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193B1 -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193B1
KR101982193B1 KR1020180069775A KR20180069775A KR101982193B1 KR 101982193 B1 KR101982193 B1 KR 101982193B1 KR 1020180069775 A KR1020180069775 A KR 1020180069775A KR 20180069775 A KR20180069775 A KR 20180069775A KR 101982193 B1 KR101982193 B1 KR 101982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picture
questionnaire
emotional
guard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옥
Original Assignee
(주) 나무와 숲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무와 숲 filed Critical (주) 나무와 숲
Priority to KR1020180069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아동 그림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아동정서 심리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기존의 그림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개별그림이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 선택되면 선택된 그림을 통해 아동의 정서심리 및 행동특성을 검진하고, 보호자에게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를 통해 보호자 설문검진을 하여, 응답 과정에 따라 보호자가 자가 검진을 수행하고, 아동의 그림 검진 데이터와 보호자의 설문검진 데이터에 따른 결과와 처방을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아동정서 관리서버(100); 웹이나 앱을 통해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에 접속되는 전자기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아동이 그린 그림을 직접 촬영하여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로 상기 그림 이미지 데이터로 업로드 하거나,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상기 개별그림에 대하여 상기 아동에 의해 선택된 그림의 선택 정보를 업로드하는 보호자 단말기(200 : 210, 220. 230);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로 아동의 그림검진을 요청하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아동이 그린 그림이나 보호자의 설문검진을 보다 전문적으로 진단 및 평가하는 전문가 PC(300); 및 아동심리와 보호자 스트레스 연관관계를 서비스함에 있어, 유료 서비스의 경우에 보호자 단말기(200)와 아동정서 관리서버(100)간 비용을 중계하는 금융사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elf-examin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hildren's emo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using child picture psychology and parental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platform}
본 발명은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이용한 아동 정서심리와 행동특성 정보의 자가 검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웹이나 앱을 이용하여 아동에 대한 정서심리 검진과 보호자에 대한 설문검진을 하고 그 결과를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하여 아동의 정서심리와 행동특성 도출 및 보호자의 양육 스트레스, 우울증상 등과 같은 보호자의 정신건강 상황에 대해 예방적 차원에서의 자가 검진이 가능한 플랫폼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맞벌이, 핵가족, 다문화가정, 한부모가정, 조부모가정 등 사회의 기본단위인 가족의 구성과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아동의 일상생활 정보를 얻기 어려운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아동의 정서적, 심리적 불안이 급격히 늘고 있으며, 부모 또한 일과 가정의 양립과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점은 가족의 해체와 청소년 문제로 이어져 결국은 전체적인 사회문제로 파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 영.유아 5명중 1명이 정서, 심리 불안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도된 바가 있어 영유아를 포함한 아동에 대한 정서, 심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심리검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심리검사란 인간의 지능이나 적성, 성격 등을 파악하여 검사결과를 체계적인 수치로 표현하는 측정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지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능검사, 적성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성검사, 학업에 대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학력검사, 개인적인 특성이나 태도 또는 기질 등의 성격을 측정하기 위한 성격검사 등 검사 목적에 따른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심리검사는 개인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안에 대해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대부분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방법만 제시되고 있다. 즉, 아동은 심리를 표현하는 방법을 모르거나 서툴기 때문에 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한적이므로 아동심리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은 대리인을 통한 일부만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아동의 심리불안요소에 대해 부모가 어떻게 관여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가 없기 때문에 아동심리를 진단 후 해소하려 하여도 부모와 아동간의 원활한 관계개선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9-110490호(2009.05.21 공개)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한 가족 마음의 건강 진단 관리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출원건은 복수문항을 갖는 심리검사를 제공하고, 마음건강상태 판정과 지원처리수단을 제공하도록 한 것으로, 심리검사를 통해 가족구성원의 정신질환을 조기발견, 예방, 이해를 도와 개인 스트레스 상태를 개선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선행특허는 심리검사의 복수 문항 중 일부 질문 항목군에 가정환경이나 부모와 자식 관계 등을 포함시켜 이로부터 가족관계의 유대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지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선출원건도 질문에 의해 유대정도만을 파악하는데 그치고 있고, 아동의 심리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 빠져 있으므로, 가족 구성원의 다양한 심리상태를 구분하기 어렵고, 글을 모르거나 표현이 서툰 아동에 대해서는 특히 검사를 실시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제 거의 대중화되어 있는 스마트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등록번호: 10-1202024, 그림 진단 장치 및 방법 등록번호: 10-1581801, 캐릭터를 이용한 3자통신 기반 아동심리 상담치료 시스템 및 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웹이나 앱이용하여 아동그림심리 검진과 보호자에 대한 설문검진 결과를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하여 아동의 정서심리와 행동특성 및 보호자의 양육 스트레스나 우울증등 다양한 정신건강 정보에 대한 자가 검진이 가능한 플랫폼을 통해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이용하여 아동 정서심리와 행동특성 및 부모의 정신건강 상태에 대한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아동 그림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아동정서 심리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기존의 그림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개별그림이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 선택되면 선택된 그림을 통해 아동의 정서심리 및 행동특성을 검진하고, 보호자에게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를 통해 보호자 설문검진을 하여, 응답 과정에 따라 보호자가 자가 검진을 수행하고, 아동의 그림 검진 데이터와 보호자의 설문검진 데이터에 따른 결과와 처방을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아동정서 관리서버(100); 웹이나 앱을 통해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에 접속되는 전자기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아동이 그린 그림을 직접 촬영하여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로 상기 그림 이미지 데이터로 업로드 하거나,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상기 개별그림에 대하여 상기 아동에 의해 선택된 그림의 선택 정보를 업로드하는 보호자 단말기(200 : 210, 220. 