세션 수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0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P 패킷을 이용한 WFD 세션의 초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UPnP 를 이용한 RTPS 초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ASP 를 이용한 WFD 세션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1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 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 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 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 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IEEE 802.11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Wi-Fi Display
WFDS 중 디스플레이 서비스, 즉 와이파이 디스플레이(Wi-Fi Display, WFD)는 P2P 장치들 사이에 화면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도 2 에는 WFD 연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서, WFD 소스와 WFD 싱크는 WFDS 장치(WFDS device)로써, P2P 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WFD 소스는 P2P 링크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장치를, WFD 싱크는 P2P 링크를 통해 WFD 소스 기기로부터 데이터 집합을 수신하여 이미지 및/또는 사운드르 생성하는 절차를 수행(이 절차를 렌더링이라 칭할 수 있음)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WFD 싱크는 프라이머리(primary) 싱크와 세컨더리(secondary) 싱크로 구분될 수 있는데, 특히 세컨더리 싱크는 WFD 소스와 독립적으로 연결되면 오디오 페이로드만 렌더링 할 수 있다.
도 3 은 WFD 세션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3(a)는 오디오-단독(audio only) 세션으로써, WFD 소스는 프라이머리 싱크 또는 세컨더리 싱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b)는 비디오-단독(video-only) 세션으로써, WFD 소스는 프라이머리 싱크와 연결된다. 도 3(c)는 오디오 및 비디오 세션으로써, 도 3(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WFD 소스와 연결되는 WFD 싱크는 프라이머리 싱크만 가능하다. 도 3(d)는 커플드 싱크(Coupled WFD Sink) 동작의 경우 세션 연결을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프라이머리 싱크는 비디오를, 세컨더리 싱크는 오디오를 각각 렌더링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프라이머리 싱크가 비디오 및 오디오를 모두 렌더링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세션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후 수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FD 장치 탐색(WFD Device Discovery, S401), WFD 서비스 디스커버리(WFD Service Discovery, S402), WFD 연결 셋업(WFD Connection Setup, S403), 능력 교환 및 협상(Capability Exchange and Negotiation, S404) 절차를 수행한 후 세션이 수립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순차적으로 살펴본다.
WFD 장치 디스커버리
WFD 소스는 WFD 장치 디스커버리를 통해 WFD 를 위한 피어 장치, 즉 WFD 싱크를 찾을 수 있다.
WFD 장치 디스커버리를 위해 WFD 장치들은 비콘, 프로브 요청 프레임 및 프로브 응답 프레임 등에 WFD IE(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WFD IE 는 장치 타입, 장치 상태 등의 WFD 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로써,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WFD 장치가 WFD IE 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자신의 WFD IE 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만약 WFD 장치가 인프라스트럭처 AP 와 연계되어 있고 Wi-Fi P2P 장치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는 WFD IE, WSC(Wi-Fi Simple Configuration) IE 및 P2P 정보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응답인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수신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P2P IE, WSC IE 및 WFD IE 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언급되지 않은 WFD 장치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내용들은 'Wi-Fi Display Technical Specification' 및/또는 'Wi-Fi Peer-to-Peer (P2P) Technical Specification Wi-Fi Direct Service Addendum' 문서에 따를 수 있으며, 이는 이하의 설명들에도 적용된다.
WFD 서비스 디스커버리
WFD 장치 디스커버리를 수행한 WFD 소스 및/또는 WFD 싱크는, 필요한 경우, 서로의 서비스 능력을 탐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WFD 장치가 WFD 능력이 정보 부 요소(information subelement)로서 포함되는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면, 다른 WFD 장치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자신의 WFD 능력이 정보 부 요소로서 포함되는 서비스 탐색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탐색 절차의 수행을 위해, 장치 탐색 절차에 이용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에는 WFD 장치가 서비스 탐색 절차를 지원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WFD 연결 셋업
WDF 장치 디스커버리 그리고 선택적으로 WFD 서비스 디스커버리 절차를 수행한 WFD 장치는 WFD 연결 셋업을 위한 WDF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정책 또는 사용자 입력 등에 따라 WFD 연결 셋업을 위한 WFD 장치를 선택한 후의 WFD 연결은 Wi-Fi P2P 및 TDLS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스킴(Connectivity Scheme)이 사용될 수 있다. WFD 장치들은 선호하는 연결(Preferred Connectivity) 정보 및 WFD 정보 요소와 함께 전달되는 연계된 BSSID 부 요소에 기초하여, 연결 스킴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a), 5(b)에는 Wi-Fi P2P 를 사용한 연결과 TDLS 를 사용한 연결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서 AP 는 WFD 소스와 WFD 싱크에게 공통되는 것 또는 상이한 것일 수 있다. 또는, AP 는 존재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TDLS 를 사용하여 WFD 연결을 수행하는 경우, WFD 소스와 WFD 싱크는, 도 5(b)와 같이, AP 와 연결을 유지해야 한다.