230);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로 아동의 그림검진을 요청하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아동이 그린 그림이나 보호자의 설문검진을 보다 전문적으로 진단 및 평가하는 전문가 PC(300); 및 아동심리와 보호자 스트레스 연관관계를 서비스함에 있어, 유료 서비스의 경우에 보호자 단말기(200)와 아동정서 관리서버(100)간 비용을 중계하는 금융사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는 통신부(101)와, 아동과 보호자 성함, 스마트폰 번호가 저장되는 회원정보 DB(102)와, 아동의 그림이 업로드되거나, 아동이 선택한 그림에 대하여 아동의 나이나 성별에 따라 비교하기 위한 그림 데이터가 저장되는 그림 DB(103)와, 아동이 그린 그림이나 선택한 그림과 함께 아동이 그린 그림이나 선택한 그림에 대한 아동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이 저장되는 그림 해석 DB(104)와, 보호자에 대한 설문검진 데이터와 함께 보호자에 대한 설문검진결과가 저장되는 설문검진결과 DB(105)와, 보호자에 대한 설문검진결과에 대한 보호자의 정서상태에 대한 해석결과가 저장되는 설문검진결과 해석 DB(106)와, 아동의 그림 이미지 데이터나 선택 그림에 대한 아동에 대해 필요한 처방(솔루션)과 보호자의 설문 검진에 대한 보호자에 대해 필요한 처방(솔루션) 및 해당 아동과 해당 보호자의 대한 처방(솔루션)이 각각 저장되고, 상기 각각의 처방 후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과 보호자, 보호자의 배우자에 대한 처방 만족도 결과가 저장되어 상기 만족도에 따라 아동과 보호자 및 그 배우자에 대하여 올바른 솔루션이 제공되었는지, 그렇지 않은지,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왜 그러한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도록 하는 솔루션 및 솔루션 만족도 DB(107)와, 아동이 그려 업로드된 그림이나 아동이 선택한 그림유형과 기존의 그림 DB(103)의 그림을 비교하여 기존의 아동그림에 신규 아동그림의 비교결과에 따라 신규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 특성을 상기 그림 해석 DB(104)의 데이터를 통해 진단하는 기존 아동그림/신규 아동그림 비교부(108)와, 상기 기존 아동그림/신규 아동그림 비교부(108)의 비교결과에 따른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을 판별하고, 그에 따른 처방을 하는 아동정서 판별 및 처방부(111)와, 상기 아동을 양육하는 보호자의 양육태도, 스트레스, 우울증을 판별하기 위한 자가 검진 설문이 저장되고, 상기 자가 검진 설문에 따라 응답된 보호자의 설문답변에 따른 보호자 심리 및 정서 상태 결과값을 저장, 판별하고, 상기 아동에 대한 보호자의 양육 처방 결과 값을 저장하고 판별하는 보호자 정서 판별 및 처방부(112)와, 아동의 검진결과와 보호자 검진결과에 따라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에 따른 문제가 아동의 문제인지 또는 보호자의 문제인지 또는 아동과 보호자 모두의 문제인지, 아동과 보호자만을 놓고 보았을 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아동과 보호자의 상대적인 문제인지를 판별하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이 처방되는 아동/보호자 정서 판별 및 처방부(113)와, 상기 아동의 그림이나 보호자의 설문검진 검사내용에 대하여 상기 전문가 PC(300)에서 진단 및 평가된 전문가의 분석 결과가 저장되는 전문가 분석 요청 및 결과 저장부(114) 및 보호자의 설문검진 결과에 따른 스트레스나 우을증, 양육태도 지수를 판별 및 그에 따른 처방을 하는 보호자 정서 판별 및 처방부(110) 및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를 제어하며, 아동이나 보호자가 이용한 항목 중 유료 항목에 대하여 비용처리를 요청하는 것으로,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의 결제를 금융사 서버(400)나 바우처 서버(500)와 연계하여 처리하는 제어 및 결제 요청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상기 보호자의 스트레스나 우울증, 양육태도 검사에 대한 온라인설문지를 통하여 설문에 응하고 결과를 그 자리에서 바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아동이 그린 그림이나 선택한 그림 등록 시 그림분석 및 해석에 필요한 지문이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플랫폼을 통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 정서심리와 행동특성에 대한 보호자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자가 검진 서비스 방법으로, 아동정서 관리서버에 접속하고(S100), 보호자 단말기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계(S110);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의 안내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해상도로 아동이 그린 그림이 보호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업로드되거나, 그림 유형이 선택되면 해당 데이터를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의 그림 DB에 저장되는 단계(S150); 상기 보호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업로드되어 상기 그림 DB에 저장된 아동의 그림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기존 아동그림/신규 아동그림 비교부(108)에서 비교 시 아동의 그린 그림 이미지나 아동이 선택한 그림에 대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해상도가 낮은 경우도 포함하여 아동의 심리나 정서 분석이 가능한지를 판별하는 업로드 그림 판별 및 재요청부(110)에서 판단하여(S160), 아동이 그림을 다시 그리거나 선택하도록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요청하는 단계(S170); 보호자의 자가 검진을 위한 검사를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에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설문검진하되,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상기 보호자의 스트레스나 우울증, 양육태도 검사에 대한 온라인설문지를 통하여 설문에 응하고 결과를 그 자리에서 바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아동이 그린 그림이나 선택한 그림 등록 시 그림분석 및 해석에 필요한 지문이 입력되는 단계(S180); 상기 아동에 대한 정서심리와 행동특성 및 상기 보호자의 상기 아동과 관련된 정서상태와 심리상태를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에서 판별하되, 아동이 그려 업로드된 그림이나 아동이 선택한 그림유형과 기존의 그림 DB(103)의 그림을 비교하여 기존의 아동그림에 신규 아동그림의 비교결과에 따라 신규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 특성을 그림 해석 DB(104)의 데이터를 통해 기존 아동그림/신규 아동그림 비교부(108)에서 진단되면, 상기 기존아동그림/신규아동그림 비교부(108)의 비교결과에 따른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을 아동정서 판별 및 처방부(111)에서 판별하고, 그에 따른 처방을 하고, 상기 아동을 양육하는 보호자의 양육태도, 스트레스, 우울증을 판별하기 위한 자가 검진 설문이 저장되고, 상기 자가 검진 설문에 따라 응답된 보호자의 설문답변에 따른 보호자 심리 및 정서 상태 결과값을 저장, 판별하고, 상기 아동에 대한 보호자의 양육 처방 결과 값을 보호자 정서 판별 및 처방부(112)에서 저장하고 판별하며, 아동의 검진결과와 보호자 검진결과에 따라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에 따른 문제가 아동의 문제인지 또는 보호자의 문제인지 또는 아동과 보호자 모두의 문제인지, 아동과 보호자만을 놓고 보았을 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아동과 보호자의 상대적인 문제인지를 판별하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이 아동/보호자 정서 판별 및 처방부(113)에서 처방되는 단계(S200); 및 비용이 소모되는 경우 금융사 서버나 바우처 서버를 통해 결제가 처리되면 아동정서 관리서버에서 보호자 단말기로 아동과 보호자 각각에 대한 처방을 전송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아동에 대해 성향 및 불안요소 등의 심리 정서를 그림을 통해 파악하고, 아동과 함께하는 보호자에게도 설문검진을 함으로써, 아동의 심리를 이를 부모에게 인지시킴과 동시에 올바른 육아가 이루어지도록 지도하여, 육아과정에서 받는 보호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알 수 있어 아동과 보호자간에 발생할 수 있는 상대적인 문제를 자가 검진이 통해 수행함으로써 아동과 보호자 모두가 만족하는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어 건강한 가족구성이 이루어짐은 물론 건강한 사회를 구현시킬 수 있다.
둘째, 36개월(만 3세) 이상의 유아나 아동이 그린 그림과 분석 텍스트 매칭한 다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분석 데이터와 입력된 그림을 분석하고 얻은 해석 내용 간의 신뢰도를 계산하고, 분석 데이터와 해석 내용 간의 상호 관계를 피드백하여 분석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이를 통해 아동의 현재 정서가 외부의 어떤 요인에 의한 것인지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아동의 문제인지, 보호자(부모, 조부모, 유치원 선생님이나, 아동 돌보미 서비스 돌보미, 맘시터 등)의 문제인지를 예측할 수 있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이나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셋째, 유아나 아동이 그린 그림의 크기, 위치 및 색을 통해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준을 부여하고, 부여된 기준에 따른 기본값을 오브젝트로 추출하는 것에 따라 유아나 아동의 정서상태와 심리상태를 분류하고, 이에 따른 유아 행동 특성을 도출할 수 있다.
넷째, 그림을 통해 추출된 유아나 아동의 정서상태와 심리상태를 알 수 있어 유아나 아동의 정서상태와 심리상태에 대한 사전 검증이 용이해지므로 유아/아동학대나 정서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유아/아동의 조기발견, 사전예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섯째, 유아나 아동의 정서상태, 심리상태 및 이에 따른 유아 행동 특성 도출을 웹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컴퓨터는 물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할 수 있다.
여섯째, 회원가입 후 기본적인 아동정서와 부모스트레스에 대하여 일정 내용은 무료로 제공하고, 무료 검사 결과 심각한 경우에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부담을 줄일 수 있고, 바우처 제도를 이용하여 저소득 가정에는 유료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의 전체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아동의 심리를 진단하기 위한 이미지를 스마트폰에서 업로드 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연령대에 맞는 그림 유형을 스마트폰에서 선택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아동의 심리결과해석의 실시예를 스마트폰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통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이용한 아동 정서심리와 행동특성에 대한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보호자(부모)의 설문 검진의 실시예를 스마트폰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온라인 상담신청 관리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아동정서 관리 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의 전체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의 전체 프로세스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의 정서심리와 행동특성 보호자의 설문검진을 위하여 앱과 웹을 통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수행하고, 아동 연령별 가이드 라인을 선택한 후 아동에게 그림을 그리게 한다.
그 다음 아동이 그림을 그리면 보호자(예를 들면, 부모, 조부모, 유치원 선생님이나, 아동 돌보미 서비스 돌보미, 맘시터 등)가 아동의 그림을 확인하고, 그림을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촬영하고, 기초정보 입력후 그림을 업로드 한다. 그리고 보호자의 설문검진에 따른 예로써, 보호자의 스트레스나 우울증, 양육태도 등의 심리상태와 정서상태 등의 관련 정보를 도 11에 나타낸 서버로 전송한다. 그러면 서버에서는 그림을 분석하고, 아동의 정서심리와 행동특성 및 보호자의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과 보호자에 대한 종합 평가를 도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담은 별도의 전문가(상담사) PC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일반적으로 아동심리를 확인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그림을 통한 심리해석이 있는데, 그림을 통한 심리파악방식은 아동의 모든 심리상태, 즉 무의식적인 심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결과를 얻게된 원인을 파악하여 아동이 갖고 있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는 아동의 경우 말이나 언어의 표현이 미숙하기 때문에 그림을 통해 아동의 무의식적인 심리상태까지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합 평가는 다시 원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며, 보호자는 종합평가를 확인하고, 보호자가 해당 아동에게 적합한 솔루션을 적용하고, 나의 상담 내역(보호자 설문검진)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스마트폰을 통해 심층 상담을 요청하면 추가 상담을 스마트폰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로그인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서버에 접근하여 유사유형을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아동의 행동 특성을 가름해보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유사유형 검색에 따라서 아동의 상태가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인식된다면 보다 전문적인 상담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등록특허 제10-1421217호의 기술을 이용하여 생활밀착형, 개개인 맞춤형 아동 정서심리 안정과 보호자의 스트레스나 우울증 등의 자가 검진, 양육태도 변화를 통한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과 사회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자녀와 부모자신의 현 상태에 대해 알 수 있는 APP서비스 제공 및 이를 구현하고 관리하는 관리자 전용 WEB 구현하여, 아동의 그림을 업로드하고, 그림 데이터 목록 재생을 통해 서버에서 자동분석 및 필요에 따라 전문가(상담사)가 분석 및 해석값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APP(사용자)의 경우 ①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을 통해 로그인 가능하고, ② 아동의 그림 모바일 이용하여 업로드 가능하며, ③ 보호자의 설문검진 검사가 모바일로 가능하고, ④ 유사유형 비교검색 가능하며, ⑤ 상담이력 검색 및 6개월간 저장 가능하도록 하고, ⑥ 결재연동 시스템을 적용하며, ⑦ 다른 프로그램이나 시스템(WEB)과 연동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WEB (관리자)의 경우 ① 회원가입 로그인 가능하고, ② 아동그림 분석 및 결과 값 출력 가능하며, ③ 데이터 목록 및 상담 기능 가능하고, ④ 종합결과지 출력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와 같은 앱 시스템과 PC를 이용한 웹 시스템으로 플랫폼에 접속하면 