WFD 능력 교환 및 협상
WFD 장치들 사이에 WFD 연결 셋업이 수행되면, WFD 장치는 WFD 능력 교환 및 협상을 진행할 수 있다. WFD 능력 협상을 통해 WFD 소스 및 WFD 싱크는 서로가 지원하는 코덱, 코덱의 프로파일 정보, 코덱의 레벨 정보 및 해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WFD 장치에게 전달된다. WFD 능력 교환 및 협상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한 메시지를 교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WFD 세션 동안의 오디오/비디오 페이로드를 정의하는 파라미터 셋을 결정할 수 있다. WFD 능력 교환 및 협상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RTSP M1 부터 RTSP M4 메시지의 교환에 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FD 소스는 RTSP 절차 및 WFD 능력 협상을 시작하기 위한 RTSP M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1). RTSP M1 요청 메시지는 WFD 싱크에서 지원하는 RTSP 메소드(methods) 셋(set)을 결정하기 위한 RTSP OPTIONS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RTSP M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WFD 싱크는 자신이 지원하는 RTSP 메소드가 열거된 RTSP M1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2).
계속해서, WFD 싱크는 WFD 소스에서 지원하는 RTSP 메소드 셋을 결정하기 위한 RTSP M2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3). RTSP M2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WFD 소스는 자신이 지원하는 RTSP 메소드가 열거된 RTSP M2 응답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S604).
WFD 소스는 알고 싶은 WFD 능력들의 목록을 명시한 RTSP M3 요청 메시지 (RTSP GET_PARAMETER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5). RTSP M3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WFD 싱크는 RTSP M3 응답 메시지(RTSP GET_PARAMETER 응답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RTSP M3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WFD 소스는 WFD 세션 동안 사용될 최적의 파라미터 셋을 결정하고, 결정된 파라미터 셋을 포함하는 RTSP M4 요청 메시지(RTSP SET_PARAMETER 요청 메시지)를 WFD 싱크로 전송할 수 있다(S606). 이를 수신한 WFD 싱크는 RTSP M4 응답 메시지(RTSP SET_PARAMETER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6).
WFD 세션 수립
WFD 능력 교환 및 협상을 수행한 WFD 장치들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차를 통해 WFD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FD 소스는 RTSP SET 파라미터 요청 메시지(RTSP M5 Trigger SETUP request)를 WFD 싱크로 전송할 수 있다(S701). 이에 대해 WFD 싱크는 RTSP M5 응답 메시지(RTSP M5 response)로 응답할 수 있다.
트리거 파라미터 SETUP 을 포함하는 RTSP M5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교환되면, WFD 싱크는 RTSP SETUP 요청 메시지(RTSP M6 request)를 WFD 소스로 전송할 수 있다. RTSP M6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WFD 소스는 RTSP SETUP 응답 메시지(RTSP M6 response)로 응답할 수 있다. RTSP M6 응답 메시지의 상태 코드가 'OK'를 지시한다면, RTSP 세션은 성공적으로 구축된 것일 수 있다.