서비스를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유사유형검색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수행하는데, (가) 유사유형 검색의 경우도 ‘아동정서행동관찰’ 상담과 동일하게 자녀가 그린 그림을 등록하도록 함으로 실제 상담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이미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고, (나) 수집된 데이터와 유사유형검색 내역을 기록하여 추후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다) 온라인 보호자 설문검진 검사를 통해 보호자의 스트레스나 우울증, 양육태도 검사에 대한 온라인설문지를 통하여 신청자는 쉽고 빠르게 설문에 응하고 결과를 그 자리에서 바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그림 등록 시 그림분석 및 해석에 필요한 지문을 입력하도록(입력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상세한 그림분석 및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아동의 심리를 진단하기 위한 이미지를 스마트폰에서 업로드 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아동의 심리를 진단하기 위한 이미지를 스마트폰에서 업로드 하는 방식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고, 유사유형검색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때 스마트폰에서 촬영한 아동 그림의 이미지를 사진으로 촬영하여 업로드하며, 이때, 아동의 성별과 연령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그림 등록 시 그림분석 및 해석에 필요한 지문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연령대에 맞는 그림 유형을 스마트폰에서 선택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통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이용한 아동 정서심리와 행동특성에 대한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자녀의 연령대에 맞고 자녀가 그린 그림 유형과 유사한 그림을 스마트폰에서 선택하는 실시예는 아동의 그림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사한 그림유형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선택한 그림 등록 시 스마트폰을 통해 그림분석 및 해석에 필요한 지문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아동의 심리결과해석의 실시예를 스마트폰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아동의 심리결과해석의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녀의 그림과 동일한 연령대에서 유사유형의 그림을 제시하고, 심층 상담 희망을 할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보호자(부모)의 설문 검진의 실시예를 스마트폰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보호자(부모)의 설문검진은 예를 들어 부모양육 스트레스 검사를 나타낸 것으로, 보호자의 양육 스트레스 검사의 실시예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검사 예문에는 그림 검진과 해석에 필요한 질문이나 보호자나 배우자의 양육태도 등과 관련된 질문을 지문(PID)으로 추가하여 보호자가 스마트폰에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아동의 그림 심리검사나 보호자에 대한 설문검사는 한국표준화심리검사나, 학지사의 심리검사나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7-0095658호(비정형데이터 분석기술 장치 및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서와 같은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동양육과 관련하여 보호자의 스트레스 검사는 물론 우울증 검사, 양육태도 등과 관련된 보호자의 정서상태 및 심리상태에 대한 검사가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온라인 상담신청 관리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 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온라인 상담신청 관리의 실시예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령대별, 성별로 필터링 또는 검색할 수도 있고, 검진의 진행상태를 '결과대기', '결과완료'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담완료 시에는 상담결과가 웹이나 앱을 통해 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상담결과로는 아동의 그림과 관련하여 정서, 행동특성 등을 설명하고, 그에 따른 적합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며, 현재 보호자의 스트레스, 건강상태, 정서상태, 보호자의 행동특성, 아동이 보호자에게 하는 행동에 대해 부모가 자각하는 지수와 보호자 중 부인 또는 남편 즉 배우자에 대한 지원 지수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배우자에 대한 지원 지수는 양육에 대해 도움을 주는지, 양육에 대하여 어느 정도 참여 하는지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동정서 관리서버(100), 보호자 단말기(200 : 210, 220. 230), 전문가 PC(300), 금융사 서버(400), 바우처 서버(500), 지역별 가맹점 서버(600) 및 통신망(700)으로 구성된다.
아동정서 관리서버(100)는 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그림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아동정서를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그림 유형을 보호자 단말기(200)로 제공하여 보호자 단말기(200)에서 선택된 그림 유형을 통해 아동정서를 진단하는 데이터와 비교하고, 보호자에게는 보호자 단말기(200)를 통해 스트레스 검사를 위한 질문을 하고, 응답 결과에 따라 스트레스 검사를 수행하며, 아동의 진단 데이터와 보호자의 진단 데이터에 따른 결과와 처방을 보호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예로써 부모양육 스트레스 검사(K-PSI, Korean-Parenting Stress Index)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하나의 예일 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검사방식(스트레스나 우울증, 양육태도)을 이용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기(200 : 210, 220. 230)는 스마트폰(210), 스마트 패드(220) 및 PC(2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아동이 그린 그림을 직접 촬영하여 업로드 하거나, 촬영된 영상을 PC(230)를 이용하여 업로드 한다.
전문가 PC(300)는 아동정서 관리서버(100)로 아동정서 진단을 요청하는 보호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아동이 그린 그림이나 보호자의 상태를 보다 전문적으로 진단 및 평가한다.
금융사 서버(400)는 아동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의 연관관계를 서비스함에 있어, 유료 서비스의 경우에 보호자 단말기(200)와 아동정서 관리서버(100)간 비용을 중계한다. 그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0)는 보다 안전한 거래가 가능하다.