RTSP M6 메시지의 성공적인 교환 이후, WFD 싱크는 RTP 스트림을 수신할 준비가 되었을 알리기 위해 RTSP PLAY 요청 메시지(RTSP M7 request)를 WFD 소스로 전송할 수 있다. WFD 소스는 RTSP PLAY 응답 메시지(RTSP M7 response)로 응답할 수 있다. 여기서, RTSP PLAY 응답 메시지의 상태 코드 'OK'는 WFD 세션이 성공적으로 수립되었음을 나타낸다. WFD 세션이 수립된 후, WFD 소스는, WFD 싱크로 WFD 싱크에서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RTSP 파라미터에 대한 능력을 획득하기 위한 RTSP M3 요청 메시지(RTSP GET_PARAMETER 요청 메시지), AV(Audio/Video) 포맷 갱신을 위한 WFD 소스 및 WFD 싱크 사이의 능력 재협상을 위해, WFD 세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RTSP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기 위한 RTSP M4 요청 메시지, WFD 싱크가 RTSP PAUSE 요청 메시지(RTSP M9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트리거하는 RTSP M5 요청 메시지, WFD 소스가 WFD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진입함을 지시하는 RTSP M12 요청 메시지, UIBC 에서 사용될 입력 타입, 입력 장치 및 다른 파라미터들을 선택하기 위한 RTSP M14 요청 메시지 또는 UIBC 를 이네이블(enable) 또는 디세이블(disable)하기 위한 RTSP M15 요청 메시지 등을 WFD 싱크로 전송할 수 있다. WFD 소스로부터 상기 열거된 RTSP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WFD 싱크는 RTSP 응답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계속해서, WFD 싱크는 오디오/비디오 스트리밍을 시작(또는 재개)하기 위한 RTSP M7 요청 메시지(RTSP PLAY 요청 메시지), WFD 소스로부터 WFD 싱크로의 오디오/비디오 스트리밍의 일시 중단을 위한 RTSP M9 요청 메시지(RTSP PAUSE 요청 메시지), WFD 소스에게 오디오 렌더링 장치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RTSP M10 요청 메시지, 활성 커넥터 타입(active connector type)의 변경을 지시하는 RTSP M11 요청 메시지, WFD 싱크가 WFD 대기 모드로 진입하였음을 지시하는 RTSP M12 요청 메시지, WFD 소스에게 IDR 을 리프레시할 것을 요청하는 M13 요청 메시지, UIBC 에서 사용될 입력 타입, 입력 장치 및 다른 파라미터들을 선택하기 위한 RTSP M14 요청 메시지 또는 UIBC 를 이네이블(enable) 또는 디세이블(disable)하기 위한 RTSP M15 요청 메시지 등을 WFD 소스로 전송할 수 있다. WFD 싱크로부터 상기 열거된 RTSP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WFD 소스는 RTSP 응답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WFD 세션이 구축되어, 오디오/비디오 스트리밍이 시작되면, WFD 소스 및 WFD 싱크는 양자가 공통으로 지원하는 코덱을 이용하여 오디오/비디오 스트리밍을 진행할 수 있다. WFD 소스와 WFD 싱크가 공통으로 지원하는 코덱을 이용함에 따라, 양자간의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을 보장할 수 있다.
WFD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WFD 통신은 WFD IE 에 기초하는데, WFD IE 의 프레임 포맷은 다음 표 1 과 같다.
Figure pct00001
상기 표 1 과 같이, WFD IE 는 종래의 P2P IE 와 유사하게 Element ID 필드, Length 필드, WFD 특정의 OUI 필드, WFD IE 의 타입/버전을 나타내는 OUI type 필드 및 WFD subelement 필드로 이루어진다. WFD subelement 필드는 다음 표 2 와 같은 형식을 가진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1 옥텟의 subelement ID 필드는 이 WFD subelement 가 어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지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subelement ID 필드의 값 0, 1, … 10 은, 이 subelement 가 각각 WFD Device Information subelement, Associated BSSID subelement, WFD Audio Formats subelement, WFD Video Formats subelement, WFD 3D Video Formats subelement, WFD Content Protection subelement, Coupled Sink Information subelement, WFD Extended Capability subelement, Local IP Address subelement, WFD Session Information subelement, Alternative MAC Address subelement 임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WFD Device Information subelement 는 WFD 장치와의 페어링 및 세션 생성을 시도할 지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Associated BSSID subelement 는 현재 연계된 AP 의 주소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WFD Audio Formats subelement, WFD Video Formats subelement, WFD 3D Video Formats subelement 는 각각 오디오, 비디오, 3D 비디오에 관련된 WFD 장치의 능력(capability)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WFD Content Protection subelement 는 컨텐츠 보호 스킴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며, Coupled Sink Information subelement 는 coupled 싱크의 상태, MAC 주소 등에 관한 정보를 전달한다. WFD Extended Capability subelement 는 기타 WFD 장치의 다양한 능력 정보를, Local IP Address subelement 는 TDLS 셋업 과정에서 WFD 피어에게 IP 주소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WFD Session Information subelement 는 WFD 그룹 내 WFD 장치 정보 기술자의 리스트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WFD 연결 스킴이 장치 디스커버리에서 사용되는 것과 다른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MAC 주소)를 필요로 하는 경우 Alternative MAC Address subelement 가 관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계속해서, Subelement body 필드는 subelement ID 에 해당하는 subelement 의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WFD Device Information subelement 의 경우, subelement body 필드는 다음 표 3 에 예시된 바와 같이, WFD 장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WFD Device Information 서브필드, RTSP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TCP 포트 정보를 나타내는 Session Management Control Port 서브필드 및 최대 평균 수율에 대한 정보인 WFD Device Maximum Throughput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앞선 설명들에 의하면, WFD, 즉 미라캐스트(Miracast)에서는 이미 P2P 또는 인프라스트럭처 BSS 를 통해 소스와 싱크 사이에 IP 연결이 있는 경우에도 P2P 또는 TDLS 중 하나의 방식을 통해 레이어 2 연결부터 다시 진행하게 되어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 1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 사이에 IP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경우 레이어 2 재연결 과정 없이 서비스/세션을 초기화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실시예 1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세션 초기화 절차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 8 에 도시된 것은 예시적인 것이며, 각 단계들 전체가 반드시 순차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서비스 디스커버리 절차를 수행한 이후에만 P2P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도 8 을 참조하면, 단계 S801 에서 소스와 싱크는 디바이스/서비스 디스커버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장치는 WFD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프레임을 제 2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 1 장치는 RTSP 절차 및 WFD 능력 협상을 시작하기 위해 RTSP M1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05). 여기서, 만약 제 1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 사이에 IP 연결이 이미 수립(예를 들어, WFD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프레임 전송 시 등을 기준으로)되어 있는 경우, 제 1 장치는 상기 M1 메시지 전송 이전에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요청을 상기 제 2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802). 만약, 제 1 장치와 제 2 장치 사이에 IP 연결이 수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1 장치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M1 메시지 전송 이전에 제 2 장치와의 연결 셋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제 1 장치는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요청을 전송한 후, 제 2 장치로부터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응답을 수신(S803)하고, 이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응답에 포함된 정보가 긍정 응답(예를 들어, success)인 경우 RTSP 연결을 위한 TCP 서버를 동작시킬 수 있다(S804). 이 때, TCP 포트는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응답에 포함된 WFD Device Information 부요소에서 지정하는 것 또는 미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TCP 연결이 완료되면, 소스는 RTSP M1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05).
상기 언급된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요청은 WFD IE, WSC IE, P2P I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WFD IE 에는 WFD Device Information 부요소, Associated BSSID 부요소, Coupled Sink Information 부요소, WFD Extended Capability 부요소, Infrastructure BSS 부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 표 6 은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요청에 포함되는 부요소들의 예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또한, Infrastructure BSS 부요소는 제 1 장치가 연관되어 있는 AP 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WSC IE, P2P IE 나 WFD IE 적어도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 있다. 다음 표 7 은 Infrastructure BSS 부요소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응답 역시 WFD IE, WSC IE, P2P I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WFD IE 에는 WFD Device Information 부요소, Associated BSSID 부요소, Coupled Sink Information 부요소, WFD Session Information 부요소, WFD Extended Capability 부요소, Infrastructure BSS 부요소 및 Status 부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 표 8 은 WFD IE 를 포함하는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응답의 예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제 1 장치는 Infrastructure BSS 부요소를 통해 제 2 장치가 연관되어 있는 AP 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frastructure BSS 부요소 포맷은 표 5 와 같을 수 있다. Status 부요소는 긍정 응답 또는 부정 응답 중 하나를 지시할 수 있는데, 이 긍정 응답 및 상기 부정 응답은 제 2 장치가 사용자 질의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결정된 것일 수 있다(도 9 참조, 도 9(a)는 success 의 경우, 도 9(b)는 fail 의 경우). Status 부요소의 포맷은 다음 표 9 와 같을 수 있으며, 표 10 은 Status 부요소에 포함된 Status Code 필드 값에 상응하는 이유 코드(reason code)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싱크가 현재 WFD 세션을 시작하지 못하는 경우 등에서는 만약,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응답에서 fail 을 지시할 수도 있다. 이 때 제 1 장치는 reason code 를 통해 fail 의 이유를 인지할 수 있다. 도 10 에는 이러한 경우의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2-1
두 번째 실시예는 IP 패킷을 이용한 WFD 세션의 초기화에 관한 것이다. WFD 장치가 IP 계층 연결이 있는 경우(장치/서비스 디스커버리 완료), WFD 제어 프로토콜을 통해 IP 계층에서 WFD 장치의 디스커버리 및/또는 RTSP start 요청/응답을 수행할 수 있다.