바우처 서버(500)는 아동정서 관리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 항목에 대한 관공서나, 지자체, 기업체 등에서 제공된 바우처를 이용하여 정산할 수 있도록 한다.
지역별 가맹점 서버(600)는 전국별로 별도의 상담이 필요한 경우 해당 가맹점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별 가맹점 서버(600)에서 수집되는 아동심리와 보호자 스트레스를 이용하여 빅데이터화할 수 있다.
통신망(700)은 무선통신망, 인터넷망 등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아동정서 관리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서 아동정서 관리 서버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101), 회원정보 DB(102), 그림 DB(103), 그림 해석 DB(104), 설문검진결과 DB(105), 설문검진결과 해석 DB(106), 솔루션 및 솔루션 만족도 DB(107), 기존아동그림/신규아동그림 비교부(108), 업로드 그림 안내 메뉴얼부(109), 업로드 그림 판별 및 재요청부(110), 아동 정서 판별 및 처방부(111), 보호자 정서 판별 및 저장부(112), 아동/보호자 정서 판별 및 처방부(113), 전문가 분석요청 및 결과 저장부(114) 및 제어 및 결제 요청부(115)로 구성된다.
통신부(101)는 통신망(700)을 통해 보호자 단말기(200), 전문가 PC(300), 금융사 서버(400), 바우처 서버(500) 및 지역별 가맹점 서버(600)와 통신한다.
회원정보 DB(102)는 아동의 나이, 이름, 주소, 성별 등과 보호자 성함, 스마트폰 번호, 이메일 주소 등이 저장된다.
그림 DB(103)는 아동이 그림을 그리고 이미지화되어 업로드되거나, 아동이 그림 유형을 선택하면 아동의 나이나 성별에 따라 비교하기 위한 그림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즉 아동의 나이나 성별에 따라 제시되는 다양한 그림 유형이 저장되어 보호자 단말기(200)를 통해 아동에게 제공된다.
그림 해석 DB(104)는 아동이 그린 그림이나 선택한 그림과 함께 아동이 그린 그림이나 선택한 그림에 대한 아동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이 저장된다.
설문검진결과 DB(105)는 보호자에 대한 설문검진 데이터와 함께 보호자에 대한 설문검진결과가 저장된다.
설문검진결과 해석 DB(106)는 보호자에 대한 설문검진결과에 대한 보호자의 정서상태에 대한 해석결과가 저장된다.
솔루션 및 솔루션 만족도 DB(107)는 아동과 보호자 각각에 대한 처방과 아동과 해당 아동의 보호자에 대한 처방이 저장된다. 즉 아동의 그림 이미지 데이터나 선택 그림에 대한 아동에 대해 필요한 처방(솔루션)과 보호자의 설문 검진에 대한 보호자에 대해 필요한 처방(솔루션) 및 해당 아동과 해당 보호자의 대한 처방(솔루션)이 각각 저장된다. 또한 처방 후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과 보호자, 보호자의 배우자에 대한 처방 만족도 결과가 저장된다. 이러한 만족도에 따라 아동과 보호자 및 그 배우자에 대하여 올바른 솔루션이 제공되었는지, 그렇지 않은지,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왜 그러한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 아동그림/신규 아동그림 비교부(108)는 아동이 그려 업로드된 그림이나 아동이 선택한 그림유형과 기존의 그림 DB(103)의 그림을 비교하여 기존의 아동그림에 신규 아동그림의 비교결과에 따라 신규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해동 특성을 그림 해석 DB의 데이터를 통해 진단한다. 그리고 진단결과는 그림 해석 DB(104)에 저장된다.
업로드 그림 안내 메뉴얼부(109)는 보호자 단말기(200)를 통해 아동정서 관리서버(100)에 접속한 보호자 단말기(200)로 아동정서 관리 서버(100)의 이용방법, 그림 업로드 방법, 진단을 위한 그림 유형 선택 방법 등을 안내한다.
업로드 그림 판별 및 재요청부(110)는 아동의 그림 이미지에 대하여 기존 아동그림/신규 아동그림 비교부(108)에서 비교 시 아동의 그린 그림 이미지나 아동이 선택한 그림에 대하여 아동의 심리나 정서 분석에 적합한 정도인지를 판별하는 것으로, 스마트폰 카메라의 해상도 낮은 경우도 포함된다.
아동정서 판별 및 처방부(111)는 기존아동그림/신규아동그림 비교부(108)의 비교결과에 따른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을 판별하고, 그에 따른 적합한 처방을 전송한다. 이러한 적합한 처방의 예로는 좀 더 많이 놀아주기, TV, 스마트 기기의 이용시간 제한 등이 있을 수 있다. 물론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이 전문가의 처방이 필요할 정도로 심각한 경우에는 전문가 상담을 권유한다.
보호자 정서 판별 및 처방부(112)는 아동을 양육하는 보호자의 양육태도, 스트레스, 우울증등을 판별하기 위한 자가 검진 설문이 저장되고, 자가 검진 설문에 따라 응답된 보호자의 설문답변에 따른 보호자 심리 및 정서 상태 결과값을 저장, 판별 및 그에 따라 적합한 처방을 하는 것으로, 보호자 스스로가 예방차원의 자가 검진이 가능하다. 물론, 심각한 경우에는 전문가 상담이 권유된다.
아동/보호자 정서 판별 및 처방부(113)는 아동의 검진결과와 보호자 검진결과에 따라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에 따른 문제가 아동의 문제인지 또는 보호자의 문제인지 또는 아동과 보호자 모두의 문제인지, 아동과 보호자만을 놓고 보았을 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아동과 보호자의 상대적인 문제인지를 판별하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처방할 수 있도록 한다.
전문가 분석 요청 및 결과 저장부(114)는 전문가에게 아동의 그림이나 보호자의 설문검진 검사내용에 대하여 전문가의 분석을 요청하고, 결과가 저장된다.