WFD 장치는 IP 연결 상태에서 UDP/TCP 포트를 통해 패킷을 수신할 수 있으며, WFD 제어 패킷은 특정한 IP 주소를 갖고 유니캐스트되거나 또는 서브넷 전체에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WFD 제어 프로토콜의 포맷은 도 11 에 예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는 버전, OPcode(메시지 타입), 쿼리, 길이(length)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length 이하 하나 이상의 TLV 필드에는 WFD 에서 정의되는 부요소(subelement)가 포함될 수 있다.
RTSP start 요청/응답은 디스커버리 절차 수행 이후, WFD 의 제어 평면인 RTSP 를 구동하기 위한 절차로써, RTSP start 요청은 소스 또는 싱크 중 하나가 전송할 수 있다. RTSP start 요청 패킷에서, 목적 주소는 상대 장치의 IP 주소로 설정될 수 있고, 버전 필드, Opcode 필드, 쿼리 필드, 길이 필드, TLV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TLV 필드는 종래에 정의된 WFD IE(WFD Device Information subelement, Associated BSSID subelement, WFD Audio Formats subelement, WFD Video Formats subelement, WFD 3D Video Formats subelement, WFD Content Protection subelement, Coupled Sink Information subelement, WFD Extended Capability subelement, Local IP Address subelement, WFD Session Information subelement, Alternative MAC Address subelement)를 전달할 수 있다. 다음 표 11 은 RTSP start 요청 패킷의 일 예이다.
Figure pct00011
RTSP start 응답 패킷은 유니캐스트로써 전송되며, RTSP start 요청 패킷과 유사하게 버전 필드, Opcode 필드, 쿼리 필드, 길이 필드, TLV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표 12 은 RTSP start 응답 패킷의 일 예이다.
Figure pct00012
상술한 바와 같은 RTSP 요청/응답 패킷을 이용하여, RTSP 메시지 시퀀스를 시작할 수 있다. 이 과정이 도 12 에 예시되어 있다. 도 12 를 참조하면, WFD RTSP Start 요청/응답이 성공적으로 교환(S1201, S1202)되면, 소스는 RTSP 을 위한 TCP 포트 을 열고 TCP 서버를 동작시킨다(S1203). 싱크는 이후 TCP connection 을 연결(S1204)하고, RTSP M1 Request message 의 수신을 대기한다. 이 후 RTSP M1 메시지가 교환되는데 이후 절차는 종래의 WFD 에서 정의된 절차에 의할 수 있다.
실시예 2-2
디스커버리 절차 후 세션 초기화를 위해 세션 초기(화) 요청/응답의 교환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3 을 참조하면, 디스커버리 절차 이후, 소스가 세션 초기(화) 요청을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싱크가 세션 초기(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세션 초기(화) 응답은 WFD 세션 초기(화) 수락 또는 거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4 에는 연기된(Deferred) WFD 세션 초기화 절차가 예시되어 있다. 싱크가 소스로부터 세션 초기(화) 요청을 수신하면, 도 13 과 같이 수락 또는 거절로 응답하는 것이 아니라, 연기를 의미하는 정보(status 1 "Fail; information is currently unavailable (during 120s))를 포함하는 세션 초기(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싱크가 세션 초기(화)가 가능해지면, 싱크는 소스에게 세션 초기(화)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세션 초기화를 시작할 수 있다.
도 15(a)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세션 초기(화) 요청 메시지의 예시가, 도 15(b)에는 세션 초기(화) 요청 메시지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a)에서 TLV 1 은 P2P Status, IE TLV 2 는 WFD Device Information, IE TLV 3 는 Associated BSSID, IE TLV 4 는 Coupled Sink information 일 수 있다. 도 15(b)에서 TLV 1 은 P2P Status, IE TLV 2 는 WFD Device Information, IE TLV 3 는 Associated BSSID, IE TLV 4 는 Coupled Sink information, IE TLV 5 는 WFD Session Information 일 수 있다.
실시예 3
세 번째 실시예는 UPnP 를 이용한 RTPS 초기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UPnP 액션을 정의하고, 이를 서비스 기술자 문서(Service Description document)에 정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액션 리스트 내 MiracastInit 라는 액션을 정의할 수 있다. 이 액션을 수행하기 위해 RTSP IP_PORT 및 DeviceFreiendlyName 두 가지의 argument 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RTSP IP_PORT URI 는 예를 들어, 192.168.1.1:7236 과 같이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이며, DeviceFreiendlyName 는 사용자 식별 장치 이름을 포함하는데, 사용자는 DeviceFreiendlyName 를 통해 어떤 장치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의되는 액션은 소스가 싱크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액션이 성공적으로 송수신되면 소스는 RTSP 소스를 열고 RTSP 세션을 대기할 수 있다. 싱크는 해당 RTSP URI 로 RTSP connection 을 연결하고, M1 Request message 를 대기할 수 있다. 다음 표 13 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액션 정의의 일 예시이다.
Figure pct00013
그리고, 도 16 은 'X_MiracastInit'이라는 벤더 특정 SOAP 액션(vendor specific SOAP action)을 사용하여 WFD RTSP 을 초기화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4
네 번째 실시예는 ASP 를 이용한 WFD 세션의 연결에 관한 것이다. 즉, WFD 장치가 WFDS 를 지원하는 경우, 종래 WFDS 의 절차에 따라 이미 존재하는 P2P 연결을 재사용하여 WFD 세션을 연결하는 것이다. 이 과정이 도 17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장치(10)는 프로세서(11), 메모리(12), 송수신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3)는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송수신기(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계층 및/또는 MAC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는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ASP 계층 중의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AP/STA 로 동작하는 장치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동작을 구현하는 모듈이 메모리(1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메모리(12)는 프로세서(11)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1)의 외부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1)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8 의 무선 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무선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를 참조하면, RF 트랜시버(21)는 PHY 프로토콜 모듈(22)에서 만들어진 정보를 RF 스펙트럼으로 옮기고, 필터링/증폭 등을 수행하여 안테나를 송신하거나,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RF 신호를 PHY 프로토콜 모듈에서 처리가 가능한 대역으로 옮기고, 이를 위한 필터링 등의 과정을 처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송신과 수신의 기능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 기능 등도 포함될 수 있다.
PHY 프로토콜 모듈(22)은 MAC 프로토콜 모듈(23)에서 전송을 요구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FEC 인코딩 및 변조, 프리앰블, 파일럿 등의 부가 신호를 삽입하는 등의 처리를 하여 RF 트랜시버로 전달하는 역할과 동시에 RF 트랜시버에서 전달되는 수신 신호를 복조, 등화, FEC 디코딩 및 PHY 계층에서 부가된 신호의 제거 등의 과정을 통해 MAC 프로토콜 모듈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PHY 프로토콜 모듈 내에는 모듈레이터, 디모듈레이터 등화기, FEC 인코더, FEC 디코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MAC 프로토콜 모듈(23)은 상위 계층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PHY 프로토콜 모듈로 전달, 전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과정을 수행하기도 하고, 기본적인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한 부가적인 전송들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상위 계층에서 전송 요구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게 가공하여 PHY 프로토콜 모듈로 전달 및 전송하도록 처리하고, 또 PHY 프로토콜 모듈 에서 전달된 수신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위 계층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 전달을 위해서 필요한 여타의 부가적인 송수신을 담당함으로써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역할 또한 담당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IEEE 802.11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WFD(Wi-Fi Display)를 지원하는 제1 장치가 WFD 서비스를 초기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장치가 WFD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프레임을 제2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장치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M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WFD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프레임 전송 시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제2 장치 사이에 IP(Internet Protocol)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M1 메시지 전송 이전에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요청 또는 세션 초기화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 장치로 전송하는,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FD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프레임 전송 시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제2 장치 사이에 IP 연결이 수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M1 메시지 전송 이전에 상기 제2 장치와의 연결 셋업 절차를 수행하는,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응답이 긍정 응답인 경우, 상기 제1 장치는 TCP 서버 동작을 개시하는,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응답은 WFD IE, WSC IE, P2P I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WFD IE에는 WFD Device Information 부요소, Associated BSSID 부요소, Coupled Sink Information 부요소, WFD Extended Capability 부요소, Infrastructure BSS 부요소 및 Status 부요소가 포함되는,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Infrastructure BSS 부요소를 통해 상기 제2 장치가 연관되어 있는 AP(Access Point)의 정보를 획득하는,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tatus 부요소는 상기 긍정 응답 또는 부정 응답 중 하나를 지시하는,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긍정 응답 및 상기 부정 응답은 상기 제2 장치가 사용자 질의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결정된 것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요청은 WFD IE, WSC IE, P2P I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WFD IE에는 WFD Device Information 부요소, Associated BSSID 부요소, Coupled Sink Information 부요소, WFD Extended Capability 부요소, Infrastructure BSS 부요소가 포함되는,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nfrastructure BSS 부요소는 상기 제1 장치가 연관되어 있는 AP(Access Point)의 정보를 포함하는,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초기화 요청은 IP 헤더, UDP(user datagram protocol) 헤더, UDP 데이터 그램을 포함하는,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WFD 소스, 상기 제2 장치는 WFD 싱크인,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로부터 RTSP M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RTSP M1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2 장치가 지원하는 RTSP 메소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WFD 서비스 초기화 방법.