제어 및 결제 요청부(115)는 아동정서 관리서버(100)를 제어하며, 아동이나 보호자가 이용한 항목 중 유료 항목에 대하여 비용처리를 요청하는 것으로, 단말기(200)로부터의 결제를 금융사 서버(400)나 바우처 서버(500)와 연계하여 처리한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방법은 도 13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동정서 관리서버에 접속하고(S100), 보호자 단말기(200)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S110).
이때, 회원가입 이전이라도 무료 항목을 이용할 수 있다(S120). 이러한 무료 항목 이용에 따라 회원이 더 늘어날 수 있다.
아동정서 관리서버는 무료항목 진단 결과를 보호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S130).
그리고 회원가입의 경우 ID/패스워드를 처리한다(S140).
한편 보호자는 아동정서 관리서버의 안내에 따라 적합한 해상도로 아동이 그린 그림을 보호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업로드 하거나, 그림 유형을 선택하면 해당 데이터를 저장한다(S150).
이때, 그림이 적합한가를 판단하여(S160), 그림을 다시 그리거나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170).
이어 보호자에 대한 설문검진을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검사한다(S180).
아동이나 보호자의 검사에 비용이 발생되면 해당 비용 안내 후 결제 처리를 요청한다(S190).
아동과 보호자의 심리상태와 정서 및 설문검진에 따른 아동의 정서와 심리상태 및 행동특성과 보호자의 설문검진에 따른 결과(양육 스트레스, 우울증, 양육상태 등)를 판별한다(S200).
이러한 판별결과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S210)(S220), 전문가 도움을 요청하는데, 이때, 비용이 발생한다면 비용 결제를 요청한다(S240).
그리고 금융사 서버나 바우처를 통해 결제가 처리되면(S250) 아동정서 관리서버에서 보호자 단말기로 아동이나 보호자 또는 아동과 보호자에 대한 처방 및 전문가 분석결과를 전송한다(S260).
물론 이러한 비용결제는 회원가입 여부에 따라 건별, 기간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아동정서 관리서버 101 : 통신부
102 : 회원정보 DB 103 : 그림 DB
104 : 그림 해석 DB 105 : 설문검진결과 DB
106 : 설문검진결과 해석 DB
107 : 솔루션 및 솔루션 만족도 DB
108 : 기존아동그림/신규아동그림 비교부
109 : 업로드 그림 안내 메뉴얼부
110 : 업로드 그림 판별 및 재요청부
111 : 아동 정서 판별 및 처방부
112 : 보호자 정서 판별 및 저장부
113 : 아동/보호자 정서 판별 및 처방부
114 : 전문가 분석요청 및 결과 저장부
115 : 제어 및 결제 요청부
200 , 210, 220, 230 : 보호자 단말기
300 : 전문가 PC 400 : 금융사 서버
500 : 바우쳐 서버 600 : 지역별 가맹점 서버

Claims (4)

  1. 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아동 그림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아동정서 심리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기존의 그림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개별그림이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 선택되면 선택된 그림을 통해 아동의 정서심리 및 행동특성을 검진하고, 보호자에게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를 통해 보호자 설문검진을 하여, 응답 과정에 따라 보호자가 자가 검진을 수행하고, 아동의 그림 검진 데이터와 보호자의 설문검진 데이터에 따른 결과와 처방을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아동정서 관리서버(100);
    웹이나 앱을 통해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에 접속되는 전자기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아동이 그린 그림을 직접 촬영하여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로 상기 그림 이미지 데이터로 업로드 하거나,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상기 개별그림에 대하여 상기 아동에 의해 선택된 그림의 선택 정보를 업로드하는 보호자 단말기(200 : 210, 220. 230);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로 아동의 그림검진을 요청하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아동이 그린 그림이나 보호자의 설문검진을 보다 전문적으로 진단 및 평가하는 전문가 PC(300); 및
    아동심리와 보호자 스트레스 연관관계를 서비스함에 있어, 유료 서비스의 경우에 보호자 단말기(200)와 아동정서 관리서버(100)간 비용을 중계하는 금융사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는 통신부(101)와, 아동과 보호자 성함, 스마트폰 번호가 저장되는 회원정보 DB(102)와, 아동의 그림이 업로드되거나, 아동이 선택한 그림에 대하여 아동의 나이나 성별에 따라 비교하기 위한 그림 데이터가 저장되는 그림 DB(103)와, 아동이 그린 그림이나 선택한 그림과 함께 아동이 그린 그림이나 선택한 그림에 대한 아동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이 저장되는 그림 해석 DB(104)와, 보호자에 대한 설문검진 데이터와 함께 보호자에 대한 설문검진결과가 저장되는 설문검진결과 DB(105)와, 보호자에 대한 설문검진결과에 대한 보호자의 정서상태에 대한 해석결과가 저장되는 설문검진결과 해석 DB(106)와, 아동의 그림 이미지 데이터나 선택 그림에 대한 아동에 대해 필요한 처방(솔루션)과 보호자의 설문 검진에 대한 보호자에 대해 필요한 처방(솔루션) 및 해당 아동과 해당 보호자의 대한 처방(솔루션)이 각각 저장되고, 상기 각각의 처방 후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과 보호자, 보호자의 배우자에 대한 처방 만족도 결과가 저장되어 상기 만족도에 따라 아동과 보호자 및 그 배우자에 대하여 올바른 솔루션이 제공되었는지, 그렇지 않은지,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왜 그러한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도록 하는 솔루션 및 솔루션 만족도 DB(107)와, 아동이 그려 업로드된 그림이나 아동이 선택한 그림유형과 기존의 그림 DB(103)의 그림을 비교하여 기존의 아동그림에 