  16. WFD(Wi-Fi Display)를 지원하는 제1 장치에 있어서,
    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WFD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프레임을 제2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장치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M1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WFD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프레임 전송 시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제2 장치 사이에 IP(Internet Protocol)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M1 메시지 전송 이전에 프로비전 디스커버리 요청을 상기 제2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장치.
KR1020167024392A 2014-02-03 2014-08-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초기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1198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34855P 2014-02-03 2014-02-03
US61/934,855 2014-02-03
US201461946866P 2014-03-02 2014-03-02
US61/946,866 2014-03-02
PCT/KR2014/007622 WO2015115715A1 (ko) 2014-02-03 2014-08-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초기화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809A true KR20160119809A (ko) 2016-10-14

Family

ID=53757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392A KR20160119809A (ko) 2014-02-03 2014-08-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초기화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51673B2 (ko)
KR (1) KR20160119809A (ko)
WO (1) WO20151157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0457B (zh) * 2014-11-27 2020-03-10 索尼公司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JP6430646B2 (ja) * 2014-12-11 2018-11-2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Wfdにおける補助コンテンツを出力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60192405A1 (en) * 2014-12-24 2016-06-30 Inte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of mapp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point to a sink device
US10630786B2 (en) * 2015-03-13 2020-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intaining a persistent miracast session over wireless link
US10623806B2 (en) 2015-09-09 2020-04-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orientation of image by WFD sink
KR20200084587A (ko) * 2019-01-03 202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6273B2 (en) * 2003-10-24 2010-05-1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jecting content from computing devices
KR101285884B1 (ko) * 2006-11-24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디지털 방송수신방법 및 수신기
MX2012005628A (es) * 2009-11-17 2012-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odo y dispositivo de investigacion de servicio de visualizacion de fidelidad inalambrica en red directa de fidelidad inalambrica.
WO2012060611A2 (ko) * 2010-11-03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탐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통신 장치
EP2664994B1 (en) * 2011-01-14 2021-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er input from a sink device to a source device in a wi-fi direct communication system
KR101723453B1 (ko) * 2011-02-21 2017-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기반 유니버설 플러그 앤 플레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929694B1 (en) * 2012-12-07 2019-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treaming multimedia contents in a wi-fi network
US9652192B2 (en) * 2013-01-25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Connectionless transport for user input control for wireless display devices
TWI501631B (zh) * 2013-04-19 2015-09-21 Primax Electronics Ltd 即時串流媒體之播放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51673B2 (en) 2018-08-14
US20170171892A1 (en) 2017-06-15
WO2015115715A1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32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전환 방법 및 장치
AU201335680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ssion initial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3807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96998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99715B2 (en) Discovery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60127424A1 (en) Method for searching for device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3104551B1 (en) Method for performing a wi-fi display service and its corresponding device
KR2016011980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초기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06501B2 (en) Service discovery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116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treaming via transport protoc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801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ducting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0195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가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