신규 아동그림의 비교결과에 따라 신규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 특성을 상기 그림 해석 DB(104)의 데이터를 통해 진단하는 기존 아동그림/신규 아동그림 비교부(108)와, 상기 기존 아동그림/신규 아동그림 비교부(108)의 비교결과에 따른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을 판별하고, 그에 따른 처방을 하는 아동정서 판별 및 처방부(111)와, 상기 아동을 양육하는 보호자의 양육태도, 스트레스, 우울증을 판별하기 위한 자가 검진 설문이 저장되고, 상기 자가 검진 설문에 따라 응답된 보호자의 설문답변에 따른 보호자 심리 및 정서 상태 결과값을 저장, 판별하고, 상기 아동에 대한 보호자의 양육 처방 결과 값을 저장하고 판별하는 보호자 정서 판별 및 처방부(112)와, 아동의 검진결과와 보호자 검진결과에 따라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에 따른 문제가 아동의 문제인지 또는 보호자의 문제인지 또는 아동과 보호자 모두의 문제인지, 아동과 보호자만을 놓고 보았을 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아동과 보호자의 상대적인 문제인지를 판별하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이 처방되는 아동/보호자 정서 판별 및 처방부(113)와, 상기 아동의 그림이나 보호자의 설문검진 검사내용에 대하여 상기 전문가 PC(300)에서 진단 및 평가된 전문가의 분석 결과가 저장되는 전문가 분석 요청 및 결과 저장부(114) 및 보호자의 설문검진 결과에 따른 스트레스나 우을증, 양육태도 지수를 판별 및 그에 따른 처방을 하는 보호자 정서 판별 및 처방부(110) 및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100)를 제어하며, 아동이나 보호자가 이용한 항목 중 유료 항목에 대하여 비용처리를 요청하는 것으로, 상기 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의 결제를 금융사 서버(400)나 바우처 서버(500)와 연계하여 처리하는 제어 및 결제 요청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상기 보호자의 스트레스나 우울증, 양육태도 검사에 대한 온라인설문지를 통하여 설문에 응하고 결과를 그 자리에서 바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아동이 그린 그림이나 선택한 그림 등록 시 그림분석 및 해석에 필요한 지문이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기재된 플랫폼을 통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 정서심리와 행동특성에 대한 보호자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자가 검진 서비스 방법으로,
    아동정서 관리서버에 접속하고(S100), 보호자 단말기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계(S110);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의 안내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해상도로 아동이 그린 그림이 보호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업로드되거나, 그림 유형이 선택되면 해당 데이터를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의 그림 DB에 저장되는 단계(S150);
    상기 보호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업로드되어 상기 그림 DB에 저장된 아동의 그림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기존 아동그림/신규 아동그림 비교부(108)에서 비교 시 아동의 그린 그림 이미지나 아동이 선택한 그림에 대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해상도가 낮은 경우도 포함하여 아동의 심리나 정서 분석이 가능한지를 판별하는 업로드 그림 판별 및 재요청부(110)에서 판단하여(S160), 아동이 그림을 다시 그리거나 선택하도록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요청하는 단계(S170);
    보호자의 자가 검진을 위한 검사를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에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설문검진하되,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상기 보호자의 스트레스나 우울증, 양육태도 검사에 대한 온라인설문지를 통하여 설문에 응하고 결과를 그 자리에서 바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아동이 그린 그림이나 선택한 그림 등록 시 그림분석 및 해석에 필요한 지문이 입력되는 단계(S180);
    상기 아동에 대한 정서심리와 행동특성 및 상기 보호자의 상기 아동과 관련된 정서상태와 심리상태를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에서 판별하되,
    아동이 그려 업로드된 그림이나 아동이 선택한 그림유형과 기존의 그림 DB(103)의 그림을 비교하여 기존의 아동그림에 신규 아동그림의 비교결과에 따라 신규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 특성을 그림 해석 DB(104)의 데이터를 통해 기존 아동그림/신규 아동그림 비교부(108)에서 진단되면, 상기 기존아동그림/신규아동그림 비교부(108)의 비교결과에 따른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을 아동정서 판별 및 처방부(111)에서 판별하고, 그에 따른 처방을 하고, 상기 아동을 양육하는 보호자의 양육태도, 스트레스, 우울증을 판별하기 위한 자가 검진 설문이 저장되고, 상기 자가 검진 설문에 따라 응답된 보호자의 설문답변에 따른 보호자 심리 및 정서 상태 결과값을 저장, 판별하고, 상기 아동에 대한 보호자의 양육 처방 결과 값을 보호자 정서 판별 및 처방부(112)에서 저장하고 판별하며, 아동의 검진결과와 보호자 검진결과에 따라 아동의 정서, 심리 및 행동특성에 따른 문제가 아동의 문제인지 또는 보호자의 문제인지 또는 아동과 보호자 모두의 문제인지, 아동과 보호자만을 놓고 보았을 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아동과 보호자의 상대적인 문제인지를 판별하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이 아동/보호자 정서 판별 및 처방부(113)에서 처방되는 단계(S200); 및
    비용이 소모되는 경우 금융사 서버나 바우처 서버를 통해 결제가 처리되면 아동정서 관리서버에서 보호자 단말기로 아동과 보호자 각각에 대한 처방을 전송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방법.
  4. 삭제
KR1020180069775A 2018-06-18 2018-06-18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982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775A KR101982193B1 (ko) 2018-06-18 2018-06-18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775A KR101982193B1 (ko) 2018-06-18 2018-06-18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193B1 true KR101982193B1 (ko) 2019-05-24

Family

ID=6668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775A KR101982193B1 (ko) 2018-06-18 2018-06-18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193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77328A (zh) * 2020-03-31 2020-07-31 北京智能工场科技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的心理状态预测方法
KR20210026999A (ko) * 2019-08-29 2021-03-10 올이즈널 유한회사 아동 발달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10046991A (ko) 2019-10-21 2021-04-29 주식회사 마음 동작인식기능이 포함된 아동심리검사에 의한 맞춤형 아동놀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2318798B1 (ko) 2021-04-19 2021-10-28 (주)창의발레소예 아동용 주의력 검사 및 발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37477B1 (ko) * 2021-02-04 2021-12-09 사단법인 참만남가족운동 비대면 상담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상담 시스템
KR20220069679A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티엔에프에이아이 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아동 그림 이미지의 유형 분석 시스템
CN114864021A (zh) * 2022-04-20 2022-08-05 盐城师范学院 一种心理减压方法及系统
KR20220118116A (ko) * 2021-02-18 2022-08-25 케이씨대학교산학협력단 셀프 마인드 케어 시스템
KR20220118656A (ko) 2021-02-19 2022-08-26 한화생명보험 (주)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KR20230011013A (ko) * 2021-07-13 2023-01-20 이성옥 Ai 기반 그림을 이용한 부모와 아동이 자체 제작하는 내그림 동화책 제작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240039923A (ko) 2022-09-20 2024-03-27 신은경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아동심리검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024B1 (ko) 2009-07-21 2012-11-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림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421217B1 (ko) * 2013-11-18 2014-07-23 (주) 나무와 숲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KR101581801B1 (ko) 2015-08-07 2016-01-04 주식회사 티아이런 캐릭터를 이용한 3자통신 기반 아동심리 상담치료 시스템 및 방법
KR101717289B1 (ko) * 2015-06-12 2017-03-17 (주) 나무와 숲 아동 정서안정 지원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024B1 (ko) 2009-07-21 2012-11-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림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421217B1 (ko) * 2013-11-18 2014-07-23 (주) 나무와 숲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KR101717289B1 (ko) * 2015-06-12 2017-03-17 (주) 나무와 숲 아동 정서안정 지원 관리 시스템
KR101581801B1 (ko) 2015-08-07 2016-01-04 주식회사 티아이런 캐릭터를 이용한 3자통신 기반 아동심리 상담치료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999A (ko) * 2019-08-29 2021-03-10 올이즈널 유한회사 아동 발달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271894B1 (ko) 2019-08-29 2021-07-01 올이즈널 유한회사 아동 발달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10046991A (ko) 2019-10-21 2021-04-29 주식회사 마음 동작인식기능이 포함된 아동심리검사에 의한 맞춤형 아동놀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CN111477328A (zh) * 2020-03-31 2020-07-31 北京智能工场科技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的心理状态预测方法
KR20220069679A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티엔에프에이아이 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아동 그림 이미지의 유형 분석 시스템
KR102444163B1 (ko) * 2020-11-20 2022-09-19 주식회사 티엔에프에이아이 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아동 그림 이미지의 유형 분석 시스템
KR102337477B1 (ko) * 2021-02-04 2021-12-09 사단법인 참만남가족운동 비대면 상담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상담 시스템
KR20220118116A (ko) * 2021-02-18 2022-08-25 케이씨대학교산학협력단 셀프 마인드 케어 시스템
KR102488550B1 (ko) * 2021-02-18 2023-01-13 강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셀프 마인드 케어 시스템
KR20220118656A (ko) 2021-02-19 2022-08-26 한화생명보험 (주)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KR102318798B1 (ko) 2021-04-19 2021-10-28 (주)창의발레소예 아동용 주의력 검사 및 발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11013A (ko) * 2021-07-13 2023-01-20 이성옥 Ai 기반 그림을 이용한 부모와 아동이 자체 제작하는 내그림 동화책 제작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102506947B1 (ko) * 2021-07-13 2023-03-06 이성옥 Ai 기반 그림을 이용한 부모와 아동이 자체 제작하는 내그림 동화책 제작 시스템 및 이의 방법
CN114864021A (zh) * 2022-04-20 2022-08-05 盐城师范学院 一种心理减压方法及系统
KR20240039923A (ko) 2022-09-20 2024-03-27 신은경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아동심리검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193B1 (ko)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Elstein et al. Clinical problem solving and diagnostic decision making: selective review of the cognitive literature
Gilbert et al. Early screening for risk of reading disabilities: Recommendations for a four-step screening system
Struminskaya Respondent conditioning in online panel surveys: Results of two field experiments
Ferrigno et al. A metacognitive illusion in monkeys
Smolkowski et al. Evaluation of diagnostic systems: The selection of students at risk of academic difficulties
KR20090015310A (ko) 네트워크를 통한 심리진단결과에 기초한 진료 또는 상담의자동예약시스템 및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심리상담시스템
Mehling et al. Impact of choice on social outcomes of adults with ASD
Kreuzmair et al. High numerates count icons and low numerates process large areas in pictographs: results of an eye‐tracking study
Silva et al. Procedures of user-centered usability assessment for digital solutions: scoping review of reviews reporting on digital solutions relevant for older adults
Blasingame Risk assessment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exhibit sexual behavior problems or sexual offending behavior
Rubie-Davies et al. Assessing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student personal perception of classroom climate across different ethnic groups
Keller-Margulis et al. Reading curriculum-based measures in Spanish: An examination of validity and diagnostic accuracy
Grimm et al. Measurement models, estimation, and the study of change
Casale et al. Measurement invariance of a universal behavioral screener across samples from the USA and Germany
Schnall et al. Methods: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interviewing techniques
KR20160136055A (ko) 성격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Ravi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xposure to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an emotional–behavioral disability: A scoping review
Carpenter et al. A meta-analysis and critical review of metacognitive accuracy in autism
Hart et al. Trajectories of vocabulary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cross multiple measures
Man et al. Detecting preknowledge cheating via innovative measures: A mixture hierarchical model for jointly modeling item responses, response times, and visual fixation counts
Dahlberg et al. Introduction to research and evaluation basics
Giansanti et al. A smartphone-based survey in mHealth to investigate the introduc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cardiology
Paschall et al. Comparing the national outcome measure of healthy and ready to learn with other well-being and school readiness measures
Pivovarova et al. Are measures of cognitive effort and motivation useful in differentiating feigned from genuine psychiatric sympto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